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449A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449A
KR20230009449A KR1020227043043A KR20227043043A KR20230009449A KR 20230009449 A KR20230009449 A KR 20230009449A KR 1020227043043 A KR1020227043043 A KR 1020227043043A KR 20227043043 A KR20227043043 A KR 20227043043A KR 20230009449 A KR20230009449 A KR 2023000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lution
chinese medicine
medici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델리앙 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한디안 파머슈티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한디안 파머슈티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한디안 파머슈티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0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2Agastache, e.g. giant hyss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8Araceae (Arum family), e.g. caladium, calla lily or skunk cabb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04Preparation or injection of sample to be analysed
    • G01N30/06Prepa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90Plate chromatography, e.g. thin layer or paper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90Plate chromatography, e.g. thin layer or paper chromatography
    • G01N30/95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ignal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중약 조성물은 중량부 기준으로, 주로 진피 250-400 중량부, 창출 100-200 중량부, 후박 100-200 중량부, 감초 200-300 중량부, 곽향 200-300 중량부, 석창포 200-300 중량부, 대추 250-330 중량부 및 생강 100-200 중량부의 배합비의 원료로 제조된다. 본 개시는 또한 상기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중약 조성물에서의 헤스페리딘의 함량 및 헤스페리딘의 전이율을 모두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각 원료성분은 배합한 후 부작용이 적고, 한습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에 아주 좋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
본 개시는 중약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한습증 치료용 중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개시는 2020년 05월 08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 번호가 CN202010384148.5이고, 발명 명칭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개시에 포함된다.
한역(寒疫)은 병사(病邪)의 성질에 따라, "계절성 한역(時行寒疫)"과 "온역 한역(
Figure pct00001
)"으로 나눈다. 온역 한역은 음, 한, 독과 악의 기운에 의해 유행성, 전염성이 강한 외감 질병이다. 온역 한역은 한온역(
Figure pct00002
), 한습역(寒濕疫), 한조습역(寒燥濕疫), 음독역(陰毒疫) 등의 4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한습역(寒濕疫)은 비교적 흔하며, 임상적 증상은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두통(无汗頭痛), 지체골절산통(肢體骨節酸痛), 입안이 쓰고 약간 갈증이 나며, 설태가 얇고 희고 약간 기름지고, 부맥 또는 부긴맥으로 주로 한사와 예습이 섞여(寒邪夾雜穢濕) 발생하며, "산한제습(散寒除濕), 피예화탁(避穢化輪)"을 일반적인 치료 원칙으로 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이전에 인체에서 나타난 적이 없는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 균주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인간의 일반적인 증상은 호흡기 증상, 발열, 기침, 숨가쁨 및 호흡 곤란 등이 있다. 더 심각한 병례의 경우, 감염은 폐렴,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또는 신부전, 심지어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에 대한 특이성 치료 방법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확진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환자 중, 많은 환자가 설체(舌體)가 크고 붓고, 치흔이 있으며, 설태가 두껍고 기름지며, 심지어 부태(腐苔)가 생기는 환자도 많으며, 모두 "습"의 특성을 보인다. 2019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의 임상 증상과 결합하여, 이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은 "습"이 위주이고, 한 또는 열을 겸한다. 따라서, 한습증 치료,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를 위한 중약 조성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개시를 특별히 제출한다.
본 개시의 첫 번째 목적은 한습증,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는 중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두 번째 목적은 중약 조성물의 유효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있고, 생체 이용률이 높으며,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특별한 기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산업적 생산에 적합한 상기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세 번째 목적은 한습증,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중약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방안을 사용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에 있어서, 중량부 기준으로, 주로 진피 250-400 중량부, 창출 100-200 중량부, 후박 100-200 중량부, 감초 200-300 중량부, 곽향 200-300 중량부, 석창포 200-300 중량부, 대추 250-330 중량부 및 생강 100-200 중량부의 배합비의 원료로 제조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중약 조성물은 주로 진피 270-350 중량부, 창출 130-175 중량부, 후박130-175 중량부, 감초 200-260 중량부, 곽향 200-260 중량부, 석창포 200-260 중량부, 대추 280-330 중량부 및 생강 150-180 중량부의 배합비의 원료로 제조된다.
진피: 운향과 식물인 귤과 그 재배 변종의 건조하고 성숙한 과일 껍질이다. 향이 좋고, 성질이 따뜻하며, 폐와 비의 경락에 작용한다. 이기건비(理氣健脾), 조습화담(燥濕化痰)의 효과가 있다. 진피의 주요 성분은 주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휘발성 오일류, 리모노이드계, 알칼로이드계 및 미량 원소(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리튬, 철, 아연 또는 망간 등) 등이다.
본 개시에서, 진피의 전형적인 함량은 250 중량부, 270 중량부, 290 중량부, 310 중량부, 330 중량부, 350 중량부, 370 중량부, 390 중량부 또는 40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창출: 국화과 식물인 마오창출 또는 북창출의 건조된 뿌리 줄기이다. 맛은 시고 쓰며, 및 또는 성질이 따뜻하다. 비, 위 및/또는 간의 경락에 작용한다. 조습건비(燥濕健脾), 거풍산한(祛風散寒), 명목(明目)의 효과가 있다. 임상에서, 습저중초(濕阻中焦), 완복창만(脘腹郞滿), 설사(泄寫), 수종(水腫), 각기(脚氣), 풍습비통(風濕痺痛), 풍한감기(風寒感冒), 야맹(夜盲), 안목혼삽(眼目昏澁)의 치료에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창출이 항염 항균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창출은 주로 일련의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s), 폴리에틸렌 알킨(polyethylene alkynes) 및 소량의 페놀계 및/또는 유기산계 성분으로 구성된 휘발성 오일을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세스퀴테르펜락톤, 세스퀴테르펜 배당체(sesquiterpene glycoside), 다당류 및 소량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중의 주요 활성성분은 세스퀴테르펜계 및 폴리아세틸렌 알킨 성분이다.
본 개시에서, 창출의 전형적인 함량은 100 중량부, 110 중량부, 120 중량부, 130 중량부, 140 중량부, 150 중량부, 160 중량부, 170 중량부, 180 중량부, 190 중량부 또는 20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박: 목련과 식물인 후박 또는 요협후박의 건조된 껍질, 뿌리 껍질 및 줄기 껍질이다. 쓴맛, 신맛이 나며 성질이 따뜻하다. 비, 위, 폐 및/또는 대장의 경락에 작용한다. 조습소담(燥濕消痰), 하기제만(下氣除滿)의 효과가 있다. 임상에서, 습체상중(濕滯傷中), 완비토사(脘
Figure pct00003
吐克), 식적기체(食積氣滯), 복창변비(腹腸便秘), 담음천해(痰飮喘咳)의 치료에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후박이 항바이러스, 항균 및 진통항염 등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후박은 주로 리그난(lignans), 알칼로이드, 페닐에타노이드 배당체, 페놀성 배당체 및/또는 휘발성 오일 성분을 함유한다.
본 개시에서, 후박의 전형적인 함량은 100 중량부, 110 중량부, 120 중량부, 130 중량부, 140 중량부, 150 중량부, 160 중량부, 170 중량부, 180 중량부, 190 중량부 또는 20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초: 콩과 식물인 감초, 창과감초 또는 광과감초의 건조된 뿌리 및 뿌리 줄기이다. 감평(甘平)하고, 심장, 폐, 비, 위의 경락에 작용한다.
