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364A -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364A
KR20230014364A KR1020210095615A KR20210095615A KR20230014364A KR 20230014364 A KR20230014364 A KR 20230014364A KR 1020210095615 A KR1020210095615 A KR 1020210095615A KR 20210095615 A KR20210095615 A KR 20210095615A KR 20230014364 A KR20230014364 A KR 20230014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frame
vehicle seat
movable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669B1 (ko
Inventor
홍영준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대창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창공업 filed Critical (주)대창공업
Priority to KR1020210095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호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가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차량 시트용 프레임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클램핑 유닛들; 가동 플레이트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실린더; 가동 플레이트가 제1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를 제1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고, 가동 플레이트가 제2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를 제2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 유닛; 및 위치고정 유닛에 의해 위치고정된 가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고정 유닛에 의한 가동 플레이트의 위치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APPARTUS FOR CLAMPING SEAT FRAM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를 지탱하기 위하여 그 시트 내에 장착되는 프레임을 클램핑하여 지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이 다른 2 종류의 시트용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 내에는, 그 시트를 지탱하고 시트의 틀을 유지하며 쿠션 스프링 등이 결합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이 장착된다.
그러한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일례를 도 1에 단순화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차량용 시트 프레임은, 봉상(棒狀)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다. 차량 시트용 프레임에는 다른 부재(예컨대, 차량 시트백에 마련되는 시트백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는 연결바(B), 쿠션 스프링(미도시) 등의 부재)가 용접된다.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에 상기와 같은 다른 부재를 용접하기 위하여는, 일단 차량 시트용 프레임을 고정 지지해 둘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는, 크기가 다른 프레임(즉, 다리부들 간의 간격이 다른 프레임)마다 전용의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예컨대, 1인용 시트에 내장되는 소형의 프레임은 그 소형의 프레임만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클램핑장치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2인용 시트에 내장되는 대형의 프레임은 그 대형의 프레임만을 고정 지지할 수 있는 클램핑장치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그런데, 이처럼, 시트용 프레임의 크기마다 다른 클램핑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그러한 클램핑장치들을 마련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클램핑장치들의 보관 및 취급에도 불편함이 따르고, 그 클램핑장치들을 설치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공간도 넓게 확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기가 다른 2종류의 시트용 프레임을 클램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데 하나의 목적이 있으며, 그 밖의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서 명확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는, 봉상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에 다른 부재를 용접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한 쌍의 다리부 중 하나를 클램핑하는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 상호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플레이트;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한 쌍의 다리부 중 다른 하나를 클램핑하는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 상기 가동 플레이트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실린더;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를 제1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를 제2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 유닛; 및 상기 위치고정 유닛에 의해 위치고정된 가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위치고정 유닛에 의한 가동 플레이트의 위치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에 의하면, 작은 크기의 시트용 프레임을 클램핑하여 지지할 수 있고, 큰 크기의 시트용 프레임을 클램핑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그 밖의 다른 효과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가동 플레이트 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가동 플레이트가 제2 방향을 따라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가동 플레이트가 제2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가동 플레이트가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척도나 치수 등이 적절히 과장 또는 축소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가동 플레이트 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의 Ⅳ-Ⅳ선 단면도, Ⅴ-Ⅴ선 단면도, Ⅵ-Ⅵ선 단면도 및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상기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FS; 이하 단순히 "프레임 클램핑장치"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 시트용 프레임(A; 이하, 단순히 "프레임"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음), 즉 봉상의 본체부(1)와 그 본체부(1)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다리부(2)를 구비하는 프레임(A)에 다른 부재(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바(B) 등의 부재)를 용접하기 위하여, 그 프레임(A)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프레임 클램핑장치(FS)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대)의 크램핑 유닛(20)과, 가동 플레이트(30)와, 실린더(109)와, 위치고정 유닛과, 