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010A - 전환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010A
KR20230003010A KR1020227041068A KR20227041068A KR20230003010A KR 20230003010 A KR20230003010 A KR 20230003010A KR 1020227041068 A KR1020227041068 A KR 1020227041068A KR 20227041068 A KR20227041068 A KR 20227041068A KR 20230003010 A KR20230003010 A KR 20230003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am
changeover switch
slid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호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3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13/30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one end of spring transmitting movement to the contact member when the other end is moved by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04Two parallel coil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전환 스위치는, 케이스와,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 의해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제 1 액추에이터와, 가동 접점 부재를 유지하는 제 2 액추에이터와, 가동 접점 부재가 접촉하는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과, 제 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제 1 액추에이터의 하측 경사면과 맞닿는 캠 산부를 갖고, 캠 산부가 하측 경사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캠과, 캠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캠은, 제 1 액추에이터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했을 때에, 탄성 지지 부재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산부가 하측 경사면을 미끄러져 올라감으로써, 제 2 액추에이터를 끌어 올리고, 가동 접점 부재의 접촉 상대를, 제 1 고정 접점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전환 스위치
본 발명은 전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입 조작에 의해 슬라이더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 도통 상태와 제 2 도통 상태 사이에서, 스냅 액션에 의해 전환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전환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58271호
그러나, 종래의 스냅 액션식의 전환 스위치는, 수평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배치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슬라이더를 복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없어, 전환 스위치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없었다.
일 실시형태의 전환 스위치는, 케이스와,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 의해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제 1 액추에이터와, 가동 접점 부재를 유지하는 제 2 액추에이터와, 가동 접점 부재가 접촉하는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과, 제 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제 1 액추에이터의 하측 경사면과 맞닿는 캠 산부를 갖고, 캠 산부가 하측 경사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캠과, 캠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캠은, 제 1 액추에이터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했을 때에, 탄성 지지 부재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산부가 하측 경사면을 미끄러져 올라감으로써, 제 2 액추에이터를 끌어 올리고, 가동 접점 부재의 접촉 상대를, 제 1 고정 접점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으로 전환한다.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냅 액션식의 전환 스위치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가 구비하는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가 구비하는 단자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가 구비하는 단자부 (단자 홀더를 생략한 상태)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가 구비하는 가동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가 구비하는 가동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B 는, 제 1 액추에이터가 덮개의 제 1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의 상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의 하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제 1 액추에이터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 의 상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제 1 액추에이터가 배치된 상태) 의 상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제 1 액추에이터가 배치된 상태) 의 측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제 1 액추에이터가 배치된 상태) 의 측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측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3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의 측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3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및 슬라이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및 슬라이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3 은,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34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35A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에 대한 캠 산부의 미끄러져 오름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B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에 대한 캠 산부의 미끄러져 오름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C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에 대한 캠 산부의 미끄러져 오름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D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에 대한 캠 산부의 미끄러져 오름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면 중 Z 축 방향 (슬라이더 (130) 의 슬라이드 방향) 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도면 중 Y 축 방향 (케이스 (110) 의 폭 방향) 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전환 스위치 (100) 의 개요)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측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 (100) 는, 케이스 (110), 슬라이더 (130), 및 홀더 (150) 를 구비한다.
케이스 (110) 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 구조 또한 직방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 (110) 의 상부 개구는, 평판상의 덮개 (112) 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덮개 (112) 는, 슬라이더 (130) 를 관통시키기 위한 원형의 개구부 (112A) (도 4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 (112) 의 하면에는, 기둥상의 축 지지부 (112B) 가 하방으로 수하되어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 (112B) 의 하단부에는, 선단부가 만곡한 하방으로 볼록상의, 제 1 축부 (112C) (도 30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부 (112C) 는, 가동 유닛 (160) 이 구비하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상측 베어링면 (161A) (도 10 및 도 11 참조) 에 다다름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상측으로부터, 제 1 액추에이터 (161) 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슬라이더 (130) 는, 압하 조작되는, 대체로 원기둥상의 부재이다. 슬라이더 (130) 는, 덮개 (112) 의 개구부 (112A)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일부가, 덮개 (112) 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130) 는, 케이스 (110) 에 대해,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전환 스위치 (100) 는, 슬라이더 (130) 가 압하됨으로써, 도통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스위치 (100) 는, 슬라이더 (130) 가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제 1 도통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 스위치 (100) 는, 슬라이더 (130) 가 압하되면, 제 2 도통 상태로 바뀐다.
홀더 (150) 는, 덮개 (112) 의 상면에 덮이고, 또한, 슬라이더 (130) 를 둘러싸는, 원환상의 부재이다. 홀더 (150) 는, 그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수하된 1 쌍의 훅 (152) 을 갖는다. 홀더 (150) 는, 1 쌍의 훅 (152) 의 각각이, 케이스 (110) 의 서로 평행한 1 쌍의 측면의 각각에 형성된 1 쌍의 걸림부 (114) 의 각각에 걸어 맞춤으로써, 케이스 (110) 에 부착된다. 이로써, 홀더 (150) 는, 덮개 (112) 를 케이스 (110) 에 대해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홀더 (150) 는, 금속판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된다.
(전환 스위치 (100) 의 구성)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4 ∼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 (100) 는, 홀더 (150), 덮개 (112), 슬라이더 (130), 가동 유닛 (160), 및 케이스 (110)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전환 스위치 (100) 는, 도 1 ∼ 도 3 에서 설명한 구성에 더하여, 가동 유닛 (160) 을 추가로 구비한다.
