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806A - 경구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806A
KR20220156806A KR1020227026889A KR20227026889A KR20220156806A KR 20220156806 A KR20220156806 A KR 20220156806A KR 1020227026889 A KR1020227026889 A KR 1020227026889A KR 20227026889 A KR20227026889 A KR 20227026889A KR 20220156806 A KR20220156806 A KR 20220156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recovery
alleviation
garcinia indica
symp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야스 가미야
마사모리 이와세
무하메드 마제에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무하메드 마제에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20421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2357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무하메드 마제에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Publication of KR2022015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8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1623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Derivatives thereof; Homeopathic glob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구 조성물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숙취란, 일반적으로, 음주한 날의 다음날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인 불쾌감을 의미하고, 구체적인 증상예로서는, 두통, 구역질, 나른함, 졸음, 위의 메스꺼움, 기분의 나쁨, 설사, 식욕 부진, 떨림, 피로감, 구갈(口渴), 운동 능력 저하가 알려져 있다. 숙취의 원인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는 강한 독성을 갖고, 알코올 대사의 과정에서 생성되면, 그 독성에 의해 탈수 증상이나 위장에서의 장애 등을 일으킨다.
지금까지, 숙취의 회복이나 완화에 유효한 소재로서, 예를 들면, 울금 추출물(특허문헌 1)이나 개암나무 과실 추출물, 오리나무의 줄기 추출물 및, 마가목 과실 추출물(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울금 추출물은 독특한 풍미를 갖기 때문에 섭취하기 어려운 것, 제조기에 부착되기 쉬워 세정이 곤란한 것 등의 이유로부터, 다른 소재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31080호 일본특허공보 제6446162호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물질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가르시니아 인디카가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하여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1>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
<2> 추가로, 산미료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
<3> 숙취 증상 발증 후에 섭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
<4>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섭취시켜, 숙취를 회복 및/또는 완화하는 방법.
<5> 상기 조성물이 추가로 산미료를 함유하는, <4>에 기재된 방법.
<6> 상기 섭취를 숙취 증상 발증 후에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방법.
<7> 숙취를 회복 및/또는 완화하기 위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의 사용.
<8> 숙취를 회복 및/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사용.
<9> 상기 조성물이 산미료를 함유하는, <8>에 기재된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사용.
본 발명에 의하면,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질량 기준의 비율(백분율, 부 등)은, 중량 기준의 비율(백분율, 부 등)과 동일하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란, 물레나물과 클루시아속(망고스틴속, 가르시니아속이라고도 함)의 식물(학명 Garcinia indica)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사용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잎, 과실 및 그 외의 부위로부터 선택되는 부위를 적합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 부위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관점에서, 과실이 바람직하고, 과육, 과피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가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르시니아 인디카로서는, 추출물이나 분쇄물을 적합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관점에서, 추출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추출 처리로서는, 당업자가 통상 이용하는 추출 용매를 더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온하여 추출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추출 처리에 있어서의 추출 용매에는 극성 용매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극성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트산, 아세트산 에틸, 에테르 및 헥산 등이 예시된다. 추출 용매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관점에서, 극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물 혹은 에탄올 또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추출 효율이 우수한 관점에서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극성 용매로 추출하는 경우, 그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연속 추출, 침지 추출 및 향류 추출 등으로부터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추출에는, 실온 내지 환류 가열하에 있어서 임의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서 농축, 건조 분말로 할 수 있다. 추출물을 건조 분말로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부형제를 배합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추출물이 부형제를 함유하는 경우,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함유량이란 부형제를 제외한 양이다.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1일당의 섭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관점에서, 건조 질량의 환산량으로 0.001㎎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에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이상 500㎎ 이하의 범위에서 섭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이상 300㎎ 이하의 범위에서 섭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이상 200㎎ 이하의 범위에서 섭취하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풍미를 부각시키는 관점에서, 10㎎ 이상 150㎎ 이하의 범위에서 섭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5㎎ 이상 100㎎ 이하의 범위에서 섭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경구 섭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이후, 간단히 「본 발명의 조성물」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은 경구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관점에서, 건조 질량의 환산량으로, 0.0001질량% 이상 80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0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1질량% 이상 35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제제(製劑)성이나 함량 균일성의 관점에서 0.