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980A -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980A
KR20230011980A KR1020227043325A KR20227043325A KR20230011980A KR 20230011980 A KR20230011980 A KR 20230011980A KR 1020227043325 A KR1020227043325 A KR 1020227043325A KR 20227043325 A KR20227043325 A KR 20227043325A KR 20230011980 A KR20230011980 A KR 2023001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termination period
display state
imaging devic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나리 스기타
마사카즈 미츠기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1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개시는,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시선 검출 기능을 갖고, 시선 검출 결과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소정 시간의 동안에, 시선의 합치에 의한 커맨드 입력이 없는 경우에, 뷰파인더에 표시되어 있는 기능 메뉴의 표시를 클리어하는 비디오 카메라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특개평05-110908호 공보
그런데, 촬상 장치에서는, 스루 화상이나 촬영 중의 화상 등에 대하여 표시 항목이 OSD(On Screen Display)에 의해 중첩 표시된다. 표시 항목으로서는, 배터리의 잔량, 촬영 가능 매수, 셔터 스피드, ISO 감도 등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촬상 장치에 설정된 촬영에 관한 설정인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의 설정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표시 항목이 곧바로 화면에서 사라져버리거나, 불필요한 표시 항목이 화면에 남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표시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행하는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개시는, 예를 들면,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다.
본 개시는, 예를 들면,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가,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본 개시는, 예를 들면,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가,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장치의 표시 제어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주시 영역을 특정하는 처리를 설명할 때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은, 촬영 모드와 표시 항목의 관련도에 따라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해 설정되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에 관한 설명이 행해질 때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에 관한 설명이 행해질 때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에 관한 설명이 행해질 때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에 관한 설명이 행해질 때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A~도 8D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에 관한 설명이 행해질 때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 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한편,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일 실시형태>
<변형예>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 등은 본 개시의 바람직하는 구체예이며, 본 개시의 내용이 이 실시 형태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형태>
[촬상 장치의 구성예]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촬상 장치(100))의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상 장치(100)는, 제어부(101), 광학촬상계(102), 렌즈 구동 드라이버(103), 촬상 소자(104), 화상 신호 처리부(105), 코덱부(106), 기억부(107), 인터페이스(108), 입력부(109), 표시부(110), 마이크로폰(111), AF 제어부(113), 시선 검출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1)는, 기능 블록으로서, 주시 영역 특정부(101A), 촬영 설정 판별부(101B),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 및 OSD 표시 제어부(101D)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CPU가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처리를 실행하여 커맨드 발행을 행함으로써 촬상 장치(100)의 전체 및 각 부의 제어를 통괄적으로 행한다.
주시 영역 특정부(101A)는, 시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영역(이하, 주시 영역이라고 적절히 칭한다)을 특정한다. 촬영 설정 판별부(101B)는, 촬상 장치(100)에 설정되어 있는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을 판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설정을 촬영 모드로서 설명한다. 한편, 촬영 설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내용이어도 되고, 자동으로 설정된 내용이어도 된다.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는,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한다. OSD 표시 제어부(101D)는, 표시 항목의 표시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광학촬상계(102)은,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 소자(104)에 집광하기 위한 촬상 렌즈, 촬상 렌즈를 이동시켜 포커스 맞춤이나 주밍(zooming)을 행하기 위한 구동 기구, 셔터 기구, 아이리스 기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제어부(101), 렌즈 구동 드라이버(103)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광학촬상계(102)를 통해 얻어진 피사체의 광화상은, 촬상 소자(104) 상에 결상된다.
렌즈 구동 드라이버(103)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어, AF 제어부(113)로부터 공급된 포커스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촬상 렌즈를 광축 방향을 따라 소정량 이동시킴으로써, 목표로 하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도록 오토 포커스를 행한다. 오토 포커스는, 디포커스량에 기초하여 초점을 맞추도록 행해진다. 이 때 촬상 소자(104)에 포함되는 상면 위상차 화소의 화소값에 기초한 위상차 정보로부터 디포커스량을 산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오토 포커스를 행해도 된다. 또한, 포커스 제어는, 오토 포커스 제어에 한하지 않고, 메뉴얼에 의한 수동 초점 제어이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1)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광학촬상계(102)의 구동 기구, 셔터 기구, 아이리스 기구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노광 시간(셔터 스피드)의 조정, 조리개값(F값) 등의 조정이 행해진다.
