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6975A -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6975A
KR20220166975A KR1020210075930A KR20210075930A KR20220166975A KR 20220166975 A KR20220166975 A KR 20220166975A KR 1020210075930 A KR1020210075930 A KR 1020210075930A KR 20210075930 A KR20210075930 A KR 20210075930A KR 20220166975 A KR20220166975 A KR 2022016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e
soy sauce
weight
jam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037B1 (ko
Inventor
박종언
Original Assignee
박종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언 filed Critical 박종언
Priority to KR102021007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0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69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microbial origin, e.g. xanthan or dextr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 간장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 및 전통 간장을 베이스로 함으로써, 사과의 유효성분 및 발효 식품인 간장의 우수한 기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전통 간장의 이취, 이미가 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우수한 관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e soy j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사과 간장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과 및 전통 간장을 베이스로 함으로써, 사과의 유효성분 및 발효 식품인 전통 간장의 우수한 기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전통 간장의 이취, 이미가 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우수한 관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 문화로, 맛과 향의 조화를 중시하는 양념류가 크게 발달하였다. 한국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양념류는 발효 양념으로 된장, 간장, 고추장, 식초 등이 있고, 비발효 양념으로 고추, 후추, 겨자, 매실, 마늘 등이 있는데, 특히 한식의 조리에는 된장, 간장, 고추장과 같은 전통 장류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전통 장류들은 발효 방식을 통하여 제조되므로, 유산균의 함량이 높고,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최근에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 다양한 곳에서도 슈퍼 푸드로써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전통 장류는 발효와 숙성의 긴 시간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특유의 향과 맛에 대해 호불호가 있는 식품에 속하기도 한다.
예컨대, 전통 간장은 삶은 콩을 일정기간 동안 발효시킨 메주만을 발효체로 하기 때문에, 제조된 간장의 맛과 향 그리고 영양에 변화를 부여하기가 힘들어 상품가치가 단조롭고, 고기 등을 절이는 등의 소스 용도로 사용할 때 맛과 향을 가미하기 위해서는 간장 외에 각종 과일이나 야채 등의 재료를 부가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대 사회는 점점 1인 가구의 증가, 가구원 수의 감소, 고령 인구의 증가 및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와 같은 사회구조의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고, 이는 식품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변화는, 가정에서 음식을 직접 조리하는 시간과 과정을 최대한 간소화하고자 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간편하게 식사를 대용할 수 있는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식 대체식품) 이나, 소스(sauce), 양념류, 잼(jam) 등 음식에 손쉽게 첨가하거나 곁들여 음식의 풍미를 더해주는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needs)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잼(jam)은 주로 딸기, 무화과 등의 과일류를 설탕 등에 절여 만든 것으로, 빵 또는 샌드위치 등에 손쉽게 곁들여서 식사를 대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식료품으로써, 바쁜 현대인들이나 학생들이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많이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잼은 대부분 설탕만이 함유되어 칼로리와 당 함량이 매우 높아 장기간 자주 섭취하면, 영양 불균형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섭취를 꺼려하는 사람들도 상당수가 존재한다. 이에, 최근에는, 잼에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거나, 잼의 제조방법의 변화 등으로 보다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식료품으로 탈바꿈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잼에 전통 장류의 우수한 효능을 접목하는 새로운 시도로, 남녀노소 호불호 없이 섭취할 수 있는 관능성을 발휘하면서도,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잼의 조성과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56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과의 유효성분 및 발효 식품으로써의 간장의 우수한 기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전통 간장의 이취, 이미를 제거하여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우수한 관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전통 간장 5 내지 15 중량%, 사과농축액 0.8 내지 9 중량%, 물엿 15 내지 25 중량% 및 정제수 10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사과 간장잼의 원료들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원료들을 포함하는 1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을 1차 교반 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을 2차 교반 하는 단계; 상기 2차 교반 후의 1차 혼합물에, 주정 및 절임 사과를 혼합한 2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2차 혼합물을 냉각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통 간장은, 삶은 콩을 14 내지 90일 동안 자연 발효시켜 메주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메주를 소금물에 담구어 