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르시니아 인디카 이외에, 통상 사용되는 다른 소재를,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로서, 예를 들면, 여러 가지의 부형제, 결합제, 광택제, 활택제, 안정제, 희석제, 증량제, 증점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착색료, 향료, 산미료 및 첨가제 등으로부터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 이외의 소재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제형(劑型) 등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다른 소재로서는, 가르시니아 인디카에 의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산미료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은, 추가로 산미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미료로서는, 가르시니아 인디카에 의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한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구연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락트산, 아세트산, 아디프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산, 인산, 또는 이들의 염이 보다 바람직하고, 구연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들의 염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연산 또는 그의 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에 있어서의 산미료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관점에서, 산미료는, 건조 질량의 환산량으로, 0.0001질량% 이상 50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질량% 이상 25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제제성이나 함량 균일성의 관점에서 0.01질량% 이상 15질량%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산미료를 가르시니아 인디카와 특정의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더욱 향상하기 때문에, 산미료는, 가르시니아 인디카 1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제제 방법에 의해, 각종의 제형으로 제제 가능하다.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면, 분말상, 입상(정제), 과립상(과립제), 알약상, 막대상, 판상, 블록상, 고형상, 환상(丸狀), 액상, 페이스트상, 슬러리상, 하드 캡슐이나 소프트 캡슐과 같은 캡슐상, 캐플렛상, 타블렛상, 겔상, 츄어블상, 시럽상 및 스틱상 등으로부터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제조기에 부착되기 어려워, 작업자가 취급하기 쉽기 때문에, 알약상, 분말상, 과립상, 캡슐상, 액상, 슬러리상의 제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의 포장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TP 등의 블리스터 팩, 스트립 포장, 히트 시일, 알루미늄 파우치 등의 알루미늄 포장, 플라스틱이나 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는 필름 포장, 바이알 등의 유리 용기, 앰플 등의 플라스틱 용기, 페트병, 알루미늄캔 및 스틸캔 등으로부터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포장 형태는, 가르시니아 인디카에 포함되는 성분의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알루미늄 포장, 유리 용기, 페트병, 알루미늄캔, 스틸캔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를 갖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종의 숙취 증상, 예를 들면 음주에 수반하는 두통, 구역질, 나른함, 졸음, 위의 메스꺼움, 기분의 나쁨, 설사, 식욕 부진, 떨림, 피로감, 구갈 및 운동 능력 저하 등의 회복 및/또는 완화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들 숙취의 제(諸)증상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증상을, 회복 및/또는 완화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은, 음주에 수반하는 두통, 구역질, 졸음, 식욕 부진, 위의 메스꺼움, 피로감 및 구갈(구갈감)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증상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하여 유용하고, 특히, 두통, 구역질, 식욕 부진, 피로감 및 구갈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하여 유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숙취의 회복」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숙취의 증상을 회복시켜 술에 취하지 않은 상태(숙취의 자각 증상이 없는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숙취의 완화」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섭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숙취의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는 타이밍은,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를 보다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섭취자가 숙취의 증상을 자각한 후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은, 숙취 증상 발증 후에 섭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 회복 및/또는 완화를 용도로 한 제품으로서 판매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의 효과, 효능은 제품의 임의의 개소, 예를 들면, 제품의 본체, 포장, 설명서 및 선전물 등에 적합하게 표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이 숙취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하면, 표기되는 유효 성분은 가르시니아 인디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효 성분으로서 다른 소재와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조합하여 표기할 수도 있고,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유효 성분으로서 표기하지 않고 다른 소재만을 표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 회복 및/또는 완화를 용도로 하는 제품은, 의약품(의약 부외품을 포함함)이나 소위 건강 식품으로서 판매되고, 소위 건강 식품에 있어서는, 제품의 효과, 효능의 표기 방법으로서, 알코올 섭취나 숙취에 수반하는 제증상의 회복 및/또는 완화, 예를 들면, 「피로감 또는 탈진감의 회복 및/또는 완화」, 「두통 또는 머리의 위화감의 회복 및/또는 완화」, 「위장의 회복 및/또는 완화」, 「위의 위화감, 불쾌감, 메스꺼움, 또는 설사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졸음의 회복 및/또는 완화」, 「집중력 또는 주의력 저하의 회복 및/또는 완화」, 「구역질의 회복 및/또는 완화」, 「구갈의 회복 및/또는 완화」, 「후갈(喉渴)의 회복 및/또는 완화」, 「근육의 위화감의 회복 및/또는 완화」, 「근육통의 회복 및/또는 완화」, 「현기증의 회복 및/또는 완화」, 「우울 또는 불안의 회복 및/또는 완화」, 「손의 떨림의 회복 및/또는 완화」 및 「식욕 부진의 회복 및/또는 완화」 등의 표기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란,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숙취의 증상을 회복 및/또는 완화하는 것으로서, 간장(간장 및 간세포)의 보호와는 상이한 용도이다. 간장 보호는, 간 장애, 즉, 간장에 있어서의 섬유 형성 및 간경변이나 간암에 대한 회복 및/또는 완화 작용을 의미하고, 그의 요인이 되는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비알코올성 지방성 간 질환(간장에서의 지방 침착 등)을 보호하는 것도 의미한다. 예를 들면, 4염화 탄소 등의 독소에 의해 간 장애를 유발한 래트에 있어서, TGF-β나 C 반응성 단백질의 발현이 억제되는 바와 같은 작용을 확인한 경우에는, 간장 보호 작용이 있다고는 할 수 있지만,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작용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숙취는 알코올의 이뇨 작용에 수반하는 탈수 증상이나 간장에서의 알코올 이외의 대사 억제에 수반하는 저혈당증 등에 의해 일어나는 데에 대하여, TGF-β나 C 반응성 단백질은 간섬유증이나 감염증을 갖는 상태에 있어서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이기 때문에, 그들의 발현을 억제했다고 해도,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로는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간장 보호와 숙취 회복 및/또는 완화는 용도나 그의 작용기서가 상이하여, 직접적인 인과 관계는 없다.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은, 그대로 섭취할 수도 있고,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을 냉수나 열수 등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액을 섭취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 1)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의 조제]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과실로부터 종자를 제거한 부분(과육 및 과피)을 건조 후, 70℃ 이상의 에탄올로 6시간 이상 추출했다. 얻어진 추출액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고, 농축했다. 농축한 추출액을 분말상으로 가공하고, 분말상의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얻었다.
