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843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843B1
KR102511843B1 KR1020180016513A KR20180016513A KR102511843B1 KR 102511843 B1 KR102511843 B1 KR 102511843B1 KR 1020180016513 A KR1020180016513 A KR 1020180016513A KR 20180016513 A KR20180016513 A KR 20180016513A KR 102511843 B1 KR102511843 B1 KR 10251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air
heat exchange
condens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726A (ko
Inventor
윤상헌
김대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843B1/ko
Priority to AU2019200886A priority patent/AU2019200886B2/en
Priority to EP19156108.3A priority patent/EP3524129B1/en
Priority to US16/271,430 priority patent/US11134827B2/en
Publication of KR2019009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3Drying arrangements by using cond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0Air circulation,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터브로 유동시키는 응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순환과정에서 응축 및 가열하여 터브 내부의 식기를 건조시키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 내부에서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고, 헹굼 및 건조과정을 거쳐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기구이다. 물과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 헹굼과정으로 식기에 묻은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식기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과정을 통해 식기의 세척을 마무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건조과정은 식기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높여서 식기의 온도를 높이고, 식기에 묻은 물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과정과 증발된 수증기를 세척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는 냉각덕트에서 응축시키거나 제습제에 흡수시켜서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식기세척기 내부의 식기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으나, 식기세척기 외부로 습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식기세척기가 배치된 외부 공간에 다량의 습기로 인한 곰팡이 등이 발생하거나, 외부의 구성을 손상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터브 내부의 건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터브 내부의 습공기가 배출되는 별도의 응축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나, 단순히 유로만을 형성하여 터브에서 배출된 습증기를 응축하는 경우, 응축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대로 응축되지 않은 습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식기세척기의 주변 공간을 손상할 수 있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특허 출원 KR 10-2015-0168759에서는 터브 상부에 에어제트를 토출하는 송풍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도어를 개방하여 터브 내부의 습증기와 에어제트를 토출하므로, 터브 내부의 습증기가 과다하게 토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브 내부의 습한공기를 처리하여 터브 내부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처리하여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식기세척기 외부로 습증기를 배출하지 않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처리하여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터브 내부의 습증기도 일부 제거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처리하여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터브로 유동시키는 응축모듈을 포함하여,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모듈을 통해 응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응축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는 히팅모듈을 더 포함하여, 응축된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히팅모듈은,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터브 내부로 보내는 열풍관을 포함하여, 응축된 공기를 히터로 가열하여, 열풍관을 통해 터브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열풍관 내부에는 유동하는 공기를 상승시키는 상승유로와, 상기 상승유로에서 유동된 공기를 하강시켜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하강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승유로의 하측에 배치되어, 터브에서 비산되는 세척수가 히터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응축모듈을 거쳐 다시 상기 터브 내부로 유동시키는 순환팬모듈을 더 포함하여,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응축모듈은, 상기 캐비닛과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응축실; 및 상기 터브 내부와 상기 응축실을 연결하도록, 상기 터브 상측에 배치되는 응축실연결관을 포함하여, 터브에서 상측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습증기를 응축실연결관을 통해 응축실로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응축실은 일측면에서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부와 면접하고, 타측면에서 상기 캐비닛과 면접하게 배치되어, 응축실이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부와, 캐비닛의 양측으로 열교환하여 응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응축실 내부에는, 상기 응축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가이드; 및 상기 응축실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응축수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가이드는 상기 유로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어, 유로가이드를 통과한 공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응축수가이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응축실에는, 상기 응축수가이드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실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가이드를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배출홀로 안내하는 응축수 배출가이드가 형성되어, 