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23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232A
KR20230020232A KR1020210102067A KR20210102067A KR20230020232A KR 20230020232 A KR20230020232 A KR 20230020232A KR 1020210102067 A KR1020210102067 A KR 1020210102067A KR 20210102067 A KR20210102067 A KR 20210102067A KR 20230020232 A KR20230020232 A KR 20230020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rain hole
heater housing
paragraph
dry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영
이동호
김경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0232A/ko
Priority to PCT/KR2022/010148 priority patent/WO2023013912A2/ko
Publication of KR20230020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47L15/4212Detection of water leaks; Collection of leaked water, e.g. in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4Water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홀을 형성하고, 본 히터하우징의 인접해서 누수감지부를 배치하고,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세척수리브를 배치하며, 누수감지부와 세척수리브를 베이스의 경사면에 배치하여, 역유입세척수를 즉각적으로 배수할 수 있고, 자연 배수에 유리하며, 적정량 이상의 세척수의 배수량이 발생하면 즉각 감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건조풍공급부의 히터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건조행정 중에 고온의 건조풍을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세척대상물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특허등록공보 제3000377호 (선행문헌 001)에는, 세척 및 행굼행정이 완료된 후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열풍공급장치는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모듈과, 건조풍을 가열하는 히터가 내장되고 건조풍이 이동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히터하우징이 베이스에 배치 및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히터하우징의 공기통로에는 세척조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가 구비되어 있다.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는 베이스로 낙하되어 베이스에서 자연 건조되거나 베이스에 설치된 누수감지센서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성은 누수감지센서가 배수구로부터 상당히 먼 위치에 배치되는 즉각적이 감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당한 양의 세척수의 배수가 이루어진 이후에 누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타전장품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누전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구성은 세척수가 베이스로부터 상당히 높은 위치에서 배수되는 경우에는 세척수가 주위로 비산되면서 타전장품의 손상이 발생하거나 누전이 발생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유럽특허등록공보 제3000377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히터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홀을 형성하여, 역유입세척수를 즉각적으로 배수할 수 있고, 자연 배수에 유리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하우징의 인접해서 누수감지부를 배치하고,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세척수리브를 배치하고, 누수감지부와 세척수리브를 베이스의 경사면에 배치하여, 적정량 이상의 세척수의 배수량이 발생하면 즉각 감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홀을 히터하우징의 확장면에 연결하고 확장면의 후면을 따라 세척수가 이동하도록 하여, 배수홀을 통과한 세척수가 베이스로 낙하면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여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 및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세척조로부터 도입되는 역유입세척수를 상기 베이스를 향해 배출하는 배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건조풍공급부로 유입된 역유입세척수를 즉각적으로 배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 상기 건조풍 기류가 도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건조풍 기류가 배기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공기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하우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하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상기 히터하우징의 전단 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후단 측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보다 상기 유입구에 더 근접해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수홀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수홀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수홀까지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수홀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방향과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배각은, 상기 종방향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구배각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하우징의 일측면에 인접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된 역유입세척수의 양이 임계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종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종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작은 장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의 횡방향 일단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일측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배수홀의 횡방향 타단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타측면을 향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하우징의 일측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측면의 테두리에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면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의 횡방향 일단부는 상기 확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확장면에 결합하는 하우징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되는 역유입세척수가 상기 누수감지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세척수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리브는, 상기 배수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배수홀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리브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리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저면은, 상기 누수감지부를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리브는 상기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세척수리브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누수감지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누수감지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가이드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월에는 상기 역유입세척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리브의 사이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히터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홀을 형성하여, 역유입세척수를 즉각적으로 배수할 수 있고, 자연 배수에 유리하게 되는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히터하우징의 인접해서 누수감지부를 배치하고,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세척수리브를 배치하고, 누수감지부와 세척수리브를 베이스의 경사면에 배치하여, 적정량 이상의 세척수의 배수량이 발생하면 즉각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배수홀을 히터하우징의 확장면에 연결하고 확장면의 후면을 따라 세척수가 이동하도록 하여, 배수홀을 통과한 세척수가 베이스로 낙하면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풍공급부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정면사시도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히터하우징의 정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와 누수감지부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세척조(20)와,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세척조(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세척조(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세척조(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터브로 알려져 있는 구성이다.
