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513B1 -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 Google Patents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513B1
KR101792513B1 KR1020150082722A KR20150082722A KR101792513B1 KR 101792513 B1 KR101792513 B1 KR 101792513B1 KR 1020150082722 A KR1020150082722 A KR 1020150082722A KR 20150082722 A KR20150082722 A KR 20150082722A KR 101792513 B1 KR101792513 B1 KR 101792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air
port
exhaust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091A (ko
Inventor
홍우
우상우
유선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513B1/ko
Priority to PCT/KR2016/006171 priority patent/WO2016200198A1/en
Priority to CN201680002033.7A priority patent/CN106659354B/zh
Priority to EP16807838.4A priority patent/EP3307133B1/en
Priority to US15/318,274 priority patent/US10568487B2/en
Publication of KR2016014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13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9Air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1) 가열순환 건조모듈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통해 상기 터브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모듈과, 상기 흡기구와 연통되는 흡기덕트와, 상기 흡기덕트 및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덕트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을 구비하여 토출온도를 조절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헹굼수를 가열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Heating cycl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using Fan module and PTC Heat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 행정 종료 후 식기의 물기를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찌꺼기를 세척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등으로 구성되며, 세척행정, 헹굼행정 및 건조행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건조 기능을 갖춘 식기세척기의 경우, 터브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여 식기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 수단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과정 중 습한 공기의 제습은 제오라이트를 사용하거나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종래 건조 방법은 헹굼 과정을 포함하며 헹굼 과정에서 물을 가열한 후 터브 내부로 방출하여 식기에 열에너지를 비축시키고 그릇이 가진 잠열을 이용하여 식기표면의 물기를 증발시키는 원리를 사용한다. 따라서 물을 가열할 때 소비되는 전력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식기세척기의 전형적인 건조방법인 가열 헹굼과정을 생략하고, 건조모듈을 이용하여 공기만을 가열하여 식기 표면의 물기를 증발시킨다. 이에 따라 물을 가열하는 과정이 생략되게 되므로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열풍만으로도 높은 건조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 건조 공기 온도를 조절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터브 내부 순환 패턴의 변화를 유도하여 터브 내부의 각기 다른 영역을 골고루 건조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터브 내부를 순환한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습을 위한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통해 상기 터브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모듈; 상기 흡기구와 연통되는 흡기덕트; 상기 흡기덕트 및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덕트;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으로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며 식기를 건조하기 위해 공기를 이용하므로 소비전력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건조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건조 효율이 높아지며 팬을 회전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개방을 통해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습을 위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발열부는 각각의 발열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발열부의 작동 중 적어도 1회 이상 개방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기준습도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는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터브 내부의 습도를 전력 소모 없이 낮출 수 있다.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소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는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PTC 히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낮출 수 있다.
상기 팬의 RPM은 상기 발열부의 작동 중 적어도 1회 이상 변경될 수 있으며 터브 내부에 골고루 건조 공기가 도달하게 한다.
상기 팬의 RPM이 변경될 때 상기 도어가 동시에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흡기구와 상기 흡기덕트를 연결하는 흡기유로;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는 세척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기준으로 상단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있다.
상기 흡기구가 상기 배기구보다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터브 내부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기유로에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상기 배기구까지 공기의 유동을 돕는 리브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로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 끝단에 배수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는 중심부에 원형상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상통로 주변에는 다수개의 콘형상통로가 구비되는데 터브 내부로 건조 공기가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된 상부랙; 상기 상부랙 하부에 구비된 하부랙;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부랙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건조 공기가 바로 식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구성하는 원주면은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코스 및 건조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식기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식기세척기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단계, 상기 습도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습도를 기 설정된 기준 습도와 비교하는 습도비교단계 및 식기세척기 내부의 습도가 기준습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식기세척기의 건조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습도비교단계에서 측정된 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낮은 경우 계속해서 상기 건조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도어 개방 후 식기세척기 내부의 습도를 기준 습도와 비교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식기세척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준 습도보다 높은 경우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식기세척기 내부의 습도가 상기 기준습도보다 낮은 경우 도어를 폐쇄하여 습한 공기를 배출할 때 전력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종 헹굼수의 온도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기존대비 20~30%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발열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토출온도를 조절하여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팬의 RPM을 단계별로 가변하여 운전영역별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터브 내부 순환 유동의 패턴 변화를 통하여 건조랙의 각기 다른 영역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열림을 통해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제습을 위한 별도의 에너지를 소모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측면에 부착된 유로부 및 가열부과 식기세척기가 함께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유로부 및 가열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캡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캡 형상 및 경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가열부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식기세척기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알고리즘.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되고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와 터브(2) 하측에 결합되고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3) 및 섬프(3)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4)로 구성된다. 캐비닛(1)에는 터브(2)를 개폐하는 도어(11)가 구비되어 있다.
