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439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439A
KR20230103439A KR1020210194339A KR20210194339A KR20230103439A KR 20230103439 A KR20230103439 A KR 20230103439A KR 1020210194339 A KR1020210194339 A KR 1020210194339A KR 20210194339 A KR20210194339 A KR 20210194339A KR 20230103439 A KR20230103439 A KR 20230103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ousing
coupling
paragraph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영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439A/ko
Priority to EP22212213.7A priority patent/EP4205623A1/en
Priority to AU2022287556A priority patent/AU2022287556A1/en
Priority to US18/080,285 priority patent/US20230210340A1/en
Publication of KR2023010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히터브라켓을 이용하여 히터를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건조풍 기류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키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히터브라켓, 및 히터하우징을 베이스에 대해서 지지하는 서포팅레그를 단일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히터하우징에 동시에 체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히터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건조풍공급부의 조립 및 제조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나의 히터브라켓을 이용하여 히터를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건조풍 기류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키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건조행정 중에 고온의 건조풍을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세척대상물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특허공개공보 제102012203320호 (선행문헌 001)에는, 세척 및 행굼행정이 완료된 후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건조풍을 터브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선행문헌 001의 열풍공급장치는, 건조풍을 가열하기 위해 히터하우징의 내부에 건조풍의 유동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4열의 히터가 구비되고, 4열의 히터들을 각각 히터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히터브라켓이 히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다.
다만, 선행문헌 001의 건조풍분사부는, 상기와 4열의 히터를 각각 개별적으로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켓이 공기통로에 배치되기 때문에 건조풍이 유동하는 공기통로의 유효 단면적이 감소되고, 유동저항이 증가될 수밖에 없으며, 유동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브라켓을 히터하우징의 내부에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히터하우징의 내부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립비용 및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독일특허공개공보 제102012203320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히터브라켓을 이용하여 히터를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지지하고 고정하도록 구성하여,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건조풍 기류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키고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브라켓, 및 히터하우징을 베이스에 대해서 지지하는 서포팅레그를 단일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히터하우징에 동시에 체결하도록 구성하여, 히터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고, 건조풍공급부의 조립 및 제조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 및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풍 기류가 유동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공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히터를 분리된 상태로 지지하는 히터브라켓; 및 상기 히터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히터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트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브라켓과 상기 서포트레그는 단일 체결수단을 통해 동시에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일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부가 상기 히터브라켓에 계합하고, 타단부에 구비되는 나사산이 상기 서포트레그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볼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크류볼트의 타단부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크류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레그는, 상측면이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의 하부에 면접촉하게 되고,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중공 형상의 레그바디; 및 상기 상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볼트의 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레그는, 상기 스크류볼트의 타단부가 통과하고, 상기 스크류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통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레그는,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의 외측 에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가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결합홀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역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베이스를 향해 배출하는 배수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결합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의 하부는,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는 부분 개방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히터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브라켓은,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 상기 수직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히터의 외면에 강제 결합되는 히터홀더; 및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장부에는 상기 스크류볼트가 통과하는 볼트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스크류볼트의 헤드부와 계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연장부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히터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건조풍 기류에 대한 유동저항이 감소되고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히터하우징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고, 건조풍공급부의 조립 및 제조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서포팅레그를 내열성을 갖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하여 히터하우징에서 생성되는 고열이 베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풍공급부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건조풍공급부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히터하우징의 로어하우징, 히터브라켓 및 제2 레그의 상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로어하우징에 히터브라켓 및 제2 레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터브(2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브(20)의 내부로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풍공급홀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에 수용되고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누수감지부와 베이스(90)의 후면(93) 사이의 위치에 대체로 베이스(90)의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위치는,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대략 100℃ 이상의 고열이 발생되는 건조풍공급부(80)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고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장부품을 회피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위치는 터브(20)의 하면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에 위치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건조풍이 유입되는 건조풍공급홀은 터브(20)의 하면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로 효과적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부(80)는 건조풍공급홀의 하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건조풍공급부(80)의 배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달리 베이스(90)의 후면(93)이 아닌 좌측면(94), 우측면(95) 또는 전면(9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건조풍공급부(80)가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하여 후면(93)에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90)의 저면(91)에는 건조풍공급부(80)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리브(96)와, 터브(20)로부터 세척수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미도시)의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리브(98)와, 건조풍공급부(8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누수감지부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수리브(97)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서포트리브(96), 가이드리브(98) 및 세척수리브(97)는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리브(96)는, 건조풍공급부(80)의 중간측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 서포트리브(961)와, 건조풍공급부(80)의 좌측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 서포트리브(962)로 구분될 될 수 있다.
