KR101794867B1 -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867B1
KR101794867B1 KR1020170101086A KR20170101086A KR101794867B1 KR 101794867 B1 KR101794867 B1 KR 101794867B1 KR 1020170101086 A KR1020170101086 A KR 1020170101086A KR 20170101086 A KR20170101086 A KR 20170101086A KR 101794867 B1 KR101794867 B1 KR 10179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nd
fixing piece
fastening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승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17010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6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고정편이 형성된 체결밴드가 주름부위에 구비되어 배관이음이 원터치식으로 간결하게 이루어지고 이음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주름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후단산부, 후단골부 및 제2후단산부를 포함하는 산과 골이 형성되는 삽입단 및 상기 삽입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직관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단골부와 제2후단산부는 후단산부의 전방 직전에 배치되는 직관부; 상기 직관본체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말단의 내측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확관부; 및 상기 후단산부를 감싸는 환형의 띠밴드를 중심으로, 상기 띠밴드의 전방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이 형성되고, 후방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3고정편과 제4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 제2고정편, 제3고정편 및 제4고정편이 단위 고정편을 이루며 상기 띠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며, 후방배관의 삽입단이 전방배관의 확관부에 삽입되어 배관이음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고정편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전방배관의 체결홈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 Double Wall Pipe}
본 발명은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고정편이 형성된 체결밴드가 주름부위에 구비되어 배관이음이 원터치식으로 간결하게 이루어지고 이음부위의 분리가 방지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중벽관은 합성수지 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원통형의 내피 외주면에 환형 또는 주름형의 외피가 부착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환형의 이중벽관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피(1)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외피(2)가 연속적으로 인접하여 형성되어 외견상 주름이 없는 이중벽관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형의 외피(2)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외견상 산과 골을 갖는 주름이중벽관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주름없는 이중벽관의 이음작업은 통상 이음부위를 수밀시트를 감싼 다음 시트 외주면을 금속소켓으로 압박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음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주름이중벽관은 수밀시트대신 수밀패킹(3)을 산이나 골부위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주름없는 이중벽관에 비해 이음작업이 용이하다. 다만, 금속소켓(4)을 나사 체결해야 하는 작업이 잔존하므로 이음작업의 편의성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누수사고는 관 일부의 파손이나 이음부위의 분리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음부위의 분리는 부등침하나 지진 등으로 인해 지반이 변형되는 경우 배관 길이방향으로 인장력에 작용하게 되어 발생된다.
KR 10-0301229 B1 2001.06.22. KR 20-0379819 Y1 2005.03.15.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관이음이 원터치식으로 간결하게 이루어지고 지반 변형 시 인장력에 의한 이음부위의 분리가 방지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는, 외주면에 후단산부, 후단골부 및 제2후단산부를 포함하는 산과 골이 형성되는 삽입단 및 상기 삽입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직관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단골부와 제2후단산부는 후단산부의 전방 직전에 배치되는 직관부; 상기 직관본체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말단의 내측에 체결홈이 형성되는 확관부; 및 상기 후단산부를 감싸는 환형의 띠밴드를 중심으로, 상기 띠밴드의 전방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이 형성되고, 후방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3고정편과 제4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 제2고정편, 제3고정편 및 제4고정편이 단위 고정편을 이루며 상기 띠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며, 후방배관의 삽입단이 전방배관의 확관부에 삽입되어 배관이음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고정편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전방배관의 체결홈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는, 외주면에 후단산부, 후단골부 및 제2후단산부를 포함하는 산과 골이 형성되는 삽입단 