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797A -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6797A KR20220156797A KR1020227015565A KR20227015565A KR20220156797A KR 20220156797 A KR20220156797 A KR 20220156797A KR 1020227015565 A KR1020227015565 A KR 1020227015565A KR 20227015565 A KR20227015565 A KR 20227015565A KR 20220156797 A KR20220156797 A KR 202201567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 beams
- cross
- descending
- ro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 방법을 공개하였고,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는 메인 빔, 메인 노즈, 브라켓, 추진형 플랫카, 크로스 빔, 외부 거푸집, 프론트 행잉 빔 및 리어 행잉 빔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빔의 수는 2개이고, 메인 빔은 복수 쌍의 빔을 통해 연결되며, 크로스 빔은 둘둘씩 한조이고, 그 하단은 볼트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노즈는 메인 빔 양단에 고정 연결되고, 브라켓은 3쌍이고, 각각 메인 빔과 메인 빔 양단의 메인 노즈 하부에 위치하여, 메인 빔과 메인 노즈를 지지하며, 또한 각 쌍의 브라켓의 사이는 연결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추진형 플랫카는 브라켓 상부에 슬라이딩 연결된다. 본 발명은 밀착 연결 장치를 설치하여, 추진형 플랫카 상의 유압장치가 외부 거푸집의 두 부분을 맞붙게 한 후, 동시에 동일한 쌍의 2개의 크로스 빔을 고정하고, 밀착 연결 장치는 외부 거푸집의 연결 부분의 상부에 삽입되고, 연결 부분의 틈새는 상하로 관통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가 아래로 누설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비계 기술 분야에 속하며, 특히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비계로 현장 타설하는 등단면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박스거더는 세계적인 첨단 교량 시공 공법으로, 시공 시 교량 아래에 거푸집 지지대를 설치할 필요 없어, 시공 공정이 간단하고, 시공 주기가 짧으며, 연속 시공이 가능한 등의 장점을 가지며, 또한 시공 동안 교량 아래의 도로, 항로 통행 요구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 비계는 맞붙여야 하며, 맞붙임 부분은 고정해야 하므로, 이 부분의 강도가 전체 공정의 안전성을 결정하게 되고, 맞붙일 때, 크로스 빔을 볼트로 고정하는데, 고정하기 번거롭고, 동시에 외부 거푸집의 맞붙임 부분은 크로스 빔의 상부에 있고, 이 부분의 틈새는 상하로 관통되므로, 누설이 발생하면, 연속 누설이 발생하기 쉬워, 타설의 안전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크로스 빔 고정 시, 고정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외부 거푸집의 맞붙임 부분의 긴밀성을 개선하여, 타설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 기술방안을 제공한다: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는 메인 빔, 메인 노즈, 브라켓, 추진형 플랫카, 크로스 빔, 외부 거푸집, 프론트 행잉 빔(hanging beam) 및 리어 행잉 빔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빔의 수는 2개이고, 메인 빔은 복수 쌍의 크로스 빔(5)을 통해 연결되며, 크로스 빔은 둘둘씩 한조이고, 그 하단은 볼트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노즈는 메인 빔 양단에 고정 연결되고, 브라켓은 3쌍이고, 각각 메인 빔과 메인 빔 양단의 메인 노즈 하부에 위치하여, 메인 빔과 메인 노즈를 지지하며, 또한 각 쌍의 브라켓의 사이는 연결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추진형 플랫카는 브라켓 상부에 슬라이딩 연결되며, 프론트 행잉 빔과 리어 행잉 빔은 메인 빔 양단의 메인 노즈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빔의 같은 일단의 2개의 메인 노즈를 연결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은 대칭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두 부분의 접촉 부분에 밀착 연결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 거푸집의 두 부분은 2개의 메인 빔과 각각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착 연결 장치는 밀착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 결합판은 외부 거푸집의 두 부분의 연결 부분 상부에 삽입되고, 밀착 결합판 하부에는 복수의 수직 로드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수직 로드 하단에는 동일한 크로스 로드가 수평으로 삽입 연결되어 있고, 크로스 로드 외측에는 복수의 경사 로드가 끼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경사 로드 상단은 외부 거푸집의 두 부분의 저면에 균일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수직 로드 하단에는 이동 로드가 슬라이딩 삽입 연결되어 