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929A - 안전 장벽을 구비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안전 장벽을 구비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929A
KR20230002929A KR1020227040666A KR20227040666A KR20230002929A KR 20230002929 A KR20230002929 A KR 20230002929A KR 1020227040666 A KR1020227040666 A KR 1020227040666A KR 20227040666 A KR20227040666 A KR 20227040666A KR 20230002929 A KR20230002929 A KR 20230002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way
safety barrier
drive
st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그라스무크
게르트 뒤르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0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4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uspended tracks serving as haulage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00Transferring passengers, articles, or freight to and from moving trains; Slipping or coupling vehicles from or to moving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케이블웨이의 작동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2)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제공되고, 센서는 개방 상태의 함수로서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제어 유닛(4)에 센서 신호(Y)를 전송하고, 제어 유닛(4)은 획득된 센서 신호(Y)의 함수로서 케이블웨이 드라이브를 제어하고, 안전 장벽(2)의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수신될 때, 제어 유닛(4)은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중지하거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공되고, 안전 장벽(2)은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정지되거나 구동 속도가 감소되는 개방 위치로부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거나 구동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는 폐쇄 위치로 안전 장벽(2)을 재설정하도록 원격 제어 장치(7)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안전 장벽을 구비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용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에 관련되고,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이 제공되고,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된다. 상기 센서는 개방 상태의 함수로서 센서 신호를 생성하고, 센서 신호를 케이블웨이 드라이브의 제어 유닛에 전송하며, 제어 유닛은 획득된 센서 신호의 함수로서 케이블웨이 드라이브를 제어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을 구비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용 안전 시스템에 관련되고,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이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를 작동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케이블웨이는 2개 이상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사이에서 사람과 자재를 이송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의자나 곤돌라와 같은 다수의 케이블카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사이에서 순환하거나 앞뒤로 왕복하며 이동된다. 케이블카는 적어도 하나의 견인 케이블에 의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사이에서 이동된다. 케이블카는 (공중 케이블웨이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케이블에 매달릴 수 있거나,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레일이나 지상(케이블 철도)에 배열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견인 케이블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카는 견인 케이블에 해제 가능하게 클램핑되거나 고정되고, 견인 케이블과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순환 케이블카의 경우, 케이블카는 보통 예를 들면, 해제 가능한 케이블 클램프에 의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의 견인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며, 사람들이 더 쉽게 타고 내리게 하거나, 자재를 더 쉽게 로딩 또는 언로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을 통해 더 낮은 속도로 이동된다.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에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액세스 제한부를 갖는 상이한 영역이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웨이의 운전 요원과 승객 둘 모두에게 접근이 허용되는 영역, 예를 들면, 입구/출구 영역이 있을 수도 있다. 종종 운전 요원만 접근이 허용되고 승객의 입장은 허용되지 않거나 원하지 않는 영역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은 즉각적인 부상 위험이 없지만, 예를 들면, 운영상의 이유로 운전 요원이 아닌 사람의 접근이 금지된 입구/출구 영역 외부의 영역일 수 있다. 게다가, 안전상의 이유로 모든 사람, 즉, 운전 요원과 같은 작업에 연관된 사람, 그리고 또한 승객과 같은 운전 요원이 아닌 사람 둘 모두의 접근이 금지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의 영역도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위험 영역에는 특히, 이동 부분이 위치되는 드라이브 주위의 영역, 및/또는 전류가 흐르고 있는 영역이 포함된다.
이러한 위험 구역에 들어가면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이것이 일반적으로 안전 장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이유이다. 현재까지, 대부분 이러한 안전 장벽이 사용되어서 개방 시에 케이블웨이의 구동의 비상 정지가 작동한다. 알려진 케이블웨이의 경우, 안전 규정은 일반적으로 케이블웨이를 작동하는 동안에 작동을 모니터링하고 케이블웨이를 제어하는 1명의 운전 요원이 항상 현장에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시스템의 유형과 크기에 따라, 원활한 작동을 위해 존재하는 1명 이상의 운전 요원이 포함될 수도 있다. 운전 요원은 일반적으로 모니터링될 영역, 특히 입구/출구 영역 및 위험 영역에 대한 좋은 시각적 개요를 제공하는 운전실으로부터 케이블웨이를 제어한다. 게다가, 운전 요원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체어리프트의 의자 또는 곤돌라 리프트의 카(car)와 같은 케이블카에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을 돕는다.
지금까지, 예를 들면, 승객이 부주의로 또는 고의로 제한 영역에 진입하기 때문에 안전 장벽이 작동되면, 자동으로 케이블웨이의 비상 정지가 작동되는 동시에 알람이 작동된다. 예를 들어, 트리거링(triggering)은 안전 장벽이 개방될 때 작동되는 기계식 접촉 스위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스위치는 케이블웨이 드라이브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여 드라이브가 즉시 중지된다.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에 이미 존재하는 운전 요원은 일반적으로 어떤 상황 하에서 그리고 누구에 의해 안전 장벽이 개방되었는지 결정하기 위해 안전 장벽 주위의 영역을 점검한다. 점검이 완료되고 금지 구역에 더이상 사람이 없는지 보장되면, 케이블웨이의 작동을 계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전 장벽은 운전 요원이 수동으로 폐쇄 위치로 재설정해야 했으며, 그 결과 접촉 스위치에 의해 전기 접촉이 복원되었다. 케이블웨이의 재가동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의 운전실에 있는 컨트롤러를 통해) 수동으로 수행된다.
