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506A - 스마트 달구지 - Google Patents

스마트 달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506A
KR20220170506A KR1020210081423A KR20210081423A KR20220170506A KR 20220170506 A KR20220170506 A KR 20220170506A KR 1020210081423 A KR1020210081423 A KR 1020210081423A KR 20210081423 A KR20210081423 A KR 20210081423A KR 20220170506 A KR20220170506 A KR 2022017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late
control lever
tilt control
car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146B1 (ko
Inventor
이명자
Original Assignee
이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자 filed Critical 이명자
Priority to KR102021008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1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9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locking against movement by contacting the floor or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화물을 운반하는 스마트 달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달구지가 달구지의 정지시에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 수화물 상하차(上下車)의 충격이나 지면 경사로 인한 달구지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달구지의 수화물을 높이차이가 있는 적재장소에 상하차시에 달구지의 경사를 적재장소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수화물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하는 스마트 달구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달구지{A smart cart}
본 발명은 수화물을 운반하는 스마트 달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달구지가 달구지의 정지시에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 수화물 상하차(上下車)의 충격이나 지면 경사로 인한 달구지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달구지의 수화물을 높이차이가 있는 적재장소에 상하차시에 달구지의 경사를 적재장소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수화물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하는 스마트 달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구지나 카트는 수화물을 가정, 점포, 공장, 창고 등에서 수화물을 가까운 장소로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달구지나 카트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650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83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달구지나 카트가 수화물을 적재하는 평판 형상의 적재부 및 적재부 아래에 바퀴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적재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붙잡아 달구지나 카트를 원하는 목적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다(도 1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달구지나 카트들은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 수화물 적재를 위하여 정지되더라도 지면이 경사진 경우에 적재부가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또한 지면이 평평하더라도 수화물을 적재부에 적재할 때 수화물로 인한 충격이나 사용자가 달구지나 카트를 건드려서 이동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달구지나 카트를 이동시킬 때에도, 적재부에 적재된 수화물로 인한 무게 중심 변화로 사용자가 달구지나 카트의 이동 방향을 의도한 대로 용이하게 변경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점포, 공장, 창고 등에서는 지게차로 수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구비된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팔레트나 깔판 위에 수화물을 적재하거나 보관하는데, 종래의 카트나 달구지는 수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의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서, 적재부의 수화물을 팔레트나 깔판으로 하차하거나 팔레트나 깔판의 수화물을 적재부로 상차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화물을 일일이 들어 올려서 옮기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6505호 선행기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837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달구지의 정지시에 바퀴가 고정되지 않아 수화물 상하차(上下車)의 충격이나 지면 경사로 인한 달구지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달구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달구지의 이동시에 사용자가 달구지의 이동 방향을 의도한 대로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달구지의 수화물을 높이차가 있는 적재장소에 상하차시에 달구지의 경사를 적재장소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수화물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하는 달구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마트 달구지는 직사각 평판 형상을 가지는 적재판(100); 적재판(100)의 전방 폭방향 중앙에 설치되어 적재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레버(200); 적재판(100)의 전방 폭방향 좌우측에 설치되어 달구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레버(300); 적재판(100)의 하면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캐스터(130); 적재판(100)의 하면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캐스터(14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판(100)은 전방 단부에는 적재판 상면과 수직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방 절곡면(102)이 형성되고, 적재판(100)의 후방 단부에는 수평인 적재판 상면에 대하여 90도 이하의 예각인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로 절곡되는 후방 절곡면(104)이 형성되며, 적재판(100)의 폭방향 좌우 단부에는 적재판 상면과 수직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측방 절곡면(105)이 형성되고, 적재판(100)의 상면에서 폭방향 좌우측에는 손잡이 홈(103)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사조절레버(200)는 적재판(100)의 경사조절레버 설치홈(101)에 배치되고, 경사조절레버(200)의 하면에서 복수의 경사조절레버 힌지(230)에 의하여 적재판(100) 하면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조절레버 힌지(230)는 스프링과 유압 댐퍼를 구비한 멀티 링크 방식의 힌지로 경사조절레버 힌지(230)가 접히는 경우 완충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경사조절레버(200)는 전방 단부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적재판 상면에 대하여 받침면 절곡각도(θL)로 절곡되는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과,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의 하방 단부에 수평인 적재판과 평행하게 부가되는 전방 스토퍼(210)와, 경사조절레버(200) 하면의 후방 폭방향 중앙에 설치되는“ㄷ”자 형상의 후방 스토퍼(22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동방지레버(300)는 지면과 접촉하는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와, 유동방지레버 힌지(330)와 연결되는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를 포함하고,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와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는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받침면 절곡각도(θL)와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는 아래 수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특징이다.