있고, 이동 로드의 수직 로드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은 더블 헤드 단부이고, 동일한 쌍의 2개의 크로스 빔 내에서 각각 삽입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로드 외측에 복수의 원추대 캡이 끼움 연결되어 있고, 인접한 2개의 원추대 캡은 크로스 빔에 대해 미러링 설정되며, 원추대 캡의 대경단에는 삽입 로드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삽입 로드 단부는 크로스 빔 내에 삽입 연결될 수 있으며, 원추대 캡의 소경단에는 리턴 스프링이 고정 연결되어 있고, 리턴 스프링 단부는 이동 로드의 외면에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추대 캡의 소경단에는 배플 링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배플 링의 직경은 원추대 캡의 소경단의 직경보다 크고, 배플 링 표면에는 팬 블레이드 슬롯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거푸집 상부 가장자리에는 리프트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 프레임은 “皿”자형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로스 빔은 2개의 메인 빔 사이에 설치되고, 형강 빔 트러스 구조이며, 크로스 빔의 중축선 위치는 2개로 나뉘며, 양단은 각각 메인 빔과 볼트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노즈는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고, 메인 빔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삼각형 철골 트러스 구조이며, 종방향으로 홀을 통과할 때 가이드 및 종방향 균형 작용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동시에 공개하였고,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 각 한 쌍의 브라켓을 교각 양측에 배치하고, 이후 연결판을 통해 연결하여, 브라켓을 교각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추진형 플랫카를 브라켓 상부에 올려 놓고 장착한다.
단계2: 2개의 메인 빔을 추진형 플랫카 상부에 차례로 올려 놓고, 추진형 플랫카 상의 가로, 세로, 수직의 3개 유압 부분을 메인 빔 및 브라켓과 연결시키고, 이후 각 그룹의 크로스 빔을 2개의 메인 빔 사이에 올려 놓고, 이어서 외부 거푸집을 크로스 빔 상부에 올려 놓고, 외부 거푸집을 메인 빔 상부에 고정시킨다.
단계3: 마지막으로 경사 로드 단부를 대응되는 외부 거푸집 하부에 연결하고, 추진형 플랫카 상의 유압 장치를 통해 외부 거푸집의 두 부분을 맞붙이며, 마지막으로 2개의 크로스 빔을 볼트로 고정시키고, 이동 로드를 당겨, 이동 로드의 더블 헤드 단부를 동일한 쌍의 두개의 크로스 빔 내로 각각 삽입시킨다.
단계4: 철근 가공 공장에서 철근을 가공하여 묶은 후, 외부 거푸집 상부로 운반하여 올려 놓고, 마지막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추진형 플랫카를 통해 외부 거푸집을 탈형시키고, 크로스 빔과 외부 거푸집을 해체하여, 추진형 플랫카를 통해 다음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고, 외부 거푸집을 다시 맞붙임 고정하면 된다.
1. 본 발명은 밀착 연결 장치를 설치하여, 추진형 플랫카 상의 유압 장치가 외부 거푸집의 두 부분을 맞붙게 한 후, 동시에 동일한 쌍의 2개의 크로스 빔을 고정하고, 밀착 연결 장치는 외부 거푸집의 연결 부분의 상부에 삽입되고, 연결 부분의 틈새는 상하로 관통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가 아래로 누설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2. 본 발명은 크로스 로드에 수직인 바람에 의해 모든 원추대 캡을 크로스 빔을 향해 밀게 되므로, 원추대 캡은 삽입 로드를 크로스 빔 내부로 삽입시켜, 이동 로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바람이 멈추면, 리턴 스프링은 원추대 캡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므로, 후속 수동 인출이 필요 없어,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바람이 크로스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불면, 대응되는 원추대 캡을 크로스 빔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배플 링의 존재로 인해, 바람과의 접촉 면적이 많도록 보장하여, 대응되는 원추대 캡을 크로스 빔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바람이 강할 경우, 그 표면의 팬 블레이드 슬롯은 바람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여, 배플 링에 대한 바람의 푸싱 효과를 감소시켜, 원추대 캡으로 큰 바람이 불 경우, 삽입 로드와 크로스 빔의 충격력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방안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을 간략히 소개하며, 하기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이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 비계의 전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의 크로스 빔과 외부 거푸집의 위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1의 배플 링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 