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923A -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923A
KR20220168923A KR1020210079009A KR20210079009A KR20220168923A KR 20220168923 A KR20220168923 A KR 20220168923A KR 1020210079009 A KR1020210079009 A KR 1020210079009A KR 20210079009 A KR20210079009 A KR 20210079009A KR 20220168923 A KR20220168923 A KR 20220168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te
marble
frying pa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814B1 (ko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김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환 filed Critical 김진환
Priority to KR102021007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8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층 위에 코팅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코팅되는 미드층; 상기 미드층위에 코팅되는 적어도 1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드층; 상기 패드층위에 형성되는 시온잉크층; 및 상기 시온색소층 위에 형성되는 탑층을 포함하는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Frying pa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가열과정 중 프라이팬의 온도를 표시해 줄 수 있어 조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지역의 문화와 환경의 영향으로 모양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프라이팬이 타지 않고 맛있는 조리를 할 수 있게 연구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프라이팬은 직접 열을 가하여 조리를 하는 것으로써, 제대로 만들어진 프라이팬이 아닌 경우에는 조리물이 쉽게 탄다는 단점과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 트리프, 카프보 등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돌구이판, 맥반석구이판, 탄소성형체구이판, 게르마늄판, 토르말린판, 황토판, 옥돌구이판 등 천연제품 등을 코팅하여 개발이 되었으나 가격이 비싸고 파손시 코팅층이 벗겨지고 이물질이 나오는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종래 한국특허등록 제10-0950421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의 프라이판 기재와 스테인레스 판을 접착제로 접착시킨 후, 연마시켜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 범랑, 세라믹 등은 가격이 저렴하나 조리시 온도 등의 연소 상태에 따라 내용물이 타거나 덜 익고, 코팅부분이 회손 시 들뜸 현상 및 본체 등이 부식이 발생하여 프라이팬의 역할을 못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특정한 식재료를 이용하여 조리할 때, 예로 스테이크 등, 프라이팬에 올리기 위해 적정한 온도가 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열과정 중 프라이팬의 온도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가열과정 중 프라이팬의 온도를 표시해 줄 수 있어 조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라이팬을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가열과정 중 프라이팬의 온도를 표시해 줄 수 있어 조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라이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층 위에 코팅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코팅되는 미드층; 상기 미드층위에 코팅되는 적어도 1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드층; 상기 패드층위에 형성되는 시온잉크층; 및 상기 시온색소층 위에 형성되는 탑층을 포함하는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2)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층 위에 코팅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코팅되는 미드층, 상기 미드층위에 코팅되는 패드층, 상기 패드층위에 코팅되는 탑층을 포함하는 프라이팬에 있어서, 상기 미드층과 탑층의 사이에 변온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변온마커는 온도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되는 온도표시부 및 상기 온도표시부의 색상위에 도포되는 시온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4)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시온잉크는 검정색이고,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투명한 색상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미드층은 마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6)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마블층에 포함되는 입자는 상호 다른 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7) 프라이팬의 기본 형상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플레이트 제조단계;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도포되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포되며 입자로 이루어진 마블층을 포함하는 미드층 형성단계;
상기 미드층 상에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층 상에 시온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온잉크층 상에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탑층의 형성단계;
상기 불소수지층이 도포된 플레이트를 소성시키는 플레이트 소성단계; 및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소성된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플레이트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프라이팬의 제조방법.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가열과정 중 프라이팬의 온도를 표시해 줄 수 있어 조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라이팬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의 평면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드층 도포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미드층 도포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 형성단계가 더 포함된 프라이팬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마블층 도포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바닥마블층 도포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10)의 구성도이다. 상기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은 프라이팬의 기본 형상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00), 프라이머층(200), 미드층(300), 상기 미드층 위에 형성되는 패드층(20) 및 시온잉크층(40), 및 탑층(400)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층(20)은 무늬를 제공하며, 상기 패드층(20)의 상부에 온도에 따라 생이 변하는 시온잉크층(4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층(20)은 2도 이상 인쇄가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시온잉크층(40)은 가열하면 투명한 색으로 변하는 검은색의 시온성 잉크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시온잉크층의 형성을 위해 코팅법 혹은 인쇄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10)의 구성도이다. 상기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은 프라이팬의 기본 형상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00), 프라이머층(200), 미드층(300), 및 탑층(400)을 포함하되, 미드층(300)과 탑층(400) 사이에 무늬를 제공하는 패드층(20) 및 변온마커(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층(200)에 사용되는 코팅액은 불소수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테프론을 포함한다.