응축모듈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터브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터브에는,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상기 응축모듈로 유동하도록 상기 터브의 상면에서 순환부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모듈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동하도록 상기 터브의 측면에서 순환부배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배출가이드는 응축실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순환부배기홀로 안내하여, 응축모듈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터브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 상면에 형성된 상기 순환부유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응축모듈로 보내는 응축실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실연결관은 상기 순환부유입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져, 터브에서 비산되는 세척수가 응축수연결관을 통해 응축모듈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응축모듈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실; 상기 열교환실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홀이 형성된 외기유입부; 및 내부에 배치되는 배기팬을 작동시켜, 상기 열교환실을 유동하는 외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외기배출부를 포함하여, 외기를 전방으로 유입하여, 열교환실을 통과한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외기유입홀은 상기 외기유입부의 전방 하측에서 형성되어, 하측의 차가운 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실 상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기 열교환실 내부에는, 전방에서 유입된 외기를 후방 상측으로 안내하는 열교환실-유로가이드가 형성되어, 외기를 열교환실 내부에서 넓게 유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부와 열교환으로 응축하고, 히터로 가열하여 터브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여,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고, 순환과정에서 외부공기와 열교환으로 응축하여, 터브 내부의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터브와 터브에서 배출된 습증기가 유동하는 응축모듈 사이에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부가 배치되어, 터브에서 배출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응축하여, 보다 빠르게 터브 내부를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응축모듈은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부와,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양면에서 외기와 열교환할 수 있어, 터브에서 순환되는 공기의 응축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외부에서 유입되어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열교환과정에서 온도의 변경이 있더라도,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어 습한공기가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셋째,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실은 일측면에 터브가 배치되어,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 터브 내부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응축에 사용되는 별도의 열원이 존재하지 않고, 외기를 사용하는 점에서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도 있다.
넷째, 응축모듈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는 터브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응축모듈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내부를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내부의 터브와, 열교환부 및 순환부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응축실 및 열교환실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 열교환부 및 터브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과 응축실을 형성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응축실의 일부와 히팅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를 자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구조에서 응축수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 구성관련>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 캐비닛(20)에 결합되어 캐비닛(20)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22),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치되는 식기를 처리하는 터브(24)를 포함한다. 캐비닛(20)과 터브(24)는 도어(22)가 배치되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세제를 보관하고, 세척단계에서 터브(24) 내부로 세제를 투입하는 디스펜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도어(2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20)은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20)의 일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외기유입부(220)로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20)의 타측에는 열교환된 외부공기(이하, ‘외기’)가 배출되는 외기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4)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내부에 식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4)는 내부에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일측에 에어가이드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4)는 캐비닛(20)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4)는 캐비닛(20)과 사이에서, 이하에서 설명할 열교환실(210)과 응축실(112)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4)의 상면에는 터브(24) 내부의 공기가 순환부(100)로 토출되는 순환부유입홀(8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4)의 측면에는 순환부(100)를 유동하는 공기가 터브(24) 내부로 배출되는 순환부배기홀(8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상기 터브(24) 내부에서 식기를 수용하는 랙(30, 32), 상기 랙(30, 32)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모듈 및 상기 분사모듈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26) 및 상기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로 압송시키기는 세척펌프(5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모듈은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분사노즐(34, 36, 38)과, 상기 세척펌프(50)와 상기 분사노즐(34, 36, 38)을 연결하는 공급관(42, 44, 46)을 포함한다.