[샘플의 조제]
상기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5질량% 함유하는 250㎎의 정제를 제작했다(실시예 1). 정제는, 로터리 타정기로 압축 성형했다(이하에 기재하는 다른 정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조했다). 부형제로서는 셀룰로오스, 환원 맥아당, 스테아르산 칼슘을 적절히 배합했다. 제작한 정제 2알을 알루미늄 분포(分包)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즉, 샘플 1포당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25㎎ 함유하는 것이었다.
[샘플의 평가]
피험자로서, 건장한 성인 10명을 무작위로 선출하여, 음주의 다음날 아침(음주 후 9시간 경과 후)에, 숙취의 증상이 확인되는가에 대해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섭취 전 앙케이트). 섭취 전 앙케이트에서는, 두통, 구역질, 나른함, 졸음, 위의 메스꺼움의 5항목에 대해서, 1. 숙취 증상을 매우 느낀다, 2. 숙취 증상을 느낀다, 3. 숙취 증상을 조금 느낀다, 4. 숙취 증상을 느끼지 않는다, 의 4단계로 평가하고, 1∼3의 어느 하나라고 회답한 항목이 1개 이상 있는 피험자에게 대해서, 숙취의 증상이 확인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섭취 전 앙케이트의 결과, 어느 피험자에게나 숙취의 증상이 확인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후, 100mL의 물과 함께 샘플 1포(2알;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25㎎)를 각 피험자에게 섭취시켰다. 샘플 섭취에서 3시간 후까지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한 앙케이트를, 표 1의 평가축에 기초하여 평가했다(섭취 후 앙케이트). 평가는, 샘플 섭취 전을 기준으로 하여 행했다. 섭취 후 앙케이트에 있어서, 1(매우 좋아졌다) 또는 2(좋아졌다)라고 회답한 항목이 1개 이상 있는 피험자에 대해서는, 숙취가 회복 및/또는 완화되었다고 판단했다.
또한, 평가한 5개의 항목 중, 숙취의 증상이 회복 및/또는 완화된 항목, 즉, 앙케이트에 있어서 1(매우 좋아졌다) 또는 2(좋아졌다)라고 회답한 항목의 비율을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로서 평가했다. 숙취 증상의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의 계산식은 이하와 같다.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전체 피험자의 앙케이트 결과에 있어서의 회복 및/또는 완화한 평가 항목수)÷(평가 항목수×피험자수)×100
Figure pct00001
[결과]
앙케이트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음주 후에 샘플을 섭취한 피험자 10명 중 9명(90%)에게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5개의 항목에 있어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된 항목의 비율을 나타내는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는 44%였다. 이 점에서, 가르시니아 인디카에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2∼표 4의 「회복 및/또는 완화 판정」의 행에 있어서의 「○」는, 해당의 열의 피험자의 섭취 후 앙케이트에 있어서, 1(매우 좋아졌다) 또는 2(좋아졌다)라고 회답한 항목이 1개 이상 있는 것, 즉 숙취가 회복 및/또는 완화된 것을 나타낸다. 「×」는, 해당의 열의 피험자의 섭취 후 앙케이트에 있어서, 1(매우 좋아졌다) 또는 2(좋아졌다)라고 회답한 항목이 없었던 것, 즉 숙취가 회복 및/또는 완화되지 않았던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비교예 1)
[샘플의 조제]
가르시니아 인디카와 외관(색)이 비슷한 소재로서 캐러멜 색소를 채용하여, 10질량%를 함유하는 250㎎의 정제를 제작했다(비교예 1). 부형제로서는 셀룰로오스, 환원 맥아당, 스테아르산 칼슘을 적절히 배합했다. 또한, 말토오스, 이산화 규소도 배합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작한 정제 2알을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했다.