자동화 기술 분야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최근 이송 분야의 트렌드는 자동화 작동을 지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도시에서는, 이미 무인 지하철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내부 이송 프로세스에서 완전 자동화 시스템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이송 프로세스의 제어는 완전히 자동으로 수행되며, 요원은 본질적으로 원활한 작동을 모니터링하는데만 필요하며, 가능한 경우 비상사태에 필요하다. 따라서, 지금까지 상당히 요원 집약적인 케이블웨이 분야에서, 트렌드는 작동을 위한 가능한 최대의 자동화를 지향하고, 그리고/또는 더 적은 수의 운전 요원으로 점진적으로 이 목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로부터 출발하여,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웨이의 작동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안전한 작동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안전 장벽의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웨이 드라이브를 정지시키거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목적이 달성되며, 상기 안전 장벽은 케이블웨이 드라이브가 정지되거나 구동 속도가 감소되는 개방 위치로부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를 다시 활성화될 수 있거나 구동 속도를 다시 증가될 수 있는 폐쇄 위치로 상기 안전 장벽을 재설정하도록 원격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원격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을 구비한다. 그 결과, 운전 요원이 더이상 수동으로 안전 장벽을 폐쇄 위치로 재설정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이제 이는 원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안전 장벽이 작동될 때, 드라이브가 평소와 같이 완전히 정지되거나, 예를 들면, 금지 구역에 들어갈 때 부상 위험이 없는 경우 감속 작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안전 장벽의 원격 제어 재설정 후, (예를 들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내의 운전실으로부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를 다시 활성화하거나 속도를 다시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은 작동 유닛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안전 장벽의 원격 제어 재설정 후,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가 수신될 때, 케이블웨이 드라이브를 자동으로 재활성화시키거나, 구동 속도를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안전 장벽의 원격 제어 폐쇄가 별도의 활성화가 발생하지 않고도 케이블웨이의 작동을 동시에 재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작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내부 및/또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외부에 알람 유닛이 제공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벽의 개방 위치가 센서에 의해 감지될 때 바람직한 광학 및/또는 음향 알람이 트리거링(trigger)된다. 그 결과, 운전 요원 및/또는 선택적으로 다른 승객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벽의 작동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및/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을 통해 무선으로 및/또는 유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및/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내부 및/또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외부에 배열된다. 고정식 및/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내의 운전실 및/또는 여러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의 중앙 운전실에 배열된다. 휴대폰 또는 휴대용 컴퓨터는 휴대형 원격 제어 유닛으로서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에 관계없이 안전 장벽의 매우 유연할 수 있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이전과 같이, 운전 요원이 더이상 안전 장벽을 개인적으로 재설정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본 재설정은 운전실 또는 중앙 운전실으로부터, 또는 휴대용 장치를 통해 임의의 위치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센서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무선 연결을 통해 설치 노력이 거의 필요없는 매우 간단한 시스템이 생성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평가 유닛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이 센서로서 제공되며, 적어도 안전 장벽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캡처 범위에 배열되고, 평가 유닛은 안전 장벽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고 센서 신호를 제어 유닛에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이미지 인식을 통해 개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센서를 안전 장벽에 직접 배열할 필요가 없다. 유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안전 장벽이 카메라 시스템으로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의 캡처 범위에 배열되고,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운전실에, 그리고/또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외부에, 바람직하게는 여러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을 위한 중앙 운전실에 제공된다. 그 결과, 운전 요원은 예를 들면, 운전실으로부터 안전 장벽의 영역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잠재적인 위험이 감지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유닛으로 안전 장벽을 폐쇄 위치 내로 재설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안전 장벽의 영역에 배열된 기계식 접촉 스위치, 유도 센서, 용량 센서, 광 장벽, 레이저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또한 센서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적용에 따라 적절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내후성 센서는 비보호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시스템 외에 추가 센서가 제공되는 경우, 중복 시스템도 제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케이블웨이의 작동의 신뢰성과 결과적으로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간단하고 강력한 시스템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목적은 또한 안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안전 장벽은 원격 제어 유닛을 갖는 안전 장벽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재설정하기 위해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을 구비한다.
본 목적은 또한 케이블웨이를 작동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안전 장벽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가 제어 유닛에 의해 정지되거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의 구동 속도는 감소되고,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안전 장벽은 케이블웨이 드라이브가 중지되거나 구동 속도가 감소되는 개방 위치로부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거나 구동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는 폐쇄 위치로 재설정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예로서, 본 발명의 개략적이고 비제한적인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이하를 도시한다.
도 1은 케이블웨이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의 평면도.
도 2는 3개의 케이블웨이용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의 평면도.
도 3은 중앙 운전실을 갖는 하나의 케이블웨이에 대해 공간적으로 분리된 여러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곤돌라 리프트로 설계된 케이블웨이(S)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이다.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기본적인 구조 및 기능은 알려져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므로, 도면은 크게 단순화되었으며,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만 도시된다. 케이블웨이(S)는 견인 케이블(12)과 함께 이동되는 다수의 케이블카(F)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케이블웨이(S)는 케이블카(F)가 견인 케이블(12)로부터 결합 및 분리되는 순환 케이블웨이로서 설계된다. 본 경우, 견인 케이블은 풀리 휠(13) 주위에서 180° 편향되고, 풀리 휠(13)에 의해 구동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 예를 들면, 풀리 휠(13)을 구동하는 전기 드라이브가 제공된다. 물론, 이는 단지 예일 뿐이며, 예를 들면, 2개의 종단 스테이션 및 하나 이상의 중앙 스테이션과 같이 여러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은 케이블웨이에 제공될 수도 있고,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각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에 제공될 수 있다. 180° 미만의 케이블 편향도 원칙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이 일반적으로 제공되며, 이들 사이에서 케이블카(F)가 예를 들면, 사람(P) 및/또는 물체를 이송하도록 순환하고,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제공된다.