상기 미드층(300)은 상기 프라이머층(200) 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마블층으로 이루어지고, 마블은 입자상의 서로 다른 색의 적어도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층(400)은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층(200)과 같이 이의 형성에 사용되는 코팅액은 불소수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테프론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층(20)은 제1 패드층 혹은 보다 복잡한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이상의 패드층을 형성하는 절차를 거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온마커(40′)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색소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온마커(40′)는 특정 형상(예로, 삼각형상)의 온도표시부(41)를 포함한다. 온도표시부(41)는 온도에 따라 색을 구분하여 예로, 제1온도에서는 최하단의 표시부(41a)에 청색, 제2온도에서는 중간의 표시부(41b)에 황색, 제3온도에서는 최상단의 표시부(41c)에 적색 도료를 코팅하고, 도료의 위에 흑색의 서로 다른 온도에서 변색하는 시온잉크(42a, 42b, 42c)를 각각 코팅한다.
따라서, 프라이팬이 제1온도에 이르게 되면, 제1시온잉크(42a)가 흑색에서 투명하게 변하여 청색이 표시되고, 보다 가열되어 온도가 제2온도에 이르르면 제2시온잉크(42b)가 변색되어 황색이 노출되며, 제2온도보다 높게 온도가 올라가 제3온도에 이르게 되면 제3시온잉크(42c)가 변색되어 투명하게 변하여 적색이 노출된다. 이를 통해 요리하는 사람은 간단하게 색상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프라이팬의 현재 온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프라이팬 제조과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블층 도포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드층으로, 각 마블층 도포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 형성단계가 더 포함된 프라이팬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마블층 도포단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 바닥마블층 도포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제조방법은 플레이트 제조단계(S10)와 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0), 미드층 도포단계(S30), 패드층 및 시온색소층 형성단계(S40) 혹은, 변온마커 및 패드층의 형성단계(S40′), 탑층 도포단계(S50), 플레이트 소성단계(S60) 및 플레이트 압착단계(S7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제조단계(S10)는 프라이팬(10)의 기본 형상을 형성하는 플레이트(100)를 제조하는 것으로, 금속과 비금속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0)는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도포되어 프라이머층(20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미드층 도포단계(S30)는 입자를 갖고, 프라이머층(200) 상에 마블층으로 이루어지는 미드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패드층 및 시온색소층 형성단계(S40) 혹은, 변온마커 및 패드층의 형성단계(S40′)는 상기 미드층(300) 상에 패드층(20) 및 시온색소층(40)를 순차 형성하거나(제 1실시예), 상기 미드층(300) 상에 변온마커(40′)및 패드층(20)을 형성(제 2실시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탑층 형성단계(S50)는 패드층(20) 상에 불소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탑층(400)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소성단계(S60)는 탑층(400)이 도포된 플레이트(100)를 소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플레이트 압착단계(S70)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소성된 플레이트(100)를 압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1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1)와 제2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2)로 구성된다.
제1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1)는 코팅액을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분사하여 제1프라이머층(21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1)는 제1 코팅액 분사단계(S211)와 제1 코팅액 건조단계(S2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코팅액 분사단계(S211)는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코팅액을 12 ~ 15미크론으로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코팅액 건조단계(S212)는 코팅액이 분사된 플레이트(100)를 190 ~ 200℃로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제2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2)는 코팅액을 제1프라이머층(210) 상에 분사하여 제2프라이머층(22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2프라이머층 형성단계(S22)는 제2 코팅액 분사단계(S221)와 제2 코팅액 건조단계(S222)로 구성된다.
제2 코팅액 분사단계(S221)는 제1프라이머층(210) 상에 코팅액을 12 ~ 15미크론으로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코팅액 건조단계(S222)는 코팅액이 분사된 플레이트(100)를 190 ~ 200℃로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라이머층(200)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코팅액은 바람직하게는 불소수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소수지는 테프론이다.
또한 미드층 형성단계(S30)를 통해 형성되는 마블층(300)은 제1마블층(310), 제2마블층(320) 및 제3마블층(3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블층 형성단계(S3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마블층 도포단계(S31), 제2마블층 도포단계(S32) 및 제3마블층 도포단계(S33)를 포함한다.