세척조(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척조(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세척조(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세척조(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세척조(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세척조(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세척조(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세척조(20)의 세척공간(21)에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세척조(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는 반사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세척조(20)의 내부에서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세척조(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세척조(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세척조(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54)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54)은 상부레일(541), 하부레일(542), 및 탑레일(5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세척조(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세척조(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세척조(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세척조(20)의 하부에는 세척조(20)의 내부로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조(20)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세척조의 내부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풍공급홀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에 수용되고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누수감지부(70)와 베이스(90)의 후면(93) 사이의 위치에 대체로 베이스(90)의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위치는,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100℃ 이상의 고열이 발생되는 건조풍공급부(80)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고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장부품을 회피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위치는 세척조(20)의 하면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에 위치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건조풍이 유입되는 건조풍공급홀은 세척조(20)의 하면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로 효과적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부(80)는 건조풍공급홀의 하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건조풍공급부(80)의 배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달리 베이스(90)의 후면(93)이 아닌 좌측면(94), 우측면(95) 또는 전면(9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건조풍공급부(80)가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하여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을 생성하여 세척조(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80)는, 세척조(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83)와, 건조풍을 가열하는 히터(84)와, 내부에 공기통로(C)가 형성되는 히터하우징(8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은, 히터하우징(81)의 유입구(8111) 측에 건조풍 기류(F)의 방향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며,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C)로 공기를 가속하여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에는, 송풍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83)가 모듈화되어 팬하우징(82)에 수용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에 적용되는 송풍팬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송풍팬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로코팬의 중앙으로부터 회전축(831)에 나란한 방향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공기가 가속되어 배출될 수 있다. 가속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풍 기류(F)를 형성하며 팬하우징(82) 및 히터하우징(81)의 유입구(8111)를 거쳐 히터하우징(81)의 내부의 공기통로(C)로 도입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히터하우징(81)에 구비되는 연결탭(8114)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의 공기통로(C)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통로(C)의 내부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어 건조풍 기류(F)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풍공급부(80)가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전력이 공급되어 건조풍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건조풍공급부(80)가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4)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건조풍 기류(F)가 생성될 수 있도록 송풍모터(83)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에 구비되는 히터(84)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척조(20)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역유입세척수에 의한 누전방지에 유리한 튜브 형상의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히터본체(841)는 히터하우징(81) 내부의 공기통로(C)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며, 열전달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다수회 절곡되는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본체(84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히터하우징(8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히터본체(84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단자(8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842)가 단자고정부(843)를 통해 히터하우징(81)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히터하우징(81)의 상면에는 단자고정부(84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슬롯(811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는 공기통로(C) 상에서 히터본체(841)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체지지부(84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지지부(844)는 튜브 형상의 히터본체(841)의 외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금속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하우징본체(811)의 상측면에는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86)로서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861)와,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써모스탯(862)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고온 건조풍의 온도 및 과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과열 발생시에 제어부는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은, 유입구(8111)와 배출구(8112)를 구비한 공기통로(C)가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본체(811)를 포함한다.
히터하우징(81)은 내부에 공기통로(C)가 형성되는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히터하우징(81)은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단 측에 형성되는 유입구(8111)로부터 후단 측에 형성되는 배출구(8112)를 향하는 종방향(D2)으로의 길이가, 종방향(D2)에 수직이 되는 횡방향(D1)으로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통로(C)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여,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84)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히터하우징(81)의 전면과 우측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이 되는 우측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공기통로(C)의 유입구(8111)를 형성하며, 전술한 팬하우징(82)에 유체 연결된다.
개방된 전면에는 하우징커버(812)가 결합되어 폐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방된 전면의 테두리에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면(8116)이 구비된다. 확장면(8116)에는 하우징커버(812)가 결합되며, 확장면(8116)은 하우징커버(812)에 대한 접촉면적 또는 결합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단 측에는 공기통로(C)의 배출구(8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예시적으로 배출구(8112)는 후단 측에 인접한 위치로서 하우징본체(811)의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811)의 내부는 고열이 생성되는 히터(84)가 수용된다. 따라서 하우징본체(811)는 내부에 수용되는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환경에 적합한 재질, 바람직하게는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는,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8112) 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덕트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은 세척조(20)의 하면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 연결덕트부(85)는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미리 설정된 위치, 즉 세척조(20)의 건조풍공급홀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는 세척조(20)의 하면이 될 수 있고, 연결덕트부(85)로 안내된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건조풍공급홀은 세척조(20)의 하면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척조(20)의 건조풍공급홀과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8112)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하단부(8512)가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8112)에 연통되고 상단부(8511)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건조풍공급홀에 연결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에는 히터하우징(81)으로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체결탭(8515)이 복수 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8112)의 형상을 고려하여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는 사각통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누수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와 세척조(20)의 건조풍공급홀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 측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8513)와, 수나사부(8514)가 구비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는 세척조(2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와 수나사부(85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척조(20)의 하면을 통과하여 세척조(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세척조(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되는 수나사부(8514)에는 체결너트(852)가 결합된다.