비계의 전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의 크로스 빔과 외부 거푸집의 위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1의 배플 링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이 더욱 명백해지도록,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의 실시예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얻은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점은, “길이”, “폭”, “상”, “하”, “전”, “후”, “좌”, “수직”, “수평”, “상부”, “하부”, “내”, “외”등 용어가 나타내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한 것으로, 단지 본 발명을 쉽고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가지고, 특정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함을 지시 또는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라는 용어는 별도로 명백하게 한정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를 제공하고, 이는 메인 빔(1), 메인 노즈(2), 브라켓(3), 추진형 플랫카(4), 크로스 빔(5), 외부 거푸집(6), 프론트 행잉 빔(7) 및 리어 행잉 빔(8)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빔(1)의 수는 2개이고, 메인 빔(1)은 복수 쌍의 크로스 빔(5)을 통해 연결되며, 크로스 빔(5)은 둘둘씩 한조이고, 그 하단은 볼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노즈(2)는 메인 빔(1) 양단에 고정 연결되고, 브라켓(3)은 3쌍이고, 각각 메인 빔(1)과 메인 빔(1) 양단의 메인 노즈(2) 하부에 위치하여, 메인 빔(1)과 메인 노즈(2)를 지지하며, 또한 각 쌍의 브라켓(3) 사이는 연결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추진형 플랫카(4)는 브라켓(3) 상부에 슬라이딩 연결되며, 프론트 행잉 빔(7)과 리어 행잉 빔(8)은 메인 빔(1) 양단의 메인 노즈(2)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빔(1)의 같은 일단의 2개의 메인 노즈(2)를 연결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6)은 대칭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두 부분의 접촉 부분에 밀착 연결 장치(9)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은 2개의 메인 빔(1)과 각각 고정 연결된다.
명세서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밀착 연결 장치(9)는 밀착 결합판(91)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 결합판(91)은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의 연결 부분 상부에 삽입되고, 밀착 결합판(91) 하부에는 복수의 수직 로드(92)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수직 로드(92) 하단에는 동일한 크로스 로드(93)가 수평으로 삽입 연결되어 있고, 크로스 로드(93) 외측에는 복수의 경사 로드(94)가 끼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경사 로드(94) 상단은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의 저면에 균일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수직 로드(92) 하단에는 이동 로드(95)가 슬라이딩 삽입 연결되어 있고, 이동 로드(95)의 수직 로드(92)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은 더블 헤드 단부이고, 동일한 쌍의 2개의 크로스 빔(5) 내에 각각 삽입 연결되며; 밀착 결합판(91)의 두께는 외부 거푸집(6) 두께의 절반에 가깝고, 밀착 결합판(91)은 외부 거푸집(6)의 맞붙임 부분에 대해 차단 작용을 일으켜, 외부 거푸집(6)의 이음매 부분이 상하로 관통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밀착 결합판(91) 양측과 외부 거푸집(6)의 접촉 부분의 틈새는 상하로 관통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가 아래로 누설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외부 거푸집(6)이 맞붙은 후, 이동 로드(95)의 더블 헤드 단부를 동일한 쌍의 2개의 크로스 빔(5) 내에 각각 삽입 연결함으로써, 외부 거푸집(6), 밀착 연결 장치(9) 및 크로스 빔(5) 부분은 완전히 잠긴 상태가 되어, 전체적인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더 이상 볼트로 크로스 빔(5)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며, 동시에 해체할 때, 이동 로드(95)를 크로스 빔(5) 내부로부터 뽑아낸 다음, 추진형 플랫카(4)를 통해 크로스 빔(5)을 서로 분리시키면,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의 분리 작용에 의해, 밀착 결합판(91) 상부는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후 다음 작업 위치로 이동하며, 다시 맞붙일 때, 외부 거푸집(6)의 맞붙임 과정에서, 밀착 결합판(91)은 자동으로 하향 이동하여 외부 거푸집(6)과 밀착되므로, 사용 과정이 비교적 편리하다.
