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035A -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035A
KR20230131035A KR1020220028409A KR20220028409A KR20230131035A KR 20230131035 A KR20230131035 A KR 20230131035A KR 1020220028409 A KR1020220028409 A KR 1020220028409A KR 20220028409 A KR20220028409 A KR 20220028409A KR 20230131035 A KR20230131035 A KR 2023013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emperature
dishwasher
process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석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1035A/ko
Priority to PCT/KR2023/002648 priority patent/WO2023167470A1/ko
Publication of KR2023013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8Ai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 공간이 구비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 송풍 모터, 송풍 팬, 히터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건조풍 공급부,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미만인 경우, 히터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히터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히터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식기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A DISHWASH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ND A MEMORY STORING A PROGRAM THEREFOR}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사 후 식기에 흡착된 음식물 또는 오물을 제거하여 식기를 세척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을 위해 여러 단계의 행정을 거쳐 동작한다.
그런데, 식기 세척기가 히터를 가열하여 고온으로 식기를 건조시키는 중에 히터의 온도가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할 경우 사용자에게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선행 기술(한국특허공개공보 10-2021-0138422)은 식기 세척기와 관한 것으로서, 세척 대상의 건조 행정 중에 세척실 내의 공기를 세척실의 외부로 배출하여 세척실의 온도를 적절한 건조 온도로 유지시키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선행 기술은 단지 세척실 내의 공기를 세척실 외부로 배출하여 적절한 건조 온도로 유지시킬 뿐, 건조 행정 중에 히터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 선행 기술은 건조 행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에 따라 히터의 온도가 서로 다른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의 히터의 온도가 동작 시간에 따른 임계 범위 내로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21-0138422
종래에는 식기 세척기가 히터의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할 경우 사용자에게 심각한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행정 중에 히터의 최초 동작 시 히터의 비정상 과열(예: 오버 슛)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의 발열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문 열림 건조 과정이 동작되고 있는 시간에 기반하여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문 열림 건조 과정이 수행되고 있는 시간에 따라 히터의 발열 온도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문 열림 건조 로직의 수행에 따라 송풍 모터, 온도 센서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고 히터의 발열 온도를 임계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히터의 비정상 과열(예: 오버 슛)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응축 건조 과정 이후,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실행하기 전에 워터 자켓 내에 존재하는 잔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온도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미만인 경우, 히터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히터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진행 시간이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송풍 모터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면 온도 센서를 통해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이 아니면, 히터의 온도와 제1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의 히터의 온도가 제2 온도 보다 이상이 아니면,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2 온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이면, 히터의 온도와 제3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3 온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3 온도 보다 이하가 아니면, 상기 히터의 온도와 상기 제3 온도 보다 높은 제4 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의 히터의 온도가 제4 온도 보다 이상이 아니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4 온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과의 차이가 일정 시간 이내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의 송풍 팬이 제1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으면 실패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 보다 이상이면, 송풍 모터 및 송풍 팬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온도 센서의 오픈(OPEN) 또는 쇼트(SHORT) 상태가 일정 시간 보다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메인 센서, 및 제2 메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OFF)되고, 서브 센서의 온(ON)이 식별되면,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기 위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메인 센서, 및 제2 메인 센서 모두 오프(OFF)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가 강제로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를 자동 개방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자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메인 센서, 및 제2 메인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되고, 서브 센서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가 강제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도어가 강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식기 세척기가 냉풍 건조 과정으로 동작되도록 송풍 모터 및 송풍 팬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히터의 비정상 과열(예: 오버 슛)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할 경우 사용자에게 심각한 화상을 입힐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실행하기 전에 워터 자켓 내에 존재하는 잔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보다 청결한 상태에서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시간에 따라 온도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식기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미만인 경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함으로써, 히터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함으로써, 히터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진행 시간이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송풍 모터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면 온도 센서를 통해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동작 시간에 따른 온도를 차등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면 히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 100도)에 대응되도록 히터를 빠르게 가열하고, 히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 100)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를 서서히 가열시킴으로써, 히터를 고온으로 가열한 후, 가열된 히터를 식히는 것 보다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이 아니면, 히터의 온도와 제1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히터를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의 히터의 온도가 제2 온도 보다 이상이 아니면,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2 온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히터의 온도가 임계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이면, 히터의 온도와 제3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3 온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3 온도 보다 이하가 아니면, 상기 히터의 온도와 상기 제3 온도 보다 높은 제4 온도를 비교함으로써, 히터의 온도가 임계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의 히터의 온도가 제4 온도 보다 이상이 아니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4 온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과의 차이가 일정 시간 이내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종료되기 전에 식기 세척기를 미리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식기 세척기의 송풍 팬이 제1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으면 실패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 보다 이상이면, 송풍 모터 및 송풍 팬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송풍 모터 및 송풍 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에러를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온도 센서의 오픈(OPEN) 또는 쇼트(SHORT) 상태가 일정 시간 보다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온도 센서에 대한 에러를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메인 센서, 및 제2 메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OFF)되고, 서브 센서의 온(ON)이 식별되면,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기 위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와 다른 동작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메인 센서, 및 제2 메인 센서 모두 오프(OFF)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가 강제로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를 자동 개방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자동으로 오픈시킴으로써, 식기 세척기의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메인 센서, 및 제2 메인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되고, 서브 센서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가 강제 개방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와 다른 동작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도어가 강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식기 세척기가 냉풍 건조 과정으로 동작되도록 송풍 모터 및 송풍 팬을 제어함으로써, 고온에 의한 위험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개시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풍 공급부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 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필터 및 필터 하우징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바텀 터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 모터와 온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열림을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풍 건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 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 공간이 구비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 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61, 62)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40)는 급수 장치(도 11의 1110), 및 세척장치(도 11의 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예를 들면,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 노즐(61, 62)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61, 62)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부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 노즐(61, 62)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 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사 노즐(61, 62)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 내로 회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세척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 노즐(61, 62)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척펌프(45)의 일 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 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 노즐(61, 62)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급 유로(46)는 세척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 노즐(61, 6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 유로(46)는 제1 노즐(61)(예: 하부 분사암)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제2 노즐(62)(예: 상부 분사암)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 유로(46)에는 공급 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 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분사 노즐(61, 62)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분사 노즐(61, 62)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분사함(62)은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100)는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부 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 노즐(61, 62)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 노즐(61, 