및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삽입단(11)이 각각 형성되는 직관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단골부와 제2후단산부는 후단산부의 전방 직전에 배치되는 직관부; 길이방향 양단 내측에 제2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는 중공의 연결부; 및 상기 후단산부를 감싸는 환형의 띠밴드를 중심으로, 상기 띠밴드의 전방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이 형성되고, 후방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3고정편과 제4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 제2고정편, 제3고정편 및 제4고정편이 단위 고정편을 이루며 상기 띠밴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체결밴드;를 포함하며, 전방배관의 일측 삽입단과 후방배관의 일측 삽입단이 연결부에 삽입되어 배관이음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고정편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상기 제2체결홈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는, 상기 제4고정편의 말단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단산부의 모서리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는, 상기 제2고정편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단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는, 상기 띠밴드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은 상기 제2후단산부 상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밴드가 만곡된 체결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에 의하면, 체결밴드 및 상기 체결밴드의 제3고정편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전방배관의 체결홈에 걸림 고정됨을 통해, 배관이음이 원터치식으로 이루어지고 이음부위의 분리가 방지됨으로써 주름이중벽관의 시공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주름이 없는 이중벽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주름이중벽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의 배관이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의 배관이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를 이용한 배관이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이중벽관의 배관이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이중벽관의 배관이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를 이용한 배관이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직관부(10), 상기 직관부(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확관부(20) 및 직관부(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체결밴드(30)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확관부(20)가 생략되고 대신 연결부(40)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직관부(10)와 확관부(20)의 외주면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출성형을 통해 외피로 이루어진 산과 골이 형성되고, 상기 산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부(A)를 갖는 마름모 단면 형상 외에도 사각이나 반원형 단면 또는 중공부(A)가 없는 요철 단면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전방배관의 확관부(20)에 후방배관의 직관부(10) 선단이 삽입되어 배관이음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배관이음이 체결밴드(30)를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직관부(10)는 후방배관의 직관부(10)를 지시하고 확관부(20)는 전방배관의 확관부(20)를 지시한다. 또한, 이하 언급되는 전방(x)은 직관부(10)의 삽입방향을 말하고 후방(y)은 그 반대방향을 말한다.
각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먼저 직관부(10)는 배관이음시 확관부(20)에 삽입되는 삽입단(11) 및 배관이음 후에도 외부에 노출되는 직관본체(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단(11)의 선단에 위치한 선단산부(13)에는 패킹링(17)이 구비되며, 말단에 위치한 후단산부(14)에는 체결밴드(30)가 구비된다.
상기 패킹링(17)은 상호 결합된 확관부(20)와 삽입단(11)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로서,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끼워진 상태에서 상면이 확관부(20)의 내벽에 밀착되는 형식으로 구비된다.
확관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후방배관의 삽입단(11)이 삽입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내경은 직관부(10)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되고, 상기 직관본체(12)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확관부 말단(21)의 내측에는 후술할 체결밴드(30)의 제3고정편(33)이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홈(22)이 형성된다.
