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96Y1 -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96Y1
KR200359196Y1 KR20-2004-0013264U KR20040013264U KR200359196Y1 KR 200359196 Y1 KR200359196 Y1 KR 200359196Y1 KR 20040013264 U KR20040013264 U KR 20040013264U KR 200359196 Y1 KR200359196 Y1 KR 200359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platform
unit
safety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
장미숙
Original Assignee
허진
장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 장미숙 filed Critical 허진
Priority to KR20-2004-0013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45Destination indicators, identification panels or distinguishing signs on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4Automatic systems, e.g. controlled by train; Change-over to manual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의 전체를 촬상하여 그 정보를 송출하고, 승객이 탑승대기선을 넘어선 정도를 단계적으로 감지하여 그 정도에 따라 설정된 안전사고방지동작을 수행하는 승강장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장치부로부터 전송되는 승강장의 안전상태를 확인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며, 열차의 객실을 모니터하여 안전사고 또는 범죄의 발생을 방지하는 열차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장치부와 열차장치부와의 통신을 통해 전체 승강장과 열차의 안전운행상태를 점검하는 상황실장치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승객이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탑승대기선과 승강장 끝단의 사이에 승객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되, 단계적인 감지를 수행하여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한 대응조치를 마련함으로써, 승객이 철로로 추락하거나, 승강장 끝단에 근접한 승객과 열차의 충돌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SAFETY ACCIDENT PREVENTING SYSTEM FOR RAILROAD PLATFORM}
본 고안은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승강장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질서의식을 높이며, 철로로의 추락사고, 승하차시 에 발빠짐 사고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국철, 지하철, 전철 등) 승강장에는 차량의 진입이 완료되거나 출발이 완료될 때까지 승객이 차량으로부터 이격되어야 하는 안전거리를 나타내는 안전선이 표시되어 있다. 안전선은 차량을 기다리는 승객이 통과, 진입 또는 출발하는 궤도차량과 휩쓸리거나 부딪치지 않도록 하고, 부주의로 승강장 선로부에 떨어져 진입하는 차량에 충돌하지 않도록 차량의 선로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승강장 외측에 표시해 놓은 접근 제한선이다.
따라서, 승객들은 차량의 진입과 출발 시에 상기 안전선을 준수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진입하는 차량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차량의 경적음 및 안내방송에 의해 차량 진입 또는 출발 시 안전선 안쪽으로 안전하게 대피하게 된다.
한편, 승객 스스로가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는 방법 외에 차량을 운영하는 측에서 차량의 진입과 출발을 알리는 경보음이나 안내방송을 통하여 승객들에게 위험을 상기시켜주며, 승강장 주위에 차량의 기관사가 승강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와 모니터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안전요원을 배치하여 사고의 예방에힘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객의 부주의나 기타 예상치 못한 이유로 인해 승객이 진입하는 차량과 부딪치거나, 차량의 문틈새 또는 차량과 승강장의 틈새에 끼이거 나, 승강장 선로에 떨어지는 돌발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승강장 또는 열차 내부의 화재가 발생하여, 특히 대부분 지하로 운행하는 지하철 및 지하철 승강장에 치명적인 돌발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제 낙하물 등에 의한 위해요인과 인명추락에 의한 돌발상황 및 화재발생에 대하여, 현재의 열차 승강장에서이루어지는 안전요원 및 수동경보장치에 의한 안전대책은 인원 및 설비적 측면뿐만 아니라 적절한 상황조치에 있어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차량 기관사의 육안을 통한 주의깊은 전방주시나 안전속도 준수 및 순간감속에 의한 반응은 상기 돌발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기관사의 주 임무가 차량의 안전운행에 있는 만큼,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로 상기 승강장 내 이용객의 탑승상태와 승/하차 시 차량의 도어 개폐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더라도 이를 계속적으로 주시하면서 모니터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재 열차가 역 구내의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경우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승강장에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고, 또 열차 이용자들이 열차에서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이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안전발판 등이 설치된다.