62)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 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면,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부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분사 노즐(61, 62)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 노즐(61, 62)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 노즐(61, 62)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30)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예: 제1 메인 센서(1131), 제2 메인 센서(1132), 및 서브 센서(1133))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인 센서(1131), 제2 메인 센서(1132)는 도어(30)의 상면과 맞닿은 식기 세척기(100)의 본체의 접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센서(1133)는 힌지부 주변에 배치되어 도어(3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표시부(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예: 사용자가 강제로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는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상면 외측에는 도어를 자동개방하기 위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후술하는 건조풍 공급부(80)가 작동되어 터브(20)의 내부로 건조풍이 공급되면, 도어(30)를 소정의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터브(20)의 전면(22)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식기를 건조하면서 습해진 공기는 개방된 터브(20)의 전면(22) 상부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도어(30)의 후면 상단을 개방위치까지 회전이동시키는 푸쉬 로드(352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의 세척공간으로 고온 또는 저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 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풍 공급부(80)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883)와,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 팬(825)과, 송풍 팬(825)를 동작시키는 송풍 모터(89),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84)와,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건조풍 기류의 안내하는 기류 가이드(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브(20)의 하면에는 건조풍 공급부(80)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건조풍 공급홀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 공급부(8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건조풍 공급부의 세부 구성]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풍 공급부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 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필터 및 필터 하우징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바텀 터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건조풍 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 공급부(80)는 베이스(90)에 수용되고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풍 공급부(80)는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누수감지부와 베이스(90)의 후면(93) 사이의 위치에 대체로 베이스(90)의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위치는, 고온 건조풍 공급 과정에서 미리 결정된 온도(약 100
Figure pat00001
) 이상의 고열이 발생되는 건조풍 공급부(80)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고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장부품을 회피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위치는 터브(20)의 하면(25)에 형성되는 건조풍 공급홀에 위치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건조풍이 유입되는 건조풍 공급홀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풍 공급홀로 효과적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풍 공급부(80)는 건조풍 공급홀의 하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건조풍 공급부(80)의 배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달리 베이스(90)의 후면(93)이 아닌 좌측면(94), 우측면(95) 또는 전면(9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건조풍 공급부(80)가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하여 후면(93)에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90)의 저면(91)에는 건조풍 공급부(80)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리브(미도시)와, 터브(20)로부터 세척수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부(미도시)의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리브(미도시)와, 건조풍공급부(8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누수 감지부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수리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 서포트리브, 가이드리브 및 세척수리브는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리브에는 후술하는 건조풍 공급부(80)의 제1 레그(891), 제2 레그(892) 및 제3 레그(893)가 비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레그(891), 제2 레그(892) 및 제3 레그(893)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서포트리브에 단순 거치되는 방식으로 건조풍 공급부(80)가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해서 지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건조풍 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풍을 생성하여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 공급부(80)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송풍 팬(825)과, 건조풍을 가열하는 히터(84)와, 내부에 히터(84)가 수용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히터 하우징(81)과, 송풍 팬(825)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88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풍 팬(825)은, 히터(84) 및 히터 하우징(81)에 대해서 건조풍 기류(F)의 방향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며, 히터 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로 공기를 가속하여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송풍 팬(825)과, 송풍 팬(825)의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 모터(89)는 서로 모듈화되어 팬 하우징(8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 팬(825)과 팬 하우징(82)은, 후술하는 필터링부(88)의 필터 하우징(881)과 히터 하우징(81)을 연결하는 하우징 커넥터(87)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 팬(825)과 팬 하우징(82)은 하우징 커넥터(87)에 고정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필터 하우징(88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풍 공급부(80)에 적용되는 송풍 팬(825)의 종류, 크기 등의 타입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송풍 팬(825)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로코팬의 중앙으로부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팬 하우징(82)의 하면(824)으로부터 필터(883)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공기가 가속되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속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풍 기류(F)를 형성하며 팬 하우징(82), 하우징 커넥터(87)의 유입구(8712)를 거쳐 히터 하우징(81)의 내부의 공기통로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시로코팬이 되는 송풍 팬(825) 및 모터의 회전축(8251)은 예시적으로 대체로 상하방향(U-D방향)에 나란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883)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팬 하우징(82)의 하면(824)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필터(883)는 에어 필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883)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는 하면(824)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팬 하우징(82)의 상면(821)의 내측에는 모터의 제어를 위한 PCB 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CB 기판 상에는 후술하는 도 11의 각 구성 요소가 배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팬 하우징(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하우징 커넥터(87)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연결탭(872)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탭(872)은 커넥터본체(871)의 유입구(8712)로부터 팬하우징(82)의 상면(821)을 커버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탭(872)에는 연결탭(872)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보스(87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체결보스(873)는, 베이스(9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링부(88)의 상부 하우징에 해당하는 제1 하우징(881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보스(8811e)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 커넥터(87)의 커넥터 본체(871)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류에 배치되는 히터 하우징(81)의 개방된 전단에 결합하여 히터 하우징(81)과 함께 건조풍 기류가 유동하는 공기통로(C)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 본체(871)는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박스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871)의 내부면은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점진적으로 공기통로(C)의 단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히터 하우징(81)이 결합되는 후단부(871b)의 단면적은 히터 하우징(81)의 선단부의 단면적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풍 기류의 유동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팬 하우징(82)과 히터 하우징(8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871)의 하부에는 베이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레그(89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실시 예를 기준으로, 박스 형상의 커넥터 본체(871)의 상면 및 전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871)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은, 히터(84)가 공기통로(C)의 내부에 배치 및 고정되는 과정에서 히터(84)가 진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히터(84)는 히터 하우징(81) 및 커넥터 본체(871)와 분리된 상태로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히터(84)의 전단 측은 단자 고정부에 의해서 커넥터 본체(87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단자고정부의 전면에는 한 쌍의 단자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본체(871)의 부분 개방된 전면은 단자 고정부의 외형에 대응하여 단자고정부가 슬라이딩 결합하는 U-자 형상의 고정슬롯(8711)을 형성할 수 있다.
단자 고정부는, 고정 슬롯(8711)의 모서리에 의해서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안내되고, 고정슬롯(8711)의 모서리와 결합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871)의 부분 개방된 상단은 어퍼하우징(812)에 의해서 커버되고 차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면(8716)의 하부에는, 커넥터본체(871)의 내부로 진입된 어퍼하우징(812)의 선단부를 하부 방향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제2 지지리브(8715)가 구비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는 커넥터 본체(871)의 후단부(871b)는, 히터 하우징(81)과 끼움 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 본체(871)의 후단부(871b)는 부분적으로 히터 하우징(81)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면접촉이 형성되는 끼움 결합을 형성하도록, 커넥터 본체(871)의 후단부(871b)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제1 지지리브(8714)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도 10의 84)는 히터 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통로의 내부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어 건조풍 기류(F)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풍 공급부(80)가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전력이 공급되어 건조풍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건조풍 공급부(80)가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4)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건조풍 기류(F)가 생성될 수 있도록 송풍모터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풍 공급부(80)에 구비되는 히터(84)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하며, 터브(20)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역유입 세척수에 의한 누전방지에 유리한 튜브 형상의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시즈히터가 되는 히터(84)는 히터 하우징(81) 내부의 공기통로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며, 열전달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다수회 절곡되는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터(84)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하우징 커넥터(87)의 커넥터 본체(871)의 전면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히터(84)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가 단자 고정부(미도시)를 통해 커넥터본체(871)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커넥터본체(871)의 전면에는 단자고정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슬롯(8711)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84)의 선단 측은 단자 고정부를 통해서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히터(84)의 후단 