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086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086A
KR20230011086A KR1020210091679A KR20210091679A KR20230011086A KR 20230011086 A KR20230011086 A KR 20230011086A KR 1020210091679 A KR1020210091679 A KR 1020210091679A KR 20210091679 A KR20210091679 A KR 20210091679A KR 20230011086 A KR20230011086 A KR 2023001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ragraph
drying air
dishwash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086A/ko
Priority to EP22184434.3A priority patent/EP4119027A1/en
Priority to US17/863,966 priority patent/US20230016599A1/en
Publication of KR2023001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2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dish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위치를 명확히 감지하고 특정할 수 있는 도어위치감지부를 이용하여 건조풍공급부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건조풍공급부의 작동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습기가 응축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도어의 위치를 명확히 감지하고 특정할 수 있는 도어위치감지부를 이용하여 건조풍공급부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건조풍공급부의 작동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습기가 응축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건조행정 중에 고온의 건조풍을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세척대상물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21-0066413호(선행문헌 001)에는, 세척 및 행굼행정이 완료된 후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기 전에 도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도어는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기 전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도어가 적어도 일부 개방되며, 도어가 일부 개방된 후에 고온 건조풍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고온 건조풍이 공급이 개시되는 도어 개방량과, 해당 개방량을 갖는 위치까지 도어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다.
즉,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도어가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개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 개방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공급되는 고온 건조풍이 세척조의 내부로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세척대상물의 건조가 원활이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량이 과소한 경우에는 세척대상물의 건조 후 습도가 증가된 공기가 원활히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세척조의 내부 습도가 상당히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건조행정 시간이 지나치게 증가될 가능성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고온 건조풍 공급 중 도어가 추가적으로 개방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할 수 없으며, 따라서 고온 건조풍 공급을 차단할 수단이 없다.
즉,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도어가 개방되거나 고온 건조풍이 공급 중인 것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고온 건조풍이 계속적으로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공급 중인 고온 건조풍에 직접 노출되거나, 고온 상태인 세척대상물에 직접 접촉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화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64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조풍공급부의 작동이 개시되거나 건조풍공급부의 작동모드가 전환되는 기준이 되는 도어의 위치를 명확히 특정할 수 있는 도어위치감지부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도어의 추가적인 개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서브센서를 구비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 중 도어의 추가적인 개방이 발생할 경우에 고온 건조풍 공급을 즉각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고온위험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도어의 추가적인 개방이 발생할 경우에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는 히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되, 송풍팬의 통해 저온 건조풍을 계속 공급하여, 세척대상물의 온도를 즉각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도어의 닫힘 상황이 발생하면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는 히터와 송풍팬의 작동을 정지시켜 내부에 습기가 응축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공간의 전면을 폐쇄시키는 닫힘위치와, 상기 세척공간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개방시키는 풀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도어위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위치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닫힘위치와 상기 풀개방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영역개시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건조풍공급부의 작동이 개시되거나 건조풍공급부의 작동모드가 전환되는 기준이 되는 도어의 위치를 명확히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위치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위치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위치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메인센서;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서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세척조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서포터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서포터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타단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로프; 및 일단이 상기 힌지브라켓의 타단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로프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상기 로프커넥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를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닫힘위치와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정지위치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세척공간의 전면을 부분 개방시키는 도어자동개방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정지위치는,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서로 평형이 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닫힘위치와 상기 중간정지위치까지의 영역은 상기 도어자동개방모듈에 의해서 자동개방되는 자동개방영역이 되고, 상기 중간정지위치로부터 상기 풀개방위치까지의 영역은 수동으로 개방되는 수동개방영역이 되며,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는 상기 수동개방영역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로프커넥터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브라켓에 고정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로프커넥터의 위치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봇레버; 및 상기 피봇레버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피봇레버에 의한 상기 푸쉬버튼의 눌림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 사이가 되는 경우에, 상기 로프커넥터에 의해서 상기 피봇레버는 상기 푸쉬버튼을 향해 가압되고,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피봇레버에 의해서 눌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가 되면, 상기 로프커넥터에 의한 상기 피봇레버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눌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레버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원통형 베이스부; 및 일단부가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커넥터의 가압력은 상기 로드부를 통해 상기 푸쉬버튼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커넥터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로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선형연장부; 상기 선형연장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로프커넥터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후크형상부; 및 상기 선형연장부와 상기 후크형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로프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커넥터의 가압력은 상기 후크형상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두께, 상기 후크형상부의 두께,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각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두께, 상기 후크형상부의 두께,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폭, 상기 후크형상부의 폭, 및 상기 연결부의 폭은 각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폭, 상기 후크형상부의 폭, 및 상기 연결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형상부의 곡률과, 상기 연결부의 곡률은 각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형상부의 곡률은 상기 연결부의 곡률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건조풍공급부의 작동이 개시되거나 건조풍공급부의 작동모드가 전환되는 기준이 되는 도어의 위치를 명확히 특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도어의 추가적인 개방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도어감지센서를 구비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 중 도어의 추가적인 개방이 발생할 경우에 고온 건조풍 공급을 즉각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고온위험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도어의 추가적인 개방이 발생할 경우에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는 히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되, 송풍팬의 통해 저온 건조풍을 계속 공급하여, 세척대상물의 온도를 즉각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도어의 닫힘 상황이 발생하면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는 히터와 송풍팬의 작동을 정지시켜 내부에 습기가 응축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상세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서, 도어가 도어개방모듈에 의해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로서, 도어가 닫힘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도어가 중간정지위치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도어의 위치들 및 이에 따라 구분되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서브센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측면사시도이다.
도 16은 서브센서의 센서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서브센서가 서포터브라켓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사시도이다.
도 18은 서브센서가 서포터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세척조(20)와,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세척조(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세척조(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세척조(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터브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다.
세척조(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척조(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세척조(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세척조(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세척조(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세척조(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세척조(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세척조(20)의 세척공간(21)에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세척조(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는 반사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세척조(20)의 내부에서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세척조(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세척조(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세척조(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54)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54)은 상부레일(541), 하부레일(542), 및 탑레일(5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세척조(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세척조(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세척조(20)의 하부에는 세척조(20)의 내부로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조(2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세척조의 내부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풍공급홀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건조풍을 생성하여 세척조(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80)는, 세척조(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송풍팬(82)과, 송풍팬(82)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83)와, 건조풍을 가열하는 히터(84)와,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히터하우징(8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82)은, 히터하우징(81)의 입구 측에 건조풍 기류(F)의 방향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며,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로 공기를 가속하여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82)에는, 송풍팬(82)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83)가 모듈화되어 결합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에 적용되는 송풍팬(82)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송풍팬(82)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로코팬의 중앙으로부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공기가 가속되어 배출될 수 있다. 가속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풍 기류(F)를 형성하며 히터하우징(81) 내부의 공기 통로로 도입된다.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의 공기 통로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 통로의 내부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어 건조풍 기류(F)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가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전력이 공급되어 건조풍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건조풍공급부(80)가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4)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건조풍 기류(F)가 생성될 수 있도록 송풍모터(83)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에 구비되는 히터(84)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한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 내부의 공기 통로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며, 열전달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회 절곡되는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상측면에는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로서 온도센서(86)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86)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861)와,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써모스탯(862)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86)의 출력신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온도센서(86)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고온 건조풍의 온도 및 과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과열 발생시에 제어부(100)는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은,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통로에 연통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한다. 히터하우징(81)의 입구 측에는 송풍팬(82)의 출구가 연결되며, 히터하우징(81)의 출구 측에는 후술하는 송풍덕트(85)가 연결될 수 있다.
