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908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908A
KR20230130908A KR1020220028089A KR20220028089A KR20230130908A KR 20230130908 A KR20230130908 A KR 20230130908A KR 1020220028089 A KR1020220028089 A KR 1020220028089A KR 20220028089 A KR20220028089 A KR 20220028089A KR 20230130908 A KR20230130908 A KR 20230130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isposed
housing
paragraph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영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908A/ko
Publication of KR2023013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건조풍공급부가 비체결방식으로 베이스에 배치되고 추가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터브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건조풍공급부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공수가 감소됨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전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외부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서 건조풍공급부의 하부 측을 베이스에 대해서 연결하는 복수의 레그가 베이스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건조풍공급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이 베이스에 대한 부분적인 상대이동이 발생하여 이들의 연결부분에서의 소성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건조풍공급부가 비체결방식으로 베이스에 배치되고 추가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터브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건조풍공급부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공수가 감소됨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전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건조행정 중에 고온의 건조풍을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세척대상물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등록공보 제5524358호 (선행문헌 001)에는, 세척 및 행굼행정이 완료된 후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도어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는 걸레받이 측 또는 측면 측에 외기가 흡기되는 흡입구 및 필터를 배치하여 외기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먼지 등을 여과하여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001의 열풍공급장치는, 식기세척기의 전면 또는 측면 측에 흡입구 및 필터가 배치되기 때문에 걸레받이 측이 전체적으로 막힌 타입이거나 또는 부엌가구장에 매립되는 빌트인 타입인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게 된다. 즉, 식기세척기의 타입 별로 흡입구 및 필터의 위치가 다르게 설계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설계 비용 또는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제품의 타입에 구애받지 않고 필터를 배치하고 교환가능하도록 구성하게 위해, 최근 터브의 바닥면 또는 하면에 통과하여 필터가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 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베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열풍공급장치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공수가 증가됨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전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미국특허등록공보 제55243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건조풍공급부가 비체결방식으로 베이스에 배치되고 추가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터브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건조풍공급부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공수가 감소됨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전체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풍공급부가 외부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서 건조풍공급부의 하부 측을 베이스에 대해서 연결하는 복수의 레그가 베이스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건조풍공급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이 베이스에 대한 부분적인 상대이동이 발생하여 이들의 연결부분에서의 소성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터브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터브에 지지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내부에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이 수용되는 팬하우징; 및 내부에 상기 팬하우징이 배치되는 팬하우징수용공간과, 내부에 필터부재가 교체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수용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필터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팬하우징수용공간은 상기 필터수용공간보다 더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팬하우징수용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는, 좌우??항 폭이 전후방향 두께보다 더 큰 평판형상을 갖는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섬프의 하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프의 하부에는, 상기 섬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 중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최외곽리브로부터 후방으로 소정의 제1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제1 간격은, 상기 제1 리브의 전후방향 두께보다 더 작거나 같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는,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 두께보다 더 큰 평판형상을 갖는 제2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의 전방단부면은 상기 제2 리브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브의 상단면은,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가 배치되는 히터하우징; 및 상기 히터하우징을 통과한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연결덕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원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제2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시트는,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시트의 두께는 상기 소정의 제2 간격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서로 분리되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터브에 연결되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터브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개구된 상단을 통해서 내부에 필터부재가 교체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중공의 필터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된 상단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수나사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하부 측에 형성되고 제1 플랜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결합하는 제1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의 하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필터교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는 상기 필터교체홀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교체홀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필터교체홀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체결너트가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필터교체홀은 상기 제1 체결너트와 상기 제1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이 상기 터브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가 배치되는 히터하우징; 및 상기 히터하우징을 통과한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고, 개구된 상단을 통해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상기 세척공간을 향해 배출하는 연결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연결덕트부의 개구된 상단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수나사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하부 측에 형성되고 제2 플랜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결합하는 제2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의 하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나사부는 상기 건조풍공급홀을 통과하여 상기 건조풍공급홀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건조풍공급홀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체결너트가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건조풍공급홀은 상기 제2 체결너트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덕트부가 상기 터브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터브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스토퍼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섬프의 하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부의 제2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부의 제2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완충시트의 두께는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더 작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하면을 통해 필터부재의 교체시 인입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타입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건조풍공급부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비체결방식으로 베이스에 결합되고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건조풍공급부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공수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부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서 건조풍공급부를 베이스에 대해서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가 베이스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건조풍공급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물이 베이스에 대한 부분적인 상대이동이 발생하여 이들의 연결부분에서의 소성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풍공급부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필터부재 및 필터하우징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바텀 터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연결덕트부 및 연결덕트부를 터브에 고정하기 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필터하우징을 구성하는 제2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5는 섬프와 필터하우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수펑방향 단면도이다.