터브(2)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척챔버(21)가 형성되고, 세척 챔버(21)에는 식기를 얹을 수 있는 복수의 랙(22)이 설치된다. 랙(22)은 상부랙(221)과 하부랙(222)으로 구성된다.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는 연결관(31)을 지나 분사암(32)을 통해 랙(22)에 놓인 식기로 분사된다. 분사암(32)은 상부랙(221)의 하측에 배치된 상부암(321)과 하부랙(222)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암(322)으로 구성된다. 상부암(321)과 하부암(332)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분사암(32)에는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이 형성된다.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는 펌프(4)에 의해 연결관(31)을 통해 상부암(321)과 하부암(322)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세척수를 공급된다.
섬프(3)내에 저장되는 세척수는 급수관(41)을 통해서 유입되며 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배수관(42)을 통해서 식기세척기(100) 외부로 배출된다. 급수량 및 배수량은 급수관(41) 및 배수관(42)에 설치된 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도2는 식기세척기(100)에 구비된 건조부(200)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3은 건조부(20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건조부(200)는 식기의 건조를 담당하는 유로부(5) 및 가열부(6)로 구성되어 있다.
유로부(5)는 터브(2) 내부의 공기를 가열부(6)로 전달하거나 가열부(6)에서 가열된 공기를 다시 터브(2) 내부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가열부(6)는 유로부(5)를 통해서 들어온 터브(2)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로부(5)는 터브(2) 내부와 연통 가능한 캐비닛(1)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기세척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1) 중 상부면 및 하부면을 제외한 측면 또는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열부(6)는 유로부(5)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가열부(6)는 식기세척기(100)의 내부라면 위치적인 제한은 없으나 터브(2)가 설치된 곳은 세척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므로 상대적으로 공간적인 여유가 있는 섬프(3)가 설치된 식기세척기(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부(200)는 식기세척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식기세척기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3을 참고하면, 유로부(5)는 터브(2) 내부를 순환한 공기를 빨아들이는 입구인 흡기구(51), 빨아들인 공기를 건조한 후 다시 터브(2) 내부로 배출하는 출구인 배기구(52), 흡기구(51)와 연통되고 공기를 가열부(6)로 전달하는 통로인 흡기유로(53), 배기구(52)와 연통되고 가열부(6)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배기구(52)로 전달하는 통로인 배기유로(54), 흡기유로(53) 및 배기유로(54)에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돕는 역할을 하는 리브(55), 흡기구(51) 및 배기구(52)에 구비되어 있는 공기의 원활한 포집 및 배출을 돕는 캡(5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기유로(53) 또는 배기유로(54) 내부에는 공기의 안정적인 유동을 돕기 위하여 리브(55)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기유로(53)와 배기유로(54)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리브(55)가 배치되어 있다. 다수개의 리브(55)는 일정한 간격으로 흡기유로(53) 및 배기유로(54)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5를 참고하면, 터브(2)와 흡기구(51)가 연결되는 면과 터브(2)와 배기구(52)가 연결되어 있는 면 중 적으도 어느 하나의 면에는 흡기구(51) 및 배기구(52)로 유입된 세척수나 오염물이 터브(2) 내부로 배출되기 쉽도록 경사면(511)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4를 참고하면, 흡기구(51) 또는 배기구(52)에 구비되어 있는 캡(56)은 흡기구(51)로 흡입되는 공기를 고루 포집하고 배기구(52)로 배출되는 열풍이 터브(2) 내측으로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력방향으로 세척수 및 오염물이 장시간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캡(56)은 흡기구(51) 또는 배기구(52)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다.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캡(56)의 경우 캡(56)의 둘레에 흡기구(51) 및 배기구(52)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후크(561)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흡기구(51) 또는 배기구(52)에 세척수 및 오염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56)에 배수구(562)가 구비된다. 흡기구(51) 또는 배기구(52)에 구비된 경사면(511)을 통해 흘러나오는 세척수 및 오염물이 배수구(562)를 통해 빠져나간다.