[샘플의 평가]
피험자로서, 건장한 성인 6명을 무작위로 선출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음주의 다음날에 100mL의 물과 함께 샘플 1포(2알;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음)를 각 피험자에게 섭취시켰다. 샘플 섭취에서 3시간 후까지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 또한, 어느 피험자에 대해서도, 음주의 다음날에 숙취의 증상이 확인되고 있었다.
[결과]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험자 6명 중 1명(16.7%)에게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숙취의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는 3.3%였다.
Figure pct00003
(비교예 2)
[샘플의 조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를 목적으로 한 서플리먼트로서 시판되어 있는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1알과, 비교예 1에서 제작한 정제 1알(울금 추출물,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의 어느 것도 배합하고 있지 않는 정제)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했다(비교예 2). 또한, 준비한 시판품은 울금 추출물을 16.7% 함유하는 300㎎의 정제이기 때문에, 비교예 2의 샘플은 1포당 50㎎의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었다.
[샘플의 평가]
피험자로서, 건장한 성인 8명을 무작위로 선출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음주의 다음날에 100mL의 물과 함께 샘플 1포(2알; 울금 추출물을 50㎎)를 각 피험자에게 섭취시켰다. 샘플 섭취에서 3시간 후까지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대해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 또한, 어느 피험자에 대해서도, 음주의 다음날에 숙취의 증상이 확인되고 있었다.
[결과]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험자 8명 중 6명(75%)에게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숙취의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는 32.5%였다.
Figure pct00004
표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실시예 1)는,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2와 비교하여, 음주 후의 두통, 구역질, 나른함, 졸음, 위의 메스꺼움의 모든 항목에 대해서 효과가 있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정제는 숙취 증상이 회복 및/또는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실시예 1의 쪽이 모든 평가 항목에 있어서 우수하고,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가 확인된 비율,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의 평균값에 대해서도 높은 값을 나타냈다. 비교예 2에 포함되는 울금 추출물의 양은 50㎎인 것에 대하여, 실시예 1에 포함되는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의 양은 25㎎임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에서는 비교예 2 이상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가 확인된 점에서,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매우 우수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3, 비교예 3)
[샘플의 조제]
이하와 같이, 실시예 2 및 3, 그리고 비교예 3의 샘플을 조제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과 부형제를 혼합한 후, 로터리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15.4질량% 함유하는 250㎎의 정제를 제작했다. 부형제로서는 셀룰로오스, 환원 맥아당, 스테아르산 칼슘을 적절히 배합했다. 제작한 정제 1알을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즉, 샘플 1포당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38.5㎎ 함유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과 부형제를 혼합한 후, 로터리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31질량% 함유하는 250㎎의 정제를 제작했다. 부형제로서는 셀룰로오스, 환원 맥아당, 스테아르산 칼슘을 적절히 배합했다. 제작한 정제 1알을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즉, 샘플 1포당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77.5㎎ 함유한다.
비교예 3: 실시예 2, 3의 샘플과 겉보기상 구별할 수 없게 하기 위해, 캐러멜 색소를 이용했다. 캐러멜 색소와 부형제를 혼합한 후, 로터리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캐러멜 색소를 20질량% 함유하는 250㎎의 정제를 제작했다. 부형제로서는 셀룰로오스, 환원 맥아당, 스테아르산 칼슘을 적절히 배합했다. 또한, 말토오스, 이산화 규소도 배합했다. 제작한 정제 1알을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샘플의 평가]
피험자로서, 숙취가 생기기 쉬운 건장한 성인 남성 34명을 선출하여, 3군의 크로스오버 시험을 행했다. 숙취가 생기기 쉬운 피험자의 선출에 있어서는, 사전 스크리닝을 실시하여, 술을 섭취한 후의 숙취 증상이 현저한 사람을 우선적으로 피험자로서 선출했다. 음주의 다음날 아침(음주 후 7시간 경과 후)에, 숙취의 증상을 평가하기 위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섭취 전 앙케이트). 앙케이트는, 피로감, 식욕 감퇴의 2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숙취 증상을 평가하는 데에 이용되는 AHS(Acute Hangover Scale)라는 평가 지표를 참고로, 각 증상에 대해서 0∼7의 8단계의 스코어 평가를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0. 숙취 증상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로 하고, 숙취 증상을 조금이라도 느끼는 경우에 대해서, 1∼7의 7단계(1. 숙취 증상을 매우 약하게 느낀다∼4. 숙취 증상을 중간 정도로 느낀다∼7. 숙취 증상을 매우 강하게 느낀다)를 설정했다.
