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142A -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142A
KR20190027142A KR1020170113831A KR20170113831A KR20190027142A KR 20190027142 A KR20190027142 A KR 20190027142A KR 1020170113831 A KR1020170113831 A KR 1020170113831A KR 20170113831 A KR20170113831 A KR 20170113831A KR 20190027142 A KR20190027142 A KR 2019002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ing
frames
forth
righ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492B1 (ko
Inventor
임동석
Original Assignee
성일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일기업(주) filed Critical 성일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1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the actuating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7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upholstery or upholstery 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보강브라켓이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이 고정상태로 배치되도록 상면에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본체, 고정지그의 상면에 결합 설치하며, 보강브라켓과 용접될 사이드프레임의 저면 위치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안착용접팁, 고정지그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본체에 연결 설치하는 전후이동프레임, 전후이동프레임과 연결되도록 본체에 설치하며, 전후이동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후이동구동부, 전후이동프레임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전후이동프레임에 연결 설치하는 좌우이동프레임, 좌우이동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전후이동프레임에 설치하며, 좌우이동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우이동구동부, 안착용접팁에 대응되도록 좌우이동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복수의 승강실린더, 승강실린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안착용접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보강브라켓 및 사이드프레임을 가압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하는 복수의 가압용접팁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Reinforcement bracket welding machine for car seat fram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프레임 중 사이드프레임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보강브라켓을 사이드프레임에 용접되게 하는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RV차량과 같은 다인승 차량에는 보다 많은 열의 시트가 설치된다. 이때,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부분인 시트쿠션과 등을 기대는 부분인 시트 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시트 백의 상부에는 머리를 기대고 쉴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시트의 내측에는 시트의 뼈대를 구성하는 시트 프레임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시트 프레임은 시트 쿠션을 장착하기 위한 시트 쿠션 프레임과, 시트 백을 장착하기 위한 시트 백 프레임(Seat back frame)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트 백 프레임은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시트 폭 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상단부를 연결시키는 어퍼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의 하단부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시트 강도 유지 및 어퍼/로어 프레임과 연결되고 리클라이너(Recliner)가 부착되어 시트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시트의 전후방 강성을 전담하게 된다. 특히, 사이트 프레임은, 자동차 주행 중 발생하는 승객의 전후 움직임에 따른 관성력을 리클라이너와 함께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상기 시트 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부위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보강브라켓을 용접으로 결합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을 통해 사이드프레임에 보강브라켓을 용접함으로써, 숙련도에 따른 작업자간 용접불량률 및 생산성에 차이가 있음과 더불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자동차 시트 구조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0803호(2013.01.11)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에 보강브라켓을 자동으로 용접되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보강브라켓이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이 고정상태로 배치되도록 상면에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고정지그의 상면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보강브라켓과 용접될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저면 위치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안착용접팁, 상기 고정지그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하는 전후이동프레임, 상기 전후이동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하며,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후이동구동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연결 설치하는 좌우이동프레임, 상기 좌우이동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설치하며,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우이동구동부, 상기 안착용접팁에 대응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복수의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용접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보강브라켓 및 사이드프레임을 가압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하는 복수의 가압용접팁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 선단 및 후단에는 각각 수직하게 수직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는 수평연결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전후이동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이동구동부는, 스크류부가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너트부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결합하는 전후이동볼스크류,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전후이동모터, 상기 전후이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의 스크류부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전후이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로 전달하는 전후이동구동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구동부는, 스크류부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너트부는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에 결합하는 좌우이동볼스크류,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좌우이동모터, 상기 좌우이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의 스크류부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좌우이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로 전달하는 좌우이동구동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는, 본체의 고정지그 상에 복수개의 사이드프레임 및 보강브라켓을 안착 배치하고, 전후이동구동부 및 좌우이동구동부를 통해 가압용접팁을 안착용접팁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승강실린더가 가압용접팁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이드프레임 및 보강브라켓을 가압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용접 작업을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C'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부분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에 나타낸 'C' 부분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는, 본체(100), 안착용접팁(200), 전후이동프레임(300), 전후이동구동부(400), 좌우이동프레임(500), 좌우이동구동부(600), 승강실린더(700), 가압용접팁(8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용접대상위치의 