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247A -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 Google Patents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247A
KR20230011247A KR1020220085554A KR20220085554A KR20230011247A KR 20230011247 A KR20230011247 A KR 20230011247A KR 1020220085554 A KR1020220085554 A KR 1020220085554A KR 20220085554 A KR20220085554 A KR 20220085554A KR 20230011247 A KR20230011247 A KR 2023001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mold
injection
molding
hollow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700B1 (ko
Inventor
게이이치 스자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Publication of KR2023001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29C49/061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 B29C49/062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following an arcuate path, e.g. rotary or oscillat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41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 B29C45/045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mounted on the circumference of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erpendicular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28008Blow-moulding apparatus 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machine parts, e.g. mod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0Removing or ejecting blown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56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moulds or parts thereof
    • B29C2049/48615Aligning the mould assembly position e.g. adapting center to the extruded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56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moulds or parts thereof
    • B29C2049/4862Aligning the mould part position e.g. left half to right ha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89Mould halves consisting of an independent neck, main and bottom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3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3Clamping means
    • B29C2049/5631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29C49/42073Grippers
    • B29C49/42087Grippers holding outside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의 블로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의 단계를, 이 공정의 전반 부분에 배치하여, 사출 성형 공정의 단축이나 성형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해결 수단] 블로 성형 공정(61B)의 금형 닫기한 블로 금형의 형체결력을 승압하는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을, 사출 성형 공정(62A)의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열어 프리폼(3P)을 이형하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개시부터 금형 닫기한 사출 성형 금형의 형체결력을 승압하는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완료까지의 사이에 행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METHOD FOR PRODUCING HOLLOW MOLDED ARTICLE AND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PET 보틀 등의 합성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리폼의 성형부터 중공 성형체의 성형까지를 일련으로 행하는 장치로서, 사출 성형부와 블로 성형부와 취출부(取出部)를 갖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가 있다.
도 1은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사출 장치(2)로부터 용융 수지를 보내는 사출 성형부(3)와,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부(4)와, 중공 성형체를 성형기(1) 밖으로 송출하는 취출부(5)가, 립 금형을 가진 도시하지 않은 회전판의 회전 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를 붙인 이동은 회전판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립 금형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사출 성형부(3)는, 상부 금형(사출 코어형)과 하부 금형(사출 캐비티형)에 립 금형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사출 성형 금형을 갖는다. 그리고, 금형을 닫고 고압의 형체결을 한 사출 성형 금형에 사출 장치로부터 용융 수지를 보내어 프리폼을 사출 성형하는 부분이다.
사출 성형된 프리폼은 립 금형에 지지되어 있고,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연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의 시점에서 회전판의 상승에 의하여 이형되고, 회전판이 회전하여 립 금형의 이동으로 블로 성형부(4)로 이동한다.
블로 성형부(4)는, 분할 금형에서 한 쌍의 블로 금형에 립 금형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블로 성형 금형을 갖는다. 그리고, 블로 금형의 사이에 프리폼이 위치하도록 하여 블로 성형 금형의 금형 닫기와 고압의 형체결이 행해지고, 립 금형으로 지지되어 금형 내에 배치된 프리폼에 대하여, 연신 로드에 의한 연신과 블로 에어의 취입(吹入)을 행하여,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하는 부분이다.
블로 성형 후에 블로 금형이 열림과 더불어 회전판의 상승에 의하여 중공 성형체가 이형하고, 회전판이 회전하여 립 금형에 지지된 상태에서 중공 성형체가 취출부(5)로 이동한다.
취출부(5)에 있어서는, 이 취출부(5)에 중공 성형체를 이동시킨 후에 립 금형이 열려, 중공 성형체에 대한 유지를 해제한다. 그리고, 립 금형에서 벗어난 중공 성형체는 성형기(1) 밖으로 송출된다.
또, 중공 성형체를 해방시킨 립 금형은, 회전판의 회전으로 사출 성형부(3)로 이동하여, 상술한 사출 성형 금형에 넣어진다.
특허 문헌 1에서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회전판에서는, 립 금형을,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와 취출부(5) 각각에 대응하도록 3개소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판이 소정 방향으로 일정 회전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3개소의 립 금형 각각은 서로 대응 위치가 상이하면서 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프리폼을 사출 성형부(3)로부터 블로 성형부(4)로, 또,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부(4)로부터 취출부(5)로 이동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와 취출부(5)를 거치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이 동 시점에 복수로 진행되고, 그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 각각은 진행을 어긋나게 하면서, 효율적으로 중공 성형체를 제조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복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 각각에, 진행의 순서대로 부호(61, 62, 63, 64)를 붙이고 있다.
도 2에서는, 4개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 62, 63, 64)을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네 번째 성형체 제조 공정(64)에서 종료하는 것은 아니고, 그 후에도 다른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이 진행을 어긋나게 하면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 62, 63, 64, …) 각각에서 중공 성형체를 제조한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9-188630호 공보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1개의 회전판이 상승 위치에서 일정 회전 각도마다 회전하고, 립 금형을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와 취출부(5)에 대응시키고 있는 점에서, 사출 성형부(3)에 립 금형이 위치하고 있는 시간과 블로 성형부(4)에 립 금형이 위치하고 있는 시간과 취출부(5)에 립 금형이 위치하고 있는 시간은 같아진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 62, 63, 64, …) 각각은, 사출 성형부(3)에서 프리폼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과, 블로 성형부(4)에서 상기 프리폼으로부터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 공정(61B, 62B, 63B, 64B, …)과, 블로 성형된 중공 성형체를 취출부(5)에서 성형기 밖으로 송출하는 취출 공정(61C, 62C, 63C, 64C, …)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은, 사출 성형 공정(61A), 블로 성형 공정(61B), 취출 공정(61C)을 포함한다. 또,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은, 사출 성형 공정(62A), 블로 성형 공정(62B), 취출 공정(62C)을 포함한다. 또,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3)은, 사출 성형 공정(63A), 블로 성형 공정(63B), 취출 공정(63C)을 포함한다. 또,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4)은, 사출 성형 공정(64A), 블로 성형 공정(64B), 취출 공정(64C)을 포함한다.
또한,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 또 블로 성형 공정(61B, 62B, 63B, 64B, …) 각각은,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하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62))의 사출 성형 공정(62A)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다른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61, 63, 64, …))의 사출 성형 공정(61A, 63A, 64A, …)의 각각도 같다.
(사출 성형 공정 도 3, 도 4)
도 3과 도 4에서는, 진행이 어긋나 있는 복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 62, 63, 64, …)의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과, 블로 성형 공정(61B, 62B, 63B, 64B, …)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나는 성형 플로에서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보다 앞선(전)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59)에서의 블로 성형 공정(59B)의 일부,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0)의 사출 성형 공정(60A)의 일부,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보다 후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4)의 블로 성형 공정(64B)의 일부,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5)의 사출 성형 공정(65A)의 일부도 나타내고 있다.
이 점은,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성형 플로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도 3, 도 4 중, 구간 X로 나타내어지는 범위 각각은, 예를 들면,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1A),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에서의 블로 성형 공정(61B),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에서의 블로 성형 공정(62B),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3)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3A),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3)에서의 블로 성형 공정(63B),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4)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4A)
을 가리키고 있다.
이하, 하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의 사출 성형 공정(62A)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출 성형 공정(62A)이 행해지는 사출 성형부(3)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립 금형을 더하여 구성되는 사출 성형 금형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출 성형 금형으로부터 프리폼(3P)을 얻는 사출 성형 공정(62A)은,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후술하는 회전(R)과 회전 로크(L)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 노즐 전진 개시(62A4), 사출 개시(62A5), 사출(62A6), 냉각(62A7)을 포함한다.