해제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 일측에는 하방으로 인입된 홈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클램핑 유닛(20)은, 프레임 클램핑장치(FS)에 지지되는 프레임(A)을 각 부위를 클램핑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클램핑 유닛(20)은, 프레임(A)의 본체부(2)를 클램핑하는 제1 본체부 클램핑 유닛(211) 및 제2 본체부 클램핑 유닛(212)과, 프레임(A)의 다리부들(2, 2) 중 하나의 다리부를 클램핑하는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 및 다른 하나의 다리부를 클램핑하는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본체부 클램핑 유닛(211)과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본체부 클램핑 유닛(212)과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은 상기 가동 플레이트(3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본체부 클램핑 유닛(211), 제2 본체부 클램핑 유닛(212),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 및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은, 프레임(A)의 다른 위치의 부위를 각각 클램핑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위치만 서로 다를 뿐이며, 그 각각의 클램핑 유닛(20)(211, 212, 221, 222) 자체의 구조 및 치수 규격 등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 클램핑 유닛(20)(211, 212, 221, 222)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다른 클램핑 유닛(211, 212, 221) 각각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0)(222)은, 고정부재(21)와, 고정부재(21)에 설치된 클램핑용 실린더(209)와, 클램핑용 실린더(209)의 로드(209a; 도 6 참조)에 고정된 가동부재(22)를 구비한다. 고정부재(21)는, 제1 본체부 클램핑 유닛(211) 및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의 경우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되며, 제2 본체부 클램핑 유닛(212) 및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의 경우에는 가동 플레이트(3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21)에는 삽입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홈(41a)에는 프레임(A)의 일부가 끼워져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 및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의 경우에는 프레임(A)의 다리부들(2, 2) 중 하나가 삽입홈(41a)에 끼워져 수용되고, 제1 본체부 클램핑 유닛(211) 및 제2 본체부 클램핑 유닛(212)의 경우에는 프레임(A)의 본체부(1))가 삽입홈(41a)에 끼워져 수용된다. 삽입홈(41a)의 깊이는, 프레임(A)의 본체부(1)나 다리부(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각 삽입홈(41a)에 삽입된 프레임(A)의 본체부(1)나 다리부(2)는 삽입홈(41a)에 완전히 몰입되지 않고 상측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가동부재(22)는 고정부재(21)의 상방에서 위치하며, 상기 클램핑용 실린더(209)의 작동시에 출몰되는 로드(209a)에 의해, 고정부재(21)에 대해 승강할 수 있다. 이 가동부재(22)는, 도 6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클램핑위치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A)의 부위들 중 상기 고정부재(21)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홈(21a)에 수용된 부위를 고정부재(21)에 눌러붙이게 되고, 가동부재(22)가 도 6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눌러붙임이 해제된다. 따라서, 각 클램핑 유닛(20)(211, 212, 221, 222)의 가동부재(22)가 하강하여 상기 클램핑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프레임(A)이 가동부재(22)와 고정부재(21)에 의해 클램핑되어 확고하게 위치고정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게 된다.
상기 가동 플레이트(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홈부(11)에 수용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위치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상기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과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과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 간의 간격보다 큰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가동 플레이트(30)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향하는 제1 방향(D1), 및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향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이하, 상기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을 합하여 왕복이동방향(D1, D2)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홈부(11)에는,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방향(D1, D2)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2)이 마련되어 있으며, 가동 플레이트(3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30)는 상기 가이드 홈(32)과 가이드 레일(12)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따라 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9)는,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실린더(109)의 출력 로드(109a)의 움직임 방향(즉, 출력 로드(109a)의 길이 방향)이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방향(D1, D2)과 동일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브라켓(108)을 개재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린더(109)로서는, 예컨대 유체압(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출력 로드(109a)를 양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타입인 복동 실린더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09)의 출력 로드(109a)는 후술하는 선행 이동체(30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 유닛은, 가동 플레이트(30)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30)를 제1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고, 가동 플레이트(30)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30)를 제2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고정 유닛은, 스토퍼(40)와 가압 스프링(409)을 구비한다. 스토퍼(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3)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40)는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방향(D1, D2)에 대해 수직인 제1 측면(401)과, 이 제1 측면(401)과 평행한 제2 측면(40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면(401)은, 스토퍼(40)가 상승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가동 플레이트(30)와 접촉 가능하다. 