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481B1 -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481B1
KR100652481B1 KR1020050125862A KR20050125862A KR100652481B1 KR 100652481 B1 KR100652481 B1 KR 100652481B1 KR 1020050125862 A KR1020050125862 A KR 1020050125862A KR 20050125862 A KR20050125862 A KR 20050125862A KR 100652481 B1 KR100652481 B1 KR 100652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ing water
container
dishwasher
dish wash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최종헹굼시에 고온의 최종헹굼수를 별도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건조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는 가열된 헹굼수를 저장하는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저면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 및 식기세척기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설치되고, 대향되는 타측면에는 헹굼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 및 상기 식기세척기 저면부에 저장된 고온의 가열 헹굼수를 공급받기 위하여 상기 식기세척기의 저면부에 연통설치된 헹굼수 공급관이 설치된 박스형태의 용기와; 상기 공기유입관을 거쳐 유입된 공기가 주위를 흐르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공급관을 거쳐 배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용기의 내측면들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용기 외측에 설치된 헹굼수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이 연장되어 연통설치된 헹굼수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공기가 높은 온도를 오래도록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헹굼수 챔버, 공기유입관, 팬, 솔레노이드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Structure for enhancing dry efficiency for a 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배수밸브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도 1의 헹굼수 챔버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도 3의 헹굼수 챔버구조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식기세척기
22: 공기유입관
24: 공급관
30: 헹굼수 챔버
32: 용기
44: 헹굼수 유입관
46: 배출관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의 최종헹굼시에 고온의 최종헹굼수를 별도 저장한 후 이를 이용하여 건조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에서 건조기능은 세척의 한 과정으로써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식기세척기는 기본적으로 소비자의 편의향상에 주목적을 두고 있는 기기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식기의 세척 후 건조,보관까지를 한번에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에서는 건조성능도 세척성능만큼 중시되는 성능요소이다.
현재 대부분의 식기세척기에서 사용되는 건조방법은 식기세척과정이 진행된 이후에, 건조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건조과정 이전 마지막 헹굼과정에서 식기세척기 저면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며 헹굼과정을 진행한다. 이렇게하면, 이때 식기세척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어 식기수납대에 장착되어 있는 세척된 식기들의 온도도 매우 높게 상승되며, 이런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여서 세척조 안으로 불어넣으면, 외부공기가 식기와 접촉하면서 가열되어 상대습도가 낮아지게 되어 식기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선출원된 종래 기술의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에 따르면(1987면 실용신 안등록출원 제23458호), 식기선반이 내장 설치되고 물분사노즐이 하부에 설치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세척탱크의 일측벽면에는 에어필터가 설치된 송풍닥트와 연결되게 흡기분배구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모터와 송풍팬을 연결설치하며, 도어 상부에는 배기닥트와 배기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에 따르면, 여전히 식기세척기 내부에 수납된 식기표면에 남아 있는 수분의 상당량은 물방울의 형태로 맺혀져서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조시에 별도의 가열을 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되는 전력이 낮은 것이 장점이지만, 식기가 식어감에 따라 건조효율이 급격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최종헹굼시에 고온까지 가열했던 세척수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가열하는데 활용함으로써 물의 높은 비열에 의하여 외부공기의 온도를 보다 높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식기를 쉽게 건조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 르면, 가열된 헹굼수를 저장하는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저면부에 설치된 박스형태의 용기와,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관과, 상기 용기와 식기세척기 사이에 연결되어 식기세척기 내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용기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헹굼수를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식기세척기의 저면부에 연통되게 설치된 헹굼수 공급관과, 상기 용기의 내측면들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고, 상기 헹굼수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게 설치된 헹굼수 챔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헹굼수 공급관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저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벨로우즈 밸브를 통해 상기 식기세척기의 저면부에 대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식기세척기의 최종헹굼이 종료되면 상기 저면부와 상기 헹굼수 공급관이 연통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수밸브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이루며, 몸체 전면에는 조작부와 식기를 수납하기 위하여 식기세척기(10) 내부를 개폐시키 는 도어가 설치된다. 식기세척기(10)내부에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저장조가 구비되며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수납대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분사하기 위한 펌프 및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10)는 팬(20)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여서 세척조(11)내에 위치된 식기(도시안됨)를 건조시킨다.
상기 세척조(11)의 저면부(12)는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고 펌프(13)에 의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노즐(도시안됨)을 향해 분사되는 통로가 설치된 부분이다. 상기 저면부(12)의 저면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배수밸브(40)로서 벨로우즈밸브가 설치되어 솔레노이드(42)에 의해 연동되어 동작된다. 이로인해 매우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넓은 배수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참조부호 44는 헹굼수 공급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배수밸브(4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저면부(12)에 저장된 가열된 헹굼수는 상기 헹굼수 공급관(44)을 통해 배수되면서 이동된다.
참조부호 30은 상기 식기세척기(10)의 저면부(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밸브(40)와 헹굼수 공급관(44)을 통해 연통되는 헹굼수 챔버를 나타낸다. 상기 챔버(30)의 외측면들 용기(32)의 내측면들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공기가 상기 챔버(30)의 주위를 이동하면서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 헹굼수 챔버(30)는 상기 식기세척기(10)로부터 배수된 고온의 가열된 헹굼수를 헹굼수 공급관(44)을 통해 공급받아 이를 통해 상기 팬(20)을 통해 공기유입관(22)을 거쳐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 식기세척기(10)의 내부로 공급관(24)을 통해 전달한다.