히터하우징(81)은,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환경에 견딜 수 있는 재질, 바람직하게는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82)은 전체적으로, 세척조(20)의 하면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90)에 수용되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는, 히터하우징(81)의 출구 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송풍덕트(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82)은 세척조(20)의 하면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 송풍덕트(85)는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미리 설정된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는 세척조(20)의 좌측면(26)이 될 수 있고, 송풍덕트(85)로 안내된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세척조(20)의 좌측면(26)에는 건조풍공급홀(263)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이와 같이 세척조(20)의 좌측면(26)에 건조풍공급홀(263)이 형성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세척조(20)의 좌측면(26)이 아닌 다른 위치, 예를 들면 세척조(20)의 우측면 또는 하면에 건조풍공급홀(26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건조풍공급홀(263)이 세척조(20)의 좌측면(26)에 형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송풍덕트(85)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척조(20)의 좌측면(26)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263)과 히터하우징(81)의 출구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송풍덕트(85)는 일단이 히터하우징(81)의 출구에 연통되고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덕트(851)와, 일단이 제1 덕트(851)의 타단에 연통되고 타단이 건조풍공급홀(263)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덕트(8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건조풍의 공급효율 향상을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홀(263)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송풍덕트(85)의 토출홀(853)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덕트(85)의 토출홀(853)과 건조풍공급홀(263)에는 홀캡(854)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토출홀(853)과 건조풍공급홀(263)이 원형개구로 구비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홀캡(854)은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홀캡(854)은, 링형상의 캡본체(8541)와, 캡본체(8541)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복수의 베인(854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8542)은, 건조풍공급홀(263)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의 토출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세척조(20)의 내부의 세척수가 건조풍공급홀(263)을 통과하여 송풍덕트(85)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홀캡(854)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홀캡(854)에 구비되는 베인(8542)이 배열되는 방향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르게 배치할 수도 있다.
즉, 홀캡(854)은 세척조(20)의 내부에서 건조풍공급홀(263)에 결합되되, 건조풍공급홀(263)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홀캡(854)의 베인(8542)이 배열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베인(8542)이 배열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배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홀캡(854)을 통과하는 건조풍의 토출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척조(20) 내부로 고르게 건조풍이 공급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될 수 있다.
한편, 홀캡(854)의 세척조(20)의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량에 따른 세척공간(21)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홀(263)은 세척조(20)의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비드포밍부(26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홀캡(854)의 돌출량에 대응하기 위해, 비드포밍부(262)의 돌출량은 홀캡(854)의 돌출량보다는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는, 송풍팬(82)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링부(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87)는, 송풍팬(82) 및 히터(84)에 먼지 등을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조풍의 기류방향을 기준으로 송풍팬(82)의 상류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필터링부(87)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871)와, 내부에 필터(871)가 수용되는 원통형 필터하우징(872)과, 필터하우징(872)과 송풍팬(82)을 연결하는 연결덕트(8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871)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외주면으로부터 외부공기가 도입되고 여과된 후 내주면을 통과하도록 여과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872)의 하우징본체(8721) 외주면에는 필터(871)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의 흡기구(87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필터(871)의 외주면은 필터하우징(872)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흡기구(8721a)를 통과한 공기는 직접 필터(871)의 외주면을 통과하여, 필터(87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8721)의 상단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단면을 통해서 필터(871)가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본체(8721)의 상단면은 세척조(20)의 하면을 향해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우징본체(8721)의 상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척조(20)의 하면을 통과하여 세척조(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세척조(20)의 내부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하우징본체(8721)의 상단에는 수나사형태로 구비되는 체결부(8722)가 구비될 수 있고, 체결부(8722)에는 밀폐캡(874)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밀폐캡(874)을 통해서 세척행정 또는 행굼행정 동안 분사되는 세척수가 필터하우징(87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필터(871)의 교체는, 밀폐캡(874)을 체결부(8722)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본체(8721)의 상단면을 개방시켜 필터(871)를 하우징본체(8721)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상당히 간소하게 진행될 수 있다.
필터(871) 교체의 용이성 및 사용자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필터하우징(872)의 상단은 세척조(20)의 전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는 도어(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밀폐캡(874)의 밀폐 성능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링형상의 플랜지(8723)가 필터하우징(872)에 구비될 수 있다. 링형상의 플랜지(8723)는 세척조(20)의 하면의 하부 측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밀폐캡(874)의 결합력에 의해서 플랜지(8723)는 세척조(20)의 하면을 향해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고, 이를 통해 플랜지(8723)와 세척조(20) 하면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필터하우징(872)의 외주면으로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연결덕트(873)는, 필터하우징(87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송풍팬(82)을 유체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덕트(873)의 내부에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덕트(873)의 연통홀(8731)은 직접 송풍팬(82)의 입구 측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도어잠금-개방부의 세부 구성]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도어잠금-개방부(35)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자동으로 도어(30)를 잠금상태로부터 해제하고, 도어(30)를 중간정지위치(P3)까지 개방시키는 도어잠금-개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어잠금-개방부(35)는, 도어(30)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도어잠금모듈(3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도어잠금모듈(351)은 세척조(20)의 상면(24)으로서 개방된 전면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척조(20)의 상면(24)으로서 세척조(20)의 전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조(20)의 상면(24)에는 도어잠금모듈(351)의 설치를 위한 어퍼프런트브라켓(241)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잠금모듈(351)은, 도어(30)의 래치걸림부(39)에 걸림결합하는 후크형상의 도어래치(미도시)와, 전기적 구동력을 이용하여 도어래치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래치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의 상면에는 후크형상의 도어래치에 결합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래치걸림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어잠금모듈(351)의 우측에는 도어(30)를 닫힘위치(P1)로부터 중간정지위치(P3)까지 회전시켜 세척조(20)의 전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정지위치(P3)는 도어(30)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과, 도어(30)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원력작용부(38)의 탄성력이 서로 평형이 되는 위치로서 규정될 수 있다. 도어(30)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복원력작용부(3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로서 리턴스프링(383), 커플러(384), 로프(381), 및 로프커넥터(3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후술하는 제어부(100)로부터 도어(30)의 개방을 위한 전기적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도어(30)를 닫힘위치(P1)로부터 중간정지위치(P3)까지 회전식으로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예시적으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전기적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모터(3522)와, 구동모터(3522)의 회전구동력을 감속하고 회전구동력을 직선왕복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감속기어부(3523)와, 직선왕복 구동력에 의해서 전후방향(F-R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푸쉬로드(35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구동모터(3522), 감속기어부(3523) 및 푸쉬로드(3524)는 하우징(352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술한 어퍼프런트브라켓(241)에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구동모터(3522)가 작동되며, 구동모터(3522)의 구동력에 의해서 푸쉬로드(3524)는 초기 수납위치로부터 도어(30)를 향해 돌출하면서 도어(30)의 후면 상측을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30)는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되면서 회전되고, 세척조(20)의 전면의 개방이 시작된다.