제1마블층 도포단계(S31)는 프라이머층(200) 상에 제1입자를 포함하는 제1마블층(310)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마블층 도포단계(S32)는 제1마블층(310)이 도포된 프라이머층(200) 상에 제2입자를 포함하는 제2마블층(320)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3마블층 도포단계(S33)는 상기 제1마블층(310)과 제2마블층(320)이 도포된 프라이머층(200) 상에 제3입자를 포함하는 제3마블층(330)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라이머층(200)이 제1프라이머층(210)과 제2프라이머층(220)으로 구성될 경우, 제1마블층(310), 제2마블층(320), 및 제3마블층(330)은 제2프라이머층(22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마블층(310), 제2마블층(320), 및 제3마블층(330)은 각각 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입자가 섞여서 도포된다.
그리고 제1마블층 도포단계(S31), 제2마블층 도포단계(S32) 및 제3마블층 도포단계(S33)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마블입자 형성단계(S301), 마블입자 저장단계(S302) 및 마블입자 분사단계(S303)로 이루어진다.
마블입자 형성단계(S301)는 액체 원료를 이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입자로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마블입자 저장단계(S302)는 입자를 갖는 원료를 탱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마블입자 분사단계(S303)는 에어코팅건을 이용하여 탱크에 저장된 입자를 갖는 원료를 분사하되, 흩날리듯 분사하여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마블입자 분사단계(S303)에서 도포된 제1마블층(310), 제2마블층(320), 제3마블층(330)은 상호 섞인 상태로 도포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마블층(310, 320, 330)은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입자를 포함하여, 이로 인해 미드층(300)은 다양한 색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미드층 도포단계(S30)에서 도포되는 제1마블층(310), 제2마블층(320), 및 제3마블층(330)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8 ~ 20미크론이다.
변온마커 및 패드층의 형성단계(S40)는 상기 미드층(300) 상에 변온마커(40′) 및 패드층(2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패드층(20)은 원하는 무늬를 제공하며, 무늬에 따라 복수층의 패드층으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패드층이 형성된 나머지 영역의 미드층(300) 상에 변온마커(40′)를 부착한다.
그리고 탑층 도포단계(S50)는 플레이트(100)의 상측(필요에 따라 하측에도 분사가능)에 각각 구비된 도포건에 의해 미드층(300)이 도포된 플레이트(100)의 상측면(필요에 따라 하측면)에 불소수지(예로, 테프론)를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탑층 형성단계(S50)는 탑층(400)을 10 ~ 15미크론의 두께로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플레이트 소성단계(S60)는 가열로를 이용하여 불소수지층(400)이 도포된 플레이트를 소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소성단계(S60)는 가열로에서 400 ~ 430℃로 약 3 ~ 7분간 소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플레이트 압착단계(S70)는 소성된 상태의 프라이머층(200), 미드층(300), 및 탑층(400)의 두께를 0.67 ~ 0.75배로 압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1프라이머층(210)과 제2프라이머층(220)이 각각 약 12 ~ 15미크론으로 형성되고, 미드층(300)이 약 18 ~ 20미크론으로 도포되며, 탑층(400)이 약 10 ~ 15미크론으로 도포된다[이해의 편의상 패드층(20) 및 변온마커(40′)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는 생략한다. 이하 동일하다].
이에, 프라이머층(200), 미드층(300), 및 불소수지층(400)의 두께는 약 52 ~ 65미크론으로 도포되며, 약 60미크론으로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팬 제조방법은 바닥부 형성단계(S150)가 더 포함된다. 도 3의 S10, S20, S30, S40 혹은 S40′, S50, S60, 및 S70은 각각 S110, S120, S130, S140, S140′, S160, S170, 및 S180에 대응되고 구체적인 내용을 동일하므로 이들 내용을 각각 인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하, 바닥부 형성단계인 S150에 한정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부 형성단계(S150)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바닥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닥부 형성단계(S150)는 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151)와 바닥마블층 도포단계(S152)를 포함한다.
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151)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바닥프라이머층(50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프라이머층(5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닥프라이머층(510)과 제2바닥프라이머층(520)으로 구성된다.
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8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711)와 제2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712)로 구성된다.
제1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711)는 코팅액을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분사하여 제1바닥프라이머층(51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711)는 제1 바닥코팅액 분사단계(S7111)와 제1 바닥코팅액 건조단계(S7112)로 구성된다.
