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42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424A
KR20220053424A KR1020200137874A KR20200137874A KR20220053424A KR 20220053424 A KR20220053424 A KR 20220053424A KR 1020200137874 A KR1020200137874 A KR 1020200137874A KR 20200137874 A KR20200137874 A KR 20200137874A KR 20220053424 A KR20220053424 A KR 20220053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inlet
heat exchange
upstream
according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현
김승윤
박형만
정민재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424A/ko
Priority to EP21204242.8A priority patent/EP3987998B1/en
Priority to US17/508,594 priority patent/US20220125275A1/en
Publication of KR20220053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3Drying arrangements by using cond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세척공간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터브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터브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응축덕트,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덕트와 접하는 열교환유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기공급모듈 및 상기 응축덕트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유입구로부터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진 상류부 및 상기 상류부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열교환유로부와 접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유로부는 상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응축덕트의 옆방향인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유로부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하단의 높이 이상이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나 조리 도구 등의 세척 대상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세척 대상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tub)와, 터브 내에 구비되어 식기 등이 수용되는 랙(rack)과, 랙으로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 암(arm)과, 세척액을 저장하는 섬프(sump)와, 섬프에 저장된 세척액을 분사 암에 공급하는 세척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건조모듈을 갖출 수 있다. 건조모듈은 터브 내부(세척실, 건조실)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식기(건조 대상)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건조모듈은 개방순환타입과 폐쇄순환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방순환타입의 건조모듈은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터브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반면에, 폐쇄순환타입의 건조모듈은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터브 외부로 배출시킨 후에, 배출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터브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건조모듈은 덕트(duct), 덕트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fan) 및 덕트와 접하는 냉각모듈(예컨대, 냉기공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모듈의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덕트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덕트의 유로저항을 저감시키며 냉각모듈의 열전달효율을 향상시켜야 한다.
덕트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덕트의 유로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덕트의 형태를 조절해야 하고, 냉각모듈의 열전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냉각모듈의 위치 등을 조절해야 한다.
건조모듈의 덕트의 형태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유럽등록특허 제3127463호는 세척 용기 및 공기 덕트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 덕트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공기 유출구(air outlet opening, LA)와 연결되는 상승덕트부(ascending duct section, KA1) 및 그 다음의 하강덕트부(descending duct section, KA2)를 포함한다. 상승덕트부 중에서 유출구 다음의 상류부(starting section, AA)의 단면적은 유출구의 단면적 및 하강덕트부의 단면적보다 크다. 이에, 상승덕트부에서 공기의 유속이 감소한다. 상류부는 수평면에 대해서 30도 내지 60도의 양각의 기울기를 가지고 유출구를 시작으로 상승덕트부 및 하강덕트부는 활(bow piece) 모양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덕트가 대략 210도 내지 240도 정도로 심하게 구부러지고 이에 따라 상승덕트부 및 하강덕트부의 길이가 증가하므로 유로저항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하강덕트부의 단면적이 상승덕트부의 상류부의 단면적보다 작으므로 유로저항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냉각모듈을 개시하지 않는다.
유럽등록특허 제31274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성능이 향상되고 건조장치가 물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며 응축덕트 내부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할 수 있고 미감을 높일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및 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세척공간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터브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터브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응축덕트; 상기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덕트와 접하는 열교환유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기공급모듈; 및 상기 응축덕트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유입구로부터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진 상류부; 및 상기 상류부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열교환유로부와 접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유로부는 상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응축덕트의 옆방향인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유로부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하단의 높이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유로부의 하류단은, 상기 상류부 중에서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거나 상류부 중에서 연직 상방 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유로부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상단의 높이 이하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류부는 하류단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유입구의 상단 높이에서의 단면적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류부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상기 제1방향의 거리는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류부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고 유입구의 상단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직 상방 또는 상기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덕트부 및 상류단이 상기 상승덕트부의 하류단과 연통되고, 연직 하방 또는 상기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류단이 상기 열교환부와 연통되는 하강덕트부를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승덕트부는 상기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간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구의 상기 제1방향의 타단보다 제1방향의 타방으로 더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상류부의 하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상류부의 하류단에서의 상기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는 상기 열교환부의 상류단에서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와 각각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류부에는 상기 응축덕트에 수직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한 개 이상의 가이드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는 베인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류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열교환유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의 상류측 단부에 이르는 상기 제1방향의 거리가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에는 슬릿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은 상기 유입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류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유입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슬릿에 이르는 상기 제1방향의 거리가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에 형성되는 슬릿은 상기 상류부의 구부러진 내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상방 또는 상기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응축덕트(1122A)는, 유입구(H1)와 연통되며 유입구(H1)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어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진 상류부(112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2) 내부의 물이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승덕트부(1122A2)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이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되고 건조장치(100)가 물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며 응축덕트(112) 내부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는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짐으로써, 상류부(1122A)가, 상류부(1122A)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열교환부(1122B)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응축덕트(1122A)는, 상류부(1122A)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며,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부(1122B)의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서 응축수를 용이하게 모을 수 있고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1122B)가 하방으로 연장되므로, 유입구(H1)에서 유입구(H1) 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구(H2)로 하방으로 유동하는 최적의 경로를 건조덕트(11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1122B)가 건조덕트(110)에 포함되면 건조덕트(110)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유로저항이 감소하여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유로부(126)는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가 유입구(H1)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연결하기 위해 가지는 제1방향 연장성분이 상류부(1122A)가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지기 위한 제1방향 연장성분으로 중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까지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짧아지므로, 유입구(H1)를 통해 터브(12)를 빠져나온 공기가 고온인 상태로 열교환부(1122B)에 도달할 수 있어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거리가 짧아져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고온일수록 온도가 낮아질 때에 포화수증기량이 크게 감소하므로 열교환부(1122B)에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키면 응축수가 더 많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는 유입구(H1)의 하단(H1LE)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는 상승하게 구부러지기 위한 상방 연장성분의 상단(상승덕트부의 상단/하류단)으로부터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을 연결하기 위해 비교적 짧은 길이의 하방 연장성분(하강덕트부)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까지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짧아지므로, 유입구(H1)를 통해 터브(12)를 빠져나온 공기가 고온인 상태로 열교환부(1122B)에 도달할 수 있어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거리가 짧아져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고온일수록 온도가 낮아질 때에 포화수증기량이 크게 감소하므로 열교환부(1122B)에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키면 응축수가 더 많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가 형성된 높이까지도 확장될 수 있다. 특히, 유입구(H1)가 일측벽(12R)의 상부에 형성된 경우에 열교환유로부(126)가 일측벽(12R)의 상부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와 마주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를 향하여 개방되면 열교환유로부(126)의 찬 공기가 상류부(1122A)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가 찬 공기와 접촉하여 내부에서 응축수가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은, 상류부(1122A) 중에서 유입구(H1)와 마주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거나 상류부(1122A) 중에서 연직 상방 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유로부(126)를 따라 유동하는 찬 공기는 열교환부(1122B)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뿐만 아니라 유입부(1122A1) 또는 상승덕트부(1122A2)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열교환부(1122B) 뿐만 아니라 유입부(1122A1) 또는 상승덕트부(1122A2)에서도 응축수가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는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H1)가 일측벽(12R)의 상부에 형성되더라도 상류부(1122A)가 터브(1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식기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식기세척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더라도, 상류부(1122A)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으며 하강덕트부(1122A3)의 내부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과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는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H1)가 일측벽(12R)의 상부에 형성되더라도 상류부(1122A)가 터브(1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식기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식기세척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더라도, 상류부(1122A)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으며 하강덕트부(1122A3)의 내부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 상단(H1UE)의 높이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와 상하로 마주하는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까지의 상류부(1122A)와 상하로 길게 마주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에서 배출되는 찬 공기가 상류부(1122A)와 상하로 길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류부(1122A)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류부(1122A)는 하류단(1122A3D)에서의 단면적이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에서의 단면적(유입부의 상류단에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의 내부 공기의 유동방향이 크게 변하더라도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어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에서 단면적이 커지므로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과 연통되는 열교환유로부(126)도 단면적이 클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BD)는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유입구(H1) 쪽에 구비되는 상승덕트부(1122A2)와 열교환유로부(126) 쪽에 구비되는 하강덕트부(1122A3)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접하거나 연통될 수 있으므로,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 사이의 제1방향 거리와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의 상하방향 연장성분의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까지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H1)를 통해 터브(12)를 빠져나온 공기가 고온인 상태로 열교환부(1122B)에 도달할 수 있어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거리가 짧아져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고온일수록 온도가 낮아질 때에 포화수증기량이 크게 감소하므로 열교환부(1122B)에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키면 응축수가 더 많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BD)가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면 경사진 상기 내측면을 따라 공기의 유동방향이 서서히 변할 수 있으므로 유로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류부(1122A)는 유입구(H1)와 마주하고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되는 유입부(1122A1), 유입부(1122A1)의 상단(하류단, 1122A1D)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직 상방 또는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덕트부(1122A2) 및 상류단이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류단과 연통되고, 연직 하방 또는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류단(1122A3D)이 열교환부(1122B)와 연통되는 하강덕트부(1122A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어 내부에서 공기가 상승한 후에 하강하는 상류부(1122A)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가 제1방향에 대해서 열교환유로부(126)와 가까워지는 일방으로 연장되므로, 유입구(H1)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연결하는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제조 및 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승덕트부(1122A2)는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가 제1방향에 대해서 열교환유로부(126)와 가까워지는 일방으로만 연장되므로, 유입구(H1)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연결하는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입부(1122A1)는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간(A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1122A1)의 제2방향의 폭이 작더라도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부(1122A1)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대략 제2방향에서 연직 상방 또는 제1방향으로 기울어진 상방으로 큰 유로저항 없이 용이하게 변할 수 있다. 