제어 유닛(4)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제공되며, 제어 유닛은 케이블웨이(S)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에 연결되거나 그 내부에 통합된다. 제어 유닛(4)은 풀리 휠(13)의 이동과, 그 결과, 견인 케이블(1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카(F)가 견인 케이블(12)에 연결될 때 이동되는 속도는 제어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순환 케이블웨이의 케이블카(F)는 견인 케이블(12)의 속도와 상관없이, 대부분 저속으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을 통해 이동될 수 있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에 진입할 때 견인 케이블(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케이블카(F)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케이블카(F)는 다시 견인 케이블(12)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에서 케이블카(F) 내로, 그리고 케이블카(F)로부터의 보다 편안한 출입이 가능하게 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인 케이블(12)의 변경되지 않은 높은 속도에 의해 높은 이송 용량이 달성될 수 있다.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카(F)는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도시되지 않음)의 롤러에 의해 안내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상부 구역에 배열된다.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 견인 케이블(12)로부터 분리된 케이블카(F)의 구동은 예를 들면, 알려진 마찰 드라이브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어 유닛(4)은 견인 케이블(12)의 구동뿐만 아니라, 특히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에서 분리된 상태의 케이블카(F)의 구동을 제어한다.
원칙적으로, 운전실(9)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도 제공되며, 이 룸으로부터, 책임이 있는 운전 요원(B)은 케이블웨이, 특히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어 콘솔(14)은 운전실(9)에, 예를 들면, 제어 유닛(4)에 연결된 컴퓨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운전실(9)은 보통, 케이블웨이(S)의 작동에 책임이 있는 운전 요원(B)이 필수 영역, 특히 진입 및/또는 출구 영역을 볼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특정 상황 하에서 사람의 안전을 위협하는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승객이 케이블카(F)에 탑승/하차할 때 넘어지면, 운전 요원(B)은 개입하여 제어 콘솔(14)을 통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중지하거나, 예를 들면, 또는 적어도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2)은 또한 사람 또는 물체가 허가 없이 특정 영역에 위치, 및/또는 진입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장벽(2)은 종종 안전에 특히 중요한 영역에, 예를 들면, 이동 부분이 위치되는 케이블웨이(S)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 영역에 배열된다. 안전 장벽(2)은 종종 케이블카(F)가 다시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견인 케이블(12)에 다시 결합되는 케이블웨이(S)의 출구 영역에 배열된다.
케이블카의 출구 영역에서, 안전 장벽(2)은 예를 들면, 카의 안내 윤곽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안전 장벽(2)의 형상은 예를 들면, 카의 외부 윤곽부 또는 그 일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정상 작동에서, 케이블카(F)는 안전 장벽(2)이 작동되거나 트리거링되지 않고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안전 장벽(2)과 카 사이의 가능한 가장 작은 거리로 안전 장벽(2)을 통과한다. 그러나, 케이블웨이(S)의 작동 동안에, 카 문이 잠기지 않았거나 완전히 잠기지 않았을 때, 물체가 카 문에 끼이거나 사람이 케이블카에 의해 끌려가는 등의 특정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카 또는 그 일부의 외부 윤곽부는 일반적으로 정상 작동 시 더이상 카의 윤곽부와 일치하지 않는다. 그 결과, 안전 장벽(2)이 작동되는데, 이는 예를 들면, 측방향으로 돌출된(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카 문, 물체 또는 사람에 의해 작동되거나 트리거링되고 정상 작동 동안에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변 안전 또는 부상의 위험에 대해 중요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승객과 같은 허가되지 않은 사람의 접근이 작동상의 이유로 허용되지 않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영역은 또한 안전 장벽(2)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안전 장벽(2)은 특히 안전과 관련이 있고, 그리고/또는 운전 요원(B)에게 잘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많은 상이한 요소를 통로 접근을 차단하기에 적합한 안전 장벽(2)(예를 들면, 문, 바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전 장벽(2)의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관련이 없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3개의 안전 장벽(2)이 배열된다. 하나의 안전 장벽(2)은 본 경우에 드라이브, 특히 드라이브의 이동 부분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풀리 휠(13) 아래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구역에 배열된다. 구성요소를 더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풀리 휠(13)이 안전 장벽의 구역에서 절단되어 도시된다. 추가 안전 장벽(2)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출구 영역에 배열되며, 케이블카(F)는 케이블카(F)의 속도를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내에서의 저속으로부터 견인 케이블(12)의 비교적 고속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견인 케이블(12)에 다시 결합된다. 출구 영역의 안전 장벽(2)은 예를 들면,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블 카(F)를 위한 안내 윤곽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 3 안전 장벽(2)은 운전실(9)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승객이 접근할 수 있는 탑승/하차 영역을 허가된 운영자가 아닌 사람, 특히 승객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분리한다.
케이블웨이(S)의 정상 작동에서, 안전 장벽(2)은 일반적으로 통로가 차단되는 폐쇄 위치에 있으며, 예를 들면,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작동될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관련된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3)는 각 안전 장벽(2)에 할당된다. 센서(3)는 제어 유닛(4)에 연결되고, 개방 상태의 함수로서 센서 신호(Y)를 제어 유닛(4)에 전송한다. 신호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제어 유닛(4)은 획득된 센서 신호(Y)를 처리하고, 센서 신호(Y)의 함수로서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제어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도 1의 드라이브의 구역에서 안전 장벽(2)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장벽(2)에 근접하게 배열된 기계식 접촉 스위치, 유도 센서, 용량 센서, 광 장벽, 레이저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센서(3)로서 제공될 수 있다.