가동 유닛 (160) 은, 케이스 (110) 의 내부에 형성된다. 가동 유닛 (160) 은, 복수의 가동 부품이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가동 유닛 (160) 은, 슬라이더 (130) 의 압하 조작에 수반하는 상하동에 수반하여 동작함으로써, 전환 스위치 (100) 를 제 1 도통 상태와 제 2 도통 상태 사이에서 스냅 액션에 의해 전환한다. 또한, 가동 유닛 (160)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 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케이스 (110) 의 내부 구성)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가 구비하는 케이스 (110) 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가 구비하는 단자부 (170)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가 구비하는 단자부 (170) (단자 홀더 (174, 175) 를 생략한 상태)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0) 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 (110A) 을 갖는다. 공간 (110A) 내에는, 슬라이더 (130) 의 하측의 일부 및 가동 유닛 (160) 이 수용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 (110) 는, 비교적 경질인 절연성 소재 (예를 들어, 경질 수지 등) 가 사출 성형됨으로써 형성된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0) 에 있어서의 공간 (110A) 에 노출된 X 축 정측 (正側) 의 내벽면에는, Y 축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또한,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 (110C) 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 (110C) 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방으로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 (110C) 의 상모서리부에 형성된 제 2 축부 (110D) (도 25 참조) 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베어링면 (161F) 과 맞닿음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으로부터, 제 1 액추에이터 (161) 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0) 에 있어서의 공간 (110A) 에 노출된 바닥부 (110B) 에는, 2 쌍의 단자부 (170) (단자부 (170A, 170B)) 가, 좌우 방향 (Y 축 방향) 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 (170A) 는, 바닥부 (110B) 의 Y 축 부측 (負側) 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 (170B) 는, 바닥부 (110B) 의 Y 축 정측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 (170A) 및 단자부 (170B) 는, 양자의 중간 위치를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대상축으로 하며, 서로 선대칭이다.
도 7 ∼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170A, 170B) 는, 각각, 제 1 고정 접점 (171), 제 2 고정 접점 (172), 제 3 고정 접점 (173), 단자 홀더 (174), 및 단자 홀더 (175) 를 구비한다.
각 고정 접점 (171 ∼ 173) 은, 금속판이 가공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 됨으로써 형성된다. 각 고정 접점 (171 ∼ 173) 은, 그 일단측에 있어서, 바닥부 (110B) 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형성된 형상을 갖고 있고, 그 타단측에 있어서, 바닥부 (110B) 를 관통하여, 케이스 (110) 의 바닥면을 따라, 케이스 (110) 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단자부 (170A) 가 구비하는 각 고정 접점 (171 ∼ 173) 은, 케이스 (110) 의 Y 축 부측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단자부 (170B) 가 구비하는 각 고정 접점 (171 ∼ 173) 은, 케이스 (110) 의 Y 축 정측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 3 고정 접점 (173) 은, 바닥부 (110B) 에 있어서, X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X 축 정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고정 접점 (173) 은, 단자 홀더 (174)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단자 홀더 (174) 는, 절연성 소재가 사용되고, 제 3 고정 접점 (173) 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제 2 고정 접점 (172) 은, 바닥부 (110B) 에 있어서, X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 (171) 은, 바닥부 (110B) 에 있어서, X 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X 축 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 (172) 및 제 1 고정 접점 (171) 은, 단자 홀더 (175)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단자 홀더 (175) 는, 절연성 소재가 사용되고, 제 2 고정 접점 (172) 및 제 1 고정 접점 (171) 에 대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전환 스위치 (100) 는, 제 1 도통 상태 (슬라이더 (130) 가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 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점 (171) 과 제 3 고정 접점 (173) 이, 가동 유닛 (160) 이 구비하는 가동 접점 부재 (165) (도 10 및 도 11 참조) 를 개재하여, 서로 도통된 상태가 된다.
또, 전환 스위치 (100) 는, 제 2 도통 상태 (슬라이더 (130) 가 압하된 상태) 에 있어서, 제 2 고정 접점 (172) 과 제 3 고정 접점 (173) 이, 가동 유닛 (160) 이 구비하는 가동 접점 부재 (165) 를 개재하여, 서로 도통된 상태가 된다.