이에, 유입부(1122A1) 내부의 공기가 유입부(1122A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승덕트부(1122A2)로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간(AS)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유입부(1122A1)는 유입구(H1)의 제1방향의 타단보다 제1방향의 타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1122A1)가 제1방향으로 유입구(H1)를 벗어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으므로, 유입부(1122A1)의 폭이 커져서 유로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유입구(H1)와 마주하는 유입부(1122A1)가 제1방향에 대해서 열교환유로부(126)와 멀어지는 타방으로 연장되므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와 가까운 지점까지 제1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와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를 향하여 개방되면 열교환유로부(126)의 찬 공기가 가까이 배치된 상류부(1122A)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가 찬 공기와 접촉하여 내부에서 응축수가 효과적으로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교환부(1122B)는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때에,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에서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는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 내부의 공기가 열교환부(1122B)에 유입되기 전에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연장방향과 대응하게 되므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유동하여 폭방향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이루어져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류부(1122A)에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류부(11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한 개 이상의 가이드(G1, G2, G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가이드(G1, G2, G3)를 따라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유동저항이 저감되어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류부(1122A)의 폭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지 않고 가이드(G1, G2, G3)에 의해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 내부의 유동저항이 저감되어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 내부의 공기가 열교환부(1122B)에 폭방향으로 배분되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이루어져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G1, G2, G3)는 베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 내부에서 가이드(G1, G2, G3)에 의해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된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이 가이드(G1, G2, G3)를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되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공기가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된 상태로 열교환부(1122B)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류부(1122A)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고, 가이드(G1, G2, G3)는 상부에 위치할수록, 열교환유로부(126)로부터 가이드(G1, G2, G3)의 상류측 부(GE1, GE2, GE3)에 이르는 제1방향의 거리(HD1, HD2, HD3)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3)가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1)보다 제1방향으로 유입구(H1)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내부 공기가 내측경로(예컨대, CH1) 쪽으로부터 더 많은 압력(예컨대, 음압)을 받더라도, 공기가 내측경로(예컨대, CH1)로 유입되기 전에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3)에 걸려서 외측 경로(예컨대, CH4)로 먼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공기가 균일하게 배분될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G1, G2, G3)에는 슬릿(SL)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처음에는 가이드(G1, G2, G3)를 따라 흐르더라도 슬릿(SL)을 만나면 슬릿(SL)을 통해 가이드(G1, G2, G3)를 관통하여 아래로 흐르므로 종국에는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릿(SL)은 유입구(H1)의 중심(H1C)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G1, G2, G3)에 대해서 가이드(G1, G2, G3)의 상면 상의 슬릿(SL)의 위치가 가이드(G1, G2, G3)의 하면 상의 슬릿(SL)의 위치보다 상기 위치(상면과 하면 상의 위치)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로부터 더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생성된 응축수도 슬릿(SL)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G1, G2, G3)에 대해서 가이드(G1, G2, G3)의 하면 상의 슬릿(SL)의 위치가 가이드(G1, G2, G3)의 상면 상의 슬릿(SL)의 위치보다 상기 위치(상면과 하면 상의 위치)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와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슬릿(SL)을 통과한 응축수가 유입구(H1)에 빠르고 용이하게 도달하여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가 슬릿(SL)을 통과하면 슬릿(SL)의 경사에 따른 가이드(G1, G2, G3)의 상면과 하면 상에서의 슬릿(SL)의 위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와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슬릿(SL1, SL2, SL3)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유입구(H1)의 중심(H1C)으로부터 슬릿(SL)에 이르는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도록 슬릿(SL1, SL2, SL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된 슬릿(SL1, SL2, SL3)을 통해 유입구(H1)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생성된 응축수까지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슬릿(SL1, SL2, SL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유입구(H1)의 중심(H1C)으로부터 슬릿(SL1, SL2, SL3)에 이르는 제1방향의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3)에 형성된 슬릿(예컨대, SL3)을 통해 하방으로 흐르는 응축수가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2)에 형성된 슬릿(예컨대, SL2)을 통해 연속적으로 하방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에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가 상하로 배치되더라도,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를 관통하여 아래로 흐르므로 종국에는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된 슬릿(SL1, SL2, SL3)을 통해 유입구(H1)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생성된 응축수까지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이드(G1, G2, G3)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되는 슬릿(SL1, SL2, SL3)은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의 상단부(EP)로부터 연직 상방 또는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슬릿(SL1, SL2, SL3)을 연속적으로 통과한 후에 최종적으로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으로 흐를 수 있으므로, 응축수가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 및 터브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 내지 도 7의 건조장치의 일부 구성이 일체로 제조된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구조체에서 상류부 및 하류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및 열교환유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일부분과 터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상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슬릿의 위치가 변경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덕트, 제2응축덕트, 리턴덕트, 팬하우징, 히터, 분배기 및 열전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류덕트부, 리턴덕트, 팬하우징, 히터 및 열전도체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류덕트부, 리턴덕트, 팬하우징, 히터, 분배기 및 열전도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팬하우징에 팬날개 및 모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반드시 모두 포함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 상, 후술할 제1응축덕트(1122)의 옆방향을 제1방향이라 하고, 제1응축덕트(1122)에 수직하는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한다. 상하방향,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서로 교차한다.
즉,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제1응축덕트(112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제1응축덕트(1122)가 터브(12)의 일측벽(12R)의 바깥면과 마주하여 배치된 경우에, 제1방향은 전후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후방향은 식기세척기(1)의 도어(14)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4)의 전면 또는 후면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이 때에, 제2방향은 좌우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좌우방향은 닫힌 상태의 도어의 전면을 바라보는 도면(도 1 및 도 4) 상에서 도면의 좌측 및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다른 예로, 도면과 달리, 제1응축덕트(1122)가 터브(12)의 후벽(12RR)의 바깥면과 마주하여 배치된 경우에제1방향은 좌우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이 때에, 제2방향은 전후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제1응축덕트(1122)가 터브(12)의 일측벽(12R)의 바깥면과 마주하여 배치된 경우를 살펴본다. 따라서, 제1방향은 전후방향과 대응하고 제2방향은 좌우방향과 대응한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제1응축덕트(112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청구항에 기재된 응축덕트는 후술할 응축덕트(112) 중에서 제1응축덕트(1122)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캐비닛(11), 터브(12), 복수 개의 분사 암(23, 24, 25), 섬프(50), 필터(70), 세척 펌프(80), 전환 밸브(85), 급수 밸브(32), 배수 펌프(35) 및 건조장치(100) 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캐비닛(11)은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터브(12)는 캐비닛(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터브(12)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터브(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터브(12)의 내부에는 세척 대상이 수용되는 세척공간(12S)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2)의 전방에는 세척공간(12S)을 개폐하는 도어(14, 도 2)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12)의 측벽(12R) 및 바닥(12B)에는 건조장치(100)와 연통되는 유입구(H1) 및 유출구(H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또한, 터브(12)의 바닥(12B)에는 세척액이 섬프(50)로 유입되는 연통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2)의 전면에는 도어(14, 도 2)가 구비되어 세척공간(12S)을 개폐할 수 있다.
세척공간(12S)에는 식기 등의 세척 대상이 수납되는 복수 개의 랙(26, 27)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랙(26, 27)은 세척공간(12S)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랙(26)과 세척공간(12S)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랙(27)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26)과 상부 랙(27)은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터브(1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사 암(23, 24, 25)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사 암(23, 24, 25)은 로우 분사 암(23), 어퍼 분사 암(24) 및 탑 분사 암(25)을 포함할 수 있다. 로우 분사 암(23)은 하부 랙(26)을 향해 상방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어퍼 분사 암(24)은 로우 분사 암(2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랙(27)을 향해 상방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탑 분사 암(25)은 세척공간(12S)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고 하방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사 암(23, 24, 25)은 복수 개의 분사 암 연결 유로관(28, 29, 31)을 통해 세척 펌프(80)로부터 세척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섬프(50)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세척액을 집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섬프(50)는 급수 유로(33)와 연결될 수 있고 급수 유로(33)를 통해 이물이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세척액을 공급받아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섬프(50)는 필터(70)를 통해 이물이 필터링된 세척액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필터(70)는 섬프(50)에 구비될 수 있고 연통홀(H3)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70)는 터브(12)에서 섬프(50)로 이동하는, 이물이 포함된 세척액에서 이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급수 밸브(32)는 급수 유로(33)를 통해 외부 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을 단속할 수 있다. 급수 밸브(32)가 개방되면 외부 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급수 유로(33)를 통해 섬프(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수 유로(34)는 배수 펌프(35) 및 섬프(50)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펌프(35)는 배수 유로(34)와 연결될 수 있고 배수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수 펌프(35)가 작동하면 필터(50)를 통해 필터링된 이물 또는 세척액이 배수 유로(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 펌프(80)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섬프(50)에 저장된 세척액을 복수 개의 분사 암(23, 24, 25)에 공급할 수 있다.
전환 밸브(85)는 복수 개의 분사 암(23, 24, 25) 중 적어도 하나를 세척 펌프(80)와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2)의 일측벽(12R) 및 바닥(12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유입구(H1) 및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는 터브(12) 내부의 세척공간(12S)을 건조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의 건조 단계에서, 세척공간(12S) 내부의 습한 공기는 유입구(H1)를 통해 건조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고 건조장치(100)에서 건조된 공기가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건조장치(100)는 공기의 폐쇄순환을 통해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터브(12)의 바닥(12B)의 하부에는 세척 펌프(80) 등 식기세척기(1)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이 설치되고 섬프(50) 등이 형성되므로 건조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100)는 크기가 작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져야 식기세척기(1)에 설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100)의 분배기(150)는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분배기(150)는 회전하는 분사 암(23)과 부딪히지 않도록 터브(12)의 가장자리 구석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 및 터브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12)는 바닥(12B), 상벽(12T), 일측벽(12R), 타측벽(12L) 및 후벽(12RR)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닥(12B), 상벽(12T), 일측벽(12R), 타측벽(12L) 및 후벽(12RR)에 의해 터브(12) 내부에 세척공간(12S)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벽(12R)은 터브(12)의 우측벽이고, 타측벽(12L)은 터브(12)의 좌측벽일 수 있다.