캡(56)의 중앙부에는 원형상통로(564) 및 다수개의 콘형상통로(563)가 구비되어 있다. 원형상통로(564) 및 다수개의 콘형상통로(563)는 흡기구(51)로 흡입되는 공기를 고루 포집하고 배기구(5)로 배출되는 열풍이 터브(2) 내측으로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콘형상통로(563)의 단면은 사다리꼴 모양과 유사하며 다수개의 콘형상통로 (563)는 원형상통로(564)를 둘러싸면서 하나의 원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캡(56)은 터브(2)쪽의 원형상통로(564)의 단면이 흡기구(51) 또는 배기구(52)쪽 원형상통로 (564)의 단면보다 크다. 반면 터브(2)쪽의 콘형상통로(563)의 단면은 흡기구(51) 또는 배기구(52)쪽 콘형상통로(563)의 단면보다 작다. 즉, 배기유로 (54)에서 터브(2)로 가열된 공기가 빠져나갈 때 원형상통로(564)는 점점 넓어지지만 콘형상통로(563)는 점점 좁아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터브(2) 내부의 공기가 흡기유로(53)로 들어갈 때는 원형상통로(564)는 점점 좁아지지만 콘형상통로(563)는 점점 넓어지게 된다.
도면6는 가열부(6)의 사시도에 해당한다. 가열부(6)는 유로부(5)로부터 터브(2) 내부의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다시 유로부(5)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열된 공기의 흐름 또한 조절할 수 있다.
가열부(6)는 유로부(5)로부터 공급받은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61), 공기의 순환을 돕는 팬(62), 팬(62)을 회전시키는 모터(63), 유로부(5)와 연통되어 공기를 받아들이는 흡기덕트(64), 유로부(5)와 연통되어 가열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65)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부(6)에는 공급받은 공기를 가열하는 다수개의 발열부(6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발열부(61)는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발열부는 바람직하게는 PTC히터로 구성되어 있다.
PTC 히터는 온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더 이상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가 가능한 히터로써 다른 종류의 히터에 비해 전력 소모가 매우 낮은 특징이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발열부(61)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토출되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TC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온도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제어부 없이도 토출되는 온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2개의 발열부(61)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발열부(611)와 제2발열부(612)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발열부(61)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온도를 더욱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된다.
건조가 진행될수록 잔존하는 수분은 쉽게 증발되지 않는다. 그 대안으로 2개 이상의 발열부(61)를 두어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작동하는 발열부(61)의 개수를 점점 증가시킬 수 있다. 건조가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잔존하는 터브 내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은 하나의 발열부(61)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개 이상의 발열부(61)를 모두 작동시키게 되면 수분 증발을 위한 추가 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
다수개의 발열부(61)는 가열부(6) 내부에 공기의 유동이 흐르는 길목이면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배기덕트(65) 내부에 위치해있다.
팬(62) 또한 공기의 순환을 돕는 역할을 하므로 가열부(6)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는 길목이면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발열부(61) 방향으로 공기를 직접 송풍할 수 있도록 배기덕트(65)의 배출구와 팬(62) 사이에 발열부(6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62)은 BLDC 모터(63)를 이용하여 RPM을 제어한다. RPM을 단계별로 가변하여 운전영역별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터브(2) 내부 순환유동의 패턴 변화를 통하여 건조 랙(50)의 각기 다른 영역을 건조할 수 있다.
하부 랙(52)과 배기구(52)의 높이가 같다는 점과 배기구(52)에 구비된 캡(56)의 단면 형상이 콘형상통로(142)로 이루어졌다는 점은 팬(62)의 RPM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터브(2) 내부의 공기 유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배기구(52)에서 배출된 공기 유동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보면, 배기구(52)에서 배출된 가열된 공기가 하부랙(52)을 거쳐 상부로 상승한 후 다시 흡기구(51) 쪽으로 돌아오게 된다. 즉, 배출된 공기는 터브(2) 내부를 회전 순환하는 형태가 된다.
제1RPM으로 팬(62)을 회전시키면 하부랙(222)에 놓인 식기의 건조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부랙(221)에 수납된 세척대상 중 흡기구(51)와 먼 영역에 위치된 그릇의 건조도가 흡기구(51)와 가까운 영역에 위치된 그릇의 건조도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다. 제1RPM보다 작은 제2RPM으로 팬(62)이 회전하게 되면 상부랙(221)의 건조도는 흡기구(51)에서 먼 영역에 위치된 그릇보다 가까운 영역에 위치된 그릇이 상대적으로 더욱 높아진다.