제1 서포트리브(961)에는 후술하는 건조풍공급부(80)의 제1 레그(891)가 결합되고, 제2 서포트리브(962)에는 후술하는 건조풍공급부의 제2 레그(892)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을 생성하여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80)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송풍팬(83)과, 건조풍을 가열하는 히터(84)와, 내부에 히터(84)가 수용되는 공기통로(C)가 형성되는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83)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링부(8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83)은, 히터(84) 및 히터하우징(81)에 대해서 건조풍 기류(F)의 방향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며,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C)로 공기를 가속하여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83)과, 송풍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미도시)는 상호간 모듈화되어 팬하우징(8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83)과 팬하우징(82)은, 후술하는 필터링부(88)의 필터하우징(882)과 히터하우징(81)을 연결하는 하우징커넥터(87)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송풍팬(83)과 팬하우징(82)은 하우징커넥터(87)에 고정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필터하우징(88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에 적용되는 송풍팬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송풍팬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로코팬의 중앙으로부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부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공기가 가속되어 배출될 수 있다.
가속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풍 기류(F)를 형성하며 팬하우징(82), 하우징커넥터(87)의 유입구(8712)를 거쳐 히터하우징(81)의 내부의 공기통로(C)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때, 시로코팬이 되는 송풍팬 및 모터의 회전축은 예시적으로 대체로 상하방향(U-D방향)에 나란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링된 공기는 팬하우징(82)의 하면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한편,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는 하면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팬하우징(82)의 상면(821)의 내측에는 모터의 제어를 위한 PCB 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하우징커넥터(87)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연결탭(872)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연결탭(872)은 커넥터본체(871)의 유입구(8712)로부터 팬하우징(82)의 상면(821)을 커버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결탭(87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탭(87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보스(873)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보스(873)에는 각각 스크류볼트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볼트를 이용한 체결 시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와 반대로, 즉, 연결탭(872)과 팬하우징(82)이 상하 위치가 뒤바뀐 상태 또는 뒤집어진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체결보스(873)는 연결탭(872)과 팬하우징(82)을 미체결 상태에서 중력방향에 대해서 지지하는 레그로서 기능할 수 있다.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의 공기통로(C)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통로(C)의 내부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어 건조풍 기류(F)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풍공급부(80)가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전력이 공급되어 건조풍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건조풍공급부(80)가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4)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건조풍 기류(F)가 생성될 수 있도록 송풍모터(83)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에 구비되는 히터(84)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하며, 터브(20)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역유입세척수에 의한 누전방지에 유리한 튜브 형상의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시즈히터가 되는 히터본체(841)는 히터하우징(81) 내부의 공기통로(C)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며, 열전달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다수회 절곡되는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본체(84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전술한 하우징커넥터(87)의 커넥터본체(871)의 전면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히터본체(84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단자(8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842)가 단자고정부(843)를 통해 커넥터본체(871)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본체(871)의 전면에는 단자고정부(84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슬롯(8711)이 구비될 수 있다
단자고정부(843)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딩 방향, 즉 상하방향(U-D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고정부(843)는 위에서 아래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고정슬롯(8711)의 에지가 슬릿형태의 홈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본체(841)의 선단 측은 단자고정부(843)를 통해서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히터본체(841)의 후단 측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일 히터브라켓(845)을 통해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즉, 히터본체(841)의 후단 측은 히터브라켓(845)을 통해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공기통로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히터브라켓(845)은, 고온이 생성되는 히터본체(841)를 기능을 고려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히터브라켓(845)은 도 7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ㄴ-자형상 중 상하방향(U-D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8451)에는 2열로 연장되는 히터본체(841)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히터본체(841)의 2열에 대응하여 히터본체(841)의 외면에 강제 결합하는 2개의 히터홀더(8452)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홀더(845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U-D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히터본체(841)의 2열에 대응하여 수직연장부(8451)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히터홀더(8452)는 튜브 형상의 히터본체(841)의 외형에 대응하여 C-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히터홀더(8452)는, 히터본체(841)에 결합 시에 소성변형되는 방식으로 히터본체(841)의 외면에 강제 결합될 수 있으며, 히터하우징(81)의 바닥면(8111a)에 고정되기 전에 미리 