터브(12)의 전방에는 세척공간(12S)을 개폐하는 도어(14)가 마련될 수 있다.
바닥(12B) 및 상벽(12T)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고, 후벽(12RR) 및 도어(14)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으며, 일측벽(12R) 및 타측벽(12L)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제1응축덕트(1122)가 터브(12)의 일측벽(12R)의 바깥면과 마주하여 배치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은 전후방향과 대응하고 제2방향은 좌우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터브(12)에는 유입구(H1) 및 유출구(H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H2)는 유입구(H1)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는 유입구(H1)보다 낮은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입된 고온 건조한 공기가 유출구(H2)보다 높은 위치의 유입구(H1)를 통해 세척공간(12S) 외부(건조덕트 내부)로 배출되므로, 건조한 공기(예컨대, 고온 건조한 공기)가 세척공간(12S) 내부를 효과적으로 순환한 후에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유출구(H2) 및 유입구(H1)의 위치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터브(12)의 일측벽(12R)은 제1방향 또는 전후방향에 대해서, 후방부(R11, R12, R13), 중앙부(R21, R22, R23) 및 전방부(R31, R32, R33)로 구획될 수 있다. 일측벽(12R)의 후방부와 중앙부를 구획하는 지점은 일측벽(12R)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대략 일측벽(12R)의 폭의 1/4 내지 1/3이 되는 지점일 수 있다. 일측벽(12R)의 전방부와 중앙부를 구획하는 지점은 일측벽(12R)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대략 일측벽(12R)의 폭의 1/4 내지 1/3이 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터브(12)의 일측벽(12R)은 상하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대해서, 상부(R11, R21, R31), 중앙부(R12, R22, R32) 및 하부(R13, R23, R33)로 구획될 수 있다. 일측벽(12R)의 상부와 중앙부를 구획하는 지점은 일측벽(12R)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대략 일측벽(12R)의 높이의 1/4 내지 1/3이 되는 지점일 수 있다. 일측벽(12R)의 하부와 중앙부를 구획하는 지점은 일측벽(12R)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대략 일측벽(12R)의 높이의 1/4 내지 1/3이 되는 지점일 수 있다.
이에, 터브(12)의 일측벽(12R)은 제1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해서, 후방 상부(R11), 후방 중앙부(R12), 후방 하부(R13), 중앙 상부(R21), 중앙부(R22), 중앙 하부(R23), 전방 상부(R31), 전방 중앙부(R32), 전방 하부(R33)의 9개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터브(12)의 바닥(12B)도 일측벽(12R)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대해서, 후방 일측부(B11), 후방 중앙부(B12), 후방 타측부(B13), 중앙 일측부(B21), 중앙부(B22), 중앙 타측부(B23), 전방 일측부(B31), 전방 중앙부(B32), 전방 타측부(B33)의 9개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측벽(12R)의 후방 상부(R11)에는 세척공간(12S)의 공기가 건조덕트(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H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의 바닥(12B)의 후방 일측부(B11)에는 건조덕트(110)의 내부의 공기가 세척공간(12S)으로 유출되는 유출구(H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구(H2) 및 유입구(H1)가 모두 터브(12)의 후방 일측에 형성되므로 유출구(H2) 및 유입구(H1)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유출구(H2)가 바닥(12B)에 형성되고 유입구(H1)가 일측벽(12R)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유출구(H2) 및 유입구(H1) 사이의 수직방향 거리가 커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공기가 공간 내부를 효과적으로 순환하게 하려면, i) 유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곧바로 유출구를 향하여 유동하지 못하게 하고, ii) 공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의 수평방향 거리를 감소시키고 수직방향 거리를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ii) 를 만족하므로,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출된 건조한 공기가 유입구(H1)를 통해 건조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때까지 세척공간(12S) 내부를 구석구석까지 효과적으로 순환할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i) 은 분배기(150)를 통해 만족될 수 있다.
또한, 유출구(H2) 및 유입구(H1)가 모두 터브(12)의 후방에 형성되므로, 터브(12)의 후방 주변에는 건조덕트(110)가 배치되고, 터브(12)의 전방 주변에는 냉기공급모듈(120)이 배치될 수 있다. 터브(12) 후방 주변은 대체로 벽으로 막혀 있고 터브(12)의 전방 주변(특히, 터브의 전방 하부)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터브(12) 전방 주변의 공기의 온도가 더 낮을 수 있다. 이에, 냉기공급모듈(120)이 터브(12) 전방 주변의 찬 공기로 건조덕트(110) 내부 공기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출구(H2)가 터브(12)의 후방에 형성되므로, 건조장치(100)의 분배기(150)가 터브(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2) 전방의 도어(14)를 열었을 때에 건조장치(100)의 분배기(150)가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므로 미감이 향상될 수 있고, 건조장치(100)의 분배기(150)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터브(12) 내부의 각종 장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출구(H2) 및 유입구(H1)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방향, 제2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구획되는 특정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측벽(12R) 및 바닥(12B)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출구(H2)는 유입구(H1)를 지나고 제2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면(S)과 만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출구(H2)의 중심이 유입구(H1)의 중심을 지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면(S)과 만날 수 있다. 유출구(H2)가 상기 수직면(S)과 만나는 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바닥(12B)의 일측단으로부터 특정한 거리만큼 타측방(제2방향의 타방)으로 이격되어 바닥(12B)에 형성된 여러 유출구(H2)들 중에서 유입구(H1)와의 수평방향 거리가 최소값이 되는 유출구(H2)는 상기 가상의 수직면(S)과 만나는 유출구(H2)이다.
유출구(H2)가 상기 수직면(S)과 만나면, 터브(12)의 바닥(12B)에 형성된 유출구(H2)와 터브(12)의 일측벽(12R)에 형성된 유입구(H1) 사이의 수평방향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전술한 ii) 의 일부가 만족되어,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출된 건조한 공기가 유입구(H1)를 통해 건조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때까지 세척공간(12S) 내부를 구석구석까지 효과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0)는 건조덕트(110), 냉기공급모듈(120), 팬(130), 히터(140) 및 분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건조장치(100)에서 히터(140) 및 분배기(15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건조덕트]
건조덕트(110)는 유입구(H1) 및 유출구(H2)와 연통되고, 터브(12)의 외측에 배치되며, 응축덕트(112) 및 리턴덕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덕트(112)가 터브(12) 외부의 저온의 외기와 접하므로 응축덕트(11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물로 응결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응축덕트(112)는, 제1응축덕트(1122) 및 제2응축덕트(1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응축덕트]
제1응축덕트(1122)는 터브(12)의 외측에 배치되며 터브(12)의 바깥면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응축덕트(1122)는 일측벽(12R)의 바깥면 또는 외주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응축덕트(1122)는 후벽(12RR)의 바깥면과 마주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이 좌우방향과 대응하고 제2방향이 전후방향과 대응할 수 있다.
제1응축덕트(1122)의 상류단(1122U)은 터브(12)에 형성되는 유입구(H1)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덕트(112)가 터브(12)의 외측의 저온의 공기와 접하므로 응축덕트(11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물로 응결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응축덕트(1122)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상류부(1122A), 열교환부(1122B) 및 하류부(112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7). 상류부(1122A), 열교환부(1122B) 및 하류부(1122C)는 제1응축덕트(1122)의 세 개의 덕트구간일 수 있다.
상류부(1122A)는 유입구(H1)와 연통될 수 있고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부(1122B)는 냉기공급모듈(120)과 접할 수 있다.
하류부(1122C)는 제2응축덕트(1124)와 연통될 수 있고, 제2응축덕트(1124)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하류부(1122C)에는 제1배수구(D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된 물이나 열교환부(1122B) 등에서 응결된 물이 제1배수구(D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100)의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응축덕트(1122)의 상류단(1122U) 또는 그 주변에는 흡입팬(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 흡입팬은 원심팬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심팬을 구비함으로써 제1응축덕트(1122)의 측방으로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식기세척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응축덕트(1122)의 하류단(1122D)은 터브(12)의 일측벽(12R)의 후방부의 하단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냉기공급모듈]
냉기공급모듈(120)은 터브(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기공급모듈(120)은 제1응축덕트(1122)와 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냉기공급모듈(120)은 제1외기유입덕트(122), 제2외기유입덕트(124) 및 열교환유로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7).
제1외기유입덕트(122)는 바닥(12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류단(122U)을 통해 외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외기유입덕트(124)는 일측벽(12R)의 외주면과 마주하거나 접할 수 있고 상류단(124U)이 제1외기유입덕트(122)의 하류단(122D)과 연통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는 제1응축덕트(1122)와 접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류단(126U)이 제2외기유입덕트(124)의 하류단(124D)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열교환유로부(126)는 제1응축덕트(112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은 제1응축덕트(1122)의 폭방향(도면에서는 제1방향)의 단부(1122E)와 제2방향으로 대략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도 7 및 도 9).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열교환유로부(126)를 구성할 수 있고 열교환유로부(126)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유로저항이 감소하여 냉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냉각팬(128)은 제1외기유입덕트(122)의 상류단(122U) 주변 또는 제1외기유입덕트(12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128)은 외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유로부(126)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팬(128)이 터브(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냉각팬(128)이 터브(12)하부의 찬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유로부(126)에 공급할 수 있어서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터브(12)의 하부 공간은 비교적 넓으므로 냉각팬(128)의 크기를 증가시켜서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외기유입덕트(122)와 제2외기유입덕트(124) 사이에는 제1연결덕트(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덕트(123)는 제1외기유입덕트(122)의 하류단(122D) 및 제2외기유입덕트(124)의 상류단(124U)과 연통될 수 있다(도 7).