섭취 전 앙케이트를 기입 후, 100mL의 물과 함께 샘플을 각 피험자에게 섭취시켰다. 샘플 섭취로부터 2시간 후에, 동일한 앙케이트를 실시했다(섭취 2시간 후 앙케이트). 숙취 증상의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는 샘플 섭취 전을 기준으로 하여, (섭취 2시간 후 앙케이트의 스코어)-(섭취 전 앙케이트의 스코어)로 평가했다.
[결과]
앙케이트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는, 각 샘플, 각 증상에 대해서, 피험자의 (섭취 2시간 후 앙케이트의 스코어)-(섭취 전 앙케이트의 스코어)의 평균값을 정리한 것이다. 평균값은, 수치가 작을(평균값이 부(負)의 값인 경우, 그의 절대값이 클)수록, 피로감, 식욕 감퇴 증상이 회복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정제(실시예 2, 3)는,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포함하지 않는 정제(비교예 3)에 비해, 피로감, 식욕 감퇴가 회복 및/또는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숙취 증상이 회복 및/또는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5, 비교예 4, 5)
[샘플의 조제]
실시예 1과 동일한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실시예 4 및 5, 그리고 비교예 4 및 5의 샘플을 제작했다.
실시예 4: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5질량%, 산미료(구연산)를 10질량% 함유하는 과립제를 제작했다. 부형제로서는 말토덱스트린을 적절히 배합했다. 2000㎎씩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즉, 샘플 1포당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100㎎, 산미료(구연산)를 200㎎ 함유한다.
실시예 5: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5질량% 함유하는 과립제를 제작했다. 부형제로서는 말토덱스트린을 적절히 배합했다. 2000㎎씩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즉, 샘플 1포당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100㎎ 함유한다.
비교예 4: 산미료(구연산)를 10질량% 함유하는 과립제를 제작했다. 부형제로서는 말토덱스트린을 적절히 배합했다. 2000㎎씩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즉, 샘플 1포당 산미료(구연산)를 200㎎ 함유한다.
비교예 5: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산미료(구연산) 모두 포함하지 않는 과립제를 제작했다. 부형제로서는 말토덱스트린을 적절히 배합했다. 2000㎎씩 알루미늄 분포에 충전하여, 샘플을 준비했다.
[샘플의 평가]
피험자로서 건장한 성인 16명을 무작위로 선출하여, 음주의 다음날(음주 후 7.5시간 경과 후)에, 숙취의 증상이 확인되는가에 대해서 앙케이트(섭취 전 앙케이트)를 실시했다. 섭취 전 앙케이트는 두통, 구갈감, 피로감, 현기증의 4항목에 대해서 평가를 행했다. 구갈감, 피로감, 현기증의 3항목에 대해서는, 숙취 증상을 평가하는 데에 이용되는 AHS(Acute Hangover Scale)라는 평가 지표를 참고로 하여, 각 증상에 대해서 0∼7의 8단계의 스코어 평가를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0. 숙취 증상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라고 하고, 숙취 증상을 조금이라도 느끼는 경우에 대해서, 1∼7의 7단계(1. 숙취 증상을 매우 약하게 느낀다∼4. 숙취 증상을 중간 정도로 느낀다∼7. 숙취 증상을 매우 강하게 느낀다)를 설정했다. 두통에 대해서는, 통증의 평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VAS(Visual Analog Scale)법에 의해 숙취 증상의 평가를 행했다(0. 숙취 증상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100. 숙취 증상을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느낀다). 또한, 섭취 전 앙케이트의 스코어가 0. 전혀 느끼지 않는다, 였던 피험자는, 숙취 증상을 느끼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평가의 대상 외로 했다.
섭취 전 앙케이트의 결과, 어느 피험자에게나 숙취의 증상이 확인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후, 14명의 피험자를 4군(실시예 4: 4명, 실시예 5: 4명, 비교예 4: 3명, 비교예 5: 3명)으로 나누고, 100mL의 물과 함께 샘플을 각 피험자에게 섭취시켰다. 샘플 섭취로부터 4시간 후에, 재차 상기 4항목의 앙케이트(섭취 4시간 후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숙취 증상을 평가했다. 숙취 증상의 회복도 및/또는 완화도는 샘플 섭취 전을 기준으로 하여, (섭취 4시간 후 앙케이트의 스코어)-(섭취 전 앙케이트의 스코어)로 하여, 평균값을 산출했다. 평균값은, 수치가 작을(평균값이 부의 값인 경우, 그의 절대값이 클)수록, 각 증상이 회복 및/또는 완화된 것을 의미한다.