Figure pct00004
임상에서, 비위허약(脾胃虛弱), 권태핍력(倦怠乏力), 심계기단(心悸氣短), 해수담다(咳嗽痰多), 완복(脘腹) 및/또는 사지연급동통옹종창독(
Figure pct00005
), 및 약물 독성(毒性), 열성(烈性)의 완화의 치료에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감초가 항염 항균 및/또는 거담지해 등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감초의 화학성분은 주로 트리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및 감초 다당류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감초의 전형적인 함량은 200 중량부, 210 중량부, 220 중량부, 230 중량부, 240 중량부, 250 중량부, 260 중량부, 270 중량부, 280 중량부, 290 중량부 또는 30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곽향: 순형과 식물인 광곽향의 건조한 지상부분이다. 신맛이 나며,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 비, 위 및/또는 폐의 경락에 작용한다. 방향화탁(芳香化濁), 구토를 멎게 하고, 발표해서(髮表解暑) 등의 효과가 있다. 임상에서, 습탁중조(濕濁中阻), 완비구토(脘
Figure pct00006
嘔吐), 서습표증(暑濕表證), 습온초기(濕溫初起), 발열권태(髮熱倦怠), 흉민불서(胸悶不舒), 한습폐서(寒濕閉暑), 복통토사(寒濕閉暑), 비연두통(鼻盜淵痛)의 치료에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곽향이 항바이러스, 항균 및 진통항염 등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곽향의 주요 활성성분은 패출리 알코올(Patchouli alcohol) 및 포고스톤(Pogostone)이다.
본 개시에서, 곽향의 전형적인 함량은 200 중량부, 210 중량부, 220 중량부, 230 중량부, 240 중량부, 250 중량부, 260 중량부, 270 중량부, 280 중량부, 290 중량부 또는 30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석창포: 천남성과 식물인 석창포의 건조한 뿌리 줄기이다. 신맛, 쓴맛이 나며, 성질이 따뜻하다. 심장, 위의 경락에 작용한다. 개규할담(開竅豁痰), 성신익지(醒神益智), 화습개위(化濕開胃)의 효과가 있다.
Figure pct00007
실험을 통해, 석창포가 다양한 해경평천(解痙平喘) 성분을 포함하며, 달임제는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장의 평활근의 경련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대 약리학 연구에서, 이의 화학성분은 주로 휘발성 성분과 비휘발성 성분으로 나뉜다. 현재, 휘발성 부분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비휘발성 부분에 대한 연구는 적다. 휘발성 성분은 이미 알려진 성분이 60가지 이상으로 비교적 복잡하며, 주요 구조 유형은 페닐프로파노이드계(간단한 형태의 페닐프로파노이드, 리그난 및 쿠마린계) 및 테르펜계(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디테르펜 및 트리테르펜)계 화합물이다. 비휘발성 성분은 주로 알칼로이드, 알데히드 및 산계, 퀴논 및 케톤계, 스테롤계, 아미노산계 및 당류 등이다.
본 개시에서, 석창포의 전형적인 함량은 200 중량부, 210 중량부, 220 중량부, 230 중량부, 240 중량부, 250 중량부, 260 중량부, 270 중량부, 280 중량부, 290 중량부 또는 30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추: 서리과 식물인 대추의 건조하고 성숙한 과일이다. 달고, 성질이 따뜻하다. 비, 위 및/또는 심장의 경락에 작용한다. 보중익기(補中益氣), 양혈안신(養血安神)의 효과가 있다. 임상에서, 비허식소(脾虛食少), 핍력변당(乏力便
Figure pct00008
), 부인장조(婦人臟躁)의 치료에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대추가 신경억제작용, 간보호작용, 근력증강작용, 항암 항돌연변이, 지질과산화억제작용 등 작용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대추 휘발성 오일의 성분은 주로 디메틸프탈레이트(Dimethyl phthalate), 에틸트리데카노에이트(Ethyl tridecanoate),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Diisobutyl phthalate), 3-히드록시-2-부타논, 푸르푸릴알코올(Furfuryl alcohol), 2-시클로펜텐-1,4-디온, 팔미트산에틸에스테르(Palmitic acid ethyl ester) 및/또는 리놀레산메틸에스테르(Methyl linolenate) 등이다.
본 개시에서, 대추의 전형적인 함량은 250 중량부, 260 중량부, 270 중량부, 280 중량부, 290 중량부, 300 중량부, 310 중량부, 320 중량부 또는 33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강: 생강과 식물의 신선한 뿌리 줄기이다. 신맛이 나고,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 폐, 비 및/또는 위의 경락에 작용한다. 본 제품은 해표산한(解表散寒), 온중지구(溫中止嘔), 화담지해(化痰止咳), 해어해독(解魚蟹毒)의 효과가 있다. 풍한감기(風寒感冒), 위한구토(胄寒嘔吐), 한담해수(寒痰咳嗽), 어해중독(解蟹中毒)의 치료에 사용된다. 실험을 통해, 생강이 신경억제작용, 간보호작용, 근력증강작용, 항암 항돌연변이, 지질과산화억제작용 등 작용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대 연구에 따르면 생강의 주요 성분은 휘발성 오일, 6-진저롤계 및 디페닐헵탄계이다.
본 개시에서, 생강의 전형적인 함량은 100 중량부, 110 중량부, 120 중량부, 130 중량부, 140 중량부, 150 중량부, 160 중량부, 170 중량부, 180 중량부, 190 중량부 또는 200 중량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은, 중량부 기준으로, 주로 진피 340.9중량부, 창출 170.5중량부, 후박 170.5중량부, 감초 255.7중량부, 곽향 255.7중량부, 석창포 255.7중량부, 대추 318.2중량부 및 생강 163.6중량부의 배합비의 원료로 제조된다.
일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은, 일정한 중량부의 보조재료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500-700 중량부의 보조재료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재료는 충전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제는 덱스트린, 가용성 전분 또는 락토스이다.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은 본 분야의 상규적인 기술을 통해 경구액, 과립제, 산제, 점적환제, 캡슐제, 발포제 또는 정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중량 배합비의 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침윤시킨 후 달여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으며,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고 접착제를 투입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각 원료 성분을 중량부 비율에 따라 칭량하여 취하는 단계(1),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회당 0.5시간씩 2회 달여서 추출하고, 달임액을 합하여 얻은 추출액을 여과하여 준비하는 단계(2),
단계(2)의 추출액을 70℃에서 감압농축하여 50℃에서 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인 농축액을 얻는 단계(3),
단계(3)의 농축액을 취하여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 단계(4), 및
단계(4)의 스프레이 파우더를 취하여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5)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에서, 상기 단계(4)의 분무건조 조건은, 입구 온도 125℃, 압력 102.5Mpa, 송풍율(blow) 80%, 유속 20-30/초이다.
다른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중량부 배합비의 원료를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함과 동시에 휘발성 오일을 수집하는 단계;
달임액에서 잔류물을 여과시켜 추출액을 얻고,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 단계;
휘발성 오일에 무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을 포접하여 시클로덱스트린 포접물(clathrate)을 제조하는 단계;
스프레이 파우더 및 휘발성 오일 포접물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증기 증류법에 따라, 2-3회 추출하며 매 회 얻은 추출액을 합하여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증기 증류법에서, 8-15배의 물을 투입하여 휘발성 오일을 추출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안에서, 상기 β-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에서 β-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은 휘발성 오일 중량의 8-12배, 물의 중량은 β-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의 10-20배; 바람직하게는, β-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은 휘발성 오일 중량의 10배, 물의 중량은 β-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의 15배이다.