4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 발효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숙성 발효액을 분리 여과하여 전통 간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혼합물은, 상기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백설탕 10 내지 20 중량%, 올리고당 10 내지 20 중량%, 레몬농축액 0.05 내지 1 중량%, 매실농축액 0.005 내지 0.5 중량%, 감자전분 0.05 내지 1 중량%, 카라멜소스 0.05 내지 1 중량%, 잔탄검 0.05 내지 1 중량% 및 소브산칼륨 0.05 내지 1 중량% 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교반은, 상기 1차 혼합물을 21 내지 26℃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차 교반은, 상기 1차 혼합물을 90 내지 110℃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한 다음, 교반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절임 사과는, 당절임 사과이고, 상기 당절임 사과는, 사과를 모서리 길이가 5mm인 주사위 모양으로 자른 다음, 21 내지 26℃의 실온에서 설탕에 5 내지 9일간 침지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절임 사과는, 상기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12 내지 2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정은, 상기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 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과 및 전통 간장을 베이스로 함으로써, 사과의 유효성분 및 발효 식품인 간장의 우수한 기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전통 간장의 이취, 이미가 없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우수한 관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과 간장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저히 향상된 관능성을 갖는 만능 사과 간장잼의 배합을 제공함으로써, 빵 또는 샌드위치 등을 제조하거나 섭취할 때 손쉽게 곁들일 수 있으면서, 다른 소스류 첨가 없이 상기 사과 간장잼 하나의 사용만으로도 음식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과 간장잼의 제품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과 간장잼(Soy sauce)는, 전통 간장, 사과, 천연 재료 농축액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 및 상기 원료 조성물 내 최적의 배합을 제공하여, 영양성분 및 기능성이 우수한 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과 간장잼은, 사과의 유효성분 및 전통 간장이 갖는 발효식품의 우수한 효능을 동시에 확보하면서도, 전통 간장 특유의 쿰쿰함, 텁텁함과 같은 이취, 이미가 없어 남녀노소 모두 호불호 없이 섭취가능할 수 있는 우수한 관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사과 간장잼은, 예컨대, 빵, 샌드위치, 햄버거, 파스타, 피자 등 다양한 양식 조리 과정 및 이에 의해 조리된 음식에 있어서, 풍미를 높일 수 있도록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과 간장잼은,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첨가할 수도 있고, 조리가 완료된 음식에 곁들여서 함께 섭취할 수도 있다. 또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일식, 중식, 한식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음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예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비자의 취향, 목적, 조리방식 등에 따라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따라 제조된 사과 간장잼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은, 사과 간장잼의 원료들을 계량하는 단계(S1), 계량된 원료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S2), 상기 1차 혼합물을 1차 교반하는 단계(S3), 상기 1차 혼합물을 2차 교반하는 단계(S4), 상기 2차 교반 후에 2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S5) 및 상기 2차 혼합물을 냉각 및 포장하는 단계(S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사과 간장잼의 원료는, 전통 간장, 사과 농축액, 물엿 및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통 간장은, 전통적인 발효 방식으로 제조된 간장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콩(대두)을 발효한 메주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통 간장은, 전통적인 발효 방식으로 제조된 간장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콩을 발효한 메주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통 간장의 제조방법은, 콩을 발효시켜 메주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메주를 숙성하여 숙성 발효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숙성 발효액을 분리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삶은 콩(대두)들을 혼합하여 소정의 크기의 덩어리로 뭉친 후 3일 내지 10일, 구체적으로, 3일 내지 7일 동안 자연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삶은 콩 외에 밀, 쌀, 기장, 보리, 수수 등의 기타 곡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삶은 콩 및 기타 곡물의 배합비는 7:3 내지 8:2의 범위에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콩 덩어리를 상기 8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하여 구운 콩 덩어리를 얻은 다음, 발효시켜 메주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구운 콩 덩어리를 발효시키면, 간장의 풍미가 더욱 고소하고 진해질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발효 온도는 30 내지 60℃, 구체적으로, 35 내지 55℃, 일례로, 45 ℃ 일 수 있으며, 발효 기간은 14 내지 90일, 구체적으로, 28 내지 70일, 더 구체적으로, 30 내지 60일, 일례로, 50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메주를 높은 곳에 매달아서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시 더운 공기가 위로 올라와 유효 미생물의 번식을 도와 주고, 땅에 올라오는 불필요한 수분으로부터 보호되어 발효의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숙성은 상기 메주를 소금물에 침지하여 30 내지 120일, 구체적으로, 35 내지 100일,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60일, 일례로, 50일 동안 정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소금물은 20 내지 60%, 일례로, 40% 의 농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리 