받침면 절곡각도(θL) +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 = 90도
또한 본 발명은 적재판(100)의 길이방향 중심선(110)에서 전방 캐스터(130)의 설치점(131)까지의 설치거리(df)가 후방 캐스터(140)의 설치점(141)까지의 설치거리(dr)보다 작게 설정되어 전방 캐스터(130)의 좌우 폭 거리가 후방 캐스터(140)의 좌우 폭 거리보다 좁은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달구지는 적재판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유동방지 레버를 구비하고, 달구지의 정지시에 유동방지 레버를 지면과 접촉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유동방지 레버가 캐스터의 이동을 저지하여 수화물 상하차(上下車)시의 충격이나 지면 경사로 인하여 달구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달구지는 적재판 하면의 전방에 설치되는 좌우 2개의 전방 캐스터와 후방에 설치되는 좌우 2개의 후방 캐스터를 구비하고, 적재판의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전방 캐스터의 설치점까지의 설치거리(df)가 후방 캐스터의 설치점까지의 설치거리(dr)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전방 캐스터의 좌우 폭 거리가 후방 캐스터의 좌우 폭 거리보다 좁게 되어 스마트 달구지의 이동시에 사용자가 달구지의 이동 방향을 의도한 대로 용이하게 변경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판 전방에 경사조절레버 설치홈을 형성하고, 경사조절레버 설치홈에 지면과 접촉하는 받침면을 구비하는 경사조절레버를 적재판과 일정 각도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사용자가 필요시에 경사조절레버의 받침면이 지면과 접촉하도록 회동시켜 적재판이 지면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달구지의 수화물을 높이차가 있는 적재장소에 상하차시에 달구지의 경사를 적재장소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수화물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달구지나 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달구지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달구지의 상부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달구지의 하부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판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레버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레버의 후방 스토퍼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달구지의 경사 조절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달구지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달구지는 직사각 평판 형상을 가지는 적재판(100); 적재판(100)의 전방 폭방향 중앙에 설치되어 적재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레버(200); 적재판(100)의 전방 폭방향 좌우측에 설치되어 달구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레버(300); 적재판(100)의 하면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캐스터(130); 적재판(100)의 하면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캐스터(140); 적재판(100)의 폭방향 좌우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홈(103)을 포함한다.
도 3,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달구지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적재판(100)의 전방 단부에는 적재판 상면과 수직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방 절곡면(102)이 형성되고, 적재판(100)의 후방 단부에는 적재판 상면과 90도 이하의 예각으로 절곡되는 후방 절곡면(104)이 형성되며, 적재판(100)의 폭방향 좌우 단부에는 적재판 상면과 수직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측방 절곡면(105)가 형성되고, 적재판(100)의 상면에서 폭방향 좌우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달구지를 들거나 달구지 손잡이(도면 미도시)를 설치하는 손잡이 홈(103)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판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적재판은 두께 1~2mm정도의 강판으로 제조되고, 적재판(100)의 크기는 800 X 500mm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재판(100)의 후방 절곡면(104)이 수평인 적재판 상면에 대하여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가 14.53도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판(100)의 후방 절곡면(104)은 적재판(100)이 경사조절레버(200)에 의해 적재판(100)의 전방이 높게 상승한 경우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로써(도 8 참조)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는 후방 절곡면(104)과 지면의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 절곡면(104)은 지면과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마찰부재나 고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적재판 전방의 폭방향 중심에는 경사조절레버(200)가 설치되도록 경사조절레버 설치홈(101)이 형성된다.