촬상 소자(104)는, 촬상 렌즈를 통해서 얻어진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광전변환하여 전하량으로 변환하고 촬상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촬상 소자(104)는 화소 신호를 화상 신호 처리부(105)에 출력한다. 촬상 소자(104)로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이 사용된다.
화상 신호 처리부(105)는 촬상 소자(104)로부터 출력된 촬상 신호에 대하여,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처리에 의해 S/N(Signal/Noise)비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한 샘플 홀드, AGC(Auto Gain Control) 처리, A/D(Analog/Digital) 변환 등을 행하여, 화상 신호를 작성한다. 또한, 화상 신호 처리부(105)는 기록용의 화상 신호에는 기록용의 처리를 실시하고, 표시용의 화상 신호에는 표시용의 처리를 실시한다.
코덱부(106)는,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화상 신호에 대해서, 예를 들면 기록용이나 통신용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기억부(107)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대용량 기억 매체이다. 화상 신호 처리부(105) 및 코덱부(106)에 의해 처리가 실시된 영상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규격에 기초하여 압축 상태 또는 비압축 상태로 보존된다. 또한, 보존된 데이터에 관한 정보, 촬상 위치를 나타내는 촬상 위치 정보, 촬상 일시를 나타내는 촬상 시각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도 그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보존된다.
인터페이스(108)는, 다른 장치나 인터넷 등과의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108)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3TTE 등의 셀룰러 통신, Wi-Fi, Bluetooth(등록상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 HDMI(등록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촬상 장치(100)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등 인터넷 및 다른 장치 등과 접속할 수 있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촬상 장치(100)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이나 ZigBee(등록상표)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이나, WiFi 테더링, USB(Universal Serial Bus) 테더링, Bluetooth(등록상표) 테더링 등의 테더링 접속이이어도 된다.
입력부(109)는, 촬상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각종 지시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부(109)에 대하여 사용자에게서 입력이 행해지면, 그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101)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그 제어 신호에 대응한 각종 처리를 행한다. 입력부(109)로서는 셔터 입력을 위한 셔터 버튼, 각종 조작을 위한 물리 버튼 외에, 터치 패널, 표시부(110)로서의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표시부(110)는, 표시용의 처리가 실시된 표시용의 화상 신호인 스루화상, 기록용의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기억부(107)에 보존된 화상/영상,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다. 표시부(110)는 EVF(Electronic Viewfinder)에 포함되어도 된다. 표시부(110)에는, 표시 항목이 표시된다.
마이크로폰(111)은 녹화 시에 음성을 수록하기 위한 집음 디바이스이다.
AF 제어부(113)는, 디포커스량에 기초하여 오토 포커스 제어를 행한다.
시선 검출부(114)는, 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함으로써 시선 검출 결과를 생성한다. 생성된 시선 검출 결과가, 시선 검출부(114)로부터 제어부(101)에 공급된다.
[시선 정보 및 주시 영역에 대하여]
다음으로, 시선 검출부(114)에 의해 행해지는, 촬영자(사용자)의 시선을 검출하는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선 검출부(114)는, 예를 들면, 촬영자의 눈을 촬영하고, 눈의 화상을 사용하여 촬영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한다.
촬영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외광 등을 조사하고 각막으로부터의 반사를 이용하여, 동공의 위치를 기초로 촬영자의 시선 방향을 검출하는 각막 반사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화상 인식에 의해 눈자위나 눈초리 등 움직이지 않는 점을 인식하고, 눈의 홍채 위치로부터 시선 방향을 추정하는 방법이 적용되어도 된다.
시선 검출부(114)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의 뷰파인더 중에 설치된다. 시선 검출부(114)는, 촬상 장치(100)의 케이스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의 케이스에서의 표시부(110)가 설치되는 면에 시선 검출부(114)이 설치되어도 된다.
시선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 시선 방향이, 시선 검출 결과로서 제어부(101)에 공급된다.