여과는, 메주를 건져내고 남은 액체를 면포 또는 거름망 등을 사용하여 여과하는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불순물을 제거하여 숙성 발효액을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숙성 발효액은 추가 숙성의 과정을 몇 차례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전통 간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전통간장은, 각종 필수 아미노산 및 단백질의 함량이 풍부하게 함유되고 각종 유익균들이 다량 존재하여, 소화를 돕고, 장건강에 도움을 주며, 혈액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전의 생성을 막아 혈액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사과농축액은, 낙과 사과를 수득한 후 정제수에 세척한 다음,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 하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사과는, 폴리페놀, 비타민 C 등의 유효성분이 풍부하고, 항산화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추출법으로는,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주정추출,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을 수행하기 전에는 유산균 등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에 추출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사과 추출액을 얻은 후, 후발효를 시킨 사과 발효물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발효를 수행하면, 상기 사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통 간장은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 구체적으로, 7 내지 12 중량%, 일례로, 10.1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과 농축액은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0.8 내지 9 중량%, 구체적으로, 2 내지 6 중량%, 일례로, 4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엿은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25 중량%, 구체적으로, 17 내지 22 중량%, 일례로, 19.44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12 내지 17 중량%, 일례로, 15.4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2 단계에서, 상기 1차 혼합물은, 사과 간장잼의 원료, 구체적으로, 천연 재료 농축액 및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재료 농축액은, 사과 간장잼의 기본 단맛에 신맛, 짠맛, 감칠맛 들이 복합적으로 고루 어우러져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선택될 수 있는 우수한 관능성을 형성하고, 전통 간장의 이취 및 이미를 상쇄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재료 농축액은, 레몬 농축액, 매실농축액, 마늘 농축액, 생강 농축액, 다시마 농축액, 단호박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연 재료 농축액은, 레몬 농축액 및 매실농축액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재료 농축액은, 자연 상태의 천연 재료를 세척, 절단한 후,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얻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천연 재료를 각각 별도로 추출할 수도 있고, 이들을 한꺼번에 추출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추출은 각 천연 재료를 별도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추출법으로는,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주정추출,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을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천연 재료는 유산균 등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추출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천연 재료 추출액을 얻은 후, 후발효를 시킨 발효물을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천연 재료 농축액의 제조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백설탕, 올리고당, 감자 전분, 카라멜 소스, 잔탄검 및 소브산칼륨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상기 사과 간장잼의 감칠맛을 더하고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음식과의 조화가 잘 이루어질 하고, 사과 간장잼의 식감과 음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감자 전분 및 잔탄검은, 사과 간장잼이 적당한 점성을 갖도록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1차 혼합물은,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12 내지 18 중량%, 일례로, 14.4 중량%의 백설탕; 10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12 내지 18 중량%, 일례로, 15 중량%의 올리고당; 0.05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0.5 중량%, 일례로, 0.3 중량%의 레몬 농축액; 0.005 내지 0.5 중량%, 구체적으로, 0.05 내지 0.2 중량%, 일례로, 0.09 중량%의 매실 농축액;
0.05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0.8 중량%, 일례로, 0.6 중량%의 감자전분; 0.05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1 내지 0.8 중량%, 일례로, 0.3 중량%의 카라멜 소스; 0.05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08 내지 0.5 중량%, 일례로, 0.1 중량%의 소브산 칼륨; 및 0.05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08 내지 0.5 중량%, 일례로, 0.27 중량%의 잔탄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1차 교반은, 상기 전통 간장, 사과 농축액, 물엿, 정제수, 백설탕, 올리고당, 레몬 농축액, 매실 농축액, 감자전분, 카라멜 소스, 소브산 칼륨 및 잔탄검을 전술된 함량 범위로 믹서, 블렌더 또는 교반기 등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교반은 상온(21 내지 26℃)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4 단계에서, 상기 1차 교반이 수행된 1차 혼합물을 2차 교반할 수 있다. 상기 2차 교반은, 상기 1차 혼합물을 열처리한 다음 교반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고온,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일례로, 95℃ 에서 20분 내지 40분, 일례로,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를 수행하면, 상기 사과 농축액의 맛과 향이 상기 전통간장의 맛과 향과 조화롭게 융화될 수 있다.