히터본체(841)에 강제 결합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수직연장부(8451)의 하단에는 ㄴ-자형상 중 대략 좌우방향(Le-Ri)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연장부(845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연장부(8453)는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직접 접촉하여, 히터본체(841)와 히터브라켓(84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연장부(8453)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서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볼트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노치형태의 볼트홈(845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연장부(8453)는 볼트홈(8454)이 형성된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평연장부(8453)를 고정하는 스크류볼트는, 볼트홈(8454)과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을 관통하여 로어하우징(811)의 하부 외측으로서 수평연장부(8453)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레그(892)까지 연장되어, 제2 레그(89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스크류볼트를 통해서 히터브라켓(845), 로어하우징(811) 및 제2 레그(892)가 동시에 체결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체결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어퍼하우징(812)의 상측면(8121a)에는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86)로서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861)와,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써모스탯(862)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고온 건조풍의 온도 및 과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과열 발생시에 제어부는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은 내측에 전술한 히터본체(841) 및 히터브라켓(845)이 배치되는 공기통로(C)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건조풍 기류(F)가 이동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F)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해당하는 히터하우징(81)의 전단부와 하류 측에 해당하는 후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단부와 후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공기통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히터하우징(81)은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된 형태로 배치되는 로어하우징(811)과 어퍼하우징(8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이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로어하우징(811)과 어퍼하우징(8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히터하우징(81)의 하부를 구성하는 로어하우징(811)은,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아래로 볼록한 형태의 오목부(8111)와, 오목부(8111)의 둘레 에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플랜지 형태로 연장되는 확장면(8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목부(8111)와 확장면(81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로 볼록한 형태의 오목부(8111)는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C)의 하부를 구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 기류(F)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통로(C)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여,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84)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목부(8111)는 좌우방향 길이가 전후방향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 기류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해당하는 로어하우징(811)의 우측 단부는 전체적으로 수직 절단된 형태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하류 측에 해당하는 좌측 단부는 절단되지 않고 막혀있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8111)의 바닥면(8111a)은, 로어하우징(811)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단부로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상하방향 높이가 상승하는 경사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닥면(8111a)을 통해 형성되는 공기통로(C)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으며, 건조풍 기류의 방향이 전환되는 좌측 단부 측에서의 와류 생성에 의한 유동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오목부(8111)의 바닥면(8111a)에는 전술한 하우징커넥터(87)에 대한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체결홀 및 전술한 히터브라켓(845) 및 제2 레그(892)의 고정을 위해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다수의 관통홀(8111b)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관통홀(8111b) 중 적어도 일부는, 후술하는 연결덕트부(85)를 통해 역유입되는 세척수를 베이스(9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 형태로 연장되는 확장면(8112)은, 수평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확장면(8112)은 후술하는 어퍼하우징(812)의 확장면(8122) 및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에 대한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결합강도를 높이고 건조풍 기류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건조풍 기류의 누설이 최소화됨으로써 건조풍공급부(80)의 건조풍공급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확장면(8112)은, 로어하우징(811)의 우측 단부를 제외한 오목부(8111)의 둘레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어하우징(811)의 확장면(8112)에 어퍼하우징(812)의 확장면(8122) 및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가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로어하우징(811)의 확장면(811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스크류홀(8112a)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과 확장면(8112)을 연결하는 측면은 공기통로(C)의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건조풍 기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사면 또는 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고온이 발생하는 히터본체(841)가 배치되는 점 그리고 터브(20)로부터 역유입되는 세척수에 직접 노출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로어하우징(811)은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대략 두께가 균일한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상부를 구성하는 어퍼하우징(812)은,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위로 볼록한 형태의 오목부(8121)와, 오목부(8121)의 둘레 에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플랜지 형태로 연장되는 확장면(8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목부(8121)와 확장면(812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위로 볼록한 형태의 오목부(8121)는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통로(C)의 상부를 구성한다.