덕트본체(851)의 고정 및 체결 시에, 세척조(20)의 내부에서 수나사부(8514)에 체결너트(852)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가 세척조(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너트(852)는 세척조(20)의 하면의 상부 측에 밀착되고, 링형상의 플랜지(8513)는 세척조(20)의 하면의 하부 측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체결너트(852)의 결합력에 의해서 플랜지(8513)는 세척조(20)의 하면을 향해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이를 통해 플랜지(8513)와 세척조(20)의 하면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외주면으로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수의 누수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랜지(8513)와 세척조(20)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85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연결덕트부(85)는 건조풍 기류(F)를 안내하는 역할에 추가하여 히터하우징(81)을 고정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즉,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가 체결너트(852)를 통해서 세척조(20)에 고정되면 히터하우징(81)의 후단 측은 덕트본체(851)에 의해서 상하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건조풍공급부(80)의 상부 측에 대한 지지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의 하부 측에 대한 지지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댐퍼와 베이스(90)의 서포트리브(96)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는, 덕트본체(851)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류가이드(8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가이드(854)는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에 끼움결합되는 로어가이드(8541)와, 로어가이드(8541)의 상측에 결합하는 어퍼가이드(854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가이드(8541)와 어퍼가이드(8542) 사이에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이 전환되는 유로전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류가이드(854)는 세척조(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세척공간(21)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세척행정 또는 행굼행정 진행 중에 비산되는 일부의 세척수가 기류가이드(854)를 통해서 히터하우징(81)으로 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는 역유입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8117)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의 저면(91)으로부터 히터하우징(81)을 상측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레그를 통해 고온이 생성되는 히터하우징(81)을 베이스(90)로부터 이격시킴으로서 히터하우징(81)을 통해 베이스(90)로 직접 전도되는 열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그는, 일단부가 히터하우징(81)의 유입구(8111)의 하부 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이스(90)의 저면(91)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레그(813)와, 일단부가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8112)의 하부 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이스(90)의 저면(91)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레그(8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은 종방향(D2)으로의 길이가 횡방향(D1)으로의 길이보다 훨씬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히터하우징(81)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는 종방향(D2)을 따라 서로 가장 멀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가장 멀리 이격될 수 있는 위치로서, 제1 레그(813)의 수직연장부(8131)의 일단부는 히터하우징(81)의 유입구(8111)의 하부 측에, 제2 레그(814)의 수직연장부의 일단부는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8112)의 하부 측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들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는, 히터하우징(81)과 유사하게 고온 환경에 적합한 소재로서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횡방향(D1)으로의 폭이 종방향(D2)으로의 두께보다 더 크게 되는 판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횡방향(D1)으로의 폭이 종방향(D2)으로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된 판상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의 열전달량을 최소화하되 히터하우징(81)이 횡방향(D1)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횡방향(D1) 지지면적을 확장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는 각각 수직연장부(8131, 814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고 종방향(D2)으로 연장되는 판상형태의 수평연장부(8132, 8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연장부(8132, 8142)는, 후술하는 댐퍼에 대한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건조풍공급부(80)의 하중을 분산하여 댐퍼로 전달하기 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장부(8132, 8142)의 저면은 직접 댐퍼의 상면(8715, 8725)에 면접촉하게 된다.
수직연장부(8131, 8141)와 마찬가지로 수평연장부(8132, 8142)는 고온 환경에 적합한 소재로서 경량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수평연장부(8132, 8142)가 수직연장부(8131, 8141)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수평연장부(8132, 8142)가 별개로 제조되어 수직연장부(8131, 814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건조풍공급부(80)는, 히터하우징(81)과 베이스(90)의 저면(91)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90)에 대해서 히터하우징(8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부는, 식기세척기(1) 작동 중 발생하는 진동 또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건조풍공급부(80)와 베이스(9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서스펜션 역할을 한다.