상기 S5 단계에서, 상기 2차 교반 후의 1차 혼합물에 주정(에탄올) 및 절임 사과를 포함한 2차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차 혼합물은 제조된 사과 간장잼일 수 있다. 상기 주정은 상기 사과 간장잼의 전통 간장의 이취, 이미를 제거하고, 천연 항균제로서 사과 간장잼 내에 각종 유해균 및 유해 미생물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주정은 0.5 내지 8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5 중량%, 일례로, 3 중량% 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주정은 10 내지 30%의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절임 사과는, 당절임 사과일 수 있다. 상기 당절임 사과는, 사과, 구체적으로 낙과 사과를 일정 크기로 소분한 뒤, 모서리 길이가 5mm인 주사위 모양으로 잘게 자른 다음에 21 내지 26℃, 일례로, 24℃의 실온에서 설탕에 5 내지 9일간, 일례로, 7일간 침지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설탕 및 상기 사과는 1:1.5~0.5, 구체적으로, 1:1의 함량비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절임 사과는, 상기 1차 교반 및 2차 교반을 모두 수행한 후 포함됨으로써, 사과 특유의 아삭한 식감과 향긋하고 달콤한 향과 맛을 그대로 보존하여, 사과 간장잼의 관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과일잼을 제조할 때에는 과일과 설탕을 넣고 함께 가열하는데, 이는 과일의 특유의 식감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임 사과를 별도로 제조하여 간장을 포함하는 원료 성분들과 혼합함으로써, 사과의 식감과 풍미를 보존하면서 사과 내 유효 성분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혼합물에는 액상의 사과 농축액을 함유하고, 상기 2차 혼합물에서는 고형의 사과를 함유함으로써, 사과 간장잼에서의 사과의 식감은 살리면서도 풍미가 고루 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임 사과는 상기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12 내지 22 중량%, 구체적으로, 14 내지 20 중량%, 일례로, 1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임 사과가 전술된 범위를 가지면, 사과의 풍미와 간장의 풍미가 시너지를 발휘하여, 사과 간장잼의 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S6 단계에서, 상기 2차 혼합물을 저온, 일례로, -10 내지 3 ℃ 에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을 수행하기 전에는 일례로, 55 내지 70℃의 범위에서 20 내지 90분 동안 저온 살균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3차 혼합물, 즉, 사과 간장잼은 밀폐 용기에 200 내지 300ml, 일례로, 250ml 씩 소분하여 담아 포장한 다음, 냉장, 일례로, 1 내지 5℃에서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냉각, 포장 및 보관의 방법에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기술에서 차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제조방법 및 표 1의 조성에 따라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전통 간장, 사과 농축액, 물엿, 정제수, 백설탕, 올리고당, 레몬농축액, 후추분, 매실농축액, 감자전분, 카라멜 소스, 소브산칼륨 및 잔탄검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얻은 후, 상온(24℃)에서 1차 교반하고, 95℃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한 다음에 2차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주정 및 절임사과를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얻은 후, 2℃에서 천천히 냉각하여 250ml의 밀폐용기에 소분하여 포장하였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1]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되, 사과 농축액을 넣지 않았다.
[비교예 2]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되, 절임 사과를 넣지 않았다.
[비교예 3]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되, 절임 사과가 아닌 간 사과를 넣었다.
[비교예 4]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되, 주정을 넣지 않았다.
[비교예 5]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되, 2차 교반 시 열처리를 하지 않았다.
[비교예 6]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되, 전통 간장이 아닌, 시판 간장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7]
전술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과 간장잼을 제조하되, 전통 간장의 함량을 17 중량%로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테스트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7의 사과 간장잼에 대하여 관능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주대학교에서 온, 오프라인으로 모집한 20~60대 이상의 패널 30명 선발하고, 관능평가 이전에 평가 방법에 대한 교육을 수행하고, 관능검사장(전주대학교 창조관 3층 식품개발실)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에 사용된 기호도 검사 방법은 정량적 검사로, 각 시료(실시예 1, 비교예 1-7의 사과 간장잼)에 대하여 외관, 향미, 맛, 전체적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사용한 항목 척도는 7점 척도법으로 1점‘매우 싫다’, 2점 ‘싫다’, 3점 ‘약간 싫다’, 4점 ‘보통이다’, 5점 ‘약간 좋다’, 6점 ‘좋다’, 7점 ‘매우 좋다’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사과 간장잼은, 비교예들에 비하여 외관, 맛, 향, 및 기호도 모든 부분에서 상당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비교예 1 및 2는 실시예 1에 비해 관능성이 매우 낮게 평가되었다. 이는, 사과 농축액 또는 절임사과를 각각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2는 사과의 함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전통 간장의 이취, 이미가 제거되지 않아 관능성에 대해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실험예 2: 성분 분석]
실시예 1, 비교예 6의 사과 간장잼에 대하여 단백질, 콜레스테롤, 칼로리에 대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모두 “식품공전”에 개시된 실험 방법을 따랐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사과 간장잼의 경우 시판 간장을 사용한 비교예 6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단백질 함량, 낮은 칼로리를 나타내고, 콜레스테롤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전통 간장 5 내지 15 중량%, 사과농축액 0.8 내지 9 중량%, 물엿 15 내지 25 중량% 및 정제수 10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사과 간장잼의 원료들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원료들을 포함하는 1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을 1차 교반 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물을 2차 교반 하는 단계;