측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하우징(8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일 히터 브라켓(845)을 통해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즉, 히터(84)의 후단 측은 히터 브라켓(845)을 통해 히터 하우징(8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공기통로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하우징(81)의 어퍼 하우징(812)의 상부면(8121a)에는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로서 온도센서(86)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86)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와,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써모스탯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86)의 출력신호는 프로세서(도 11의 1160)로 전달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도 11의 1160)는 온도 센서(86)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고온 건조풍의 온도 및 과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과열 발생시에 프로세서(도 11의 1160)는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 과정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 과정으로 건조풍 공급부(80)의 작동 과정을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 하우징(81)은 내측에 전술한 히터(84) 및 히터 브라켓(845)이 배치되는 공기 통로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풍 기류(F)가 이동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F)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해당하는 히터 하우징(81)의 전단부와 하류 측에 해당하는 후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풍 공급부(80)는, 히터 하우징(81)의 좌측 단부 측에 상부 방향(U-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연결 덕트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 하우징(81)과 송풍 팬(825)은 터브(20)의 하면(25)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덕트부(85)는 히터 하우징(81)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미리 설정된 위치, 예를 들면, 터브(20)에 형성된 건조풍 공급홀을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는 터브(20)의 하면(25)이 될 수 있고, 연결 덕트부(85)로 안내된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건조풍 공급홀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23) 및 좌측면(26)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연결 덕트부(85)의 덕트 본체(851)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터브(20)의 건조풍 공급홀과 히터 하우징(81)의 배출구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 덕트부(85)의 덕트 본체(851)는 하단부(8512)가 히터 하우징(81)의 배출구에 유체 연통되고 상단부(8511)가 상부 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건조풍 공급홀에 연결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 본체(851)의 하단부(8512)는 히터 하우징(81)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 하우징(81)의 사각형상의 배출구의 단면 형상을 고려하여 덕트 본체(851)의 하단부는 사각통 형상이 될 수 있으며, 누수방지를 위해 덕트 본체(851)의 상단부는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덕트 본체(851)의 상단부(8511)와 터브(20)의 건조풍 공급홀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덕트 본체(85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 본체(851)의 상단부(8511)에는 덕트 본체(851)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세척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류 가이드(83)가 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링부(88)는 송풍 팬(825)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여 히터(84)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히터(8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필터링부(88)는, 송풍 팬(825)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883)와, 내부에 필터(883)가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 수용공간 및 팬 하우징(82)이 배치되는 팬하우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필터 하우징(88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필터 하우징(881)은 예시적으로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된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하우징(8811)은 상부 하우징이 될 수 있고 제2 하우징(8812)은 하부 하우징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 하우징(881)은 필터(883)와 송풍 팬(825)의 팬하우징(82)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 하우징(8811)은 필터(883)와 팬 하우징(8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터(883)의 상부 및 팬 하우징(82)의 상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 수용부(8811a)와 팬 하우징 수용부(8811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측에 제2 하우징(88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8811)의 필터 수용부(8811a)와 팬하우징 수용부(8811b)는 전체적으로 하면 개방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 수용부(8811a)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팬 하우징 수용부(8811b)보다는 더 상류 측에, 도시된 실시 예를 기준으로는 팬 하우징 수용부(8811b)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수용부(8811a)는, 예시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는 필터(883)의 교체 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수용부(8811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8812)의 필터 가이드리브(8812f)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필터 가이드리브(8811k)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 수용부(8811a)의 상단에는 필터(883)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형 형상으로 개방되는 결합 개구(881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883)는 결합개구(8811c)를 통과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8812)의 필터 수용부(8812a)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팬하우징 수용부(8811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 수용부(8811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 예를 기준으로는 필터 수용부(8811a)의 우측에 히터 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 수용부(8811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 수용부(8811b)는, 송풍 팬(825)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 하우징(82)의 상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팬 하우징 수용부(8811b)의 상면은 평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팬하우징 수용부(8811b)의 상면 중앙 측에는 송풍 팬(825)의 전술한 PCB 기판 및 모터의 냉각을 위해서 PCB 기판이 구비되는 팬 하우징(82)의 상면(821)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통기홀(8811f)이 구비될 수 있다. 통기홀(8811f)이 하부에는 팬 하우징(82)의 상면(821)을 향해 연장되는 중공의 실린더형 통기덕트(8811g)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팬하우징 수용부(8811b)의 상면에는 일단부가 통기덕트(8811g)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 하우징(8811)의 전면까지 연장되는 슬릿 형태의 배수채널(8811h)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기홀(8811f)로 유입된 세척수는 배수채널(8811h)을 통해 이동되어 베이스(90)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8811)의 상면은, 필터 수용부(8811a)의 상단과 팬하우징 수용부(8811b)를 연결하는 경사면(8811b1)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 채널(8811h)은 필터 수용부(8811a)의 상단으로부터 누수된 후 경사면을 타고 통기덕트(8811g)로 유입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는 세척수가 통기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단리브가 제1 하우징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단리브는 팬하우징 수용부(8811b)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1 차단리브(8811i1)와, 경사면(8811b1)에 구비되는 제2 차단리브(8811i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리브(8811i1)를 선형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차단리브(8811i2)는 곡선형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8811)의 내부에는 상면으로부터 팬 하우징(82)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보스(8811e)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보스(8811e)는, 전술한 하우징 커넥터(87)의 연결탭(872)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연결탭(872)에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보스(873)에 각각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1 하우징(8811)의 팬하우징 수용부(8811b)의 좌측면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하우징 커넥터 결합홀(881a)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하우징 커넥터 결합홀(881a)의 나머지 일부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8812)의 팬 하우징 수용부(8812b)의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 커넥터 결합홀(881a)을 통과하여, 하우징 커넥터(87)의 커넥터 본체(87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필터 하우징(88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 커넥터 결합홀(881a)의 형상은 커넥터 본체(871)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하우징(881)의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필터(883)와 팬 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하우징(8811)과 유사하게, 제2 하우징(8812)은 필터(883)의 하부 및 팬 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수용부(8812a)와 팬 하우징 수용부(8812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8811)의 필터 수용부(8811a)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8811)의 필터 수용부(88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8812)의 필터 수용부(8812a)에는 필터(883)의 인입 시에 필터(883)의 이동을 안내하고 정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 가이드리브(8812f)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 가이드리브(8812f)는 필터 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단은 필터 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형상을 갖는 필터(883)의 외형에 대응하여 복수의 필터 가이드리브(8812f)는 필터(883)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 및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필터 가이드리브(8812f)의 중심으로서 필터 수용부(8812a)의 바닥면(8812e)에는 베이스(9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며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하부 흡기구(8812c)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흡기구(8812c)는, 실린더 형상을 갖는 필터(883)의 하부 개구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개구를 통과하여 필터(883)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원활히 도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 위치 및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8812)의 바닥면(8812e)에는 이와 같이 여과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누설되어 필터 하우징(881)의 내부공간으로 직접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기밀수단으로서 한 쌍의 환형 리브가 하부 흡기구(8812c)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팬 하우징 수용부(8812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 수용부(8812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 예를 기준으로는 필터 수용부(8812a)의 우측에 히터 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 수용부(8812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 하우징 수용부(8811b)는, 송풍 팬(825)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 하우징(82)의 하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하우징 수용부(8811b)의 바닥면(8812e)은, 여과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팬 하우징(82)의 하면(824)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며, 바람직하게는 수평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을 팬 하우징 수용부(8811b)의 바닥면(8812e)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팬하우징 수용부(8812b)의 내부에는 바닥면(8812e)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융기면부(8812e3) 및 스크류보스(8812e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타구조물을 회피하며, 예를 들면 제2 하우징(88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의 리브들 및 누수 감지부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개별 융기면부(8812e3)의 형상은 회피되는 타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팬하우징(82)을 팬 하우징 수용부(8811b)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이 개별 융기면부(8812e3)의 상단면에 면접촉되는 관계가 되도록 송풍 팬(825)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융기면부(8812e3)는 베이스(80)에 대해서 필터 하우징(881)이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크류보스(8812e2)는, 개별 융기면부(8812e3)와 함께 팬 하우징(82)의 하면(82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크류보스(8812e2)에는 팬 하우징(82)과 하우징 커넥터(87)의 연결탭(872)을 동시에 체결하는 한 