도 16은 섬프와 필터하우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도 17은 베이스과 터브연결덕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상면 외측에는 도어를 자동개방하기 위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후술하는 건조풍공급부(80)가 작동되어 터브(20)의 내부로 건조풍이 공급되면, 도어(30)를 소정의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터브(20)의 전면(22)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식기를 건조하면서 습해진 공기는 개방된 터브(20)의 전면(22) 상측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도어(30)의 후면 상단을 개방위치까지 회전이동시키는 푸쉬로드(35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의 세척공간으로 고온 또는 저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883)와,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825)과,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84)와,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건조풍 기류의 안내하는 기류가이드(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홀(254)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건조풍공급부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에 수용되고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누수감지부와 베이스(90)의 후면(93) 사이의 위치에 대체로 베이스(90)의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위치는,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대략 100℃ 이상의 고열이 발생되는 건조풍공급부(80)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고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장부품을 회피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위치는 터브(20)의 하면(25)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254)에 위치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건조풍이 유입되는 건조풍공급홀(254)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254)로 효과적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부(80)는 건조풍공급홀(254)의 하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건조풍공급부(80)의 배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달리 베이스(90)의 후면(93)이 아닌 좌측면(94), 우측면(95) 또는 전면(9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건조풍공급부(80)가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하여 후면(93)에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90)의 저면(91)에는 건조풍공급부(80)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리브(미도시)와, 터브(20)로부터 세척수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미도시)의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리브(미도시)와, 건조풍공급부(8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누수감지부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수리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서포트리브, 가이드리브 및 세척수리브는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리브에는 후술하는 건조풍공급부(80)의 제1 레그(891), 제2 레그(892) 및 제3 레그(893)가 비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레그(891), 제2 레그(892) 및 제3 레그(893)가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서포트리브에 단순 거치되는 방식으로 건조풍공급부(80)가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해서 지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을 생성하여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80)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송풍팬과, 건조풍을 가열하는 히터(84)와, 내부에 히터(84)가 수용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링부(8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미도시)은, 히터(84) 및 히터하우징(81)에 대해서 건조풍 기류(F)의 방향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며,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로 공기를 가속하여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과, 송풍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는 상호간 모듈화되어 팬하우징(8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과 팬하우징(82)은, 후술하는 필터링부(88)의 필터하우징(881)과 히터하우징(81)을 연결하는 하우징커넥터(87)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송풍팬과 팬하우징(82)은 하우징커넥터(87)에 고정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필터하우징(88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에 적용되는 송풍팬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송풍팬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로코팬의 중앙으로부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824)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공기가 가속되어 배출될 수 있다.
가속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풍 기류(F)를 형성하며 팬하우징(82), 하우징커넥터(87)의 유입구(8712)를 거쳐 히터하우징(81)의 내부의 공기통로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때, 시로코팬이 되는 송풍팬 및 모터의 회전축(8251)은 예시적으로 대체로 상하방향(U-D방향)에 나란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링된 공기는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한편,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는 하면(824)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팬하우징(82)의 상면(821)의 내측에는 모터의 제어를 위한 PCB 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하우징커넥터(87)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연결탭(872)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연결탭(872)은 커넥터본체(871)의 유입구(8712)로부터 팬하우징(82)의 상면(821)을 커버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결탭(87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탭(87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보스(873)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보스(873)는, 베이스(9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링부(88)의 상부하우징에 해당하는 제1 하우징(881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보스(8811e)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커넥터(87)의 커넥터본체(871)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히터하우징(81)의 개방된 전단에 결합하여 히터하우징(81)과 함께 건조풍 기류가 유동하는 공기통로(C)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본체(871)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박스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본체(871)의 내부면은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점전적으로 공기통로(C)의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히터하우징(81)이 결합되는 후단부(871b)의 단면적은 히터하우징(81)의 선단부의 단면적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풍 기류의 유동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팬하우징(82)과 히터하우징(8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커넥터본체(871)의 하부에는 베이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레그(89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박스 형상의 커넥터본체(871)의 상면 및 전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커넥터본체(871)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은, 히터(84)가 공기통로(C)의 내부에 배치 및 고정되는 과정에서 히터(84)가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 및 커넥터본체(871)와 분리된 상태로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히터(84)의 전단 측은 단자고정부에 의해서 커넥터본체(87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단자고정부의 전면에는 한 쌍의 단자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본체(871)의 부분 개방된 전면은 단자고정부의 외형에 대응하여 단자고정부가 슬라이딩 결합하는 U-자 형상의 고정슬롯(8711)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고정부는, 고정슬롯(8711)의 모서리에 의해서 상하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되고, 고정슬롯(8711)의 모서리와 결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본체(871)의 부분 개방된 상단은 어퍼하우징(812)에 의해서 커버되고 차폐될 수 있다.