상부에 보강브라켓(10)을 배치한 사이드프레임(20)을 안착상태로 지지함과 더불어 이후 설명될 전후이동프레임(3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복수의 가로바부재(101) 및 세로바부재(102)로 구성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부에 보강브라켓(20)을 배치한 사이드프레임(10)을 안착상태로 고정 배치할 수 있도록 고정지그(110)를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지그(110)는 복수의 사이드프레임(10)을 고정 배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지그(110)의 상면에는 상기 보강브라켓(20)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10)에 형성된 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면서, 상기 보강브라켓(20)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을 고정되게 하도록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걸림돌기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지그(110)는 연결지지부재(112)에 의해 상기 본체(100) 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 배치된 상태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연결지지부재(112)는 상기 고정지그(11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이후 설명될 승강실린더(700)의 작동에 의해 가압용접팁(8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강브라켓(10)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을 가압하며 용접이 이루어지게 할 때, 가압용접팁(8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부재(112)는 쇼크업쇼버와 같은 완충기를 선택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고정지그(11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의 일측을 삽입상태로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홈(113)이 형성된 고정대(114)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면 선단 및 상면 후단에는 각각 수직되게 한 쌍의 수직지지프레임(120)을 결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면 선단 및 상면 후단에 배치된 수직지지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수평연결프레임(1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연결프레임(130)을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20)에 수직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을 각각 한 쌍의 수직지지프레임(120)의 상단에 고정 결합한다. 이같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120) 및 상기 수평연결프레임(130)은 전후이동프레임(300)을 상기 본체(100)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지그(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연결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는 전후이동프레임(300)을 상기 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하는 전후이동가이드(131)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이동휠(14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이후 설명될 가압용접팁(800)의 산화막제거 및 형상복원이 이루어지게 하는 팁드레싱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용접팁(200)은 이후 설명될 가압용접팁(80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안착용접팁(200)은 승강실린더(700)의 동작으로 가압용접팁(800)이 보강브라켓(20) 및 사이드프레임(10)을 가압시, 상기 가압용접팁(800)과 전류가 통하도록 하면서 보강브라켓(20) 및 사이드프레임(10)을 저항에 따른 고열과 압력을 통해 용접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안착용접팁(200)은 상기 고정지그(110)의 상면에 돌출되게 배치되도록 복수개를 결합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강브라켓(20)과 용접될 위치의 상기 사이드프레임(10) 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은 상기 본체(1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은 상기 고정지그(110)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수평연결프레임(130)에 연결 설치한다. 즉,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상면은 상기 수평연결프레임(130)에 형성된 전후이동가이드(1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저면에는 좌우방향, 즉 상기 전후이동가이드(131)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좌우이동가이드(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좌우이동가이드(310)에는 이후 설명될 좌우이동프레임(500)을 상기 본체(100)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전후이동구동부(400)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을 상기 본체(100)의 전후이동가이드(13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전후이동구동부(400)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후이동구동부(400)는 전후이동볼스크류(410), 전후이동모터(420), 전후이동구동벨트(430)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410)는 상기 본체(100)의 수평연결프레임(130) 저면과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상면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410)의 스크류부(411)는 상기 수평연결프레임(130)의 저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고,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410)의 너트부(412)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상면에 연결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410)의 스크류부(411) 축회전 방향에 따라 너트부(412)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면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을 상기 본체(100)의 전후이동가이드(13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모터(420)는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410)를 동작하게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전후이동모터(420)는 상기 본체(100)의 수평연결프레임(130) 일측에 고정 상태로 결합 설치한다.
상기 전후이동구동벨트(430)는 상기 전후이동모터(420)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410)로 전달되게 한다. 즉, 상기 전후이동구동벨트(430)는 상기 전후이동모터(410)의 구동축과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410)의 스크류부(411) 일단을 연결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은 상기 고정지그(110)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에 연결 설치한다. 즉,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의 상면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에 형성된 좌우이동가이드(3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상기 좌우이동구동부(600)는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을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좌우이동가이드(310)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좌우이동구동부(600)는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에 설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이동구동부(600)는 좌우이동볼스크류(610), 좌우이동모터(620), 좌우이동구동벨트(630)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610)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 저면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의 상면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610)의 스크류부(611)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저면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고,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610)의 너트부(612)는 상기 좌우이동프레임(300)의 상면에 연결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610)의 스크류부(611) 축회전 방향에 따라 너트부(612)의 이동 방향이 변경되면서 상기 좌우이동프레임(600)을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좌우이동가이드(310)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모터(620)는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610)를 동작하게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좌우이동모터(620)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 일측에 고정 상태로 결합 설치한다.
