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004A -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004A
KR20220156004A KR1020227033022A KR20227033022A KR20220156004A KR 20220156004 A KR20220156004 A KR 20220156004A KR 1020227033022 A KR1020227033022 A KR 1020227033022A KR 20227033022 A KR20227033022 A KR 20227033022A KR 20220156004 A KR20220156004 A KR 20220156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iquid crystal
crystal polymer
thermoplastic liqui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다카하시
다카히로 나카시마
미노루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22015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복수의 금속 피복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적층체 재료를 도입하고, 상기 가압롤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적층체 재료는, 상기 1 쌍의 보호재 (C1, C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과,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으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열 압착 공정과, 상기 열 압착 공정 후에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을 적어도 구비한다.

Description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관련출원
본원은 일본국에서 2020년 3월 24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20-053322 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를 참조에 의해서 본 출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인용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이방성의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폴리머(이하, 이것을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로 이루어지는 필름 (이하, 이것을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금속박을 적층시킨 금속 피복 적층체 (또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금속층을 구비하는 금속 피복 적층체) 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은, 고내열성, 저흡습성, 고주파 특성 등이 우수한 재료로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고속 전송용 전자 회로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전자 회로 기판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동박으로 대표되는 금속박의 적층체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기술로는, 열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여, 그 상하의 열판 사이에 소정의 크기로 재단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금속박을 중첩해 두고, 진공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배치식이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서, 롤 투 롤 방식으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금속박을 중첩하여 연속적으로 열 압착시키는 방법은,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특히, 롤 투 롤 방식으로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공업적으로 양호한 생산성으로 금속 피복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5661051호) 에는, 롤 투 롤 방식으로, 표리 양면이 모두 표면 조도 (Rz) 2.0 ㎛ 이하인 이간 필름 (C) 을 사용하여, 1 쌍의 가압롤 (r1, r2) 사이에 (r1)/(B)/(A)/(C)/(A)/(B)/(r2) 의 순서가 되도록, 절연성 필름 (A), 금속박 (B), 및 이간 필름 (C) 을 중첩하여 열 압착하고, 이간 필름 (C) 으로부터 박리하여 2 개의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를 얻는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661051호
특허문헌 1 에서는, 이간 필름을 중심으로 하여, 2 개의 금속 피복 적층체가 상하 대칭으로 서로 이간 필름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롤 투 롤 방식으로 열 압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이간 필름은, 가압롤에 도입됨과 동시에 직접 절연성 필름과 접촉한다.
그러나, 절연성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이기 때문에, 가압롤 사이에 도입되기 직전에 열에 의해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 연화되어, 미미하게 느슨함이 발생되어 버리기 때문에, 열팽창 계수나 탄성률이 상이한 이간 필름과의 부분적인 접촉에 의해서 그 부분에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된다.
또, 특허문헌 1 에서는, 이간 필름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 폴리머 필름끼리의 열융착에 의해서 외관 불량이 발생된다고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끼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압롤에 도입하는 경우에는 그것들이 접착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되지 않고, 롤 투 롤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금속 피복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1 쌍의 가압롤에 도입하는 적층체 재료를 사이에 끼우도록 최외층에 보호재를 배치함과 함께, 그들 보호재에 대해서 각각 금속박과 접하도록 배치하면, (i) 보호재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접촉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그것들의 부분적인 접촉에 의한 외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에 더하여, 놀랍게도, (ii) 그 내층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끼리가 접하는 지점이 있었다고 해도, 필름끼리의 접착성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양태로 구성될 수 있다.