결합면(8716)의 하부에는, 커넥터본체(871)의 내부로 진입된 어퍼하우징(812)의 선단부를 하측방향에서 지지하는 역할하는 다수의 제2 지지리브(8715)가 구비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는 커넥터본체(871)의 후단부(871b)는, 히터하우징(81)과 끼움 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본체(871)의 후단부(871b)는 부분적으로 히터하우징(8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면접촉이 형성되는 끼움 결합을 형성하도록, 커넥터본체(871)의 후단부(871b)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지지리브(8714)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84, 도 10)는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통로의 내부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어 건조풍 기류(F)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풍공급부(80)가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전력이 공급되어 건조풍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건조풍공급부(80)가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4)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건조풍 기류(F)가 생성될 수 있도록 송풍모터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에 구비되는 히터(84)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하며, 터브(20)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역유입세척수에 의한 누전방지에 유리한 튜브 형상의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시즈히터가 되는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 내부의 공기통로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며, 열전달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다수회 절곡되는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84)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하우징커넥터(87)의 커넥터본체(871)의 전면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히터(84)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가 단자고정부(미도시)를 통해 커넥터본체(871)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본체(871)의 전면에는 단자고정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슬롯(871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84)의 선단 측은 단자고정부를 통해서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히터(84)의 후단 측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일 히터브라켓(845)을 통해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즉, 히터(84)의 후단 측은 히터브라켓(845)을 통해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공기통로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어퍼하우징(812)의 상측면(8121a)에는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86)로서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와,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써모스탯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고온 건조풍의 온도 및 과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과열 발생시에 제어부는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은 내측에 전술한 히터(84) 및 히터브라켓(845)이 배치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건조풍 기류(F)가 이동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F)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해당하는 히터하우징(81)의 전단부와 하류 측에 해당하는 후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는, 히터하우징(81)의 좌측 단부 측에 상측방향(U-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덕트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은 터브(20)의 하면(25)의 아래에 배치된다. 연결덕트부(85)는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미리 설정된 위치, 즉 터브(20)에 형성된 건조풍공급홀(254)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는 터브(20)의 하면(25)이 될 수 있고, 연결덕트부(85)로 안내된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건조풍공급홀(254)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23) 및 좌측면(26)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터브(20)의 건조풍공급홀(254)과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하단부(8512)가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에 유체연통되고 상단부(8511)가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건조풍공급홀(254)에 연결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는 히터하우징(81)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사각형상의 배출구의 단면 형상을 고려하여 덕트본체(851)의 하단부는 사각 통형상이 될 수 있으며, 누수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의 상단부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와 터브(20)의 건조풍공급홀(254)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에는 덕트본체(851)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세척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류가이드(83)가 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링부(88)는 송풍팬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여 히터(84)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히터(8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필터링부(88)는, 송풍팬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883)와, 내부에 필터부재(883)가 교체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수용공간(S1) 및 팬하우징(82)이 배치되는 팬하우징수용공간(S2)이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필터하우징(88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필터하우징(881)은 예시적으로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된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하우징(8811)은 상부하우징이 될 수 있고 제2 하우징(8812)은 하부하우징이 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881)은 필터부재(883)와 송풍팬의 팬하우징(82)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8811)은 필터부재(883)와 팬하우징(8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터부재(883)의 상부 및 팬하우징(82)의 상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수용부(8811a)와 팬하우징수용부(8811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측에 제2 하우징(88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와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전체적으로 하면 개방되어 있다.
필터수용부(8811a)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팬하우징수용부(8811b)보다는 더 상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수용부(8811a)는, 예시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는 필터부재(883)의 교체 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수용부(8811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8812)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필터가이드리브(8811k)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수용부(8811a)의 상단에는 필터부재(883)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형형상으로 개방되는 결합개구(881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재(883)는 결합개구(8811c)를 통과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8812)의 필터수용부(8812a)까지 이동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수용부(8811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필터수용부(8811a)의 우측에 히터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수용부(8811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송풍팬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하우징(82)의 상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상면은 평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상면 중앙 측에는 송풍팬의 전술한 PCB 기판 및 모터의 냉각을 위해서 PCB 기판이 구비되는 팬하우징(82)의 상면(821)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통기홀(8811f)이 구비될 수 있다. 통기홀(8811f)이 하부에는 팬하우징(82)의 상면(821)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형 통기덕트(8811g)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상면에는 일단부가 통기덕트(8811g)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하우징(8811)의 전면까지 연장되는 슬릿 형태의 배수채널(8811h)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기홀(8811f)로 유입된 세척수는 배수채널(8811h)을 통해 이동되어 베이스(90)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8811)의 상면은, 필터수용부(8811a)의 상단과 팬하우징수용부(8811b)를 연결하는 경사면(8811b1)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채널(8811h)은 필터수용부(8811a)의 상단으로부터 누수된 후 경사면을 타고 통기덕트(8811g)로 유입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척수가 통기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단리브가 제1 하우징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단리브는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제1 차단리브(8811i1)와, 경사면(8811b1)에 구비되는 제2 차단리브(8811i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리브(8811i1)를 선형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차단리브(8811i2)는 곡선형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8811)의 내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팬하우징(82)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보스(8811e)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보스(8811e)는, 전술한 하우징커넥터(87)의 연결탭(872)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연결탭(872)에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보스(873)에 각각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하우징(8811)의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좌측면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하우징커넥터결합홀(881a)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하우징커넥터결합홀(881a)의 나머지 일부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8812)의 팬하우징수용부(8812b)의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커넥터결합홀(881a)을 통과하여, 하우징커넥터(87)의 커넥터본체(87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필터하우징(88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커넥터결합홀(881a)의 형상은 커넥터본체(871)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필터하우징(881)의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필터부재(883)와 팬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하우징(8811)과 유사하게, 제2 하우징(8812)은 필터부재(883)의 하부 및 팬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수용부(8812a)와 팬하우징수용부(8812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8812)의 필터수용부(8812a)에는 필터부재(883)의 인입 시에 필터부재(883)의 이동을 안내하고 정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가이드리브(8812f)는 