상기 좌우이동구동벨트(630)는 상기 좌우이동모터(620)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610)로 전달되게 한다. 즉, 상기 좌우이동구동벨트(630)는 상기 좌우이동모터(610)의 구동축과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610)의 스크류부(611) 일단을 연결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승강실린더(700)는 이후 설명될 가압용접팁(800)을 승강되게 하는 실린더이다. 이러한, 상기 승강실린더(700)는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의 저면에 수직하게 결합 설치한다. 즉, 상기 승강실린더(700)의 피스톤로드가 연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프레임(500)에 결합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700)는 상기 안착용접팁(200)에 대응되게 복수개를 설치한다.
상기 가압용접팁(800)은 상기 승강실린더(700)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용접팁(2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보강브라켓(20) 및 사이드프레임(10)을 가압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상기 가압용접팁(800)은 상기 승강실린더(700)의 작동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 상기 안착용접팁(2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보강브라켓(20)의 상면을 접하면서 가압할 때,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안착용접팁(200)과의 사이에서 고전류가 흐르게 하면서, 상기 보강브라켓(20) 및 사이드프레임(10)을 용접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용접팁(800)은 각 상기 승강실린더(700)의 피스톤 로드 단부에 결합 설치되도록 복수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의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0) 고정지그(110) 상부에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보강브라켓(20)을 안착 배치한다. 즉, 복수개의 상기 사이드프레임(10)을 상기 고정지그(110)에 안착시킨 후, 상기 보강브라켓(20)을 각각의 상기 사이드프레임(10) 상부에 안착 배치하는데, 이때,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보강브라켓(20)은 상기 본체(100) 상에 상기 고정지그(110)의 걸림돌기부(110) 및 고정대(114)에 의해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상기 보강브라켓(20)을 고정 배치한 후에는, 복수개의 상기 가압용접팁(800)이 상기 고정지그(110) 상에 위치하는 상기 안착용접팁(20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상기 보강브라켓(20)을 가압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상기 가압용접팁(800)은 상기 전후이동구동부(400)를 통한 상기 전후이동프레임(300)의 전후 이동 및 상기 좌우이동구동부(600)의 좌우이동프레임(5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안착용접팁(200)에 대응되는 연직 상방의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승강실린더(70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상기 보강브라켓(20)을 가압하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상기 보강브라켓(20)이 상호 용접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는, 상기 본체(100)의 고정지그(110) 상에 복수개의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상기 보강브라켓(20)을 안착 배치하고, 상기 전후이동구동부(400) 및 상기 좌우이동구동부(600)를 통해 상기 가압용접팁(800)이 상기 안착용접팁(20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한 후, 상기 승강실린더(700)가 상기 가압용접팁(8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0) 및 상기 보강브라켓(20)을 가압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용접 작업을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고정지그
111: 걸림돌기부 112: 연결지지부재
120: 수직지지프레임 130: 수평지지프레임
140: 이동휠 150: 팁드레싱부
200: 안착용접팁 300: 전후이동프레임
310: 좌우이동가이드 400: 전후이동구동부
410: 전후이동볼스크류 420: 전후이동모터
430: 전후이동구동벨트 500: 좌우이동프레임
600: 좌우이동구동부 610: 좌우이동볼스크류
620: 좌우이동모터 630: 좌우이동구동벨트
700: 승강실린더 800: 가압용접팁

Claims (3)

  1. 상부에 보강브라켓이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이 고정상태로 배치되도록 상면에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고정지그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면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보강브라켓과 용접될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저면 위치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안착용접팁과;
    상기 고정지그의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하는 전후이동프레임과;
    상기 전후이동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하며,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후이동구동부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연결 설치하는 좌우이동프레임과;
    상기 좌우이동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설치하며,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좌우이동구동부와;
    상기 안착용접팁에 대응되도록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복수의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용접팁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보강브라켓 및 사이드프레임을 가압하면서 용접이 이루어지게 하는 복수의 가압용접팁;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선단 및 후단에는 각각 수직하게 수직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 사이에는 수평연결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전후이동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이동구동부는,