명세서 도면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로드(95) 외측에 복수의 원추대 캡(10)이 끼움 연결되어 있고, 인접한 2개의 원추대 캡(10)은 크로스 빔(5)에 대해 미러링 설정되며, 원추대 캡(10)의 대경단에는 삽입 로드(11)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삽입 로드(11) 단부는 크로스 빔(5) 내에 삽입 연결될 수 있으며, 원추대 캡(10)의 소경단에는 리턴 스프링(12)이 고정 연결되어 있고, 리턴 스프링(12) 단부는 이동 로드(95)의 외면에 고정 연결되며; 바람이 강할 경우, 원추대 캡(10)의 원주면에 수직으로 바람이 불면, 모든 원추대 캡(10)을 크로스 빔(5)을 향해 밀게 되므로, 원추대 캡(10)은 삽입 로드(11)를 크로스 빔(5) 내부로 삽입시켜, 이동 로드(95)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바람이 멈추면, 리턴 스프링(12)은 원추대 캡(10)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므로, 후속 수동 인출이 필요 없어,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바람이 크로스 로드(93)의 길이 방향으로 불면, 대응되는 원추대 캡(10)을 크로스 빔(5)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명세서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원추대 캡(10)의 소경단에는 배플 링(1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배플 링(13)의 직경은 원추대 캡(10)의 소경단의 직경보다 크고, 배플 링(13) 표면에는 팬 블레이드 슬롯(14)이 설치되어 있으며; 바람이 원추대 캡(10)의 소경단에 불면, 배플 링(13)의 존재로 인해, 바람과의 접촉 면적이 많도록 보장하여, 대응되는 원추대 캡(10)을 크로스 빔(5) 부분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바람이 강할 경우, 그 표면의 팬 블레이드 슬롯(14)은 바람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여, 배플 링(13)에 대한 바람의 푸싱 효과를 감소시켜, 원추대 캡(10)으로 큰 바람이 불 경우, 삽입 로드(11)와 크로스 빔(5)의 충격력이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명세서의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거푸집(6) 상부 가장자리에는 리프트 프레임(15)이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 프레임(15)은 “皿”자형 구조이고, 우천 시 방수천을 리프트 프레임(15)에 얹을 수 있다.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 빔(5)은 2개의 메인 빔(1) 사이에 설치되고, 형강 빔 트러스 구조이며, 크로스 빔(5)의 중축선 위치는 2개로 나뉘며, 양단은 각각 메인 빔(1)과 볼트로 연결된다.
명세서의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노즈(2)는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고, 메인 빔(1)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삼각형 철골 트러스 구조이며, 종방향으로 홀을 통과할 때 가이드 및 종방향 균형 작용을 일으킨다.
명세서의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동시에 공개하였고, 상기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 각 한 쌍의 브라켓(3)을 교각 양측에 배치하고, 이후 연결판을 통해 연결하여, 브라켓(3)을 교각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추진형 플랫카(4)를 브라켓(3) 상부에 올려 놓고 장착한다.
단계2: 2개의 메인 빔(1)을 추진형 플랫카(4) 상부에 차례로 올려 놓고, 추진형 플랫카(4) 상의 가로, 세로, 수직의 3개 유압 부분을 메인 빔(1) 및 브라켓(3)과 연결시키고, 이후 각 그룹의 크로스 빔(5)을 2개의 메인 빔(1) 사이에 올려 놓고, 이어서 외부 거푸집(6)을 크로스 빔(5) 상부에 올려 놓고, 외부 거푸집(6)을 메인 빔(1) 상부에 고정시킨다.
단계3: 마지막으로 경사 로드(94) 단부를 대응되는 외부 거푸집(6) 하부에 연결하고, 추진형 플랫카(4) 상의 유압 장치를 통해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을 맞붙이며, 마지막으로 2개의 크로스 빔(5)을 볼트로 고정시키고, 이동 로드(95)를 당겨, 이동 로드(95)의 더블 헤드 단부를 동일한 쌍의 두개의 크로스 빔(5) 내로 각각 삽입시킨다.