이후에 푸쉬로드(3524)가 최대로 돌출되어 도어(30)를 최대로 밀어내게 되면, 도어(30)는 중간정지위치(P3)에 도달하게 되고, 푸쉬로드(3524)는 다시 초기 수납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 때, 도어(30)가 초기 수납위치로 복귀되어 푸쉬로드(3524)의 가압력이 해제되더라도 도어(30)는 중간중지위치서 정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어(30)가 중간정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도어(30)의 상단과 세척조(20)의 상면(24) 사이의 간격은 예시적으로 약 82mm 정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은,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효과적으로 세척조(20)의 내부가 적절한 수준의 고온 분위기를 유지함과 동시에 습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최적의 간격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풍건조행정의 건조 성능 및 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정지위치(P3)를 기준으로 하면, 닫힘위치(P1)로부터 풀개방위치(P2) 사이의 영역은, 도어(30)가 도어자동개방모듈(352)에 의해서 회전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자동개방영역(A1)과 사용자에 의해서 회전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수동개방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어잠금모듈(351)과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도어(3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도어(30)를 닫힘위치(P1)로부터 중간정지위치(P3)까지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도어잠금모듈(351)과 도어자동개방모듈(352)에 관한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도어위치감지부의 세부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도어위치감지부(36)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위치감지부(36)는 도어(30)가 닫힘위치(P1)인지 여부 및 닫힘위치(P1)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메인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메인센서는, 도어(30)가 닫힘위치(P1)에 있을 때 ON-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도어(30)가 닫힘위치(P1)를 이탈했을 때 OFF-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스위치에는 도어(30)가 닫힘위치(P1)에 있을 때 눌림상태가 유지되고, 도어(30)가 닫힘위치(P1)를 이탈했을 때 눌림상태가 해제되는 푸쉬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의 내부에는 푸쉬버튼의 눌림여부를 감지하여 ON-신호 또는 OFF-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전기적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는 예시적으로 서로 동일한 규격과 사이즈를 갖는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되는 메인센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 개의 접촉식 마이크로스위치로 메인센서가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편의상 구분을 위해서 도어잠금모듈(351)의 좌측에 배치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제1 메인센서(361)로 칭하고, 도어잠금모듈(351)의 우측에 배치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제2 메인센서(362)로 칭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는 도어잠금모듈(351)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도어잠금모듈(351)과 함께 어셈블리를 구성하여 어퍼프런트브라켓(241)에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는 서로 동일한 규격과 사이즈를 갖는 마이크로스위치로서 구성되나,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가 배열되는 방향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가 배열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제1 메인센서(361)의 푸쉬버튼과 제2 메인센서(362)의 푸쉬버튼이 가압되는 위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0)가 닫힘위치(P1)에 있는 경우에 제1 메인센서(361)의 푸쉬버튼은 도어(30)의 상면에 눌리도록 배열되고 제2 메인센서(362)의 푸쉬버튼은 도어(30)의 후면에 눌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센서를 복수 개의 마이크로스위치로 구성하고,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도어(30)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도어(30)의 위치감지 성능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기능 고장이 발생한 경우, 및 도어(30)가 불완전하게 개방되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도어(30)의 닫힘상태 또는 개방상태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는 각각 독립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로부터 수신되는 출력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ON-신호인 경우에는 도어(30)가 닫힘위치(P1)에 있는 것 그리고 도어(30)가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1 메인센서(361)와 제2 메인센서(362)로부터 수신되는 출력신호가 모두 OFF-신호로 전환되는 경우에만 도어(30)가 정상적으로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되는 것 그리고 도어(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고 결정하게 된다.
한편,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스위치에 관한 구성은 후술하는 서브센서(363)에 구비되는 마이크로스위치(3632)에 거의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스위치는,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에 관한 세부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어위치감지부(36)는 도어(30)가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서브센서(36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메인센서와 유사하게, 서브센서(363)는 도어(30)의 위치가 닫힘위치(P1)와 위험영역시작위치(P4) 사이가 되는 경우에는 ON-신호를 출력하고, 도어(30)의 위치가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하면 OFF-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스위치(36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직접적으로 도어(30)에 접촉하여 도어(30)의 위치를 검출하는 메인센서와는 다르게 서브센서(363)는 간접적으로 도어(30)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으로, 도 8 이하에는 서브센서(363)가, 도어지지부(37)를 구성하는 힌지브라켓(371)의 위치, 보다 상세히는 힌지브라켓(371)에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로프커넥터(382)의 위치를 검출하여 도어(30)의 위치를 검출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력작용부(38)를 구성하는 로프커넥터(382)는,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과 유사하게 일단부(3821)가 힌지브라켓(371)의 후단(3712)에 구비되는 커넥터샤프트(37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로프커넥터(382)의 타단부(3822)는 복원력을 생성하는 탄성부재에 로프(38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인장력을 생성하는 리턴스프링(383)이 될 수 있으며, 리턴스프링(383)은 커플러(384)를 통해 로프(381)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90)의 하부에서 전후방향(F-R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프(381)는 로프가이드(385)를 통해 경로가 전환되면서 로프커넥터(382)의 타단부(38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서브센서(363)의 마이크로스위치(3632)는 힌지브라켓(371) 및 로프커넥터(382)의 후방에 배치 및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로프커넥터(382)의 이동범위에 따라 로프커넥터(382)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되거나 가압 해제되는 푸쉬버튼(3632c)을 이용한다.