[결과]
앙케이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두통, 구갈감, 피로감, 현기증의 어느 항목에 있어서도, 비교예 5(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음료)와 비교하여, 실시예 5(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100㎎ 함유 음료)의 쪽이, 보다 숙취 증상의 스코어를 회복 및/또는 완화시키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실시예 5(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100㎎ 함유 음료), 비교예 4(산미료(구연산) 200㎎ 함유 음료), 비교예 5(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산미료(구연산) 모두 포함하지 않는 음료)와 비교하여, 실시예 4(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100㎎, 산미료(구연산) 200㎎ 함유 음료)의 쪽이, 보다 숙취 증상의 스코어를 회복 및/또는 완화시키는 것이 명백해졌다. 특히, 피로감, 현기증, 두통에 대해서는, 비교예 4(산미료(구연산) 200㎎ 함유 음료)에서 증상의 회복 및/또는 완화가 보이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4에서는 어느 군보다도 큰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00006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과립제(실시예 5)에 있어서, 숙취 증상이 회복 및/또는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점에서,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정제뿐만 아니라, 과립제(음료)로서 섭취함으로써도, 숙취 증상을 회복 및/또는 완화하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가르시니아 인디카와 구연산을 함유하는 과립제(실시예 4)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는, 가르시니아 인디카와 구연산의 어느 한쪽 밖에 함유하고 있지 않는 과립제(실시예 5, 비교예 4)와 비교하여 우수했다. 이 점에서, 산미료를 가르시니아 인디카와 조합하여 섭취함으로써,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숙취 회복 및/또는 완화 작용이 증강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 6, 비교예 6)
[시험 방법]
웅성(雄性) ICR계 마우스(10주령(週齡): 니혼 에스엘시 가부시키가이샤)를 5일간 순화(馴化) 후, 체중값에 기초하여 3군으로 군 분리했다. 알코올(2000㎎/㎏) 및 가르시니아 인디카(100㎎/㎏)를 투여하는 군 7마리(실시예 6), 알코올도 가르시니아 인디카도 투여하지 않는 군 8마리(컨트롤군), 알코올(2000㎎/㎏)을 투여하고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투여하지 않는 군 7마리(비교예 6)로 군 분리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을, 순수를 이용하여 소정의 농도(10㎎/mL)로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용액을 조제했다. 알코올은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12.5%(v/v)로 조제했다. 명기(明期)(8:30∼20:30) 개시의 1시간 후, 알코올을 복강 내 투여(20mL/㎏)하고, 그의 6시간 후에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용액을 강제 경구 투여(10mL/㎏)했다. 강제 경구 투여의 3시간 후에 마우스에게 5분간의 오픈 필드 시험을 행했다. 오픈 필드 시험은 디지털 카메라로 동영상을 녹화하여, 해석을 행했다.
[오픈 필드 시험]
마우스를 30㎝×30cm×30㎝의 사각 박스의 중앙에 두고, 5분간 자유 행동시켰다. 마우스의 행동은 디지털 카메라로 동영상을 녹화하여, 2지표의 해석을 행했다.
지표 1(이동 횟수): 오픈 필드를 3×3, 합계 9개의 구역을 균등하게 나누고, 각 구역에 왕래하는 횟수를 세어, 이동 횟수로 했다.
지표 2(중앙 침입 횟수): 오픈 필드의 중앙 구역(전체 면적의 30%)을 침입하는 횟수를 세어, 중앙 침입 횟수로 했다.
이동 횟수, 중앙 침입 횟수는 모두 컨트롤군을 기준으로 한 상대값을 산출했다. 수치가 클수록, 알코올에 의한 취기의 증상이 완화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시험 결과는 표 7에 나타낸다. 알코올만을 투여하고,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투여하고 있지 않는 군(비교예 6)은 알코올도 가르시니아 인디카도 투여하지 않는 군(컨트롤군)에 비해, 이동 횟수 및 중앙 침입 횟수가 저하했다. 이 결과로부터 알코올의 투여에 의해 숙취가 일어나, 이동 횟수 및 중앙 침입 횟수가 저하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또한, 알코올과 함께 가르시니아 인디카도 투여한 군(실시예 6)은 비교예 6에 비해, 이동 횟수 및 중앙 침입 횟수가 증가하고 있어, 숙취를 회복 및/또는 완화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르시니아 인디카가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7, 비교예 7, 8)
[시험 방법]
웅성 ICR계 마우스(10주령: 니혼 에스엘시 가부시키가이샤)를 5일간 순화 후, 체중값에 기초하여 3군으로 군 분리했다. 알코올(2000㎎/㎏) 및 가르시니아 인디카(500㎎/㎏)를 투여하는 군 9마리(실시예 7), 알코올(2000㎎/㎏)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500㎎/㎏)를 투여하는 군 6마리(비교예 7), 알코올(2000㎎/㎏) 및 클로렐라(500㎎/㎏)를 투여하는 군 6마리(비교예 8)로 군 분리했다. 또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로서는 과피를 물로 추출하고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 클로렐라로서는 클로렐라 배양액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이용했다.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알코올은 생리 식염수를 이용하여 12.5%(v/v)로 조제했다. 명기(8:30∼20:30) 개시의 1시간 후, 알코올을 복강 내 투여(20mL/㎏)하고, 그의 6시간 후에 가르시니아 인디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또는 클로렐라를 강제 경구 투여(10mL/㎏)했다. 강제 경구 투여의 3시간 후에 마우스에게 5분간의 오픈 필드 시험을 행했다. 오픈 필드 시험은 디지털 카메라로 동영상을 녹화하여, 해석을 행했다.