식기 세척기(10)는 상기 세척펌프(50)를 구동하는 세척모터(52)를 더 포함하고, 세척모터(52)는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BLDC 모터(Brus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세척모터(52)는 BLDC모터이기 때문에, 목표 RPM(revolution per minute)의 설정이 가능하다. BLDC 모터의 RPM이 변화되면 세척펌프(50)의 압송력이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섬프(26) 또는 분사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모듈(60), 섬프(26)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듈(62), 섬프(26)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모듈(70) 및 섬프(26)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세척수히팅모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24) 내부에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30, 3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식기세척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30, 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랙(30, 32)은 터브(24)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된 하부랙(32)과 하부랙(32)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랙(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34, 36, 3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터브(24)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랙(32)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노즐(38), 상부랙(30)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노즐(36), 상기 터브(24)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관(42, 44, 46)은 섬프(26)와 분사노즐(34, 36, 38)을 연결한다. 세척펌프(50)가 동작하여 섬프(26)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면, 분사노즐(34, 36, 38)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관(42, 44, 46)은 하부노즐(38)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관(42), 상부노즐(36)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관(44) 및 탑노즐(34)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3관(4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제1관(42) 내지 제3관(46)으로 공급하는 유로절환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로절환부(4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유로절환모터(미도시)와 유로절환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세척수의 유동을 조절하는 회전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판은 복수의 공급관(42, 44, 46)들이 분지되는 곳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회전판에는 복수의 절환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은 유로절환모터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한다. 유로절환모터에 의하여 회전판이 회전되면, 회전판에 형성된 복수의 절환홀이 복수의 연결구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여, 세척펌프(50)로부터 유동 된 세척수가 복수의 분사노즐(34, 36, 38)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세척펌프(50)를 통해 섬프(26)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펌프관(48)을 거쳐 유로절환부(40)로 이동한다. 유로절환부(40)는 섬프에서 유입된 세척수를 제1관(42) 내지 제3관(46) 중 적어도 하나의 관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부노즐(36)은 상부랙(3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노즐(36)은 세척수의 분사 시 세척수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관(4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탑노즐(34)은 상부랙(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탑노즐(34)은 터브(24)의 상측에 배치된다. 탑노즐(34)은 제3관(46)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부랙(30)과 하부랙(32)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급수모듈(6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섬프(26)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급수밸브(65)를 개폐하여 외부의 물을 섬프(36) 내부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모듈(70)를 거쳐 섬프(26)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배수모듈(62)은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관(64)과 배수펌프(66)로 구성된다.
필터모듈(70)는 세척수 중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터브(24)에서 섬프(26)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섬프(26)에는 필터모듈(70)가 설치되는 필터장착부(62)가 형성될 수 있고, 필터장착부와 섬프(26) 내부를 연결시키는 필터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위 감지부는 터브(24)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플로터(미도시)가 내부에 장착되고, 플로터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여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김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사용자에게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사용자에게 식기세척기의 진행상태를 표시하거나 알림을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터치입력방식이나 버튼입력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는 디스플레이나 경고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 내부의 터브와, 열교환부 및 순환부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응축실 및 열교환실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 열교환부 및 터브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과 응축실을 형성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응축실의 일부와 히팅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를 자른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구조에서 응축수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와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24) 내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를 열교환으로 응축한 후, 가열하여 터브(24)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100),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순환부(100)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2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100)는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즉, 순환부(100)는 터브(24) 내부의 공기를 응축모듈(110), 순환팬모듈(140), 히팅모듈(150)로 유동시키고, 다시 터브(24) 내부로 공급한다. 