참조부호 46은 최종적인 배수를 위해 배수펌프(도시안됨)로 연결되는 배출관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헹굼수 챔버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헹굼수 챔버구조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헹굼수 챔버(30)는 박스형태의 용기(32)내에 설치되며, 용기(32)는 일측에 팬(20)으로부터 찬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관(22)과 세척조에 가열된 외기를 공급하는 공급관(2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용기(32)의 타측에는 가열된 헴굼수가 유입된 공급관(44)이 헹굼수 챔버(30) 측면까지 연결되고, 상기 헹굼수 챔버(30)로부터 최종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배출관(46)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31은 상기 헹굼수 챔버(30)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냉각핀들을 나타낸다.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하여 금속재질의 챔버(30)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의 동작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0)에서 최종헹굼이 종료되면, 배수밸브(40)를 열도록 제어한다. 이로인해 고온의 헹굼수가 헹굼수 공급관을 거쳐 헹굼수 챔버내에 저장된다. 건조가 시작되면, 팬(20)을 동작시켜서 공기유입관(2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헹굼수 챔버(30)의 주위를 지나도록 하며(즉 박스형태의 용기(32)와 헹굼수 챔버(30)사이의 공간), 고온의 헹굼수 챔버(30)에 의해 가열된 외기는 가열된 후에 공급관(24) 을 통해 식기세척기의 세척조(1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고온의 외부공기로 인해 건조가 진행되는데, 외부공기는 온도가 높을수록 상대습도가 낮아지므로 이러한 외부공기의 가열을 통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조가 종료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헹굼수 챔버(30)내의 헹굼수를 배출관(46)을 통해 모두 밖으로 배수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에 의하면, 최종헹굼시에 고온까지 가열했던 세척수를 별도로 챔버에 저장해두고, 건조시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이 챔버의 주위를 지나가게 함으로써, 외부공기가 높은 온도를 오래도록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를 토대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가열된 헹굼수를 저장하는 식기세척기의 내부의 저면부에 설치된 박스형태의 용기와;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관과;
    상기 용기와 식기세척기 사이에 연결되어 식기세척기 내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용기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헹굼수를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식기세척기의 저면부에 연통되게 설치된 헹굼수 공급관과;
    상기 용기의 내측면들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고, 상기 헹굼수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이 연통되게 설치된 헹굼수 챔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수 공급관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저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벨로우즈 밸브를 통해 상기 식기세척기의 저면부에 대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식기세척기의 최종헹굼이 종료되면 상기 저면부와 상기 헹굼수 공급관이 연통되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KR1020050125862A 2005-12-19 2005-12-19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KR100652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862A KR100652481B1 (ko) 2005-12-19 2005-12-19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862A KR100652481B1 (ko) 2005-12-19 2005-12-19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481B1 true KR100652481B1 (ko) 2006-12-01

Family

ID=3773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862A KR100652481B1 (ko) 2005-12-19 2005-12-19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4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30B1 (ko) * 2011-08-02 2013-04-16 박호권 식기 세척기의 폐열 회수 시스템
KR101619196B1 (ko) * 2015-09-02 2016-05-10 (주)비에스티코리아 노즐 클리닝 장치
US10820782B2 (en) 2017-08-30 2020-11-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US10820781B2 (en) 2017-08-30 2020-11-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17Y1 (ko) * 1993-12-28 1997-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0133917Y1 (ko) * 1996-11-30 1999-10-01 대우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송풍장치
JP2002263050A (ja) * 2001-03-12 2002-09-17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20040040303A (ko) * 2002-11-01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온풍 발생 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817Y1 (ko) * 1993-12-28 1997-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0133917Y1 (ko) * 1996-11-30 1999-10-01 대우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송풍장치
JP2002263050A (ja) * 2001-03-12 2002-09-17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KR20040040303A (ko) * 2002-11-01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온풍 발생 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930B1 (ko) * 2011-08-02 2013-04-16 박호권 식기 세척기의 폐열 회수 시스템
KR101619196B1 (ko) * 2015-09-02 2016-05-10 (주)비에스티코리아 노즐 클리닝 장치
US10820782B2 (en) 2017-08-30 2020-11-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US10820781B2 (en) 2017-08-30 2020-11-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997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92513B1 (ko) Fan module과 PTC Heater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가열순환 건조모듈
US8875721B2 (en) Dishwasher with closed loop condenser
CN101653348B (zh) 洗碗机及其控制方法
CN106580219B (zh) 洗碗机
US20150257627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drying apparatus
US8409361B2 (en) Controlling method of dishwasher
KR102191960B1 (ko) 식기 세척기
US10986977B2 (en)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JP2002263050A (ja) 食器洗浄機
US20100043832A1 (en) Control method for a dishwasher
KR100652481B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CN111345761A (zh) 洗碗机
KR102541159B1 (ko) 식기세척기
CN209770286U (zh) 一种具有定量换气除湿功能的洗碗机
KR100758526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EP2180817B1 (en) Dish washing machine
CN101588747A (zh) 洗碗机
CN112244721B (zh)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US20090139547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hwasher
KR20050104915A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탱크
KR100745699B1 (ko) 폐열회수장치를 이용한 업소용 식기 세척기
US20100043827A1 (en) Dis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215820836U (zh) 一种洗碗机
KR10260118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