체결밴드(30)는 삽입단(11)이 원터치 방식으로 확관부(20)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전방배관과 후방배관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통상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체결밴드(30)의 세부 구조는 환형의 띠밴드(30a)를 중심으로, 상기 띠밴드(30a)의 전방(x)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1고정편(31)과 제2고정편(32)이 형성되고, 후방(y)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3고정편(33)과 제4고정편(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31), 제2고정편(32), 제3고정편(33) 및 제4고정편(34)이 단위 고정편을 이루며 띠밴드(30a)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띠밴드(30a)의 일부가 후단산부(14)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고정편(33)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체결홈(22)에 걸림 고정되며, 이를 통해 전방배관와 후방배관의 원터치 배관이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4고정편(34)은 말단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후단산부(14)의 모서리에 걸림 고정되어 제3고정편(33)과 함께 지반 변형 시 인장력에 의해 후방배관이 전방배관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고정편(32)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데, 배관이음 전에 체결밴드(30)를 삽입단(11)에 장착할 때 후단산부(14)의 전방(x)에 위치한 후단골부(15)에 배치되어 체결밴드(30)가 후방(y)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며, 삽입단(11)의 확관부(20) 삽입 과정에서 후단산부(14)에 걸리게 됨으로써 체결밴드(30)가 후방(y)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이음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체결밴드(30)는 통상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절개부(B)가 생략된 완전한 환형 형태로 제작되나, 시공장소의 길이 제약으로 직관부(10)의 일부를 잘라 배관이음을 실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바, 직관부(10) 커팅으로 인해 새로 형성된 삽입단(11)의 후단산부(14)에 작업자가 직접 체결밴드(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밴드(30)는 통상 절개부(B)를 갖는 환형으로 제작되어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체결밴드(30)가 만곡된 체결밴드편 형태로 제작되어, 복수의 체결밴드편을 후단산부(14)의 둘레에 배치한 상태에서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각 체결밴드편을 임시로 상호 고정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체결밴드(30)가 절개부(B)를 갖는 환형 형태로 제공되거나 체결밴드편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체결밴드(30)는 다소 헐거운 상태로 후단산부(1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전방배관와 후방배관의 원터치 배관이음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방배관의 중심축(c)과 후방배관의 중심축(c)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야 하고 또한, 띠밴드(30a)가 중심축(c)과 평행을 이루며 배치되어야 하는 바, 상기 제1고정편(31)은 후단산부(14)의 전방(x) 직전에 위치한 제2후단산부(16) 상면에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체결밴드(30)가 후단산부(14)에 헐겁게 고정된 상태에서도 띠밴드(30a)가 상기 중심축(c)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확관부(20) 대신 연결부(40)로 본 발명을 개시할 경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0)는 확관부(20)와 동일한 내/외경을 갖되 길이는 개략적으로 확관부(20)의 2배에 해당하는 길이로 제작된다.
또한, 직관부(10)의 경우 직관본체(12)의 양단에 삽입단(11)이 형성, 각 삽입단(11)에 패킹링(17)과 체결밴드(30)가 삽입 배치되는 한편, 전방배관과 후방배관에 배치되어 있는 체결밴드(30)의 제3고정편(33)이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홈(22)과 동일한 구조의 제2체결홈(41)이 연결부(40)의 양단 내측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직관부
11: 삽입단 12: 직관본체
13: 선단산부 14: 후단산부
15: 후단골부 16: 제2후단산부
17: 패킹링
20: 확관부
21: 확관부 말단 22: 체결홈
30: 체결밴드
31: 제1고정편 32: 제2고정편
33: 제3고정편 34: 제4고정편
40: 연결부
41: 제2체결홈

Claims (6)

  1. 전방배관과 후방배관을 상호 연결하여 배관이음이 이루어지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에 후단산부(14), 후단골부(15) 및 제2후단산부(16)를 포함하는 산과 골이 형성되는 삽입단(11) 및 상기 삽입단(11)과 일체로 형성되는 직관본체(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단골부(15)와 제2후단산부(16)는 후단산부(14)의 전방(x) 직전에 배치되는 직관부(10);
    상기 직관본체(12)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말단(21)의 내측에 체결홈(22)이 형성되는 확관부(20); 및
    상기 후단산부(14)를 감싸는 환형의 띠밴드(30a)를 중심으로, 상기 띠밴드(30a)의 전방(x)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1고정편(31)과 제2고정편(32)이 형성되고, 후방(y)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3고정편(33)과 제4고정편(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31), 제2고정편(32), 제3고정편(33) 및 제4고정편(34)이 단위 고정편을 이루며 상기 띠밴드(30a)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체결밴드(30);
    를 포함하며,
    후방배관의 삽입단(11)이 전방배관의 확관부(20)에 삽입되어 배관이음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고정편(33)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전방배관의 체결홈(22)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2. 전방배관과 후방배관을 상호 연결하여 배관이음이 이루어지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에 후단산부(14), 후단골부(15) 및 제2후단산부(16)를 포함하는 산과 골이 형성되는 삽입단(11) 및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삽입단(11)이 각각 형성되는 직관본체(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단골부(15)와 제2후단산부(16)는 후단산부(14)의 전방(x) 직전에 배치되는 직관부(10);