또한, 댐퍼부는 히터하우징(81)에서 발생된 고열이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를 통해서 베이스(9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일종의 단열재 역할을 겸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댐퍼부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 재질을 갖는 블록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댐퍼부는, 제1 레그(813)의 수직연장부(8131)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제1 댐퍼(871)와, 제2 레그(814)의 수직연장부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제2 댐퍼(8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를 통해서,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는 각각 베이스(9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가 베이스(90)에 대해서 물리적으로 비접촉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히터하우징(81)과 베이스(90)는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는 서로 동일한 외형 및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는 서로 호환가능하게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댐퍼부를 구성하기 위한 제조비용 및 설계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는 각각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의 수직연장부(8131, 8141)의 일부가 상면(8715, 8725)을 통과하여 단순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2 댐퍼(872)의 상면(8725)을 관통하여 제2 레그(814)의 수직연장부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방식으로 제1 레그(813)의 수직연장부(8131)의 타단부에 제1 댐퍼(871)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가 직접 베이스(90)의 저면(9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의 수직연장부(8131, 8141)의 타단부는 각각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의 하면(8716, 8726)을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 레그(813)와 제2 레그(814)의 수직연장부(8131, 8141)의 타단부는 각각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퍼(871)와 제2 댐퍼(872)의 외측면에는 종방향(D2)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8717, 8727)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8717, 8727)는 후술하는 서포트리브(96)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건조풍공급부(80)가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돌기부(8727)가 제2 댐퍼(872)의 제2 측면(8722)에 형성되는 상태에서는 베이스(90)에 설치가 가능하나, 그 외의 상태에서는 베이스(90)에 설치가 불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에 수용되고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를 정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스(90)의 저면(91)에는 다수의 서포트리브(96)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다수의 서포트리브(96)는 제1 댐퍼(871)를 지지하도록 제1 댐퍼(871)의 주위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서포트리브(961)와, 제2 댐퍼(872)를 지지하도록 제2 댐퍼(872)의 주위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서포트리브(9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내부면(8115)에는 역유입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8117)이 구비될 수 있다.
배수홀(8117)은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히터하우징(81)의 내부 바닥면(8115a)을 하측방향(D-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역유입세척수는 베이스(90)의 저면(91)을 향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시에 낙하거리가 최소화되어 역유입세척수가 베이스(90)에서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8117)은 종방향(D2)을 기준으로 히터하우징(81)의 유입구(8111)와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81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입구(8111) 측에 더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구(8111) 측에 더 근접해서 배수홀(8117)을 배치하는 것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8117)을 통한 배수여부 또는 배수량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70)가 배출구(8112)보다 유입구(8111) 측에 더 근접해서 구비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역유입세척수의 배수 시의 발생할 수 있는 누수감지부(70)의 감지 시간지연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역유입세척수가 히터하우징(81)의 바닥면(8115a)에 고이지 않고, 원활히 배수홀(8117)로 모일 수 있도록, 배수홀(8117)은 중력방향으로 히터하우징(81)의 바닥면(8115a)의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히터하우징(81)의 바닥면(8115a)은 종방향으로 유입구(8111)로부터 배수홀(8117)까지 연장되는 제1 경사면(8115a1)과, 종방향(D2)으로 배출구(8112)로부터 배수홀(8117)까지 연장되는 제2 경사면(8115a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8115a1)은 종방향(D2)으로 유입구(8111)로부터 배수홀(8117)을 향해 진행하면서 상하방향(U-D방향)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게 된다.