제2 측면(404)은, 스토퍼(40)가 상승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가동 플레이트(30)와 접촉 가능하다. 상기 가압 스프링(409)은 스토퍼(4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가압 스프링(409)으로서 압축코일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409)의 상단은 스토퍼(40)에 접촉되고,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된 받침부재(408)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위치고정 유닛에 의해 위치고정된 가동 플레이트(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위치고정 유닛에 의한 가동 플레이트(30)의 위치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제 유닛으로서, 상기 실린더(109)의 출력 로드(109a)에 고정된 선행 이동체(3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선행 이동체(300)는, 실린더(109)의 작동시에 가동 플레이트(30)보다 먼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 가동 플레이트(30)와 함께 이동하도록,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방향(D1, D2)으로 가동 플레이트(30)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왕복이동 가능하게 가동 플레이트(30)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행 이동체(300)가 가동 플레이트(30)보다 먼저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상승되어 있는 스토퍼(40)를 눌러서 하강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선행 이동체(300)는,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방향(D1, D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P)에서의, 가동 플레이트(30)의 중앙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선행 이동체(300)의 내경(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방향(D1, D2)에서 마주하는 내면들 간의 거리)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30)의 상기 왕복이동방향(D1, D2)을 따르는 길이보다 일정 길이(L; 도 4 참조)만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정 길이(L)는, 가동 플레이트(30)에 대한 선행 이동체(300)의 상대 이동 거리와 동일한 길이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40)가 상승되어서 가동 플레이트(30)가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행 이동체(300)가 먼저 가동 플레이트(30)에 대해 이동되면서 상기 스토퍼(40)를 눌러서 하강시키기 위해 필요한 선행 이동체(300)의 이동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40)는 제1 경사면(411)과 제2 경사면(41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경사면(411)은, 가동 플레이트(3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선행 이동체(30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중에 그 선행 이동체(300)와 접촉하게 되는 면이다. 이 제1 경사면(411)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가동 플레이트(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제2 경사면(414)은, 상기 가동 플레이트(3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행 이동체(30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중에 그 선행 이동체(300)와 접촉하게 되는 면이다. 이 제2 경사면(414)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가동 플레이트(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홈부(11)의 내측면 중에서, 가동 플레이트(30)의 왕복이동방향(D1, D2)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스프링 수용홈(111a, 114a)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들 중에서 가동 플레이트(3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플레이트(30)와 접촉하는 제1 면(111)에는 제1 스프링 수용홈(1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면들 중에서 가동 플레이트(3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플레이트(30)와 접촉하는 제2 면(114)에는 제2 스프링 수용홈(114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 수용홈(111a)에는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의 일단부가 수용되어서 고정되어 있고, 제2 스프링 수용홈(114a)에는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의 일단부가 수용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1 스프링 수용홈(111a)의 깊이(제1 방향(D1)에서의 깊이)는,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무하중 상태)의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의 길이보다 작고, 최대로 압축된 상태의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의 길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30)가 제1 면(111)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은 제1 면(111)에 대해 돌출되어 있게 되며, 가동 플레이트(30)가 제1 면(111)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이 제1 스프링 수용홈(111a) 내에 몰입되어서 제1 면(111)에 대해 돌출되지 않게 된다. 제2 스프링 수용홈(114a)의 깊이(제2 방향(D2)에서의 깊이)는,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무하중 상태)의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의 길이보다 작고, 최대로 압축된 상태의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의 길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30)가 제2 면(114)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은 제2 면(114)에 대해 돌출되어 있게 되며, 가동 플레이트(30)가 제2 면(114)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5)이 제2 스프링 수용홈(114a) 내에 몰입되어서 제2 면(114)에 대해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하, 상술한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FS)에 의해 크기가 다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들(양 다리부 간의 간격이 서로 다른 프레임들)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2,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30)의 상기 왕복이동방향(D1, D2)에서의 양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1 면(111)과 스토퍼(40)의 제1 측면(401)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30)가 제1 위치에 위치고정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램핑 유닛(20)(211, 212, 221, 222)을 이용하여 소형의 프레임(A)을 클램핑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형의 프레임(A)보다 큰 차량 시트용 프레임(A1; 도 12 참조)을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109)를 작동시켜서 그 실린더(109)의 출력 로드(109a)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가동 