안전 장벽(2)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작동되는 경우, 센서(3)는 개방 위치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센서 신호(Y)를 제어 유닛(4)에 전송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이는 예를 들면, 접촉 스위치의 접촉이 차단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수신되면, 제어 유닛(4)은 예를 들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비상 정지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도 1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 근처, 또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으로부터 케이블카의 출구 영역에서, 부상의 위험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영역의 안전 장벽(2)이 작동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덜 중요한 지역의 경우에, 예를 들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속도 감소가 단순히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는 안전 장벽(2)이 작동되면, 케이블웨이(S)의 비상 정지가 일반적으로 유발되는데, 이는 예를 들면, 케이블카(F) 내에 너무 늦게 오르고자 하는 승객에 의해 출구 영역에서 안전 장벽(2)이 작동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동은 물체, 예를 들면, 객실 문에 클램핑된 물체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운전 요원(B)은 문제의 안전 장벽(2)의 영역을 이전에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고 안전 장벽(2)의 작동 원인을 파악하였다. 정상 작동 상태가 존재하거나 복원되었다고 판단되면, 안전 장벽(2)은 수동으로 손으로 폐쇄된다. 그 다음에,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운전실(9)으로부터 책임이 있는 같은 사람 또는 다른 사람의 운전 요원(B)에 의해 수동으로 손으로 활성화되었다. 특히, 운전실(9)과 안전 장벽(2)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에, 그리고 예를 들어, 운전 요원(B) 중 한 사람만 작동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경우에, 케이블(S)의 작동이 재개될 수 있을 때까지 대기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6)은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에 할당되며, 이에 의해 안전 장벽(2)은 수동 개입 없이 적합한 원격 제어 장치(7)에 의해 개방 위치의 상태로부터 다시 폐쇄 위치의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예에서, 3개의 도시된 안전 장벽(2) 각각은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6)에 할당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원격 작동" 또는 "원거리에서"는 운전 요원의 사람을 안전 장벽(2)의 현장에 위치시킬 필요 없이 안전 장벽(2)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다시 재설정하기 위해 작동 장치(6)에 의해 안전 장벽(2)에 영향을 주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특히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안전 장벽(2)의 폐쇄 위치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웨이(S)의 제한 없는 정상 작동이 가능한 정상 상태에서의 안전 장벽(2)의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개방 위치는 일반적으로 폐쇄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안전 장벽(2)의 임의의 주어진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에 의해 케이블웨이(S)의 제한된 작동이 트리거링된다.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에 의해 감지된다.
고정식 원격 제어 유닛(7a)은 예를 들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운전실(9)에 또는 케이블웨이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운전실(9) 또는 제어 센터에 있는 사람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 센터에 배열되는 원격 제어 유닛(7)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중앙 운전실(17)은 예를 들면, 도 3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케이블웨이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어 센터로서 제공될 수 있다. 고정식 원격 제어 유닛(7a)은 예를 들면, 제어 콘솔(14)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b)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도 1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유닛(6)이 운전실(9)과 독립적으로 국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적합한 휴대 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적절한 휴대용 컴퓨터가 고려될 수 있다.
작동 유닛(6)은 예를 들면, 안전 장벽(2)이 재설정되는 전기 드라이브와 같은 적절한 드라이브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유압, 공압 또는 전자기 드라이브와 같은 다른 드라이브도 가능하다. 작동 유닛(6)의 제어는 원격 제어 유닛(7)으로부터 작동 유닛(6)으로 직접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직접 일어날 수 있다. 신호 전송은 예를 들면, 라디오를 통해 무선으로, 또는 예를 들면, 전기선을 통해 유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어는 원격 제어 유닛(7)으로부터 제어 유닛(4)으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 유닛(4)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리고 중앙에서 일어날 수도 있으며, 제어 유닛(4)은 작동 유닛(6)을 제어한다.
안전 장벽(2)이 원격 제어 유닛(7)을 통해 폐쇄 위치로 다시 이동된 후, 폐쇄 위치가 센서(3)에 의해 감지되고,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제어 유닛(4)으로 전송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운전 요원(B)에 의한 수동 제어에 의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재가동되거나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는 작동 준비 상태가 복원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4)이 폐쇄 위치에 해당하는 센서 신호(Y)가 수신될 때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자동으로 시동시키거나, 안전 장벽(2)이 개방될 때 드라이브가 정지되었는지 또는 속도만 감소되었는지에 따라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속도가 증가한다. 안전 장벽(2)이 폐쇄 위치로 다시 이동된 경우, 즉, 안전 장벽(2)이 다시 정상 상태를 취한 경우에만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시작 또는 속도 증가가 가능하다는 것이 중요하다. 개방 위치에서는,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불가능한다. 유리하게는, 작동 유닛(6)은 운전 요원(B)이 관련 안전 장벽(2)의 영역에 더이상 임의의 위험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만 안전 장벽(2)을 폐쇄하도록 작동된다.