필터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단은 필터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형상을 갖는 필터부재(883)의 외형에 대응하여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는 필터부재(883)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 및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의 중심으로서 필터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에는 베이스(9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며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하부흡기구(8812c)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흡기구(8812c)는, 실린더 형상을 갖는 필터부재(883)의 하부개구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개구를 통과하여 필터부재(883)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원활히 도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 위치 및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8812)의 바닥면(8812e)에는 이와 같이 여과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누설되어 필터하우징(881)의 내부공간으로 직접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기밀수단으로서 한 쌍의 환형 리브가 하부흡기구(8812c)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2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수용부(8812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필터수용부(8812a)의 우측에 히터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수용부(8812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송풍팬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하우징(82)의 하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8812e)은, 여과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팬하우징(82)의 하면(824)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며, 바람직하게는 수평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을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8812e)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팬하우징수용부(8812b)의 내부에는 바닥면(8812e)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융기면부(8812e3) 및 스크류보스(8812e2)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타구조물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예를 들면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의 리브들 및 누수감지부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개별 융기면부(8812e3)의 형상은 회피되는 타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팬하우징(82)을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이 개별 융기면부(8812e3)의 상단면에 면접촉되는 관계가 되도록 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베이스(80)에 대해서 필터하우징(881)이 전후방향으로 상대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크류보스(8812e2)는, 개별 융기면부(8812e3)와 함께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류보스(8812e2)에는 팬하우징(82)과 하우징커넥터(87)의 연결탭(872)을 동시에 체결하는 한 쌍의 스크류볼트 중 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홀(8812e1)이 구비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볼트홀(8812e1)은 복수의 융기면부(8812e3)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단과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탈착가능한 결합관계를 달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는 제2 하우징(8812)을 향해 연장되는 체결탭(8811d)이 구비되고,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에는 체결탭(8811d)에 후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후크돌기(8812d)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의 결합개구(8811c)에는 터브연결덕트(88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및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부(88)의 필터부재(883)는 터브(20)의 하면(25)을 통해 필터부재(883)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는 터브(20)의 하면(25)과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터브연결덕트(882)는 터브(20)의 하면(25)과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를 상호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연결덕트(882)는,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연결덕트(882)가 제1 하우징(8811)에 별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와 유사하게,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25)을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하면(25)에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교체홀(253)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5)의 하면(25)의 중앙 측에는 섬프(41)가 장착되는 섬프홀(252)이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20)의 하면(25)은 세척수가 섬프홀(252)로 효과적을 모일 수 있도록 섬프홀(252)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하강하는 경사각을 갖는 수렴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교체홀(253)은 섬프홀(252)의 후방 위치로서 수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홀(254)과 구분하기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 및 우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부재(883)의 교체를 위한 인출 및 인입의 편의를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은 건조풍공급홀(254)보다 터브(20)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연수기연통홀(255)보다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교체홀(253)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수기연통홀(255)은, 예시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연수기(미도시)로의 연수제 투입 등의 목적을 가지나, 급수부의 정수필터(미도시) 등 다른 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필터교체홀(253)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기준으로 연수기연통홀(255)과 건조풍공급홀(2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필터교체홀(253)은 연수기연통홀(255)와 건조풍공급홀(254)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브(20)의 하면(25)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더라도 터브(2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비틀림강성이나 굽힘 강성에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교체홀(253)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수기연통홀(255)와 구별을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을 통과하여 세척공간에 노출되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에는 연수제투입구(255)와 다른 형상 또는 색상을 갖는 밀폐캡(884)이 적용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터브(20)의 필터교체홀(253)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터브연결덕트(882)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측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8823)와, 수나사부(8824)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25)을 관통하여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며,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수나사부(88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브(20)의 하면(25)을 통과하여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교체홀(253)은 터브(20)의 하면(25)에 구비되는 수렴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교체홀(253)에 결합되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및 플랜지(8823)는 터브(20)의 수렴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상태, 즉 수직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되는 수나사부(8824)에는 체결너트(886)가 결합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고정 및 체결 시에, 터브(20)의 내부에서 수나사부(8824)에 체결너트(886)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8823)와 터브(20)의 하면(25) 사이에는 체결너트(886)의 풀림방지 및 누수방지를 위한 제1 가스켓(88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체결너트(886)를 통해서 터브연결덕트(882)가 터브(20)의 하면(25)에 고정되면,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에는 밀폐캡(884)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밀폐캡(884)과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이한 기밀링(887)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하단부(8822) 사이로서, 필터수용공간(S1)의 상측에 해당하는 플랜지(8823)의 아래 위치에는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상부흡기구(8826)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부흡기구(8826)는 원통 형상을 갖는 터브연결덕트(88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흡기구(8826)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 및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개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흡기구(8826)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상부흡기구(8826)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대략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성을 갖는 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터브연결덕트(882)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의 관통개구로서 구비되는 상부흡기구(8826)는 상하방향 높이가 원주방향 폭보다는 더 작은 슬릿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흡기구(8826)를 구성하는 다수의 관통개구는,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외부공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각각 동일한 개방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부흡기구(8826)는, 필터부재(883)가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흡기구(8826)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터브(20)와 필터부재(883)의 상면(8835)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부흡기구(8826)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필터부재(883)의 내부로 진입된 후 기류방향이 전환되고, 필터부재(883)의 외주면(8832)을 통과하면서 여과가 진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부(88)는 서로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하부흡기구(8812c)와 상부흡기구(8826)를 포함하는 2개의 흡입경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필터부재(883)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대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건조풍 기류(F)의 유량이 종래에 비해서 충분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외부공기의 흡입경로 및 필터부재를 통과한 건조풍 기류의 유동경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터브연결덕트(882)의 하단부(8822)에는 제1 하우징(8811)의 결합개구(8811c)에 대한 탈착가능한 체결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부(8825)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8825)는 후크결합 방식으로 제1 하우징(8811)의 결합개구(8811c)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될 수 있다.