또한 적재판(100)의 하면에는 경사조절레버(200)와 간섭을 피하도록 길이방향 중심선(110)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게 복수의 보강 프레임(12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보강 프레임(120)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ㄷ”자 형상의 날개부가 적재판(100)의 하면에 접하도록 용접되어 배치된다.
또한 적재판(100) 하면에는 전방에 좌우 2개의 전방 캐스터(130)와 후방에 좌우 2개의 후방 캐스터(140)가 설치되고, 적재판(100)의 길이방향 중심선(110)에서 전방 캐스터(130)의 설치점(131)까지의 설치거리(df)가 후방 캐스터(140)의 설치점(141)까지의 설치거리(dr)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전방 캐스터(130)의 좌우 폭 거리가 후방 캐스터(140)의 좌우 폭 거리보다 좁게 되어 스마트 달구지의 이동시에 사용자가 달구지의 이동 방향을 의도한 대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캐스터(130) 및 후방 캐스터(140)는 적재판(100) 하면에 360도 회전이 가능한 캐스터 회전축(도면 미도시)을 구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방 캐스터(130)는 상기 캐스터 회전축이 전방 캐스터(130)의 바퀴 회전축보다 적재판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전방 캐스터(130)의 좌우 회동이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조절레버(20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00)의 경사조절레버 설치홈(101)에 배치되고, 경사조절레버(200)의 하면에서 복수의 경사조절레버 힌지(230)에 의하여 경사조절레버(200)를 적재판(10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경사조절레버 힌지(230)는 스프링과 유압 댐퍼를 구비한 멀티 링크 방식의 힌지로 경사조절레버 힌지(230)가 접히는 경우, 즉 경사조절레버(200)가 적재판과 직각이 되도록 회동하는 경우에 완충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경사조절레버 힌지(230)의 완충 기능으로 인하여 경사조절레버(200)가 적재판과 수직이 되도록 경사조절레버 힌지(230)가 접히는 경우, 경사조절레버 힌지(230)로 인한 충격력이 감쇄되어 충격력이 적재판(100)이나 적재판(100)에 적재된 수화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판(100) 전방 하면에는 유동방지레버(300)가 유동방지레버 힌지(3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동방지레버(300)는 지면과 접촉하는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와, 유동방지레버 힌지(330)와 연결되는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를 포함하고,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와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는 서로 직각으로 결합한다.
유동방지레버 힌지(330)도 스프링과 유압 댐퍼를 구비한 멀티 링크 방식의 힌지를 사용하여 경사조절레버 유동방지레버 힌지(330)가 접히는 경우, 즉 유동방지레버(300)가 적재판과 직각이 되도록 회동하는 경우에 완충이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방지레버 힌지(330)가 펼쳐지면 도 4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레버(300)의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가 적재판(100) 하면과 밀착하고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는 적재판(100) 상면위로 돌출하며, 유동방지레버 힌지(330)가 접혀지면 도 4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레버(300)의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가 적재판(100) 하면과 수직하게 세워지고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는 지면과 밀착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고무부재나 마찰부재가 더 부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동방지레버(300)는 스마트 달구지의 정지시에 유동방지 레버(300)의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를 지면과 접촉하도록 회동시킴으로써 유동방지 레버가 전후방 캐스터의 이동을 저지하여 수화물 상하차(上下車)시의 충격이나 지면 경사로 인하여 달구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경사조절레버(200)를 