제1 바닥코팅액 분사단계(S7111)는 플레이트(100)의 하면에 코팅액을 약 12 ~ 15미크론으로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바닥코팅액 건조단계(S7112)는 코팅액이 분사된 플레이트(100)를 190 ~ 200℃로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제2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712)는 코팅액을 제1바닥프라이머층(510) 하측에 분사하여 제2바닥프라이머층(52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제2바닥프라이머층 형성단계(S712)는 제2 바닥코팅액 분사단계(S7121)와 제2 바닥코팅액 건조단계(S7122)로 구성된다.
제2 바닥코팅액 분사단계(S7121)는 제1바닥프라이머층(510)에 코팅액을 약 12 ~ 15미크론으로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바닥코팅액 건조단계(S7122)는 코팅액이 분사된 플레이트(100)를 190 ~ 200℃로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코팅액은 바람직하게는 불소수지(예로, 테프론)를 포함한다.
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는 바닥프라이머층(500) 하측에 입자를 포함하는 바닥마블층(60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에서 형성되는 바닥마블층(6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닥마블층(610)과 제2바닥마블층(620) 및 제3바닥마블층(630)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1), 제2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2) 및 제3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3)를 포함한다.
제1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1)는 바닥프라이머층(500)의 하측에 제1입자를 포함하는 제1바닥마블층(510)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2)는 제1바닥마블층(610)이 도포된 바닥프라이머층(500)의 하측에 제2입자를 포함하는 제2바닥마블층(620)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3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3)는 제1바닥마블층(610)과 제2바닥마블층(620)이 도포된 바닥프라이머층(500)의 하측에 제3입자를 포함하는 제3바닥마블층(630)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프라이머층(500)이 제1바닥프라이머층(510)과 제2바닥프라이머층(520)으로 구성될 경우, 제1바닥마블층(610)과 제2바닥마블층(620), 제3바닥마블층(630)이 제2바닥프라이머층(620) 하측에 형성됨이 당연하다.
이러한 제1바닥마블층(610), 제2바닥마블층(620), 및 제3바닥마블층(630)은 각각 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입자가 섞인 혼합층을 이룬다.
여기서, 제1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1), 제2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2) 및 제3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3)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마블입자 형성단계(S7211)와 바닥마블입자 저장단계(S7212) 및 바닥마블입자 분사단계(S7213)로 이루어진다.
바닥마블입자 형성단계(S7211)는 액체 원료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입자로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바닥마블입자 저장단계(S7212)는 입자를 갖는 원료를 탱크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바닥마블입자 분사단계(S7213)는 에어코팅건을 이용하여 탱크에 저장된 입자를 갖는 원료를 분사하되, 흩날리듯 분사하여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마블입자 형성단계(S7211)에서 도포된 제1바닥마블층(610)과 제2바닥마블층(620), 제3바닥마블층(630)은 상호 섞여서 도포된 혼합층을 이룬다.
상기 각 바닥마블층(610, 620, 630)의 입자는 상호 다른 색으로 구성할 경우, 다양한 색상과 형상으로 바닥마블층(6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에서 도포되는 제1바닥마블층(610), 제2바닥마블층(620), 및 제3바닥마블층(630)의 총 두께는 18 ~ 20미크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닥마블층 도포단계(S72) 후, 탑층 형성단계(S40)와 플레이트 소성단계(S50), 및 플레이트 압착단계(S60)를 거친다.
이에, 플레이트(100)의 하측면에 도포된 바닥프라이머층(500)과 바닥마블층(600)은 하측에서 도포된 탑층(400)과 함께 소성된 후, 프레스에 의해 압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프라이머층(500), 바닥마블층(600), 및 탑층(400)의 두께를 0.67 ~ 0.75배로 압착시킨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하측면에는 가열판(미도시)이 압착될 수 있다.
이 가열판은 전열기기에 의해 가해진 열을 상측으로 용이하게 전달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체에 무해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가열과정 중 프라이팬의 온도를 표시해 줄 수 있어 조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라이팬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10 : 프라이팬
20: 패드층
40: 시온잉크층
40′: 변온마커
100 : 플레이트
200 : 프라이머층
300 : 미드층
400 : 불소수지층

Claims (7)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층 위에 코팅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코팅되는 미드층; 상기 미드층위에 코팅되는 적어도 1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드층; 상기 패드층위에 형성되는 시온잉크층; 및 상기 시온색소층 위에 형성되는 탑층을 포함하는 프라이팬.