메인센서와 동일하게, 서브센서(363)의 마이크로스위치(3632)는 푸쉬버튼(3632c)이 가압상태일 때 ON-신호를 출력하거나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 OFF-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서브센서(363)의 마이크로스위치(3632)로부터 생성되는 ON-신호 또는 OFF-신호를 수신하여 로프커넥터(382)의 위치 및 힌지브라켓(371)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도어(3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커넥터(382)의 위치를 검출하여 도어(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서브센서(363)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위치가 닫힘위치(P1)인 경우에는 서브센서(363)의 마이크로스위치(3632)는 푸쉬버튼(3632c)이 로프커넥터(382)의 가압력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눌림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브센서(363)의 마이크로스위치(3632)는 ON-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로프커넥터(382)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로프커넥터(382)와 푸쉬버튼(3632c) 사이에는 피봇레버(3633)가 구비될 수 있다. 피봇레버(3633)에 상세 구성은 도 1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전술한 중간정지위치(P3)를 지나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하게 되면, 로프커넥터(382)가 도어(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면서 로프커넥터(382)의 가압력은 해제되고 푸쉬버튼(3632c)의 눌림상태는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브센서(363)의 마이크로스위치(3632)는 OFF-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때, 도어(30)가 닫힘위치(P1)로부터 위험영역시작위치(P4)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 로프커넥터(382)는 도어(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게 되나, 푸쉬버튼(3632c)의 눌림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서브센서(363)의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출력신호는 ON-신호로 유지된다.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어(30)에 도달하게 되면, 예시적으로 도어(30)의 상단과 세척조(20)의 상면(24) 사이의 간격은 약 163mm가 되며, 해당 간격은 사용자의 손이 세척조(20)의 내부로 진입이 가능한 정도의 간격이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험영역시작위치(P4)는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행정의 진행 중에 사용자가 고온 건조풍에 의한 화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치가 된다. 이를 고려하여 위험영역시작위치(P4)로부터 풀개방위치(P2) 사이의 영역은 위험영역(A4)으로 규정될 수 있다. 반대로 닫힘위치(P1)로부터 위험영역시작위치(P4) 사이의 영역은 안전영역(A3)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술한 자동개방영역(A1)과 수동개방영역(A2)과 연관지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같이, 닫힘위치(P1)와 중간정지위치(P3)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은 자동개방영역(A1)으로, 그리고 중간정지위치(P3)와 풀개방위치(P2)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은 수동개방영역(A2)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 때, 중간정지위치(P3)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또는 외력에 의해서 도어(30)가 풀개방위치(P2)를 향해 추가적으로 수동 개방되면 전술한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를 기준으로, 닫힘위치(P1)와 중간정지위치(P3) 사이의 영역은, 자동개방여부를 기준으로 자동개방영역(A1)이 되고, 안전여부를 기준으로 안전영역(A3)이 될 수 있다.
또한, 중간정지위치(P3)와 위험영역시작위치(P4) 사이의 영역은 자동개방여부를 기준으로 수동개방영역(A2)이 되고, 안전여부를 기준으로 안전영역(A3)이 될 수 있다.
또한, 위험영역시작위치(P4)와 풀개방위치(P2) 사이의 영역은 자동개방여부를 기준으로 수동개방영역(A2)이 되고, 안전여부를 기준으로 위험영역(A4)이 될 수 있다.
[서브센서의 세부 구성]
이하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서브센서(363)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서브센서(363)는, 내부에 마이크로스위치(3632)를 수용하는 센서하우징(3631)과, 센서하우징(36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봇레버(3633)를 구비한다.
센서하우징(3631)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내부 수용공간에는 마이크로센서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센서하우징(3631)의 바닥면(3631a)의 외주를 따라 바닥면(3631a)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고 형성되는 테두리벽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하우징(3631)의 바닥면(3631a)에는 개방된 일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결정보스(3631e)가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3632)가, 센서하우징(3631)에 결합될 때, 한 쌍의 위치결정보스(3631e)는 마이크로스위치(3632)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홀(3632d)에 삽입되면서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결합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위치결정보스(3631e)와 한 쌍의 마이크로스위치(3632)가 형성되는 위치는,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로서 선택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위치결정홀(3632d)은 스위치본체(3632a)의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다. 스위치본체(3632a)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터미널(3632b) 등의 구조물의 영향으로 스위치본체(3632a)는 다른 방향으로 센서하우징(3631)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조립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센서하우징(3631)의 바닥면(3631a)에는 개방된 일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후크(3631f)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체결후크(3631f)의 일단부는 센서하우징(3631)의 바닥면(3631a)에 고정되고, 자유단부가 되는 타단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후크(3631f)는 마이크로스위치(3632)가 전술한 위치결정보스(3631e)를 통해 센서하우징(3631)의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과정이 완료된 후 마이크로스위치(363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3632)에 결합이 완료되면 체결후크(3631f)의 후크부와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센서본체 사이에 걸림 상태가 형성되면서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고정이 완료된다.
한편, 센서하우징(3631)은, 세척조(20)를 베이스(90)에 결합시키는 서포터브라켓(373)에 고정된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지지부(37)를 구성하는 서포터브라켓(373)의 서포터본체(3731)는 세척조(20)에 고정되는 어퍼브라켓과, 베이스(90)에 고정되는 로어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브라켓(373)의 어퍼브라켓의 하단 측에는 도어(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전단(3711)이 도어의 하부 측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371)이 힌지샤프트(372)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3631)은 힌지브라켓(371)의 후방 측에, 바람직하게는 로프커넥터(382)의 후방 측으로써 서포터브라켓(373)의 로어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센서하우징(3631)의 개방된 일면이 로어브라켓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위치에 센서하우징(3631)이 고정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3631)의 고정을 위해서, 센서하우징(3631)의 하단에는 테두리벽(3631b)으로부터 하측방향(D-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탭(3631c)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탭(3631c)에는 스크류홀(3631d)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탭(3631c)의 스크류홀(3631d)에 대응되는 위치로서 서포터브라켓(373)에는 스크류홀(37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센서하우징(3631)이 서포터브라켓(373)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3631)의 고정을 위한 수단으로서, 센서하우징(3631)의 테두리벽(3631b)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탭(3631h)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걸림탭(3631h)은, 서포터브라켓(373)에 형성된 걸림홀(3732)에 걸림 결합되는 방식으로 서포터브라켓(373)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센서하우징(3631)은, 바닥면(3631a)으로부터 개방된 일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스 형태의 레버샤프트(3631g)를 구비한다
보다 상세히는, 레버샤프트(3631g)는 로프커넥터(382)와 마이크로스위치(3632)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샤프트(3631g)는, 로프커넥터(382)를 향해 형성되는 테두리벽(3631b)보다 더 로프커넥터(382)를 향해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레버샤프트(3631g)는 후술하는 피봇레버(36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피봇레버(3633)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레버샤프트(3631g)의 주위에는 후술하는 레버샤프트(3631g)의 원통형 베이스부(3633a)를 감싸는 형태로 배열되는 이탈방지벽(3631b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탈방지벽(3631b1)의 일단부는, 상측에 형성되는 테두리벽(3631b)에 일체로 형성되며, 테두리벽(3631b)으로부터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벽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하우징(3631)의 바닥면(3631a)으로부터 이탈방지벽(3631b1)이 돌출되는 높이는, 레버샤프트(3631g)가 돌출되는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하우징(3631)이 서포터브라켓(373)에 체결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벽(3631b1)과 레버샤프트(3631g)는 서포터브라켓(373)에 동시에 접촉된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벽(3631b1)의 타단부는, 피봇레버(3633)의 최대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벽(3631b1)의 타단부에는, 센서하우징(3631)의 바닥면으로부터 레버샤프트(3631g)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홈(3631b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3631b2)은, 이탈방지벽(3631b1)의 일부를 절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레버샤프트(3631g)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고 연장되는 직선형 홈이 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레버(3633)에는 걸림홈(3631b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이탈방지돌기(3633c)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피봇레버(3633)가 레버샤프트(3631g)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봇레버(3633)의 이탈방지돌기(3633c)의 회전축방향 이동범위는 걸림홈(3631b2)에 의해서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홈(3631b2)은 피봇레버(3633)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레버샤프트(3631g)에는 피봇레버(363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는, 피봇레버(3633)는,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원통형 베이스부(3633a)와, 원통형 베이스부(3633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타단을 향해 연장되는 로드부(3633b)를 포함한다.