이하, 도 1에서 도시한 종래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인 안전발판은 전철이 진입된 후 승강문이 개방될 때, 이를 감지하여 승강장에 장치된 가변 승강장이 연장되도록 구동되게 하고, 승객이 안전하게 승, 하차되게 한후, 승강문이 닫힌 것이 감지되면 연장된 승강장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전철의 운행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것으로서, 포토센서(2)와 연결된 컨트롤 판넬(1)은 솔레노이드 밸브(3)와 연결되어, 일측으로는 압축탱크(4), 레귤레터(5)와 연이어 연결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다수개 발판패드(8)의 측하단에 연결된 연결부재(9)를 밀고, 당기는 에어 실린더(6)와 각각 연이어 연결되어, 상기 포토센서(2)의 감지에 따라 상기 에어 실린더(6)를 구동, 상기 발판패드(8)를 접고, 펴며 가변 승강장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열차 승객들이 안전하게 열차에서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안전발판은 승객들의 승, 하차시 발빠짐 사고를 방지할 수는 있으나 최근 지하철의 선로 내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크린 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가 최근 지하철 자살사고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설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스크린 도어 역시 모든 철도 승강장에 설치하는 것은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이용객이 많은 역이나 환승역에 우선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철도 승강장은 여전히 사고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된 안전발판과 스크린 도어는 열차와 통신을 통해 동작되는데,이러한 통신은 에이티오(ATO ; Automatic Train Operation)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이러한 에이티오(ATO) 장치는 역에 있는 열차 정지 위치와의 거리를 표시하는 정지 위치 선행 표시 장치(PSM ; Precision Stop Marker)과, 지상 장치부와 차상 장치부로 이루어져, 열차와 지상 장치간에 양방향 무선통신을 행하는 차상 장치와 지상 장치간의 통신장치(TWC ; Train to Wayside Communication) 등의 주변 장치로부터 열차 운행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무인 운전 모드(Driverless Mode), 자동 운전 모드(Automatic Mode), 수동 운전 모드(Manual Mode), 구내 운전 모드(Yard Mode), 비상 운전 모드(Emergency Mode) 등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에이티오(ATO)장치는 최신 열차와, 현재 신설중인 승강장이거나 최근에 건설된 승강장에만 적용이 되어 있고, 오래전에 설치된 승강장에는 미 적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승강장 및 열차에 스크린 도어와 안전발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에이티오(ATO) 장치를 구축하여야 함으로, 이러한 에이티오(ATO) 장치를 별도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설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철 내에서의 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효율적인 시스템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철도 승강장 이용자의 질서의식을 자연스럽게 높일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도 승강장 이용자가 철로와 근접한 정도에 따라 상황을 예측하고, 그 예측결과에 적절한 대응을 수행하여 안전사고의 요소를 미리 제거할 수 있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열차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철도 승강장장치부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승강장장치부 110:제1감지부
120:제2감지부 130:제3감지부
140:열차 도착 감지부 150:열차 출발 감지부
160:CCD카메라 170:제어반
180:탑승대기선 190:열차 진입 감지부
200:열차장치부 210:객실카메라
220:모니터 230:통신부
300:상황실장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승강장의 전체를 촬상하여 그 정보를 송출하고, 승객이 탑승대기선을 넘어선 정도를 단계적으로 감지하여 그 정도에 따라 설정된 안전사고방지동작을 수행하는 승강장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장치부로부터 전송되는 승강장의 안전상태를 확인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며, 열차의 객실을 모니터하여 안전사고 또는 범죄의 발생을 방지하는 열차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장치부와 열차장치부와의 통신을 통해 전체 승강장과 열차의 안전운행상태를 점검하는 상황실장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장장치부는 철도 승강장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승강장의 좌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적외선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에 비하여 상기 승강장 끝단으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2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동일선상 또는 승강장 끝단과의 이격거리가 그 제2감지부보다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탑승대기선과; 상기 승강장과 철로의 사이에 위치하여 승객이 철로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와; 상기 승강장에 열차가 진입되는 측으로 일정거리에 설치하여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열차 진입감지부와; 상기 철로에서승강장에 정차하는 열차의 선단을 검출하는 열차 도착 감지부와; 상기 열차 도착 감지부에 비하여 열차의 진행방향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여 열차의 출발을 감지하는 열차 출발 감지부와; 상기 승강장 내부를 촬상하는 다수의 CCD카메라와; 상기 각부의 검출신호 및 촬상신호를 수신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와, 