다른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의 사출 성형 공정(61A, 63A, 64A)도, 단계의 구성이 같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부(3)에서는,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반복되는 공정의 구별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 공정, 블로 성형 공정, 취출 공정의 부호에 대해서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붙여진 부호를 일부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사출 성형 공정 및 블로 성형 공정의 각 단계의 부호에 대해서도, 그 사출 성형 공정 및 블로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붙여진 부호를 일부에 이용하고 있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는, 우선,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단계가 있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는, 하나 전에 진행한 선공정의 사출 성형 공정(61A)의 최종의 단계에서 금형 닫기하고 있었던 사출 성형 금형에 대하여 고압의 형체결력을 해제하고, 금형 열기로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열면서 회전판을 상승시키는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선공정의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 성형한 프리폼(3P)을 립 금형으로 지지하여 회전판을 상승시켜 이형을 행한다.
(회전(R))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는, 프리폼을 이형하여 회전판이 상방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일정 회전 각도(120°)로 회전하는 동작 부분이 있다. 그 회전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 3, 도 4에 있어서 R로 표기하고, 범위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립 금형 및 선공정의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 성형된 프리폼(3P)을, 사출 성형부(3)로부터 블로 성형부(4)로 이동시켜 후술하는 블로 성형 금형의 상방 위치에 정지할 때까지의 동작이 된다.
또, 후술하는 블로 성형 공정(61B)에 있어서, 립 금형 및 블로 성형 공정(60B)(블로 성형 공정(61B)의 하나 앞선 공정)에서 성형된 중공 성형체(4P)를, 블로 성형부(4)로부터 취출부(5)로 이동시켜 취출부(5)에서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정지할 때까지의 동작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이 회전(R)은, 취출부(5)에서 중공 성형체(4P)를 해방한 립 금형을, 사출 성형부(3)로 이동시켜 사출 성형 금형의 상방 위치에 정지시킬 때까지의 동작이기도 하다.
(회전 로크(L))
또한 회전(R)에 이어서 회전 로크(L)의 동작이 있다. 이 회전 로크(L)도 회전판 측에서의 동작이며, 회전 로크 부재에 의하여 회전판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로크하는 동작을 행한다.
도 3에 있어서, 이 동작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단계 중에서 L로 표기하고, 범위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
다음으로,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은, 하부 금형(사출 캐비티형) 위에 립 금형을 올려 두도록 겹침과 더불어, 상방으로부터 립 금형에 상부 금형(사출 코어형)을 통하여 하부 금형에 조합하여, 금형을 닫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의 형체결력은 저압이다.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
다음으로, 형체결력을 고압을 향하여 승압하는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가 계속된다.
또한,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가 완료된 후, 그 고압의 형체결력은 냉각(62A7)의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노즐 전진 개시(62A4)」
다음의 단계로서, 노즐 전진 개시(62A4)를 설정하고 있다.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는, 사출 장치(2)의 노즐이 사출 성형 금형 측의 수지 받이구 부분에 맞닿아 있는 압력을 승압하기 위하여 마련하는 공정이며, 이 공정에 의하여 노즐 전진 개시의 시기(타이밍)를 제어하고 있다.
순식간에 소정 압력에 도달하는 것으로 하여 설정하는 경우나, 소정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로 하여 얼마 안 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사출 개시(62A5)」
다음으로 연속하는 단계는 사출 개시(62A5)이다. 이 사출 개시(62A5)의 단계는, 용융 수지를 주입할 때의 사출 개시 시기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사출(62A6)」
다음으로, 사출(62A6)의 단계가 있다. 사출(62A6)의 단계는, 용융 수지의 충전과 보압을 행하는 부분이다. 사출 성형하는 프리폼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단계의 시간은 바뀐다.
「냉각(62A7)」
다음으로, 냉각(62A7)의 단계가 있다. 냉각(62A7)의 단계는, 사출 성형 금형으로 프리폼(3P)을 사출 냉각하는 동작이다.
선공정의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 사출 성형된 프리폼(3P)을, 상술한 바와 같이 립 금형이 지지한 상태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블로 성형 공정(61B)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부(4)로 이동시키면, 블로 성형부(4)와 중공 성형체(4P)를 얻는 동작이 행해진다.
블로 성형부(4)에서는, 분할 금형의 한 쌍의 블로 금형인 블로 성형 금형을 구비하고 있고, 립 금형을 넣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블로 성형 금형에 의하여 중공 성형체(4P)를 얻는 블로 성형 공정(61B)은, 사출 성형 공정(62A)과 동시 진행하는 공정이다(도 2 참조).
(블로 성형 공정(61B) 도 3, 도 4)
블로 성형 공정(61B)은,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도 5, 6 참조),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 블로 시간(61B4), 블로 배기(61B5),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 블로 금형 열기(61B7)가 이 순서로 하여 진행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블로 성형부(4)와 이 블로 성형 공정(B)이 반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블로 성형 공정(61B)에 대하여, 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을 부호 60B로 하여 나타내고, 다음 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은 부호 62B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
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0B)의 최종 단계가 완료된 시점은, 한 쌍의 블로 금형이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계속되는 블로 성형 공정(61B)의 최초의 단계로서,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가 있다(도 5, 6 참조).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려 있는 상태의 한 쌍의 블로 금형의 사이로부터, 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0B)에서 얻어진 중공 성형체(4P)를 립 금형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회전판의 상승에 의하여 이형하고, 그 후에, 한 쌍의 블로 금형을 서로 가까이 하기 시작하는 동작의 단계이다.
또한, 블로 성형 금형으로부터 이형한 중공 성형체(4P)는 립 금형에 의하여 취출부(5)로 이동한다.
이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의 동작 사이로서, 0.00초나 0.50초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전판이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예를 들면,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 등에 대응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도 3, 도 4에 나타내는 종래예에 있어서, 블로 성형 공정(61B)의 공정 초기의 단계에서는,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의 시기에 관한 제어는 다음의 블로 금형을 빨리 보내기하는 시기(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제어와 일체로 하여,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의 움직임에 관하여 단독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행하고 있지 않다.
이 점은, 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0B)이나 다음 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2B)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는, 한 쌍의 블로 금형을 닫는 동작을 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회전판이 상승 위치에 있는 시간대이며,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회전(R) 등에 대응하는 시간대로 설정하고 있다.
도 3, 도 4의 종래예에서는, 이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는, 사출 성형 공정(62A)의 회전(R) 내에 대응하는 타이밍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프리폼의 블로 금형에 대한 배치)
블로 성형부(4)에 있어서, 프리폼(3P)을 블로 금형의 내측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회전판에 설치되어 있는 립 금형 및 이 립 금형으로 지지되어 있는 프리폼이, 블로 성형 금형의 상방 위치에 있고, 회전판이 하강하여, 립 금형이, 블로 금형과 겹치도록 하여 조합됨으로써 행해진다.
그 때문에, 블로 금형에 프리폼(3P)을 배치하는 움직임은,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의 회전 로크(L)와 같은 시점에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블로 금형에 프리폼(3P)을 배치한 시점은, 도 3, 도 4의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부분이다.