단계4: 철근 가공 공장에서 철근을 가공하여 묶은 후, 외부 거푸집(6) 상부로 운반하여 올려 놓고, 마지막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추진형 플랫카(4)를 통해 외부 거푸집(6)을 탈형시키고, 크로스 빔(5)과 외부 거푸집(6)을 해체하여, 추진형 플랫카(4)를 통해 다음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고, 외부 거푸집(6)을 다시 맞붙임 고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작동 원리: 종래의 이동 비계는 맞붙여야 하며, 맞붙임 부분은 고정해야 하므로, 이 부분의 강도가 전체 공정의 안전성을 결정하게 되고, 맞붙일 때, 크로스 빔(5)을 볼트로 고정하는데, 고정하기 번거롭고, 동시에 외부 거푸집(6)의 맞붙임 부분은 크로스 빔(5)의 상부에 있고, 이 부분의 틈새는 상하로 관통되므로, 누설이 발생하면, 연속 누설이 발생하기 쉬워, 타설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본 발명이 주로 해결해야 할 점은 크로스 빔(5)을 고정할 때, 고정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외부 거푸집(6)의 맞붙임 부분의 긴밀성을 개선하여, 타설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채택하는 조치 및 과정은 아래와 같다: 각 한 쌍의 브라켓(3)을 교각 양측에 배치하고, 이후 연결판을 통해 연결하여, 브라켓(3)을 교각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추진형 플랫카(4)를 브라켓(3) 상부에 올려 놓고 장착하며, 2개의 메인 빔(1)을 추진형 플랫카(4) 상부에 차례로 올려 놓고, 추진형 플랫카(4) 상의 가로, 세로, 수직의 3개 유압 부분을 메인 빔(1) 및 브라켓(3)과 연결시키고, 이후 각 그룹의 크로스 빔(5)을 2개의 메인 빔(1) 사이에 올려 놓고, 이어서 외부 거푸집(6)을 크로스 빔(5) 상부에 올려 놓고, 외부 거푸집(6)을 메인 빔(1) 상부에 고정시키며, 밀착 연결 장치(9)를 설치하여, 추진형 플랫카(4) 상의 유압장치가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을 맞붙게 한 후, 동시에 동일한 쌍의 2개의 크로스 빔(5)를 고정하고, 밀착 연결 장치(9)는 외부 거푸집(6)의 연결 부분의 상부에 삽입되고, 연결 부분의 틈새는 상하로 관통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가 아래로 누설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조립이 끝나면, 철근 가공 공장에서 철근을 가공하여 묶은 후, 외부 거푸집(6) 상부로 운반하여 올려 놓고, 마지막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추진형 플랫카(4)를 통해 외부 거푸집(6)을 탈형시키고, 크로스 빔(5)과 외부 거푸집(6)을 해체하여, 추진형 플랫카(4)를 통해 다음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고, 외부 거푸집(6)을 다시 맞붙임 고정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 방안을 수정하거나 또는 그중 일부 기술특징을 균등하게 교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교체로 인해 상응하는 기술방안의 본질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1: 메인 빔
2: 메인 노즈
3: 브라켓
4: 추진형 플랫카
5: 빔
6: 외부 거푸집
7: 프론트 행잉 빔
8: 리어 행잉 빔
9: 밀착 연결 장치
91: 밀착 결합판
92: 수직 로드
93: 크로스 로드
94: 경사 로드
95: 이동 로드
10: 원추대 캡
11: 삽입 로드
12: 리턴 스프링
13: 배플 링
14: 팬 블레이드 슬롯
15: 리프트 프레임
2: 메인 노즈
3: 브라켓
4: 추진형 플랫카
5: 빔
6: 외부 거푸집
7: 프론트 행잉 빔
8: 리어 행잉 빔
9: 밀착 연결 장치
91: 밀착 결합판
92: 수직 로드
93: 크로스 로드
94: 경사 로드
95: 이동 로드
10: 원추대 캡
11: 삽입 로드
12: 리턴 스프링
13: 배플 링
14: 팬 블레이드 슬롯
15: 리프트 프레임
Claims (8)
- 메인 빔(1), 메인 노즈(2), 브라켓(3), 추진형 플랫카(4), 크로스 빔(5), 외부 거푸집(6), 프론트 행잉 빔(7) 및 리어 행잉 빔(8)을 포함하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1)의 수는 2개이고, 메인 빔(1)은 복수 쌍의 크로스 빔(5)을 통해 연결되며, 크로스 빔(5)은 둘둘씩 한조이고, 그 하단은 볼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노즈(2)는 메인 빔(1) 양단에 고정 연결되고, 브라켓(3)은 3쌍이고, 각각 메인 빔(1)과 메인 빔(1) 양단의 메인 노즈(2) 하부에 위치하여, 메인 빔(1)과 메인 노즈(2)를 지지하며, 또한 각 쌍의 브라켓(3)의 사이는 연결판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추진형 플랫카(4)는 브라켓(3) 상부에 슬라이딩 연결되며, 프론트 행잉 빔(7)과 리어 행잉 빔(8)은 메인 빔(1) 양단의 메인 노즈(2)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메인 빔(1)의 같은 일단의 2개의 메인 노즈(2)를 연결하며;