원통형 베이스부(3633a)의 중심에는, 전술한 레버샤프트(3631g)가 삽입되는 샤프트홀(3633a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원통형 베이스부(3633a)의 폭과 샤프트홀(3633a1)의 폭은, 전술한 레버샤프트(3631g)의 돌출 길이보다는 더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3633b)는, 일측면이 로프커넥터(382)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로프커넥터(382)의 가압력을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푸쉬버튼(3632c)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로드부(3633b)의 반대측 타측면은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푸쉬버튼(3632c)을 직접 접촉하고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로드부(3633b)는 원통형 베이스부(3633a)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선형연장부(3633b1)와, 선형연장부(3633b1)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후크형상부(3633b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형연장부(3633b1)의 일단부는 원통형 베이스부(3633a)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선형연장부(3633b1)의 타단부는 원통형 베이스부(3633a)의 외주면으로부터 직선형태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선형연장부(3633b1)의 일단부는 원통형 베이스부(3633a)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선형연장부(3633b1)는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푸쉬버튼(3632c)을 직접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선형연장부(3633b1)가 효과적으로 푸쉬버튼(3632c)을 가압할 수 있도록, 선형연장부(3633b1)는 푸쉬버튼(3632c)이 배치되는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스위치본체(3632a)의 일측면에 최대한 근접해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3과 같이 선형연장부(3633b1)의 타단부는 원통형 베이스부(3633a)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선형연장부(3633b1)의 타단부는 스위치본체(3632a)의 일측면이 형성되는 범위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상부(3633b2)는, 가압면(3823)으로 기능하는 로프커넥터(382)의 일측면에 직접 접촉되어 로프커넥터(382)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커넥터(382)는 도어(3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힌지브라켓(371)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로프커넥터(382)에 대한 접촉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후크형상부(3633b2)는 로프커넥터(382)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만곡형성되는 후크형상부(3633b2)의 곡률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선형연장부(3633b1)와 후크형상부(3633b2) 사이에는 로프커넥터(3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연결부(3633b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3633b3)가 만곡되는 방향은 후크형상부(3633b2)가 만곡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로프커넥터(382)의 후방에 배치되는 서브센서(363)를 이용하여 도어(30)가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다만, 서브센서(363)와 로프커넥터(382) 사이의 간격은, 설계 공차 및 제조 공차에 의해서 제품별로 편차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간격 편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피봇레버(3633)의 로드부(3633b)는 마이크로스위치(3632)의 푸쉬버튼(3632c)을 가압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설계 공차 및 제조 공차에 의해서 서브센서(363)와 로프커넥터(382) 사이의 간격이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가 되더라도, 로드부(3633b)에 탄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설계함으로써 간격 편차가 효과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
연결부(3633b3)는 이와 같은 탄성 변형이 효과적으로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며, 탄성 변형은 연결부(3633b3)에서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30)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탄성 변형은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탄성 변경에 의해서 피로파괴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탄성 변형시 발생하는 응력이 어느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도록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응력 집중 현상을 방지하고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형성되는 연결부(3633b3)의 곡률은 일정하게 유지하되 전술한 후크형상부(3633b2)의 곡률보다는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3633b3)의 두께와 폭이 선형연장부(3633b1)와 후크형상부(3633b2)의 관계에서 급격한 차이를 보이면, 이러한 두께와 폭이 급변하는 위치에서 응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로드부(3633b)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형연장부(3633b1)의 두께(t), 후크형상부(3633b2)의 두께(t) 및 연결부(3633b3)의 두께(t)는 로드부(3633b)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며,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원통형 베이스부(3633a)의 회전축이 되는 레버샤프트(3631g)에 나란한 방향으로 선형연장부(3633b1)의 폭(w), 후크형상부(3633b2)의 폭(w) 및 연결부(3633b3)의 폭(w)은 로드부(3633b)의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며,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서브센서(363)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센서(363)는 도어지지부(37)를 구성하는 서포터브라켓(373)에 고정되고 고정수단으로서 서브센서(363)의 센서하우징(3631)에는 스크류홀(3631d)이 형성된 체결탭(3631c)과 걸림탭(3631h)이 구비될 수 있다.
서브센서(363)를 서포터브라켓(373)에 부착 및 고정하기 위해서, 걸림탭(3631h)을 걸림홀(3732)의 상부홀(3732a)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홀(3732a)의 수평방향 폭(W1) 및 수직방향 폭은 걸림탭(3631h)의 수평방향 폭(W3) 및 수직방향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걸림탭(3631h)은 상부홀(3732a)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걸림탭(3631h)이 상부홀(3732a)을 통과하면, 센서하우징(3631)을 전체적으로 하측방향으로 하부홀(3732b)을 향해 이동시킨다.