영상신호의 송수신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와, 승강장내에 경고음을 송출하기 위한 경고음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차장치부는 객실의 출입문 상부측에 위치하여 객실을 촬상하는 객실카메라와; 상기 객실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다채널로 표시하여 열차승무원이 객실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승강장장치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하여 승강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승강장장치부로부터 안전 경고의 신호를 그 상태를 열차승무원에게 인지시켜 그 제어에 대응하는 열차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객실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상기 승강장장치부로 전송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르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장의 전체를 촬상하여 그 정보를 송출하고, 승객이 탑승대기선을 넘어선 정도를 단계적으로 감지하여 그 정도에 따라 설정된 안전사고방지동작을 수행하는 승강장장치부(100)와; 상기 승강장장치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승강장의 안전상태를 확인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며, 열차의 객실을 모니터하여 안전사고 또는 범죄의 발생을 방지하는 열차장치부(200)와; 상기 승강장장치부(100)와 열차장치부(200)와의 통신을 통해 전체 승강장과 열차의 안전운행상태를 점검하는 상황실장치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장치부(100)는 철도 승강장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승강장의 좌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적외선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제1감지부(110)와; 상기 제1감지부(110)에 비하여 상기 승강장 끝단으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2감지부(120)와; 제2감지부(120)와 동일선상 또는 승강장 끝단과의 이격거리가 그 제2감지부(120)보다 더 원거리에 표시되는 탑승대기선(180)과; 상기 승강장과 철로의 사이에 위치하여 승객이 철로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130)와; 상기 승강장에 열차가 진입되는 측으로 일정거리에 설치하여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열차 진입감지부(190)와; 상기 철로에서 승강장에 정차하는 열차의 선단을 검출하는 열차 도착 감지부(140)와; 상기 열차 도착 감지부(140)에 비하여 열차의 진행방향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여 열차의 출발을 감지하는 열차 출발 감지부(150)와; 상기 승강장 내부를 촬상하는 다수의 CCD카메라(160)와; 상기 각부의 검출신호 및 촬상신호를 수신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반(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차장치부(200)는 각 객실의 출입문 상부측에 위치하여 객실을 촬상하는 객실카메라(210)와; 상기 객실카메라(210)에서 촬상된 영상을 다채널로 표시하여 열차승무원이 객실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승강장장치부(100)의 CCD카메라(160)의 촬상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220)와; 상기 승강장장치부(100)의 제어반(170)의 제어를 수신하여 그 제어를 열차승무원에게 인지시켜 그 제어에 대응하는 열차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객실카메라(210)에서 촬상된 영상을 제어반(170)으로 전송하는 통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그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철도 승강장장치부를 구성하는 각부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상기 제1감지부(110)는 승강장의 끝단으로부터 약 85~100cm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제2감지부(120)는 승강장의 끝단으로부터 185~205cm 정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고, 탑승대기선(180)은 승강장의 끝단으로부터 205cm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감지부(110)와 제2감지부(120)는 일측에 수광소자가 지면으로부터 50c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로 위치하는 수광부와 그 수광소자에 대응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발광부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반(170)은 역무실에 구비되는 것이다.
열차가 승강장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들은 상기 탑승대기선(180)의 안쪽에서 대기한다.
상기 탑승대기선(180)의 안쪽이라 함은 철로의 반대편을 뜻한다.
이때, 승객이 상기 탑승대기선(180)을 넘어 철로 측으로 이동하면, 이는 제2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제2감지부(120)의 센싱 결과는 상기 제어반(170)에 전달되며, 그 제어반(170)에서는 앰프를 통해 녹음된 음성 또는 실제 음성을 출력하도록 하여, 승객이 탑승대기선(180)을 넘지 않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170)은 경광등이나 사이렌을 이용하여 탑승대기선(180)을 벋어난 승객 또는 방호원에게 경고를 하며, 그 방호원이 승객을 계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조치로 상기 승객이 다시 탑승대기선(180) 안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경고는 중단된다.
그러나 상기 승객이 보다 철로 측으로 접근하여 상기 제1감지부(110)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한 제1감지부(110)의 출력에 따라 제어반(170)은 상기 경고를 계속하면서 열차장치부(200)의 통신부(230)로 승객이 철로와 인접해 있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열차의 승무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열차의 승무원은 열차를 서행하도록 조작한다.