활성화된 안전 장벽(2)의 영역이 보이지 않거나 단지 잘 보이지 않는 경우에, 안전 장벽(2)이 카메라(10)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안전 장벽(2)은 카메라(10)의 캡처 범위에 배열되고, 캡처된 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형태로 예를 들면, 적절한 디스플레이 유닛, 예를 들면, 운전실(9)의 모니터, 또는 (예를 들면, 고정식 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장치(7)에 전송된다. 그 다음에, 운전 요원(B)은 운전실(9)으로부터 직접 또는 원격 제어 장치(7)에 의해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7)에 의해 안전 장벽(2)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웨이(S)의 작동을 복원하고 특히,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활성화한다. 그 결과, 케이블웨이(S)의 유리한 부분 자동화 작동이 달성될 수 있고, 케이블웨이(S)가 재가동되기 전에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동일한 수준의 안전성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수신될 때 바람직하게는 광학적 또는 음향적 알람 신호를 트리거링하는 알람 유닛(8)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제공된다. 본 경우에도, 센서 신호(Y)를 알람 유닛(8)으로 직접,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하거나, 알람 유닛(8)이 센서 신호(Y)를 수신하는 제어 유닛(4)을 통해 간접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장벽(2)의 트리거링을 알리기 위해 일종의 사이렌이 알람 유닛(8)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신호등, 예를 들면, 표시등(beacon light)이 제공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벽(2)당 하나의 신호등이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특정 활성화된 안전 장벽(2)의 감지가 용이하다. 그러나, 알람 유닛(8)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외부, 예를 들면, 중앙 운전실(17)에 배열될 수도 있다(도 3).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 및 평가 유닛(11)을 구비하는 카메라 시스템(K)이 센서(3)로서 사용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카메라(10)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가능하다면, 공간적 배치가 주어지면 다수의 안전 장벽(2)이 물론 도 1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될 수도 있다. 평가 유닛(11)은 안전 장벽(들)(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고 개방 상태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Y)를 제어 유닛(4)에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이미지 인식은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각각의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도록 설계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평가 유닛(11)에서 구현된다.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K)의 사용은 예를 들면, "머신 비전"이라는 용어로 선행 기술에 알려져 있다. 평가 유닛(11)은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와 하나의 유닛을 형성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제어 유닛(4)에 통합될 수도 있고, 또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카메라 시스템(K)을 사용하면, 예를 들면, 안전 장벽(2)에 근접한 기존 센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카메라 시스템(K) 및 센서(3)는 중복성을 위해 병렬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3개의 케이블웨이(S1 내지 S3)를 위한 단일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승객이 다수의 상이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공통 출입점을 생성하기 위해 유리할 수 있다. 본 경우에, 승객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서 어떤 케이블웨이(S1 내지 S3)에 탈지 결정하고 대응하는 케이블카(F)에 탑승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분리된 3개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대신에 공통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공간 절약형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블웨이(S1 내지 S3)를 중앙에서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어서 보다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당 케이블웨이 직원(B) 중 적어도 한 사람이 케이블웨이(Si)를 제어하고 작동을 모니터링해야 했지만, 이제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더 적은 수의 사람들로 가능하다. 그러므로,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운전실(9)만 제공되며, 운전실(9)으로부터 3개의 케이블(S1 내지 S3)은 중앙 제어 장치(4)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각 케이블(S1 내지 S3)에는 각각의 풀리 휠(13)과,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의 견인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케이블카(F)를 구동하기 위해 별개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에 할당된다.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중앙 제어 유닛(4)에 의해 제어되며, 그 결과, 예를 들면, 3개의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케이블카(F)의 이동은 서로 동기화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별개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로 인해, 모든 케이블(S1 내지 S3)이 항상 작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예를 들어, 3개의 케이블웨이(S1 내지 S3) 중 1개 또는 2개만 작동할 수도 있다. 물론, 모든 케이블웨이(S1 내지 S3)에 대한 공유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원격 제어 유닛(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작동 유닛(6)을 구비하는 하나의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2)은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각각의 출구 영역에 할당된다. 물론,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6)을 구비하는 하나의 안전 장벽(2)만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전 장벽(2)은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블카(F)의 객실에 대한 안내 윤곽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유닛(7)은 본 경우에 운전실(9) 내에 고정식 원격 제어 유닛(7a)의 형태로 배열되고, 특히 제어 콘솔(14) 내에 통합된다. 제어 콘솔(14)은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제어하기 위해 중앙 제어 유닛(4)에 연결된다. 각각의 안전 장벽(2)에는 센서(3)로서의 기능을 하는 카메라 시스템(K)의 카메라(10)가 할당된다. 각각의 안전 장벽(2)은 관련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된다.
카메라 시스템(K)의 평가 유닛(11)은 본 경우에 제어 유닛(4)에 통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는 이미지 인식에 의해 카메라 시스템(K)을 통해 모니터링되고, 안전 장벽(2)의 개방 위치가 감지되면 해당 센서 신호(Y)가 중앙 제어 유닛(4)으로 전송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제어 유닛(4)은 센서 신호(Y)의 함수로서 모든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정지시키거나 그 속도를 감소시킨다. 별개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경우에, 특정 케이블웨이(Si)만을 정지시키거나 속도를 줄이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이를 위해 안전 장벽(2)이 작동된다.
차례로, 하나 이상의 알람 유닛(도시되지 않음)은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벽(2)의 트리거링을 신호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제공된다. 승객이 인지할 수도 있는 광 또는 사이렌 형태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일반적인 알람 신호에 더하여, 각각의 경우에 작동되는 안전 장벽(2)은 운전실(9)에서 예를 들면, 모니터 상에 적절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작동된 안전 장벽(2)을 더 빨리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빠른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모든 안전 장벽(2)이 운전실(9)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경우, 이는 카메라 시스템(K)이 센서(3)로서의 기능 외에, 운전실(9)의 운전 요원(B)에게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전송로서, 적어도 트리거링된 안전 장벽(2)의 영역의 상황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그 결과, 운전실(9)으로부터, 넘어진 사람 또는 끼인 물체와 같은 잠재적인 위험한 상황이 수정되었는지가 결정될 수 있고, 관련 안전 장벽(2)은 원격 제어 유닛(7b)에 의해 운전실(9)으로부터 폐쇄 위치로 직접 다시 이동될 수 있다. 카메라 시스템(K)은 안전 장벽(2)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폐쇄 위치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센서 신호(Y)를 제어 유닛(4)에 전송한다. 그 결과, 정상 작동 상태가 복원되며, 예를 들면, 각각의 케이블(Si)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재가동될 수 있거나,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운전실(9)으로부터 운전 요원(B)에 의해 능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4)은 주어진 케이블웨이(Si) 또는 모든 케이블(S1 내지 S3)의 작동을 자동으로 복원하고 이들의 속도를 다시 증가시키기 위해, 센서 신호(Y)가 수신될 때 획득된 센서 신호(Y)의 함수로서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자율적으로 제어한다.