이와 같이, 식기세척기가, 터브(12)의 외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응축덕트(1122)와 접하는 냉기공급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기공급모듈(120)이 제1응축덕트(112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물로 응결시켜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냉기공급모듈(120)이, 바닥(12B)의 하부에 배치되고 외기가 유입되는 제1외기유입덕트(122), 일측벽(12R)의 바깥면 또는 외주면과 마주하거나 접하는 제2외기유입덕트(124) 및 제1응축덕트(1122)와 접하고 제2외기유입덕트(124)와 연통되는 열교환유로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터브(12) 하부의 찬 공기로 제1외기유입덕트(12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 내부에 포함된 수증기를 물로 응결시켜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와 관련하여, 도 8 및 도 9를 더 살펴본다.
도 8은 도 3 내지 도 7의 건조장치의 일부 구성이 일체로 제조된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구조체에서 상류부 및 하류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교환부 및 열교환유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류부(1122A), 하류부(1122C) 및 제2외기유입덕트(1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류부(1122A) 및 하류부(1122C)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류부(1122A) 및 하류부(1122C) 사이의 빈 공간에는 도 9에서 살펴볼 열교환부(1122B) 및 열교환유로부(126)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류부(1122A), 하류부(1122C) 및 제2외기유입덕트(124)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건조장치(10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구조체에서 상류부(1122A) 및 하류부(1122C) 사이에는 열교환부(1122B) 및 열교환유로부(126)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부(1122B)는 양단이 개방된 납작한 관형상에 해당할 수 있고 도 8의 상류부(1122A) 및 하류부(1122C)와 상하로 연통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는 플레이트(1262) 및 구획벽(12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262A, 1262B)는 열교환부(1122B)의 제2방향의 일면 및 타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과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획벽(1264A, 1264B)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열교환부(1122B)의 제2방향의 일면 또는 타면과 플레이트(1262A, 1262B) 사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262A, 1262B) 및 복수 개의 구획벽(1264A, 1264B)은 열교환부(1122B)의 외주면을 따라, 열교환부(1122B)의 내부에 흐르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열교환부(1122B)의 폭방향(도면에서는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의 열교환부(1122B) 및 열교환유로부(126)를 도 8의 구조체의 상류부(1122A) 및 하류부(1122C)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하면, 제2외기유입덕트(124)의 하류단(124U)은 플레이트(1262) 및 열교환부(1122B)의 제1방향의 측단과 접할 수 있다. 이에, 제2외기유입덕트(124)에 유입된 찬 공기는 플레이트(1262) 및 열교환부(1122B) 사이의 빈 공간으로 흐를 수 있다. 이 때에, 플레이트(1262) 및 열교환부(1122B) 사이에 열교환부(1122B)의 폭방향(도면에서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구획벽(1264)에 의해 복수 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외기유입덕트(124)에 유입된 찬 공기는 열교환부(1122B), 플레이트(1262) 및 복수 개의 구획벽(1264)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유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찬 공기가 열교환유로부(126)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방향은, 습한 공기가 열교환부(1122B)을 따라 유동하는 방향과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이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은 제1응축덕트(1122)의 폭방향(도면에서는 제1방향)의 단부(1122E)와 제2방향으로 대략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도 9).
이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가 열교환부(1122B)의 제2방향의 일면 및 타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플레이트(1262) 및 열교환부(1122B)의 제2방향의 일면 또는 타면과 플레이트(1262) 사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구획벽(1264)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열교환유로부(126)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찬 공기가 열교환부(1122B)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므로 열교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찬 공기가 서로 분리되어 복수 개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므로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이루어져서 열교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열교환부(1122B) 및 열교환유로부(126)를 따로 제조한 후에 도 8의 구조체의 상류부(1122A) 및 하류부(1122C)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건조장치(100)을 용이하게 제조, 교체, 수리할 수 있다. 이에,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제1응축덕트(1122) 및 열교환유로부(126)와 관련하여, 도 10 내지 도 12를 더 살펴본다.
[상류부, 열교환부, 열교환유로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의 일부분과 터브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상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슬릿의 위치가 변경된 도면이다.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응축덕트(1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류부(1122A) 및 열교환부(11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응축덕트(1122)는 하류부(112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류부(1122A)는 상류단(1122A1U)이 유입구(H1)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류부(1122A)는 상류단(1122A1U)이 유입구(H1)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류부(1122A)는 유입구(H1)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류부(1122A)는 제1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대략 180도 구부러져 연장될 수 있다.
상류부(1122A)는 유입구(H1)로부터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상류부(1122A)는 상승하는 부분(이하, 상승덕트부)과 하강하는 부분(이하, 하강덕트부)을 순서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는 내부에서 공기가 상승한 후에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류부(1122A)는 유입구(H1)로부터 상승하게 구부러짐으로써, 터브(12) 내부의 물이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승덕트부(1122A2)를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이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되고 건조장치(100)가 물에 의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며 응축덕트(112) 내부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는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짐으로써, 상류부(1122A)가, 상류부(1122A)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열교환부(1122B)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류부(1122A) 내부에서 공기가 상승한 후에 하강하므로 상승덕트부(1122A2)와 하강덕트부(1122A3)를 작지 않은 높이(상하방향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가 작으면 상방에서 제1방향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급하게 바뀌게 되고, 하강덕트부(1122A3)의 높이가 작으면 제1방향에서 하방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급하게 바뀌게 되므로, 공기 유동이 불균일해지고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유동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상류부(1122A)는 하류단(1122A3D)에서의 단면적이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1122A1U)에서의 단면적(후술할 유입부의 상류단에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의 내부 공기의 유동방향이 크게 변하더라도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어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에서 단면적이 커지므로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과 연통되는 열교환유로부(126)도 단면적이 클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BD)는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동일할 수 있다(도 11).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유입구(H1) 쪽에 구비되는 상승덕트부(1122A2)와 열교환유로부(126) 쪽에 구비되는 하강덕트부(1122A3)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접하거나 연통될 수 있으므로,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 사이의 제1방향 거리와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의 상하방향 연장성분의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까지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H1)를 통해 터브(12)를 빠져나온 공기가 고온인 상태로 열교환부(1122B)에 도달할 수 있어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거리가 짧아져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고온일수록 온도가 낮아질 때에 포화수증기량이 크게 감소하므로 열교환부(1122B)에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키면 응축수가 더 많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BD)가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지면 경사진 상기 내측면을 따라 공기의 유동방향이 서서히 변할 수 있으므로 유로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반면에,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BD)가 소정의 높이구간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커지면, 상승덕트부(1122A2)와 하강덕트부(1122A3)가 상기 소정의 높이구간에서는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류부(1122A)가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되 상승덕트부(1122A2)와 하강덕트부(1122A3) 사이가 부드럽게 연결되려면 상승덕트부(1122A2)와 하강덕트부(1122A3)가 상방으로 갈수록 다시 가까워져야 한다. 따라서,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는 상기 소정의 높이구간과 상승덕트부(1122A2)와 하강덕트부(1122A3)가 상방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는 높이구간을 합산한 값만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하므로 상하방향 연장성분의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길어져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상류부(1122A)는 유입부(1122A1),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122A1)는 유입구(H1)와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1122A1)의 상류단(1122A1U)은 유입구(H1)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부(1122A1)는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유입구(H1)의 하류단은 상승덕트부(1122A2)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유입부(1122A1)는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부(1122A1) 내부로 유입된 습한 공기를 상승덕트부(1122A2)로 배출할 수 있다.
유입부(1122A1)는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간(AS)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1122A1)의 제2방향의 폭이 작더라도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부(1122A1)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방향이 대략 제2방향에서 연직 상방 또는 제1방향으로 기울어진 상방으로 큰 유로저항 없이 용이하게 변할 수 있다. 이에, 유입부(1122A1) 내부의 공기가 유입부(1122A1)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승덕트부(1122A2)로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간(AS)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유입부(1122A1)는 유입구(H1)의 제1방향의 타단보다 제1방향의 타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1122A1)가 제1방향으로 유입구(H1)를 벗어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으므로, 유입부(1122A1)의 폭이 커져서 유로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유입구(H1)와 마주하는 유입부(1122A1)가 제1방향에 대해서 열교환유로부(126)와 멀어지는 타방으로 연장되므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와 가까운 지점까지 제1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와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를 향하여 개방되면 열교환유로부(126)의 찬 공기가 가까이 배치된 상류부(1122A)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가 찬 공기와 접촉하여 내부에서 응축수가 효과적으로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상승덕트부(1122A2)는 유입부(1122A1)의 상단(하류단, 1122A1D)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상승덕트부(1122A2)의 상류단(1122A2U)은 유입부(1122A1)의 상단(하류단, 1122A1D)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승덕트부(1122A2)는 연직 상방 또는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방향의 일방은 전방 또는 후방(도면에서는 전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상승덕트부(1122A1)에서는 공기가 상승할 수 있다.
상승덕트부(1122A2)는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승덕트부(1122A2)가 제1방향에 대해서 열교환유로부(126)와 가까워지는 일방으로만 연장되므로, 유입구(H1)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연결하는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상승덕트부(1122A2)가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될 때에 반드시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해서만 기울어져 연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승덕트부(1122A2)는 제1방향의 일방뿐만 아니라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류단은 하강덕트부(1122A3)의 상류단과 연통될 수 있다.
상승덕트부(1122A2)는 유입부(1122A1)로부터 유입된 습한 공기를 하강덕트부(1122A3)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승덕트부(1122A2)는 유입구(H1)를 통해 상승덕트부(1122A2) 내부로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유입부(1122A1)로 흘러내려가게 하여 물이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강덕트부(1122A3)는 상승덕트부(1122A2)와 열교환유로부(126) 및 열교환부(1122B)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하강덕트부(1122A3)의 상류단은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류단과 연통될 수 있다.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류단(1122A3D)은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류단(1122A3D)은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과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하강덕트부(1122A3)는 연직 하방 또는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방향의 일방은 전방 또는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하강덕트부(1122A3)에서는 공기가 하강할 수 있다.