쌍의 스크류 볼트 중 하나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홀(8812e1)이 구비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볼트홀(8812e1)은 복수의 융기면부(8812e3)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단과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탈착 가능한 결합관계를 달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는 제2 하우징(8812)을 향해 연장되는 체결탭(8811d)이 구비되고,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에는 체결탭(8811d)에 후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후크 돌기(8812d)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8811)의 필터 수용부(8811a)의 결합개구(8811c)에는 터브 연결덕트(88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체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링부(88)의 필터(883)는 터브(20)의 하면(25)을 통해 필터(883)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필터 수용부(8811a)는 터브(20)의 하면(25)과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터브 연결덕트(882)는 터브(20)의 하면(25)과 제1 하우징(8811)의 필터 수용부(8811a)를 상호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 연결덕트(882)는, 제1 하우징(8811)의 필터 수용부(8811a)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 연결덕트(882)가 제1 하우징(8811)에 별개로 구비되는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연결 덕트부(85)의 덕트 본체(851)와 유사하게,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25)을 관통하여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하면(25)에는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 교체홀(253)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5)의 하면(25)의 중앙 측에는 섬프(41)가 장착되는 섬프홀(252)이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20)의 하면(25)은 세척수가 섬프홀(252)로 효과적을 모일 수 있도록 섬프홀(252)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하강하는 경사각을 갖는 수렴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교체홀(253)은 섬프홀(252)의 후방 위치로서 수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풍 공급홀과 구분하기 위해서, 필터 교체홀(253)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 및 우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883)의 교체를 위한 인출 및 인입의 편의를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은 건조풍 공급홀보다 터브(20)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연수기연통홀(255)보다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 교체홀(253)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수기 연통홀(255)은, 예시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연수기(미도시)로의 연수제 투입 등의 목적을 가지나, 급수부의 정수필터(미도시) 등 다른 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교체홀(253)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기준으로 연수기 연통홀(255)과 건조풍 공급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필터교체홀(253)은 연수기 연통홀(255)와 건조풍 공급홀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브(20)의 하면(25)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더라도 터브(2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비틀림 강성이나 굽힘 강성에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교체홀(253)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수기 연통홀(255)와 구별을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을 통과하여 세척공간에 노출되는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에는 연수제 투입구(255)와 다른 형상 또는 색상을 갖는 밀폐캡(884)이 적용될 수 있다,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터브(20)의 필터 교체홀(253)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터브연결덕트(882)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측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8823)와, 수나사부(8824)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25)을 관통하여 상부 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며,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수나사부(88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브(20)의 하면(25)을 통과하여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교체홀(253)은 터브(20)의 하면(25)에 구비되는 수렴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 교체홀(253)에 결합되는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및 플랜지(8823)는 터브(20)의 수렴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상태, 즉 수직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되는 수나사부(8824)에는 체결너트(886)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브 연결덕트(882)의 고정 및 체결 시에, 터브(20)의 내부에서 수나사부(8824)에 체결너트(886)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8823)와 터브(20)의 하면(25) 사이에는 체결너트(886)의 풀림방지 및 누수방지를 위한 제1 가스켓(88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체결너트(886)를 통해서 터브 연결덕트(882)가 터브(20)의 하면(25)에 고정되면,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에는 밀폐 캡(884)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밀폐 캡(884)과 터브 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이한 기밀링(887)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와 하단부(8822) 사이로서, 필터수용공간(S1)의 상부에 해당하는 플랜지(8823)의 아래 위치에는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상부 흡기구(8826)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흡기구(8826)는 원통 형상을 갖는 터브 연결덕트(88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흡기구(8826)는 터브 연결덕트(882)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 및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 개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브 연결덕트(882)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흡기구(8826)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상부흡기구(8826)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대략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성을 갖는 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 때, 터브연결덕트(882)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수의 관통 개구로서 구비되는 상부 흡기구(8826)는 상하방향 높이가 원주방향 폭보다는 더 작은 슬릿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흡기구(8826)를 구성하는 다수의 관통 개구는,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외부공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각각 동일한 개방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흡기구(8826)는, 필터(883)가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883)의 상부 개구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흡기구(8826)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터브(20)와 필터(883)의 상면(8835)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부흡기구(8826)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필터 부재(883)의 내부로 진입된 후 기류방향이 전환되고, 필터(883)의 외주면(8832)을 통과하면서 여과가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필터링부(88)는 서로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하부 흡기구(8812c)와 상부 흡기구(8826)를 포함하는 2개의 흡입경로를 통해 외부공기가 필터(883)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대상물의 건조에 필요한 건조풍 기류(F)의 유량이 종래에 비해서 충분히 그리고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외부공기의 흡입경로 및 필터를 통과한 건조풍 기류의 유동경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터브연결덕트(882)의 하단부(8822)에는 제1 하우징(8811)의 결합 개구(8811c)에 대한 탈착 가능한 체결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체결부(8825)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체결부(8825)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제1 하우징(8811)의 결합 개구(8811c)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될 수 있다.
[여과 전후의 공기의 유동경로]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필터(883)를 통과하기 전의 외부공기의 유동경로 및 필터(883)를 통과하여 여과된 건조풍 기류(F)의 유동경로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의 필터 하우징(881)은 서로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베이스(90)와 터브(20) 사이의 공간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복수의 흡기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도입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흡기구는, 필터수용공간(S1)의 상부로서 터브 연결덕트(882)에 구비되는 상부 흡기구(8826)와, 필터 수용공간(S1)의 하부로서 제2 하우징(8812)의 바닥면(8812e)에 구비되는 하부 흡기구(88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흡기구(8826)와 하부 흡기구(8812c)는 터브(20)와 베이스(90)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필터 하우징(881)의 가장 높은 위치 및 가장 낮은 위치에 각각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호간 흡입되는 공기유량에 영향이 최소화되는 상태에서 2개의 흡입구를 통해서 외부공기가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세척대상물의 건조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유량이 확보될 수 있고, 건조시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흡기구(8826)는 대략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흡기구(8826)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갖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흡기구(8812c)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8812e)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흡기구(8812c)는 수직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베이스(90)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하부 흡기구(8812c)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수직방향에 나란한 공기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 흡기구(8826)를 통해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 흡기구(8826)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필터(883)의 상부개구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흡기구(8812c)를 통해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883)가 필터 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 흡기구(8812c)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는 필터(883)의 하부 개구로 진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 부재(883)가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883)의 상단 측 및 필터(883)의 하단 측에는 미여과된 공기가 필터 하우징(881) 내부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들 기밀수단은, 제1 하우징(8811)의 결합 개구(8811c)에 고정되는 제2 가스켓(8852) 및 제2 하우징의 하부 흡기구(8812c) 주위에 구비되는 한 쌍의 환형 리브(8812g)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흡기구(8826)와 하부 흡기구(8812c)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누설없이 필터(883)의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로 각각 진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883)의 상부 개구는 터브(20)의 하면(25)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필터(883)의 하부 개구는 베이스(9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부 개구를 통과하면서 하부 방향으로 기류방향이 전환되고, 하부개구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상부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883)의 내부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883)의 여과재을 통과해 전체적으로 상하방향 및 원주방향에 걸쳐 균등하게 도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필터(883)의 내주면(8831)으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여과되어 필터(883)의 외주면(8832)을 통과하면서 배출되고, 배출된 즉시 유동방향이 전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883)의 외주면(8832)을 통과한 여과공기는 필터 하우징(881)의 바닥면(8812e)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팬 하우징(82)의 하면(824)을 향하도록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팬 하우징(82)의 하면(824)은 필터(883)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바닥면(8812e)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팬하우징(82)의 하면(824)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필터(883)를 통과한 공기는 하부 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을 향해 유동하게 되고, 팬하우징(82)의 하면(824)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필터(883)를 통과한 공기는 상부 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824)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동경로를 통해 팬 하우징(82)의 내부로 도입된 여과공기는 팬에 의해서 가속된 후 배기덕트(822)를 거쳐 하우징 커넥터(87) 및 히터하우징(81)의 내부공간으로 