트리거링된 안전 장벽(2)의 구역에 위험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운전 요원(B)은 안전 장벽(2)의 구역의 상황을 개인적으로 평가하고, 작동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복원할 수 있다. 본 경우에 케이블웨이(Si) 또는 모든 케이블웨이(S1 내지 S3)를 가능한 한 빨리 다시 작동시키기 위해, 이는 안전 장벽(2)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b)을 통해 폐쇄될 수 있다면 유리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1 참조). 이로부터 종래의 케이블에 비해 케이블웨이의 작동의 효율이 본 발명에 의해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높은 작동 안전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조작성은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로 별도로 배열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서 다수의 안전 장벽(2)을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스키장의 일부가 매우 단순화된 방식으로 도시된다. 15번 도로가 이 영역의 계곡을 통과한다. 스키장에는 3개의 케이블웨이(S1 내지 S3)가 제공되며, 이들 각각은 하부 스테이션으로 설계된 터미널 스테이션 형태의 제 1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과, 정상 스테이션(summit station)으로 설계된 터미널 스테이션 형태의 제 2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b)을 갖는다. 물론, 중앙 스테이션 형태의 추가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이 그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케이블웨이(S1 내지 S3)는 순환 케이블웨이로 구현되며, 이들 각각은 하부 스테이션으로부터 정상 스테이션으로(또는 그 반대로) 사람 및/또는 물체를 이송하기 위해, 견인 케이블(12)에 의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 사이에 알려진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케이블카(F)를 구비한다. 다수의 케이블웨이 지지체(16)는 견인 케이블(12)을 안내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 사이에 공지된 방식으로 배열된다. 물론, 도시는 크게 단순화되고,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특징만을 도시한다.
각각의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풀리 휠(13)에 의해 견인 케이블(12)을 구동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도시되지 않음)가 또한 각각의 경우에 제공된다. 각각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4)(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보다 간단한 설치로 인해,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일반적으로 하부 스테이션(1a)에 제공된다.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되었으며, 이 시점에서 더이상 상세히 논의하지 않는 이유이다.
도시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안전 장벽(2)(도시되지 않음)은 3개의 케이블웨이(S1 내지 S3) 중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에 제공되며, 그 작동 모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 장벽(2) 각각은 1개 (또는 그 이상)의 원격 제어 유닛(들)(7)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유닛(6)을 구비하여,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중단되거나 적어도 속도가 감소되는 개방 위치로부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거나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 폐쇄 위치로 트리거링된 후에, 안전 장벽(2)을 재설정할 수 있게 한다. 물론, 그러나 이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Si)의 단 하나의 안전 장벽(2)에만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6)이 할당된다면 본 발명에 대해 다시 충분하다. 원격 제어 유닛(7)에 의한 안전 장벽(들)(2)의 원격 제어된 재설정, 및 각각의 케이블웨이(Si)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후속 재시동은 예를 들면, 별도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안전 장벽(2)의 폐쇄 위치가 관련된 센서(3)에 의해 감지되고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관련된 제어 유닛(4)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 제어 유닛(4)에 의해 재설정이 또한 자동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중앙 운전실(17)은 가능한 한 각각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 내에 제공되는 운전실(9)(도 1 및 도 2 참조)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본 경우에 중앙 운전실(17)은 예를 들면, 스키장 내의 별도의 건물에서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의 운전실(9) 또는 스키장의 완전히 외부에 위치된 중앙 운전실(17) 중 하나가 또한 중앙 운전실(17)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중앙 운전실(17)에서, 고정식 원격 제어 유닛(7a)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모든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의 안전 장벽(2)의 작동 유닛(6)은 안전 장벽(2)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제어 유닛(4)이 제어될 수 있는 중앙 운전실(17)의 중앙 제어 콘솔(도시되지 않음)을 제공함으로써, 중앙 운전실(17)으로부터 폐쇄 위치에 도달한 후,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거나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 안전 장벽(2)의 폐쇄 위치가 각각의 센서(3)에 의해 감지되고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제어 유닛(4)에 전송되지만, 각각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재가동은 자동으로 수행된다. 중앙 운전실(17)을 사용함으로써, 케이블웨이(S1 내지 S3)는 유리하게 중앙에서 제어될 수 있고,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작동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운전 요원(B)이 안전 장벽(2)을 폐쇄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에서 직접 현장에 존재할 필요가 없다.