〔양태 1〕
복수의 금속 피복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적층체 재료를 도입하고, 상기 가압롤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적층체 재료는, 상기 1 쌍의 보호재 (C1, C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과,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으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열 압착 공정과,
상기 열 압착 공정 후에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을 적어도 구비하는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양태 2〕
양태 1 에 기재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열 압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체 재료의 열 압착을 행하고,
상기 열 압착 공정 후에 서로 접하는 상기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사이를 분리하는, 금속박 분리 공정을 구비하는,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양태 3〕
양태 1 또는 2 에 기재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상기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도입되는 적층체 재료가, 아래의 (i) ∼ (vi) 중 어느 순서의 배치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i) r1/C1/M1/F/F/M2/C2/r2
(ii) r1/C1/M1/F/F/M/M/F/M2/C2/r2
(iii) r1/C1/M1/F/M/M/F/F/M/M/F/M2/C2/r2
(iv) r1/C1/M1/F/F/M/M/F/F/M2/C2/r2
(v) r1/C1/M1/F/F/M/M/F/F/M/M/F/M2/C2/r2
(vi) r1/C1/M1/F/M/M/F/F/M/M/F/F/M/M/F/M2/C2/r2
(여기에서, r1, r2 : 가압롤, C1, C2 : 보호재, M1, M2 : 최외층 금속박, F :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M : 금속박을 나타낸다)
〔양태 4〕
양태 1 ∼ 3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중 적어도 일방이,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가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보다 작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양태 5〕
양태 1 ∼ 4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서, 열 압착 온도가, 상기 적층체 재료 중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중 가장 낮은 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L) 에 대해서, (TmL - 120) ℃ ∼ (TmL) ℃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TmL - 100) ℃ ∼ (TmL) ℃ 의 범위) 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양태 6〕
양태 1 ∼ 5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서, 열 압착 후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의 박리 강도가 0.3 kN/m 이하 (바람직하게는 0.2 k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kN/m 이하) 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양태 7〕
양태 1 ∼ 6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서로 접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의 차가 0 ∼ 70 ℃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 ∼ 60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50 ℃ 의 범위) 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양태 8〕
양태 1 ∼ 7 중 어느 일 양태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서, 보호재 (C1) 및/또는 보호재 (C2) 가, 내열성 수지 필름, 내열성 복합 필름, 및 내열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보호재인 (바람직하게는, 보호재 (C1) 및 보호재 (C2) 가, 각각 내열성 수지 필름, 내열성 복합 필름, 및 내열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보호재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또한, 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적어도 2 개의 구성 요소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2 개 이상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보호재가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가압롤에 도입하여 열 압착하기 때문에, 외관 불량의 발생이 억제된 금속 피복 적층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아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된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간단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축척으로 나타내어지지 않고,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데에서 과장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금속박을 적층시킨 금속 피복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복수 세트 제조할 수 있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은, 용융 성형할 수 있는 액정성 폴리머로 형성된다. 이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는, 광학적으로 이방성의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머로서, 용융 성형할 수 있는 액정성 폴리머이면 특별히 그 화학적 구성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열가소성 액정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것에 아미드 결합이 도입된 열가소성 액정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아미드에, 추가로 이미드 결합, 카보네이트 결합, 카르보디이미드 결합이나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유래의 결합 등이 도입된 폴리머여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아래에 예시하는 (1) 내지 (4) 로 분류되는 화합물 및 그 유도체로부터 유도되는 공지된 열가소성 액정 폴리에스테르 및 열가소성 액정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들 수 있다. 단, 광학적으로 이방성의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는 폴리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원료 화합물의 조합에는 적당한 범위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
(1)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올 (대표예는 표 1 참조)
Figure pct00001
(2)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대표예는 표 2 참조)
Figure pct00002
(3)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대표예는 표 3 참조)
Figure pct00003
(4) 방향족 디아민, 방향족 하이드록시아민 또는 방향족 아미노카르복실산 (대표예는 표 4 참조)
Figure pct00004
이들 원료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의 대표예로서, 표 5 및 6 에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이들 공중합체 중, p-하이드록시벤조산 및/또는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을 적어도 반복 단위로서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i) p-하이드록시벤조산과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또는 (ii) p-하이드록시벤조산 및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과, 적어도 1 종의 방향족 디올 및/또는 방향족 하이드록시아민과, 적어도 1 종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i) 의 공중합체에서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가, 적어도 p-하이드록시벤조산과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반복 단위 (A) 의 p-하이드록시벤조산과, 반복 단위 (B) 의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의 몰비 (A)/(B) 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중, (A)/(B) = 10/90 ∼ 90/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A)/(B) = 15/85 ∼ 85/15 정도여도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B) = 20/80 ∼ 80/20 정도여도 된다.
또, (ii) 의 공중합체의 경우, p-하이드록시벤조산 및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C) 와,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하이드로퀴논, 페닐하이드로퀴논, 및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방향족 디올 (D) 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E) 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에 있어서의 각 반복 단위의 몰비는, 상기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C) : 상기 방향족 디올 (D) :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E) = (30 ∼ 80) : (35 ∼ 10) : (35 ∼ 10) 정도여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 : (D) : (E) = (35 ∼ 75) : (32.5 ∼ 12.5) : (32.5 ∼ 12.5) 정도여도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 : (D) : (E) = (40 ∼ 70) : (30 ∼ 15) : (30 ∼ 15) 정도여도 된다.
또,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C) 중 6-하이드록시-2-나프토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몰 비율은, 예를 들어, 85 몰%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이어도 된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E) 중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몰 비율은, 예를 들어, 85 몰% 이상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몰% 이상이어도 된다.
또, 방향족 디올 (D) 는, 하이드로퀴논,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페닐하이드로퀴논, 및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서로 상이한 2 종의 방향족 디올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D1) 과 (D2) 여도 되고, 그 경우, 2 종의 방향족 디올의 몰비는, (D1)/(D2) = 23/77 ∼ 77/23 이어도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75 ∼ 75/2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 ∼ 70/30 이어도 된다.