제어부(101)의 주시 영역 특정부(101A)는, 시선 검출부(114)로부터 공급되는 시선 검출 결과로부터 시선 정보를 생성한다. 시선 정보는, 예를 들면, 시선 검출 결과의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시선 정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10)에 있어서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인 시선 검출 결과(PA)의 분포이다. 시선 정보는, 표시부(110)의 적절한 영역(AR)마다 구해진다. 영역(AR)은, 화소 단위이어도 되고, M화소×N화소(M, N은 적절한 정수)의 블록 단위이어도 된다. 주시 영역 특정부(101A)는, 시선 검출 결과(PA)의 분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시하고 있는 영역을 주시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예를 들면, 주시 영역 특정부(101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10)에 있어서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양쪽에 대응하는 시선 검출 결과(PA)의 분포의 값(이하, 주시도(注視度)라고 적절히 칭한다)의 히스토그램을 구하고, 그 피크에 대응하는 1 또는 복수의 영역(AR)을 주시 영역(GA)으로 특정한다. 또한, 주시 영역 특정부(101A)는, 히스토그램을 소정의 분해능으로 분할한 각 점마다 분산 값을 구하고, 분산 값이 임계값 이상인 영역을 주시 영역(GA)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주시 영역의 면적이 소정의 값으로 정해져 있고, 주시도가 높은 영역에서부터 면적이 소정의 값이 될 때까지를, 주시 영역(GA)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주시도가 임계값 이상의 영역을 주시 영역(GA)으로 하여도 된다.
한편, 시선 정보는, 시선 검출 결과(PA)의 궤적을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시선 검출 결과(PA)의 궤적이, 수 초 정도의 소정 시간내에 일정한 영역에 들어가 있을 경우에는, 주시 영역 특정부(101A)는, 해당 영역을 주시 영역(GA)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표시부(110)에 있어서 표시 항목이 표시되는 표시 위치는, 표시 항목마다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주시 영역 특정부(101A)에 의해 특정된 주시 영역(GA)과 표시 항목의 표시 위치(일정한 영역)의 겹침이 임계값(예를 들면, 80%) 이상일 경우에, 해당 표시 항목을 촬영자가 주시하고 있다고, 바꾸어 말하면, 표시 항목에 시선이 합치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표시 전환 판정 기간에 대하여]
다음으로,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에 의해 설정되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는, 촬영 모드와 표시 항목의 관련도에 따라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한다. 관련도는, 촬영 모드와 표시 항목의 관련성의 강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관련도는, 예를 들면, 표시 항목마다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관련도는, 관련도가 강한 순서대로 「대」, 「중」, 「소」이며, 각 관련도는 소정의 임계값에 따라 구분된다. 각 표시 항목은, 관련도의 임계값과 자신에게 설정되어 있는 관련도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관련도로 분류된다.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이란, 사용자가 표시 항목을 보기 시작하고 나서부터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보고 있는 기간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 전환 판정 기간 동안에 표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연속적으로 시선 검출부(114)가 계속해서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계속해서 검출했다고 하는 판정 결과라면 시인성이 높은 표시인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계속해서 검출하지 않았다라고 하는 판정 결과라면 시인성이 낮은 표시인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 항목의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1)가 상기와 같은 표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계속해서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은, 표시 항목의 표시를 시인성이 높은 표시 상태인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하기 위한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와, 표시 항목의 표시를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보다 시인성이 낮은 표시 상태인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하기 위한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를 포함한다.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는, 관련도에 따라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하여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과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으로 다른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한다.
도 3은, 촬영 모드와 표시 항목의 관련도에 따라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구체적으로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및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촬영 모드로서 「A모드(조리개 우선 모드)」, 「S모드(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 「M모드(메뉴얼 모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표시 항목으로서, 「셔터 스피드(이하, SS로 적절히 약칭함)」,「F값」, 「노출」, 「화이트 밸런스 (이하, WB로 적절히 약칭함)」,「ISO감도 (이하, ISO로 적절히 약칭함)」,「촬영 모드」, 「촬영 가능 매수」, 「애스펙트비」, 「화상 사이즈」, 「화질」, 「배터리 잔량」이 나타내져 있다.