도 5에는 블로 성형부(4)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 5의 블로 성형부(4)는,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에 있어서, 저압의 형체결력이 부가되고, 떨어져 있는 한 쌍의 블로 금형(7)이 가까워지고(a), 블로 금형(7)이 접합하는(b) 금형 닫기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블로 금형(7)이 금형 닫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블로 금형(7)의 상면 측에 프리폼을 통과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립 금형(8)을 배치할 수 있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의 후, 상술한 화살표 D의 시점에서, 회전판의 하강에 의하여 프리폼(3P)이 하강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립 금형(8)이 블로 금형(7)의 상부에 조합되어 구성된 블로 성형 금형의 내부에, 프리폼(3P)이 블로 금형(7)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은, 한 쌍의 블로 금형에 가하는 형체결력을 승압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승압하여 소정의 형체결력에 도달한 후(블로 금형 고압 전환 완료)에는, 후술하는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까지, 그 고압의 형체결력이 유지된다.
「블로 시간(61B4)」
다음으로, 블로 시간(61B4)이라고 칭하는 단계는, 도 7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 성형 금형(9) 내의 상기 프리폼(3P)에 연신 로드(10)를 진입시켜 프리폼(3P)을 연신함과 더불어, 프리폼(3P)에 블로 에어(11)를 취입하여, 중공 성형체(4P)를 블로 성형하는 부분이다. 도면에 있어서 블로 에어(11)는, 중공 성형체(4P) 내의 화살표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이 단계의 부분을 「블로 시간」이라고 하는 용어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있지만, 상술과 같이 연신과 블로 에어 취입으로 이루어지는 블로 성형의 동작을 행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고, 단순히 시간만을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블로 배기(61B5)」
다음의 블로 배기(61B5)의 단계는, 도 7의 (b)에서 나타내는 블로 성형 금형(9)의 내부에 보낸 블로 에어를 빼는 동작의 부분이다. 도 7의 (b)에 있어서 블로 에어를 빼는 것을 화살표 12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
다음의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의 단계는, 닫은 한 쌍의 블로 금형에 가하고 있었던 형체결력을 해제하는 동작의 부분이다.
「블로 금형 열기(61B7)」
다음의 블로 금형 열기(61B7)의 단계는, 닫고 있었던 한 쌍의 블로 금형을 여는 동작의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사출 성형부(3)와 사출 성형된 프리폼(3P)을 블로 성형부(4)로 옮기고, 그 블로 성형부(4)로 프리폼(3P)으로부터 중공 성형체(4P)를 블로 성형하고, 또한 블로 성형된 중공 성형체(4P)는 취출부(5)로 옮겨지고, 그 취출부(5)에 있어서 성형기 밖으로 송출된다.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부(3)에서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을 반복하여 프리폼(3P)의 사출 성형이 행해지고, 블로 성형부(4)에 있어서도 블로 성형 공정(60B, 61B, 62B, 63B, …)이 반복되고 있으며, 사출 성형부(3)로부터의 프리폼(3P)을 중공 성형체(4P)로 블로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도 3, 도 4에서는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과 블로 성형 공정(60B, 61B, 62B, 63B, …)의 각 단계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고 있고,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의 각 단계의 진행을 순서대로 하여, 각 단계의 시간을 길이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블로 성형 공정(60B, 61B, 62B, 63B, …)의 각 단계의 진행의 타이밍을,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 측의 단계와 대응 짓고, 마찬가지로 각 단계의 시간을 길이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성형 플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공정(62A)의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이 완료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블로 성형 공정(61B)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을 개시시키고 있다.
왜냐하면, 사출 성형 공정(62A)에 있어서, 노즐 전진 개시(62A4)로부터 냉각(62A7)까지의 단계가 종료되는 타이밍과, 블로 성형 공정(61B)에 있어서,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으로부터 블로 금형 열기(61B7)까지의 단계가 종료되는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서이다.
즉, 사출 성형 공정(62A)과 블로 성형 공정(61B)의 종료 타이밍을 맞추는 이유는, 그렇게 함으로써, 공정의 종료 대기 시간(예를 들면, 사출 성형 공정(62A)이 블로 성형 공정(61B)보다 전에 종료되어 버리는 경우, 사출 성형 공정(62A)에 설정되는 블로 성형 공정(61B)의 종료를 기다리는 시간)을 마련하지 않고 회전판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3, 도 4의 성형 플로에 있어서,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과 블로 성형 공정(60B, 61B, 62B, 63B)의 종료의 타이밍이 맞춰진 상태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각각의 공정이 끝날 때에,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의 기계 동작이 동일하게 정지할 필요는 없고, 사출 성형부(3) 측이나 블로 성형부(4) 측에 대기 시간이 구성되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이 점은, 후술하는 제1,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그런데,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 사출 장치를 접속하는 방식에 있어서, 노즐 전진 개시의 단계에 대한 시간 배분으로서 0.00초로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공정(62A)과 블로 성형 공정(61B)의 종료 타이밍을 맞추기 위하여,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의 상기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를, 도시의 성형 플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0.30초로 조정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태이다.
하나의 사출 성형 공정의 전체 시간은, 프리폼(3P)의 성형 사이클 X(구간 X)에 영향을 미친다. 즉, 하나의 사출 성형 공정의 전체 시간은 프리폼(3P)의 성형 사이클이 되므로,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 의한 중공 성형체의 제조 효율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자에게 있어서는, 예를 들면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승압의 단계)에 들어가는 타이밍을, 종래의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가 완료되기 전으로 하면,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의 뒤쪽의 일련의 단계의 시간 배분을 행하는 데에 있어서 블로 시간(61B4)의 단계를 개시하는 타이밍을 앞당기거나 이 블로 시간(61B4)의 단계에 대하여 설정하는 시간을 길게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점에 주목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의 블로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의 단계를, 블로 성형 공정의 전반 부분에 배치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사출 성형 공정의 단축이나 성형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과 립 금형을 조합한 사출 성형 금형을 갖는 사출 성형부에서 프리폼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금형과 립 금형을 조합한 블로 성형 금형을 갖는 블로 성형부에서 프리폼으로부터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복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이 동시에 행해지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 중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이 사출 성형부에서 행해질 때,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보다 앞선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 공정이 블로 성형부에서 행해지고,
상기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 중의 사출 금형 열기의 개시부터, 사출 금형 고압 전환의 완료까지, 상기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 공정 중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과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 공정 중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이, 금형 닫기한 블로 금형의 형체결력을 승압하는 것인 것이 양호하다.
또한, 또 하나의 발명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과 립 금형을 조합한 사출 성형 금형을 갖는 사출 성형부와, 블로 금형과 립 금형을 조합한 블로 성형 금형을 갖는 블로 성형부를 기반 상에 배치하고,
상기 블로 성형부는,
블로 성형 금형을 열고 닫는 형체결 기구를 구비하는 블로 장치와,
기반에 있어서의 당해 블로 장치의 재치면(載置面)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블로 장치를 가로로 미는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
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 장치는, 블로 성형 금형에 있어서의 립 금형 배치 위치가 블로 성형부에서의 립 금형 강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이며, 이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를 제공하고, 상기 과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로 금형에서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을, 사출 성형 공정에서의 사출 성형 금형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의 개시부터 사출 성형 금형의 사출 금형 고압 전환의 완료까지의 사이에 대응하는 타이밍에 행한다.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공정 중에서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의 단계나 회전판의 회전 시에 대응하도록, 블로 성형 공정 중에서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의 타이밍을 설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블로 성형 공정에서의 블로 시간과 블로 배기와 블로 금형 압력 해제와 블로 금형 열기의 일련의 단계의 개시를, 앞당긴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로 성형 공정에서의 종료에 맞추도록, 사출 성형 공정의 종료의 타이밍도 앞당기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노즐 전진 개시의 단계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에서는, 블로 성형 금형의 립 배치 위치가 블로 성형부에서의 립 금형 강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하고, 블로 장치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에 비하여,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의 타이밍을 전으로 설정해도, 사출 성형부로부터 반송되는 프리폼을 블로 금형 내에 적절히 넣을 수 있다.