상기 제어반(170)과 열차장치부(200)의 통신부(230)는 상호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자 송신부 및 수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열차장치부(200)의 통신부(230)는 열차의 출입문 상부에 설치된 객실카메라(210)에서 촬상된 영상을 상기 제어반(170)으로 전송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상기 제어반(170)은 역의 CCD카메라(160)에서 촬상된 영상과 상기 열차 출입문의 객실카메라(210)에서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는 디지털비디오리코더(DVR;171)을 포함하며, 랜이나 무선통신을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열차의 승무원은 경고가 발생된 도착역의 CCD카메라(160)에서 촬상되어 제어반(170)의 통신부(172)를 통해 전송되는 역의 상황을 모니터로 확인하면서 열차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반(170)으로부터의 경고 등 무선 전송신호는 상호 열차가 교차되는 방향에 따라 일방향은 주파수 대역을 같거나 다르게 하고, 타방향으로 교차되어 진행되는 열차와 주파수대역을 다르게 형성하여 승강장 내에서 교차되는 열차의 신호의 혼선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승객이 제1감지부(110)를 넘어선 후, 열차의 철로로 추락한 경우, 제3감지부(130)는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반(17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3감지부(130)는 압력센서이며, 철로의 주변에 설치하여 승객 또는 물건이 추락함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제3감지부(1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반(170)은 상기 열차장치부(2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함과 아울러 상황실장치부(300)에도 철로에 승객이 추락했음을 알리고, 방호원이 추락한 승객을 구호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열차장치부(200)는 경고음을 발생하여 열차승무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열차를 정차시킨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정차할 수도 있고, 열차에 탑재된 항법장치를 이용하여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차시킬 수 있다.
상기 상황실장치부(300)에서는 특정 역에 승객이 추락했음을 인지하고, 그 역에 도착할 열차가 정차하였는지 감시하게 되며, 정차하지 않은 경우 그 열차에 정차할 것을 지시한다.
또한, 운행중인 열차에 특정 역에서 승객이 철로로 추락했음을 알리고, 운행 간격의 조정 등을 지시한다.
상기 방호원이 추락한 승객을 구호한 후에는 다시 정상적인 동작상태로 각 장치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방호원은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리모트 콘트롤러 등의 수단으로 제어반(170)에 인지시킬 수도 있고, 제어반(170)을 감시하는 역무원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상황이 종료됨을 알려 역무원이 제어반(170)을 조작하여 정상동작을 시킬 수 있다.
이런, 상기 제어반(170)의 정상동작신호는 해당 승강장에 진입하려는 열차의 열차장치부(200)와 상황실장치부(300)에 전송되어, 열차를 다시 운행시키고 상황실에서 모든 열차에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상기 열차 출입문에 설치된 객실카메라(210)의 촬상신호는 상기 제어반(170)을 통해 상황실장치부(300)에 전송되도록 하여 상황실에서 각 열차내의 화재 등 비상상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열차가 진입하기 이전에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탑승대기선(180)을 넘어선 경우 이를 경고하여 승객들이 질서를 지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객이 탑승대기선(180)을 넘어 제1감지부(110)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상기 경고상태를 유지하며 방호원에 의해 승객을 계도하여 승객이 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전이 유지된 상태에서 열차가 승강장 내로 완전히 진입하여 열차 진입 감지부(190)에서 진입을 감지하고, 열차가 완전히 도착하여 열차 도착 감지부(140)에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제어반(170)은 열차가 도착함을 인지하여 상기 제1감지부(110)와 제2감지부(12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감지부(110)와 제2감지부(1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이유는 열차에 승객들이 승하차할 때 경고음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상기 열차가 승강장에 완전히 진입한 상태에서 제1감지부(110)와 제2감지부(120)를 정지시킴으로써, 열차가 승강장에 진입하는 동안 대기하던 승객들이 열차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장에서 진입하는 열차와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하차 후, 승차하는 질서를 모든 승객들에게 정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감지부(130)는 계속 동작하도록 하여 승객들이 승하차 하는 동안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으로 빠지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처럼 승객이 열차와 승강장 사이의 틈으로 빠진 경우에는 방호원들이 구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열차의 출발을 방지한다.
그 다음, 상기 모든 승객이 승하차한 후, 열차가 출발하면 그 열차의 출발은 열차 출발 감지부(150)에서 감지된다.