예를 들면, 촬영 모드가 「S모드」인 경우에, 관련도 「대」에는, 표시 항목 「SS」가 분류된다. 관련도 「중」에는, 표시 항목 「F값」, 「노출」, 「WB」, 「ISO」가 분류된다. 관련도 「소」에는, 표시 항목 「모드」, 「애스펙트비」, 「화질」, 「배터리」가 분류된다. 촬영 모드 「A모드」, 「M모드」에 대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하여 관련도가 큰 표시 항목이 주시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표시 항목은, 신속하게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하여 관련도가 큰 표시 항목이 주시되지 않은 경우라도, 해당 표시 항목은, 일정 기간,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소정의 촬영 모드에 대하여 관련도가 큰 표시 항목, 바꾸어 말하면, 촬영자가 그 설정 내용을 확인하는 일이 많다고 생각되는 표시 항목을 곧바로 강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가 확인하는 일이 많다고 생각되는 표시 항목이 곧바로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되어버려 보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하여 관련도가 작아질수록, 촬영자가 표시 항목의 설정 내용을 확인할 필요성이 낮아져, 해당 표시 항목을 신속하게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할 필요성이 작아진다. 또한, 촬영자가 표시 항목의 설정 내용을 확인할 필요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해당 표시 항목을 신속하게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할 필요성이 크게 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하여 관련도가 작은 표시 항목이 불필요하게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되거나, 해당 표시 항목이 불필요하게 길게 표시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는, 관련도가 임계값 이상의 표시 항목에 대하여,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를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관련도 「대」로 구분된 표시 항목의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이 0.2초로 설정되고, 관련도 「대」로 구분된 표시 항목의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이 3초로 설정된다. 또한, 관련도 「중」으로 구분된 표시 항목의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아 0.5초로 설정되고, 관련도 「중」으로 구분된 표시 항목의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이 2초로 설정된다.
또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는, 관련도가 임계값 미만의 표시 항목에 대하여,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을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보다 큰 값으로 설정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관련도 「소」로 구분된 표시 항목의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이 1초로 설정되고, 관련도 「소」로 구분된 표시 항목의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이 0.7초로 설정된다.
[표시 제어의 구체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OSD 표시 제어부(101D)에 의해 행해지는 표시 항목의 표시 제어에 관한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부(110)에는, 광학촬상계(102), 촬상 소자(104) 등을 통해 받아들이는 화상이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2명의 스케이트 선수를 포함하는 화상(IM)이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표시부(110)의 상하에는,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검은 띠가 각각 표시되어 있고, 이 위치에 표시 항목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상측의 검은 띠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표시 항목 「촬영 모드(예로서 S」, 「촬영 가능 매수(예로서 □2460)」, 「애스펙트비(예로서 3:2)」, 「화상 사이즈(예로서 24M)」, 「화질(예로서 FINE)」, 「배터리 잔량(예로서 전지 마크와 50%)」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검은 띠에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표시 항목 「SS(예로서 1/125)」, 「F값(예로서 F5.6)」, 「노출(예로서 ±0.0)」, 「WB(예로서 AWB(오토 화이트밸런스)」, 「ISO(예로서 AUTO)」가 표시되어 있다.
디폴트 표시 상태에서는, 각 표시 항목은, 예를 들면, 촬영자가 시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도, 구체적으로는 반투명의 양태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α블랜드라고 칭해지는 화상 처리에서의 α값(투과율)을 40~60% 정도로 설정한 상태로, 각 표시 항목은 표시부(110)에 OSD에 의해 표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를 디폴트 표시 상태라고 적절히 칭한다.
촬영자가 화상(IM)을 보고 있는 것이 시선 검출부(114)에 의한 시선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검출된 예를 생각한다. 이 경우, 모든 표시 항목은 주시되고 있지 않고, 표시 항목에 대한 촬영자의 시선이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OSD 표시 제어부(101D)는, 관련도 「소」로 분류된 각 표시 항목을 신속하게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관련도 「소」의 표시 항목에 설정된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0.7초)이 경과한 시점에서, OSD 표시 제어부(101D)는, 각 표시 항목을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OSD 표시 제어부(101D)는, 예를 들면, α블랜드에 있어서의 α값을 100으로 설정하여 각 표시 항목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의 검은 띠에 표시되고 있던 관련도 「소」로 분류된 각 표시 항목이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어떠한 표시 항목이 주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련도 「중」의 표시 항목에 설정된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2초)이 경과하면, OSD 표시 제어부(101D)는, 표시 항목 「F값」, 「노출」, 「WB」, 「ISO」가 보이지 않도록 제어한다. 나아가, 어떠한 표시 항목이 주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관련도 「대」의 표시 항목에 설정된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3초)이 경과하면, OSD 표시 제어부(101D)는, 표시 항목 「SS」가 보이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표시 항목이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에 있어서 상하의 검은 띠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행해져도 된다.