또한, 제2 경사면(8115a2)은 종방향(D2)으로 배출구(8112)로부터 배수홀(8117)을 향해 진행하면서 상하방향(U-D방향)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게 된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D2)과 제1 경사면(8115a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배각(a1), 및 종방향(D2)과 제2 경사면(8115a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구배각(a2)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배각(a1)과 제2 구배각(a2)은 각각 배수홀(8117)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배각(a1)과 제2 구배각(a2)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제1 구배각(a1)은 제2 구배각(a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경사면(8115a1)의 종방향(D2)으로의 길이가 제2 경사면(8115a2)의 종방향(D2)으로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8115a2)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내부면(8115)의 우측면(8115c)은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F)을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을 통해서 건조풍 공급 시에 와류가 생성될 가능성이 낮아지고 소음이 발생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나아가 내부면(8115)의 우측면(8115c)에 형성되는 곡면은, 상측방향(U-방향)에 형성된 배출구(8112)를 통해서 유입되는 역유입세척수가 곡면이 되는 우측면(8115c)을 따라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제2 경사면(8115a2)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기능도 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8117)은 종방향(D2)으로의 폭(W1)이 횡방향(D1)으로의 폭(W2)보다 더 작은 장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 원형홀의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서 역유입세척수의 배수가 더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 경우에 장홀이 되는 배수홀(8117)의 횡방향(D1) 일단부는 히터하우징(81)의 개방된 일측면까지 연장되며, 배수홀(8117)의 횡방향(D1) 타단부는 히터하우징(81)의 타측면까지 횡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히터하우징(81)의 개방된 일측면은 전면이 될 수 있으며, 히터하우징(81)의 타측면은 후면(8115b)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홀(8117)의 횡방향(D1) 일단부를 히터하우징(81)의 개방된 전면까지 연장하는 것은, 히터하우징(81)의 전면에 배치되는 누수감지부(70)에 가장 근접해서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 때, 히터하우징(81)의 개방된 전면의 테두리에는 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되는 확장면(8116)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면(8116)에는 전술한 하우징커버(812)가 부착되며, 확장면(8116)은 하우징커버(812)에 대한 결합면적 및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8117)의 일단부는 확장면(8116)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홀(8117)이 확장면(8116)까지 연장되도록 구성하면, 상하방향(U-D방향)으로 배수홀(8117)의 하측방향(D-방향)에 형성되는 확장면(8116)은 배수홀(8117)을 통과한 역유입세척수의 이동을 하측방향(D-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역유입세척수의 낙하거리가 확장면(8116)의 상하방향(U-D방향) 폭만큼 추가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역유입세척수가 낙하 후에 비산되는 양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홀(8117)이 히터하우징(81)의 개방된 전면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제1 경사면(8115a1)과 제2 경사면(8115a2)은 종방향(D2)으로 하향 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내부면(8115)의 후면(8115b)으로부터 전면을 향해 진행하면서 제1 경사면(8115a1)과 제2 경사면(8115a2)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경사면(8115a1)과 제2 경사면(8115a2)은 종방향(D2)으로의 구배와 횡방향(D1)으로의 구배를 동시에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부가 배치되는 베이스(90)의 저면(91)에는 히터하우징(81)의 배수홀(8117)을 통과한 역유입세척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세척수리브(9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유입세척수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누수감지부(70)는 히터하우징(81)의 전방으로서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90)의 저면(91)으로서 히터하우징(81)의 하부 측에 형성되는 세척수리브(97)는 역유입세척수가 누수감지부(70)를 향해 최대한 단시간 내에 최단경로를 통해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는, 세척수리브(97)는 배수홀(8117)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종방향(D2)으로 배수홀(8117)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는 베이스(90)의 저면(91)으로부터 히터하우징(81)을 향해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격벽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는 베이스(9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하게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생성되는 고열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히터하우징(8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돌출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히터하우징(81)의 배수홀(8117)로부터 배출되는 역유입세척수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는 종방향(D2)으로 배수홀(8117)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는 누수감지부(70)를 향하도록 횡방향(D1)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종방향(D2)으로 연장되는 종방향리브(97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종방향리브(972)는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 중에서 좌측 횡방향리브(97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리브(972)는 일단부는 좌측 횡방향리브(971)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부는 후술하는 누수감지부(70)의 가이드리브(98)의 노치부(982)를 향해 횡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홀(8117)을 통해 낙하된 후 좌측 횡방향리브(971)를 타고 유동하는 역유입세척수는 종방향리브(972)에 의해 유동방향이 종방향(D2)으로 전환되어 노치부(982)를 향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와 종방향리브(972)를 포함하는 세척수리브(97)가 배치되는 베이스(90)의 저면(91)은, 누수감지부(70)를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상하방향(U-D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는 경사면(92a)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히터하우징(81)의 내부 바닥면(8115a)과 유사하게 베이스(90)의 저면(9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9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누수감지부(70)가 상하방향(U-D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소정의 구배를 갖는 경사면(9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와 종방향리브(972)는 전체적으로 경사면(92a)이 되는 베이스(90)의 저면(91)에 구비됨으로써 역유입세척수가 중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누수감지부(70)를 향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90)의 저면(91)의 경사면(92a)은 누수감지부(70)를 수용하는 가이드리브(98)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누수감지부(70)는 베이스(90)의 저면(91)으로 유입된 세척수의 양에 따라 상하방향(U-D방향) 높이가 가변되는 플로터(72)와, 플로터(72)를 내장하는 플로터하우징(7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리브(98)는 플로터하우징(71)을 전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플로터하우징(71)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가이드월(98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터하우징(71)이 베이스(9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월(981)은 베이스(90)의 저면(91)의 중앙부 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월(981)은 전술한 세척수리브(97)에 의해 유동이 가이드된 역유입세척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98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982)는, 역유입세척수가 효과적으로 그리고 최단 경로(Fw)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의 사이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월(981)은 한 쌍의 횡방향리브(971)의 사이를 향해 개방되는 노치부(982) 이외에 다른 추가적인 노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추가적인 노치부는 히터하우징(81)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세척조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건조풍공급부
90: 베이스

Claims (17)

  1.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여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 및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세척조로부터 도입되는 역유입세척수를 상기 베이스를 향해 배출하는 배수홀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
    상기 건조풍 기류가 도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건조풍 기류가 배기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공기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하우징;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은, 상기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하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히터하우징의 전단 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후단 측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4. 제3 항에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구보다 상기 유입구에 더 근접해서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5. 제3 항에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수홀까지 연장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배수홀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는 제1 경사면; 및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수홀까지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배수홀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는 제2 경사면;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 항에서,
    상기 종방향과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구배각은, 상기 종방향과 상기 제2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구배각보다 더 크게 되는 식기세척기.