더 설명하면, 경사조절레버(200)는 두께 1~2mm정도의 강판으로 제조되고, 경사조절레버(200)의 크기는 약 160 X 130 mm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조절레버(200)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은 수평인 적재판 상면에 대하여 받침면 절곡각도(θL)가 75.47도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적재판(100)이 경사조절레버(200)에 의해 적재판(100)의 전방이 높게 상승한 경우에, 받침면 절곡각도(θL)는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이 지면과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은 지면과 마찰력을 증가시키도록 마찰부재나 고무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에는 수평인 적재판과 평행하게 전방 스토퍼(210)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스토퍼(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레버 힌지(230)가 펼쳐져서 경사조절레버(200)가 적재판과 수평 상태인 경우에 보강 프레임(120)과 접하여 경사조절레버(200)가 적재판 상면 위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6에 의하면 경사조절레버(200) 하면의 후방 폭방향 중앙에는 좌우 양측의 경사조절레버 힌지(230) 사이로 후방 스토퍼(220)가 설치된다. 후방 스토퍼(220)는 도 7과 같이 제1면(221), 제2면(222), 제3면(223)을 구비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이고, 제2면(222)이 경사조절레버(200) 하면에 체결나사로 체결되고, 제1면(221) 및 제3면(223)이 경사조절레버(200) 하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후방 스토퍼(220)는 도 8과 같이 경사조절레버 힌지(230)가 접혀져서 경사조절레버(200)가 적재판과 수직 상태인 경우에 후방 스토퍼(220)의 제1, 3면이 적재판(100) 하면과 접촉하여 경사조절레버(200)가 90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경사조절레버(200)로 적재판(100)의 경사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적재판(100)이 지면과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발로 경사조절레버(200)의 앞부분을 위로부터 눌러서 경사조절레버(200)가 회동되어 경사조절레버(200)의 받침면(201) 가장자리 일부가 지면과 접촉하도록 한다(도 8a 참조). 이 상태는 경사조절 1단계로써 경사조절레버(200)가 일부 회동하여 지면과 접촉만 할 뿐, 적재판(100)이 여전히 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경사조절 1단계에서 사용자가 경사조절레버(200)의 앞부분을 발로 가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적재판(100) 전방이나 손잡이 홈(103)이나 손잡이(미도시)를 붙잡아 적재판(100)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경사조절레버(200)가 적재판(100)과 직각으로 완전히 회동하여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이 지면과 완전히 밀착하고, 이와 동시에 적재판(100)의 후방 절곡면(104)도 지면과 완전히 밀착하는 상태가 되며, 이를 경사조절 2단계로 한다(도 8b 참조). 경사조절 2단계가 완료되면 적재판(100)의 전방이 상승하여 적재판(100)이 지면과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경사조절 2단계에서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 및 적재판(100)의 후방 절곡면(104)이 최대한 지면과 완전히 밀착하여 적재판의 흔들림이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면 절곡각도(θL)와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는 아래 수식 1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받침면 절곡각도(θL) +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 = 90도 --- 수식 1
예를 들어, 도 5,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면 절곡각도(θL)가 75.47도이면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가 14.53도로 설정되어 수식 1을 만족하면, 상기 경사조절 2단계에서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 및 적재판(100)의 후방 절곡면(104)이 최대한 지면과 완전히 밀착하게 된다.