(가동 유닛 (160) 의 구성)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가 구비하는 가동 유닛 (160)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가 구비하는 가동 유닛 (160)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유닛 (160) 은, 제 1 액추에이터 (161), 캠 (162), 토션 스프링 (163), 제 2 액추에이터 (164), 및 1 쌍의 가동 접점 부재 (165) 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 부품 중, 캠 (162), 토션 스프링 (163), 제 2 액추에이터 (164), 및 1 쌍의 가동 접점 부재 (165)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조합되어 일체화된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으로부터, X 축 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아암상의 부재이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후단부에 형성된 상측 베어링면 (161A) 및 하측 베어링면 (161F)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의 내벽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회동 가능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3 이후에서 후술한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좌우 방향 (Y 축 방향) 에 있어서의 양측의 각각의 단차부에 형성된 상측 맞닿음면 (161B) 에 있어서, 슬라이더 (130) 에 의해 압하됨으로써, 하방을 향하여 회동한다. 이 때,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선단부측 (X 축 부측) 의 중앙부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 경사면 (161C) 에 있어서, 캠 (162) 을 하방으로 압하한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소정의 각도 하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슬라이더 (130) 에 의한 가일층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130) 에 의해 더욱 하방으로 압하되었을 때 (즉, 슬라이더 (130) 의 오버 스트로크시) 에, 소정의 각도 회동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리브 (110C) (도 7 참조) 를 따라, 슬라이더 (130) 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캠 (162) 은, 케이스 (110) 의 공간 (110A) 내에 있어서, X 축 부측으로부터 X 축 정측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동 가능한 아암상의 부재이다. 캠 (162) 은, X 축 부측으로부터 X 축 정측을 향하여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1 쌍의 아암부 (162A) 를 갖는다. 1 쌍의 아암부 (162A) 의 각각의 후단부 (X 축 부측의 단부) 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회동축부 (162B) 가 형성되어 있다. 캠 (162) 은, 회동축부 (162B) 가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후단부 (X 축 부측의 단부) 에 형성된 축 지지부 (164A)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캠 (162) 은, 탄성 지지 부재인 토션 스프링 (163) 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된다. 캠 (162) 은, 선단부 (X 축 부측의 단부) 에, 선단부가 만곡된 상방으로 볼록상의, 캠 산부 (162C) 를 갖는다. 캠 (162) 은,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경사면 (161C) 을 슬라이딩하면서 압하됨으로써, 회동축부 (162B) 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토션 스프링 (163) 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하방을 향하여 회동한다. 캠 (162) 은,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압하되었을 때에,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경사면 (161C) 을 미끄러져 올라감으로써, 회동축부 (162B) 가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축 지지부 (164A) 를 끌어 올린다. 이로써, 캠 (162) 은, 제 2 액추에이터 (164) 에 의해 유지된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접촉 상대를,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 전환한다.
토션 스프링 (163) 은, 탄성을 갖는 금속제의 부재이다. 토션 스프링 (163) 은, 일방의 아암부 (163A) 에 있어서,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상면을 하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타방의 아암부 (163B) 에 있어서, 캠 (162) 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축 지지부 (164A) 에 의해, 캠 (162) 의 회동축부 (162B) 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한다. 또,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1 쌍의 가동 접점 부재 (165) 를 유지한다.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 (110) 의 내바닥면에 대해 눌려져 있다.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압하되었을 때에, 캠 (162) 의 회동축부 (162B) 에 의해, 축 지지부 (164A) 가 상방으로 순시에 끌어 올려진다. 이로써,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1 쌍의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각각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 1 접점부 (165A) 의 접촉 위치를,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 순시에 전환하여, 스냅 액션 조작을 실시한다.
가동 접점 부재 (165) 는, X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이다.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타단부 (X 축 정측의 단부) 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점부 (165B) 는, 제 3 고정 접점 (173) 과 접촉한다.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일단부 (X 축 부측의 단부) 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접점부 (165A) 는, 제 1 도통 상태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점 (171) 과 접촉하고, 제 2 도통 상태에 있어서 제 2 고정 접점 (172) 과 접촉한다. 예를 들어, 가동 접점 부재 (165) 는, 얇은 금속판이 가공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제 1 접점부 (165A) 는, 제 1 고정 접점 (171) 및 제 2 고정 접점 (172) 을, 좌우 양측에서 사이에 두는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로써, 제 1 접점부 (165A) 는, 제 1 고정 접점 (171) 및 제 2 고정 접점 (172) 을, 좌우 양측에서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제 1 고정 접점 (171) 및 제 2 고정 접점 (172) 에 대한 접촉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전환 스위치 (100) 의 동작)
도 12 ∼ 도 2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상태>
도 12 는, 슬라이더 (130) 의 압하 조작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 (제 1 상태) 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 1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더 (130) 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압면 (130A) 이, 캠 (162) 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캠 산부 (162C) 와 맞닿아 있다. 또, 이 제 1 상태에 있어서, 제 2 액추에이터 (164)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가동 접점 부재 (165) 는, 수평인 상태에 있고, 제 1 접점부 (165A) 가 제 1 고정 접점 (171) 에 접촉하고 있으며, 제 2 접점부 (165B) 가 제 3 고정 접점 (173) 에 접촉하고 있다. 즉, 전환 스위치 (100) 는, 제 1 도통 상태에 있다.
<제 2 상태>
도 12 에 나타내는 제 1 상태에서, 슬라이더 (130) 의 압하 조작이 개시되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130) 의 가압면 (130A) 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를 하방으로 압하한다. 이로써, 캠 (162) 은,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축 지지부 (164A) 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는 회동축부 (162B) 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의 회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130) 가 하방으로의 슬라이드를 개시하고 나서, 슬라이더 (130) 가 약간 하방으로 슬라이드했을 때, 슬라이더 (130) 의 좌우 방향 (Y 축 방향) 에 있어서의 양측의 각각의 가압부 (130B) (도 31 참조)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좌우 방향 (Y 축 방향) 에 있어서의 양측의 각각의 상측 맞닿음면 (161B) 과 맞닿는다. 이로써, 슬라이더 (130) 는, 캠 (162) 의 압하에 더하여,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압하를 개시한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슬라이더 (130) 의 가압부 (130B) 에 의해 압하됨으로써, 제 1 축부 (112C) 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의 회동을 개시한다.