다른 구체적인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각 원료 성분을 중량부에 따라 칭량하여 취하고, 분쇄하여 굵은 가루로 만드는 단계(a);
8-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함과 동시에 휘발성 오일을 수집하며; 달임액에서 잔류물을 여과시켜 추출액을 얻어 준비하는 단계(b);
단계(b)에서 얻은 추출액을 60℃에서 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일 때까지 감압농축한 농축액을 얻는 단계(c);
단계(c)의 농축액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 단계(d);
단계(b)에서 수집한 휘발성 오일에 무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β-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을 3시간 교반하면서 포접하고, 냉장, 여과시키며, 여과물을 건조시켜 휘발성 오일 포접물을 얻는 단계(e);
단계(d)의 스프레이 파우더 및 단계(e)의 휘발성 오일 포접물에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f)를 포함한다.
나의 바람직한 방안에서, 단계(b)에서, 상기 잔류물에 8-15배의 물을 첨가하여 계속하여 수증기 증류법에 따라 1시간 추출하며, 달임액을 여과시켜 추출액을 얻으며; 2회 얻은 추출액을 합하여 다음 단계에 사용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안에서, 단계(b)에서, 70℃에서 감압농축하며; 단계(c)에서 분무건조 조건은, 공기 유입구 온도 160~180℃, 공기 배출구 온도 80-90℃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안에서, 단계(e)에서, 상기 β-시클로덱스트린린 수용액에서 β-시클로덱스트린린의 중량은 휘발성 오일 중량의 8-12배, 물의 중량은 β-시클로덱스트린린의 중량의 10-20배; 바람직하게는, β-시클로덱스트린린의 중량은 휘발성 오일 중량의 10배, 물의 중량은 β-시클로덱스트린린의 중량의 15배이다.
일 실시방안에서, 본 개시는 헤스페리딘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 및 헤스페리딘의 함량 측정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6-진저롤, 감초 및/또는 마그놀롤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을 더 포함하는 상기 중약 조성물의 품질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방안에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은,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분말 2g을 취하여, 물 25mL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회당 20mL씩 2회 진탕 추출하며 추출액을 합하고, 휘발 건조시키며,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넣어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별도로 헤스페리딘 대조품을 취하여, 메탄올을 첨가하여 포화 용액으로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2-5μL와 대조품 용액 5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20:3:2의 아세트산에틸-메탄올-물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5%의 삼염화알루미늄에탄올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5~10분간 가열하여, 자외선램프 365nm에서 검시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약재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1);
단계(1)의 시험품 용액을 시험품으로 사용하고, 또한 6-진저롤을 대조품을 취하여, 아세트산에틸을 투입하여 1mL당 1mg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3-10μL와 대조품 용액 1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2:1:1의 석유에테르(60~90℃)-트리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2%의 바닐린-황산(Vanillin sulfuric acid)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2);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 3g을 취하여, 물 40mL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n-부탄올로 회당 20mL씩 3회 진탕 추출한 후 n-부탄올액을 합하고, 회당 20mL씩 n-부탄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넣어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또한 감초 대조약재 1g을 취하여 물 40mL를 투입하여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식혀서 여과시키며, n-부탄올로 회당 20mL씩 3회 진탕 추출한 후n-부탄올액을 합하고, 회당 20mL씩 n-부탄올 용액을 증발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투입하여 용해시켜 대조품 용액으로 비축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2-5μL와 대조약재 용액 5μL를 취하여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15:1:1:2의 아세트산에틸-포름산-빙초산-물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10%의 황산-에탄올 용액을 분무하며,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고, 자외선램프 365nm에서 검시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약재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형광 주반점이 나타나는 단계(3);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 6g을 취하여 미세하게 갈고, 아세트산에틸 40mL를 투입하며, 30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며 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lmL를 투입하여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또한 마그놀롤을 취하여 메탄올을 투입하여 1mL당 1mg을 함유하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10-15μL와 대조품 용액 5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18:3:1의 톨루엔-아세트산에틸-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1%의 바닐린-황산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4)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방안에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헤스페리딘의 함량 측정을 진행하며, 구체적으로,
옥타데실 실란 결합 실리카겔(Octadecyl silane chemically bonded silica gel, ODS)을 충전제로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 0.1% 인산 용액=19:81의 부피비를 이동상으로 사용하며;
검출 파장은 283nm이고, 유동속도는 1.0mL/분이며,
헤스페리딘 피크에 따라 계산된 이론단수(Number of theoretical plate)는 2000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고;
대조품 용액의 제조: 헤스페리딘 대조품을 적당량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며, 메탄올을 투입하여 1mL당 15μg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얻고;
시험품 용액의 제조: 본 출원의 중약 조성물을 취하여 미세하게 갈아 5호체로 체질하며, 0.3g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여 마개가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투입하고, 10% 메탄올 50mL를 정밀하게 투입하며, 칭량하고, 30분간 초음파 처리한 후, 식혀서 다시 칭량하며, 메탄올로 손실된 무게를 채우고 잘 흔든 다음, 여과하고 차후의 여액을 취하여 얻으며;
측정방법: 대조품 용액과 시험품 용액을 각각 10μl씩 정밀하게 흡취하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조성물의 과립은 헤스페리딘(C28H34O15)으로 계산하여 1g당 진피를 2.325mg보다 많거나 같게 함유하여야 한다.
본 개시는 중약 조성물 과립의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측정하여 과립 품질의 안정성과 품질 관리성을 확보하는 한편, 헤스페리딘의 물리화학적 성질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헤스페리딘 함량 및 전이율 측정을 통해 중약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확보하여 제품의 품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는 한습증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중약 조성물의 용도, 선택적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상기 중약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중약 제제는 일정 중량부의 배합비의 진피, 창출, 후박, 감초, 곽향, 석창포, 대추, 생강으로 이루어지며, 이 몇 가지 약재의 활성성분은 서로 보완하고 서로 협력하며, 각 원료약의 배오(配伍)관계를 통해 얻은 중약 제제는 부작용이 적고, 한습증을 치료할 수 있으며,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을 치료할 수 있고, 현저한 치료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제조방법은 중약 제제의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고, 생체이용률이 높으며,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특별한 기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산업 생산에 적합하다. 본 개시의 제조방법은 중약 조성물의 헤스페리딘의 함량과 헤스페리딘의 전이율을 모두 향상시킨다.
본 개시의 검출방법은 중약 조성물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양호한 안정성과 재현성을 가지게 한다.
본 출원의 중약 성분은 대부분 휘발성 오일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증기 증류법 추출 및 휘발성 오일을 포접하는 종합적인 방법은 휘발성 오일의 손실을 줄이고 공정 시간을 단축하며 중약 제제 완제품에서 휘발성 오일의 이용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중약 조성물의 약효를 보다 잘 발휘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 6의 헤스페리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을 위한 박층 크로마토그램으로, 왼쪽 1 열은 대조품 용액, 오른쪽 3 열은 본 개시의 중약 과립의 시험품 용액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 6의 6-진저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을 위한 박층 크로마토그램으로, 왼쪽 1 열은 대조품 용액, 오른쪽 3 열은 본 개시의 중약 과립의 시험품 용액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 6의 감초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을 위한 박층 크로마토그램으로, 왼쪽 1 열은 대조품 용액, 오른쪽 3 열은 본 개시의 중약 과립의 시험품 용액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 6의 마그놀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을 위한 박층 크로마토그램으로, 왼쪽 1 열은 대조품 용액, 오른쪽 3 열은 본 개시의 중약 과립의 시험품 용액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 7의 헤스페리딘 함량 측정에서 본 개시의 중약 과립 시험품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 7의 헤스페리딘 함량 측정에서 대조품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중약 추출물의 COVID-19 슈도바이러스감염HEK293-ACE2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스튜던트티이검정(Student's t-test),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P<0.001, **P<0.01이다.