또한, 도 4에 디폴트 표시 상태에서, 예를 들면, 표시 항목 「SS」가 표시되는 위치를 촬영자가 주시하고 있었다고 하자. 즉, 표시 항목 「SS」의 표시에 대하여 촬영자의 시선이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되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표시에 대하여라고 하는 것은, 표시 위치에 대하여라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시 상태가 표시 항목 「SS」에 대응하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0.2초) 동안 계속된 시점에서, OSD 표시 제어부(101D)는, 표시 항목 「SS」를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한다. OSD 표시 제어부(101D)는, 예를 들면, α값을 0으로 설정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항목 「SS」가 다른 표시 항목보다 보이기 쉽게 되도록 제어한다. 다른 표시 항목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즉, OSD 표시 제어부(101D)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동안, 주시된 표시 항목을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한편, OSD 표시 제어부(101D)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경과후, 해당 표시 항목의 표시를 곧바로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디폴트 표시 상태의 α값을 50으로 한 경우에,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D 표시 제어부(101D)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경과 후, α값을 50으로부터 0으로 곧바로 변경함으로써 표시 항목을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한다. 또한, OSD 표시 제어부(101D)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경과 후, 표시 항목의 표시를 서서히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디폴트 표시 상태의 α값을 50으로 한 경우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D 표시 제어부(101D)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경과 후, α값을 50으로부터 0으로 서서히(리니어하게) 변경함으로써 표시 항목을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해도 된다. 페이드 인(fade in)의 정도(α값의 변화 정도)나 시간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α값의 변화는 리니어가 아니라 지수 함수적이어도 되고, 스텝 형상이어도 된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α값=100일 때가 가장 시인성이 낮은 표시 상태이며, α값=0일 때가 가장 시인성이 높은 표시 상태이다.
디폴트 표시 상태로부터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의 천이도 마찬가지이다. OSD 표시 제어부(101D)는,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 경과 후, 표시 항목의 표시를 곧바로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디폴트 표시 상태의 α값을 50으로 한경우에,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D 표시 제어부(101D)는,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 경과 후, α값을 50으로부터 100으로 곧바로 변경함으로써 표시 항목을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한다. 또한, OSD 표시 제어부(101D)는,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 경과 후, 표시 항목의 표시를 서서히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디폴트 표시 상태의 α값을 50으로 한 경우에,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D 표시 제어부(101D)는,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 경과 후, α값을 50으로부터 100으로 서서히(리니어하게) 변경함으로써 표시 항목을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해도 된다. 페이드 아웃의 정도(α값의 변화 정도)나 시간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α값의 변화는 리니어가 아니라 지수 함수적이어도 되고, 스텝 형상이어도 된다.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00)에서 행해지는 처리의 흐름(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었을 때나, 촬영자의 시선이 검출되었을 때 행해진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에서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시선 검출부(114)에 의한 촬영자의 시선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주시 영역이 실시간으로 특정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ST11에서는, 촬영 모드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촬영자가 입력부(109)를 사용하여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 한편, 이전에 설정되어 있던 촬영 모드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T11의 처리는 생략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12으로 진행한다.
스텝 ST12에서는, 촬영 설정 판별부(101B)에 의해, 설정된 촬영 모드가 판별된다. 판별된 촬영 모드가, 촬영 설정 판별부(101B)로부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에 통지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13로 진행한다.
스텝 ST13에서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101C)가, 판별된 촬영 모드에 대한 관련도에 따라,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및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을 표시 항목마다 설정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14으로 진행한다.
스텝 ST14에서는, OSD 표시 제어부(101D)의 제어에 의해, 표시 항목이 디폴트 표시 상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15으로 진행한다.