[오픈 필드 시험]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지표 1(이동 횟수)을 평가했다. 또한, 0시간의 오픈 필드 시험은 본 시험의 전날, 알코올 및 실시예 7, 비교예 7 또는 비교예 8의 피험 물질 투여 전에 행했다.
Figure pct00008
[결과]
시험 결과는 표 8에 나타낸다. 알코올과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투여한 군(실시예 7)은 알코올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투여한 군(비교예 7)에 비해, 이동 횟수의 알코올을 투여하고 있지 않는 0시간에 대한 상대값이 증대했다. 그리고, 실시예 7은 알코올과 클로렐라를 투여한 군(비교예 8)에 비해, 이동 횟수의 알코올을 투여하고 있지 않는 0시간에 대한 상대값이 증대했다. 이 결과로부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투여한 군과 클로렐라를 투여한 군에 비해,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투여한 군은, 숙취에 의한 이동 횟수의 저하의 정도가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와 클로렐라에 비해,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한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예)
[가르시니아 인디카 파쇄물의 조제]
가르시니아 인디카의 과실을 분쇄한 분체를 체 거름함으로써, 가르시니아 인디카 파쇄물을 얻었다.
[제조예 1∼5: 과립제]
표 9에 기재된 배합과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또는 파쇄물과 다른 원료를 혼합 후, 조립(造粒)기를 이용하여 유동층 조립을 행하여, 제조예 1∼5에 기재된 과립제를 제조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조립기에 부착되기 어려워, 조립기의 세정이 용이하다. 제조예 1∼5에 기재된 과립제는, 예를 들면 1일당 2g을 섭취하면 좋고, 100mL의 물 등의 용매에 녹여 섭취해도, 녹이지 않고 그대로 섭취해도 좋다. 표 9에 기재된 처방 내용은 조립하지 않고 분말인 채 섭취해도 좋지만, 조립물의 쪽이 물이나 타액으로의 친수성이 향상하여 섭취하기 쉽기 때문에, 조립물의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조예 1∼5의 어느 과립제에 대해서도,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하다.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표 9∼표 14 중의 배합 비율을 나타내는 「%」는 질량 기준의 비율(질량%)을 의미하고, 공란은 해당의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단, 표 9∼표 14 중의 「60% 함수(含水) 에탄올」에 있어서의 「%」는 체적 기준의 비율(체적%)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9
[제조예 6∼12: 정제]
표 10에 기재된 배합과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또는 파쇄물과 다른 원료를 혼합 후, 로터리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하여, 제조예 6∼12의 정제를 제조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타정기나 혼합기에 부착되기 어려워, 세정이 용이하다. 정제는, 정 지름 8㎜φ, 정 두께 4.5㎜, 중량 300㎎, 경도 5kgf 이상으로 제조했다. 제조예 6∼12에 기재된 정제는 예를 들면 1일당 1∼2알을 섭취하면 좋고, 100mL의 물 등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제조예 6∼12의 어느 정제에 대해서도,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하다.
Figure pct00010
[제조예 13∼18: 소프트 캡슐]
표 11에 기재된 배합과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또는 파쇄물과 다른 원료를 유화 가마에 투입하여, 소프트 캡슐 내용액을 조제했다. 또한, 젤라틴 및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피막으로 피포함으로써, 소프트 캡슐을 제조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유화 가마나 유화 시에 사용하는 교반 날개에 부착되기 어려워, 세정이 용이하다. 소프트 캡슐은 1알 400㎎으로 제조했다. 제조예 13∼18에 기재된 소프트 캡슐은 예를 들면 1일당 1∼2알 섭취하면 좋고, 100mL의 물 등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제조예 13∼18의 어느 소프트 캡슐에 대해서도,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하다.
Figure pct00011
[제조예 19∼24: 하드 캡슐]
표 12에 기재된 배합과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또는 파쇄물과 다른 원료를 혼합하고,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피막으로 피포함으로써, 하드 캡슐을 제조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혼합기나 충전기에 부착되기 어려워, 세정이 용이하다. 하드 캡슐은 1알 300㎎으로 제조했다. 제조예 19∼24에 기재된 하드 캡슐은 예를 들면 1일당 1∼2알 섭취하면 좋고, 100mL의 물 등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제조예 19∼24의 어느 하드 캡슐에 대해서도,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하다.