순환부(100)는 터브(24)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으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고, 다시 가열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를 터브(24) 내부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브(24)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터브(24) 내부의 공기는 순환부(100)를 따라 유동하여 습한공기가 빠져나가고,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므로, 터브(24) 내부에 거치된 식기가 건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부(100)는 외기와 열교환을 통해 터브(24)에서 빠져나간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모듈(110), 응축모듈(110)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모듈(150) 및 터브(24) 내부의 공기가 응축모듈(110) 및 히팅모듈(150)을 거쳐 다시 터브(24) 내부로 유동하도록 작동하는 순환팬모듈(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모듈(110)은 터브(24)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열교환부(200)를 유동하는 외기와 열교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모듈(110)은 터브(24)에서 배출된 공기를 외부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터브(24)의 측면(28)에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응축실(112), 응축실(11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가이드(114, 116), 응축실(112) 내부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응축수가이드(118, 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모듈(110)은 터브(24) 내부와 응축실(112)을 연결하도록, 터브(24) 상측에 배치되는 응축실연결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내부가 중공인 판형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판형상을 가짐으로써 넓은면적에서 열교환실과 열교환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캐비닛(20)과 터브(2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캐비닛(20)과 열교환부(200)의 열교환실(210) 사이에 배치된다. 응축실(112)의 일측면에는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실이 배치된다. 응축실의 타측면에는 식기세척기의 외면을 형성하는 캐비닛(2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일측면에서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부와 면접하고, 타측면에서 캐비닛과 면접하게 배치된다.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는, 일측면에 배치된 열교환실(210)을 유동하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응축될 수 있다. 또한,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는, 타측면에 배치된 캐비닛(20)을 통해 식기세척기의 외부와 열교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는 양측면을 통해 열교환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열교환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하부의 일측에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배출홀(16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홀(166)은 응축실(112)과 히팅모듈(150)을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에는 응축수가이드(118, 120)를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를 응축수배출홀(166)로 가이드하는 응축수배출가이드(16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가이드(164)는 응축수배출홀(166) 하측에 배치되며, 터브(24)의 측면에 형성되는 순환부배기홀(82)로 응축수를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열교환부(200)와의 사이에서 격벽을 형성하는 제1면(126a)과, 캐비닛(20)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면(126b), 전방에서 제1면(126a)과 제2면(126b)을 연결하는 전방면(127a) 및 후방에서 제1면(126a)과 제2면(126b)을 연결하는 후방면(127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의 상부(128a)는 직사각형 형태의 넓은 확장면을 형성하고, 유로가이드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의 하부(128b)는 응축실(112) 상부(128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부(128a)에 비해 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응축실(112)의 상부(128a)는 상측에서 터브(24)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응축실연결관(13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은 상부면의 후방에서 응축실연결관(130)과 연결된다. 응축실(112)의 상부(128a)에는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가이드(114, 116)가 배치된다. 응축실(112)의 하부(128b)에는 응축실(112)에 응축수배출홀(166)이 형성된다. 응축실-하부(128b)에는 응축수배출가이드(164)가 배치된다. 응축실-하부(128b)의 하단부에는 순환팬모듈(140)과 연결되는 응축실배기부(124)가 배치된다.
응축실(112) 내부에는 터브(24)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응축유로가 형성된다. 응축유로는 응축실(112) 내부에 형성된 유로가이드(114, 1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응축유로의 길이는 유로가이드(114, 11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114, 116)는 공기의 유동속도 및 열교환 정도를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로가이드(114, 116)는 응축실연결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1유로가이드(114)와 제1유로가이드(11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유로가이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114) 및 제2유로가이드(116)는 제1면(126a)에서 제2면(126b)으로 연결되어,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한다.
제1유로가이드(114)와 제2유로가이드(116)는 응축실(112) 상부(128a)에 배치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제1유로가이드(114)와 제2유로가이드(116)가 응축실(112) 하부(128b)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가이드(114)는 응축실연결관(130)의 하측에 배치되며, 응축실연결관(130)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유로가이드(114)는 후방면(127b)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유로가이드(116)는 제1유로가이드(114)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유로가이드(114)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2유로가이드(116)로 떨어질 수 있다. 제2유로가이드(116)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전환하도록,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114)의 단부의 하측에는 제2유로가이드(116)가 배치된다. 제2유로가이드(116)의 단부의 하측에는 전방면(127a)의 경사면 또는 응축수배출가이드(164)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2유로가이드(116)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제1측단면 또는 응축수배출가이드(164)로 떨어져, 응축수배출홀(166)로 유동할 수 있다.
응축실(112)은 상측에서 유입된 공기를 하측으로 배출한다. 제1유로가이드(114)와 제2유로가이드(116)는 응축실 내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전환시킬 수 있다. 응축실연결관(130)으로부터 응축실(112)로 유입된 공기는 제1유로가이드(114)에 의해 전방으로 유동하고, 제2유로가이드(116)에 의해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114)와 제2유로가이드(116)는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일정범위로 유지시키고, 응축실(112)을 통과하는 공기의 열교환면적을 넓힌다.