[여과 전후의 공기의 유동경로]
이하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필터부재(883)를 통과하기 전의 외부공기의 유동경로 및 필터부재(883)를 통과하여 여과된 건조풍 기류(F)의 유동경로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필터하우징(881)은 서로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베이스(90)와 터브(20) 사이의 공간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복수의 흡기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도입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흡기구는, 필터수용공간(S1)의 상측으로서 터브연결덕트(882)에 구비되는 상부흡기구(8826)와, 필터수용공간(S1)의 하측으로서 제2 하우징(8812)의 바닥면(8812e)에 구비되는 하부흡기구(88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흡기구(8826)와 하부흡기구(8812c)는 터브(20)와 베이스(90)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필터하우징(881)의 가장 높은 위치 및 가장 낮은 위치에 각각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호간 흡입되는 공기유량에 영향이 최소화되는 상태에서 2개의 흡입구를 통해서 외부공기가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세척대상물의 건조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유량이 확보될 수 있고, 건조시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흡기구(8826)는 대략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흡기구(8826)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갖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하부흡기구(8812c)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8812e)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흡기구(8812c)는 수직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베이스(90)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하부흡기구(8812c)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수직방향에 나란한 공기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흡기구(8826)를 통해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흡기구(8826)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흡기구(8812c)를 통해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부재(883)가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흡기구(8812c)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는 필터부재(883)의 하부개구로 진입될 수 있다.
필터부재(883)가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부재(883)의 상단 측 및 필터부재(883)의 하단 측에는 미여과된 공기가 필터하우징(881) 내부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들 기밀수단은, 제1 하우징(8811)의 결합개구(8811c)에 고정되는 제2 가스켓(8852) 및 제2 하우징의 하부흡기구(8812c) 주위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환형 리브(8812g)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흡기구(8826)와 하부흡기구(8812c)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누설없이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 및 하부개구로 각각 진입될 수 있다.
한편,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는 터브(20)의 하면(25)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필터부재(883)의 하부개구는 베이스(9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부개구를 통과하면서 하측방향으로 기류방향이 전환되고, 하부개구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상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883)의 내부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부재(883)의 여과재을 통과해 전체적으로 상하방향 및 원주방향에 걸쳐 균등하게 도입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재(883)의 내주면(8831)으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여과되어 필터부재(883)의 외주면(8832)을 통과하면서 배출되고, 배출된 즉시 유동방향이 전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883)의 외주면(8832)을 통과한 여과공기는 필터하우징(881)의 바닥면(8812e)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을 향하도록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은 필터부재(883)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바닥면(8812e)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팬하우징(82)의 하면(824)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필터부재(883)를 통과한 공기는 하측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을 향해 유동하게 되고, 팬하우징(82)의 하면(824)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필터부재(883)를 통과한 공기는 상측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동경로를 통해 팬하우징(82)의 내부로 도입된 여과공기는 팬에 의해서 가속된 후 배기덕트(822)를 거쳐 하우징커넥터(87) 및 히터하우징(81)의 내부공간으로 도입되면서 건조풍 기류(F)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건조풍공급부의 상대이동 제한 수단]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를 구성하는 건조풍공급부(80)의 상대이동 제한 수단을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 중에서 필터하우징(881)은 터브연결덕트(882)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터브(20)의 하면(25)을 구성하는 바텀 터브(20c)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25)에 형성되는 필터교체홀(253)을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측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8823)와, 수나사부(8824)가 구비되며, 터브(20)의 필터교체홀(253)를 통과하여 세척공간(21)에 배치되는 수나사부(8824)에는 체결너트(886)가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연결덕트부(85)의 구성과 구별하기 위해서, 터브연결덕트(882)의 플랜지(8823)와 수나사부(8824), 및 체결너트(886)는 각각 제1 플랜지부, 제1 수나사부 및 제1 체결너트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터브(20)의 내부에서 제1 수나사부(8824)에 제1 체결너트(886)를 나사결합시키면,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필터교체홀(253)이 제1 체결너트(886)와 제1 플랜지(8823)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필터하우징(881) 및 터브연결덕트(882)가 터브(20)의 하면(25)에, 즉 바텀 터브(20c)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수나사부(8824), 제1 플랜지(8823) 및 제1 체결너트(886)는 건조풍공급부(80)를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부를 구성하게 된다.