(성형 사이클의 단축)
이와 같이, 블로 성형 공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맞추어 사출 성형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즉, 프리폼의 성형 사이클이 단축되어,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로 중공 성형체를 제조할 때의 효율이 향상된다.
(성형성의 향상)
또, 블로 성형 공정의 최종 단계의 블로 금형 열기의 단계를 앞당기지 않는 대신에, 블로 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블로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성형품(중공 성형체)의 부형성의 향상이나 성형품의 냉각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따라서 성형품의 성형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프리폼의 이형으로부터 블로 취입 개시의 시간(블로 금형 닫기 개시의 단계로부터 블로 시간의 단계 개시까지의 시간)이 단축된 것에 의하여, 프리폼의 스킨층이 보다 차가운 상태에서 블로 성형의 개시가 가능해져, 성형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의 사출 성형부와 블로 성형부와 취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에 있어서의 동시 진행하는 복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종래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성형 공정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종래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성형 공정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블로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의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한 쌍의 블로 금형이 가까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저압 형체결력 부가의 하에서 한 쌍의 블로 금형이 금형 닫기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블로 성형부에 있어서의 금형 닫기한 한 쌍의 블로 금형에 프리폼을 배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블로 성형부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블로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시간의 단계에서의 연신과 취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블로 배기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성형 공정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성형 공정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블로 성형부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블로 금형에 고압 형체결력이 가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블로 금형의 상방에 프리폼이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c)는 블로 성형 금형 내에 프리폼이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성형 공정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성형 공정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마찬가지로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를 분해하여 사시 상태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는, 상술과 같이 프리폼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3)와, 프리폼으로부터 PET 보틀이나 광구병 등의 중공 성형체가 블로 성형되는 블로 성형부(4)와, 상기 중공 성형체를 성형기 밖으로 송출하는 취출부(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와 취출부(5)의 위치에 대응하는 3개소로 하여 배치한 립 금형을 구비하는 회전판이 일정한 회전 각도에서의 회전과 승강을 반복하여, 립 금형에 의하여 프리폼을 사출 성형부(3)로부터 블로 성형부(4)로 옮기고,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부(4)로부터 취출부(5)로 옮기며, 취출부(5)에 있어서 립 금형이 중공 성형체를 해방시키고, 이 중공 성형체를 해방시킨 립 금형이 회전판의 회전에 의하여 사출 성형부(3)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 있어서,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와 취출부(5)를 등각도 간격의 배치로 하고, 립 금형이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와 취출부(5)에 순서대로 대응하면서 회전 이동하는 기본 구성의 점은, 앞서 설명한 종래의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와 같다.
또, 사출 성형부(3)에 있어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립 금형이 조합되어 사출 성형 금형을 구성하는 점이나, 블로 성형부(4)에 있어서, 한 쌍의 블로 금형에 립 금형이 조합되어 블로 성형 금형을 구성하는 점도, 종래의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종래와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폼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61A(62A, 63A, 64A, …))과, 이 사출 성형 공정(61A(62A, 63A, 64A, …))에서 얻어진 프리폼에 대하여 연신과 취입을 행하여,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 공정(61B(62B, 63B, 64B, …))을 구비하고 있고, 이 사출 성형 공정(61A(62A, 63A, 64A, …))과 블로 성형 공정(61B(62B, 63B, 64B, …))을 연속시켜, 프리폼 성형으로부터 중공 성형체 성형을 연속시키도록 하고 있고, 또, 중공 성형체를 취출부(5)로부터 성형기 밖으로 송출하는 취출 공정(61C(62C, 63C, 64C, …))도 연속시키고 있다.
따라서,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는, 사출 성형 공정(61A(62A, 63A, 64A, …))과 블로 성형 공정(61B(62B, 63B, 64B, …))과 취출 공정(61C(62C, 63C, 64C, …))을 순서대로 거침으로써 중공 성형체를 제조하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61, 62, 63, 64,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을 계속적으로 반복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 공정은 61A, 62A, 63A, 64A, …가 되어 반복되고, 블로 성형 공정은 61B, 62B, 63B, 64B, …가 되어 반복되고, 취출 공정은 61C, 62C, 63C, 64C, …가 되어 반복된다.
또한, 사출 성형부(3)와 프리폼(3P)을 사출 성형하는 하나의 공정으로서 사출 성형 공정(62A)을 예로 들면, 이 사출 성형 공정(62A)과, 블로 성형부(4)에서 중공 성형체(4P)를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 공정(61B)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리고, 도 8, 도 9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동시에 진행되는 공정이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취출 공정도 동시에 진행된다.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 있어서, 상술과 같이 사출 성형부(3)와 블로 성형부(4)와 취출부(5)가 등각도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3개소의 립 금형이 서로 대응 위치가 상이하게 이동하므로, 종래예에서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의 진행이 1공정분(프리폼 성형 사이클분) 어긋나게 진행되고, 그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마다 중공 성형체가 제조된다.
도 8, 도 9에서는, 사출 성형 공정과 블로 성형 공정 각각의 공정이 반복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 공정(62A) 및 블로 성형 공정(61B)이 현시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정으로 하면, 사출 성형 공정(62A)의 하나 앞선(전) 공정이 61A로서 나타내어지고, 블로 성형 공정(61B)의 하나 앞선(전) 공정이 60B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또, 사출 성형 공정(62A)의 다음(후) 공정이 63A이며, 블로 성형 공정(61B)의 다음(후) 공정이 62B이다.
즉,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 있어서의 하나의 공정인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을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으로 하면, 이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에서의 사출 성형부(3)와 프리폼(3P)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62A)과, 상기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의 선공정으로 하는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의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 사출 성형된 프리폼(3P)을 블로 성형부(4)로 받고, 이 프리폼(3P)으로부터 중공 성형체(4P)를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 공정(61B)이 동시에 진행된다.
도 8, 도 9에서는,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 나타내어지고, 블로 성형 공정(60B, 61B, 62B, 63B)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반복 설명이 되지만, 도 8, 9에서는 프리폼(3P)의 이동(반송)과 중공 성형체(4P)의 이동(반송)도 표현하고 있다. 성형된 프리폼(3P)과 중공 성형체(4P)의 이동을 설명하면, 하나 전에 진행한 선공정의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 성형한 프리폼(3P)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의 블로 성형부(4)로 옮긴다.
또,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 성형되는 프리폼(3P)은,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 중에서의 다음 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2B)에서의 블로 성형부(4)로 옮긴다.
또, 하나 앞서 진행한 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0B)에서 블로 성형한 중공 성형체(4P)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취출 공정(도시하지 않음)의 취출부(5)로 옮긴다.
또, 현재 진행하고 있는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 블로 성형하는 중공 성형체(4P)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 중에서의 다음 공정의 취출 공정(도시하지 않음)의 취출부(5)로 옮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 62, 63, 64, …)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과, 블로 성형 공정(61B, 62B, 63B, 64B, …)에서 단계의 구성이, 종래예와 상이하다. 도 8, 도 9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성형 플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출 성형 공정(61A, 62A, 63A, 64A, …)은 반복이므로, 이후,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출 성형 공정(62A)을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블로 성형 공정(61B, 62B, 63B, 64B, …)도 반복이므로, 이후, 현재 진행하고 있는 블로 성형 공정(61B)을 들어 그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사출 성형 공정(62A))
도 8, 도 9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우선,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종래예의 사출 성형 공정(62A)의 구성(도 3, 도 4 참조)과 상이하다.