로어하우징(811)과 마찬가지로,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통로(C)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확보하여,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84)와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목부(8121)는 좌우방향 길이가 전후방향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터본체(841)를 통과한 건조풍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어퍼하우징(812)의 좌우방향 길이는 로어하우징(811)의 좌우방향 길이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좌우방향 길이 차이로 인해서 로어하우징(811)의 좌측 단부 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퍼하우징(812)에 의해서 덮이지 않고 상측방향(U-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로어하우징(811)의 좌측 단부 측은 상측방향(U-방향)으로 개방되는 배출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건조풍 기류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해당하는 어퍼하우징(812)의 우측 단부와, 하류 측에 해당하는 좌측 단부는 전체적으로 수직 절단된 형태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8121)의 상측면(8121a)은, 어퍼하우징(812)의 우측 단부로부터 좌측 단부로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평탄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8121)의 상측면(8121a)의 외측에는 온도감지부(86)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면이 되는 상측면(8121a)의 우측 단부는 확장면(8122)보다 더 길게 하우징커넥터(87)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측면(8121a)의 우측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커넥터(87)의 커넥터본체(87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커넥터본체(87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하우징(812)과 커넥터본체(871)의 결합 시에 이들 사이의 접촉면적 또는 결합면적이 증가되고 내부에서 유동하는 건조풍 기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측면(8121a)의 우측 단부에 대응하여 커넥터본체(871)에는 어퍼하우징(812)의 상측면(8121a)의 우측 단부에 대한 접촉면적 또는 결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 형태로 연장되는 확장면(8122)은, 로어하우징(811)의 확장면(8112)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에 대략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확장면(8122)은, 어퍼하우징(812)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를 제외한 오목부(8121)의 전방 및 후방 측에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812)의 확장면(8122)에는 전술한 로어하우징(811)의 스크류홀 (8112a)에 대응하여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스크류홀 (8122a)이 구비될 수 있다.
로어하우징(811)과 마찬가지로, 어퍼하우징(812)의 상측면(8121a)과 확장면(8122)을 연결하는 측면은 공기통로(C)의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건조풍 기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경사면 또는 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어하우징(811)과 마찬가지로 어퍼하우징(812)은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는, 히터하우징(81)의 좌측 단부 측에 상측방향(U-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덕트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83)은 터브(20)의 하면(25)의 아래에 배치된다. 연결덕트부(85)는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미리 설정된 위치, 즉 터브(20)에 형성된 건조풍공급홀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는 터브(20)의 하면(25)이 될 수 있고, 연결덕트부(85)로 안내된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건조풍공급홀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23) 및 좌측면(26)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터브(20)의 건조풍공급홀과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하단부(8512)가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에 유체연통되고 상단부(8511)가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건조풍공급홀에 연결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는 히터하우징(81)의 로어하우징(811)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플랜지면으로 구성되는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에는 로어하우징(811)의 확장면(8112)의 슬라이딩 결합을 안내하고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벽 및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에는 어퍼하우징(812)의 좌측 단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어퍼하우징(812)의 좌측 단부의 외형에 대응하는 내면 형상을 갖는 브릿지부가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사각형상의 배출구의 단면 형상을 고려하여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는 사각 통형상이 될 수 있으며, 누수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와 터브(20)의 건조풍공급홀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 측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8513)와, 수나사부(8514)가 구비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는 터브(2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와 수나사부(85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브(20)의 하면을 통과하여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되는 수나사부(8514)에는 체결너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고정 및 체결 시에, 터브(20)의 내부에서 수나사부(8514)에 체결너트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가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너트(852)는 터브(20)의 하면의 상측에 밀착되고, 링형상의 플랜지(8513)는 터브(20)의 하면의 하측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체결너트의 결합력에 의해서 플랜지(8513)는 터브(20)의 하면을 향해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이를 통해 플랜지(8513)와 터브(20)의 하면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외주면으로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수의 누수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랜지(8513)와 터브(20)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가 체결너트(852)를 통해서 터브(20)에 고정되면 히터하우징(81)의 좌측 단부 측은 덕트본체(851)에 의해서 상하방향(U-D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체결수단을 구비함이 없이 건조풍공급부(80)의 상부 측에 대한 지지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의 하부 측에 대한 지지구조는, 히터하우징(81) 등을 베이스(90)에 대해서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팅레그(89)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포팅레그(89)는, 하우징커넥터(87)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우징커넥터(87)를 중력방향에 대해서 지지하는 제1 레그(891)와, 히터하우징(81)의 하부에 구비되며 히터하우징(81)을 중력방향에 대해서 지지하는 제2 레그(892)와, 필터링부(88)의 하부에 구비되며 필터링부(88)를 중력방향에 대해서 지지하는 제3 레그(89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레그(891)는 하우징커넥터(87)의 커넥터본체(87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본체(871)의 하부로부터 베이스(9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그(892)는 히터하우징(81)의 로어하우징(811)의 하측에 결합되며, 로어하우징(811)과는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로어하우징(811)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이 베이스(9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제2 레그(892)는 로어하우징(811)과는 다른 재질,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내열성 및 소정의 탄성을 갖는 러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그(892)는 로어하우징(811)에 대해서 이종재질을 가지도록 별개로 제작되어 로어하우징(811)의 하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제2 레그(892)에는 로어하우징(811)에 대한 정위치 설정 및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은, 로어하우징(811)에 대한 결합면으로서 