도입되면서 건조풍 기류(F)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급수장치(1110), 메모리(1120), 도어자동개방모듈(352), 센서부(1130), 스피커(1140), 표시부(33), 버튼부(34), 세척장치(1150), 건조풍 공급부(80), 및 프로세서(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자동개방모듈(352)는 구동 모터(35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부(1130)는 제1 메인센서(1131), 제2 메인센서(1132), 및 서브센서(11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1150)는 세척펌프(45), 제1 노즐(61), 및 제2 노즐(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풍 공급부(80)는 송풍 모터(89), 히터(84), 및 온도 센서(8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100)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식기를 건조하는 행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 중에 히터(84)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히터(84)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식기 세척기(100)의 구성 요소들이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급수 장치(1110)는 식기 세척기(1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장치(1110)는 외부수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급수관(43)과, 급수관(43)에 형성되는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120)는 식기 세척기(100)의 각 행정 별로 운전 조건 및 시간 조건 등에 관한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0)는 도어자동개방모듈(352), 표시부(33), 세척장치(1150), 센서부(1130), 및 건조풍 공급부(80)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120)는 식기 세척기(100)의 각 행정(또는 동작 과정)(예: 세척 과정, 헹굼 과정, 추가 헹굼 과정, 가열 헹굼 과정, 및 건조 과정 등)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20)는 이러한 각 행정(또는 동작 과정)에 기반하여 식기 세척기(100)가 동작되도록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1120)는 식기 세척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120)에는 식기 세척기(100)의 행정(예: 세척 과정, 헹굼 과정, 추가 헹굼 과정, 가열 헹굼 과정, 및 건조 과정 등)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각 행정에 따른 운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각 행정에 따른 동작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 과정은 열풍을 공급하여 식기를 건조하는 열풍 건조, 도어를 오픈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식기를 건조하는 도어 열림 열풍 건조, 도어를 오픈하여 식기를 건조하는 도어 오픈 건조, 및 응축 건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1120)는 이러한 열풍 건조, 도어 열림 열풍 건조, 도어 오픈 건조, 및 응축 건조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및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1120)는 식기 세척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그램은 식기 세척기(100)의 행정이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는지 식별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30)를 개방하고 히터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식기 세척기(100)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미만인 경우, 히터(84)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84)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식기 세척기(100)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히터(84)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600초이고, 상기 제1 임계 범위는 111도 내지 114도이고, 상기 제2 임계 범위는 117도 내지 120도 일 수 있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미리 결정된 시간, 제1 임계 범위, 및 제2 임계 범위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60)에 의해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프로세서(1160)로부터 도어(30)의 개방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전기적으로 구동되어 도어(30)를 회전식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353)와, 구동 모터(353)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고 회전 구동력을 직선왕복 구동력으로 변환하는 감속 기어부와, 직선왕복 구동력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푸쉬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1130)는 도어(30)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제1 메인센서(1131), 제2 메인센서(1132), 및 서브 센서(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30)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센서(741) 및 상기 제2 센서(742)는 도어(30)의 상면과 맞닿은 식기 세척기(100)의 본체의 접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인센서(1131) 및 제2 메인센서(1132)는, 도어(30)가 닫힘위치에 있을 때 온(ON)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고, 도어(30)가 닫힘 위치를 이탈했을 때 오프(OFF)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스위치에는 도어(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눌림 상태가 유지되고, 도어(30)가 닫힘 위치를 이탈했을 때 눌림 상태가 해제되는 푸쉬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의 내부에는 푸쉬 버튼의 눌림 여부를 감지하여 온(ON) 신호 또는 오프(OFF) 신호를 포함하는 전기적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전기적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메인센서(1131)와 제2 메인센서(1132)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한 기능 고장이 발생한 경우, 또는 도어(30)가 불완전하게 개방되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도, 프로세서(1160)는 이러한 제1 메인센서(1131)와 제2 메인센서(11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정확하게 도어(30)의 닫힘 상태 또는 개방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센서(1133)는 도어(30)가 강제 열림 감지위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브 센서(1133)는 도어(30)의 위치가 닫힘 위치와 강제 열림 감지위치 사이가 되는 경우에는 온(ON) 신호를 출력하고, 도어(30)의 위치가 강제 열림 감지위치에 도달하면 오프(OFF)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직접적으로 도어(30)에 접촉하여 도어(30)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메인센서(1131)와 제2 메인센서(1132)와는 다르게 서브센서(1133)는 간접적으로 도어(30)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34)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을 온/오프(ON/OFF)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4)는 전원버튼 및 선택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부(34)를 통해서 프로세서(116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신호(예: 전원 온(ON) 신호, 전원 오프(OFF) 신호), 및 행정선택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1140)는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 상태, 작동 시간 및 세척 완료 여부 등에 관한 알람을 음성 또는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140)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은 사용자가 도어(30)를 강제로 열거나 또는 닫은 경우에 따른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피커(1140)는 행정의 각 과정, 센서(예: 제1 메인센서(1131), 제2 메인 센서(1132), 서브 센서(1133), 온도 센서(86))의 활성 또는 비활성, 상기 행정의 일시 정지, 상기 행정의 시작 또는 재시작, 및 도어(30)의 열림 또는 닫힘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140)는 프로세서(1160)에 의해 식기 세척기(100)의 다양한 동작에 관한 서로 다른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장치(1150)는 세척펌프(45)를 통해 세척수를 제1 노즐(61) 및 제2 노즐(62)로 공급하여 세척수가 제1 노즐(61) 및 제2 노즐(62)을 통해 분사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세척장치(1150)는 식기세척기(10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1150)는 섬프(41)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수관(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150)는 상기 배수관(44)에 형성된 배수유로 상에 배치되어 섬프(41) 내의 세척수를 배수모터(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풍 공급부(80)는 송풍 모터(89), 히터(84) 및 온도센서(8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어(3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와 히터(84)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여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거나, 히터(84)에 대한 전력공급은 차단하고 송풍 모터(89)만 작동시켜 저온의 건조풍을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60)는 고온 건조풍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적정 온도의 건조풍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 및 과열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온도 센서(86)의 출력 신호(예: 히터(84)의 온도를 감지한 신호)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33)는 표시 패널, 발광 소자 및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터치 감지 센서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식기 세척기(100)의 동작 전반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 소자는 일시 정지의 사용 가능 또는 사용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감지 센서는 식기 세척기(100)의 행정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메모리(112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120)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11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부(3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내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공지능에 대한 알고리즘은 상기 프로세서(1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은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프로그램으로서 다양한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 인지, 추론, 판단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의 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식기 세척기(100)의 고내에 존재하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예약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예약 동작은 식기 세척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처리 과정과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의 행정이 건조 과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면, 송풍 모터(89)를 온(ON) 시키고, 상기 송풍 모터(89)의 온(ON)에 기반하여, 송풍 팬(825)이 제1 시간(예: 6초) 동안 동작되지 않으면 실패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의 행정이 건조 과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기 직전에, 송풍 모터(89)를 온(ON) 시키고, 상기 송풍 모터(89)의 온(ON)에 기반하여, 송풍 팬(825)이 제1 시간(예: 6초) 동안 동작되지 않으면 실패 횟수를 카운팅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카운팅된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예: 3회) 보다 이상이면, 상기 송풍 모터(89) 및 상기 송풍 팬(825)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송풍 모터(89) 및 상기 송풍 팬(825)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에 대한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33) 및 스피커(1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송풍 모터(89) 및 상기 송풍 팬(825)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센서(86)의 오픈(OPEN) 또는 쇼트(SHORT)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온도 센서(86)의 오픈(OPEN) 또는 쇼트(SHORT) 상태가 일정 시간(예: 10초) 보다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86)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온도 센서(86)의 고장에 대한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33) 및 스피커(1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1 메인 센서(1131), 제2 메인 센서(1132), 및 서브 센서(1133)를 통해 도어(30)가 건조 과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열리는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닫히는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열리는지(즉, 자동으로 열리는 것 보다 더 개방되도록 열리는 경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1 메인 센서(1131), 제2 메인 센서(1132)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로 식별되고, 서브 센서(1133)가 온(ON)으로 식별되면, 상기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기 위해 상기 도어(30)가 자동으로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도어(30)가 자동으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건조 과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 모두 오프(OFF)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도어(30)가 강제로 닫힌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닫힌 도어(30)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도어(30)의 자동 개방 이후 일정 시간(예: 3초)이 지나면, 상기 도어(30)의 손잡이를 자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되고, 상기 서브 센서(1133)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도어(30)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개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에 의해 도어(30)가 강제로 개방되는 강제 개방은 건조 과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의해 