이 제1 실시예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현재 진행 중인 사출 성형 공정)은,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 사출 개시(62A5), 사출(62A6), 냉각(62A7)을 포함한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
최초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단계에서는, 하나 앞서 진행한 사출 성형 공정(61A)의 최종 단계에서 금형 닫기하고 있었던 사출 성형 금형에 대하여 형체결력을 해제하고,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열면서 회전판의 상승으로 프리폼(3P)(앞에서 진행한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 성형된 프리폼)을 이형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단계에 있어서, 프리폼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립 금형을 넣기 위하여,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열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동작 자체는, 종래와 같다.
「회전(R)」
회전판 측의 동작으로서, 프리폼을 이형하여 상방에 회전판이 소정의 높이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회전판의 일정 회전 각도로 회전한다. 종래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도 8, 도 9에 있어서, 이 회전에 대응하는 부분을 R로 하여 표기하고, 또한 그 범위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 회전(R)은,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단계 중에 행해지는 것이고, 회전판이 소정 높이의 높이 위치에 도달한 후에 행해진다.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 있어서, 이 회전 시의 동작은, 구체적으로는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공정의 사출 성형 공정(61A)에서 성형된 프리폼(3P) 및 이 프리폼(3P)을 지지하는 립 금형을 사출 성형부(3)로부터 블로 성형부(4)의 블로 성형 금형을 구성하는 위치의 상방까지 이동시켜, 정지할 때까지의 움직임이다.
마찬가지로, 립 금형과 중공 성형체(4P)(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0B)에서 성형한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부(4)로부터 취출부(5)로 이동시켜, 취출부(5)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정지시킬 때까지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취출부(5)에서 중공 성형체를 해방시킨 립 금형이 사출 성형부(3)로 이동하고, 사출 성형 금형을 구성하는 위치의 상방에서 정지할 때까지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회전 로크(L)」
또한 회전 로크(L)는 이어서 회전판 측의 동작으로서,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 중에, 회전판이 일정 회전 각도의 회전을 끝낸 후, 회전 로크 부재에 의하여 회전판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로크하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L로 하여 표기하고, 또한 그 범위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이 회전 로크(L)는 상기 회전(R)에 이어서 행해진다.
이와 같이 도면에서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단계는, 종래예와 동일하게 프리폼(3P)을 지지하는 립 금형을 구비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판이 소정의 회전 각도(120°)로 회전하는 시간과, 회전판의 회전을 로크하는 시간을 포함하도록 나타내어져 있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
상기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에서의 회전 로크(L)의 단계에 대하여,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의 단계가 연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은, 하부 금형 위에 립 금형을 올려 겹치도록 함과 더불어, 그 상방으로부터 립 금형에 상부 금형을 통과시켜 하부 금형에 조합하여, 금형을 닫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의 형체결력은 저압이다.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의 다음에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을 연속시키고 있다.
도 3, 도 4에서 나타내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의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은, 저압으로 되어 있었던 사출 성형 금형에서의 형체결력을 승압하는 동작이 행해지는 부분이며,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에 연속하는 단계이다.
또한,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가 완료된 후에 대해서도, 종래예와 동일하게 그 고압의 형체결력은 냉각(62A7)의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 유지된다.
「사출 개시(62A5)」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는,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의 다음으로 사출 개시(62A5)의 단계가 연속된다.
이 사출 개시(62A5)는 용융 수지를 주입할 때의 사출 개시 시기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의 동작 자체는 종래예의 것과 같다.
「사출(62A6)」
다음으로 상기 사출 개시(62A5)에 연속하여 사출(62A6)의 단계가 있다. 이 사출(62A6)은 용융 수지의 충전과 보압을 행하는 부분이다. 사출 성형하는 프리폼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이 단계의 시간은 바뀐다. 이 단계에서의 동작 자체는 종래예의 것과 같다.
「냉각(62A7)」
제1 실시예에서는 사출(62A6)에 이어 냉각(62A7)의 단계가 있다. 사출 성형 공정(62A) 중, 이 냉각(62A7)으로 나타내어지는 단계의 부분에서는, 충전된 용융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리폼(3P)을, 냉매가 통과되고 있는 사출 성형 금형으로 냉각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 있어서, 냉각(62A7)에서 프리폼(3P)을 냉각하는 시간은, 프리폼(3P)의 표층(스킨층)과 내층(코어층)의 양자가 모두 고화할 때까지라고는 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프리폼(3P)의 표층에 어느 정도의 경도를 확보하면서 프리폼의 이형의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는 냉각 시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종래와의 상이 부분)
앞서 설명한 종래예의 사출 성형 공정(62A)(도 3)은,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 후에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를 연속시키고, 이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 후에 사출 개시(62A5)의 단계를 연속시키고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의 상기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는,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에 사출 개시(62A5)의 단계를 연속시키고 있고, 이 점에서 종래의 사출 성형 공정(62A)의 구성과 제1 실시예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이 상이하다.
즉, 이 제1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래예의 사출 성형 공정(62A) 중의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용으로서 설정하고 있었던 시간(종래예로서 예를 들면 0.30초)을 0.00초로 하여, 노즐 전진 개시(62A4)에 걸리는 시간을 줄인다. 이에 의하여, 노즐(사출 장치) 전진 개시 시기와 사출 개시(62A5)가, 같은 타이밍에 행해진다.
(노즐 전진 개시(62A4)를 생략하는 이유)
그리고, 제1 실시예는,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를 단순하게 생략했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블로 성형 공정(61B)의 최종의 단계가 완료되는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다. 이 완료되는 타이밍을 앞당긴 블로 성형 공정(61B)의 완료 부분에, 사출 성형 공정(62A)의 종료의 단계의 완료의 타이밍을 앞당겨 맞추고 있다.
사출 성형 공정(62A)의 종료의 단계의 완료를 앞당기기 위하여, 상기 노즐 전진 개시(62A4)의 시간 배분을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의 기간 X(구간 X)가 짧아지고, 프리폼의 성형 사이클이 짧아져 있다.
(블로 성형 공정(61B))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서의 블로 성형 공정(61B)(블로 성형부(4)에서,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 내의 공정이며, 현재 진행 중인 블로 성형 공정)은, 앞선 종래예와 같이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 블로 시간(61B4), 블로 배기(61B5),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 블로 금형 열기(61B7)의 단계를 포함한다.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0B)의 최종의 단계(블로 금형 열기)가 완료되어 있어, 중공 성형체(4P)를 상방으로 이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블로 금형이 열려 있다.
이에 계속되는 블로 성형 공정(61B)의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의 단계 중, 회전판이 상승하고, 립 금형에 지지된 중공 성형체(4P)가 블로 금형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이형된다.
그리고, 이 선공정의 블로 성형 공정(60B)에서 성형한 중공 성형체(4P)의 이형이 행해진 후에,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의 단계에서는, 한 쌍의 블로 금형을 근접시키도록 금형 닫기의 움직임이 개시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의 동작 자체는 종래예의 경우와 같고, 선공정에서 성형하여 이형하는 중공 성형체(4P)를 립 금형이 이동하여 취출부(5)로 옮기는 점도 같다.