하강덕트부(1122A3)는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하강덕트부(1122A3)가 제1방향에 대해서 열교환유로부(126)와 가까워지는 일방으로만 연장되므로, 유입구(H1)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연결하는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하강덕트부(1122A3)가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될 때에 반드시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해서만 기울어져 연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강덕트부(1122A3)는 제1방향의 일방뿐만 아니라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하강덕트부(1122A3)는 상승덕트부(1122A2)로부터 유입된 습한 공기를 열교환부(1122B)로 배출할 수 있다. 하강덕트부(1122A3)는 공기를 하강시키므로, 상류부(1122A)는 하강덕트부(1122A3)를 통해 상류부(1122A)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열교환부(1122B)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승덕트부(1122A2)와 하강덕트부(1122A3)의 사이에는 제1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승덕트부(1122A2) 및 하강덕트부(1122A3)와 연통되는 수평덕트부(1122A4)가 개재될 수 있다.
수평덕트부(1122A4)는 상승덕트부(1122A2)에서 상승한 공기가 하강덕트부(1122A3)에서 하강하기 전에 제1방향(수평방향)으로 얼마간 유동하게 하므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급하게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유동저항이 저감되어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승덕트부(1122A2)와 수평덕트부(1122A4)는 가상의 제1면(PS1)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하강덕트부(1122A3)와 수평덕트부(1122A4)는 가상의 제2면(PS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류부(1122A)가 유입구(H1)와 마주하고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되는 유입부(1122A1), 유입부(1122A1)의 상단(하류단, 1122A1D)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직 상방 또는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덕트부(1122A2) 및 상류단이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류단과 연통되고, 연직 하방 또는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류단(1122A3D)이 열교환부(1122B)와 연통되는 하강덕트부(1122A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류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어 내부에서 공기가 상승한 후에 하강하는 상류부(1122A)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제조 및 관리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류부(1122A)에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류부(11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한 개 이상의 가이드(G1, G2, G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가이드(G1, G2, G3)를 따라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유동저항이 저감되어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류부(1122A)의 폭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지 않고 가이드(G1, G2, G3)에 의해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 내부의 유동저항이 저감되어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 내부의 공기가 열교환부(1122B)에 폭방향으로 배분되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이루어져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G1, G2, G3)는 베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 내부에서 가이드(G1, G2, G3)에 의해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된 공기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이 가이드(G1, G2, G3)를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되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류부(1122A)의 공기가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된 상태로 열교환부(1122B)에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류부(1122A)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에 의해 복수 개의 유동경로(CH1, CH2, CH3, CH4)가 형성될 수 있다(도 11).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는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류부(1122A)는 구부러져 연장되므로, 유동경로(CH1, CH2, CH3, CH4)는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안쪽의 내측경로(예컨대, CH1)와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바깥쪽의 외측경로(예컨대, CH4)로 구별될 수 있다. 내측경로(예컨대, CH1)는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1)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외측경로(예컨대, CH4)는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3)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내측경로(예컨대, CH1)의 길이는 외측경로(예컨대, CH4)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내측경로(예컨대, CH1)가 외측경로(예컨대, CH4)보다 팬(130)과 더 가까우므로 내측경로(예컨대, CH1)에 더 큰 압력(예컨대, 음압)이 작용하여 더 많은 양의 공기가 내측경로(예컨대, CH1)로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내측경로(예컨대, CH1)로 집중되므로 폭방향으로 적절하게 배분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결될 수 있다.
가이드(G1, G2, G3)는 상부에 위치할수록, 열교환유로부(126)로부터 가이드(G1, G2, G3)의 상류측 단부(GE1, GE2, GE3)에 이르는 제1방향 거리(HD1, HD2, HD3)가 증가할 수 있다(도 11). 여기에서, 가이드(G1, G2, G3)의 상류측 단부(GE1, GE2, GE3)는 가이드(G1, G2, G3)의 유입구(H1)쪽 단부(GE1, GE2, GE3)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3)가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1)보다 제1방향으로 유입구(H1)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내부 공기가 내측경로(예컨대, CH1) 쪽으로부터 더 많은 압력(예컨대, 음압)을 받더라도, 공기가 내측경로(예컨대, CH1)로 유입되기 전에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3)에 걸려서 외측 경로(예컨대, CH4)로 먼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공기가 균일하게 배분될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H1)를 통해 터브(12)를 빠져나온 고온다습한 공기가 비교적 저온의 상류부(1122A)로 유입되면 상류부(1122A)의 내부에서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가이드(G1, G2, G3)의 표면을 따라 흘러서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결될 수 있다.
가이드(G1, G2, G3)에는 슬릿(SL)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SL)은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처음에는 가이드(G1, G2, G3)를 따라 흐르더라도 슬릿(SL)을 만나면 슬릿(SL)을 통해 가이드(G1, G2, G3)를 관통하여 아래로 흐르므로 종국에는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응축수는 슬릿(SL)을 통해 아래로 흘러서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슬릿(SL)은 유입구(H1)의 중심(H1C)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12). 예를 들면, 슬릿(SL)은 제1방향의 일방 및 타방 중에서 유입구(H1)의 중심(H1C)과 가까워지는 타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G1, G2, G3)에 대해서 가이드(G1, G2, G3)의 상면 상의 슬릿(SL)의 위치가 가이드(G1, G2, G3)의 하면 상의 슬릿(SL)의 위치보다 상기 위치(상면과 하면 상의 위치)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로부터 더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생성된 응축수도 슬릿(SL)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G1, G2, G3)에 대해서 가이드(G1, G2, G3)의 하면 상의 슬릿(SL)의 위치가 가이드(G1, G2, G3)의 상면 상의 슬릿(SL)의 위치보다 상기 위치(상면과 하면 상의 위치)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와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슬릿(SL)을 통과한 응축수가 유입구(H1)에 빠르고 용이하게 도달하여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가 슬릿(SL)을 통과하면 슬릿(SL)의 경사에 따른 가이드(G1, G2, G3)의 상면과 하면 상에서의 슬릿(SL)의 위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와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릿(SL1, SL2, SL3)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유입구(H1)의 중심(H1C)으로부터 슬릿(SL)에 이르는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도록 슬릿(SL1, SL2, SL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된 슬릿(SL1, SL2, SL3)을 통해 유입구(H1)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생성된 응축수까지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슬릿(SL)은 도 13과 같이 경사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슬릿(SL1, SL2, SL3)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유입구(H1)의 중심(H1C)으로부터 슬릿(SL1, SL2, SL3)에 이르는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도 10 내지 12)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유입구(H1)의 중심(H1C)으로부터 슬릿(SL1, SL2, SL3)에 이르는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감소(도 13)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3)에 형성된 슬릿(예컨대, SL3)을 통해 하방으로 흐르는 응축수가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예컨대, G2)에 형성된 슬릿(예컨대, SL2)을 통해 연속적으로 하방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에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가 상하로 배치되더라도,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복수 개의 가이드(G1, G2, G3)를 관통하여 아래로 흐르므로 종국에는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된 슬릿(SL1, SL2, SL3)을 통해 유입구(H1)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생성된 응축수까지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도록 슬릿(SL1, SL2, SL3)을 형성할지 또는 상기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감소하도록 슬릿(SL1, SL2, SL3)을 형성할지 여부와 상하로 이웃하는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된 슬릿(SL1, SL2, SL3)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는 a) 슬릿(SL1, SL2, SL3)이 형성되는 지점 주변의 가이드(G1, G2, G3)의 기울기, b) 슬릿(SL1, SL2, SL3)의 기울기 및 c) 공기의 유속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a) 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슬릿(SL1, SL2, SL3)이 형성되는 지점 주변의 가이드(G1, G2, G3)가 모두 유입구(H1) 쪽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응축수가 유입구(H1) 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므로,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도록 슬릿(SL1, SL2, SL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응축수가 슬릿(SL1, SL2, SL3)을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 때에, 슬릿(SL1, SL2, SL3)이 형성되는 지점 주변의 가이드(G1, G2, G3)의 기울기가 큰 경우에는 상하로 이웃하는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된 슬릿(SL1, SL2, SL3)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가 커질 수 있다.
b) 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릿(SL1, SL2, SL3)이 유입구(H1)의 중심(H1C)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 응축수가 슬릿(SL1, SL2, SL3)을 통과하면 슬릿(SL1, SL2, SL3)의 경사에 따른 가이드(G1, G2, G3)의 상면과 하면 상에서의 슬릿(SL1, SL2, SL3)의 위치 차이 값만큼 유입구(H1)와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가 슬릿(SL1, SL2, SL3)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하려면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증가하도록 슬릿(SL1, SL2, SL3)을 형성해야 할 수 있다(도 12).
c) 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입구(H1) 쪽에서 열교환유로부(1122B) 쪽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큰 경우에는 응축수가 가이드(G1, G2, G3)를 따라 흐르거나 슬릿(SL1, SL2, SL3)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흐를 때에 공기의 유동에 의해 열교환유로부(1122B) 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으므로, 가이드(G1, G2, G3)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제1방향 거리(HD4, HD5, HD6)가 감소하도록 슬릿(SL1, SL2, SL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응축수가 슬릿(SL1, SL2, SL3)을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도 13). 이 때에, 공기의 유속이 큰 경우에는 상하로 이웃하는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된 슬릿(SL1, SL2, SL3) 사이의 제1방향의 거리가 커질 수 있다.
가이드(G1, G2, G3)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G1, G2, G3)에 형성되는 슬릿(SL1, SL2, SL3)은 상류부(1122A)의 구부러진 내측면의 상단부(UP, 도 12)로부터 연직 상방 또는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슬릿(SL1, SL2, SL3)을 연속적으로 통과한 후에 최종적으로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으로 흐를 수 있으므로, 응축수가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축수는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응축덕트(112)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열교환부(1122B)는 상류부(1122A)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부(1122B)는 상류단(1122BU)이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과 연통될 수 있고, 상류단(1122BU)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방은 연직 하방 또는 기울어진 하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열교환부(1122B)에서는 공기가 대략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부(1122B)가 하방으로 연장되므로, 열교환부(1122B)의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서 응축수를 용이하게 모을 수 있고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건조장치(100) 내부의 공기는 유입구(H1)에서 유입구(H1) 보다 하부에 형성되는 유출구(H2)로 유동해야 하므로, 공기를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경로는 건조덕트(110)에 필수적인 경로인 동시에 건조덕트(110)의 길이를 줄이는 최적의 경로이다.