도 8과 같이 경사조절 1, 2단계를 거쳐 적재판(100)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적재판의 수화물을 높이차가 있는 적재장소에 상하차시에 달구지의 경사를 적재장소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수화물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에는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달구지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수화물을 스마트 달구지의 적재판에 적재하거나 내리기 위하여 스마트 달구지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도 9a와 같이 유동방지레버(300)를 회동시켜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가 지면과 밀착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유동방지레버(300)가 전후방 캐스터의 이동을 방지하여 스마트 달구지가 수화물 상하차(上下車)시의 충격이나 지면 경사로 인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스마트 달구지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9b와 같이 유동방지레버(300)를 회동시켜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가 적재판(100)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적재판(100) 상면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는 적재판(100) 상에 적재된 수화물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또한 전방 캐스터의 좌우 폭 거리가 후방 캐스터의 좌우 폭 거리보다 좁게 되어 스마트 달구지의 이동시에 사용자가 달구지의 이동 방향을 의도한 대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스마트 달구지보다 높은 팔레트 등의 적재장소에 수화물을 내리거나 적재판으로 적재할 때, 도 8에서 설명한 경사조절 1, 2단계를 거쳐 도 9c와 같이 경사조절레버의 받침면이 지면과 접촉하도록 회동시켜 적재판이 지면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달구지의 경사를 적재장소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수화물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100: 적재판 101: 경사조절레버 설치홈
102: 전방 절곡면 103: 손잡이 홈
104: 후방 절곡면 105: 측방 절곡면
110: 길이방향 중심선 120: 보강 프레임
130: 전방 캐스터 131: 전방 캐스터 설치점
140: 후방 캐스터 141: 후방 캐스터 설치점
200: 경사조절 레버 201: 경사조절 레버 받침면
210: 경사조절 레버 전방 스토퍼 220: 경사조절 레버 후방 스토퍼
221: 제1면 222: 제2면
223: 제3면 230: 경사조절 레버 힌지
300: 유동방지레버 310: 유동방지레버 받침부
320: 유동방지레버 연결부 330: 유동방지레버 힌지
1000: 스마트 달구지

Claims (7)

  1. 직사각 평판 형상을 가지는 적재판(100); 적재판(100)의 전방 폭방향 중앙에 설치되어 적재판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레버(200); 적재판(100)의 전방 폭방향 좌우측에 설치되어 달구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레버(300); 적재판(100)의 하면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캐스터(130); 적재판(100)의 하면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캐스터(14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스마트 달구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재판(100)은 전방 단부에는 적재판 상면과 수직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전방 절곡면(102)이 형성되고, 적재판(100)의 후방 단부에는 수평인 적재판 상면에 대하여 90도 이하의 예각인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로 절곡되는 후방 절곡면(104)이 형성되며, 적재판(100)의 폭방향 좌우 단부에는 적재판 상면과 수직하게 직각으로 절곡되는 측방 절곡면(105)이 형성되고, 적재판(100)의 상면에서 폭방향 좌우측에는 손잡이 홈(103)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스마트 달구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레버(200)는 적재판(100)의 경사조절레버 설치홈(101)에 배치되고, 경사조절레버(200)의 하면에서 복수의 경사조절레버 힌지(230)에 의하여 적재판(100) 하면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경사조절레버 힌지(230)는 스프링과 유압 댐퍼를 구비한 멀티 링크 방식의 힌지로 경사조절레버 힌지(230)가 접히는 경우 완충이 되는 것이 특징인, 스마트 달구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레버(200)는 전방 단부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적재판 상면에 대하여 받침면 절곡각도(θL)로 절곡되는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과, 경사조절레버 받침면(201)의 하방 단부에 수평인 적재판과 평행하게 부가되는 전방 스토퍼(210)와, 경사조절레버(200) 하면의 후방 폭방향 중앙에 설치되는“ㄷ”자 형상의 후방 스토퍼(22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스마트 달구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레버(300)는 지면과 접촉하는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와, 유동방지레버 힌지(330)와 연결되는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를 포함하고, 유동방지레버 받침부(310)와 유동방지레버 연결부(320)는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는 것이 특징인, 스마트 달구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 절곡각도(θL)와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는 아래 수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특징인, 스마트 달구지.

    받침면 절곡각도(θL) + 후방 절곡면 절곡각도(θR) = 90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적재판(100)의 길이방향 중심선(110)에서 전방 캐스터(130)의 설치점(131)까지의 설치거리(df)가 후방 캐스터(140)의 설치점(141)까지의 설치거리(dr)보다 작게 설정되어 전방 캐스터(130)의 좌우 폭 거리가 후방 캐스터(140)의 좌우 폭 거리보다 좁은 것이 특징인, 스마트 달구지.