또한, 종래예의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는,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를 0.00초로 하고, 블로 금형을 닫는 시기의 제어를 다음의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시기의 제어와 일체가 되도록 설정하여,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에 관련된 시간을 단독으로는 설정하고 있지 않다.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서의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는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에 이어서,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가 있다. 이 단계에서는, 블로 금형에 저압의 형체결력을 가한 상태하에서 금형을 닫는 동작이 행해진다(종래예의 도 5 참조).
이 단계가 진행될 때, 사출 성형 공정(62A)에서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도 행해진다. 그리고, 회전판의 회전으로 이동하는 프리폼(3P)이나 중공 성형체(4P)와, 닫는 블로 금형의 움직임은 간섭하지 않으므로,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는, 회전판이 회전하고 있을 때(회전(R) 시)이더라도 상관없다.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
상기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에 이어서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가 연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개시 타이밍이, 종래보다 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점이, 종래예의 블로 성형 공정(61B)의 구성(도 3, 도 4)과 크게 상이하다.
도 3, 도 4의 종래예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에서는, 립 금형을 넣은 사출 성형 금형에 대한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이 완료된 후가 되는 부분에 대응하도록 하여 설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는,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의 전이고, 또한 이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와 겹치지 않는 부분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8, 도 9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 공정(62A)의 회전 로크(L)에 대응하는 부분보다 전의 시점이고, 블로 금형의 내측에 프리폼(3P)을 배치하기 전의 시점으로 하고 있고, 상기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에 연속하고 있다.
이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도, 한 쌍의 블로 금형에 가하는 형체결력을 승압하는 단계이다.
(고압 형체결력 유지-역지 밸브)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를 거쳐 고압으로 승압된 형체결력(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완료 후)은,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까지 소정의 고압의 상태를,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의 단계를 개시할 때까지 유지한다.
그리고,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을 끝내고 나서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를 개시할 때까지의 동안, 이 블로 금형의 고압형 합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의 블로 금형 닫기 유압 회로에 역지 밸브를 추가하고 있다. 이 역지 밸브에 의하여, 블로 금형 고압 전환(B3)을 끝내고 나서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가 개시될 때까지의 동안, 고압의 형체결 유압 회로압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예에서는, 사출 성형 공정(62A)의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단계가 완료된 타이밍 후에,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가 행해지기 때문에, 블로 금형의 형체결력을 고압으로 유지하고 있는 압력 회로 측에, 사출 금형의 형체결력을 변동시키는 동작이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한편,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가 완료된 후에, 사출 성형 공정(62A)에 있어서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이 행해지도록 하고 있고, 사출 금형을 고압의 형체결력을 향하여 승압하는 압력 기기 측의 동작이, 블로 금형을 고압의 형체결력으로 형체결하고 있는 유압 회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블로 금형 닫기 유압 회로에 역지 밸브를 추가하여,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을 끝내고 나서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를 개시할 때까지의 일정 시간 동안, 고압이 된 형체결 유압 회로압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블로 성형부(4)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0의 (a)는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를 나타내고 있고, 금형 닫기된 한 쌍의 블로 금형(7)에 고압의 형체결력(13)을 가한 상황을 개략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한 쌍의 블로 금형(7)은 금형 닫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종래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블로 금형의 상면 측에는, 프리폼을 삽입시킬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고, 또, 립 금형(8)을 올려 둘 수 있는 부분도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b)는, 블로 금형(7)에 소정의 고압의 형체결력(13)이 가해진 블로 성형부(4)의 상방에, 프리폼(3P)과 이것을 지지하는 립 금형(8)이 위치한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도 10의 (c)는, 회전판의 하강에 의하여 립 금형(8)이 고압 형체결 상태의 블로 금형(7)에 겹쳐져 블로 성형 금형(9)을 형성하고, 이 내부에 프리폼(3P)이 배치된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상기 도 10의 (b)(c)는, 도 8, 도 9의 블로 성형 공정(61B, 62B, 63B)에 있어서 화살표 D로 나타내는 시점에서의 동작이 표현되어 있다.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블로 성형부(4)에서는,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를, 프리폼(3P)을 한 쌍의 블로 금형(7)의 내측에 배치하기 전에 진행시켜, 고압의 형체결력으로 형맞춤 상태의 한 쌍의 블로 금형(7)의 상면 측의 개구 부분에, 프리폼(3P)을 통과시키도록 하여 이 프리폼을 강하시키고 있다.
그리고, 강하하는 프리폼(3P)과 블로 금형(7)이 간섭하지 않도록, 또, 형맞춤 상태의 한 쌍의 블로 금형(7)에서의 적정 위치에 립 금형(8)이 겹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블로 금형(7), 바닥 금형(14), 형체결 기구(15) 등을 구비하는 블로 장치(16)가,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의 기반(17) 상의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블로 성형부(4)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18)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블로 장치(16)는, 기반(17)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상기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18)는, 도 13과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사면(斜面)(19)을 단부(端部)에 갖는 고정체(20)와, 이 고정체(2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겹쳐지고, 강하하면서 사면(19)으로 안내되어 횡방향(블로 장치(16) 등을 올려 두는 재치면(17S)을 따르는 방향)으로 압출(押出)되는 압압체(押壓體)(21)와, 상기 고정체(20)와 압압체(21)를 관통하여 기반(17)에 장착되는 조절 나사(22)와, 조절 나사(22)의 두부와 압압체(21)의 사이에 위치하여 조절 나사(22)의 강하를 눌러 내리는 힘으로 하여 압압체(21)를 누르는 스프링(2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18)가, 기반(17)에 배치한 블로 장치(16)의 바닥부 근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조절 나사(22)를 기반(17)에 장착 조작할 때, 그 조절 나사(22)가 압압체(21)에 상방으로부터 압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압압체(21)의 받이면(24)이 고정체(20)의 상기 사면(19)으로 안내됨과 더불어, 고정체(20)의 측면으로 돌출 설치된 보스(25)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 사면(19)과 같은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긴 구멍(26)이 상기 보스(25)에 안내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블로 장치(16)의 바닥부 부분에 맞닿아 재치면(17S)을 따른 방향으로 이 바닥부 부분을 가로로 미는 것과 같이 하고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블로 금형(7)이 금형 닫기했을 때에 형성하는 립 금형 배치 부분이, 립 금형(8)의 강하 위치에 일치하도록, 상기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18)에 의한 조절을 행하여 블로 장치(16)의 위치 결정을 고정밀도로 하여 행하고 있다. 그 결과, 금형 닫기된 블로 금형(7)의 상기 개구 부분에 사출 성형부(3)로부터 반송된 프리폼(3P)을, 블로 금형(7)에 간섭시키는 일 없이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종래의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에 비하여,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타이밍을 전으로 설정해도, 사출 성형부(3)로부터 반송되는 프리폼(3P)을 블로 금형(7) 내에 적절히 넣을 수 있다.
「블로 시간(61B4)」
본 실시예의 블로 시간(61B4)의 단계는, 연신과 블로 에어 취입에 의한 블로 성형을 행하는 부분이다(도 7의 (a) 참조).
이 블로 시간(61B4)에서의 동작 자체는 종래예의 블로 시간(61B4)의 동작과 같지만, 개시하는 타이밍이 종래예와는 상이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 공정(62A)의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이 완료되었을 때에 타이밍을 맞추어 블로 시간(61B4)의 단계를 개시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의 블로 시간(61B4)을 개시하는 타이밍은, 종래의 블로 성형 공정(61B)에 비하여 빠른 단계로 하고 있다.