하부홀(3732b)의 수평방향 폭(W2)은 걸림탭(3631h)의 수평방향 폭(W3)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탭(3631h)이 하측방향(D-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되면, 걸림탭(3631h)은 하부홀(3732b)에 걸림상태가 되어 서포터브라켓(37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걸림탭(3631h)이 하부홀(3732b)에 걸림상태에서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서 센서하우징(3631)의 체결탭(3631c)을 서포터브라켓(373)의 스크류홀(3733)에 체결하게 되면 서브센서(363)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하나의 스크류볼트만으로 서브센서(363)가 효과적으로 서포터브라켓(373)에 조립 및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제어부의 구성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각 기능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전력변환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입력된 전력은 전력변환부를 거쳐 변환되어 제어부(100), 도어자동개방모듈(352), 디스플레이(33), 음향출력부, 급수펌프 및 건조풍공급부(80) 등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도어위치감지부(36)를 구성하는 제1 메인센서(361), 제2 메인센서(362) 및 서브센서(363)에 각각 개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1 메인센서(361), 제2 메인센서(362) 및 서브센서(363)를 통해서, 현재 도어(30)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100)는,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도어(30)의 위치가 닫힘위치(P1)인지 여부 및 닫힘위치(P1)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서브센서(363)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도어(30)의 위치가 전술한 안전영역(A3)에 속하는지 여부 및 안전영역(A3)을 이탈하여 위험영역(A4)에 속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버튼부(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버튼부(34)는 전원버튼 및 선택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34)를 통해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신호, 즉 전원-ON 신호, 행정선택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모리(102) 및 타이머(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메모리(102)에 미리 저장된 행정별 운전조건 및 시간조건 등을 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어자동개방모듈(352) 및 건조풍공급부(80)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타이머(101)를 이용하여 각각의 행정별 경과시간등을 연산하고, 미리 저장된 행정별 시간조건과 비교하여 각각의 행정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행정별 시간조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체 건조행정시간, 고온 건조풍이 공급되는 고온건조시간 및 저온 건조풍이 공급되는 저온건조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의 구동모터(35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건조행정 시에 건조풍공급부(80)를 작동시키기 전에 구동모터(3522)에 전력을 공급하여 도어(30)를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시켜 도어(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건조풍공급부(80)를 구성하는 송풍모터(83), 히터(84) 및 온도센서(8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가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제어부(100)는 송풍모터(83)와 히터(84)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여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거나, 히터(84)에 대한 전력공급은 차단하고 송풍모터(83)만 작동시켜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고온 건조풍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적정온도의 건조풍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 및 과열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온도센서(86)의 출력신호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33) 및 음향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33)를 통해서 식기세척기(1)의 작동 상태, 작동 시간 및 조리완료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전술한 부저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출력부를 통해서 식기세척기(1)의 동작 상태 또는 알람 메시지를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3) 및 음향출력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고온 건조풍의 공급 중 도어 수동개방에 따른 고온 건조풍에 대한 위험경고에 관한 정보, 닫힘상태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불가, 및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완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0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은, 먼저 도어(30)를 개방시키고, 도어(30) 개방 이후에 현재 도어(30)의 위치를 결정한다. (S1, S2)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30)의 위치는 제1 메인센서(361), 제2 메인센서(362) 및 서브센서(363)를 통해 감지되고, 제어부(100)는 이들 제1 메인센서(361), 제2 메인센서(362) 및 서브센서(363)의 출력신호를 통해서 도어(30)의 위치를 결정될 수 있다.
제1 메인센서(361), 제2 메인센서(362) 및 서브센서(363)의 출력신호를 통해서 도어(30)의 위치가 결정되면, 제어부(100)는 결정된 도어(30)의 위치를 근거로 하여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게 된다. (S3)
여기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 모드는, 히터(84)와 송풍모터(83)가 모두 작동되는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와, 송풍모터(83)는 작동되나 히터(84)의 작동은 중단되는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와, 히터(84)와 송풍모터(83)의 작동이 모두 정지 또는 중단되는 건조풍 공급정지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단계를 도 21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대상물에 대한 열풍건조행정을 개시하기 위해서, 제어부(100)는 구동모터(3522)에 전력을 공급하여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을 작동시킨다. (S11)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의 구동모터(3522)가 작동되면,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의 푸쉬로드(3524)의 이동이 개시되고 푸쉬로드(3524)가 도어(30)의 후면을 밀어내면서, 도어(30)가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된다. 즉, 도어(30)의 닫힘상태가 해제되고 세척조(20)의 전면의 개방이 시작된다.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100)는 타이머(101)를 작동시킨다. (S12) 타이머(101)가 작동 개시된 시간은 건조행정이 시작된 시점이 되며, 제어부(100)는 타이머(101)의 작동 개시 시간을 메모리(102)에 임시 저장하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 개시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되는 경과시간을 기준으로 제어부(100)는 건조행정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거나 건조풍 공급의 전환 또는 중단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타이머(101)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부(100)는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로부터 각각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S13)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의 출력신호는 도어(30)가 닫힘위치(P1)에 있을 때에는 생성되는 ON-신호와, 도어(30)가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생성되는 OFF-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수신된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의 출력신호들이 ON-신호인지 OFF-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4)
S14 단계에서의 판단의 결과,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의 출력신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ON-신호인 경우에, 제어부(100)는 현재 도어(30)의 상태가 닫힘위치(P1)에 있는 것 그리고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30)가 닫힘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S15)
즉, 제어부(100)는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의 출력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ON-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자동개방모듈(352)에 의해서 도어(3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서 판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도어(3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은 상태는, 예를 들면 도어래치가 정상적으로 해제되지 않은 상태, 및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은 상태 등과 같은 내부적 요인, 또는 도어(30)에 가해지는 외력 및 외부 장애물 등에 의해서 도어(30)가 개방될 수 없는 상태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S15 단계에서 도어(30)가 닫힘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00)는 건조풍공급부(80)의 송풍팬(82)과 히터(84)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송풍팬(82)과 히터(84)를 미작동 상태로 유지시킨다. (S16)
즉, 제어부(100)는, 도어(30)가 현재 닫힘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결정하였기 때문에 건조풍을 생성하는 송풍팬(82)과 히터(84)의 작동을 개시하지 않고 건조풍 공급정지모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어(30)가 닫힘상태에서 건조풍이 공급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습기의 응축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가 닫힘상태인 것으로 결정되고 송풍팬(82) 및 히터(84)의 작동이 미작동 상태로 유지된 후에, 제어부(100)는 음향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33)를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에러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S17)
여기서 에러알람은 음향출력부를 통해서 생성되는 음향적 에러알람 또는 디스플레이(33)를 통해서 생성되는 시각적 에러알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적 에러알람 또는 시각적 에러알람은, 도어개방 실패 또는 도어개방 실패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불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에러알람을 통해서 현재 도어(3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은 상태 및 건조풍 공급을 통한 건조행정이 진행될 수 없는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러알람을 통해 에러알람을 인지한 사용자의 조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에러알람이 생성된 후에라도 사용자가 부재 상태이거나 에러알람 인식 불가 상태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조치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건조행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없다.
따라서 S17 단계에서 에러알람을 생성한 후에, 제어부(100)는 타이머(101)를 통해서 현재 경과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8)
여기서 소정의 설정시간은, 건조행정의 진행시간으로 예정된 시간이 될 수 있다. 설정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고 조정된 시간이 되거나, 메모리(102)에 미리 설정되고 저장된 시간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선택 및 조정이 없다면, 예시적으로 설정시간은 500초가 될 수 있다.