    스크류부가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너트부는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결합하는 전후이동볼스크류와,
    상기 수평연결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전후이동모터 및,
    상기 전후이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의 스크류부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전후이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전후이동볼스크류로 전달하는 전후이동구동벨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구동부는,
    스크류부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너트부는 상기 좌우이동프레임에 결합하는 좌우이동볼스크류와,
    상기 전후이동프레임에 결합 설치하는 좌우이동모터 및,
    상기 좌우이동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의 스크류부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좌우이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좌우이동볼스크류로 전달하는 좌우이동구동벨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KR1020170113831A 2017-09-06 2017-09-06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KR101975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31A KR101975492B1 (ko) 2017-09-06 2017-09-06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31A KR101975492B1 (ko) 2017-09-06 2017-09-06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42A true KR20190027142A (ko) 2019-03-14
KR101975492B1 KR101975492B1 (ko) 2019-05-08

Family

ID=6575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31A KR101975492B1 (ko) 2017-09-06 2017-09-06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4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6755A (zh) * 2021-01-07 2021-04-20 诺力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剪叉定位安装装置
KR20230014365A (ko) * 2021-07-21 2023-01-30 (주)대창공업 차량 시트용 프레임 지지장치
KR20230014364A (ko) * 2021-07-21 2023-01-30 (주)대창공업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CN116890193A (zh) * 2023-08-11 2023-10-17 当涂大捷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汽车座椅骨架的焊接工装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4566A (ko) * 2012-08-20 2014-03-03 성우로텍(주) 스폿 용접장치
KR20170074025A (ko) * 2015-12-21 2017-06-29 (주)스케일트론 스폿 용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4566A (ko) * 2012-08-20 2014-03-03 성우로텍(주) 스폿 용접장치
KR20170074025A (ko) * 2015-12-21 2017-06-29 (주)스케일트론 스폿 용접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6755A (zh) * 2021-01-07 2021-04-20 诺力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剪叉定位安装装置
KR20230014365A (ko) * 2021-07-21 2023-01-30 (주)대창공업 차량 시트용 프레임 지지장치
KR20230014364A (ko) * 2021-07-21 2023-01-30 (주)대창공업 차량 시트용 프레임 클램핑장치
CN116890193A (zh) * 2023-08-11 2023-10-17 当涂大捷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汽车座椅骨架的焊接工装及其使用方法
CN116890193B (zh) * 2023-08-11 2024-05-10 当涂大捷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汽车座椅骨架的焊接工装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492B1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92B1 (ko) 자동차 시트프레임의 보강브라켓 용접장치
US9022372B2 (en) Panel jig apparatus for vehicle
JP4950899B2 (ja) シートフレーム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0384B1 (ko) 차량용 후드패널 지그장치
KR102441388B1 (ko) 차량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JP6040817B2 (ja) 乗物用シート
KR20090117596A (ko)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CN107738051B (zh) 可移动的汽车转向支撑总成焊接定位工装
JP2012242116A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検証装置
JP2013112096A (ja) ホイールベース可変型車輌
KR101575166B1 (ko) 시트백 조립용 지그장치
CN210388917U (zh) 车门定位工装治具
CN210347091U (zh) 一种汽车牵引钩强度试验检测装置
KR101377457B1 (ko) 암레스트 스킨 부착장치
CN202825068U (zh) 汽车前座椅横梁b合件夹具
CN105195954A (zh) 汽车踏板的上件焊接装置
JPH0232079B2 (ko)
CN109967561B (zh) 一种副车架矫形装置
JPH0692278A (ja) 車両シートの搭載装置
KR102088127B1 (ko) 자동차용 로워암의 부시부재 용접을 위한 부시부재 공급장치
JP7057051B1 (ja) ターレットトラック
CN220785517U (zh) 一种零重力汽车座椅支架
CN217121389U (zh) 一种汽车焊装用折边机构
KR20230055671A (ko) 자동차 시트의 사이드브라켓용 성형장치
KR100287680B1 (ko) 크래쉬 패드 자동 투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