대안적으로 또는 중앙 운전실(17) 내의 도시된 고정식 원격 제어 유닛(7a)에 더하여, 안전 장벽(2)이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b)에 의해 또한 작동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전 장벽(2)의 폐쇄 및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재가동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 및 중앙 운전실(17)의 위치와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b)과 각각의 케이블(S1 내지 S3)의 제어 유닛(4)의 통신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적합한 라디오 연결을 통해 무선으로 발생한다. 적합한 휴대 전화, 그리고 특히 스마트폰,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특히, 태블릿 컴퓨터는 예를 들면,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b)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에 운전 요원(B)이 없는 경우에도 안전 장벽(2)의 영역을 시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전 장벽(2)의 영역이 카메라(10)(도 1 참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경우에 유리하며, 캡처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는 바람직하게는 실시간 전송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면, 중앙 운전실(17)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모니터의 형태로 중앙 제어 콘솔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적합한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b)은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필요한 경우에, 예를 들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 중 하나에서 안전 장벽(2)이 트리거링되고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정지된 경우에, 트리거링된 안전 장벽(2)의 영역의 상황은 중앙 운전실(17)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장치(7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10)의 전송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로 인해, 여전히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안전 장벽(2)이 트리거링될 때 승객이 부상을 입은 경우 운전 요원(B) 및/또는 비상 대응 요원을 해당 위치로 보낼 수 있다. 전송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에 기초하여 더이상 임의의 위험이 없다고 결정되면, 안전 장벽(2)은 각각의 고정식 및/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a, 7b)에 의해 폐쇄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으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재가동될 수 있다.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로서, 안전 장벽(2)의 구역에 배열된 기계식 접촉 스위치, 유도 센서, 용량 센서, 광 장벽, 레이저 센서, 자기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 제공되는 경우, 안전 장벽(2)의 시각적 모니터링을 위해 별도의 카메라(10)가 필요하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와 평가 유닛(11)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K)이 센서(3)로 제공되는 경우, 카메라 시스템(K)의 카메라(10)는 유리하게는 캡처된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운전 요원(B)이 더이상 각각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에 영구적으로 존재할 필요가 없지만, 예를 들어, 원격 작동을 통해 대처할 수 없는 케이블웨이(S1 내지 S3)의 작동 중단에 대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운전 요원(B)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알람 유닛(8)은 또한 안전 장벽(2)이 작동되었을 때 알람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유닛(8)은 안전 장벽(2)의 트리거링을 알리기 위해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a, 1b)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알람 유닛(8)은 또한 유리하게는 알람 신호에 의해 안전 장벽(2)이 트리거링되었다는 것, 그리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벽(2) 중 어느 것이 작동되었는지를 운전 요원(B)에게 알리기 위해 중앙 운전실(17)에 제공된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2)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S)용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3)가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제공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개방 상태의 함수로서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제어 유닛(4)에 센서 신호(Y)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 유닛(4)은 획득된 센서 신호(Y)의 함수로서의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제어하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은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수신될 때,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제공되고, 상기 안전 장벽(2)은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정지되거나 상기 구동 속도가 감소되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거나 상기 구동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는 폐쇄 위치로 상기 안전 장벽(2)을 재설정하도록 원격 제어 유닛(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원격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4)은 상기 작동 유닛(6)에 의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상기 안전 장벽(2)의 원격 재설정 후에, 상기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Y)가 수신될 때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를 다시 자동으로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구동 속도를 다시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위치가 상기 센서(3)에 의해 감지될 때 바람직한 시각 및/또는 음향 알람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알림 유닛이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부 및/또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외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의 작동 유닛(6)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및/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a, 7b)을 통해 무선으로 및/또는 유선으로 제어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및/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a, 7b)은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운전실(9)에, 그리고/또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외부에, 바람직하게는 여러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을 위한 중앙 운전실(17)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상기 제어 유닛(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와 평가 유닛(11)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K)이 상기 센서(3)로서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되며, 상기 평가 유닛(11)은 적어도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 신호(Y)를 상기 제어 유닛(4)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가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에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운전실(9)에, 그리고/또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외부에, 바람직하게는 여러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을 위한 중앙 운전실(17)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의 구역에 배열된 기계식 접촉 스위치, 유도 센서, 용량 센서, 광 장벽, 레이저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상기 센서(3)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9.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2)과,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개방 상태의 함수로서 센서 신호(Y)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3)를 구비하는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용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은 상기 안전 장벽(2)이 원격 제어 유닛(7)에 의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재설정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작동 가능한 작동 유닛(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시스템은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위치가 상기 센서(3)에 의해 감지될 때 바람직한 광학 및/또는 음향 알람을 트리거링하기 위한 알람 유닛(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시스템은 상기 안전 장벽(2)의 작동 유닛(6)을 제어하기 위한 고정식 및/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7a, 7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와 평가 유닛(11)을 갖는 카메라 시스템(K)이 센서(3)로서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되고, 상기 평가 유닛(A)은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 신호(Y)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평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 장벽(2)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의 구역에 배열된 기계식 접촉 스위치, 유도 센서, 용량 센서, 광 장벽, 레이저 센서, 자기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가 상기 센서(3)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
  15. 개방 가능한 안전 장벽(2)이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S)를 작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가 모니터링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웨이(S)의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상기 개방 상태의 함수로서 제어 유닛(4)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케이블웨이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상기 제어 유닛(4)에 의해 정지되거나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구동 속도가 감소되고, 원격 제어 유닛(7)에 의해 상기 안전 장벽(2)은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정지되거나 상기 구동 속도가 감소되는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거나 상기 구동 속도가 다시 증가될 수 있는 폐쇄 위치로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작동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이 상기 원격 제어 유닛(7)에 의해 상기 폐쇄 위치로 재설정되었을 때,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는 상기 제어 유닛(4)에 의해 자동으로 재활성화되거나, 또는 상기 케이블웨이 드라이브(5)의 구동 속도가 다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작동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이 개방될 때, 바람직한 시각 및/또는 음향 알람이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내부 및/또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외부에서 트리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작동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운전실(9)에, 그리고/또는 여러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을 위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외부의 중앙 운전실(17)에 배열된 고정식 원격 제어 유닛(7a)을 통해, 또는 휴대용 원격 제어 장치(7a), 바람직하게는 휴대 전화 또는 휴대용 컴퓨터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작동 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벽(2)의 개방 상태는 카메라 시스템(K)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되고, 상기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된 안전 장벽(2)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에 의해 캡처되며, 상기 이미지는 상기 개방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이미지 인식에 의해 평가 유닛(11)에 의해 평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작동 방법.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0)의 캡처 범위(A)에 배열된 안전 장벽(2)의 이미지 및/또는 비디오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에 의해 캡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의 운전실(9)에, 그리고/또는 상기 케이블웨이 스테이션(1) 외부의 중앙 운전실(17)에 배열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웨이 작동 방법.