플레이트(30)는 스토퍼(40)의 제1 측면(401)에 의해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있고 선행 이동체(300)는 그 가동 플레이트(30)에 대해 상기 일정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므로, 출력 로드(109a)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는 초기에는, 가동 플레이트(30)는 제1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선행 이동체(300)만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행 이동체(300)만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선행 이동체(300)는 스토퍼(40)의 제1 경사면(411)에 접촉하게 되고, 이어서, 그 제1 경사면(411)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되면서 제1 경사면(411)을 하방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0)가 가압 스프링(409)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선행 이동체(300)가 제2 방향(D2)으로 계속 이동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0)의 하강이 완료되어 스토퍼(40)의 제1 측면(401)이 가동 플레이트(30)와 접촉하지 않게 되며(즉, 가동 플레이트(3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선행 이동체(300)의 상기 제2 방향(D2)에서의 하류측 단면(스토퍼(40)로부터 먼쪽의 끝면)이 가동 플레이트(30)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실런더(109)에 의한 선행 이동체(300)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계속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30)도 선행 이동체(300)에 의해 끌려서 그 선행 이동체(300)와 함께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30)가 선행 이동체(300)와 함께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는 동안, 스토퍼(40)는 선행 이동체(300)에 의해 계속 눌려서 하강되어 있게 되며, 가동 플레이트(30)와 선행 이동체(300)는 상기 하강되어 있는 스토퍼(40) 위를 지나면서 이동하게 된다. 가동 플레이트(30)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은, 그 가동 플레이트(3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2 면(114)에 접촉할 때까지(즉,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가동 플레이트(3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2 면(114)에 접촉하기 전에 상기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에 먼저 접촉하게 되고, 가동 플레이트(30)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계속됨에 따라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은, 이동되는 가동 플레이트(30)에 의해 눌려서, 제2 스프링 수용홈(114a) 내에 압축된 상태로 몰입되게 된다. 이처럼, 가동 플레이트(30)가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완료하기 전에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과 접촉한 후 그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을 압축시키면서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이 완충 역할을 하여, 가동 플레이트(3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2 면(114) 간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약화된다.
가동 플레이트(3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2 면(114)에 접촉함으로써 제2 방향(D2)을 따른 가동 플레이트(30)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30)가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선행 이동체(300)에 의한 스토퍼(40)의 누름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되어 있던 가압 스프링(409)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40)는 다시 도 11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스토퍼(40)의 제2 측면(404)은 제2 위치로 이동된 가동 플레이트(30)에 접촉하게 되어, 가동 플레이트(3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30)는 제2 위치에 안정되게 위치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처럼 가동 플레이트(30)가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과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 사이의 간격이, 가동 플레이트(3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221)과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222) 사이의 간격보다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램핑 유닛(20)(211, 212, 221, 222)을 이용하여, 상기 소형의 프레임(A)보다 큰 대형의 차량 시트용 프레임(A1; 양 다리부 사이의 간격이, 프레임(A)의 양 다리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프레임(A1))을 클램핑하여 지지할 수 있다.
만일, 가동 플레이트(30)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다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형의 프레임(A)을 프레임 클램핑장치(FS)에 의해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동 플레이트(30)를 다시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처럼, 제2 위치에 위치한 가동 플레이트(30)를 제1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실린더(109)를 작동시켜서 그 실린더(109)의 출력 로드(109a)에 고정되어 있는 선행 이동체(30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며, 가동 플레이트(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의 이동 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거쳐, 제1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행 이동체(30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초기에는, 가동 플레이트(30)가 스토퍼(40)의 제2 측면(404)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선행 이동체(300)만 가동 플레이트(30)에 대해 이동하면서, 스토퍼(40)의 제2 경사면(414)과 상대 슬라이딩하여 스토퍼(40)를 하강시킴으로써 제2 측면(404)과 가동 플레이트(30) 간의 접촉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선행 이동체(300)의 상기 제1 방향(D1)에서의 하류측 단면(스토퍼(40)로부터 먼쪽의 끝면)이 가동 플레이트(30)에 접촉하게 되어, 가동 플레이트(30)도 선행 이동체(300)에 의해 끌려서 그 선행 이동체(300)와 함께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가동 플레이트(30)는, 제1 면(111)에 대해 돌출된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과 접촉하여 그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을 압축시키면서, 제1 면(111)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압축되는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이 완충 역할을 하여, 가동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1 면(111) 간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약화된다.