열교환부(1122B)는 하방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필수적이면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1122B)가 건조덕트(110)에 포함되면 건조덕트(110)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유로저항이 감소하여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열교환부(1122B)는 냉기공급모듈(120)의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할 수 있다. 열교환부(1122B)는 하류단이 하류부(1122C)의 상류단과 연통될 수 있다.
열교환부(1122B)는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열교환부(1122B)는 상류부(1122A)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에,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에서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는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류부(1122A) 내부의 공기가 열교환부(1122B)에 유입되기 전에 상류부(1122A)의 하류단(1122A3D)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연장방향과 대응하게 되므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유동하여 폭방향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이 넓은 면적에서 고르게 이루어져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때에, a) 상류부(1122A) 중에서 하강덕트부(1122A3)가 작지 않은 높이로 연장되고 b) 하강덕트부(1122A3)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가 상류부(1122A)의 연장방향을 따라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변하면, 하강덕트부(1122A3) 내부의 공기 중에서 대부분의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연장방향으로 서서히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유동하여 폭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난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열전달효율이 향상되고 유동저항이 저감되어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에, 예를 들면, 하강덕트부(1122A3)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으면, 하강덕트부(1122A3) 내부의 공기 중에서 일부의 공기의 유동방향만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연장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부(1122B) 내부에서 공기가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유동하지 못하여 폭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없고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열전달효율이 저감되고 유동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저감될 수 있다.
냉기공급모듈(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는 열교환부(1122B)와 접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는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는 유입구(H1)의 하단(H1LE)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도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의 상단(상류단, 1122BU)의 높이도 유입구(H1)의 하단(H1LE)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방향의 일방은 전방 또는 후방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H1)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연결하는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상류부(1122A)를 제1방향 연장성분과 상하방향(상방 또는 하방) 연장성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1) 열교환유로부(126)는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고, 상류부(1122A)는 유입구(H1)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를 연결해야 하므로, 상류부(1122A)는 제1방향 연장성분을 가져야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향 연장성분은 전술한 상류부(1122A)가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지기 위한 제1방향 연장성분으로 중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반면에,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면, 상류부(1122A)가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지기 위해 제1방향 연장성분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H1)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는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와 연결되기 위해 별도로 제1방향 연장성분을 가져야만 할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2) 상류부(1122A)는 상승하게 구부러지기 위한 상방 연장성분(상승덕트부)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가 유입구(H1)의 하단(H1LE)의 높이 이상이면, 상류부(1122A)는 상방 연장성분의 상단(상승덕트부의 상단/하류단)으로부터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을 연결하기 위해 비교적 짧은 길이의 하방 연장성분(하강덕트부)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반면에,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류부(1122A)는 상승하게 구부러지기 위한 상방 연장성분을 가져야 하고 상방 연장성분의 상단으로부터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고 유입구(H1)의 하부에 위치하는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을 연결하기 위해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 높이까지 비교적 긴 길이의 하방 연장성분을 가져야만 한다. 이에, 상류부(1122A)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를 기준으로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고,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가 유입구(H1)의 하단(H1LE)의 높이 이상이면,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유입구(H1)를 통해 상류부(1122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까지 유동해야 하는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H1)를 통해 터브(12)를 빠져나온 공기가 고온인 상태로 열교환부(1122B)에 도달할 수 있어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유동거리가 짧아져서 유동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고온일수록 온도가 낮아질 때에 포화수증기량이 크게 감소하므로 열교환부(1122B)에서 고온의 공기를 냉각시키면 응축수가 더 많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가 형성된 높이까지도 확장될 수 있다. 특히, 유입구(H1)가 일측벽(12R)의 상부에 형성된 경우에 열교환유로부(126)가 일측벽(12R)의 상부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와 마주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를 향하여 개방되면 열교환유로부(126)의 찬 공기가 상류부(1122A)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가 찬 공기와 접촉하여 내부에서 응축수가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의 상부에 배치되면 열교환유로부(126)가 터브(1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식기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없고 식기세척기의 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가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입구(H1)의 위치를 낮추면 터브(12) 내부에서의 공기 순환 효율이 저감되어 건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의 상부에 배치되면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가 유입구(H1)보다 높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응축덕트(112)의 길이가 길어져서 유로저항이 증가하여 건조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의 상부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는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의 상단(상류단, 1122BU)의 높이도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1122B)의 상단(상류단, 1122BU)은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단(하류단, 1122A3D)과 대응할 수 있고, 유입구(H1)의 상단(H1UE)은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과 대응할 수 있다. 이에,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단(하류단, 1122A3D)의 높이는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의 높이 이하일 수 있다.
여기에서, 열교환부(1122B)의 상단(상류단, 1122BU)이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단(하류단, 1122A3D)과 대응하기 위해서는 열교환부(1122B)와 하강덕트부(1122A3)가 직접 결합되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교환부(1122B)와 하강덕트부(1122A3)가 직접 결합된 것으로 가정한다.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상류단, 1122BU)의 높이(위치)가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위치) 이하이면,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승덕트부(1122A2)는 최소한,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 즉,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 높이(위치)로부터 a) 응축덕트(112)의 내부로 물이 잘 유입되지 않고 b)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하방향에서 제1방향으로 바뀔 때에 유동저항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높이까지 연직 상방 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또한, 상승덕트부(1122A2)는 최소한,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 즉,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 높이(위치)로부터 c) 하강덕트부(1122A3)의 상단(상류단)의 높이까지 연직 상방 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하강덕트부(1122A3)의 상단(상류단)의 높이는,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 높이(위치) 즉,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단(하류단, 1122A3D) 높이(위치)에서, c1) 하강덕트부(1122A3) 내부의 공기의 유동방향이 제1방향에서 상하방향으로 바뀔 때에 유동저항이 크게 증가하지 않고 c2) 하강덕트부(1122A3) 내부의 공기 중에서 대부분의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상류단(1122BU)에서의 연장방향으로 서서히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는 하강덕트부(1122A3)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를 합산한 값일 수 있다.
a) 및 b) 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는 비교적 작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 높이는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 이하이고, c1) 및 c2) 의 조건을 만족하는 하강덕트부(1122A3)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는 비교적 작을 수 있으므로, c) 의 조건을 만족하는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도 비교적 작을 수 있다. 이에, a), b) 및 c) 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는 비교적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위치)가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위치) 이하이면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H1)가 일측벽(12R)의 상부에 형성되더라도 상류부(1122A)가 터브(1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식기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식기세척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더라도, 상류부(1122A)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으며 하강덕트부(1122A3)의 내부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
반면에,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위치)가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위치)보다 크면,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단(하류단, 1122A3D)의 높이(위치)가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의 높이(위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 의 조건을 만족하려면 상승덕트부(1122A2)는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 높이(위치)와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위치)의 차이 값, 즉,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단(하류단, 1122A3D)의 높이(위치)와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의 높이(위치)의 차이 값만큼 연직 상방 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더 연장되어야 한다.
이에,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커져서 상류부(1122A)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저감되고 상류부(1122A)가 터브(1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식기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없고 식기세척기의 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의 높이는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의 상단(126UE)과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는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와 접하는 열교환부(1122B)의 상단(상류단, 1122BU)과 유입구(H1)의 상단(H1UE)의 높이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1122B)의 상단(상류단, 1122BU)과 대응하는 하강덕트부(1122A3)의 하단(하류단, 1122A3D)과, 유입구(H1)의 상단(H1UE)과 대응하는 상승덕트부(1122A2)의 하단(상류단, 1122A2U)의 높이(위치)도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류부(1122A)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H1)가 일측벽(12R)의 상부에 형성되더라도 상류부(1122A)가 터브(12)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식기세척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식기세척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승덕트부(1122A2)의 높이(상하방향 연장성분의 총 길이)가 작더라도, 상류부(1122A)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유동저항이 저감될 수 있으며 하강덕트부(1122A3)의 내부 공기의 유동방향이 열교환부(1122B)의 연장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가 유입구(H1) 상단(H1UE)의 높이까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유로부(126)와 열교환부(1122B)의 접촉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건조효율 및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상류부(1122A)와 상하로 마주하는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이 유입구(H1)의 상단(H1UE) 높이까지의 상류부(1122A)와 상하로 길게 마주할 수 있다. 이에,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에서 배출되는 찬 공기가 상류부(1122A)와 상하로 길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류부(1122A) 내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은, 상류부(1122A) 중에서 유입구(H1)와 마주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거나 상류부(1122A) 중에서 연직 상방 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즉, 열교환유로부(126)의 하류단(126D)은, 유입부(1122A1) 또는 상승덕트부(1122A2)를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유로부(126)를 따라 유동하는 찬 공기는 열교환부(1122B)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뿐만 아니라 유입부(1122A1) 또는 상승덕트부(1122A2)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열교환부(1122B) 뿐만 아니라 유입부(1122A1) 또는 상승덕트부(1122A2)에서도 응축수가 생성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유입부(1122A1) 또는 상승덕트부(1122A2)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서 예컨대 유입구(H1)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2응축덕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덕트, 제2응축덕트, 리턴덕트, 팬하우징, 히터 및 분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류덕트부, 리턴덕트, 팬하우징 및 히터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류덕트부, 리턴덕트, 팬하우징, 히터 및 분배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팬하우징에 팬날개 및 모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를 더 참조하면, 제2응축덕트(1124)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응축덕트(1124)의 상류단(1124U)은 제1응축덕트(1122)의 하류단(1122D)과 연통될 수 있다(도 7).