도어(30)가 자동으로 열리는 자동 개방 보다, 도어(30)가 본체(10)로부터 더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30)가 강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84)를 오프(OFF) 시키고, 식기 세척기(100)가 냉풍 건조 과정으로 동작되도록 송풍 모터(89), 히터(84) 및 송풍 팬(82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냉풍 건조 과정으로 동작되도록 송풍 모터(89)를 동작시키고, 히터(84)를 오프시키고, 송풍 팬(825)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팬(825)와 온도 센서(86)가 정상으로 동작되고, 도어(30)가 건조 과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열린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를 동작시켜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면 온도 센서(86)를 통해 히터(84)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과 미리 결정된 시간(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 동안 식기 세척기(100)를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0초) 보다 미만인 경우, 히터(84)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예: 111도 내지 114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84)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이 아니면, 온도 센서(86)를 통해 측정한 히터(84)의 온도와 제1 온도(예: 111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예: 111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84)를 온(ON)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예: 111도) 보다 이하가 아니면, 상기 히터(84)의 온도와 상기 제1 온도(예: 111도) 보다 높은 제2 온도(예: 114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이 아니면,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예: 111도 내지 114도) 내에 유지되도록 히터(84)의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예: 117도 내지 120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84)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84)의 온도와 제3 온도(예: 117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상기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상기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이하가 아니면, 상기 히터(84)의 온도와 상기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높은 제4 온도(예: 120도)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3 온도(예: 117도)는 상기 제2 온도(예: 114도) 보다 높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상기 제4 온도(예: 120도) 보다 이상이 아니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상기 제4 온도(예: 120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84)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84)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예: 117도 내지 120도) 내에 유지되도록 히터(84)의 가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시간과 목표 시간(예: 600초)의 비교에 기반하여, 히터(84)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 범위(예: 111도 내지 114도) 또는 상기 제2 임계 범위(예: 117도 내지 120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84)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예: 1200초)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과의 차이가 일정 시간(예: 300초) 이내이면, 상기 히터(84)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끝나기 일정 시간(예: 300초) 전에 송풍 모터(89)와 송풍 팬(825)를 온(ON) 시키고, 히터(84)를 오프(OFF) 시킴으로써, 식기 세척기(100)의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온에 따른 사용자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예: 1200초)(즉,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보다 이상인 경우,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기 세척기(100)가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 모터와 온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풍 모터와 온도 센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이하에서 설명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섬프(41) 내의 잔수를 배수관(44)을 통해 배출시킨 후,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워터 자켓 내의 잔수를 배수관(44)을 통해 배출시킨 후,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시작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00)는 프로세서(1160)의 제어 하에, 노즐(61, 6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 공간(21) 내의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 과정, 세척된 세척을 세척수를 이용하여 헹구는 헹굼 과정, 헹굼 처리된 식기를 추가적으로 헹구는 추가 헹굼 과정, 고온의 세척수로 식기를 헹구는 가열 헹굼 과정, 및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 순서로 행정을 진행시킨다.
상기 건조 과정은 열풍을 공급하여 식기를 건조하는 열풍 건조, 도어를 오픈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식기를 건조하는 도어 열림 열풍 건조, 도어를 오픈하여 식기를 건조하는 도어 오픈 건조, 및 응축 건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응축 건조 과정 이후에 식기 세척기(100)를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섬프(41) 내의 잔수를 배수관(44)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시작되기 전에 워터 자켓 내의 잔수를 배수관(44)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시작되면,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따른 진행 시간, 초기 온도, 히터(84)의 연속 동작 시간, 송풍 모터(89)의 연속 동작 시간을 0으로 세팅할 수 있다. 이 때, 히터(84)의 검사는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따른 진행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하고, 온도 센서(86)를 온(ON) 시키고, 부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온(ON) 시킬 수 있다(S1212). 상기 프로세서(1160)는 부하 상태의 검사가 완료되면 송풍 모터(89)를 온(ON) 시키고, 송풍 모터(89)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동작하지 않는지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1 시간 동안 송풍 팬이 동작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S1214). 상기 프로세서(1160)는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예: 6초) 동안 송풍 팬(825)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예: 홀 센서)를 통해 송풍 팬(825)이 회전하는지 또는 회전하지 않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 팬(825)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와 송풍 팬(82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의 동작이 실패 횟수를 1 증가시킨다(S1216). 송풍 팬(825)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의 동작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 실패 횟수를 1 증가 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동작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218).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팬(825)이 회전하지 않음에 따라 누적된 동작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예: 3회)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220). 상기 프로세서(1160)는 누적된 동작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예: 3회) 이상이 아니면,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오프(OFF)한 시간이 제2 시간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222).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킨 후, 타이머(1161)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킨 후, 송풍 모터를 오프(OFF)한 시간이 제2 시간(예: 5초) 보다 이상인지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224).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오프(OFF)한 시간이 제2 시간(예: 5초)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과정(S1212)으로 회귀하여 송풍 모터(89)를 온(ON)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의 동작이 실패한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예: 3회)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과정들(S1212 내지 S1222)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의 에러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S1226).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218)에서 송풍 모터(89)의 동작이 실패한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예: 3회)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송풍 모터(89)의 동작이 실패한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예: 3회)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송풍 모터(89)에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러 메시지를 스피커(1140) 및 표시부(33)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온도 센서의 오픈(OPEN) 및 쇼트(SHORT)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228).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214)에서 송풍 팬(825)의 회전이 감지되면, 온도 센서(8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동작하지 않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온도 센서(86)가 일정 시간(예: 10초) 동안 오픈(OPEN)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쇼트(SHORT) 상태로 유지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온도 센서가 정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1230). 상기 온도 센서(86)가 연속적으로 일정 시간(예: 10초) 보다 이상의 시간 동안 오픈(OPEN) 상태로 유지되거나, 또는 쇼트(SHORT)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60)는 온도 센서(86)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1160)는 모든 부하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온도 센서의 에러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S1232).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230)에서 온도 센서(86)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온도 센서(86)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온도 센서(86)에 에러가 발생되었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에러 메시지를 스피커(1140) 및 표시부(33)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230)에서 온도 센서(86)가 정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도 13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열림을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열림을 식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1 메인 센서가 오프(OFF) 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310).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 12의 상기 과정(S1230)에서 온도 센서(86)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메인 센서(1131)가 오프(OFF) 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2 메인 센서가 오프(OFF) 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312). 제1 메인 센서(1131)가 오프(OFF)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2 메인 센서(1132)가 오프(OFF) 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가 오프(OFF)인 것은 도어(30)가 본체(10)로부터 개방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가 오프(OFF)가 아닌 것(즉, 온(ON))은 도어(30)가 본체(10)로부터 개방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은 도어(30)를 오픈한 상태에서 식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인지, 또는 오프(OFF)가 아닌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30)를 인위적으로 닫았는지, 또는 개방시켰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과정(S1310)이 수행되기 전에, 도어(30)는 이미 오픈된 상태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14). 상기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가 모두 오프(OFF)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사용자가 도어(30)를 강제로 닫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스피커(1140)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부(33)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접시 데우기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가 접시 데우기 과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송풍 모터(89)를 온(ON)으로 동작시키고, 히터(84)를 오프(OFF)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S1316).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가 모두 오프(OFF)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도어(30)를 강제도 닫은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도어(30)를 자동으로 일정 부분 개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이 제3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30)를 개방시킨 후, 타이머(1161)를 동작시켜 도어(30)가 개방된 시간이 일정 시간(예: 3초) 이상 지속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의 손잡이를 오픈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30)가 개방된 시간이 일정 시간(예: 3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도어(30)의 손잡이를 자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322).