  7. 제3 항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의 일측면에 인접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된 역유입세척수의 양이 임계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 항에서,
    상기 배수홀은, 상기 종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종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으로의 폭보다 더 작은 장홀이 되는 식기세척기.
  9. 제8 항에서,
    상기 배수홀의 횡방향 일단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일측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배수홀의 횡방향 타단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타측면을 향해 상기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10. 제9 항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의 일측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측면의 테두리에는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확장면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의 횡방향 일단부는 상기 확장면까지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11. 제10 항에서,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확장면에 결합하는 하우징커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7 항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배수홀로부터 배출되는 역유입세척수가 상기 누수감지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세척수리브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 항에서,
    상기 세척수리브는,
    상기 배수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배수홀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횡방향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 항에서,
    상기 세척수리브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리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2 항에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은, 상기 누수감지부를 향해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하향 구배를 갖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세척수리브는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6. 제15 항에서,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세척수리브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누수감지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누수감지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가이드월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월에는 상기 역유입세척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7. 제16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리브의 사이를 향해 개방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02067A 2021-08-03 2021-08-03 식기세척기 KR20230020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67A KR20230020232A (ko) 2021-08-03 2021-08-03 식기세척기
PCT/KR2022/010148 WO2023013912A2 (ko) 2021-08-03 2022-07-12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67A KR20230020232A (ko) 2021-08-03 2021-08-03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232A true KR20230020232A (ko) 2023-02-10

Family

ID=8515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067A KR20230020232A (ko) 2021-08-03 2021-08-03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0232A (ko)
WO (1) WO2023013912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377B2 (ja) 1990-06-27 2000-01-17 春光 安田 研磨布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4565A (ja) * 2002-11-01 2004-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温風発生器を備えた食器洗い機
SE531447C2 (sv) * 2007-07-09 2009-04-07 Asko Cylinda Ab Diskmaskin försedd med ett torksystem
PL2757930T3 (pl) * 2011-09-20 2016-04-29 Indesit Co Spa Zmywarka do naczyń z układem suszenia
KR102094340B1 (ko) * 2014-03-17 2020-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KR101792513B1 (ko) * 2015-06-11 2017-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377B2 (ja) 1990-06-27 2000-01-17 春光 安田 研磨布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3912A2 (ko) 2023-02-09
WO2023013912A3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147B1 (ko) 식기 세척기
KR100776434B1 (ko) 식기 세척기
KR2011006034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JP6437418B2 (ja) 食洗機能付きシンク
KR101328956B1 (ko) 식기세척기
KR20230020232A (ko) 식기세척기
JP6913855B2 (ja) 食器洗い機
KR20230103444A (ko) 식기세척기
KR20230020231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39A (ko) 식기세척기
KR20220056415A (ko) 식기 세척기
US20130206186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a dampening baffle
KR20230103443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KR20100058875A (ko) 스팀 식기세척기
KR20230103442A (ko) 식기세척기
EP4129146A1 (en) Dishwasher
JPH11178662A (ja)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KR20230109884A (ko) 식기세척기
US20210251466A1 (en)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n air-drying dehumidification assembly
US11399696B2 (en) Dishwashing appliances having a hot plate heater for drying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