제1유로가이드(114)와 제2유로가이드(116)는 응축실(11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길이를 증가시켜 터브(24)에서 배출된 따뜻하고 습한공기의 응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응축실(112) 내부에는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에서 응축된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응축수가이드(118, 1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가이드(118, 120)는 유로가이드(114, 116) 하측에 배치된다. 응축수가이드(118, 120)는 응축실(112)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응축수를 터브(24)의 측면에 형성된 순환부배기홀(82)로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가이드(118, 120)는 응축실(112)의 일측내벽에 형성되는 제1응축수가이드(118)와 응축실(112)의 타측내벽에 형성되는 제2응축수가이드(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응축수가이드(118)는 제1면(126a)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응축수가이드(120)는 제2면(126b)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가이드(118, 120)는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가이드(118, 120)는 후방면(127b)에서 전방면(127a)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가이드(118, 120)는 응축수배출가이드(16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가이드(118, 120)는 응축수배출홀(166)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112)에는 복수의 제1응축수가이드(118)와 제2응축수가이드(1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응축수가이드(118)와 제2응축수가이드(120)는 응축수배출가이드(16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배출가이드(164)는 응축실(11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터브(24)의 측면에 형성된 순환부배기홀(82)로 안내하여, 터브(24) 내부로 유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연결관(130)은 터브(24)의 상면에 형성된 순환부유입홀(8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연결관(130)은 터브(24) 내부의 공기를 응축실(112)로 보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연결관(130)은 터브(24)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연결관(130)은 터브(24)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4) 내부와 응축실(112)을 연통시킨다. 응축실연결관(130)은 일단에서 터브(24) 상측의 순환부유입홀(80)과 연결되고, 타단에서 응축실(112)의 상측 후방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연결관(130)은 터브(24)의 순환부유입홀(8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넓어지는 경사면(132)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실연결관(130)은 터브(24)의 상면(29)을 따라 연장되고, 응축실(112)로 연결된다. 터브(24) 상면(29)을 따라 연장되는 응축실연결관(130)은 순환부유입홀(8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에 의해 터브(24) 내부에서 응축실연결관(130)으로 비산되는 세척수는, 응축실연결관(130)의 순환부유입홀(80) 상측에 형성된 경사면(132)과 터브(24) 상면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에 의해 다시 터브(24)의 순환부유입홀(8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실연결관(130)의 구조는 터브(24)에서 분사노즐에 의해 비산되는 세척수가 응축모듈(110)의 응축실(1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팅모듈>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50)은 응축모듈(110)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50)은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24) 내부로 보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50)은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 가열된 공기를 터브(24) 내부로 보내는 열풍관(15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는 열풍관(154)의 입구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관(154)은 내부에, 공기가 상승하도록 형성된 상승유로(156)와 상승유로(156)에서 유동된 공기를 하강하도록 형성된 하강유로(158)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는 상승유로(156)의 하측에 배치된다. 하강유로(158)의 단부에는 터브(24)와 연통하는 순환부배기홀(8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관(154)은 상승유로(156)와 하강유로(158)를 연결하는 만곡부(160)를 포함한다. 만곡부(160)는 상승유로(156)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승유로(156)를 유동하는 공기를 하강유로(158)로 안내한다. 터브(24) 내부에서 순환부배기홀(82)로 비산되는 세척수는 히팅모듈의 하강유로(158)와 만곡부(160)에 의해 히터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승유로(156)의 유입단부는 응축실배기부(12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모듈>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팬모듈(140)은 터브(24) 내부의 순환부유입홀(80)로 빨아들여, 순환부배기홀(82)로 보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팬모듈(140)은 응축모듈(110)을 유동하는 공기를 히팅모듈(150)로 유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팬모듈(140)은 응축모듈(110)과 히팅모듈(150)을 연결하는 순환팬하우징(144)과, 순환팬하우징 내부에서 배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키는 순환팬(142)을 포함한다. 순환팬모듈(140)은 응축실(112)의 응축실배기부(124)와 상승유로(156)가 형성된 히팅모듈(150)을 연결한다.