상기 외부 거푸집(6)은 대칭되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두 부분의 접촉 부분에 밀착 연결 장치(9)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은 2개의 메인 빔(1)과 각각 고정 연결되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연결 장치(9)는 밀착 결합판(91)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 결합판(91)은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의 연결 부분 상부에 삽입되고, 밀착 결합판(91) 하부에는 복수의 수직 로드(92)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수직 로드(92) 하단에는 동일한 크로스 로드(93)가 수평으로 삽입 연결되어 있고, 크로스 로드(93) 외측에는 복수의 경사 로드(94)가 끼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경사 로드(94) 상단은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의 저면에 균일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수직 로드(92) 하단에는 이동 로드(95)가 슬라이딩 삽입 연결되어 있고, 이동 로드(95)의 수직 로드(92)에서 멀리 떨어진 일단은 더블 헤드 단부이고, 동일한 쌍의 2개의 크로스 빔(5) 내에 각각 삽입 연결되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드(95) 외측에 복수의 원추대 캡(10)이 끼움 연결되어 있고, 인접한 2개의 원추대 캡(10)은 크로스 빔(5)에 대해 미러링 설정되며, 원추대 캡(10)의 대경단에는 삽입 로드(11)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삽입 로드(11) 단부는 크로스 빔(5) 내에 삽입 연결될 수 있으며, 원추대 캡(10)의 소경단에는 리턴 스프링(12)이 고정 연결되어 있고, 리턴 스프링(12) 단부는 이동 로드(95)의 외면에 고정 연결되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대 캡(10)의 소경단에는 배플 링(1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배플 링(13)의 직경은 원추대 캡(10)의 소경단의 직경보다 크고, 배플 링(13) 표면에는 팬 블레이드 슬롯(14)이 설치되어 있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거푸집(6) 상부 가장자리에는 리프트 프레임(15)이 설치되어 있고, 리프트 프레임(15)은 “皿”자형 구조인,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빔(5)은 2개의 메인 빔(1) 사이에 설치되고, 형강 빔 트러스 구조이며, 크로스 빔(5)의 중축선 위치는 2개로 나뉘며, 양단은 각각 메인 빔(1)과 볼트로 연결되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노즈(2)는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고, 메인 빔(1) 양단과 각각 연결되고, 삼각형 철골 트러스 구조이며, 종방향으로 홀을 통과할 때 가이드 및 종방향 균형 작용을 일으키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계1: 각 한 쌍의 브라켓(3)을 교각 양측에 배치하고, 이후 연결판을 통해 연결하여, 브라켓(3)을 교각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추진형 플랫카(4)를 브라켓(3) 상부에 올려 놓고 장착하는 단계;
단계2: 2개의 메인 빔(1)을 추진형 플랫카(4) 상부에 차례로 올려 놓고, 추진형 플랫카(4) 상의 가로, 세로, 수직의 3개 유압 부분을 메인 빔(1) 및 브라켓(3)과 연결시키고, 이후 각 그룹의 크로스 빔(5)을 2개의 메인 빔(1) 사이에 올려 놓고, 이어서 외부 거푸집(6)을 크로스 빔(5) 상부에 올려 놓고, 외부 거푸집(6)을 메인 빔(1) 상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단계3: 마지막으로 경사 로드(94) 단부를 대응되는 외부 거푸집(6)하부에 연결하고, 추진형 플랫카(4) 상의 유압 장치를 통해 외부 거푸집(6)의 두 부분을 맞붙이며, 마지막으로 2개의 크로스 빔(5)을 볼트로 고정시키고, 이동 로드(95)를 당겨, 이동 로드(95)의 더블 헤드 단부를 동일한 쌍의 두개의 크로스 빔(5) 내로 각각 삽입시키는 단계;
단계4: 철근 가공 공장에서 철근을 가공하여 묶은 후, 외부 거푸집(6) 상부로 운반하여 올려 놓고, 마지막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응고되면, 추진형 플랫카(4)를 통해 외부 거푸집(6)을 탈형시키고, 크로스 빔(5)과 외부 거푸집(6)을 해체하여, 추진형 플랫카(4)를 통해 다음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고, 외부 거푸집(6)을 다시 맞붙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110540620.4A CN113047152B (zh) | 2021-05-18 | 2021-05-18 | 一种下行式双跨移动模架及施工方法 |
CN202110540620.4 | 2021-05-18 | ||