    길이방향 양단 내측에 제2체결홈(41)이 각각 형성되는 중공의 연결부(40); 및
    상기 후단산부(14)를 감싸는 환형의 띠밴드(30a)를 중심으로, 상기 띠밴드(30a)의 전방(x)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1고정편(31)과 제2고정편(32)이 형성되고, 후방(y) 측면에는 상호 이웃하는 제3고정편(33)과 제4고정편(34)이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31), 제2고정편(32), 제3고정편(33) 및 제4고정편(34)이 단위 고정편을 이루며 상기 띠밴드(30a)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체결밴드(30);
    를 포함하며,
    전방배관의 일측 삽입단(11)과 후방배관의 일측 삽입단(11)이 연결부(40)에 삽입되어 배관이음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고정편(33)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배관이음시 상기 제2체결홈(41)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고정편(34)은 말단 일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단산부(14)의 모서리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편(32)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단골부(1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띠밴드(30a)에는 절개부(B)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편(31)은 상기 제2후단산부(16) 상면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30)가 만곡된 체결밴드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KR1020170101086A 2017-08-09 2017-08-09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KR10179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86A KR101794867B1 (ko) 2017-08-09 2017-08-09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086A KR101794867B1 (ko) 2017-08-09 2017-08-09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867B1 true KR101794867B1 (ko) 2017-11-08

Family

ID=6038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086A KR101794867B1 (ko) 2017-08-09 2017-08-09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8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78Y1 (ko) 2004-08-24 2004-11-17 한승희 공극밀폐부를 갖는 소켓 이중벽관
US20100181760A1 (en) 2007-05-30 2010-07-22 Titeflex Corporation Snap-fit fitting for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KR101283923B1 (ko) 2012-10-24 2013-07-16 (주) 삼정디씨피 분리형 편수칼라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78Y1 (ko) 2004-08-24 2004-11-17 한승희 공극밀폐부를 갖는 소켓 이중벽관
US20100181760A1 (en) 2007-05-30 2010-07-22 Titeflex Corporation Snap-fit fitting for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KR101283923B1 (ko) 2012-10-24 2013-07-16 (주) 삼정디씨피 분리형 편수칼라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601B2 (en) Coupler for corrugated pipe
US20130200608A1 (en) Multi-Use Pipe Cuff
MXPA06000511A (es) Remate de union para tubo anillado y tubo equipado con tal remate.
BRPI0901351A2 (pt) métod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ngueira flexìvel a um soquete e arranjo de conexão para conectar um membro de magueira flexìvel a um soquete
JP2010175076A (ja) ホース継手及びホース継手をホースに結合する方法
KR101114497B1 (ko) 멀티소켓관과 드레인호스의 결합구조
KR101794867B1 (ko)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JP2008507245A (ja) 波形管用の連結接続部材
JP5111212B2 (ja) 通水管の接続具
CN112689727B (zh) 波纹管道组件及其套筒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KR100316828B1 (ko) 수지관
US20130099480A1 (en) Expansion Connector for a Fluid Connection Hose
JPH06281069A (ja) リブ付管の接続構造
KR101452439B1 (ko) 보강 부재가 구비된 이탈방지 파이프 결합 구조
JP5782648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構造
JP3133487U (ja) 三方継手
EP0486962A1 (en) Multi-purpose flexible sleeve
JP2016084645A (ja) 配管用継手
EP0650819A1 (en) A Method and a mould for forming an expansion, such as a socket, in a pipe, and a plastic pipe
JP5514502B2 (ja) 屈曲防止リング及びリブ付き管の接続構造
KR101547067B1 (ko) 이탈방지 소켓형 이중벽 코러게이트관
JP4157350B2 (ja) 管継手
JP7290937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用芯材
JP7290931B2 (ja) ドレンホース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