이하, 실시예와 결합하여 본 개시의 실시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는 것임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에 구체적인 조건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상규적인 조건 또는 제조업체가 권장하는 조건에 따라 수행한다. 제조업체가 표시되지 않은 사용된 시약이나 기기는 모두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상규적인 제품이다.
이하,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중약 조성물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 조제에 있어서, 진피 7.5g, 창출 3.75g, 후박 3.75g, 감초 5.625g, 곽향 5.625g, 석창포 5.625g, 대추 3.5g 및 생강 1.8g의 중량부로 원료 약을 칭량하여 취한다. 중량부 비율에 따라 각 원료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적당량의 물을 첨가하여 문화(文火)로 달이며, 400mL까지 달여 탕제를 제조한다.
실시예 2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 조제에 있어서, 진피250g, 창출100g, 후박100g, 감초 200g, 곽향200g, 석창포200g, 대추 250g 및 생강 100g의 중량부로 원료 약을 칭량하여 취한다. 중량부 비율에 따라 각 원료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회당 0.5시간씩 2회 달여서 추출하고, 달임액을 합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어 비축하며, 추출액을 70℃에서 감압농축하여 50℃에서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인 농축액을 얻는다. 농축액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다. 스프레이 파우더를 취하여 덱스트린을 적당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한다.
실시예 3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 조제에 있어서, 진피400g, 창출200g, 후박200g, 감초 300g, 곽향300g, 석창포300g, 대추 330g 및 생강 200g의 중량부로 원료 약을 칭량하여 취한다. 중량부 비율에 따라 각 원료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회당 0.5시간씩 2회 달여서 추출하고, 달임액을 합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어 비축하며, 추출액을 70℃에서 감압농축하여50℃에서 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인 농축액을 얻는다. 농축액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다. 스프레이 파우더를 취하여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한다.
실시예 4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 조제에 있어서, 진피375g, 창출187.5g, 후박187.5g, 감초 281.3g, 곽향281.3g, 석창포281.3g, 대추 330g 및 생강 180g의 중량부로 원료 약을 칭량하여 취한다. 중량부 비율에 따라 각 원료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회당 0.5시간씩 2회 달여서 추출하고, 달임액을 합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어 비축하며; 추출액을 70℃에서 감압농축하여 50℃에서 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인 농축액을 얻는다. 농축액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다. 스프레이 파우더를 취하여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한다.
실시예 5
본 개시의 중약 조성물 조제에 있어서, 진피340.9g, 창출170.5g, 후박170.5g, 감초 255.7g, 곽향255.7g, 석창포255.7g, 대추 318.2g 및 생강 163.6g의 중량부로 원료 약을 칭량하여 취한다. 중량부 비율에 따라 각 원료 성분을 칭량하여 취하고, 분쇄하여 굵은 가루로 만들며;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4시간 추출함과 동시에 휘발성 오일을 수집하며; 물 달임액 중의 잔류물을 여과시켜 얻은 추출액을 비축하고, 잔류물에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수증기 증류법으로 1시간 추출하고, 달임액을 꺼내어 비축하며, 추출액을 합하고 여과하고; 얻은 추출액을 취하여 감압농축하여 60℃에서 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인 농축액을 얻으며; 농축액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고; 수집한 휘발성 오일에 무수 에탄올 용액을 투입하고, β-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을 사용하여 3시간 교반하면서 포접하며, 냉장하고, 여과하며, 여과물을 건조시켜 휘발성 오일 포접물을 얻고; 스프레이 파우더 및 휘발성 오일 포접물에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한다.
실시예 6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중약 조성물 과립을 감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분말 2g을 취하여, 물 25mL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회당 20mL씩 2회 진탕 추출한 후 추출액을 합하고, 휘발 건조시키며,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넣어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별도로 헤스페리딘 대조품을 취하여, 메탄올을 투입하여 포화 용액으로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2-5μL을 흡취하고 대조품 용액5μL를 흡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20:3:2의 아세트산에틸-메탄올-물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5%의 삼염화알루미늄에탄올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5~10분간 가열하여, 자외선램프 365 nm에서 검시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약재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1);
단계(1)의 시험품 용액을 취하여 시험품으로 사용하고, 또한 6-진저롤 대조품을 취하여, 아세트산에틸을 투입하여 1mL당 1mg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3-10μL와 대조품 용액 1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2:1:1의 석유에테르(60~90℃)-트리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2%의 바닐린-황산(Vanillin sulfuric acid)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2);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 3g을 취하여 물 40mL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n-부탄올로 회당 20mL씩 3회 진탕 추출한 후 n-부탄올액을 합하고, 회당 20mL씩 n-부탄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넣어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또한 감초 대조약재 1g을 취하여, 물 40mL를 투입하여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식혀서 여과시키며, n-부탄올로 회당 20mL씩 3회 진탕 추출한 후 n-부탄올액을 합하고, 회당 20mL씩 n-부탄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투입하여 용해시켜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2-5μL와 대조약재 용액 5μL를 취하여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15:1:1:2의 아세트산에틸-포름산-빙초산-물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10%의 황산-에탄올 용액을 분무하며,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고, 자외선램프 365nm에서 검시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약재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형광 주요반점이 나타나는 단계(3);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 6g을 취하여 미세하게 갈고, 아세트산에틸 40mL를 투입하며, 30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며 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lmL를 투입하여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또한 마그놀롤을 취하여 메탄올을 투입하여 1mL당 1mg을 함유하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10-15μL와 대조품 용액 5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18:3:1의 톨루엔-아세트산에틸-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전개한 후, 꺼내어 건조시키고, 1%의 바닐린-황산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4).
시험품 및 대조품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는 도 1-4 를 참조한다.
실시예 7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중약 조성물 과립에 대해 함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과 시스템 적용성 시험: 옥타데실 실란 결합 실리카겔(Octadecyl silane chemically bonded to porous silica , ODS)을 충전제로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 0.1% 인산 용액=19:81의 부피비를 이동상으로 사용하며; 검출 파장은 283nm이다. 헤스페리딘 피크에 따라 계산된 이론단수는 200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대조품 용액의 제조: 헤스페리딘 대조품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며, 메탄올을 투입하여 1mL당 50μg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얻는다.
시험품 용액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과립 취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며 미세하게 갈고, 0.3g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여 마개가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투입하고, 메탄올 50mL를 정밀하게 투입하고, 빽빽하게 채워넣고 무게를 측정하고, 30분간 초음파 처리(전력 500W, 주파수 40kHz)한 후, 식혀서 다시 무게를 측정하고, 메탄올로 손실된 무게를 채우고 잘 흔든 다음, 여과하고 차후의 여액을 얻는다.
측정방법: 대조품 용액과 시험품 용액을 각각 10μL씩 정밀하게 흡취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측정한다.
헤스페리딘 함량 측정에 있어서, 본 개시의 중약 과립 시험품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는 도 5이고, 대조품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는 도 6이다.