PCT/CN2021/134664 WO2022242103A1 (zh) | 2021-05-18 | 2021-11-30 | 一种下行式双跨移动模架及施工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6797A true KR20220156797A (ko) | 2022-11-28 |
KR102637048B1 KR102637048B1 (ko) | 2024-02-14 |
Family
ID=7651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15565A KR102637048B1 (ko) | 2021-05-18 | 2021-11-30 |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4112815A4 (ko) |
KR (1) | KR102637048B1 (ko) |
CN (1) | CN113047152B (ko) |
AU (1) | AU2021435256B2 (ko) |
WO (1) | WO2022242103A1 (ko) |
ZA (1) | ZA20220973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7152B (zh) * | 2021-05-18 | 2022-10-11 |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 一种下行式双跨移动模架及施工方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3518B1 (ko) * | 1995-08-23 | 1999-02-18 | 이용재 |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이동방법과 이동장치 |
KR100227165B1 (ko) * | 1995-05-29 | 1999-10-15 | 강희분 |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가로보 |
KR100632202B1 (ko) * | 2004-04-13 | 2006-10-16 | (주)씨씨엘 코리아 | 자주식 엠.에스.에스 공법 |
CN201704630U (zh) * | 2010-05-25 | 2011-01-12 | 中铁十八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混凝土现浇连续梁滑移模架 |
CN102691270A (zh) * | 2012-06-27 | 2012-09-26 | 中铁四局集团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 一种高效快速移动模架 |
CN206562571U (zh) * | 2016-12-29 | 2017-10-17 | 中铁十四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 桥梁施工模架 |
CN113047152A (zh) * | 2021-05-18 | 2021-06-29 |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 一种下行式双跨移动模架及施工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65916B2 (ja) * | 1995-07-24 | 2000-07-17 | 川田建設株式会社 | 床板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移動装置 |
JP3429459B2 (ja) * | 1999-06-30 | 2003-07-22 | 近藤鋼材株式会社 | 橋床ハンチの施工方法 |
CN201010860Y (zh) * | 2007-02-14 | 2008-01-23 | 中铁大桥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 下行式移动模架整体施工造桥机 |
KR100949585B1 (ko) * | 2007-11-28 | 2010-03-25 | 주식회사 코아이엔씨 | 프리 스트레스 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
CN201648971U (zh) * | 2010-03-29 | 2010-11-24 | 山东省路桥集团有限公司 | 曲线箱梁滑移模架 |
CN101806038A (zh) * | 2010-03-29 | 2010-08-18 | 山东省路桥集团有限公司 | 曲线箱梁滑移模架及施工方法 |
CN202466423U (zh) * | 2012-02-29 | 2012-10-03 | 中铁一局集团有限公司 | 一种大跨度连续梁施工用移动模架 |
CN204163399U (zh) * | 2014-10-16 | 2015-02-18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底模承托结构 |
CN104908149B (zh) * | 2015-06-30 | 2018-12-18 | 中铁二十三局集团有限公司 | 一种磁浮直线轨道梁模板系统及使用方法 |
CN206328688U (zh) * | 2016-12-23 | 2017-07-14 | 中铁十四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 一种现浇箱梁底模板拼接结构 |
CN109338894B (zh) * | 2018-11-22 | 2020-05-12 | 中铁十二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 移动模架浇筑宽窄箱梁施工方法 |
CN210368666U (zh) * | 2019-07-19 | 2020-04-21 | 万德文 | 一种桥梁施工用安全吊篮 |
CN211113130U (zh) * | 2019-08-31 | 2020-07-28 | 清远市路桥工程有限公司 | 一种公路桥梁用高稳定性挡风屏 |
CN211899565U (zh) * | 2019-12-16 | 2020-11-10 | 李建琦 | 土建施工用承重挂架 |
CN111455852A (zh) * | 2020-04-08 | 2020-07-28 |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 桥梁施工用移动模架的拼装方法 |