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30)가 개방된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0)가 개방된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 12의 상기 과정(S1212)으로 회귀하여 도 12의 이하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324). 도어(30)의 손잡이를 자동으로 오픈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상기 목표 시간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예: 1200초)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312)에서 제2 메인 센서가 오프(OFF)인 것으로 식별되면, 서브 센서(1133)가 온(ON)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326). 상기 프로세서(1160)는 서브 센서(1133)가 온(ON)인지, 또는 오프(OFF) 인지에 따라, 도어(30)가 문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열린 것인지, 또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도어(30)를 강제로 개방시킨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서브 센서(1133)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가 수동으로 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28). 상기 프로세서(1160)는 제1 메인 센서(1131) 및 제2 메인 센서(1132)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이고, 서브 센서(1133)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30)가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열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가 수동으로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스피커(1140)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부(33)로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가 수동으로 열린 것으로 판단되면, 냉풍 건조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서브 센서(1133)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가 수동으로 열린 것으로 판단하고, 냉풍 건조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서브 센서(1133)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도 14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326)에서 서브 센서(1133)가 온(ON)인 것으로 식별되면,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에서 일정 시간을 차감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332). 상기 프로세서(1160)는 서브 센서(1133)가 온(ON)인 것으로 식별되면,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예: 1200초)에서 제3 시간(예: 300초)를 차감한 시간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의 냉각을 위해 제3 시간(예: 300초) 이전에는 히터(84)를 오프시키고, 송풍 팬(825)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진행 시간이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예: 1200초)에서 제3 시간(예: 300초)를 차감한 시간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도 14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에서 일정 시간을 차감한 시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30)가 자동으로 열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34). 상기 프로세서(1160)는 서브 센서(1133)가 온(ON)인 것으로 식별되면, 도어(3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으로 열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S1336).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동작되도록 세부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현재 시각을 판단하여, 야간(예: 저녁 9시 이후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야간 조용 코스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설정된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1 RPM(revolutions per minute)(예: 31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S1338).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세부 조건을 판단하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야간 조용 코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1 RPM(예: 31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현재 시각이 야간(예: 저녁 9시 이후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인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1 RPM(예: 31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2 RPM(예: 36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S1340).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세부 조건을 판단하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야간 조용 코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2 RPM(예: 36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현재 시각이 야간(예: 저녁 9시 이후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이 아닌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2 RPM(예: 36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들(S1338, S1340)에서의 RPM으로 송풍 모터(89)를 동작시키고, 히터(84)를 동작시키는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들(S1338, S1340)에서의 RPM으로 송풍 모터(89)를 동작시키고, 도 15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풍 건조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풍 건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의 과정들은 도 13의 과정(S1332, 또는 S13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냉풍 건조 과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S1412).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동작되도록 세부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현재 시각을 판단하여, 야간(예: 저녁 9시 이후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야간 조용 코스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설정된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1 RPM(예: 31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S1414).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세부 조건을 판단하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야간 조용 코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1 RPM(예: 31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현재 시각이 야간(예: 저녁 9시 이후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인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1 RPM(예: 31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야간 조용 코스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2 RPM(예: 36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S1416).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세부 조건을 판단하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야간 조용 코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2 RPM(예: 36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현재 시각이 야간(예: 저녁 9시 이후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이 아닌 경우, 송풍 모터(89)를 제2 RPM(예: 3600 RPM)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418).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를 제1 RPM(예: 3100 RPM) 또는 제2 RPM(예: 3600 RPM)으로 동작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히터(84)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오프(OFF) 시킨 후, 타이머(1161)를 동작시킬 수 있다(S14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422).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오프(OFF) 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84)를 오프(OFF) 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예: 1200초)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 12의 상기 과정(S1212)으로 회귀하여 도 12의 이하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424).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예: 1200초)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동작시킬 수 있다(S1510).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 13에서 도어(3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오픈된 것으로 식별되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따른 히터(84) 동작 로직이 시작되면, 히터(84)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면 히터(84)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 100도)에 대응되도록 히터를 빠르게 가열하고, 히터(84)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 100)에 도달하는 경우, 히터(84)를 서서히 가열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는 히터(84)를 고온으로 가열한 후, 가열된 히터(84)를 식히는 것 보다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진행 시간이 일정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512).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과 제4 시간(예: 600초)을 비교하여,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이 제4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의 온도가 제1 온도 보다 이하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514).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1 온도(예: 111도) 보다 이하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1 온도(예: 111도) 보다 이하인 것으로 식별되면, 과정(S1520)에서 히터를 온(ON)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의 온도가 제2 온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516).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1 온도(예: 111도) 보다 이하가 아닌인 것으로 식별되면, 측정된 히터(84)의 온도와 제2 온도(예: 114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2 온도(예: 114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과정(S1520)에서 히터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2 온도(예: 114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를 온(ON)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518).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2 온도(예: 114도)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온(ON) 시킬 수 있다(S1520).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514)에서 히터(84)에서 측정한 온도가 제1 온도(예: 111도) 보다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과정(S1516)에서 히터(84)에서 측정한 온도가 제2 온도(예: 114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를 온(ON)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의 온도가 제3 온도 보다 이하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522).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512)에서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이하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이하인 것으로 식별되면, 과정(S1528)에서 히터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이하인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를 온(ON)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의 온도가 제4 온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524).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이하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의 온도가 제4 온도(예: 120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4 온도(예: 120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과정(S1528)에서 히터를 온(ON)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4 온도(예: 120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를 온(ON)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526). 상기 프로세서(1160)는 측정된 히터(84)의 온도가 제4 온도(예: 120도)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를 온(ON) 시킬 수 있다(S1528).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522)에서 히터(84)에서 측정한 온도가 제3 온도(예: 117도) 보다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과정(S1524)에서 히터(84)에서 측정한 온도가 제4 온도(예: 114도)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히터(84)를 온(ON)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530).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518)에서 히터(84)를 오프(OFF) 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520)에서 히터(84)를 온(ON) 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526)에서 히터(84)를 오프(OFF) 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528)에서 히터(84)를 온(ON) 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터(84)를 온(ON) 시킨 후,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예: 1200초)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 12의 상기 과정(S1212)으로 회귀하여 도 12의 이하의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S1532). 