이에 따라, 응축덕트(112)가 터브(12)의 바닥(12B)의 하부의 저온의 공기와 접하므로 응축덕트(11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물로 응결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응축덕트(1124)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덕트부(1124A) 및 하류덕트부(112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7 및 도 14). 상류덕트부(1124A) 및 하류덕트부(1124B)는 제2응축덕트(1124)의 두 개의 덕트구간일 수 있다.
상류덕트부(1124A)는 제1응축덕트(1122)의 하류단(1122D)과 연통될 수 있다. 상류덕트부(1124A)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대략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류덕트부(1124B)는 리턴덕트(114)와 연통될 수 있다. 하류덕트부(1124B)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면과 평행하거나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응축덕트(1124)는 상류덕트부(1124A)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진 구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하류덕트부(1124B)와 같이 수평면과 평행하거나 상방으로 경사진 구간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류덕트부(1124B)가 제2응축덕트(1124)일 수 있다.
제2응축덕트(1124)는 하류단(1124D) 근처에서 구부러져서 대략 수직방향(예를 들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응축덕트(1124)의 내부에 유입되거나 제2응축덕트(1124)에서 생성된 물이 리턴덕트(11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응축덕트(1124)의 상류단(1124U)과 하류단(1124D) 사이의 수평방향 직선거리(D1)는 제2응축덕트(1124)의 상류단(1124U)과 유출구(H2) 사이의 수평방향 직선거리(D2)보다 클 수 있다(도 6). 예를 들면, 제2응축덕트(1124)의 상류단(1124U)은 터브(12)의 바닥(12B)의 제2방향의 중간지점을 넘어서서 위치할 수 있다(도 6).
이에 따라, 건조성능향상을 위해 수평방향에 대해서 유출구(H2)를 유입구(H1) 근처에 형성한 경우에도,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 및 유출구(H2)와 연통되는 리턴덕트(114)의 수평방향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과 리턴덕트(114)의 상류단(114U)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리턴덕트(114) 내부 또는 외부에 충분하게 큰 크기를 가지는 히터(350)가 배치될 수 있고,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과 리턴덕트(114)의 상류단(114U) 사이에 팬(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식기세척기(1)의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식기세척기(1)가 크기가 작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응축덕트(1122)의 하류단(1122D)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벽(12R)의 후방부의 하단 근처에 위치하고, 제2응축덕트(1124)의 상류단(1124U)은 바닥(12B)의 후방부의 일측단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도 3, 도 5 및 도 7). 이에 따라, 제1응축덕트(1122)의 하류단(1122D)과 제2응축덕트(1124)의 상류단(1124U)이 모두 유입구(H1) 및 유출구(H2)와 같이 터브(12)의 후방부에 위치하므로, 응축덕트(112)가 대략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이에,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응축덕트(1124)에는 제2배수구(D2, 도 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H1) 또는 유출구(H2)를 통해 유입된 물이나, 응축덕트(112)에서 응결된 물이 제2배수구(D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100)의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응축덕트(1122)와 제2응축덕트(1124) 사이에는 제2연결덕트(1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덕트(1123)는 제1응축덕트(1122)의 하류단(1122D) 및 제2응축덕트(1124)의 상류단(1124U)과 연통될 수 있다(도 7).
이와 같이, 응축덕트(112)가, 일측벽(12R)의 바깥면과 마주하고 상류단이 유입구(H1)와 연통되는 제1응축덕트(1122); 및 바닥(12B)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류단이 제1응축덕트(1122)의 하류단과 연통되는 제2응축덕트(112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응축덕트(112)가 터브(12)의 일측벽(12R)의 외측 및 바닥(12B)의 하부의 저온의 공기와 접하므로 응축덕트(11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물로 응결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리턴덕트]
리턴덕트(114)는, 상류단(114U)이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과 연통될 수 있고, 하류단(114D)이 유출구(H2)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턴덕트(114)의 하류단(114D)은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세척공간(12S) 내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분배기(15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응축덕트(1124) 및 리턴덕트(114)는 터브(12)의 바닥(12B)의 후방부(B11, B12, B13)의 하부에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응축덕트(1124) 및 리턴덕트(114)가 유출구(H2) 및 유입구(H1)와 같이 터브(12)의 후방부에 위치하므로, 제2응축덕트(1124) 및 리턴덕트(114)가 대략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덕트(1124, 114)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유로저항이 감소하여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가 크기가 작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리턴덕트(114)는, 터브(12)의 바닥(12B)과 제2응축덕트(11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턴덕트(114)의 적어도 일부분은 터브(12)의 바닥(12B) 하부에 제2응축덕트(1124)와 상하로 위치할 수 있다.
즉, 리턴덕트(114)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응축덕트(112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H1)를 통해 제2응축덕트(1124) 내부로 유입되거나 응축덕트(112)에서 응축된 물이 리턴덕트(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덕트(112)의 물이 리턴덕트(114)와 연통되는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리턴덕트(114)와 제2응축덕트(1124)는 적어도 일부분이 리턴덕트(114) 및 제2응축덕트(1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접할 수 있다. 리턴덕트(114) 및 제2응축덕트(1124)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는 리턴덕트(114) 및 제2응축덕트(1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분리벽(W)에 의해 리턴덕트(114)와 제2응축덕트(1124)로 구획될 수 있다(도 16 내지 도 19).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리턴덕트(114)와 제2응축덕트(1124)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리턴덕트(114)와 제2응축덕트(1124)가 한 개의 분리벽(W)에 의해 구획되므로 리턴덕트(114) 내부에 배치된 히터(140)에서 생성된 열의 일부가 제2응축덕트(1124)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응축덕트(1124)에 전달된 열에 의해 제2응축덕트(1124) 내부의 소량의 물이 기화하여 제2응축덕트(1124)의 습도가 낮아지므로 제2응축덕트(1124) 내부에 세균 또는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턴덕트(114)에는 제3배수구(D3, 도 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출구(H2)를 통해 유입된 물이나, 리턴덕트(114)에서 응결된 물이 제3배수구(D3)를 통해 리턴덕트(11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100)의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에서, 리턴덕트(114)의 외부는 제2응축덕트(1124)의 내부일 수 있다(도 17).
[팬]
팬(130)은 응축덕트(112)의 하류단(1124D)과 리턴덕트(114)의 하류단(114D)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130)은 제2응축덕트(1124)와 리턴덕트(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130)이 공기의 유동방향 변화가 큰 건조덕트(110)의 하류(예컨대, 응축덕트와 리턴덕트 사이)에서 와류 발생을 방지하고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건조장치(100)의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팬(130)은 제2응축덕트(1124)와 연통될 수 있다(도 19). 예를 들면, 팬(130)은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과 하방으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팬(130)은 리턴덕트(114)와 연통될 수 있다(도 19). 예를 들면, 팬(130)은 리턴덕트(114)의 상류단(114U)과 측방으로 연통될 수 있다.
팬(130)은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19).
이에 따라, 팬(130)의 모터(136)가 응축덕트(112)에 유입되거나 응축덕트(112)에서 응축된 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팬(130)의 모터(136)에 물이 유입되어 팬(130)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10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팬(130)은 건조덕트(11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팬(130)은 제1응축덕트(1122)의 공기를 제2응축덕트(1124)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팬(130)은 제2응축덕트(1124)의 공기를 리턴덕트(114)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팬(130)은 리턴덕트(114)의 공기를 유출구(H2) 및 후술할 분배기(150)로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팬(130)은 팬날개(132), 팬하우징(134) 및 모터(1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날개(132)는 회전축(138)과 고정결합될 수 있고 모터(136)의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팬날개(132)는 팬하우징(134)에 수용될 수 있다.
팬하우징(134)은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 및 리턴덕트(114)의 상류단(114U)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하우징(134)은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하방으로 제2응축덕트(1124)의 하류단(1124D)과 연통될 수 있다(도 19). 또한, 팬하우징(134)은 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측방으로 리턴덕트(114)의 상류단(114U)과 연통될 수 있다(도 19).
팬하우징(134)은 상벽(134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벽(134T)은 팬날개(132) 및 팬날개(132)의 상부에 배치되는 모터(13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날개(132)가 유출구(H2)를 통해 리턴덕트(114) 내부로 유입된 물과 접촉하더라도, 팬날개(132)와 접촉한 물이 상벽(134T)에 가로막혀서 모터(136)와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모터(136)에 물이 유입되어 팬(130)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건조장치(10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벽(134T)에는 회전축(138)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136)는 회전축(138)을 매개로 팬날개(132)와 결합될 수 있다. 모터(136)는 팬날개(1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136)는 팬날개(13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136)는 상벽(134T)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팬(130)의 회전축(138)은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응축덕트(1124)와 리턴덕트(114) 사이에 팬(130)을 눕혀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 또는 설치위치가 제한되더라도 충분하게 큰 크기를 가지는 팬(1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식기세척기(1)의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식기세척기(1)가 크기가 작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에, 팬(130)은 원심팬(centrifugal fan)일 수 있다. 또한, 모터(136)를 팬날개(132)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모터(136)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
히터(140)는 응축덕트(112)의 하류단(1124D)과 리턴덕트(114)의 하류단(114D)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140)는 리턴덕트(114)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140)가 유출구(H2)와 가까운 건조덕트(110)의 하류(예컨대, 리턴덕트)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건조한 공기를 세척공간(12S)에 배출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히터(140)는 리턴덕트(1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14 내지 도 19). 다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면과 달리, 히터(140)는 리턴덕트(114)와 인접하여 리턴덕트(114)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히터(140)가 리턴덕트(114)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유출구(H2)와 가까운 리턴덕트(114) 내부에서 공기가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으므로,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출된 가열된 공기가 세척공간(12S) 내부의 식기 등에 남아있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히터(140)가 리턴덕트(114)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히터(140)가 응축덕트(112)에 유입되거나 응축덕트(112)에서 응축된 물과 접촉하지 않고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게 되므로, 히터(140)에서 생성된 열이 응축덕트(112)에 모인 다량의 물을 기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리턴덕트(114) 내부의 공기가 고온건조한 상태로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히터(140)는 건조덕트(110)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장치(100)가 건조덕트(110), 팬(130) 및 히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건조덕트(110)가 터브(12)의 외측에 배치되고 응축덕트(112) 및 리턴덕트(114)를 포함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건조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분배기]
분배기(150)는 도 18과 같이, 삽입부(152) 및 뚜껑(1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52)의 하단은 리턴덕트(114)의 하류단(114D)과 연통될 수 있고 삽입부(152)의 상단은 뚜껑(374)과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52)는 터브(12)의 바닥(12B)에 형성된 유출구(H2)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삽입부(152)를 통해, 리턴덕트(114)에서 가열된 공기가 세척공간(12S)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뚜껑(154)은 삽입부(152)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세척공간(12S)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뚜껑(154)은 세척공간(12S) 내부의 물이 삽입부(152) 및 리턴덕트(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154)은 삽입부(152)를 빠져 나온 공기가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입될 때에 상하방향에 대해서 상방을 향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전술한 i) 이 만족되므로, 유출구(H2)를 통해 세척공간(12S) 내부로 유출된 건조한 공기가 유입구(H1)를 통해 건조장치(100) 내부로 유입될 때까지 세척공간(12S) 내부를 구석구석까지 효과적으로 순환할 수 있으므로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의 하류덕트부(1124B), 팬하우징(134) 및 리턴덕트(114)는 도 18과 같이, 제1하우징(C1), 제2하우징(C2), 제3하우징(C3) 및 제4하우징(C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C1)은 하부에 배치되고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하우징(C2)은 제1하우징(C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하우징(C1)과 결합될 수 있다.