작용하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에 복수의 결합돌기로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는, 로어하우징(8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즉 좌우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 및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외둘레면(8921b) 사이에 구비되는 제2 결합돌기(89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는,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구비되는 제1 결합홀 및 제2 결합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2 레그(892)의 정위치 설정 및 가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 사이로서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브라켓(845), 로어하우징(811) 및 제2 레그(892)를 동시에 체결하는 스크류볼트가 통과하는 통공(8925)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8925)의 아래에는 스크류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보스(8924)가 레그바디(892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레그(893)는 필터링부(88)를 구성하는 필터하우징(88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하우징(881)의 하부로부터 베이스(9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덕트본체(851)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류가이드(미도시)가 덕트본체(851)의 상단부(851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필터링부(88)는 송풍팬(83)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히터(8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필터링부(88)는, 송풍팬(83)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와, 내부에 필터부재 및 송풍팬(8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필터하우징(88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필터하우징(881)은 예시적으로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된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881)이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하우징(881)은 필터부재와 팬하우징(82)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8811)은 필터부재와 팬하우징(8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터부재의 상부 및 팬하우징(82)의 상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수용부(8811a)와 팬하우징수용부(8811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측에 제2 하우징(88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와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전체적으로 하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필터수용부(8811a)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팬하우징수용부(8811b)보다는 더 상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수용부(8811a)는, 예시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필터부재가 탈착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필터수용부(8811a)의 상단에는 필터부재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형형상으로 개방되는 결합개구(881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재는 결합개구(8811c)를 관통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8812)의 필터수용부(8812a)까지 이동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수용부(8811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필터수용부(8811a)의 우측에 히터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수용부(8811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팬하우징(82)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하우징(82)의 상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중앙 측에는 송풍팬(83)의 전술한 PCB 기판 및 모터의 냉각을 위해서 PCB 기판이 구비되는 팬하우징(82)의 상면(821)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상측면에는 개구에 일단부가 개구에 연통되고, 타단부가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 형태의 세척수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구에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세척수채널을 통해 이동되어 베이스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필터하우징(881)의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필터부재와 팬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하우징(8811)과 유사하게, 제2 하우징(8812)은 필터부재의 하부 및 팬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수용부(8812a)와 팬하우징수용부(8812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수용부(8812a)는 필터부재의 하단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정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가이드리브(8812f)는 필터수용부(8812a)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필터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형상을 갖는 필터부재의 외형에 대응하여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는 필터부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의 중심으로서 필터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에는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하부흡기구(8812c)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흡기구(8812c)는 필터부재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통형상의 필터부재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필터부재의 외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2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수용부(8812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필터수용부(8812a)의 우측에 히터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수용부(8812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팬하우징(82)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하우징(82)의 하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8812e)은, 여과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팬하우징(82)의 하면(824)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며, 바람직하게는 수평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팬하우징수용부(8812b)의 내부에는 하면(824)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융기면부(8812e3) 및 스크류보스(8812e2)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타구조물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예를 들면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의 리브들 및 누수감지부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개별 융기면부(8812e3)의 형상은 회피되는 타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팬하우징(82)은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들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팬하우징(82)을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팬하우징(82)의 하면이 개별 융기면부(8812e3)의 상단면 면접촉되는 관계가 되도록 팬하우징(82)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보스(8812e2)은, 개별 융기면부(8812e3)와 함께 팬하우징(82)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류보스(8812e2)에는 팬하우징(82)과 하우징커넥터(87)의 연결탭(872)을 동시에 체결하는 한 쌍의 스크류볼트 중 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홀(8812e1)이 구비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볼트홀(8812e1)은 복수의 융기면부(8812e3)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단과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탈착가능한 결합관계를 달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는 제2 하우징(8812)을 향해 연장되는 체결탭(8811d)이 구비되고,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에는 체결탭(8811d)에 