스텝 ST15에서는, 촬영자의 시선 검출 결과에 따른 표시 항목의 표시 제어가, OSD 표시 제어부(101D)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16에서는, 촬영 설정 판별부(101B)에 의해 촬영 모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스텝 ST16에 관한 판단 처리는, 스텝 ST15의 처리와 예를 들면 병렬적으로 행해진다. 촬영 모드가 변경되지 않고 있는 경우는, 스텝 ST15에 관한 처리가 반복된다. 촬영 모드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12으로 되돌아가, 변경 후의 촬영 모드가 판별된다. 그리고, 변경 후의 촬영 모드에 따라,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및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이 표시 항목마다 설정된다.
다음으로, 도 1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표시 항목의 표시 제어에 관한 구체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T21은 상술한 스텝 ST14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스텝 ST21에서는, 모든 표시 항목이 디폴트 표시 상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22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2에서는, 주시 영역 특정부(101A)에 의해 특정된 주시 영역에 기초하여, 제어부(101)가, 표시부(110)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의 표시 항목에 촬영자의 시선이 합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선이 합치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3에서는,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된다. 타이머는, 예를 들면, 제어부(101)가 가지는 타이머이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24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4에서는, 주시 영역 특정부(101A)에 의해 특정된 주시 영역에 기초하여, 제어부(101)가,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시선이 합치하고 있는 표시 항목에 대응하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이 경과하기 전에, 소정의 표시 항목에 합치하고 있던 촬영자의 시선이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선이 벗어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5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5에서는, 타이머의 카운트 값이 리셋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6에서는, 처리를 스텝 ST22로 되돌리는 제어가 행해진다.
스텝 ST24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 항목으로부터 시선이 벗어나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7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7에서는, 제어부(101)가,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4으로 돌아간다.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을 경과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8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8에서는, OSD 표시 제어부(101D)가,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 항목을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29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9에서는, 제어부(101)가, 제1 리셋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리셋 시간은,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부터 디폴트 표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설정된 시간이며, 예를 들면, 수 초 정도로 설정된다. 제1 리셋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8으로 되돌아가고, 고시인성 표시 상태에서의 표시 항목의 표시가 계속된다. 제1 리셋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1으로 되돌아가고, 모든 표시 항목이 디폴트 표시 상태로 표시된다.
스텝 ST22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표시부(110)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표시 항목에 촬영자의 시선이 합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T30에서는, 타이머의 카운트가 개시된다. 타이머는, 예를 들면, 제어부(101)가 가지는 타이머이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31으로 진행한다.
스텝 ST31에서는, 주시 영역 특정부(101A)에 의해 특정된 주시 영역에 기초하여, 제어부(101)가,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이 경과하기 전에, 소정의 표시 항목에 촬영자의 시선이 합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선이 합치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5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5에서는, 타이머의 카운트 값이 리셋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26에서는, 처리를 스텝 ST22로 되돌리는 제어가 행해진다.
스텝 ST31의 판단 처리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 항목에 시선이 합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32으로 진행한다. 스텝 ST32에서는, 제어부(101)가,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표시 항목마다 판단한다.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31으로 돌아간다.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을 경과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T33에서는, OSD 표시 제어부(101D)가,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 항목을 표시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34으로 진행한다.
스텝 ST34에서는, 제어부(101)가, 제2 리셋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처리에 있어서의 제2 리셋 시간은, 모든 표시 항목이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계속 시간이 일정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표시 상태를 디폴트 표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 설정된 시간이며, 예를 들면, 1분에서 수 분 정도로 설정된다. 모든 표시 항목이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된 경우에, 일정 기간 후, 다시, 촬영자가 표시 항목의 내용을 확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2 리셋 시간이 설정된다. 제2 리셋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33으로 되돌아가고, 저시인성 표시 상태에서의 표시 항목의 표시가 계속된다. 제2 리셋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21으로 되돌아가고, 모든 표시 항목이 디폴트 표시 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제1 리셋 시간 또는 제2 리셋 시간의 카운트 처리와 병렬적으로, 도 11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T41에서는, OSD 표시 제어부(101D)가, 고시인성 표시 상태 또는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 항목을 표시한다. 이에 관한 처리는, 상술한 스텝 ST28 또는 스텝 ST33에 대응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42으로 진행한다.
스텝 ST42에서는, 제어부(101)가, 리셋 시간 카운트 중에 다른 표시 항목에 시선이 합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표시 항목으로서는,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표시 항목과 다른 표시 항목, 디폴트 표시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표시 항목 등을 들 수 있다. 표시 항목에 시선이 합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41으로 돌아간다. 표시 항목에 시선이 합치한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T43으로 진행한다.