<제 3 상태>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제 2 상태에서, 슬라이더 (130) 가 약간 하방으로 슬라이드했을 때,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경사면 (161C) 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에 맞닿는다. 이후, 캠 (162) 의 캠 산부 (162C) 는, 슬라이더 (130) 의 가압면 (130A) 으로부터 이간되고,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경사면 (161C) 에 의해 압하된다.
<제 4 상태>
그리고,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소정 각도까지 하방으로 회동했을 때,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 때,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경사면 (161C) 을 미끄러져 올라가려고 하는 힘이, 캠 산부 (162C) 와 하측 경사면 (161C) 의 마찰 저항을 상회함으로써,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을, 당해 하측 경사면 (161C) 의 정상부 (161D) 를 향하여 순시에 미끄러져 올라가, 당해 정상부 (161D) 에 비집고 들어가 정지한다. 이 때, 정상부 (161D) 가 완만한 곡면상이기 때문에, 캠 산부 (162C) 와 정상부 (161D) 의 맞닿는 소리는 억제된 것이 된다.
<제 5 상태>
이로써,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162) 의 회동축부 (162B) 가,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축 지지부 (164A) 를 순시에 상방으로 끌어 올린다. 이 때,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당해 제 2 액추에이터 (164)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제 2 접점부 (165B) 와 제 3 고정 접점 (173) 의 접촉점 (즉, 제 3 고정 접점 (173) 이 절곡부) 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제 2 액추에이터 (164)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제 1 접점부 (165A) 의 접촉 위치가,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 순시에 바뀐다. 그 결과, 제 2 고정 접점 (172) 과 제 3 고정 접점 (173) 이 가동 접점 부재 (165) 를 개재하여 서로 도통하고, 즉, 전환 스위치 (100) 는, 제 2 도통 상태로 바뀐다. 이로써, 전환 스위치 (100) 는, 스냅 액션에 의한 순시의 전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제 6 상태>
또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130) 가 전환 조작 후에 더욱 압하되는 오버 스트로크에 의해, 슬라이더 (130) 가 더욱 하방으로 압하되면,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회동 각도가 고정된 채로, 캠 (162) 의 캠 산부 (162C) 를 압하하면서, 슬라이더 (130) 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슬라이드는,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 (110C) 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 이 때,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회동 중심이 되어 있던 덮개 (112) 의 제 1 축부 (112C) 로부터 서서히 하방으로 멀어져 간다.
<제 7 상태>
그리고,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5 에 나타내는 슬라이더 (130) 의 하단부 (130E) 와 케이스 (110) 의 바닥부 (110B) 가 맞닿을 때까지, 슬라이더 (130) 가 압하되면, 슬라이더 (130) 및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방으로의 슬라이드가 정지한다. 즉, 도 18 은, 슬라이더 (130) 의 오버 스트로크에 의해, 슬라이더 (130) 가 가장 압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슬라이더 (130) 의 압하 조작이 해제되면, 슬라이더 (130) 는,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162) 및 제 1 액추에이터 (161) 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도 12 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에 복귀한다.
<제 8 상태>
구체적으로는, 도 18 에 나타내는 제 7 상태에서,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회동 각도가 고정된 채로, 슬라이더 (130) 를 밀어 올리면서, 상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슬라이드는,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 (110C) 에 의해 가이드된다. 그리고,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덮개 (112) 의 제 1 축부 (112C) 에 맞닿으면,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상방으로의 슬라이드는 정지한다.
<제 9 상태>
이후, 도 2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캠 (162) 의 캠 산부 (162C) 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 덮개 (112) 의 제 1 축부 (112C) 에 축 지지되면서 상방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더 (130) 를 밀어 올린다. 또한,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덮개 (112) 의 제 1 축부 (112C) 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모습은, 도 20B 에 나타낸다. 그리고,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경사면 (161C) 을 미끄러져 올라가려고 하는 힘이, 캠 산부 (162C) 와 하측 경사면 (161C) 의 마찰 저항을 상회함으로써,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선단부를 향하여, 하측 경사면 (161C) 을 순시에 미끄러져 올라간다. 이에 수반하여, 캠 (162) 의 회동축부 (162B) 에 의한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축 지지부 (164A) 의 끌어 올림은 해소되고, 즉,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제 2 접점부 (165B) 와 제 3 고정 접점 (173) 의 접촉점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순시에 회동한다.