즉,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제1 체결부를 통해서 바텀 터브(20c)에 고정되면,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건조풍공급부(80)의 상류 측은 터브연결덕트(882)에 의해서 상하방향 상대이동이 제한되고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 중에서 히터하우징(81)은 연결덕트부(85)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바텀 터브(20c)에 연결되고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는 터브(20)의 하면(25)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254)을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 측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8513)와, 수나사부(8514)가 구비되며, 바텀 터브(20c)의 건조풍공급홀(254)를 통과하여 세척공간(21)에 배치되는 수나사부(8514)에는 체결너트(852)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터브연결덕트(882)의 구성과 구별하기 위해서, 연결덕트부(85)의 플랜지(8513)와 수나사부(8514), 및 체결너트(852)는 각각 제2 플랜지부, 제2 수나사부 및 제2 체결너트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터브(20)의 내부에서 제2 수나사부(8514)에 제2 체결너트(852)를 나사결합시키면,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가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건조풍공급홀(254)이 제2 체결너트(852)와 제2 플랜지(8513)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덕트부(85)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들 제2 수나사부(8514), 제2 플랜지(8513) 및 제2 체결너트(852)는 건조풍공급부(80)를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부를 구성하게 된다.
즉,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가 제2 체결부를 통해서 바텀 터브(20c)에 고정되면,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건조풍공급부(80)의 하류 측은 덕트본체(851)에 의해서 상하방향 상대이동이 제한되고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들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통해 추가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건조풍공급부(80)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대한 지지구조 및 고정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배치하는 제1 체결부와,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배치되는 제2 체결부를 통해서 2개소에서 바텀 터브(20c)에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는 바텀 터브(20c)를 좌우를 따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분리되고 이격된 위치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의 상부 측은 바텀 터브(20c) 및 베이스(90)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이동 및 좌우방향 상대이동이 최소화되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의 하부 측은 복수의 레그(891, 892, 893)를 통해서 단순 거치된 상태로 베이스(90)의 복수의 지지리브(미도시)를 통해 베이스(9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건조풍공급부(80)의 하부 측은 베이스에 대한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 상대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건조풍공급부(80)의 실질적 무게중심은 복수의 레그(891, 892, 893)보다 상측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보다 하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당히 큰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관성에 의해서 각각의 레그(891, 892, 893)가 각각의 지지리브들로부터 이탈되거나 각각의 레그(891, 892, 893)가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를 구성하는 필터하우징(881), 히터하우징(81), 하우징커넥터(87)는 각각 별개로 제조되어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외부충격에 의해서 바텀 터브(20c) 및 베이스(90)에 대한 부분적인 전후방향 상대이동 또는 상대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이들의 연결부분에서의 소성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레그(891, 892, 893)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서, 베이스(90)에 대한 건조풍공급부(80)의 전후방향 상대이동을 소정 수준 이하로 제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건조풍공급부(80)의 전후방향 상대이동 제한 수단 중 제1 수단은, 필터하우징(881)을 구성하는 제2 하우징(8812)에 구비되는 복수의 융기면부(8812e3)와, 복수의 융기면부(8812e3)에 대응하여 베이스(90)에 구비되는 타 구성물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하우징(82)을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8812e)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팬하우징수용부(8812b)의 내부에는 바닥면(8812e)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융기면부(8812e3)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팬하우징(82)을 지지함과 동시에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타구조물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90)의 리브들 및 누수감지부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개별 융기면부(8812e3)의 형상은 회피되는 타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베이스(90)에 대해서 제2 하우징(8812)이 전후방향 상대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바닥면(8812e)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바닥면(8812e)과 각각 경사면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8812)을 포함하여 필터하우징(88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후방향 상대이동시킬 수 있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복수의 융기면부(8812e3)와 바닥면(8812e)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각각 대응하는 베이스(90)의 리브들 및 누수감지부과 접촉하여 필터하우징(881)의 전후방향 상대이동을 소정 수준이하로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필터하우징(881)이 외부 충격에 의해서 전방 상대이동이 발생되는 경우라면 전방에 배치되는 융기면부(8812e3)의 주변 경사면이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되고, 필터하우징(881)이 외부 충격에 의해서 후방 상대이동이 발생되는 경우라면 후방에 배치되는 융기면부(8812e3)의 주변 경사면이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의 전후방향 상대이동 제한 수단 중 제2 수단은, 필터하우징(881)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8811)에 구비되는 스토퍼리브(8811j)와, 섬프(41)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강리브(4134)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섬프(41)는 터브(20)의 하면(25)의 하부 측에 배치되어 세척행정 또는 행굼행정 중 이용될 세척수를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섬프(41)는, 터브(20)의 하면(25)의 하부 측에 결합되는 섬프바디(411)와,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부(412)와, 공급유로 전환밸브(미도시)가 배치되는 밸브결합부(4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바디(411)는 대략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섬프바디(411)는 상면에 세척수를 집수부(41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향구배를 갖는 경사면(4111)이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412)는 섬프바디(411)의 경사면(4111)을 통해 집수된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저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상을 갖는 집수부(412)의 상단부(4121)는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섬프바디(411)의 경사면(4111)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집수부(412)의 외측면에는, 급수유로(43, 도 1)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집수부(412) 내로 유입되는 급수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집수부(412)의 외측면에는, 배수펌프(미도시)가 장착되며 배수유로(44, 도 1)가 연결되고 집수부(412) 내의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412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섬프(41)는, 섬프바디(411)의 상측으로서 집수부(41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공급유로 전환밸브가 배치되는 밸브결합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결합부(413)는, 섬프바디(411)의 상측면에 구비되고,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결합부(413)는, 밸브결합부(413)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중공의 원통형상인 외벽(4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밸브결합부(413)의 상측면에는, 세척수공급홀(4132)이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공급홀(4132)은, 밸브결합부(413)로부터 하측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공급홀(4132)을 통하여, 세척수가 급수펌프(45)로부터 밸브결합부(4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결합부(413)의 하부에는 구동부를 구성하는 타부재들을 고정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보스(4133)와, 세척수공급홀(4132)의 형상을 유지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리브(4134)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보강리브(4134) 중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최외곽리브(4134a)는, 베이스(90)에 대한 필터하우징(881)의 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기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881)의 제1 하우징(8811)의 상면에는 스토퍼리브(8811j)가 구비될 수 있다.