S18 단계에서 경과시간이 설정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예정된 건조행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보고 건조행정을 중단하고, 전술한 음향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33)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건조행정 완료알람을 생성한다. (S19)
여기서 완료알람은 음향출력부를 통해서 생성되는 음향적 완료알람 또는 디스플레이(33)를 통해서 생성되는 시각적 완료알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적 완료알람 또는 시각적 완료알람은,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불가 또는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완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S18 단계에서 경과시간이 설정시간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아직 예정된 건조행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전술한 S14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치에 의해서 도어(30)의 개방되었는지 및 닫힘상태로부터 이탈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S14 단계에서의 판단의 결과,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의 출력신호가 모두 ON-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현재 도어(30)의 상태가 정상적으로 개방된 것 그리고 닫힘위치(P1)로부터 정상적으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닫힘위치(P1)로부터 정상적으로 이탈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S21)
이와 같이 도어(30)가 닫힘위치(P1)로부터 정상적으로 이탈되고 정상적으로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100)는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을 개시한다. (S22)
송풍팬(82)과 히터(84)의 작동이 개시되면, 송풍팬(82)과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은 건조풍공급부(80)의 송풍덕트(85)를 거쳐 세척조(2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도어(30)의 개방의 개시된 후 즉시 고온 건조풍이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어(30)가 중간정지위치(P3)에 도달하기 전에 세척조(20) 내부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의 자동개방이 완료되어 도어(30)가 중간정지위치(P3)에 도달한 후에 고온 건조풍의 공급이 개시되는 경우에 비해서 세척대상물의 건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가 닫힘위치(P1)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결정하고 고온 건조풍의 공급의 계속되는 중에, 제어부(100)는 서브스위치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서브스위치의 출력신호가 ON-신호인지 OFF-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23)
제1 메인센서(361) 및 제2 메인센서(362)와 유사하게, 서브스위치의 출력신호는 도어(30)가 닫힘위치(P1)와 위험영역시작위치(P4) 사이에 있을 때에는 생성되는 ON-신호와, 도어(30)가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하였을 때 생성되는 OFF-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브스위치의 출력신호가 ON-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현재 도어(30)의 상태가 고온 건조풍공급에 적합한 위치, 즉 닫힘위치(P1)와 위험영역시작위치(P4) 사이의 안전영역(A3)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고온 건조풍의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고온 건조풍의 공급 계속 중에, 제어부(100)는 타이머(101)를 통해서 현재 경과시간이 소정의 고온건조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4)
여기서 소정의 고온건조시간은, 전체 건조행정의 진행시간의 일부가 되는 시간으로서, 설정시간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고 조정된 시간이 되거나, 메모리(102)에 미리 설정되고 저장된 시간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선택 및 조정이 없다면, 예시적으로 고온건조시간은 300초가 될 수 있다.
S24 단계에서 경과시간이 고온건조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예정된 고온건조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보고 고온 건조풍의 공급을 중단하기 위해 히터(84)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한다. (S27)
이 때, 고온 건조풍의 공급을 통한 고온건조는 중단되나, 저온건조는 계속될 수 있도록 제어부(100)는 송풍팬(82)에 대한 전력공급은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로부터 저온 공급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이 전환된다.
이를 통해, 건조행정이 완료되기 전에 소정 시간동안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여 세척대상물의 온도를 안전한 수준으로 내릴 수 있게 되고, 건조행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즉시 도어(30)를 풀개방하여 세척대상물을 세척조(20)로부터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24 단계에서 경과시간이 고온건조시간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아직 고온건조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고온 건조풍의 공급을 계속하게 된다.
다만, 공급되는 고온 건조풍이 적정한 온도범위에서 공급되고 있는지 또는 히터(84)에 과부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위해서, 제어부(100)는 고온 건조풍의 공급 중에 온도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S25)
여기서 온도감지부의 출력신호는, 써미스터(861)의 출력신호를 포함하며, 제어부(100)는 써미스터(861)의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건조풍공급부(80)에서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 또는 히터(84)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로부터 출력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6)
건조풍공급부(80)에서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은 소정의 적정 온도범위를 갖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예시적으로 적정 온도범위는 섭씨 115도 내지 섭씨 124도가 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임계온도는 섭씨 124도로 예시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현재 고온 건조풍의 온도가 섭씨 124도를 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과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적정 온도범위에서 작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S26 단계에서 현재 고온 건조풍의 온도가 임계온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건조풍공급부(80)에 과열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S26)
이 때, 과열된 고온 건조풍에 의해서 과열된 세척조(20) 내부 온도 및 건조풍공급부(8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제어부(100)는 송풍팬(82)에 대한 전력 공급은 유지한다. 즉 세척대상물 및 세척조(20)의 온도를 안전한 수준으로 내리기 위해, 히터(84)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송풍팬(82)을 가동시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을 전환하는 것이다.
S27 단계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작동이 전환된 후에, 제어부(100)는 타이머(101)를 통해서 현재 경과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8)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정시간은, 건조행정의 진행시간으로 예정된 시간이 될 수 있다.
S28 단계에서 경과시간이 설정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예정된 건조행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보고 송풍팬(8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을 중단한다. (S28) 즉, 건조풍 공급정지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을 전환한다.
S28 단계에서 송풍팬(82)의 작동이 중단되면, 제어부(100)는 전술한 S19 단계로 진행하여 건조행정 완료알람을 생성한다.
이와는 달리, S28 단계에서 경과시간이 설정시간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전술한 S27 단계로 진행하며 저온 건조풍의 공급모드를 유지하고, 이후 단계를 반복 진행하게 된다.
한편, S23 단계에서 서브스위치의 출력신호가 OFF-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고온 건조풍 공급 중에 현재 도어(30)의 상태가 안전영역(A3)을 이탈하여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S31)
이와 같이 도어(30)의 위치가 위험영역시작위치(P4)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00)는 음향출력부 또는 디스플레이(33)를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경고알람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S32)
여기서 경고알람은 음향출력부를 통해서 생성되는 음향적 경고알람 또는 디스플레이(33)를 통해서 생성되는 시각적 경고알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적 경고알람 또는 시각적 경고알람은, 도어(30)의 수동개방에 따른 고온 건조풍에 대한 위험경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경고알람을 통해서 현재 고온 건조풍이 공급 중인 상태에서 도어(30)가 수동으로 개방되어 사용자가 고온 건조풍에 노출될 수 있는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동개방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도어(30)의 수동개방에 의해서 고온 건조풍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고알람을 통해, 수동개방 동작을 중지하거나 도어(30)를 안전영역(A3)로부터 복귀시키는 등의 사용자는 조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고온 건조풍에 기인하는 사용자의 화상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1회의 경고알람에 의해서 사용자가 고온 건조풍 위험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인지 및 인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러한 경고알람은 반복적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경고알람이 생성되는 횟수를 누적하여 메모리(102)에 저장한다. (S34)
그리고, 제어부(100)는 누적된 경고알람 생성 횟수가 소정의 설정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4)
이 때, 소정의 설정횟수는 예시적으로 10회가 될 수 있다.