Figure pct00012
[제조예 25∼29: PET 음료]
표 13에 기재된 배합과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또는 파쇄물과 다른 원료를 혼합한 액제를 PET 용기에 채워, PET 음료를 제조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혼합기나 충전기에 부착되기 어려워, 세정이 용이하다. PET 음료는 1병 150mL로 제조했다. 제조예 25∼29의 PET 음료는 예를 들면 1일당 1∼3병 섭취하면 좋다. 또한, 제조예 25∼29의 어느 PET 음료에 대해서도,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하다.
Figure pct00013
[제조예 30∼34: 슬러리상 음료]
표 14에 기재된 배합과 같이, 가르시니아 인디카 추출물 또는 파쇄물과 다른 원료를 혼합한 슬러리상의 액제를 알루미늄 파우치에 채워, 슬러리상 음료를 제조했다. 가르시니아 인디카는 혼합기나 충전기에 부착되기 어려워, 세정이 용이하다. 슬러리상 음료는 1병 150mL로 제조했다. 제조예 30∼34의 슬러리상 음료는 예를 들면 1일당 1∼3병 섭취하면 좋다. 또한, 제조예 30∼34의 어느 슬러리상 음료에 대해서도,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에 유효하다.
Figure pct00014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이나 수정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20년 2월 4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20-017492) 및 2020년 12월 9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20-204213)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그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취입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은, 우수한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효과를 갖는 점에서, 산업상의 유용성은 높다.

Claims (2)

  1. 가르시니아 인디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산미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의 회복 및/또는 완화 조성물.
KR1020227026889A 2020-02-04 2021-02-03 경구 조성물 KR20220156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7492 2020-02-04
JPJP-P-2020-017492 2020-02-04
JPJP-P-2020-204213 2020-12-09
JP2020204213A JP2021123578A (ja) 2020-02-04 2020-12-09 経口組成物
PCT/JP2021/003994 WO2021157627A1 (ja) 2020-02-04 2021-02-03 経口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806A true KR20220156806A (ko) 2022-11-28

Family

ID=7719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889A KR20220156806A (ko) 2020-02-04 2021-02-03 경구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77004A1 (ko)
KR (1) KR20220156806A (ko)
CN (1) CN115427054A (ko)
WO (1) WO202115762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1080A (ja) 2010-07-29 2012-02-16 House Foods Corp 二日酔いの症状の回復剤
JP6446162B1 (ja) 2016-08-09 2018-12-26 ジョン ヒュン ナム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3678A (ja) * 1985-12-17 1987-06-26 Nakano Vinegar Co Ltd 深酔い防止アルコ−ル飲料の製造法
JPH1129465A (ja) * 1997-07-10 1999-02-02 Kikkoman Corp 抗潰瘍剤
JP6220792B2 (ja) * 2012-11-15 2017-10-25 アサヒ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血中アセトアルデヒド低減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1080A (ja) 2010-07-29 2012-02-16 House Foods Corp 二日酔いの症状の回復剤
JP6446162B1 (ja) 2016-08-09 2018-12-26 ジョン ヒュン ナム 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77004A1 (en) 2023-03-09
CN115427054A (zh) 2022-12-02
WO2021157627A1 (ja)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0302B2 (ja) キグシを含む加味雙和湯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二日酔い解消用組成物
KR101698919B1 (ko) 발효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 및 수족 냉증 개선용 조성물
WO2001074352A1 (fr) Compositions somniferes
JP5300167B2 (ja) 気分障害治療用組成物
US10111451B2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913911A (zh) 功能性饮料及组合物
CN114502184A (zh) 防治冠状病毒感染的包括杜英萃取物的药物和食品组合物
CN104784370A (zh) 一种能够清除自由基的抗氧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15437A (ko) 천연 부형제를 포함하는 타정용 조성물
KR101989739B1 (ko) 구슬갓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6806A (ko) 경구 조성물
JP6762946B2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1992022307A1 (en) Remedy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JP2015502954A (ja) アギタケ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脂質異常症の予防又は治療用の組成物
JP2021123578A (ja) 経口組成物
CN109331093B (zh) 一种植物组合物及其应用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CN110881657A (zh) 一种具有解酒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031033B (zh) 一种含有枸杞叶的降血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30016679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9276A (ko) B 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시아노박테리아 바이오매스의 용도
CN106692355A (zh) 一种青梅解酒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10019397A (ko) 발기부전 치료용 조성물
KR101244284B1 (ko) 안정성이 향상된 누에 수번데기 동결건조물 함유 액상 조성물
JP7015308B2 (ja) 小腸上皮細胞でのカテキン吸収増進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