상호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필터하우징(881)을 구성하는 제1 하우징(8811)의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섬프(41)의 후방으로서 섬프(41)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필터하우징(881)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섬프(41)의 최외곽리브(4134a)를 이용하여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리브(8811j)는 제1 하우징(8811)의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섬프(41)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881)이 베이스(90)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토퍼리브(8811j)는 밸브결합부(413)의 하부 후방으로서 최외곽리브(4134a)에 대해서 후방으로 소정의 제1 간격(G1)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스토퍼리브(8811j)는, 평판형상의 제1 리브(8811j1)와, 제1 리브(8811j1)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1 리브(8811j1)를 보강하기 위한 평판형상의 제2 리브(8811j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리브(8811j1)는 좌우방향 폭이 전후방향 두께(tr)보다 더 크게 되며, 전후방향 두께(tr)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평판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리브(8811j1)의 상단부 측과 최외곽리브(4134a) 사이의 접촉 가능 면적이 최대한 크게 확보될 수 있다.
제2 리브(8811j2)는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 두께보다 더 크게 되며 좌우방향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평판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리브(8811j1)의 전후방향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브(8811j1)의 전면 상단과 최외곽리브(4134a)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제1 간격(G1)은 제1 리브(8811j1)의 전후방향 두께(tr)보다 더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리브(8811j1)와 최외곽리브(4134a)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상태에서, 베이스(90)에 대한 필터하우징(881)의 전방 상대이동이 제1 간격(G1)의 수준으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2 리브(8811j2)의 상단은,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8811j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브(8811j2)의 경사면(8811j3)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2 리브(8811j2)의 주변에 배치되는 전력케이블, 신호케이블 또는 다수의 배관 등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의 전후방향 상대이동 제한 수단 중 제3 수단은, 연결덕트부(85)의 플랜지(8513)와, 베이스(90)의 후면(93)에 구비되는 터브연결부(931)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홀(254)은 터브(20)의 후면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건조풍공급홀(254)에 연결되는 연결덕트부(85)는, 베이스(90)의 후면(93)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 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직후방에는, 베이스(90)를 터브(20)에 연결시키는 터브연결부(931)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연결부(931)는, 터브(20)의 하면(25)을 구성하는 바텀 터브(20c)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하며, 바텀 터브(20c)에 대한 연결 강도 및 자체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베이스(9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된 박스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브연결부(931)는, 베이스(90)의 좌측면(94) 및 우측면(95)에 각각 인접한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터브연결부(931) 중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베이스(90)의 좌측면(94)에 인접해서 배치되고 터브연결부(931)의 후방에 구비되는 터브연결부(931)가 베이스(90)에 대한 터브연결부(931) 및 히터하우징(81)의 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상단부(8511)와 하단부(8512) 사이에 구비되는 플랜지(8513)가, 건조풍공급부(80)의 후방 상대이동 시에 터브연결부(931)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건조풍공급부(80)의 후방 상대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연결덕트부(85)의 플랜지(8513)는, 연결덕트부(85)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원판 형상으로 연장되며, 플랜지(8513)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은 연결덕트부(85)의 구성 중에서 가장 터브연결부(931)의 전면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플랜지(8513)를 기준으로 터브연결부(931)의 후방 상대이동이 효과적으로 제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방 상대이동 제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플랜지(8513)의 상하방향 위치는 터브연결부(931)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가 베이스(9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플랜지(8513)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베이스(90) 사이, 보다 상세히는 플랜지(8513)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터브연결부(931)의 전면 사이에는 소정의 제2 간격(G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간격(G2)은, 전술한 제1 간격(G1)과 마찬가지로 플랜지(8513)와 터브연결부(931)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간격(G2)은 제1 간격(G1)과 대략 동일한 수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덕트부(85)의 플랜지(8513)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베이스(90)의 터브연결부(931)의 전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시트(9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완충시트(932)는, 베이스(90)의 터브연결부(931)의 전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를 시트형태로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완충시트(932)의 두께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완충시트(932)의 두께는 소정의 제2 간격(G2)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덕트부(85)의 플랜지(8513)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은 직접적으로 완충시트(932)와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시트(932)의 두게는 연결덕트부(85)의 플랜지(8513)의 가공공차 및 터브연결부(931)의 가공공차등을 고려한 것으로, 플랜지(8513)가 직접적으로 완충시트(932)에 접촉하게 되어 건조풍공급부(80) 및 연결덕트부(85)의 설치 및 조립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상술한 건조풍공급부(80)의 상대이동 제한 수단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건조풍공급부(80)를 구성하는 필터하우징(881), 히터하우징(81), 하우징커넥터(87), 연결덕트부(85) 사이의 연결부분에서의 소성변형 또는 파손, 복수의 레그(891, 892, 893)의 소성변형 또는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건조풍공급부
90: 베이스

Claims (27)

  1.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터브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터브에 지지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리브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내부에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이 수용되는 팬하우징; 및
    내부에 상기 팬하우징이 배치되는 팬하우징수용공간과, 내부에 필터부재가 교체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수용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필터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필터하우징에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서,