진행 시간이 목표 시간(예: 1200초)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송풍 모터(89)를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기 세척기(100)는 열풍 건조(예: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서 히터(84)의 히터의 비정상 과열(예: 오버 슛)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84)의 가열 세기를 히터(84)의 온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예: 강/중/약) 함으로써, 열풍 토출구의 고온으로 인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은 설정되거나, 또는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프로세서(1160)는 식기 세척기(100) 내의 잔수(예: 워터 재킷 내의 잔수)를 배수관(44)를 통해 미리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30)를 자동으로 오픈한 후,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따른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3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따른 로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히터(84)의 최초 동작, 또는 행정 중에 히터(84)의 비정상 과열(예: 오버 슛)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84)가 최초 가열 시 과도하게 작동하여 목표 온도보다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공기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S1610).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 13에서 도어(30)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오픈된 것으로 식별되고,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따른 히터(84) 동작 로직이 시작되면, 히터(84)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의 동작 시간이 일정 시간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S1612).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과 제6 시간(예: 600초)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이 제6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의 동작 시간이 일정 시간을 보다 이상이 아니면, 히터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S1614). 상기 프로세서(1160)는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이 제6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온도 센서(86)를 통해 히터(84)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의 온도가 제1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S1616).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의 온도가 제1 범위의 온도(예: 111도 내지 114도) 이내로 유지되도록 히터(84)의 가열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의 동작 시간이 일정 시간을 보다 이상이 아니면, 히터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S1618). 상기 프로세서(1160)는 상기 과정(S1612)에서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예: 600초) 보다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면, 온도 센서(86)를 통해 히터(84)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의 온도가 제2 범위 이내로 유지되도록 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S1620). 상기 프로세서(1160)는 히터(84)의 온도가 제2 범위의 온도(예: 117도 내지 120도) 이내로 유지되도록 히터(84)의 가열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수치로 표현되는 온도, 및 시간은 단지 실시 예이며, 본 개시에서 기재된 온도 및 시간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실시 예는 기재된 온도 및 시간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개시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33: 표시부 34: 버튼부
61: 제1 노즐 62: 제2 노즐
80: 건조풍 공급부 84: 히터
86: 온도 센서 89: 송풍 모터
100: 식기 세척기 352: 도어자동개방모듈
353: 구동 모터 1110: 급수 장치
1120: 메모리 1130: 센서부
1131: 제1 메인 센서 1132: 제2 메인 센서
1133: 서브 센서 1140: 스피커
1150: 세척장치 1160: 프로세서

Claims (20)

  1.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내부에 세척 공간이 구비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
    송풍 모터, 송풍 팬, 히터 및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건조풍 공급부;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도록, 상기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동작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고,
    상기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상기 동작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동작 시간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 범위 또는 상기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동작 시간이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목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 모터를 오프(OFF) 시키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면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히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동작 시간과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비교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동작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이 아니면, 상기 히터의 온도와 제1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보다 이하가 아니면, 상기 히터의 온도와 상기 제1 온도 보다 높은 제2 온도를 비교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2 온도 보다 이상이 아니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2 온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키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동작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의 온도와 제3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3 온도 보다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3 온도 보다 이하가 아니면, 상기 히터의 온도와 상기 제3 온도 보다 높은 제4 온도를 비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3 온도는 상기 제2 온도 보다 높은 식기 세척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4 온도 보다 이상이 아니면, 상기 히터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4 온도 보다 이상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키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동작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상기 동작 시간과의 차이가 일정 시간 이내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키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10. 제1 항에 있어서,
    표시부; 및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되면, 상기 송풍 모터를 온(ON) 시키고,
    상기 송풍 모터의 온(ON)에 기반하여, 상기 송풍 팬이 제1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으면 실패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 보다 이상이면, 상기 송풍 모터 및 상기 송풍 팬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송풍 모터 및 상기 송풍 팬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에 대한 에러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 센서의 오픈(OPEN) 또는 쇼트(SHORT)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오픈(OPEN) 또는 쇼트(SHORT) 상태가 제2 시간 보다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고장에 대한 에러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제1 메인 센서, 제2 메인 센서, 및 서브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인 센서, 및 상기 제2 메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OFF), 및 상기 서브 센서의 온(ON)이 식별되면, 상기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기 위해 상기 도어가 자동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가 자동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을 시작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인 센서, 및 상기 제2 메인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오프(OFF)되고, 상기 서브 센서가 온(ON)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도어가 강제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강제 개방은 상기 자동 개방 보다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로부터 더 개방된 식기 세척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어가 강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키고,
    상기 식기 세척기가 냉풍 건조 과정으로 동작되도록 상기 송풍 모터 및 상기 송풍 팬을 제어하도록 설정된 식기 세척기.
  16.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어를 개방하고 히터를 동작시키는 과정;
    상기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기반한 동작 시간과 진행 시간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 범위 또는 상기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의 온도가 상기 제1 임계 범위 또는 상기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기 위해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에 설정된 시간과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한 시간과의 차이가 일정 시간 이내이면, 상기 히터를 오프(OFF)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고 히터를 동작시키는 과정은,
    송풍 모터를 온(ON) 시키는 과정;
    상기 송풍 모터의 온(ON)에 기반하여, 상기 송풍 팬이 제1 시간 동안 동작되지 않으면 실패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
    상기 카운팅된 실패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 보다 이상이면, 상기 송풍 모터 및 송풍 팬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송풍 모터 및 상기 송풍 팬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에 대한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0.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에 있어서,
    도어를 개방하고 히터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들,
    상기 식기 세척기가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1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식기 세척기가 상기 도어 열림 건조 과정으로 진입하여 동작하는 시간이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히터의 온도가 제2 임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KR1020220028409A 2022-03-04 2022-03-04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KR20230131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09A KR20230131035A (ko) 2022-03-04 2022-03-04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PCT/KR2023/002648 WO2023167470A1 (ko) 2022-03-04 2023-02-24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09A KR20230131035A (ko) 2022-03-04 2022-03-04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35A true KR20230131035A (ko) 2023-09-12

Family

ID=8788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409A KR20230131035A (ko) 2022-03-04 2022-03-04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1035A (ko)
WO (1) WO20231674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422A (ko) 2020-05-12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721B1 (ko) * 2005-12-06 2013-01-09 주식회사 동양 식기세척기의 건조시간 제어방법
KR102496333B1 (ko) * 2016-06-30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2486B1 (ko) * 2019-11-28 2022-04-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20210274993A1 (en) * 2020-03-04 2021-09-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s and open-door drying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422A (ko) 2020-05-12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470A1 (ko)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525B2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27175B1 (ko) 식기 세척 바구니를 회전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를 위한 식기 세척 바구니
US7686890B2 (en) Dishwasher control system
EP4238472A1 (en) Dishwasher providing notification for replacing filter and method of providing a notification for replacing a filter
US20060054198A1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026929A1 (en) Rapid heat system for a multi-tub dishwasher
ES2232911T3 (es) Sistema automatico de alimentacion de calor para un lavaplatos.
CN101139793A (zh) 干燥器的堵塞检测系统
CN107260097B (zh) 清洗机
EP1415588A2 (en) Dishwasher
KR20230131035A (ko) 식기 세척기 및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EP4119027A1 (en) Dishwasher
EP4205624A1 (en) Dishwasher
WO2020160695A1 (zh) 用于确定洗碗机器具流体循环系统的操作模式的方法
EP4119026A1 (en) Dishwasher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100572777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과다 집수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19516158U (zh) 洗碗机
CN102793523A (zh) 餐具清洗机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9884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3A (ko) 식기세척기
KR20230130906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