비교예 1
중약 조성물의 조제에 있어서, 진피375g, 창출187.5g, 후박187.5g, 감초 281.3g, 곽향281.3g 및 석창포281.3g의 중량부로 원료 약을 칭량하여 취한다. 중량부 비율로 각 원료 성분을 칭량하고;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회당 0.5시간씩 2회 달여서 추출하고, 달임액을 합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어 비축하며; 추출액을 70℃에서 5감압농축하여50℃에서 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인 농축액을 얻는다. 농축액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다. 스프레이 파우더를 취하여 덱스트린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한다.
비교예 2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중약 조성물 과립에 대해 함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크로마토그래피 조건과 시스템 적용성 시험: 옥타데실 실란 결합 실리카겔(Octadecyl silane chemically bonded to porous silica , ODS)을 충전제로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 0.1% 인산 용액=19:81의 부피비를 이동상으로 사용하며; 검출 파장은 283nm이다. 헤스페리딘 피크에 따라 계산된 이론단수는 200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대조품 용액의 제조: 헤스페리딘 대조품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며, 메탄올을 투입하여 1mL당 50μg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얻는다.
시험품 용액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과립 취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며 미세하게 갈고, 0.3g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여 마개가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투입하고, 메탄올 50mL를 정밀하게 투입하고, 빽빽하게 채워넣고 무게를 측정하고, 30분간 초음파 처리(전력 500W, 주파수 40kHz)한 후, 식혀서 다시 무게를 측정하고, 메탄올로 손실된 무게를 채우고 잘 흔든 다음, 여과하고 차후의 여액을 얻는다.
측정방법: 대조품 용액과 시험품 용액을 각각 10μL씩 정밀하게 흡취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측정한다.
비교예 3
진피7.5g, 창출3.75g, 후박3.75g, 감초 5.625g, 곽향5.625g, 석창포5.625g, 대추 1알 및 생강 3편의 중량부로 원료 약을 칭량하여 취하고, 대추 및 생강과 전술한 6가지 약재를 따로 달여서 탕제를 제조한다.
헤스페리딘 함량 및 전이율 측정 실험 결과
원료 약재의 헤스페리딘 실제 측정 함량
(mg/g)
헤스페리딘전이율
(%)
실시예 7 46.95 48.77%
비교예 2 46.95 40.34%
검출 결과, 유효성분 헤스페리딘의 함량 및 전이율은 실시예 7에서 비교예 2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은 대추 또는 생강 성분이 물에서의 헤스페리딘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일 수 있다.
투여 약물 독성 시험
본 시험에 있어서, 동물 시험과 관련된 내용 및 절차는 모두 실험동물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및 규정과 본 기관의 실험동물 사용 및 관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관련 규정을 준수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에서는 40마리의 건강한 SD래트를 랜덤으로 용매 대조군, 본 출원의 중약 조성물의 저용량, 중용량 및 고용량 그룹의 4개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은 10마리씩, 수컷 절반 암컷 절반으로 하였다. 각 그룹의 래트에게 20mL/kg/회 투여 부핍력, 매회 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3회 투여하고, 용제 대조품(순수) 또는 다른 농도의 본 출원의 중약 조성물을 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하였다. 여기서, 본 출원의 중약 조성물 저용량, 중용량 및 고용량 그룹의 투여량은 각각 3, 9, 37.5g추출물/kg이다. 투여 후 14일간 연속 관찰하였고, 첫 투여 당일을 시험 제1일로 정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매일 각 그룹의 SD래트의 일반적인 상태를 관찰하였고, 시험 제1, 4, 8 및 14일에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시험 제2, 5, 8 및 12일에 음식 섭취량을 측정하였고, 시험 제15일에 각 그룹의 래트를 계획대로 안락사시키고, 육안으로 대체적인 해부학 관찰을 진행하였다.
결과: (1) 일반적인 상태: 시험 제1일, 고용량 그룹의 암컷과 수컷 래트는 모두 난변을 보였고, 소변 색은 비정상적으로 연한 녹색이었고; 시험 제2일부터 상기 증상이 사라졌으며, 각 그룹의 래트의 일반적인 증상, 행위 활동, 호흡 상태, 오관, 몸 표면, 대소변 및 생식기 등에 뚜렷한 이상 징후가 없었고, 시험 기간 동물의 사망은 없었다. (2) 체중 및 음식 섭취량: 시험 기간, 각 그룹의 래트의 체중, 음식 섭취량에는 비정상적인 변화가 없었다. (3) 육안 해부학 관찰: 시험 제15일 육안 해부학 관찰을 통해 각 그룹의 래트의 심장, 간, 비장, 폐, 신장 및 흉선 등 주요 장기 또는 조직의 색상, 형상, 크기 및 질감에 뚜렷한 비정상적인 변화가 없었다.
결론: 본 시험 조건으로, SD래트에게 매회 경구 투여 방식으로 3, 9 및 37.5g추출물/kg의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최대 허용용량(MTD)은 37.5g추출물/kg으로, 168.5g생약/kg에 해당된다.
임상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중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임상 시험을 진행하였다.
(1) 대상: 단쟝커우시 중의원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핵산 검사 양성)에 감염된 환자, 연령은 13-54세이다. 이 환자들은 발열(체온≥38℃)과 기침을 동반하고, 일반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총 수와 림파구 수가 감소했으며, 폐에 다른 정도의 간유리음영 등 증상을 보였다.
(2) 치료 방법: 매일 2회, 아침, 저녁 1회씩, 회당 200mL씩, 3일간 복용.
(3) 치유 또는 완화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백혈구 및 림프구 수가 정상으로 회복된다;
2. 환자의 폐의 간유리음영이 흡수되고 사라진다;
3. 실시간 형광RT-PCR검출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이 음성으로 전환된다;
4. 다른 기절적 병변이 없다.
전형적인 임상 케이스
1. 궈모, 환자 기본 정보: 29세 여성, 환자는 코로나 지역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증상: 발열, 기침, 가래, 핍력 및 식욕부진; 영상학검사: 좌측 폐하엽, 우측 폐중엽, 좌폐 상엽 설측 및 우측 폐하엽 감염; 병원체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양성; 본 개시의 중약으로 치료 후, 발열이 사라지고, 기침 가래가 완화되고, 핍력와 식욕부진이 개선되고; 폐의 염증이 흡수되었으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에서 음성으로 진단되고, 기간 동안 다른 이상 반응은 발견되지 않았다.
2. 선모모, 환자 기본 정보: 25세 남성, . 증상: 발열, 신체 산통(酸痛), 식욕부진 및 핍력; 영상학검사: 오른쪽 폐하엽 감염; 병원체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양성; 본 개시의 중약으로 치료 후, 발열이 사라지고, 신체 산통(酸痛)이 사라지고, 핍력와 식욕부진이 개선되고; 폐의 염증이 흡수되었으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에서 음성으로 진단되고, 기간 동안 다른 이상 반응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의 체외 효과 실험:
본 개시의 중약 추출물이 COVID-19 슈도바이러스 감염된 ACE2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HEK293에 대한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1. 시험품 및 투여 제제의 조제:
시험품: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 추출물(실시예 4의 추출물) 황갈색 분물 16g; 헤스페리딘 함량: 13.12mg/g; 출처: 베이징한댄제약유한회사;
투여 제제의 조제: 중약 추출물 분말 20mg을 칭량하여 취하고, DMSO 1mL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원액 20mg/mL를 얻으며;
원액 100μL을 취하여, DMEM 배지 3900μL에 투입하여 5mg/mL의 농도로 조제한다. 0.5mg/mL의 용액 400μL을 취하여, DMEM 배지 600μL에 투입하여 농도가 0.2mg/mL인 용액으로 조제한다. 0.2mg/mL의 용액 500μL을 취하여, DMEM 배지 500μL에 투입하여 농도가 0.1mg/mL인 용액으로 조제한다. 농도가 0.1mg/mL인 용액 500μL을 취하여, DMEM 배지 500μL에 투입하여 농도가 0.05mg/mL인 용액으로 조제한다. 농도가 0.05mg/mL인 용액 500μL를 취하고, DMEM 배지 500μL에 투입하여 농도가 0.025mg/mL인 용액으로 조제한다.