후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후크돌기(8812d)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의 결합개구(8811c)에는 터브연결덕트(88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및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링부(88)의 필터부재는 터브(20)의 하면을 통해 필터부재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는 터브(20)의 하면과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터브연결덕트(882)는 터브(20)의 하면과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를 상호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연결덕트(882)는,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연결덕트(882)가 제1 하우징(8811)에 별개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와 유사하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에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교체홀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홀과 구분하기 위해서, 필터교체홀은 터브(20)의 하면으로서 후면 및 우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터브(20)의 필터교체홀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터브연결덕트(882)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측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8823)와, 수나사부(8824)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을 관통하여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며,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수나사부(88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브(20)의 하면을 통과하여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되는 수나사부(8824)에는 체결너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고정 및 체결 시에, 터브(20)의 내부에서 수나사부(8824)에 체결너트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하단부(8822) 사이로서, 플랜지(8823)의 아래에는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상부흡기구(8826)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부흡기구(8826)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필터부재의 내부로 진입된 후 필터부재의 외주면을 통과하면서 여과가 진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링부(88)는 제2 하우징(8812)에 구비되는 하부흡기구(8812c)와, 터브연결덕트(882)에 구비되는 상부흡기구(8826)를 통한 2개의 흡입경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필터부재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대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건조풍 기류(F)의 유량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터브연결덕트(882)의 하단부(8822)에는 제1 하우징(8811)의 결합개구(8811c)에 대한 탈착가능한 체결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부(8825)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8825)는 후크결합 방식으로 제1 하우징(8811)의 결합개구(8811c)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될 수 있다.
[히터브라켓 및 제2 레그의 세부 구조 및 조립과정]
이하,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히터브라켓(845) 및 제2 레그(892)의 세부 구조 및 이들이 히터하우징(81)에 조립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히터브라켓(845)이 조립되기 전에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의 하부에 제2 레그(892)가 먼저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브라켓(845)과 제2 레그(892)는 단일 스크류볼트(B)를 이용하여 로어하우징(811)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일 스크류볼트(B)를 이용한 본조립과 구별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제2 레그(892)를 먼저 부착하는 과정을 가조립이라 칭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대한 결합면으로서 작용하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결합돌기는 로어하우징(8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바람직하게는 좌우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 및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의 외측 에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결합돌기(89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는 로어하우징(8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이하, 종방향이라 함)으로의 길이가 로어하우징(81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하, 횡방향이라 함)으로의 두께보다는 더 크게 되는 장방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제2 결합돌기(8923)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이 되며 수직방향을 따라 잘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는 스크류보스(8924)의 상단에 형성되는 통공(892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각각의 제1 결합돌기(8922)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의 중앙에 구비되는 통공(8925)으로부터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돌기(8923)는, 예시적으로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보다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의 좌측 에지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에 대해서 제2 결합돌기(8923)가 배치되는 위치는 통공(8925)을 중심으로 비대칭이 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을 관통하여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통로를 통해서 유동하는 건조풍 기류에 대한 유동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가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최소한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를 이용하여 제2 레그(892)와 로어하우징(811) 사이의 가조립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예시적으로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가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결합홀(8111b1)과, 제2 결합돌기(8923)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홀(8111b2)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결합홀(8111b1)은,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장방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홀(8111b1)과 제1 결합돌기(8922)의 제조공차를 고려하여 제1 결합홀(8111b1)은 종방향으로의 길이(L1)가, 제1 결합돌기(8922)의 종방향으로의 길이(L2)보다는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강제 삽입 또는 억지 결합 관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결합홀(8111b1)의 종방향으로의 폭은, 제1 결합돌기(8922)의 종방향으로의 폭보다는 더 작거나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홀(8111b2)은, 제2 결합돌기(8923)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결합홀(8111b1)과 동일한 이유로 제2 결합돌기(8923)가 강제 삽입 도는 억지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결합홀(8111b2)의 내경 또는 종방향 폭(W2)은 제2 결합돌기(8923)의 최대외경보다는 더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가 강제 삽입 또는 억지 결합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제1 결합돌기(8922)가 각각의 제1 결합홀(8111b1)에 계합하는 부분 및 제2 결합돌기(8923)가 제2 결합홀(8111b2)에 계합하는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수단 또는 유지수단이 없더라도 제2 레그(892)와 로어하우징(811) 사이의 가조립 상태가 효과적으로 유지되고, 제2 레그(892)와 로어하우징(811) 사이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 사이의 배치관계와 동일하게, 한 쌍의 제1 결합홀(8111b1)에 대해서 제2 결합홀(8111b2)은 스크류홀(8111b3)을 중심으로 하여 비대칭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와 제2 결합돌기(8923)가 삽입되는 정위치가 한 쌍의 제1 결합홀(8111b1)과 제2 결합홀(8111b2)을 통해서 명확히 특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정위치를 벗어난 위치, 예를 들면 제2 레그(892)가 정위치를 벗어나 통공(8925)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2 레그(892)와 로어하우징(811) 사이에 가조립 상태가 형성될 수 없다.