-
2021
- 2021-05-18 CN CN202110540620.4A patent/CN113047152B/zh active Active
- 2021-11-30 KR KR1020227015565A patent/KR1026370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1-30 EP EP21927062.6A patent/EP4112815A4/en active Pending
- 2021-11-30 AU AU2021435256A patent/AU2021435256B2/en active Active
- 2021-11-30 WO PCT/CN2021/134664 patent/WO2022242103A1/zh unknown
-
2022
- 2022-08-31 ZA ZA2022/09736A patent/ZA202209736B/en unknown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7165B1 (ko) * | 1995-05-29 | 1999-10-15 | 강희분 |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가로보 |
KR0173518B1 (ko) * | 1995-08-23 | 1999-02-18 | 이용재 |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이동방법과 이동장치 |
KR100632202B1 (ko) * | 2004-04-13 | 2006-10-16 | (주)씨씨엘 코리아 | 자주식 엠.에스.에스 공법 |
CN201704630U (zh) * | 2010-05-25 | 2011-01-12 | 中铁十八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 混凝土现浇连续梁滑移模架 |
CN102691270A (zh) * | 2012-06-27 | 2012-09-26 | 中铁四局集团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 一种高效快速移动模架 |
CN206562571U (zh) * | 2016-12-29 | 2017-10-17 | 中铁十四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 桥梁施工模架 |
CN113047152A (zh) * | 2021-05-18 | 2021-06-29 |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 一种下行式双跨移动模架及施工方法 |
CN113047152B (zh) * | 2021-05-18 | 2022-10-11 |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 一种下行式双跨移动模架及施工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112815A4 (en) | 2023-08-23 |
ZA202209736B (en) | 2022-11-30 |
CN113047152A (zh) | 2021-06-29 |
EP4112815A1 (en) | 2023-01-04 |
AU2021435256B2 (en) | 2024-01-04 |
KR102637048B1 (ko) | 2024-02-14 |
CN113047152B (zh) | 2022-10-11 |
AU2021435256A1 (en) | 2022-12-08 |
WO2022242103A1 (zh) | 2022-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592436B (zh) | 一种桥墩盖梁下部支撑体系及其施工方法 | |
KR20220156797A (ko) | 하행식 2경간 이동 비계 및 시공방법 | |
CN110512517B (zh) | 一种桥梁工程施工平台 | |
CN209620571U (zh) | 收分剪力墙模架系统 | |
CN211420881U (zh) | 钢混叠合梁悬挑翼板混凝土施工用移动模架 | |
CN109025259A (zh) | 一种可周转式液压爬模附墙装置 | |
CN113737661B (zh) | 一种斜拉桥塔座钢混结合段施工方法 | |
CN213476666U (zh) | 一种主桥钢箱梁整体顶升时主墩的限位装置 | |
CN209568359U (zh) | 一种用于外包式护栏基座施工的模板支架 | |
CN211473320U (zh) | 一种用于连廊处的工具式外挂架 | |
CN210177369U (zh) | 一种预制梁板辅助浇筑平台 | |
CN111851318A (zh) | 悬臂桥边跨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 |
CN111321712A (zh) | 一种装配式鱼道池室结构及施工方法 | |
KR19980083704A (ko) | 이동식 비계공법의 가설장치 | |
CN113668852B (zh) | 一种钢结构屋面的女儿墙模板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10258349B (zh) | 一种同步调节式预制梁支撑装置及支撑方法 | |
CN209722704U (zh) | 一种用于预制桥墩的横向连接装置 | |
CN218374712U (zh) | 一种用于铁路客站雨棚的树状梁柱结构 | |
CN210856953U (zh) | 一种钢拱架无支架缆索吊装施工用塔架 | |
CN110524691B (zh) | 沉管隧道外侧模板体系及施工方法 | |
CN221681900U (zh) | 一种墙体后浇带的止水装置 | |
CN218563020U (zh) | 一种用于核心筒倒浇施工的滑爬模架体系 | |
CN218623298U (zh) | 一种临空侧倒悬混凝土体浇筑模板装置 | |
CN218932884U (zh) | 一种桥梁翼缘用承重支架及系统 | |
CN219825119U (zh) | 一种渡槽浇筑施工模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