<제 10 의 상태>
그리고,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액추에이터 (164) 가 하방으로 순시에 회동할 때, 제 2 액추에이터 (164)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제 1 접점부 (165A) 의 접촉 위치가,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부터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 순시에 바뀐다. 그 결과, 제 1 고정 접점 (171) 과 제 3 고정 접점 (173) 이 가동 접점 부재 (165) 를 개재하여 서로 도통하고, 즉, 전환 스위치 (100) 는, 제 1 도통 상태로 순시에 바뀐다. 이로써, 전환 스위치 (100) 는, 스냅 액션에 의한 순시의 전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의 접촉 위치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경사면 (161C) 으로부터, 슬라이더 (130) 의 가압면 (130A) 으로 바뀌면,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상방으로의 회동이 종료되고,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슬라이더 (130) 의 가압면 (130A) 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고, 직접적으로 슬라이더 (130) 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제 11 의 상태>
그리고,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 (130) 가 덮개 (112) 의 하면에 맞닿으면, 슬라이더 (130) 의 상방으로의 슬라이드가 정지한다. 즉, 도 22 는, 슬라이더 (130) 가 가장 밀어 올려진 상태 (초기 상태) 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회동 가능한 구성)
다음으로, 도 23 ∼ 도 30 을 참조하여,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회동 가능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상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4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그 선단측 (X 축 부측)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Y 축 방향) 의 중앙부에, 캠 (162) 측 (X 축 부측) 을 향하여 돌출된 선단 형상을 갖는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좌우 방향 (Y 축 방향) 에 있어서의 양측의 각각의 단차부에는, 슬라이더 (130) 에 의해 압하되는 상측 맞닿음면 (161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선단측의 중앙부의 하측에는, 캠 (162) 을 압하하는 하측 경사면 (161C)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그 후단부 (X 축 정측의 단부) 의 좌우 방향 (Y 축 방향) 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일정한 폭을 갖고 전후 방향 (X 축 방향) 을 따라 절결된 가이드 홈 (161E) 을 갖는다. 이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후단부는, 가이드 홈 (161E) 을 사이에 끼우고, 좌우 1 쌍의 레그부 (161H) 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1 쌍의 레그부 (161H) 의 각각에는, 상방으로 노출된 곡면상의 상측 베어링면 (161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그 좌우 방향 (Y 축 방향) 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후단부에, 하방으로 노출된 (즉, 가이드 홈 (161E) 으로 노출된) 곡면상의 하측 베어링면 (161F) 을 갖는다.
도 25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110)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 의 상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6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110)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배치된 상태) 의 상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케이스 (110)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배치된 상태) 의 측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7 은, 케이스 (110) 만을 절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8 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절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9 및 도 30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의 측방에서 본 사시 단면도이다. 도 29 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절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0 은,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좌측의 레그부 (161H) 를 절단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5 ∼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 (110C) 를, 1 쌍의 레그부 (161H) 에 의해 좌우 양측에서 사이에 두도록 (즉, 가이드 홈 (161E) 내에 가이드 리브 (110C) 가 끼워 넣어지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홈 (161E) 의 폭은,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 (110C) 의 폭과 대략 동 사이즈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슬라이더 (130) 의 오버 스트로크시에, 가이드 리브 (110C) 에 의해 좌우 방향 (Y 축 방향) 으로의 덜컥거림이 억제되면서, 가이드 리브 (110C) 를 따라 상하 방향 (Z 축 방향) 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 도 26 ∼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베어링면 (161F) 은, 가이드 리브 (110C) 의 상단부에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배치되었을 때에, 가이드 리브 (110C) 의 상모서리부에 형성된 제 2 축부 (110D) 에 타고 올라감으로써, 당해 제 2 축부 (110D) 를 베어링한다.
또,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상측 베어링면 (161A) 은, 덮개 (112) 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하되어 형성된 축 지지부 (112B) (도 4 참조) 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축부 (112C) 가 다다르게 되는 것에 의해, 당해 제 1 축부 (112C) 를 베어링한다.
즉,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상측 베어링면 (161A) 이 상측으로부터 제 1 축부 (112C) 에 의해 축 지지됨과 함께, 하측 베어링면 (161F) 이 하측으로부터 제 2 축부 (110D) 에 의해 축 지지된다. 이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케이스 (110) 의 X 축 정측의 내벽면에 대해, 상측 베어링면 (161A) 및 하측 베어링면 (161F) 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와 슬라이더 (130) 의 관계)
도 31 및 도 32 는,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 및 슬라이더 (130) 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1 쌍의 레그부 (161H) 의 각각에, 외측으로 장출된 축상의 장출부 (161G) 를 갖는다. 장출부 (161G) 는, 슬라이더 (130) 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 (130C) 내에 배치된다. 장출부 (161G) 는, 슬라이더 (130) 의 상하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및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회동에 수반하여, 슬라이드 홈 (130C) 내에서, 회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장출부 (161G) 는, 슬라이더 (130) 가 소정량 압하되고,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소정 각도 회동했을 때에, 슬라이드 홈 (130C) 의 상단면 (130D) 에 맞닿음으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가일층의 회동을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측 베어링면 (161F) 은, 가이드 리브 (110C) 의 상모서리부에 형성된 제 2 축부 (110D) 에 대한 타고 올라감이 해제된다. 이 때문에,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하방으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슬라이더 (130) 의 오버 스트로크에 의해, 슬라이더 (130) 가 더욱 압하되면,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가이드 리브 (110C) 를 따라, 슬라이더 (130) 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케이스 (110) 와, 압하 조작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 (130) 와, 슬라이더 (130) 에 의해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와, 가동 접점 부재 (165) 를 유지하는 제 2 액추에이터 (164) 와, 가동 접점 부재 (165) 가 접촉하는 제 1 고정 접점 (171) 및 제 2 고정 접점 (172) 과, 제 2 액추에이터 (164)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제 1 액추에이터의 하측 경사면 (161C) 과 맞닿는 캠 산부 (162C) 를 갖고,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을 슬라이딩하면서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캠 (162) 과, 캠 (162) 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 (163) 을 구비하고, 캠 (162) 은,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했을 때에,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을 순시에 미끄러져 올라감으로써, 제 2 액추에이터 (164) 를 끌어 올리고,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접촉 