가동 플레이트(3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1 면(111)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가동 플레이트(30)의 이동이 완료되면, 가동 플레이트(30)가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선행 이동체(300)에 의한 상기 스토퍼(40)의 누름 상태(하강 되어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가압 스프링(409)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40)가 다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스토퍼(40)의 제1 측면(401)은 제1 위치로 이동된 가동 플레이트(30)에 접촉하여(도 2 내지 도 4 참조) 그 가동 플레이트(30)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동 플레이트(30)는 제1 위치에 안정되게 위치고정되고, 복수의 클램핑 유닛(20)(211, 212, 221, 222)을 이용하여, 다시 소형의 프레임(A)을 클램핑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원(실린더(109))을 사용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크기가 다른 2종의 차량 시트용 프레임(A, A1)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른 크기의 차량 시트용 프레임(A, A1)을 각각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장치를 2대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간 활용 및 비용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 플레이트(30)에 대해 일정 거리 상대 이동 가능한 선행 이동체(300)를 마련하고, 하나의 구동원(실린더(109))에 의해 선행 이동체(300)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토퍼(40)에 의한 가동 플레이트(30)의 구속(위치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가동 플레이트(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가동 플레이트(30)를 위치고정 및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1 면(111)에 제1 스프링 수용홈(111a)을 마련하고,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은, 일단부가 제1 스프링 수용홈(111a)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1 면(111)에 대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여 두게 되면, 가동 플레이트(30)가 제1 면(111)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은 상기 제1 스프링 수용홈(111a) 내에 완전히 몰입된 상태가 되므로, 제1 압축코일 스프링(112)의 길이가 다소 달라지게 되더라도, 가동 플레이트(30)는 제1 면(111)에 확실하게 접촉(확실하게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2 면(114)에 제2 스프링 수용홈(114a)을 마련하고,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은, 일단부가 제2 스프링 수용홈(114a)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2 면(114)에 대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여 두게 되면, 상기 가동 플레이트(30)가 상기 제2 면(114)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은 제2 스프링 수용홈(114a) 내에 완전히 몰입된 상태가 되므로, 제2 압축코일 스프링(115)의 길이가 다소 달라지게 되더라도, 가동 플레이트(30)는 제2 면(114)에 확실하게 접촉(확실하게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프레임 클램핑장치(FS)를 구성하는 부재들 중에서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대 이동되는 부재들 사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에 개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는,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A, A1...차량 시트용 프레임 1...본체부
2...다리부 FS...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10...베이스 플레이트 109...실린더
109a...출력 로드 20...클램핑 유닛
211...제1 본체부 클램핑 유닛 212...제2 본체부 클램핑 유닛
221...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 222...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
30...가동 플레이트 300...선행 이동체
40...스토퍼 401...제1 측면
404...제2 측면 D1...제1 방향
D2...제2 방향

Claims (6)

  1. 봉상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에 다른 부재를 용접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장치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한 쌍의 다리부 중 하나를 클램핑하는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
    상호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향하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향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플레이트;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시트용 프레임의 한 쌍의 다리부 중 다른 하나를 클램핑하는 제2 다리부 클램핑 유닛;
    상기 가동 플레이트를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련된 실린더;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를 제1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그 가동 플레이트를 제2 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 유닛; 및
    상기 위치고정 유닛에 의해 위치고정된 가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위치고정 유닛에 의한 가동 플레이트의 위치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유닛;을 구비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 클램핑 유닛 및 제2 다리부 유닛은 각각,
    고정부재와,