스텝 ST43 이후의 처리가 인터럽트 형식으로 행해진다. 스텝 ST43에서는, 타이머를 리셋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처리가 스텝 ST44으로 진행한다. 스텝 ST44에서는, 처리의 내용을 스텝 ST22로 되돌리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촬상 장치에 설정된 촬영 모드에 따라 표시 항목의 표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에게 필요로 하는 일이 많다고 생각되는 표시 항목을 곧바로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해당 표시 항목이 곧바로 화면에서 사라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에게 불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일이 많다고 생각되는 표시 항목을 곧바로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내용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제1 변형예]
예를 들면, 소정의 위치를 주시하고,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을 경과한 경우에 관련도 「대」로 분류된 표시 항목을 일괄하여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10)의 소정의 영역(AR1)을 촬영자가 주시한다. 주시하는 기간이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을 초과한 경우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OSD 표시 제어부(101D)가, 촬영 모드에 대한 관련도 「대」의 표시 항목 모두를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표시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한편, 영역(AR1)은, 촬영자에게 식별 가능하도록, 프레임이 표시되거나 마크가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영역(AR1)은, 표시부(110)가 아니라, 촬상 장치(100)의 케이스에 설치된 에어리어이어도 된다. 또한, 관련도 「대」의 표시 항목 중 1개의 표시 항목이 주시되었을 경우에, 관련도 「대」의 다른 표시 항목도 함께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하여도 된다.
[제2 변형예]
촬영 설정은, 촬영 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촬영 시츄에이션(situation)에 관한 것이어도 된다. 촬영 시츄에이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포츠」, 「포트레이트」, 「사물 촬영」, 「풍경」, 「야경」, 「음식」을 들 수 있다. 촬영 시츄에이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촬영 시츄에이션에 대한 관련도 「대」, 「중」, 「소」의 각각에, 각 표시 항목이 분류된다. 그리고, 관련도마다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및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이 설정된다. 도 14는, 촬영 시츄에이션에 대한 관련도에 따라 분류된 각 표시 항목 및 관련도마다 설정된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A) 및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TB)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촬영 시츄에이션의 내용은, 촬영 설정 판별부(101B)에 의해 판별된다.
[그 밖의 변형예]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항목은, 표시부(110)의 상하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에 중첩 표시되어도 된다.
관련도는 3단계 이외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은, 고, 저의 2단계로 한정되지는 않고, 어느 일방만이어도 되고, 3단계 이상의 기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각 표시 항목의 관련도는,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 항목 「화질」을 주시하는 기회가 많을 경우에는, 「화질」의 관련도가 크게 되도록 변경되어도 된다.
디폴트 표시 상태는, 반투명 이외이어도 된다. 고시인성 표시 상태의 표시 양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시인성 표시 상태가, 표시 항목을 점멸시키거나, 표시 항목을 크게 표시하는 표시 양태이어도 된다. 저시인성 표시 상태의 표시 양태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저시인성 표시 상태가, 표시 항목을 작게 표시하는 표시 양태이어도 된다.
각 표시 항목의 위치를, 촬영자가 자신의 시선을 향하는 버릇 등에 따라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표시 항목의 설정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범용적인 조작 입력부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주시에 의해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된 표시 항목에 관한 설정을, 해당 조작 입력부를 조작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된 표시 항목에 관한 설정을 음성 입력에 의해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 든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고, 필요에 따라 이와는 다른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의 것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기술적인 모순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 중으로 예시된 효과에 의해 본 개시의 내용이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는, 이하의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2)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촬영 설정과 상기 표시 항목의 관련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 대한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1)에 기재된 촬상 장치.
(3)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은,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시인성이 높은 표시 상태인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하기 위한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과,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보다 시인성이 낮은 표시 상태인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하기 위한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관련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과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에서 다른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2)에 기재된 촬상 장치.
(4)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관련도가 임계값 이상의 표시 항목에 대하여,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을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3)에 기재된 촬상 장치.
(5)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관련도가 임계값 미만의 표시 항목에 대하여,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을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는,
(3) 또는 (4)에 기재된 촬상 장치.
(6)
시선 검출부와 OSD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선 검출부가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제어하는,
(3)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촬상 장치.