즉, 하부랙(52)에 놓여진 식기의 경우 팬(62)의 RPM이 높아질수록 건조가 빠르게 진행되며, 상부랙(221)에 놓여진 식기의 경우 흡기구(51)와 먼 영역의 식기는 팬(62)의 RPM이 제1RPM에 해당할 때 건조도가 더 높으며 팬(62)의 RPM이 제2RPM에 해당할 때는 흡기구(51)와 가까운 영역의 식기의 건조도가 더 높다.
따라서 모터(250)의 RPM 가변을 통해 풍량 및 풍속을 제어하여 터브(2) 내부 전체 식기가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팬(62)의 RPM은 발열부(61)의 작동 중 적어도 1회 이상 변경될 수 있다.
흡기덕트(64)는 유로부(5)의 흡기유로(53)와 연통되며 배기덕트(65)는 유로부(5)의 배기유로(54)와 연통된다. 배기덕트(65)는 제1하우징(651)과 제2하우징 (65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하우징(652)과 흡기덕트(64) 연통될 수 있다.
배기덕트(65)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651)과 제2하우징(652) 내부에 발열부(61)와 팬(62)이 모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PTC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배기덕트(65)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PPS(poly phenylene sulfide) 소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공기 흐름을 다시 한번 간략하게 설명하면, 터브(2) 내부의 공기가 흡기구(51)를 통해서 유로부(5)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흡기구(51)를 지나 흡기유로(53)를 통해 흡기덕트(64)로 공기가 이동하며 흡기덕트(64)의 공기는 팬(62)에 의해 배기덕트(65) 내부의 2개 이상의 발열부(61)를 통과하게 된다. 발열부(61)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는 배기덕트(65)에서 유로부(5)의 배기유로 (54)를 지나 배기구(52)를 통해 다시 터브(2)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브(2)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BLDC 모터(250)에 의한 팬(62)의 RPM에 따라 터브(2) 내부에서의 유동이 달라지게 된다.
공기가 터브(2) 내부를 계속해서 순환하게 되면 공기는 점점 습해지게 된다. 습한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발열부가 작동 중) 도어(30)를 개방하는 방법이 있다. 발열부(61)가 작동되는 동안 적어도 도어(11)를 1회 이상 개방시켜 터브(2) 내부를 순환하면서 습해진 공기를 식기세척기(1) 외부로 내보내게 된다.
도어(11)가 개방됨과 동시에 2개 이상의 발열부(61)는 모두 작동할 수 있다. 도어(11)가 개방될 때 터브(2)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터브(2)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터브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을 2개 이상의 발열부(61)를 작동시킴으로써 더욱 빠르게 증기화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11)가 개방됨과 동시에 팬(62)의 RPM은 도어의 개방 전에 비해 증가할 수 있다. 도어(11)가 개방되었을 때 팬(62)의 RPM이 상승하게 되면 공기의 유동이 훨씬 빨라지므로 습한 공기의 배출이 더욱 원활해지게 된다.
도면7은 도어(11) 개방에 대한 제어방법 실시예이다. 세척코스 설정은 세척물의 종류에 따라 세척 과정을 사용자가 미리 선택할 수 있는 단계이다. 건조시간 설정은 세척물의 총 건조시간을 사용자가 미리 선택할 수 있는 단계이다.
알고리즘을 자세히 살펴보면 세탁코스 및 건조시간을 설정(S10)을 하고 난 뒤에 건조단계(S20)이 진행된다. 건조단계(S20)이 진행 중 수시로 터브 내부의 습도 H를 측정(S30)하게 되며 측정된 습도 H를 기 설정된 기준습도 Hm과 비교하는 단계를 가진다(S40). 비교단계를 거쳐 H>Hm인 경우 도어를 개방하고(S50), H<Hm인 경우 계속해서 건조단계를 진행한다(S20).
기준습도 Hm은 수증기가 포화되는 시점 즉 증발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습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 건조 효율의 측면에서 수증기가 포화되기 직전의 습도를 기준습도로 정할 수도 있다.
도어(11)가 개방되면(S50) 터브 내부의 습도 H를 기준습도 Hm과 계속해서 비교하는 단계를 가진다(S60). 만약 습도 H가 기준습도 Hm보다 높으면 계속해서 도어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습도 H가 기준습도 Hm보다 낮으면 도어를 다시 폐쇄(S70)하는 단계로 넘어간다.