<열교환부>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200)는 터브(24)의 뜨거운 습증기를 외기와 열교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200)는 외기를 흡입하여, 순환부(100)와 열교환하고,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200)는 터브(24)와 응축모듈(110)의 응축실(112) 사이에 배치되어, 응축모듈(110)과 열교환하는 열교환실(210)과, 열교환실(210) 전방에 배치되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홀(222)이 형성된 외기유입부(220), 열교환실(210)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기배출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210)은 터브(24)와 응축실(112) 사이에 배치된다. 열교환실(210)은 내부에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여,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한다. 또한, 열교환실(210)은 내부에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여, 터브(24)를 유동하는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210)은 전방에 외기가 유입되는 열교환실유입구(214)가 형성되고, 하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열교환실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유입구(214)는 외기유입부(220)의 외기유입홀(222)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210)에는 전방에서 유입된 공기를 후방 상측으로 안내하는 열교환실-유로가이드(114, 116)가 배치된다. 열교환실-유로가이드(114, 116)에 의해 열교환실유입구(214)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측을 유동하여, 하측에 열교환실배출구가 형성된 열교환실배출부(216)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배출부(216)는 응축실(112)의 응축실배기부(124)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실(210)은 일측면에서 응축실(112)과 열교환하여, 응축실(112)을 유동하는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실은 타측면에서 터브(24)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터브(24)를 유동하는 공기를 응축시켜, 터브(24)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부(220)는 열교환실(210)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부(220)는 열교환실(210) 전방에서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부(220)는 식기세척기의 전방 하측에 형성된 외기유입홀(222)을 통해 외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외기를 상측으로 유동시켜, 열교환실(210)로 보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배출부(230)는 터브(2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배출부(230)는 열교환실배출부(216)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배출부(230)는 열교환실(2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캐비닛(20)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배출부(230)는 식기세척기(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배출부(230)는 열교환부(200)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배기팬(2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팬(232)은 터브(24)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팬(232)은 순환팬(142)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다른 배기팬(232)는 순환팬(142)과 하나의 모터에 양축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경우, 배기팬(232)과 순환팬(142)이 동일 회전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모터의 동작으로 배기팬과 순환팬을 작동시켜, 외기를 유입하고, 터브(24)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식기세척기 20 : 캐비닛
22 : 도어 24 : 터브
110 : 응축모듈 112 : 응축실
114 : 제1유로가이드 116 : 제2유로가이드
118 : 제1응축수가이드 120 : 제2응축수가이드
130 : 응축실연결관 132 : 경사면
140 : 순환팬모듈 150 : 히팅모듈
152 : 히터 154 : 열풍관
156 : 상승유로 158 : 하강유로
164 : 응축수배출가이드 166 : 응축수배출홀
200 : 열교환부 210 : 열교환실
212 : 열교환실-유로가이드 220 : 외기유입부
230 : 외기배출부

Claims (15)

  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캐비닛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부를 유동하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터브로 유동시키는 응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모듈은, 상기 캐비닛과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응축실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응축모듈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실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실의 일측면은 상기 열교환실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응축실의 타측면은 상기 캐비닛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실의 일측면에서 상기 응축실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실의 타측면은 상기 터브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는 히팅모듈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모듈은,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터브 내부로 보내는 열풍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 내부에는 유동하는 공기를 상승시키는 상승유로와, 상기 상승유로에서 유동된 공기를 하강시켜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하강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승유로의 하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응축모듈을 거쳐 다시 상기 터브 내부로 유동시키는 순환팬모듈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모듈은,
    상기 터브 내부와 상기 응축실을 연결하도록, 상기 터브 상측에 배치되는 응축실연결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실은 일측면에서 외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부와 면접하고, 타측면에서 상기 캐비닛과 면접하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실 내부에는,
    상기 응축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유로가이드; 및
    상기 응축실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응축수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가이드는 상기 유로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실에는,