제3하우징(C3)은 하방으로 개방되고 제2하우징(C2)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2하우징(C2)과 결합될 수 있다.
제4하우징(C4)은 제2하우징(C2)의 일단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하우징(C2)과 결합될 수 있다.
하류덕트부(1124B)는 제1하우징(C1) 및 제2하우징(C2)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리턴덕트(114)는 제2하우징(C2) 및 제3하우징(C3)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전술한 분리벽(W)은 제2하우징(C2)의 바닥일 수 있다.
팬하우징(134)은 제2하우징(C2)의 일단부와 제4하우징(C4)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즉, 팬하우징(134)의 일부분(제2하우징의 일단부)은 리턴덕트(114)의 일부분(제2하우징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4하우징(C4)은 전술한 팬하우징(134)의 상벽(134T)일 수 있다.
제1하우징(C1)의 바닥에는 전술한 제2배수구(D2)가 형성될 수 있고, 제2하우징(C2)의 바닥에는 전술한 제3배수구(D3)가 형성될 수 있다.
히터(140)는 제2하우징(C2) 및 제3하우징(C3)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내열성이 크고 열전도율이 낮은 고정부(142)를 제2하우징(C2) 또는 제3하우징(C3)에 고정시키고, 히터(140)를 고정부(142)에 결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제2하우징(C2) 또는 제3하우징(C3)이 히터(14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류덕트부(1124B), 팬하우징(134) 및 리턴덕트(114)가 제1하우징(C1), 제2하우징(C2), 제3하우징(C3) 및 제4하우징(C4)의 결합으로 구성됨으로써, 건조장치(100)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용이해지며 건조장치(100)가 크기가 작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편의상 건조덕트(110)를 응축덕트(112)와 리턴덕트(114)로 구성을 나누어 설명했지만, 응축덕트(112)와 리턴덕트(114)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응축덕트(1122)와 제2응축덕트(1124)도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들(110, 112, 1122, 1124, 114)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덕트들(110, 112, 1122, 1124, 114)은 판금 성형 또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팬(130) 등 건조장치(100)의 일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2: 터브
100: 건조장치
110: 건조덕트
112: 응축덕트
1122: 제1응축덕트 1122A: 상류부
1122A1: 유입부 1122A2: 상승덕트부
1122A3: 하강덕트부
1122B: 열교환부 1122C: 하류부
1123: 제2연결덕트 1124: 제2응축덕트
1124A: 상류덕트부 1124B: 하류덕트부
114: 리턴덕트
120: 냉기공급모듈 122: 제1외기유입덕트
123: 제1연결덕트 124: 제2외기유입덕트
126: 열교환유로부 1262: 플레이트
1264: 구획벽 128: 냉각팬
130: 팬 132: 팬날개
134: 팬하우징 136: 모터
138: 회전축
140: 히터 150: 분배기

Claims (17)

  1.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세척공간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터브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터브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응축덕트;
    상기 터브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덕트와 접하는 열교환유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기공급모듈; 및
    상기 응축덕트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유입구로부터 상승한 후에 하강하게 구부러진 상류부; 및
    상기 상류부에서 이어져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열교환유로부와 접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유로부는 상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상기 응축덕트의 옆방향인 제1방향의 일방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유로부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하단의 높이 이상인,
    식기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부의 하류단은, 상기 상류부 중에서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거나 상류부 중에서 연직 상방 또는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향하여 개방되는, 식기세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로부의 상단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의 상단의 높이 이하인, 식기세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류부는 하류단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유입구의 상단 높이에서의 단면적보다 큰, 식기세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류부의 구부러진 내측면 사이의 상기 제1방향의 거리는 상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동일한, 식기세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류부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고 유입구의 상단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방으로 개방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연직 상방 또는 상기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덕트부 및
    상류단이 상기 상승덕트부의 하류단과 연통되고, 연직 하방 또는 상기 제1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류단이 상기 열교환부와 연통되는 하강덕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승덕트부는 상기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지 않는, 식기세척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간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유입구의 상기 제1방향의 타단보다 제1방향의 타방으로 더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상류부의 하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상류부의 하류단에서의 상기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는 상기 열교환부의 상류단에서의 제1방향의 양측면의 기울기와 각각 대응하는, 식기세척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류부에는 상기 응축덕트에 수직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한 개 이상의 가이드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베인인,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류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열교환유로부로부터 상기 가이드의 상류측 단부에 이르는 상기 제1방향의 거리가 증가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유입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류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상기 유입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슬릿에 이르는 상기 제1방향의 거리가 증가하는, 식기세척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중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에 형성되는 슬릿은 상기 상류부의 구부러진 내측면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상방 또는 상기 제1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에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00137874A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KR20220053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74A KR20220053424A (ko)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EP21204242.8A EP3987998B1 (en) 2020-10-22 2021-10-22 Dishwasher
US17/508,594 US20220125275A1 (en) 2020-10-22 2021-10-22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74A KR20220053424A (ko)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24A true KR20220053424A (ko) 2022-04-29

Family

ID=7859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874A KR20220053424A (ko) 2020-10-22 2020-10-2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25275A1 (ko)
EP (1) EP3987998B1 (ko)
KR (1) KR202200534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7463A1 (de) 2015-08-03 2017-02-08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luftkana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38875Y1 (it) * 1995-12-19 2000-11-15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Lavastoviglie con dispositivo perfezionato di asciugaturaper condensazione
IT247109Y1 (it) * 1999-11-02 2002-05-02 Candy Spa Camera di condensazione del vapore per macchine lavastoviglie
NZ590111A (en) * 2008-07-28 2013-01-2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Dishwasher machine comprising a sorption drying device that is layered to have a constant air volume flow rate
KR20100113730A (ko) * 2009-04-14 201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736435B1 (ko) * 2010-06-23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덕트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US9635997B2 (en) * 2013-02-12 2017-05-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4581198U (zh) * 2015-04-24 2015-08-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干燥系统
US9943211B2 (en) * 2016-04-06 2018-04-1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condensing drying system
CN106562737B (zh) * 2016-11-09 2019-09-06 三花亚威科电器设备(芜湖)有限公司 干燥系统和具有其的洗碗机
CN107348928B (zh) * 2017-06-23 2019-09-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排风系统及包括其的洗碗机
WO2019141187A1 (zh) * 2018-01-17 2019-07-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和洗碗机
KR102511843B1 (ko) * 2018-02-09 202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0506912B2 (en) * 2018-05-16 2019-12-1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with vent duct mixing
CN108784606B (zh) * 2018-06-21 2023-09-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和具有其的洗碗机
CN108852241B (zh) * 2018-06-21 2023-09-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排风装置和洗碗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27463A1 (de) 2015-08-03 2017-02-08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luftka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7998B1 (en) 2024-02-21
EP3987998A1 (en) 2022-04-27
US20220125275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78528B (zh)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和洗碗机
CN106852673B (zh) 热泵式洗碗机
WO2018040679A1 (zh) 洗碗机的干燥系统及洗碗机
AU2012237107B2 (en) Laundry Machine
KR101736435B1 (ko) 건조덕트를 구비하는 가전제품
EP2980306B1 (en) Household drying appliance with improved inlet section of the drying fluid in the condenser
EP2987904A1 (en) Front-loading tumble dryer comprising a heat pump
CN110072426B (zh) 用于干燥餐具等的机器、以及用所述机器干燥餐具等的方法
AU2019200883B2 (en) Dishwasher
CN108209831B (zh)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和洗碗机
WO2019141187A1 (zh)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和洗碗机
KR20220053425A (ko) 식기세척기
KR20220053424A (ko) 식기세척기
CN111150359A (zh) 一种带内胆干燥系统的洗碗机
KR20220053423A (ko) 식기세척기
CN208822712U (zh) 一种家用洗碗机的内循环干燥系统
KR20220053420A (ko) 식기세척기
KR20220053422A (ko) 식기세척기
CN210842929U (zh) 一种洗碗机的干燥系统及洗碗机
CN107334435B (zh) 水冷干燥式清洗机
CN215687633U (zh) 洗碗机干燥装置及洗碗机
CN220757364U (zh) 一种湿气进气结构以及水汽分离装置
CN215687634U (zh) 洗碗机干燥装置及洗碗机
CN220024982U (zh) 一种清洗机
CN210842903U (zh) 一种水槽式洗碗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