도어 폐쇄(S70)단계 후 세탁 초반에 설정한 건조시간과 실제 건조단계가 진행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80)를 거쳐 건조 진행시간이 설정시간을 넘지 않은 경우 다시 계속해서 건조단계(S20)를 진행하고, 설정시간이 넘은 경우 전체 세탁 행정을 종료한다.
상기 도어 개방 실시예는 기존의 제습 방식에 비해 간단하고 제습을 위한 추가적인 전기에너지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한편 팬(62)의 RPM이 변경될 때 도어(30)가 개방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습의 또다른 실시예로 유로부(5) 내에 흡기구(51) 및 흡기유로(53)를 둘러싼 공간에 워터 탱크(미도시)를 설치하는 방안이 있다. 건조 전에 워터 탱크에 급수된 물은 터브(2) 내부를 순환하고 흡기구(51)로 유입된 습한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흡기구(51) 및 흡기유로(53)에서 열교환을 한 결과 발생하는 응축수는 흡기덕트로 유입되기 전 흡기유로 끝단에 설치된 응축수배출구(미도시)로 빠져 나가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캐비닛, 11 : 도어
2 : 터브, 21 : 세척챔버, 22 : 랙
3 : 섬프, 31 : 연결관, 32 : 분사암
4 : 펌프
5 : 유로부, 51 : 흡기구, 52 : 배기구, 56 : 캡
6 : 가열부, 61 : 발열부, 62 : 팬, 64 : 흡기덕트, 65 : 배기덕트

Claims (2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통해 상기 터브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유로모듈;
    상기 흡기구와 연통되는 흡기덕트;
    상기 흡기덕트 및 상기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덕트;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팬; 및
    상기 흡기구 또는 상기 배기구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기의 포집 및 배출 능력을 향상시키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바디;
    상기 바디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제1통로;
    상기 제1통로를 둘러싸도록 상기 바디에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제2통로; 및
    상기 제2통로의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흡기구 또는 상기 배기구로 유입된 세척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로는 상기 터브 측의 단면적이 상기 흡기구 또는 상기 배기구 측의 단면적보다 더 크며,
    상기 제2통로는 상기 터브 측의 단면적이 상기 흡기구 또는 상기 배기구 측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발열부는 각각의 발열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발열부의 작동 중 적어도 1회 이상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2개 이상의 발열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기준습도에 도달하면 상기 도어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PTC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RPM은 상기 발열부의 작동 중 적어도 1회 이상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RPM이 변경될 때 상기 도어가 동시에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 전 상기 팬의 RPM에 비해 상기 도어의 개방 후 상기 팬의 RPM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모듈은,
    상기 흡기구와 상기 흡기덕트를 연결하는 흡기유로;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기덕트를 연결하는 배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유로 및 배기유로는 세척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기준으로 상단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가 상기 배기구보다 상단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에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상기 배기구까지 공기의 유동을 돕는 리브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식기세척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된 상부랙;
    상기 상부랙 하부에 구비된 하부랙;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하부랙과 같은 높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를 구성하는 원주면은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로 유입된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유로모듈에 결합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50082722A 2015-06-11 2015-06-11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KR101792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22A KR101792513B1 (ko) 2015-06-11 2015-06-11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PCT/KR2016/006171 WO2016200198A1 (en) 2015-06-11 2016-06-10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CN201680002033.7A CN106659354B (zh) 2015-06-11 2016-06-10 洗碟机的加热循环式烘干模块
EP16807838.4A EP3307133B1 (en) 2015-06-11 2016-06-10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US15/318,274 US10568487B2 (en) 2015-06-11 2016-06-10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22A KR101792513B1 (ko) 2015-06-11 2015-06-11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91A KR20160146091A (ko) 2016-12-21
KR101792513B1 true KR101792513B1 (ko) 2017-11-02

Family

ID=5750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722A KR101792513B1 (ko) 2015-06-11 2015-06-11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8487B2 (ko)
EP (1) EP3307133B1 (ko)
KR (1) KR101792513B1 (ko)
CN (1) CN106659354B (ko)
WO (1) WO20162001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912A3 (ko) * 2021-08-03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92A (ko) 2017-02-23 2018-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102017223271A1 (de) * 2017-07-18 2019-01-24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 oder mehreren Beladeeinheiten
CN207785113U (zh) * 2017-07-21 2018-08-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器、热风装置和洗碗机
CN207785112U (zh) * 2017-07-21 2018-08-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热风装置及洗碗机
US10863882B2 (en) 2018-08-13 2020-12-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drying duct