10회의 경고알람이 생성된 후에, 제어부(100)는 경고알람 생성을 중단하고,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 (S35, S36)
이 때, 제어부(100)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은 차단되나, 송풍팬(82)에 대한 전력 공급은 유지하여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이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는, 도어(30)가 과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고온 건조풍이 공급되면서 발생하는 건조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도어(30)가 중간정지위치(P3)를 이탈하여 수동개방된 상태에서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여 세척조(20)의 내부 및 세척대상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S36 단계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작동이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타이머(101)를 통해서 현재 경과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37)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정시간은, 건조행정의 진행시간으로 예정된 시간이 될 수 있다.
S37 단계에서 경과시간이 설정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예정된 건조행정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보고 송풍팬(8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을 정지한다. (S38)
S37 단계에서 송풍팬(82)의 작동이 중단되면, 제어부(100)는 전술한 S20 단계로 진행하여 건조행정 완료알람을 생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세척조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건조풍공급부
90: 베이스 100: 제어부

Claims (18)

  1.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공간의 전면을 폐쇄시키는 닫힘위치와, 상기 세척공간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개방시키는 풀개방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위치를 검출하는 도어위치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위치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닫힘위치와 상기 풀개방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위험영역개시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서,
    상기 도어위치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어위치감지부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위치감지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메인센서;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서브센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서,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세척조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서포터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도어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상기 서포터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브라켓;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타단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식기세척기.
  4. 제3 항에서,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로프; 및
    일단이 상기 힌지브라켓의 타단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로프의 타단에 연결되는 로프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상기 로프커넥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식기세척기.
  5. 제4 항에서,
    상기 도어를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닫힘위치와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정지위치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세척공간의 전면을 부분개방시키는 도어자동개방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정지위치는,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한 회전력과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서로 평형이 되는 위치인 식기세척기.
  6. 제5 항에서,
    상기 닫힘위치와 상기 중간정지위치까지의 영역은 상기 도어자동개방모듈에 의해서 자동개방되는 자동개방영역이 되고,
    상기 중간정지위치로부터 상기 풀개방위치까지의 영역은 수동으로 개방되는 수동개방영역이 되며,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는 상기 수동개방영역 내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7. 제4 항에서,
    상기 서브센서는,
    상기 로프커넥터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상기 서포터브라켓에 고정되는 센서하우징;
    상기 센서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로프커넥터의 위치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봇레버; 및
    상기 피봇레버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이크로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피봇레버에 의한 상기 푸쉬버튼의 눌림여부를 감지하는 식기세척기.
  8. 제7 항에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 사이가 되는 경우에,
    상기 로프커넥터에 의해서 상기 피봇레버는 상기 푸쉬버튼을 향해 가압되고,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피봇레버에 의해서 눌림상태가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9. 제8 항에서,
    상기 도어의 위치가 상기 위험영역개시위치가 되면,
    상기 로프커넥터에 의한 상기 피봇레버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상기 푸쉬버튼은 상기 눌림상태가 해제되는 식기세척기.
  10. 제7 항에서,
    상기 피봇레버는,
    상기 센서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원통형 베이스부; 및
    일단부가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로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커넥터의 가압력은 상기 로드부를 통해 상기 푸쉬버튼으로 전달되는 식기세척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로프커넥터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로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1 항에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선형연장부;
    상기 선형연장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로프커넥터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후크형상부; 및
    상기 선형연장부와 상기 후크형상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로프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커넥터의 가압력은 상기 후크형상부로 전달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로드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두께, 상기 후크형상부의 두께,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3 항에서,
    상기 로드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두께, 상기 후크형상부의 두께, 및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되는 식기세척기.
  15. 제12 항에서,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폭, 상기 후크형상부의 폭, 및 상기 연결부의 폭은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16. 제15 항에서,
    상기 원통형 베이스부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선형연장부의 폭, 상기 후크형상부의 폭, 및 상기 연결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게 되는 식기세척기.
  17. 제12 항에서,
    상기 후크형상부의 곡률과, 상기 연결부의 곡률은 각각 일정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18. 제17 항에서,
    상기 후크형상부의 곡률은 상기 연결부의 곡률보다 더 작게 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091679A 2021-07-13 2021-07-13 식기세척기 KR20230011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679A KR20230011086A (ko) 2021-07-13 2021-07-13 식기세척기
EP22184434.3A EP4119027A1 (en) 2021-07-13 2022-07-12 Dishwasher
US17/863,966 US20230016599A1 (en) 2021-07-13 2022-07-13 Dish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679A KR20230011086A (ko) 2021-07-13 2021-07-13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086A true KR20230011086A (ko) 2023-01-20

Family

ID=8245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679A KR20230011086A (ko) 2021-07-13 2021-07-13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16599A1 (ko)
EP (1) EP4119027A1 (ko)
KR (1) KR202300110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4232S1 (en) * 2020-08-07 2023-11-07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Dishwash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13A (ko) 2019-11-28 2021-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N20110080A1 (it) * 2011-11-29 2013-05-30 Indesit Co Spa Lavastoviglie.
US9378630B2 (en) * 2013-10-08 2016-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input on an apparatus having a user interface
DE102017211855A1 (de) * 2017-07-11 2019-01-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zumindest einer beweglichen Tür oder Klappe
WO2019242196A1 (zh) * 2018-06-20 2019-12-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及洗碗机的门体控制装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13A (ko) 2019-11-28 2021-06-07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9027A1 (en) 2023-01-18
US20230016599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582B2 (en) Multiple spray arm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EP2039278B1 (en) Steam dish washer
US20230277033A1 (en) Dishwasher providing notification for replacing filter and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for replacing a filter
US8025743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230011086A (ko) 식기세척기
JP2006230498A (ja) 食器洗い機
US7556050B2 (en) Self-drainage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KR20230011085A (ko) 식기세척기
JP3429424B2 (ja) 食器洗浄器
KR100390806B1 (ko) 자동 식기 세척기
KR20230103444A (ko) 식기세척기
KR100783428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헹굼수탱크 온도감지구조
KR20210057424A (ko) 식기세척기
JP4347232B2 (ja) 食器洗浄機
KR20230131035A (ko)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JP4776557B2 (ja) 食器洗浄機
KR2023010344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39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3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JP4129412B2 (ja) 食器洗浄機
JP4636621B2 (ja) 食器洗い機
KR100866883B1 (ko) 식기세척기
JPH11206684A (ja) 食器洗い乾燥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