상대를,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 순시에 전환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토션 스프링 (163) 을 사용하여 슬라이더 (130) 를 복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슬라이더를 복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종래의 전환 스위치와 비교하여, 수평 방향 (X 축 방향 및 Y 축 방향) 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의하면, 전환 스위치의 가일층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캠 (162) 에 의해 끌어 올려졌을 때에, 가동 접점 부재 (165) 를 제 3 고정 접점 (173) 에 접촉시킨 채로, 가동 접점 부재 (165) 와 제 3 고정 접점 (173) 의 접촉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접촉 상대를,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 순시에 전환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가동 접점 부재 (165) 와 제 3 고정 접점 (173) 의 접촉 위치를 지지점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제 2 액추에이터 (164) 를 회동시키기 위한 지지점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회동에 관련된 구성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캠 (162) 의 회동축부 (162B) 를 지지하는 축 지지부 (164A) 를 갖고, 캠 (162) 은, 회동축부 (162B) 에 의해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축 지지부 (164A) 를 끌어 올림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접촉 상대를,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부터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 전환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캠 (162) 이 제 2 액추에이터 (164) 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그 연결부에 의해 제 2 액추에이터 (164) 를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회동에 관련된 구성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제 2 액추에이터 (164) 는,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 (110) 의 내바닥부에 대해 눌려져 있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하나의 토션 스프링 (163) 을 사용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 (130) 를 복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과, 제 2 액추에이터 (164) 를 케이스 (110) 의 내바닥부에 대해 눌러 두는 것의 쌍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가일층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방으로의 과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슬라이더 (130) 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갖는 장출부 (161G) 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홈을 갖고,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슬라이더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장출부 (161G) 가 슬라이드 홈의 상단면에 맞닿음으로써, 가일층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 또한 확실하게,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하방으로의 과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회동축으로부터 일탈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슬라이더 (130) 가 더욱 하방으로 밀어 넣어졌을 때에, 회동 중심을 넘어 더욱 제 1 액추에이터 (161) 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슬라이더 (130) 의 가일층의 하방으로의 슬라이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회동축으로부터 일탈한 후,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회동 각도가 고정된 상태인 채, 케이스 (110) 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 (110C) 를 따라, 슬라이더 (130) 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슬라이더 (130) 의 오버 스트로크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때,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회동 각도가 고정된 상태인 채,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는 제 1 액추에이터 (161) 에 의해, 캠 (162) 을 더욱 압하할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가이드 리브 (110C) 는, 상단부에 제 2 축부 (110D) 를 갖고,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하측 베어링면 (161F) 을 갖고, 당해 하측 베어링면 (161F) 이 제 2 축부 (110D) 에 타고 올라감으로써, 제 2 축부 (110D) 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고,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회동에 의해 하측 베어링면 (161F) 이 제 2 축부 (110D) 로부터 탈락함으로써, 회동축으로부터 일탈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 1 액추에이터 (161) 를 회동축으로부터 일탈시킬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방으로 복귀했을 때에, 제 1 액추에이터 (161) 의 상측 베어링면 (161A) 이 덮개 (112) 의 제 1 축부 (112C) 에 다다르고, 슬라이더 (130) 가 소정의 높이 위치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복귀했을 때에,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제 1 축부 (112C) 에 축 지지되면서 회동한다. 이로써,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캠 (162) 의 캠 산부 (162C) 에 의해 밀어 올려짐으로써, 제 1 축부 (112C) 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제 1 액추에이터 (161) 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환 스위치 (100) 에 있어서, 캠 (162) 은, 제 1 액추에이터 (161) 가 제 1 축부 (112C) 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토션 스프링 (163) 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을 순시에 미끄러져 올라감으로써, 제 2 액추에이터 (164) 의 끌어 올림을 해소시키고, 가동 접점 부재 (165) 의 접촉 상대를, 제 2 고정 접점 (172) 으로부터 제 1 고정 접점 (171) 으로 순시에 전환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제 1 변형예)
도 33 은,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2) 의 측면도이다.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2) 는, 하측 경사면 (161C) 의 형상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제 1 액추에이터 (161) 와 동일하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하측 경사면 (161C) 이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이다. 한편, 제 1 액추에이터 (161-2) 는, 하측 경사면 (161C) 이, 경사 각도가 서로 상이한 2 개의 경사부 (161Ca, 161Cb) 가 연결된 다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액추에이터 (161-2) 의 하측 경사면 (161C) 은, 당해 하측 경사면 (161C) 의 선단측 (X 축 부측) 에, 평면상의 제 1 경사부 (161Ca) 를 갖고, 당해 하측 경사면 (161C) 의 후단측 (X 축 정측) 에, 제 1 경사부 (161Ca) 에 후속하는 평면상의 제 2 경사부 (161Cb) 를 갖는다. 제 2 경사부 (161Cb) 는, 제 1 경사부 (161Ca) 보다 경사 각도가 급준하다.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2) 에 의하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2) 의 하측 경사면 (161C) 을 선단측을 향하여 미끄러져 올라갈 때,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속도를, 2 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의 제 2 경사부 (161Cb) 를 미끄러져 올라갈 때에는, 당해 제 2 경사부 (161Cb) 의 경사 각도가 비교적 급준하기 때문에,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의 제 1 경사부 (161Ca) 를 미끄러져 올라갈 때에는, 당해 제 2 경사부 (161Cb) 의 경사 각도가 비교적 완만하기 때문에,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2) 에 의하면,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오름 개시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오름 개시시에 있어서의 걸림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2) 는, 스냅 액션에 의한 전환 조작시에,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속도가 가장 높아지도록, 하측 경사면 (161C) 이 2 개의 경사부 (161Ca, 161Cb) 를 갖는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2) 에 의하면, 스냅 액션에 의한 전환 조작의 전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당해 전환 조작에 있어서의 아크 방전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도 34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의 측면도이다.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는, 하측 경사면 (161C) 의 형상이, 제 1 액추에이터 (161) 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제 1 액추에이터 (161) 와 동일하다.