CN109199298B (zh) * 2018-10-22 2024-01-23 东莞理工学院 一种除湿干燥装置及洗碗机
KR20210138422A (ko) * 2020-05-12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1956147A (zh) * 2020-07-02 2020-11-20 广东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的洗碗机
KR20220053425A (ko) * 2020-10-22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2890719B (zh) * 2021-04-02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洗碗机的烘干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3633237A (zh) * 2021-08-05 2021-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
CN114468919B (zh) * 2022-01-07 2023-11-24 广东荣创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洗碗机干燥装置
DE102022104065A1 (de) * 2022-02-22 2023-08-24 Miele & Cie. Kg Verfahren zum Trocknen von Spülgut, Verfahren zum Einlernen eines Ansteueralgorithmus, Vorrichtung und Spülgerät
KR20230129884A (ko) * 2022-03-02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116530908B (zh) * 2023-06-01 2023-10-27 杭州亿方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热水余温回收利用结构的洗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0027A (ja) * 2005-05-17 2008-11-20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アプライアンシーズ リミテッド 食器洗浄機用換気システム
JP2015073787A (ja) * 2013-10-10 2015-04-20 東邦瓦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552A (en) * 1979-01-23 1982-04-27 Ingo Bleckmann Heater for heating flows of fluid and dishwashing machine provided therewith
JPH11276415A (ja) * 1998-03-30 1999-10-12 Zojirushi Corp 食器乾燥器
KR101130401B1 (ko) 2004-08-16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증기 배출 커버구조
FR2879431B1 (fr) * 2004-12-21 2008-12-05 Brandt Ind Sas Lave-vaisselle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 sechage de la vaisselle dans ce lave-vaisselle
JP2007068601A (ja) 2005-09-05 2007-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ATE498349T1 (de) 2007-02-20 2011-03-15 Electrolux Home Prod Corp Trockensystem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SE531447C2 (sv) 2007-07-09 2009-04-07 Asko Cylinda Ab Diskmaskin försedd med ett torksystem
KR101435838B1 (ko) 2008-05-29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102008056412A1 (de) 2008-11-07 2010-05-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Luft-Trocknungsvorrichtung und/oder Flüssigkeits-Heizungseinrichtung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EP2372012B1 (en) * 2010-03-30 2016-08-31 DBK David + Baader GmbH Condenser unit,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household appliance
KR101736435B1 (ko) 2010-06-23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덕트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JP2014523798A (ja) * 2011-04-27 2014-09-18 アンダーウォーター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 水中コーティング材用塗装具
EP2371258A3 (de) 2011-06-06 2012-03-07 V-Zug AG Geschirrspüler mit Türspaltlüftung
US9635997B2 (en) 2013-02-12 2017-05-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05442B1 (ko) 2013-02-12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88109B1 (ko) * 2014-05-30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0027A (ja) * 2005-05-17 2008-11-20 フィッシャー アンド ペイケル アプライアンシーズ リミテッド 食器洗浄機用換気システム
JP2015073787A (ja) * 2013-10-10 2015-04-20 東邦瓦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912A3 (ko) * 2021-08-03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7133A4 (en) 2019-01-30
CN106659354B (zh) 2020-05-05
US20170196431A1 (en) 2017-07-13
EP3307133A1 (en) 2018-04-18
WO2016200198A1 (en) 2016-12-15
US10568487B2 (en) 2020-02-25
CN106659354A (zh) 2017-05-10
KR20160146091A (ko) 2016-12-21
EP3307133B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513B1 (ko)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US9635997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921098B1 (en) Dihwasher having drying apparatus
KR102426405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8409361B2 (en) Controlling method of dishwasher
KR20100113730A (ko) 식기세척기
US10980395B2 (en) Dishwasher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TW201446206A (zh) 餐具清洗烘乾機
EP3524127B1 (en) Dishwasher
KR20170062942A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102511843B1 (ko) 식기세척기
KR20100020788A (ko) 식기 세척기
KR10200544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05442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52481B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JP5837410B2 (ja) 食器洗浄乾燥機
KR10260118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58399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US20230337892A1 (en)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n air-drying dehumidification assembly
JPS594606Y2 (ja) 食器洗い機
KR20230144409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7707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230103447A (ko) 식기세척기
JP5936300B2 (ja) 食器洗浄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