(7)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선 검출부가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한 경우는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6)에 기재된 촬상 장치.
(8)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곧바로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7)에 기재된 촬상 장치.
(9)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서서히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7)에 기재된 촬상 장치.
(10)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선 검출부가 상기 표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6)~ (9)에 기재된 촬상 장치.
(11)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곧바로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10)에 기재된 촬상 장치.
(12)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서서히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10)에 기재된 촬상 장치.
(13)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가,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4)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가,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5)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는, 해당 표시 항목의 표시 위치인,
(6)에 기재된 촬상 장치.
100: 촬상 장치
101: 제어부
101A: 주시 영역 특정부
101B: 촬영 설정 판별부
101C: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
101D: OSD 표시 제어부
114: 시선 검출부

Claims (14)

  1.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촬영 설정과 상기 표시 항목의 관련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은,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시인성이 높은 표시 상태인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하기 위한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과,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보다 시인성이 낮은 표시 상태인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하기 위한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관련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과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에서 다른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관련도가 임계값 이상인 표시 항목에 대하여,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을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촬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는, 상기 관련도가 임계값 미만인 표시 항목에 대하여,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을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보다 큰 값으로 설정하는,
    촬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시선 검출부와 OSD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전환 판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선 검출부가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선 검출부가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한 경우는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곧바로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촬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서서히 상기 고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촬상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에 걸쳐, 상기 시선 검출부가 상기 표시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촬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곧바로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촬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OSD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 전환 판정 기간 경과 후, 상기 표시 항목의 표시를 서서히 상기 저시인성 표시 상태로 변경하는,
    촬상 장치.
  13.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가,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4. 표시 전환 판정 기간 설정부가, 설정된 촬영에 관한 촬영 설정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복수의 표시 항목의 각각에 대한 표시 전환 판정 기간을 설정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227043325A 2020-05-19 2021-04-20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11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87534 2020-05-19
JPJP-P-2020-087534 2020-05-19
PCT/JP2021/016044 WO2021235156A1 (ja) 2020-05-19 2021-04-20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980A true KR20230011980A (ko) 2023-01-25

Family

ID=7870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325A KR20230011980A (ko) 2020-05-19 2021-04-20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22857B2 (ko)
EP (1) EP4156671A4 (ko)
JP (1) JP7476953B2 (ko)
KR (1) KR20230011980A (ko)
CN (1) CN115552881A (ko)
WO (1) WO20212351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908A (ja) 1991-10-17 1993-04-30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887A (ja) * 1994-10-21 1996-05-17 Nikon Corp 視線入力により操作可能なカメラ
JPH08294023A (ja) * 1995-04-19 1996-11-05 Canon Inc 電子機器
JP5729407B2 (ja) * 2013-02-28 2015-06-0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49544A (ja) * 2013-08-29 2015-03-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パラメータ変更装置及び方法
JP7353811B2 (ja) 2019-06-17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908A (ja) 1991-10-17 1993-04-30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52881A (zh) 2022-12-30
EP4156671A4 (en) 2023-11-01
EP4156671A1 (en) 2023-03-29
JPWO2021235156A1 (ko) 2021-11-25
US11922857B2 (en) 2024-03-05
US20230196978A1 (en) 2023-06-22
WO2021235156A1 (ja) 2021-11-25
JP7476953B2 (ja)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64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hanging a setting based on a touch operation on a display
JP4582212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91854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819001B2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848507B2 (ja) 追尾機能付き撮影装置及び方法
JP5883654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
US8670061B2 (en) Photograph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6486109B2 (ja) 露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48585B2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10034961A (ko) 장면 모드 표시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3097082A (ja) 画像信号処理装置
US907176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1023339B1 (ko) 이동 피사체의 자동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5938A (ko) 장면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JP5027580B2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2740651B (zh) 用于操作包括显示器的系统的方法、设备、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US20130257896A1 (en) Display device
EP4134740A1 (en) 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and program
CN110771142B (zh) 摄像装置、摄像装置的控制方法及摄像装置的控制程序
US20210158537A1 (en) Object trac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11980A (ko) 촬상 장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381416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30162707A1 (en)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US1101926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0717171B1 (ko) 자동 초점 영역 변경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 및 이를이용한 자동 초점 영역 변경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