    상기 응축수가이드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실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상기 터브 내측으로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가이드를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배출홀로 안내하는 응축수 배출가이드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는,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상기 응축모듈로 유동하도록 상기 터브의 상면에서 순환부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모듈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동하도록 상기 터브의 측면에서 순환부배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배출가이드는 응축실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상기 순환부배기홀로 안내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상면에 형성된 상기 순환부유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응축모듈로 보내는 응축실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실연결관은 상기 순환부유입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실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홀이 형성된 외기유입부; 및
    내부에 배치되는 배기팬을 작동시켜, 상기 열교환실을 유동하는 외기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외기배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홀은 상기 외기유입부의 전방 하측에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실 내부에는,
    전방에서 유입된 외기를 후방 상측으로 안내하는 열교환실-유로가이드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일측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홀이 형성되고, 유입된 외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부와 열교환으로 응축하고, 히터로 가열하여 터브 내부로 공급하는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일측면에는 상기 순환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동하는 순환부배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응축실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실 내부에는, 상기 응축실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응축수가이드와, 상기 응축수가이드를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를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배출홀로 안내하는 응축수 배출가이드가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가이드는, 상기 응축수배출홀을 통해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순환부배기홀로 가이드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80016513A 2018-02-09 2018-02-09 식기세척기 KR10251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13A KR102511843B1 (ko) 2018-02-09 2018-02-09 식기세척기
AU2019200886A AU2019200886B2 (en) 2018-02-09 2019-02-08 Dishwasher
EP19156108.3A EP3524129B1 (en) 2018-02-09 2019-02-08 Dishwasher
US16/271,430 US11134827B2 (en) 2018-02-09 2019-02-0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13A KR102511843B1 (ko) 2018-02-09 2018-02-09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726A KR20190096726A (ko) 2019-08-20
KR102511843B1 true KR102511843B1 (ko) 2023-03-20

Family

ID=6536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513A KR102511843B1 (ko) 2018-02-09 2018-02-09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34827B2 (ko)
EP (1) EP3524129B1 (ko)
KR (1) KR102511843B1 (ko)
AU (1) AU201920088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423A (ko) * 2020-10-22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20053425A (ko) * 2020-10-22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20053424A (ko) * 2020-10-22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127A (ja) * 1988-11-16 1990-05-23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浄乾燥器
JPH05211978A (ja) * 1992-02-05 1993-08-24 Toshiba Corp 食器乾燥機
KR0168759B1 (ko) 1995-11-28 1999-03-20 구자홍 음성 노이즈 제거장치와 제거장치 제어방법
IT238875Y1 (it) * 1995-12-19 2000-11-15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Lavastoviglie con dispositivo perfezionato di asciugaturaper condensazione
CH693494A5 (de) * 1998-12-23 2003-09-15 V Zug Ag Geschirrspüler mit Vorrichtung zum Kondensationstrocknen.
KR20080028526A (ko) * 2006-09-27 2008-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8875721B2 (en) * 2011-12-15 2014-11-0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closed loop condenser
WO2016127373A1 (zh) * 2015-02-12 2016-08-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JP6522556B2 (ja) 2015-07-06 2019-05-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血液検査キ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方法
CN105147219B (zh) * 2015-10-19 2018-06-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风机干燥系统
CN106264409B (zh) * 2016-09-05 2019-01-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干燥系统及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6871A1 (en) 2019-08-15
KR20190096726A (ko) 2019-08-20
EP3524129A1 (en) 2019-08-14
EP3524129B1 (en) 2022-09-07
US11134827B2 (en) 2021-10-05
AU2019200886A1 (en) 2019-08-29
AU2019200886B2 (en)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071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KR101792513B1 (ko)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JP2904454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2511843B1 (ko) 식기세척기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KR102493164B1 (ko) 식기세척기
KR100399328B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2541159B1 (ko) 식기세척기
KR101326309B1 (ko) 식기세척기
KR20100020788A (ko) 식기 세척기
KR102527575B1 (ko) 식기세척기
KR100488025B1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건조 장치
KR20060040388A (ko) 식기세척기
KR10260118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98649B1 (ko) 식기세척기
US11666201B2 (en) Dishwasher
KR100572776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20070105058A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