    그 고정부재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강시에 상기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의 다리부를 고정부재에 눌러붙이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를 승강시키는 클램핑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왕복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이며, 스토퍼가 상승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가동 플레이트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하며, 스토퍼가 상승되어 있을 때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가동 플레이트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그 출력 로드의 움직임 방향이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왕복이동방향과 동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제 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작동시에 상기 가동 플레이트보다 먼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 상기 가동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왕복이동방향으로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왕복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출력 로드에 고정되고, 상기 가동 플레이트보다 먼저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상승되어 있는 스토퍼를 눌러서 하강시키는 선행 이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행 이동체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그 선행 이동체와 접촉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선행 이동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그 선행 이동체와 접촉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경사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가동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가동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선행 이동체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기 왕복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둘러싸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KR1020210095615A 2021-07-21 2021-07-21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KR102538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15A KR102538669B1 (ko) 2021-07-21 2021-07-21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15A KR102538669B1 (ko) 2021-07-21 2021-07-21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364A true KR20230014364A (ko) 2023-01-30
KR102538669B1 KR102538669B1 (ko) 2023-06-01

Family

ID=8510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615A KR102538669B1 (ko) 2021-07-21 2021-07-21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321A (ja) * 1997-09-11 1999-03-23 Honda Motor Co Ltd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US20020186936A1 (en) * 2001-04-05 2002-12-12 Freyhold Thilo Von Optical or opto-electrical Array
KR20130029842A (ko) * 2011-09-16 2013-03-26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제조를 위한 로봇 용접장치
KR101360066B1 (ko) * 2012-12-12 2014-02-1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KR101514948B1 (ko) * 2013-11-21 2015-04-24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KR101703572B1 (ko) * 2011-10-13 2017-0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20190027142A (ko) * 2017-09-06 2019-03-14 성일기업(주)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KR20200056967A (ko) * 2020-05-15 2020-05-25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321A (ja) * 1997-09-11 1999-03-23 Honda Motor Co Ltd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US20020186936A1 (en) * 2001-04-05 2002-12-12 Freyhold Thilo Von Optical or opto-electrical Array
KR20130029842A (ko) * 2011-09-16 2013-03-26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제조를 위한 로봇 용접장치
KR101703572B1 (ko) * 2011-10-13 2017-0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KR101360066B1 (ko) * 2012-12-12 2014-02-1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
KR101514948B1 (ko) * 2013-11-21 2015-04-24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KR20190027142A (ko) * 2017-09-06 2019-03-14 성일기업(주)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KR20200056967A (ko) * 2020-05-15 2020-05-25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669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669B1 (ko)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KR102538670B1 (ko) 차량 시트용 프레임 지지장치
KR101931595B1 (ko) 연마 장치
CN214698668U (zh) 一种保压装置
CN210790640U (zh) 一种工件夹紧固定机构
JP2006320934A (ja) プレス加工装置
KR20160078061A (ko) 커넥터 검사장치
CN114603339A (zh) 压装装置及压装设备
CN114055131A (zh) 限位板压入装置
CN211554144U (zh) 一种电阻测量装置
CN113601891A (zh) 一种开式液压机高精度导向机构
CN214601374U (zh) 钢带冲孔治具
CN205732203U (zh) 一种用于屏幕的夹持装置及除胶机
CN218342384U (zh) 石灰石压片装置
CN114700706A (zh) 一种电磁阀组装装置
JP2526756B2 (ja) リニアモ―タ式エレベ―タ―装置
CN104227408B (zh) 自动组装机的侧框架拼压装置
CN219319943U (zh) 一种鼓刹蹄摩擦材料粘结强度工装夹具
JP5932351B2 (ja) プレスブレーキ
CN213730334U (zh) 一种发动机箱体定位销压装装置
KR101374759B1 (ko) 마스크 프레임의 가압 변형장치
CN221065029U (zh) 一种用于夹持装置加工的工装
CN210790639U (zh) 一种用于夹紧工件的机构
CN114102094B (zh) 一种汽车发动机气缸盖锁片压装装置及压装方法
CN113084020A (zh) 一种管件扩张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