KR1020227040666A 2020-04-22 2021-04-20 안전 장벽을 구비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KR202300029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345/2020 2020-04-22
ATA50345/2020A AT523076B1 (de) 2020-04-22 2020-04-22 Seilbahnstation mit Sicherheitsschranke
PCT/EP2021/060193 WO2021214035A1 (de) 2020-04-22 2021-04-20 Seilbahnstation mit sicherheitsschran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929A true KR20230002929A (ko) 2023-01-05

Family

ID=7566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666A KR20230002929A (ko) 2020-04-22 2021-04-20 안전 장벽을 구비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159064A1 (ko)
EP (1) EP4139180A1 (ko)
JP (1) JP7488538B2 (ko)
KR (1) KR20230002929A (ko)
CN (1) CN115427284A (ko)
AR (1) AR121897A1 (ko)
AT (1) AT523076B1 (ko)
AU (1) AU2021260768A1 (ko)
CA (1) CA3180813A1 (ko)
CO (1) CO2022016667A2 (ko)
MX (1) MX2022013256A (ko)
WO (1) WO2021214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9573A1 (en) * 2021-09-30 2023-04-05 Syrto AG Winter sport equipment monitoring system, method for monitoring a winter sport equipment in a transport carrier of a gondola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AT526045A1 (de) * 2022-04-06 2023-10-15 Innova Patent Gmbh Umlaufseilbah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36707A1 (en) * 1973-07-09 1975-02-07 Pomagalski Sa Non-stop automatic ski lift cableway - access to loading position is controlled by automatic barriers
FR2652856B1 (fr) * 1989-10-11 1995-05-24 Manuel Vincent De Araujo Dispositif de securite actionnable par un corps en mouvement, en particulier portillon de securite.
ATE106478T1 (de) * 1990-02-19 1994-06-15 Kurt Berner Schranken-absperranordnung für parkflächen.
FR2702186B1 (fr) * 1993-03-05 1995-05-05 Pomagalski Sa Télésiège à tapis roulant d'embarquement.
AT505100A3 (de) * 2007-03-22 2011-03-15 Innova Patent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eilbahnanlage mit einer talstation und mit mindestens einer bergstation und seilbahnanlage
PL2052942T3 (pl) * 2007-10-25 2012-02-29 Schweizer Electronic Ag Urządzenie i sposób sterowania i/lub monitorowania instalacji barierowej
EP2234859B1 (de) * 2007-12-28 2011-06-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 mit ein-/ausstiegshilfe
DE202011106879U1 (de) * 2011-10-17 2013-01-18 ChairkiD Fördertechnik GmbH Einstiegssteuervorrichtung für Liftanlagen
AT516582B1 (de) * 2014-11-20 2020-1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FR3044995B1 (fr) 2015-12-11 2018-01-05 Poma Installation de transport pa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27284A (zh) 2022-12-02
AR121897A1 (es) 2022-07-20
JP2023528161A (ja) 2023-07-04
AT523076A4 (de) 2021-05-15
AT523076B1 (de) 2021-05-15
EP4139180A1 (de) 2023-03-01
CA3180813A1 (en) 2021-10-28
MX2022013256A (es) 2022-11-14
JP7488538B2 (ja) 2024-05-22
CO2022016667A2 (es) 2022-11-29
WO2021214035A1 (de) 2021-10-28
AU2021260768A1 (en) 2022-12-01
US20230159064A1 (en)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7957B (zh) 用于电梯的紧急监测系统
KR20230002929A (ko) 안전 장벽을 구비한 케이블웨이 스테이션
CN111164036B (zh) 电梯的防范系统
CN108382304B (zh) 基于lte通信的地铁站台门工作监测装置的运行方法
AU2017266731B2 (en) System for assisting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 danger on an aerial lift
CN108883894B (zh) 用于运行电梯系统的方法和设计用于执行该方法的电梯系统
CN107777491B (zh) 与运输系统中的被困乘客的通信
CN114728758B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KR100876661B1 (ko) 영상 기반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JP4741940B2 (ja) 監視システム、同システムを構成する移動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2015231893A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KR20050062889A (ko) 영상돌발검지기를 이용한 열차 비상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605895B1 (ko) 승강장안전문 안전감시영상시스템 및 방법
JP4811775B2 (ja) エレベータ籠内物体認識装置
JP2009035339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20100013481A (ko) 열차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573727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0604355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
CN112037484A (zh) 一种铁路货场防侵限安全智能预警系统
KR200359196Y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N113860109B (zh) 一种电梯远程救援方法及远程救援系统
KR101235799B1 (ko) 객차의 범죄예방을 위한 대중교통 수단용 집중촬영 감시 시스템
US20230322274A1 (en) Circular cableway
KR200345401Y1 (ko) 영상돌발검지기를 이용한 열차 비상제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