    상기 2차 교반 후의 1차 혼합물에, 주정 및 절임 사과를 혼합한 2차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 2차 혼합물을 냉각 및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통 간장은,
    삶은 콩을 14 내지 90일 동안 자연 발효시켜 메주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메주를 소금물에 담구어 4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 발효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숙성 발효액을 분리 여과하여 전통 간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물은,
    상기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백설탕 10 내지 20 중량%, 올리고당 10 내지 20 중량%, 레몬농축액 0.05 내지 1 중량%, 매실농축액 0.005 내지 0.5 중량%, 감자전분 0.05 내지 1 중량%, 카라멜소스 0.05 내지 1 중량%, 잔탄검 0.05 내지 1 중량% 및 소브산칼륨 0.05 내지 1 중량%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교반은, 상기 1차 혼합물을 21 내지 26℃에서 수행되는 것인,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교반은, 상기 1차 혼합물을 90 내지 110℃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열처리한 다음, 교반기에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인,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 사과는, 당절임 사과이고,
    상기 당절임 사과는, 사과를 모서리 길이가 5mm인 주사위 모양으로 자른 다음, 21 내지 26℃의 실온에서 설탕에 5 내지 9일간 침지시킨 것인,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임 사과는, 당절임 사과이고,
    상기 당절임 사과는, 사과를 모서리 길이가 5mm인 주사위 모양으로 자른 다음, 21 내지 26℃의 실온에서 설탕에 5 내지 9일간 침지시킨 것인,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은, 상기 사과 간장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 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과 간장잼 제조방법.
KR1020210075930A 2021-06-11 2021-06-11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30A KR102624037B1 (ko) 2021-06-11 2021-06-11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930A KR102624037B1 (ko) 2021-06-11 2021-06-11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75A true KR20220166975A (ko) 2022-12-20
KR102624037B1 KR102624037B1 (ko) 2024-01-10

Family

ID=8453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930A KR102624037B1 (ko) 2021-06-11 2021-06-11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944A (en) * 1987-07-02 1989-01-13 Kikkoman Corp Preparation of spread having taste and flavor of soy sauce
KR100415320B1 (ko) * 2001-04-02 2004-01-16 손대식 사과잼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145644B1 (ko) 2010-04-05 2012-05-24 김옥애 딸기잼 제조용 가열장치
KR20200134185A (ko) * 2020-11-11 2020-12-01 주식회사진미식품 한식 발효 굴소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944A (en) * 1987-07-02 1989-01-13 Kikkoman Corp Preparation of spread having taste and flavor of soy sauce
KR100415320B1 (ko) * 2001-04-02 2004-01-16 손대식 사과잼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145644B1 (ko) 2010-04-05 2012-05-24 김옥애 딸기잼 제조용 가열장치
KR20200134185A (ko) * 2020-11-11 2020-12-01 주식회사진미식품 한식 발효 굴소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037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0226B2 (ja) 新規発酵調味料組成物
KR100811204B1 (ko) 김치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194743A (zh) 包含褐藻多酚作为有效成分的用于改善食物香味的组合物
KR20140100657A (ko) 전통간장을 이용한 떡볶이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5101727B2 (ja) 醤油様調味料
KR101250161B1 (ko) 오디분말을 포함하는 샐러드드레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Göğüş et al.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some turkish traditional foods
JP2007111046A (ja) 調味料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24037B1 (ko) 사과 간장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212170A (zh) 苹果味道增强剂和苹果味道增强方法
KR20010044329A (ko) 기능성 발효원액 및 그 이용식품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US20220240549A1 (en) Acetic acid bacteria-containing composition
JP3587780B2 (ja) ひき肉様具材含有ソース類
KR101831414B1 (ko) 된장 및 고추장을 포함하는 장죽 조성물
KR102623458B1 (ko) 관능성이 우수한 간장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8624B1 (ko) 묵은지 청국장의 제조방법
Henshaw et al. Sensory properties of akara (fried cowpea paste) prepared from paste stored at low storage temperatures
JP7256636B2 (ja) 飲食品の濃厚感付与増強剤
JPH09224588A (ja) 食品の臭気マスキング剤および該マスキング剤を用いた食品の臭気マスキング方法
KR101753308B1 (ko) 김치유산균이 함유된 배 및 유자 드레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14623B1 (ko) 들기름 이용 메밀의 고유한 맛과 향이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막국수의 맛과 풍미를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막국수용 양념장 조성물
KR20210058486A (ko) 스테이크용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0036B1 (ko) 중국향(向)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023848A (ja) トマト含有調味料
KR102651582B1 (ko) 샐러드용 드레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