이처럼 열차의 출발이 감지되면 제어반(170)은 상기 정지되었던 제1감지부(110)와 제2감지부(120)를 다시 동작시켜, 다음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들이 탑승대기선(180) 내에서 안전하게 열차를 기다릴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객이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탑승대기선과 승강장 끝단의 사이에 승객이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되, 단계적인 감지를 수행하여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한 대응조치를 마련함으로써, 승객이 철로로 추락하거나, 승강장 끝단에 근접한 승객과 열차의 충돌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승객이 탑승대기선을 벋어나는 경우 경고방송 등의 적당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들은 항상 탑승대기선 내에서 열차를 기다리며, 열차의 승객이 하차한 후 승차하는 열차 이용 질서를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열차승무원이 객실 및 도착할 승강장의 상황을 모니터를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차운전자의 판단에 따라 열차운행을 제어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며,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승강장의 전체를 촬상하여 그 정보를 송출하고, 승객이 탑승대기선을 넘어선 정도를 단계적으로 감지하여 그 정도에 따라 설정된 안전사고방지동작을 수행하는 승강장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장치부로부터 전송되는 승강장의 안전상태를 확인하여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며, 열차의 객실을 모니터하여 안전사고 또는 범죄의 발생을 방지하는 열차장치부와; 상기 승강장장치부와 열차장치부와의 통신을 통해 전체 승강장과 열차의 안전운행상태를 점검하는 상황실장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장장치부는 철도 승강장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승강장의 좌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적외선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에 비하여 상기 승강장 끝단으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2감지부와; 제2감지부와 동일선상 또는 승강장 끝단과의 이격거리가 그 제2감지부보다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탑승대기선과; 상기 승강장과 철로의 사이에 위치하여 승객이 철로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3감지부와; 상기 승강장에 열차가 진입되는 측으로 일정거리에 설치하여 열차의 진입을 감지하는 열차 진입감지부와; 상기 철로에서 승강장에 정차하는 열차의 선단을 검출하는 열차 도착 감지부와; 상기 열차 도착 감지부에 비하여 열차의 진행방향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여 열차의 출발을 감지하는 열차 출발 감지부와; 상기 승강장 내부를 촬상하는 다수의 CCD카메라와; 상기 각부의 검출신호 및 촬상신호를 수신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설정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디지털비디오리코더와, 영상신호의 송수신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와, 승강장내에 경고음을 송출하기 위한 경고음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장치부는 객실의 출입문 상부측에 위치하여 객실을 촬상하는 객실카메라와; 상기 객실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다채널로 표시하여 열차승무원이 객실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승강장장치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표시하여 승강장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승강장장치부로부터 안전 경고의 신호를 그 상태를 열차승무원에게 인지시켜 그 제어에 대응하는 열차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객실카메라에서 촬상된 영상을 상기 승강장장치부로 전송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20-2004-0013264U 2004-05-13 2004-05-13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200359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64U KR200359196Y1 (ko) 2004-05-13 2004-05-13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264U KR200359196Y1 (ko) 2004-05-13 2004-05-13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703A Division KR100573727B1 (ko) 2004-05-13 2004-05-13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96Y1 true KR200359196Y1 (ko) 2004-08-21

Family

ID=4943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264U KR200359196Y1 (ko) 2004-05-13 2004-05-13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11B1 (ko) 2007-01-08 2008-08-25 김동섭 열차 출입문 개폐 검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183989A (zh) * 2021-03-18 2021-07-30 浙江警察学院 一种站台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11B1 (ko) 2007-01-08 2008-08-25 김동섭 열차 출입문 개폐 검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183989A (zh) * 2021-03-18 2021-07-30 浙江警察学院 一种站台系统
CN113183989B (zh) * 2021-03-18 2023-07-18 浙江警察学院 一种站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489B1 (ko) 철도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장애상황 영상확인시스템
JPS61198893A (ja) 駅ホ−ムの監視方法
KR101614861B1 (ko) 승강장 안전발판과 전동열차 및 승강장 안전문과의 연동제어시스템
KR102008966B1 (ko) 철도 승강장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KR20100076157A (ko) 지하철 안전시스템
KR20050062889A (ko) 영상돌발검지기를 이용한 열차 비상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876661B1 (ko) 영상 기반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JP2004009993A (ja) 列車事故回避システム
KR100573727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US20230159064A1 (en) Cableway Station Having a Safety Barrier
RU2498918C2 (ru) Колей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сенсор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128978B1 (ko) 철도 건널목에서 사고방지를 위한 지능화 시스템 및 열차제동방법
KR100869835B1 (ko) 다중 센서 기반의 승강장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85079B1 (ko) 철도 차량과 선로에 관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0359196Y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0809880B1 (ko) 열차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0604355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
KR100346750B1 (ko) 열차의 승강장 운행 제어/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4260A (ko)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497311B1 (ko) 지하철/열차 승하차시 돌발상황 자동 검지 및 경보 방법
JP2901571B2 (ja) 列車人身事故防止システム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CN112037484A (zh) 一种铁路货场防侵限安全智能预警系统
JPH0858587A (ja) ホームの安全監視装置
KR101089114B1 (ko) 승강장 영상정보를 이용한 열차비상정지용 차상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