  2.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층 위에 코팅되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 층위에 코팅되는 미드층; 상기 미드층위에 코팅되는 패드층; 상기 패드층위에 코팅되는 탑층을 포함하는 프라이팬에 있어서, 상기 미드층과 탑층의 사이에 변온마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온마커는 온도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되는 온도표시부 및 상기 온도표시부의 색상위에 도포되는 시온잉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온잉크는 검정색이고,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투명한 색상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층은 마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블층에 포함되는 입자는 상호 다른 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7. 프라이팬의 기본 형상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플레이트 제조단계;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도포되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포되며 입자로 이루어진 마블층을 포함하는 미드층 형성단계;
    상기 미드층 상에 패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층 상에 시온잉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온잉크층 상에 불소수지를 포함하는 탑층의 형성단계;
    상기 불소수지층이 도포된 플레이트를 소성시키는 플레이트 소성단계; 및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소성된 플레이트를 압착하는 플레이트 압착단계를 포함하는 프라이팬의 제조방법.
KR1020210079009A 2021-06-17 2021-06-17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09A KR102637814B1 (ko) 2021-06-17 2021-06-17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09A KR102637814B1 (ko) 2021-06-17 2021-06-17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923A true KR20220168923A (ko) 2022-12-26
KR102637814B1 KR102637814B1 (ko) 2024-02-15

Family

ID=8454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009A KR102637814B1 (ko) 2021-06-17 2021-06-17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8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823A (ko) * 2012-01-10 2013-07-18 김민철 열 감지 기능이 구비된 프라이팬 손잡이 및 열감지부의 제조방법
KR20140031464A (ko) * 2012-08-31 2014-03-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표시장치가 구비된 프라이팬
KR20160100783A (ko) * 2015-02-16 2016-08-24 이동열 가열상태표시 가능한 세라믹코팅층 및 세라믹도료 제조방법과 그 코팅방법 및 이 코팅방법을 이용한 가열기구
KR101952045B1 (ko) * 2017-12-19 2019-02-25 김진규 프라이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1823A (ko) * 2012-01-10 2013-07-18 김민철 열 감지 기능이 구비된 프라이팬 손잡이 및 열감지부의 제조방법
KR20140031464A (ko) * 2012-08-31 2014-03-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온도표시장치가 구비된 프라이팬
KR20160100783A (ko) * 2015-02-16 2016-08-24 이동열 가열상태표시 가능한 세라믹코팅층 및 세라믹도료 제조방법과 그 코팅방법 및 이 코팅방법을 이용한 가열기구
KR101952045B1 (ko) * 2017-12-19 2019-02-25 김진규 프라이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814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6388B (zh) 烹饪容器的加工方法及其烹饪容器
JP6797109B2 (ja) 部分的に被覆されたステンレス鋼の内部表面を備える調理用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081245A (en) Infrared radiator
KR200478348Y1 (ko) 인덕션 히터용 고기구이기
JPH11106238A (ja) セラミック塗料で装飾されたガラスセラミック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86414B1 (ko) 가열상태표시 가능한 세라믹코팅층 및 세라믹도료 제조방법과 그 코팅방법 및 이 코팅방법을 이용한 가열기구
CN108541252A (zh) 耐热玻璃
KR20220168923A (ko) 프라이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7297B1 (ko) 반건조 다층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CN102665506A (zh) 在外底部处具有装饰物的、包括抗粘外涂层的烹饪用品
WO2014098309A1 (ko) 투톤 타입의 열변색 코팅 피가열체
KR100512648B1 (ko) 무균열내열자기제조방법
JP2021530717A (ja) 温度インジケータ
KR101952045B1 (ko) 프라이팬 제조방법
JP3146744U (ja) 調理用加熱容器
JP2007175095A (ja) ガス炊飯器用内釜
KR101952919B1 (ko)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JP2005049050A (ja) 調理器用トッププレート
KR20120006832U (ko) 논스틱 조리용기
KR20110139358A (ko) 도자기 제조방법
KR100450059B1 (ko) 인덕션 렌지용 세라믹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1999061260A1 (fr) Pate doree et ornements dores
JP2007195632A (ja) 炊飯器用内釜
JPH0351975B2 (ko)
CN114869140A (zh) 一种高温感温变色烤盘片及其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