「블로 배기(61B5)」
블로 시간(61B4)의 단계가 완료되면 이에 이어 블로 배기(61B5)의 단계된다. 이 블로 배기(61B5)의 단계에서는, 블로 성형 금형의 내부에 취입한 블로 에어를 빼는 동작이 행해진다. 이 단계는 종래예에서의 블로 배기(61B5)와 같다(도 7의 (b)).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
다음의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의 단계에서는, 닫은 한 쌍의 블로 금형에 가하고 있었던 형체결력을 해제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이 단계는 종래예에서의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와 같다.
「블로 금형 열기(61B7)」
다음의 블로 금형 열기(61B7)의 단계에서는, 닫고 있었던 한 쌍의 블로 금형을 여는 동작이 행해진다. 이 단계는 종래예에서의 블로 금형 열기(61B7)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 시간(61B4)을 개시하는 타이밍이, 종래예의 블로 성형 공정(61B)에 비하여 앞당겨진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도 8, 도 9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블로 시간(61B4)과 블로 배기(61B5)와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와 블로 금형 열기(61B7)가 일련으로 연속되어 있다.
블로 성형 공정(61B) 중, 블로 시간(61B4)과 블로 배기(61B5)와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와 블로 금형 열기(61B7)의 각 단계에 대응시키는 시간도 종래예와 같다. 그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는, 블로 성형 공정(B)의 블로 금형 열기(61B7)의 단계가 완료되는 타이밍도 앞당겨진다.
이 앞당겨진 블로 성형 공정(61B)의 최종의 단계가 완료되는 타이밍에, 사출 성형 공정(62A)의 최종의 단계가 완료되는 시점이 같아진다. 구체적으로는, 사출 성형 공정(62A)과 블로 성형 공정(61B)의 최종의 단계가 완료되는 타이밍을 같게 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공정(62A)에 있어서의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서 0.00초로 하고 있다.
즉, 노즐 전진 개시 시기의 제어와 사출 개시(62A5)에 대한 시기의 제어를 일체로 하여,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를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을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에 연속시켜,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타이밍을 앞당김으로써 블로 성형 공정(B)을 단축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사출 성형 공정(62A) 중, 상기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를 생략하여, 사출 성형 공정(62A)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프리폼의 성형 사이클을 단축하여, 중공 성형체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는, 블로 성형 공정(61B) 중,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의 개시를,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의 완료에 연속시키고 있는 점에 관해서는, 제1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 공정(62A)에 대하여,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에 단독의 동작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함과 더불어, 블로 성형 공정(61B)에 대하여, 블로 시간(61B4)의 단계로 설정하는 시간을 변경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다.
도 11, 도 12는, 제2 실시예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과 블로 성형 공정(61B)을, 성형 플로의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사출 성형 공정(62A))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사출 성형 공정(62A)은,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 노즐 전진 개시(62A4), 사출 개시(62A5), 사출(62A6), 냉각(62A7)의 각 단계가 연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62A2),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 사출 개시(62A5), 사출(62A6), 냉각(62A7)의 각 단계의 움직임은, 제1 실시예와 같다.
또,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에 대하여 단독의 동작 시간을 예를 들면 0.30초로 하여 노즐 전진 개시의 개시 시기에 대하여 제어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예에서의 사출 성형 공정(62A)의 구성과 같게 하고 있다.
(블로 성형 공정(61B))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 성형 공정(61B)을,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 블로 시간(61B4), 블로 배기(61B5), 블로 금형 압력 해제(61B6), 블로 금형 열기(61B7)의 단계를 구비하고 있고, 단계 61B1에서 61B7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의 단계의 개시를,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의 완료에 연속시키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같다.
도 8, 도 9,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모두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완료에 연속하는 타이밍에, 블로 시간(61B4)을 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블로 시간(61B4)의 단계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블로 시간(61B4)의 단계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제1 실시예에서의 블로 시간(61B4)의 단계에 상당하는 시간과, 사출 성형 공정(62A)의 노즐 전진 개시(62A4)의 단계에 상당하는 시간을 합한 시간으로 하고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의 블로 성형 공정(61B)에서의 블로 시간(61B4)으로 설정한 시간에 비하여, 제2 실시예의 블로 시간(61B4)으로 설정한 시간을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블로 성형 공정(61B)의 최종의 단계인 블로 금형 열기(61B7)의 단계의 완료가, 사출 성형 공정(62A)의 최종의 단계인 냉각(62A7)의 완료와 맞춰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블로 시간(61B4)의 단계, 즉, 냉각이 도모되고 있는 한 쌍의 블로 금형 내에 배치된 프리폼에 대한 연신과 블로 에어의 취입을 행하여 중공 성형체에 블로 성형하는 시간을 길게 하고 있으므로, 성형품의 부형성이 향상되고, 냉각성이 향상된다.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모두, 사출 성형 공정(62A)의 회전(R)의 동작 중이며,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완료에 연속하여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이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블로 금형 닫기 개시(61B1)와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61B2)의 단계에 대하여 설정하고 있는 시간을 단축하고,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을, 사출 성형 공정(62A)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를 행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시간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블로 금형 고압 전환(61B3)이, 사출 성형 공정(62A)의 상기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열기(62A1)의 개시부터 사출 금형 고압 전환(62A3)의 완료까지의 부분에 대응하는 블로 성형 공정 상의 시간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1)에서는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61, 62, 63, 64, …))이 반복되는 점에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1)의 블로 성형 공정(61B)을 드는 것과 더불어,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62)의 사출 성형 공정(62A)을 들고 있지만, 물론, 상술한 제1, 제2 실시예는, 블로 성형 공정(61B)에 한정되지 않음과 더불어, 사출 성형 공정(62A)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2 사출 장치
3 사출 성형부
4 블로 성형부
5 취출부
6, 61, 62, 63, 64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
7 블로 금형
8 립 금형
9 블로 성형 금형
13 고압의 형체결력
14 바닥 금형
16 블로 장치
17 기반
18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
60A, 61A, 62A, 63A, 64A, 65A 사출 성형 공정
61A1, 62A1, 63A1, 64A1, 65A1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
61A2, 62A2, 63A2, 64A2 상부 금형 하부 금형 체결
61A3, 62A3, 63A3, 64A3 사출 금형 고압 전환
61A4, 62A4, 63A4, 64A4 노즐 전진 개시
61A5, 62A5, 63A5, 64A5 사출 개시
60A6, 61A6, 62A6, 63A6, 64A6 사출
60A7, 61A7, 62A7, 63A7, 64A7 냉각
R 회전
L 회전 로크
59B, 60B, 61B, 62B, 63B, 64B 블로 성형 공정
60B1, 61B1, 62B1, 63B1, 64B1 블로 금형 닫기 개시
60B2, 61B2, 62B2, 63B2, 64B2 블로 금형 빨리 보내기
60B3, 61B3, 62B3, 63B3, 64B3 블로 금형 고압 전환
60B4, 61B4, 62B4, 63B4, 64B4 블로 시간
59B5, 60B5, 61B5, 62B5, 63B5, 64B5 블로 배기
59B6, 60B6, 61B6, 62B6, 63B6, 64B6 블로 금형 압력 해제
59B7, 60B7, 61B7, 62B7, 63B7, 64B7 블로 금형 열기
3P 프리폼
4P 중공 성형체

Claims (5)

  1.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과 립 금형을 조합한 사출 성형 금형을 갖는 사출 성형부와, 블로 금형과 상기 립 금형을 조합한 블로 성형 금형을 갖는 블로 성형부를 기반 상에 배치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에서 프리폼을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공정과, 상기 블로 성형부에서 프리폼으로부터 중공 성형체를 블로 성형하는 블로 성형 공정을 포함하는, 복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이 동시에 행해지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를 이용하고 있고,
    상기 블로 성형부는,
    블로 성형 금형을 열고 닫는 형체결 기구를 구비하는 블로 장치와,
    기반에 있어서의 당해 블로 장치의 재치면(載置面)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블로 장치를 가로로 미는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