    상기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팬하우징수용공간은 상기 필터수용공간보다 더 하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팬하우징수용공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4. 제3 항에서,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3 항에서,
    상기 스토퍼리브는, 좌우"??* 폭이 전후방향 두께보다 더 큰 평판형상을 갖는 제1 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 항에서,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섬프의 하부 후방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7. 제6 항에서,
    상기 섬프의 하부에는, 상기 섬프를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 중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최외곽리브로부터 후방으로 소정의 제1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8. 제7 항에서,
    상기 소정의 제1 간격은, 상기 제1 리브의 전후방향 두께보다 더 작거나 같게 되는 식기세척기.
  9. 제5 항에서,
    상기 스토퍼리브는,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 두께보다 더 큰 평판형상을 갖는 제2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의 전방단부면은 상기 제2 리브의 후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10. 제9 항에서,
    상기 제2 리브의 상단면은,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11. 제2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가 배치되는 히터하우징; 및
    상기 히터하우징을 통과한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연결덕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 항에서,
    상기 연결덕트부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원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제2 간격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시트가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3 항에서,
    상기 완충시트는,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식기세척기.
  15. 제13 항에서,
    상기 완충시트의 두께는 상기 소정의 제2 간격보다 더 작게 되는 식기세척기.
  16.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서로 분리되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터브에 연결되고 지지되는 식기세척기.
  17. 제16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터브의 저면에 고정되는 식기세척기.
  18. 제17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개구된 상단을 통해서 내부에 필터부재가 교체가능하게 인입 및 인출되는 중공의 필터하우징;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필터하우징의 개구된 상단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수나사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하부 측에 형성되고 제1 플랜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결합하는 제1 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8 항에서,
    상기 터브의 하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필터교체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나사부는 상기 필터교체홀을 통과하여 상기 필터교체홀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필터교체홀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체결너트가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필터교체홀은 상기 제1 체결너트와 상기 제1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이 상기 터브의 하면에 고정되는 식기세척기.
  20. 제18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가 배치되는 히터하우징; 및
    상기 히터하우징을 통과한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상기 터브로 안내하고, 개구된 상단을 통해 상기 건조풍 기류를 상기 세척공간을 향해 배출하는 연결덕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연결덕트부의 개구된 상단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수나사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하부 측에 형성되고 제2 플랜지;
    상기 제1 수나사부의 나사결합하는 제2 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1. 제20 항에서,
    상기 터브의 하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하여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나사부는 상기 건조풍공급홀을 통과하여 상기 건조풍공급홀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건조풍공급홀의 하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체결너트가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건조풍공급홀은 상기 제2 체결너트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덕트부가 상기 터브의 하면에 고정되는 식기세척기.
  22. 제20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터브에 대한 상하방향 상대이동이 제한되는 식기세척기.
  23. 제22 항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스토퍼리브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24. 제23 항에서,
    상기 터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공간으로 공급될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리브는, 상기 섬프의 하부 후방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25. 제22 항에서,
    상기 연결덕트부의 제2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후방 상대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식기세척기.
  26. 제22 항에서,
    상기 연결덕트부의 제2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의 후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27. 제26 항에서,
    상기 플랜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면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완충시트의 두께는 상기 소정의 간격보다 더 작게 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20028089A 2022-03-04 2022-03-04 식기세척기 KR20230130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089A KR20230130908A (ko) 2022-03-04 2022-03-0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089A KR20230130908A (ko) 2022-03-04 2022-03-0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908A true KR20230130908A (ko) 2023-09-12

Family

ID=8801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089A KR20230130908A (ko) 2022-03-04 2022-03-0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9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1042A (ko) 필터의 교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식기 세척기 및 방법
US20230210342A1 (en) Dishwasher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US20230041312A1 (en) Dish washer and controllung method thereof
US20060060223A1 (en) Dishwasher
US11564553B2 (en) Dish washer
KR20230130906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7A (ko) 필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30109884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2A (ko) 식기세척기
EP4205625A1 (en) Dishwasher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3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39A (ko) 식기세척기
KR20230020232A (ko) 식기세척기
EP4119028B1 (en) Dishwasher
KR20230130905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3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KR20220143290A (ko) 식기 세척기
KR20230103446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4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1035A (ko)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