2. 양성대조품 및 투여 제제의 조제:
양성대조품: 인산 클로로퀸 백색 또는 담황색 분말; 5g; 출처: bidepharm의약; 제품번호: BD263139-5g; 로트번호: BNA684;
투여 제제의 조제: 인산 클로로퀸 2.24mg을 칭량하여 취하고, DMEM 1.085mL에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농도가 4mM의 예비 용액을 얻으며; 원액 100μL를 취하고, DMEM 세포 배지 3900μL에 투입하여 농도가 100μM의 용액으로 조제한다.
3. 시험용세포
명칭 또는 코드: ACE2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HEK293;
종 출처: 인간 배아 신장 세포; 조직 출처: 정상 신장 세포; 성장 특성: 벽에 부착하여 성장;
배지: DMEM 배지 90%; FBS, 10%;
4. 시험용 재조합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명칭: COVID-19 슈도바이러스
출처: 광저우 packgene Biotech 유한회사
로트번호: LV-nCov1-2
생산: 슈도타입 렌티바이러스 시스템 벡터를 사용하여, 복수의 플라스미드 공동-형질감염 포유동물 세포 시스템으로 슈도바이러스를 생산하고, 슈도바이러스 캡시드 단백질 또는 엔벨로프 단백질(envelope protein)로 둘러싸여 형성된 감염성 슈도바이러스 유사 과립을 산생한다. 작용: 상기 재조합 신종 코로나 슈도바이러스는 시험품의 슈도바이러스 침입 중화 능력을 검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생물 안전 레벨이 II인 실험실에서 조작되어야 한다.
5. 시험 방법:
D1, 대수 증식기(logarithmic phase)의HEK293-ACE2세포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6.25Х104개/mL로 조정하고, 96웰 플레이트의 제2-7 및 9열 B-D행에 세포 5000/웰/80μL를 추가하고, 제8열 B-D행에 새로 구성된 DMEM 배지 80μL를 추가하고, 37℃, 5% CO2에서 밤새 배양한다.
D2, 제2-6열에서, B-D행의 시험품군에 농도가 50μg/mL, 20μg/mL, 10μg/mL, 5μg/mL 및 2.5μg/mL인 시험품10μL을 순서대로 추가하고, 동시에 슈도바이러스 용액 10μL를 추가하고; 제7열에서, B-D행 양성대조군에 10μL의 인산 클로로퀸을 추가하고, 동시에 슈도바이러스 용액 10μL를 추가하며; 블랭크대조군(제8열 B-D행)에 20μL 배지를 추가하며; 음성대조군(제9열 B-D행)에 슈도바이러스 용액 10 μL와 0.25% DMSO를 함유한 용매대조군 10μL를 추가한다. 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40μL의 1ХReporter Lysis Buffer를 추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며, 다시 녹인 후4000r/분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며, 상층액 20μL를 취하여 96웰 화이트 엘리사 플레이트에 추가하고, 100μL의 Luciferase Assay Reagent를 추가하여, 루시퍼라아제 활성 (RLU, RLU값이 높으면 세포를 감염시키고 세포에 진입한 슈도바이러스가 많음을 나타냄)을 검출하였다. 플레이트의 레이아웃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9
결과: 약물 작용 48시간 후, 양성대조군의 RLU/RLUc값(실험군의 형광값과 음성대조군의 평균 형광강도 비율)은 0.05±0.01이고, 시험품은 농도가 높은데로부터 낮은데로(50μg/mL, 20μg/mL, 10μg/mL, 5μg/mL 및 2.5μg/mL)의 순서로 RLU/RLUc 비율이 차례로0.14±0.04, 0.09±0.03, 0.14±0.04, 0.11±0.01 및 0.17±0.14이며;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시험품의 각 용량군과 양성대조군의 RLU/RLUc비율은 모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01; **P<0.01). 도 7은 COVID-19 슈도바이러스 감염 HEK293-ACE2세포에 대한 중약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시험 결과: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시험 조건에서, 상기 중약 추출물의 농도가 2.5μg/mL~50μg/mL일 경우, COVID-19 슈도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율이 50% 이상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중약 추출물 H157이 COVID-19 슈도바이러스 감염된 ACE2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세포주 HEK293에 대해 아주 좋은 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의 한습증(즉 바이러스성 폐렴)에 대한 임상 치료 효과:
본 개시에서 제조한 중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임상 시험을 진행하였다.
대상: 단쟝커우시 중의원 환자;
케이스 1: 첸모, 연령 13세, 치료 전 영상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우측 폐 상엽, 중엽 및 하엽에 반점 형태의 밀도가 증가된 그림자가 다수 보였고, 일부는 간유리음영 변화를 보였으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 음성; 진단: 우측 폐 감염성 바이러스, 바이러스성 폐렴으로 고려됨.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약물 치료한 후, 영상진단에 따르면: 우측 폐 감염성 병변은 약물사용 전보다 흡수되었다.
케이스 2: 왕모모, 연령 32세, 치료 전 영상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우측 폐의 상엽 및 좌측 폐의 하엽에 반점 형태 및 판상 간유리의 밀도가 증가된음영이 다수 보였고, 일부는 병변의 실제 변화가 있었고, 그 안에 공기 기관지 조영이 포함됨을 보였으며, 우측 위가 현저하였으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 음성; 진단: 우측 폐상엽 및 좌측 폐하엽 감염성 병변, 바이러스 폐렴을 우선 고려.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약물 치료한 후, 영상 진단: 우측 폐상엽 및 좌측 폐하엽 감염성 병변이 전보다 흡수되고 호전되었다.
케이스 3: 셰모모, 연령 54세, 치료 전 영상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우측 폐 상엽에 반점 형태의 밀도가 증가된 그림자가 보였고, 가장자리가 흐릿하며, 그 안에 공기 기관지 조영이 포함됨을 보였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 결과 음성; 진단: 우측 하부 폐 감염성 병변.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약물치료한 후, 영상진단: 우측 하부 폐감염성 병변 전보다 흡수되고 호전되었으며, 재검사를 권장한다.
케이스 4: 17세 남성, 발열 3일 입원, 증상: 발열 오한, 마른 기침, 인후통, 전신 통증, 다한. 영상학 검사: 우측 하부 폐 감염, 바이러스성 폐렴 가능성; 병원체 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음성.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약물치료한 후, 발열, 인후통이 사라지고, 기침이 완화되고, 폐의 염증이 흡수되었다.
케이스 5: 41세 남성, 기침 가래 반달 이상 지속, 입원. 증상: 기침 및 가래. 영상학 검사: 우측 상부 폐 감염, 바이러스성 폐렴 가능성; 병원체 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음성.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14일간 약물 치료한 후, 기침 가래가 사라지고, 폐의 염증이 흡수되었으며, 치료 효과가 현저하였다.