즉, 이를 통해 제2 레그(892)와 로어하우징(811) 사이의 오조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바닥면(8111a)에는, 연결덕트부(85)를 통해 터브로부터 역유입되는 세척수를 베이스(90)를 향해 배출하는 배수홀(8111b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8111b4)은, 제2 결합홀(8111b2)보다 스크류홀(8111b3)로부터 더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크류홀(8111b3)의 중심과 제2 결합홀(8111b2)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상에 중심이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수홀(8111b4)은 제2 결합홀(8111b2)과는 별개로 형성되거나 제2 결합홀(8111b2)에 연속하여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배수홀(8111b4)과 제2 결합홀(8111b2)은 서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스가공을 통한 성형성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8111b4)과 제2 결합홀(8111b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수홀(8111b4)과 제2 결합홀(8111b2)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출구로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8111b4)의 단면적은 제2 결합홀(8111b2)의 단면적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배수홀(8111b4)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막히게 되면 역유입된 세척수의 배수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배수홀(8111b4)의 하부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는 부분 개방상태가 되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즉, 배수홀(8111b4)은 일부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과 중첩된 상태로 막히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레그바디(8921)의 상측면(8921a)을 벗어난 위치까지 연장되어 부분 개방되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수홀(8111b4)의 부분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역유입된 세척수가 배수되면, 배수되는 세척수는 레그바디(8921)의 외둘레면(8921b)을 따라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D-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역유입된 세척수가 외둘레면(8921b)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액적을 형성하면서 베이스(90)로 직접 낙하되고, 낙하 후 주위로 비산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낙하 후 비산되는 액적은 베이스(90)에 구비되는 다른 전장부품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배수홀(8111b4)의 상하방향 위치(P1)는 히터본체(841)의 최하단 위치(P2)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덕트부(85)를 통해 지속적으로 세척수가 역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서의 세척수의 수면은 배수홀(8111b4)의 위치까지로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히터본체(841)가 세척수에 위해서 침수될 위험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배수홀(8111b4)은 히터하우징(81) 내부에서 세척수의 수면의 상단위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레그(892)의 상측면(8921a)은, 로어하우징(811)에 대한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통공(8925)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 막혀 있는 평탄면 상태가 된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그(892)의 레그바디(8921)는 하단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즉, 중공 형상의 레그바디(8921)의 하단면은 전체적으로 개방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90)에 접촉하게 되는 하단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2 레그(892)의 레그바디(8921)가 베이스(90)에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히터본체(841)에서 발생된 열이 히터하우징(81) 및 제2 레그(892)를 통해 베이스(90)로 전달되는 열전달량이 최소화될 수 있고, 베이스(90)의 열손상 및 열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레그(892)와 로어하우징(811) 사이의 가조립이 완료되면, 히터브라켓(845)의 조립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2에는 스크류볼트(B)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히터홀더(8452)는 히터본체(841)에 결합 시에 소성변형되는 방식으로 히터본체(841)의 외면에 강제 결합되어 미리 모듈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히터브라켓(845)은 히터본체(841)와 함께 본조립을 위해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히터브라켓(845)의 정위치는,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형성되는 스크류홀(8111b3)과 히터브라켓(845)의 수평연장부(8453)에 형성되는 볼트홈(8454)이 상하방향으로 정렬된 상태 및 히터브라켓(845)의 수평연장부(8453)가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 사이에 배치되어 수평연장부(8453)가 로어하우징(811)의 바닥면(8111a)에 면접촉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히터본체(841)와 히터브라켓(845)을 이와 같이 정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수평연장부(8453)의 횡방향 폭은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 사이의 이격거리보다는 더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는 히터브라켓(845)의 수평연장부(8453)의 정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히터브라켓(845)의 수평연장부(8453)가 한 쌍의 제1 결합돌기(8922) 사이에 배치가 완료되면, 나사산이 구비된 스크류볼트(B)의 타단부, 즉 하단부가 수평연장부(8453)의 볼트홈(8454), 로어하우징(811)의 스크류홀(8111b3) 및 제2 레그(892)의 통공(8925)을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례로 통과한 이후에 스크류볼트(B)의 하단부는 마지막으로 제2 레그(892)의 스크류보스(8924)와 나사결합이 진행될 수 있다.