    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 장치는, 당해 블로 장치의 재치면을 따른 방향으로 고압의 형체결력이 가해지는 블로 성형 금형에 있어서의 립 금형 배치 위치가 상기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에 의하여 블로 성형부에서의 립 금형 강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 중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이 사출 성형부에서 행해질 때,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보다 앞선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 공정이 블로 성형부에서 행해지고,
    상기 제1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사출 성형 공정 중의 사출 금형 열기의 개시부터, 사출 금형 고압 전환의 완료까지, 블로 장치의 재치면을 따른 방향의 고압의 형체결력을, 립 금형 강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는 블로 장치의 블로 성형 금형에 가하여, 상기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 공정 중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 성형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블로 성형 공정 중의 블로 금형 고압 전환이, 금형 닫기한 블로 금형의 형체결력을 승압하는 것인,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가,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사면(斜面)을 상기 블로 장치 측의 단부(端部)에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겹쳐지고, 강하하면서 상기 사면에 안내되어, 상기 블로 장치의 상기 재치면을 따른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는 압압체(押壓體)
    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체가 상기 블로 장치를 누르는,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
  4.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과 립 금형을 조합한 사출 성형 금형을 갖는 사출 성형부와, 블로 금형과 립 금형을 조합한 블로 성형 금형을 갖는 블로 성형부를 기반 상에 배치하고,
    상기 블로 성형부는,
    블로 성형 금형을 열고 닫는 형체결 기구를 구비하는 블로 장치와,
    기반에 있어서의 당해 블로 장치의 재치면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블로 장치를 가로로 미는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
    를 구비하고,
    상기 블로 장치는, 당해 블로 장치의 재치면을 따른 방향으로 고압의 형체결력이 가해지는 블로 성형 금형에 있어서의 립 금형 배치 위치가 상기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에 의하여 블로 성형부에서의 립 금형 강하 위치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로 장치 위치 결정 스토퍼가,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사면을 상기 블로 장치 측의 단부에 갖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겹쳐지고, 강하하면서 상기 사면으로 안내되어, 상기 블로 장치의 상기 재치면을 따른 방향으로 압출되는 압압체
    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체가 상기 블로 장치를 누르는,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KR1020220085554A 2021-07-13 2022-07-12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KR102547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15888A JP7031915B1 (ja) 2021-07-13 2021-07-13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と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JPJP-P-2021-115888 2021-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247A true KR20230011247A (ko) 2023-01-20
KR102547700B1 KR102547700B1 (ko) 2023-06-26

Family

ID=81212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554A KR102547700B1 (ko) 2021-07-13 2022-07-12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23382B2 (ko)
EP (1) EP4119326B1 (ko)
JP (1) JP7031915B1 (ko)
KR (1) KR102547700B1 (ko)
CN (1) CN115609887B (ko)
CA (1) CA3167511C (ko)
TW (1) TWI816454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936A1 (en) * 2006-08-03 2008-02-07 Bekum Maschinenfabriken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articles made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by blow molding
JP2019188630A (ja) 2018-04-19 2019-10-31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と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0624A (en) * 1951-09-22 1956-06-19 Royal Mfg Company Inc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hollow articles
JPS55111236A (en) * 1979-02-20 1980-08-27 Katashi Aoki Injection/stretching/blowing molding machine for two-layer molding
FR2526364B1 (fr) * 1982-05-10 1987-01-23 Katashi Aoki Machine de moulage par etirage et soufflage, apres injection
JP2536742B2 (ja) * 1986-11-05 1996-09-18 日精エ−・エス・ビ−機械株式会社 回転式射出吹込成形機
JP2817819B2 (ja) * 1991-11-29 1998-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成形システム
JP3281073B2 (ja) * 1992-12-14 2002-05-13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射出延伸吹込成形機
JP3924069B2 (ja) * 1998-06-17 2007-06-06 大成化工株式会社 延伸ブロー成形方法並びに延伸ブロー成形品
US6773251B2 (en) * 2002-07-11 2004-08-10 Pechiney Emballage Flexible Europe Segmented wheel disk for extrusion blowmolding apparatus
JP4319863B2 (ja) * 2003-06-20 2009-08-26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回転式成形機
US20050161866A1 (en) * 2004-01-23 2005-07-28 Rajnish Batlaw Process of making two-stage injection stretch blow molded polypropylene articles
JP4656569B2 (ja) * 2005-07-15 2011-03-23 大成化工株式会社 中空成形品の製造方法
US20080118686A1 (en) 2006-11-20 2008-05-22 Katherine Glasgow Injection blow molding process and article
JP5147076B2 (ja) 2009-06-15 2013-02-20 岡部株式会社 海藻種苗の生産方法
KR101530006B1 (ko) * 2011-02-18 2015-06-18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블로우 성형기
TWI440549B (zh) * 2011-07-07 2014-06-11 Jung Tsao Huang 具瓶口成型裝置之模具結構
EP3116697A1 (en) 2014-03-13 2017-01-18 iMFLUX Inc. Plastic article form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6552890B2 (ja) * 2015-06-30 2019-07-31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による容器の成形方法
JP6647144B2 (ja) * 2015-12-11 2020-02-14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の射出成形型と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とプリフォーム、及び容器の成形方法と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936A1 (en) * 2006-08-03 2008-02-07 Bekum Maschinenfabriken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llow articles made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by blow molding
JP2019188630A (ja) 2018-04-19 2019-10-31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と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KR20210005808A (ko) * 2018-04-19 2021-01-15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와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7761A1 (en) 2023-01-19
EP4119326A1 (en) 2023-01-18
JP7031915B1 (ja) 2022-03-08
CN115609887B (zh) 2023-05-30
EP4119326B1 (en) 2024-02-28
KR102547700B1 (ko) 2023-06-26
TWI816454B (zh) 2023-09-21
TW202311008A (zh) 2023-03-16
CA3167511C (en) 2023-10-24
JP2023012316A (ja) 2023-01-25
CA3167511A1 (en) 2022-12-19
CN115609887A (zh) 2023-01-17
US11623382B2 (en) 2023-04-11
EP4119326C0 (en)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585B1 (ko)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CN107428064B (zh) 双轴拉伸吹塑成型装置
US4437825A (en) Blow molding apparatus
CN110662642B (zh) 注射拉伸吹塑成型机和中空成型体的制造方法
JPH0649331B2 (ja) 吹込成形方法
JP4319863B2 (ja) 回転式成形機
US3809517A (en) Blow injection apparatus
KR102547700B1 (ko)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US4409161A (en) Blow molding method
US11141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ulding of containers with a movable base part
US115545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ulding of containers with a movable base part
CN110049854B (zh) 通过压缩注射模制预型件的模制机械和模制方法
US201903150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ulding of containers with a movable base part
CN116395940B (zh) 一种玻璃酒瓶吹制设备及其吹制方法
CN113661044B (zh) 吹塑成形装置以及吹塑成形方法
JP3789014B2 (ja) ネックピースインサート装置を有する成形機及び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
JP2005007796A (ja) ブロー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