케이스 6: 19세 남성, 호흡곤란과 현기증을 동반한 발열 2일 입원. 증상: 발열, 핍력, 현기증, 인후통, 기침. 영상학 검사: 양쪽 폐 감염성 병변, 바이러스성 폐렴의 가능성이 큼; 병원체 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음성.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3일간 약물 치료한 후, 발열이 사라지고, 기침, 가래가 완화되었으며, 핍력, 식욕부진이 개선되고, 폐의 염증이 흡수되었으며, 치료 효과가 현저하였다.
케이스 7: 30세 여성, 기침, 가래 3일 입원. 증상: 기침, 가래 및 인두 건조. 영상학 검사: 우측 하부 폐 감염, 바이러스성 폐렴 가능성; 병원체 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음성.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4일간 약물 치료한 후, 기침 가래가 완화되고, 인두 건조가 개선되었으며, 폐의 염증이 흡수되었고, 치료 효과가 현저하였다.
케이스 8: 23세 남성, 간헐적 발열 5일 입원. 증상: 발열 오한, 기침, 식욕부진 및 수면 질이 나쁨. 영상학 검사: 좌측 폐 하엽 감염, 바이러스성 폐렴 가능성; 병원체 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음성.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7일간 약물 치료한 후, 발열 오한이 사라지고, 기침이 개선되었으며, 폐의 염증이 흡수되고, 치료 효과가 현저하였다.
케이스 9: 31세 남성, 발열 15일, 흉부 압박감과 통증 7일, 입원. 증상: 두통, 식욕부진 및 핍력. 영상학 검사: 양쪽 폐 다발성 감염, 바이러스성 폐렴 가능; 병원체검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핵산 검사 음성.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로 6일간 약물 치료한 후, 두통이 사라지고, 핍력, 식욕부진이 개선되고, 폐의 염증이 흡수되었으며, 치료 효과가 현저하였다.
본 개시에 따른 중약 조성물은 바이러스성 폐렴을 효과적으로 완화 또는 치료하고, 치료 후, 환자 흉부 영상에서 염증이 흡수되고, 폐의 기능이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각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 이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비록 전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에 대해 수정, 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의 기술특징에 대해 동등한 교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교체로 인해 관련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중량부 기준으로,
    주로 진피 250-400 중량부, 창출 100-200 중량부, 후박 100-200 중량부, 감초 200-300 중량부, 곽향 200-300 중량부, 석창포 200-300 중량부, 대추 250-330 중량부 및 생강 100-200 중량부의 배합비의 원료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주로 진피 270-350 중량부, 창출 130-175중량부, 후박 130-175중량부, 감초 200-260 중량부, 곽향 200-260 중량부, 석창포 200-260 중량부, 대추 280-330 중량부 및 생강 150-180 중량부의 배합비의 원료로 제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로 진피 340.9중량부, 창출 170.5중량부, 후박 170.5중량부, 감초 255.7중량부, 곽향 255.7중량부, 석창포 255.7중량부, 대추 318.2중량부 및 생강 163.6중량부의 배합비의 원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500-700 중량부의 보조재료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재료는 충전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재료는 덱스트린, 가용성 전분 또는 락토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약 조성물은 경구액, 과립제, 산제, 점적환제, 캡슐제, 발포제 또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약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 배합비의 원료에 물을 첨가하여 침윤시킨 후 달여서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으며, 감압농축하고,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고, 접착제를 투입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각 원료 성분을 중량부 비율에 따라 칭량하여 취하는 단계(1);
    15배 중량부의 물을 투입하여 0.5시간 침윤시킨 후, 회당 0.5시간씩 2회 달여서 추출하고, 달임액을 합하고 여과하여 얻은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2);
    단계(2)의 추출액을 70℃에서 감압농축하여 50℃에서 측정된 상대밀도가 1.10-1.20g/mL인 농축액을 얻는 단계(3);
    단계(3)의 농축액을 취하여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 단계(4); 및
    단계(4)의 스프레이 파우더를 취하여 덱스트린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 배합비의 원료를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함과 동시에 휘발성 오일을 수집하는 단계;
    달임액에서 잔류물을 여과시켜 추출액 얻고, 추출액을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시켜 스프레이 파우더를 얻는 단계;
    휘발성 오일에 무수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β-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을 포접하여 시클로덱스트린 포접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스프레이 파우더 및 휘발성 오일 포접물에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습식법으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증류법에서, 8-15배의 물을 투입하여 휘발성 오일을 추출하고, 2-3회 추출하며, 매 회 얻은 추출액을 합하여 다음 단계에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β-시클로덱스트린 수용액에서 β-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은 휘발성 오일 중량의 8-12배, 물의 중량은 β-시클로덱스트린 중량의 10-20배; 바람직하게는, β-시클로덱스트린의 중량은 휘발성 오일 중량의 10배, 물의 중량은 β-시클로덱스트린 중량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7. 헤스페리딘(hesperidin)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 및 헤스페리딘의 함량 측정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6-진저롤(gingerol), 감초와 마그놀롤(magnolol)의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을 더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중약 조성물의 품질 검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정성 감별은,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분말 2g을 취하여 물 25mL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아세트산에틸로 회당 20mL씩 2회 진탕 추출한 후 추출액을 합하고, 휘발 건조시키며,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넣어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별도로 헤스페리딘 대조품을 취하여, 메탄올을 투입하여 포화 용액으로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2-5μL와 대조품 용액 5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20:3:2의 아세트산에틸-메탄올-물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5%의 삼염화알루미늄에탄올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5~10분간 가열하여, 자외선램프 365nm에서 검시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약재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1);
    단계(1)의 시험품 용액을 취하여 시험품으로 사용하고, 또한 6-진저롤 대조품을 취하여, 아세트산에틸을 투입하여 1mL당 1mg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3-10μL와 대조품 용액 1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2:1:1의 석유에테르(60~90℃)-트리클로로메탄-아세트산에틸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2%의 바닐린-황산(Vanillin sulfuric acid)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2);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 3g을 취하여 물 40mL를 투입하여 용해시키고, n-부탄올로 회당 20mL씩 3회 진탕 추출한 후 n-부탄올액을 합하고, 회당 20mL씩 n-부탄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넣어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또한 감초 대조약재 1g을 취하여, 물 40mL를 투입하여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식혀서 여과시키며, n-부탄올로 회당 20mL씩 3회 진탕 추출한 후 n-부탄올액을 합하고, 회당 20mL씩 n-부탄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1mL를 투입하여 용해시켜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2-5μL와 대조약재 용액 5μL를 취하여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15:1:1:2의 아세트산에틸-포름산-빙초산-물을 전개용매로 전개하며, 꺼내어 건조시키고, 10%의 황산-에탄올 용액을 분무하며,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고, 자외선램프 365nm에서 검시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약재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형광 주요반점이 나타나는 단계(3);
    상기 중약 조성물로 제조된 과립 6g을 취하여 미세하게 갈고, 아세트산에틸 40mL를 투입하며, 30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여과하며 여액을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에 메탄올 lmL를 투입하여 용해시켜 시험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또한 마그놀롤을 취하여 메탄올을 투입하여 1mL당 1mg을 함유하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으로 사용하며;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품 용액 10-15μL와 대조품 용액 5μL를 취하여 동일한 실리카겔G박층판에 각각 점적하고, 부피비 18:3:1의 톨루엔-아세트산에틸-메탄올을 전개용매로 전개한 후, 꺼내어 건조시키고, 1%의 바닐린-황산 용액을 분무하고, 105℃에서 반점이 선명하게 나타날 때까지 가열하며; 시험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대조품의 크로마토그래피에 해당하는 위치에 동일한 색의 반점이 나타나는 단계(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약 조성물의 품질 검출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헤스페리딘의 함량 측정을 진행하며, 구체적으로,
    옥타데실 실란 결합 실리카겔(Octadecyl silane chemically bonded to porous silica , ODS)을 충전제로 사용하고, 아세토니트릴 : 0.1% 인산 용액=19:81의 부피비를 이동상으로 사용하며;
    검출 파장은 283nm이고, 유동속도는 1.0mL/분이며;
    헤스페리딘 피크에 따라 계산된 이론단수(Number of theoretical plate)는 2000보다 크거나 같도록 하고;
    헤스페리딘 대조품을 적당량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며, 메탄올을 투입하여 1mL당 15μg을 함유하는 용액을 제조하여 대조품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중약 조성물을 취하여 미세하게 갈아 5호체로 체질하며, 0.3g을 취하여 정밀하게 칭량하여 마개가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투입하고, 10% 메탄올 50mL를 정밀하게 투입하여 칭량하고, 30분간 초음파 처리한 후, 식혀서 다시 칭량하며, 메탄올로 손실된 무게를 채우고 잘 흔든 다음, 여과하고 차후의 여액을 취하여 시험품 용액을 제조하며;
    대조품 용액과 시험품 용액을 각각 10μl씩 정밀하게 취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여 측정하는 방식을 측정방법으로 하며:
    1g당의 본 조성물의 과립은 헤스페리딘(C28H34O15)을 기준으로 진피를 2.325mg보다 많거나 같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약 조성물의 품질 검출방법.