제 1 액추에이터 (161) 는, 하측 경사면 (161C) 이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갖는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이다. 한편, 제 1 액추에이터 (161-3) 는, 하측 경사면 (161C) 이, 곡률이 서서히 변화하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액추에이터 (161-3) 의 하측 경사면 (161C) 은, 당해 하측 경사면 (161C) 의 후단부 (X 축 정측의 단부) 로부터 선단부 (X 축 부측의 단부) 에 걸쳐, 곡률이 서서히 커지고, 또한, 경사 각도가 서서히 완만해지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액추에이터 (161-2) 의 하측 경사면 (161C) 은, 당해 하측 경사면 (161C) 의 선단측 (X 축 부측) 에, 비교적 경사 각도가 완만한 제 1 경사부 (161Cc) 를 갖고, 당해 하측 경사면 (161C) 의 후단측 (X 축 정측) 에, 제 1 경사부 (161Cc) 에 후속하는, 비교적 경사 각도가 완만한 제 2 경사부 (161Cd) 를 갖는다.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에 의하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제 1 액추에이터 (161-3) 의 하측 경사면 (161C) 을 선단측을 향하여 미끄러져 올라갈 때,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가속도를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의 후단부의 근방의 제 2 경사부 (161Cd) 를 미끄러져 올라갈 때에는, 당해 제 2 경사부 (161Cd) 의 경사 각도가 비교적 급준하기 때문에,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가속도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캠 (162) 의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의 선단부의 근방의 제 1 경사부 (161Cc) 를 미끄러져 올라갈 때에는, 당해 제 1 경사부 (161Cc) 의 경사 각도가 비교적 완만하기 때문에,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가속도를, 서서히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에 의하면,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오름 개시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오름 개시시에 있어서의 걸림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특히,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는, 하측 경사면 (161C) 이 최고 속도 강하 곡선 (사이클로이드) 을 따른 곡면 형상을 갖는다. 최고 속도 강하 곡선 (사이클로이드) 은, 원을 굴렸을 때에, 어느 한 점이 그리는 곡선이다. 예를 들어, 직선, 원호, 최고 속도 강하 곡선 (사이클로이드) 의 각각에 볼을 굴렸을 때, 최고 속도 강하 곡선 (사이클로이드) 을 구르는 볼이, 가장 빠르게 종점에 도달한다.
이 때문에,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에 의하면, 캠 산부 (162C) 가 하측 경사면 (161C) 의 선단부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시간화할 수 있다.
또,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는, 스냅 액션에 의한 전환 조작시에,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속도가 가장 높아지도록, 하측 경사면 (161C) 이 최고 속도 강하 곡선 (사이클로이드) 을 따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에 의하면, 스냅 액션에 의한 전환 조작의 전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당해 전환 조작에 있어서의 아크 방전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5A ∼ 도 35D 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에 대한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오름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 ∼ 도 35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는, 하측 경사면 (161C) 이, 서서히 후단부 (X 축 정측의 단부) 로부터 선단부 (X 축 부측의 단부) 에 걸쳐 서서히 경사 각도가 완만해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최고 속도 강하 곡선 (사이클로이드) 을 따른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5A 및 도 3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는, 하측 경사면 (161C) 의 후단부측 (X 축 정측) 의 제 2 경사부 (161Cd) (도 34 참조) 가, 경사 각도가 비교적 급준하기 때문에, 캠 산부 (162C) 가 당해 제 2 경사부 (161Cd) 를 미끄러져 올라갈 때의,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가속도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5C 및 도 35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제 1 액추에이터 (161-3) 는, 하측 경사면 (161C) 의 선단부측 (X 축 부측) 의 제 1 경사부 (161Cc) (도 34 참조) 가, 경사 각도가 비교적 완만하기 때문에, 캠 산부 (162C) 가 당해 제 1 경사부 (161Cc) 를 미끄러져 올라갈 때의, 캠 산부 (162C) 의 미끄러져 올라가는 가속도를, 서서히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본 국제 출원은, 2020년 6월 24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20-10897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00 : 전환 스위치
110 : 케이스
110A : 공간
110B : 바닥부
110C : 가이드 리브
110D : 제 2 축부
112A : 개구부
112 : 덮개
112A : 개구부
112B : 축 지지부
112C : 제 1 축부
114 : 걸림부
130 : 슬라이더
130A : 가압면
150 : 홀더
152 : 훅
160 : 가동 유닛
161, 161-2, 161-3 : 제 1 액추에이터
161Ca : 제 1 경사부
161Cb : 제 2 경사부
161Cc : 제 1 경사부
161Cd : 제 2 경사부
161A : 상측 베어링면
161B : 상측 맞닿음면
161C : 하측 경사면
161F : 하측 베어링면
161G : 장출부
162 : 캠
162A : 아암부
162B : 회동축부
162C : 캠 산부
163 : 토션 스프링
163A, 163B : 아암부
164 : 제 2 액추에이터
164A : 축 지지부
165 : 가동 접점 부재
165A : 제 1 접점부
165B : 제 2 접점부
170 : 단자부
171 : 제 1 고정 접점
172 : 제 2 고정 접점
173 : 제 3 고정 접점
174, 175 : 단자 홀더

Claims (16)

  1. 케이스와,
    압하 조작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제 1 액추에이터와,
    가동 접점 부재를 유지하는 제 2 액추에이터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가 접촉하는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과,
    제 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의 하측 경사면과 맞닿는 캠 산부를 갖고, 상기 캠 산부가 상기 하측 경사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압하됨으로써, 하방으로 회동하는 캠과,
    상기 캠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캠은,
    상기 제 1 액추에이터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했을 때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 산부가 상기 하측 경사면을 미끄러져 올라감으로써,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를 끌어 올리고,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접촉 상대를, 상기 제 1 고정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고정 접점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상기 캠에 의해 끌어 올려졌을 때에,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제 3 고정 접점에 접촉시킨 채로, 상기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제 3 고정 접점의 접촉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접촉 상대를, 상기 제 1 고정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고정 접점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상기 캠의 회동축부를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고,