나사결합이 진행되면, 스크류볼트(B)의 일단부, 즉 상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부는 히터브라켓(845)의 수평연장부(8453)와 계합하게 되고, 수평연장부(8453)를 하측방향(D-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히터브라켓(845), 로어하우징(811) 및 제2 레그(892) 사이의 3 중 결합, 즉 본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 기류(F)의 유동방향에 대해서 히터브라켓(845)은 배수홀(8411b4)에 대해 상류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건조풍 기류(F)는 히터브라켓(845)의 수직연장부(8451)의 의해 좌우로 분기된 후 상승하기 때문에 히터브라켓(845)의 하류에 위치한 배수홀(8411b4)에 직접적으로 건조풍 기류(F)가 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배수홀(8411b4)을 통해 누설될 수 있는 건조풍 기류(F)의 유량이 최소화될 수 있고, 건조풍공급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건조풍공급부
90: 베이스

Claims (17)

  1.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여 상기 터브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 및
    상기 건조풍공급부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풍 기류가 유동하는 공기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하우징;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공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공기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히터를 분리된 상태로 지지하는 히터브라켓; 및
    상기 히터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상기 히터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트레그;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브라켓과 상기 서포트레그는 단일 체결수단을 통해 동시에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일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부가 상기 히터브라켓에 계합하고, 타단부에 구비되는 나사산이 상기 서포트레그에 나사결합하는 스크류볼트가 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크류볼트의 타단부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크류홀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4. 제2 항에서,
    상기 서포트레그는,
    상측면이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의 하부에 면접촉하게 되고,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중공 형상의 레그바디; 및
    상기 상측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볼트의 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스크류보스;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 항에서,
    상기 서포트레그는,
    상기 스크류볼트의 타단부가 통과하고, 상기 스크류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통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 항에서,
    상기 서포트레그는,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의 외측 에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 항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8. 제6 항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홀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9. 제8 항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가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돌기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되는 식기세척기.
  10. 제8 항에서,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상기 제2 결합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변형되는 식기세척기.
  11. 제8 항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결합홀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터브로부터 역유입되는 세척수를 상기 베이스를 향해 배출하는 배수홀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1 항에서,
    상기 배수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결합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1 항에서,
    상기 배수홀의 하부는, 상기 레그바디의 상측면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는 부분 개방상태가 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1 항에서,
    상기 배수홀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히터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제5 항에서,
    상기 히터브라켓은,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
    상기 수직연장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히터의 외면에 강제 결합되는 히터홀더; 및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히터하우징의 바닥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장부에는 상기 스크류볼트가 통과하는 볼트홈이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6. 제15 항에서,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스크류볼트의 헤드부와 계합하게 되는 식기세척기.
  17. 제15 항에서,
    상기 수평연장부는, 한 쌍의 제1 결합돌기 사이에 고정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94339A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KR20230103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339A KR20230103439A (ko)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EP22212213.7A EP4205623A1 (en) 2021-12-31 2022-12-08 Dishwasher
AU2022287556A AU2022287556A1 (en) 2021-12-31 2022-12-13 Dishwasher
US18/080,285 US20230210340A1 (en) 2021-12-31 2022-12-13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339A KR20230103439A (ko)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439A true KR20230103439A (ko) 2023-07-07

Family

ID=8715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339A KR20230103439A (ko)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4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7259A (ko) 식기 세척기의 상부노즐 첵 밸브 결합 구조
US20080149148A1 (en) Sump of dishwasher
KR102454768B1 (ko)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US7644718B2 (en) Sump of dish washer
US20060118147A1 (en) Sump of dish washer
KR20230103444A (ko) 식기세척기
KR101235952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히터부
KR20230103439A (ko) 식기세척기
US20060060223A1 (en) Dishwasher
KR2009001451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3A (ko) 식기세척기
US20060118144A1 (en) Self-cleaning filter of dishwasher, combining method of the same, and sump using the same
KR20230020232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2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
KR20230011086A (ko) 식기세척기
US20070272284A1 (en) Dishwasher
KR102394266B1 (ko) 세척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30109884A (ko) 식기세척기
KR102412768B1 (ko) 식기세척기
US20230210340A1 (en) Dishwasher
KR20230020231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