  10. 한습증, 특히 바이러스성 폐렴 치료용 약물의 제조, 바람직하게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약물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약 조성물의 용도.
KR1020227043043A 2020-05-08 2020-11-13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 KR20230009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84148.5A CN111407877A (zh) 2020-05-08 2020-05-08 治疗新型冠状病毒肺炎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检测方法及其用途
CN202010384148.5 2020-05-08
PCT/CN2020/128753 WO2021223397A1 (zh) 2020-05-08 2020-11-13 治疗新型冠状病毒肺炎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检测方法及其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449A true KR20230009449A (ko) 2023-01-17

Family

ID=7148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3043A KR20230009449A (ko) 2020-05-08 2020-11-13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81666A1 (ko)
EP (1) EP4147708A4 (ko)
JP (1) JP2023525739A (ko)
KR (1) KR20230009449A (ko)
CN (2) CN111407877A (ko)
BR (1) BR112022022574A2 (ko)
WO (1) WO2021223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7877A (zh) * 2020-05-08 2020-07-14 北京汉典制药有限公司 治疗新型冠状病毒肺炎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检测方法及其用途
CN111983106B (zh) * 2020-08-19 2021-06-22 广东一方制药有限公司 化湿败毒组合物的质量控制方法
CN112043804A (zh) * 2020-08-19 2020-12-08 广东一方制药有限公司 化湿败毒颗粒及其制备方法和抗病毒药物
CN112067738A (zh) * 2020-08-19 2020-12-11 广东一方制药有限公司 化湿败毒组合物的鉴别方法
CN111735896B (zh) * 2020-08-19 2020-11-27 广东一方制药有限公司 化湿败毒组合物特征图谱的构建方法
CN113281433B (zh) * 2021-05-19 2022-10-21 一力制药(罗定)有限公司 一种治疗胃肠型感冒的中药组合物制剂的含量测定方法
CN113499384B (zh) * 2021-06-16 2022-07-29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中医医院 一种中药组合物和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在抗冠状病毒中的应用
CN113624904B (zh) * 2021-09-01 2023-05-23 广东一方制药有限公司 姜竹茹中药配方颗粒中生姜的鉴别方法
CN113768984A (zh) * 2021-09-13 2021-12-10 澳门科技大学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588134B (zh) * 2022-03-04 2023-04-11 湖南润农生态茶油有限公司 一种用于预防和辅助治疗呼吸道疾病的中药组合物雾化液和应用
CN115097058B (zh) * 2022-06-24 2023-08-04 广西新桂环保科技集团有限公司 南酸枣的薄层色谱鉴别方法
CN115814049B (zh) * 2022-12-12 2024-05-07 北京博奥晶方生物科技有限公司 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792041B (zh) * 2022-12-28 2023-07-25 中山市中智药业集团有限公司 一种同时测定陈皮挥发性成分含量的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56292A (zh) * 2003-04-10 2003-11-19 毛友昌 平胃颗粒及制备方法
CN100339101C (zh) * 2003-07-07 2007-09-26 天津天士力制药股份有限公司 藿香正气滴丸的制备方法及其用途
CN100518783C (zh) * 2006-02-13 2009-07-29 浙江大德药业集团有限公司 藿香正气口腔崩解片的检测方法
CN101947304A (zh) * 2010-08-02 2011-01-19 李晓明 一种治疗虚寒性胃肠病的中药组合物
CN104523929B (zh) * 2014-12-23 2018-05-29 湖南省中医药研究院 一种治疗感冒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407877A (zh) * 2020-05-08 2020-07-14 北京汉典制药有限公司 治疗新型冠状病毒肺炎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检测方法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7708A4 (en) 2023-10-25
WO2021223397A1 (zh) 2021-11-11
US20230181666A1 (en) 2023-06-15
JP2023525739A (ja) 2023-06-19
CN112274620B (zh) 2023-03-17
EP4147708A1 (en) 2023-03-15
CN112274620A (zh) 2021-01-29
CN111407877A (zh) 2020-07-14
BR112022022574A2 (pt)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9449A (ko)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폐렴 치료용 중약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검출방법 및 그 용도
ES2295482T3 (es) Extracto de plantas chinas.
KR20230002351A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3498288A1 (en)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ment of a skin condition
KR20080050794A (ko) 복합 생약 추출물(ms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Liang et al. Insights into forsythia honeysuckle (Lianhuaqingwen) capsules: A Chinese herbal medicine repurposed for COVID-19 pandemic
US20160113982A1 (en)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Treating Psoriasis
Fatima et al. Dandelion: Phytochemistry and clinical potential
EP2512444B1 (en) Mixtures of plants in spagyric mother tincture for dry cough in babies
CN108186877A (zh) 用于气虚血瘀证心肌梗死二级预防的中药组合物
KR100851783B1 (ko) Bhh 17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골절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3821902A1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un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CN107582899B (zh) 一种清热止血的蒙药及其制造工艺
US20160136218A1 (en) Molecular and Herbal Combinations for Disease Therapy
KR100601390B1 (ko)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193540B1 (ko) 황기,계지 및 황백의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및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2274332B (zh) 治疗消化性溃疡的中药散剂的制备工艺
RU2815993C1 (ru) Композиция традиционной китайской медицины для лечения новой коронавирусной пневмони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способ ее определения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WO2017129060A1 (zh) 一种用于治疗流感、上呼吸道感染、病毒性肺炎的药物
KR101978461B1 (ko)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0620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및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18160B1 (ko) 골형성을 촉진하는 효능을 가지는 ds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CN103655586B (zh) 苜蓿酸-3-O-β-D-葡萄糖苷在制备防治骨病药物中的应用
CN112057536B (zh) 一种预防或/和治疗血脂异常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0773246B1 (ko)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