    상기 캠은,
    상기 회동축부에 의해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의 상기 축 지지부를 끌어 올림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접촉 상대를, 상기 제 1 고정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고정 접점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추에이터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바닥부에 대해 눌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상기 슬라이더가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가일층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 1 액추에이터가 갖는 장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홈을 갖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장출부가 상기 슬라이드 홈의 상단면에 맞닿음으로써, 가일층의 하방으로의 회동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회동축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일탈한 후,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회동 각도가 고정된 상태인 채, 상기 케이스의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따라,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단부에 제 2 축부를 갖고,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하측 베어링면을 갖고, 당해 하측 베어링면이 상기 제 2 축부에 타고 올라감으로써, 상기 제 2 축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하측 베어링면이 상기 제 2 축부로부터 탈락함으로써,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추에이터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방으로 복귀했을 때에, 당해 제 1 액추에이터의 상측 베어링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축부에 다다르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소정의 높이 위치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복귀했을 때에, 상기 캠의 상기 캠 산부에 의해 밀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제 1 축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 1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 1 축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높이 위치까지 상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탄성 지지 부재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 산부가 상기 하측 경사면을 미끄러져 올라감으로써, 상기 제 2 액추에이터의 상기 끌어 올림을 해소시키고,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접촉 상대를, 상기 제 2 고정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 1 고정 접점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경사면은,
    상기 캠의 상기 캠 산부가 미끄러져 올라감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사 각도가 완만해지는 다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경사면은,
    상기 캠의 상기 캠 산부가 미끄러져 올라감에 따라 서서히 경사 각도가 완만해지는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경사면은,
    최고 속도 강하 곡선을 따른 상기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경사면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접촉 상대가, 상기 제 2 고정 접점으로부터 상기 제 1 고정 접점으로 바뀌는 타이밍에, 상기 캠 산부가 상기 하측 경사면을 미끄러져 올라가는 속도가 가장 높아지는 상기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스위치.
KR1020227041068A 2020-06-24 2021-06-16 전환 스위치 KR20230003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08975 2020-06-24
JP2020108975 2020-06-24
PCT/JP2021/022931 WO2021261357A1 (ja) 2020-06-24 2021-06-16 切り換えスイ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010A true KR20230003010A (ko) 2023-01-05

Family

ID=7928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068A KR20230003010A (ko) 2020-06-24 2021-06-16 전환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00532A1 (ko)
JP (1) JPWO2021261357A1 (ko)
KR (1) KR20230003010A (ko)
CN (1) CN115917690A (ko)
DE (1) DE112021003355T5 (ko)
WO (1) WO2021261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8677A1 (ja) * 2022-07-20 2024-01-2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8271A (ja) 2014-09-10 2016-04-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切換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8888A (en) * 1976-11-30 197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witch
JP5026379B2 (ja) * 2008-09-22 2012-09-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5898564B2 (ja) * 2012-05-16 2016-04-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型スイッチ装置
JP6958661B2 (ja) 2020-02-10 2021-11-02 株式会社リコー 立体造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8271A (ja) 2014-09-10 2016-04-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切換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3355T5 (de) 2023-04-06
CN115917690A (zh) 2023-04-04
WO2021261357A1 (ja) 2021-12-30
JPWO2021261357A1 (ko) 2021-12-30
US20230100532A1 (en)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123B2 (en) Stand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003010A (ko) 전환 스위치
US6830165B2 (en) Needle threader with height adjustable thread pusher
US4169974A (en) Push operated momentary switch
JPH09274830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WO2006115184A1 (en) Card connector
CA1077551A (en) Snap-action electric switch with fulcrum means for limited contact sliding and positive-off torque
CN209786313U (zh) 簧片和可收纳插头
JPH04155791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22162310A (ja) スイッチ装置
JP6725370B2 (ja) 押圧入力装置
WO2023112922A1 (ja) 可動ユニット、切り換えスイッチ、および製造方法
WO2018235517A1 (ja) スイッチ
WO2024018677A1 (ja) スイッチ装置
JP4458952B2 (ja) レバースイッチ
JP3133890B2 (ja) スイッチ装置
US6268575B1 (en) Lever switch device
WO2024018676A1 (ja) スイッチ装置
JP7241204B2 (ja) スイッチ
JP362123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1069780C (zh) 开关
JP3143862B2 (ja) 押圧スイッチ
JPH0343628Y2 (ko)
JP2729914B2 (ja) 押釦スイッチ
JPS5821059Y2 (ja) レバ−操作型スライドスイッ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