KR1020210081423A 2021-06-23 2021-06-23 스마트 달구지 KR10257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423A KR102574146B1 (ko) 2021-06-23 2021-06-23 스마트 달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423A KR102574146B1 (ko) 2021-06-23 2021-06-23 스마트 달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06A true KR20220170506A (ko) 2022-12-30
KR102574146B1 KR102574146B1 (ko) 2023-09-01

Family

ID=8453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423A KR102574146B1 (ko) 2021-06-23 2021-06-23 스마트 달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14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35Y1 (ko) * 1992-06-10 1994-08-11 차장섭 적재대의 높낮이를 조절할수있게한 리어카
JP3172905B2 (ja) * 1997-03-04 2001-06-04 中日産業株式会社 カート
KR200298837Y1 (ko) 2002-10-04 2002-12-28 (주) 그린메탈 운반 카트
JP2004306710A (ja) * 2003-04-03 2004-11-04 Yukio Katsumura 手押し車
KR200460971Y1 (ko) * 2010-03-22 2012-06-21 박강민 손수레
KR20130016505A (ko) 2011-08-08 2013-02-18 양민우 접철 구조를 갖는 가변식 손수레
KR20150084225A (ko) * 2014-01-13 2015-07-22 엔피씨(주) 데크트럭
JP2020075707A (ja) * 2018-10-16 2020-05-21 テクニカルトート東京株式会社 手押し車及び障害物乗越機構
KR102158423B1 (ko) * 2019-01-23 2020-09-21 여신동 물품 운반용 카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35Y1 (ko) * 1992-06-10 1994-08-11 차장섭 적재대의 높낮이를 조절할수있게한 리어카
JP3172905B2 (ja) * 1997-03-04 2001-06-04 中日産業株式会社 カート
KR200298837Y1 (ko) 2002-10-04 2002-12-28 (주) 그린메탈 운반 카트
JP2004306710A (ja) * 2003-04-03 2004-11-04 Yukio Katsumura 手押し車
KR200460971Y1 (ko) * 2010-03-22 2012-06-21 박강민 손수레
KR20130016505A (ko) 2011-08-08 2013-02-18 양민우 접철 구조를 갖는 가변식 손수레
KR20150084225A (ko) * 2014-01-13 2015-07-22 엔피씨(주) 데크트럭
JP2020075707A (ja) * 2018-10-16 2020-05-21 テクニカルトート東京株式会社 手押し車及び障害物乗越機構
KR102158423B1 (ko) * 2019-01-23 2020-09-21 여신동 물품 운반용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146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4146B1 (ko) 스마트 달구지
KR20230083508A (ko)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US20070158922A1 (en) Wheelbarrow with pivoting hopper and stand
EP3130522B1 (en) Roll container
KR102090804B1 (ko) 이동 대차용 캐스터
CN111801261B (zh) 重物移动台车
KR102299047B1 (ko)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CA2504381A1 (en) Wheelbarrow with pivoting hopper
JP6978306B2 (ja) ローリフト形無人搬送車
CN110626984A (zh) 举升装置及搬运车
JP7134537B1 (ja) 搬送車両
KR102225453B1 (ko) 운반 카트
KR101256847B1 (ko) 팔레트용 리프팅 장치
CN210855125U (zh) 举升装置及搬运车
WO2023063409A1 (ja) 搬送車両
CN214648667U (zh) 底盘结构及搬运机器人
CN211770115U (zh) 一种托盘车及其挡货架
CN219249574U (zh) 一种防倾倒沉降的货架
KR200243630Y1 (ko) 캐스터
CN217350623U (zh) 一种抗冲击的叉车安装板
WO2024051438A1 (zh) 搬运车
CN213231420U (zh) 一种用于无人搬运的智能叉车
KR20220078047A (ko) 바퀴달린 파렛트
KR200391420Y1 (ko) 사다리 기능을 갖는 손수레
JPH09104537A (ja) コンテナ・ローダ/アンローダの傾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