또, 방향족 디올 (D)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E) 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의 몰비는, (D)/(E) = 95/100 ∼ 100/9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중합도가 오르지 않아 기계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광학적으로 이방성의 용융상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예를 들어 시료를 핫 스테이지에 얹어, 질소 분위기 하에서 승온 가열하여, 시료의 투과광을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로서 바람직한 것은, 융점 (이하, Tm0 로 칭한다) 이, 예를 들어 200 ∼ 360 ℃ 의 범위의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240 ∼ 350 ℃ 의 범위의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Tm0 이 260 ∼ 330 ℃ 의 것이다. 또한,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샘플의 열 거동을 관찰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샘플을 실온 (예를 들어, 25 ℃ 로부터 10 ℃/min 의 속도로 승온하여 완전히 용융시킨 후, 용융물을 10 ℃/min 의 속도로 50 ℃ 까지 냉각시키고, 다시 10 ℃/min 의 속도로 승온한 후에 나타나는 흡열 피크의 위치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샘플의 융점으로서 구한다.
상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불소 수지 등의 열가소성 폴리머, 각종 첨가제, 충전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의 용융 혼련물을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다. 압출 성형법으로는 임의의 방법의 것이 사용되지만, 주지하는 T 다이법, 인플레이션법 등이 공업적으로 유리하다. 특히 인플레이션법에서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기계축 방향 (이하, MD 방향으로 약기한다) 뿐만 아니라,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 (이하, TD 방향으로 약기한다) 으로도 응력이 가해지고, MD 방향, TD 방향으로 균일하게 연신할 수 있는 점에서, MD 방향과 TD 방향에 있어서의 분자 배향성, 유전 특성 등을 제어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T 다이법에 의한 압출 성형에서는,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체 시트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MD 방향뿐만 아니라, 이것과 TD 방향의 쌍방에 대해서 동시에 연신하여 제막해도 되고, 또는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용융체 시트를 일단 MD 방향으로 연신하고, 이어서 TD 방향으로 연신하여 제막해도 된다.
또, 인플레이션법에 의한 압출 성형에서는, 링 다이로부터 용융 압출 된 원통상 시트에 대해서, 소정의 드로비 (MD 방향의 연신 배율에 상당한다) 및 블로비 (TD 방향의 연신 배율에 상당한다) 로 연신하여 제막함으로써, 후술하는 결정 배향도 f 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 성형의 연신 배율은, MD 방향의 연신 배율 (또는 드로비) 로서 예를 들어, 1.0 ∼ 10 정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2 ∼ 7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 7 정도여도 된다. 또, TD 방향의 연신 배율 (또는 블로비) 로서 예를 들어, 1.5 ∼ 20 정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 ∼ 15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14 정도여도 된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의 열 물성이나 원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두께, 다른 제조 조건 등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드로비 및 블로비의 구체적인 관계를 나타낼 수는 없지만, 예를 들어, 상기 드로비 및 블로비의 범위 내에 있어서, 드로비보다 블로비를 크게 하거나 하여 조정함으로써,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를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보다 작게 제어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공지 또는 관용의 열처리를 행하여,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및/또는 열팽창 계수를 조정해도 된다. 열처리 조건은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의 융점 (Tm0) 에 대해서, (Tm0 - 10) ℃ 이상 (예를 들어, (Tm0 - 10) ∼ (Tm0 + 30) ℃ 정도, 바람직하게는 (Tm0) ∼ (Tm0 + 20) ℃ 정도) 에서 수 시간 가열함으로써,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 을 상승시켜도 된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 은, 예를 들어, 270 ∼ 380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80 ∼ 370 ℃ 의 범위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 은,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샘플의 열 거동을 관찰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샘플을 실온 (예를 들어, 25 ℃) 으로부터 10 ℃/min 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에 나타나는 흡열 피크의 위치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 으로서 구할 수 있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층 회로 기판의 절연층의 재료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10 ∼ 500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 2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180 ㎛ 여도 된다.
(금속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금속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금, 은, 동, 철, 니켈, 알루미늄 또는 이것들의 합금 금속 등이어도 되고, 도전성, 취급성, 및 비용 등의 관점에서, 동박이나 스테인리스박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박으로는, 압연법이나 전해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박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 50 ㎛ 정도여도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35 ㎛ 의 범위여도 된다. 또, 금속박에는,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조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보호재)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보호재로는, 열 압착 후에 인접하는 금속박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고, 내열성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비열가소성의 폴리이미드 필름이나 아라미드 필름, 테플론 (등록 상표) 필름 등의 내열성 수지 필름 ; 내열성 복합 필름 (예를 들어, 복수의 내열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 금속박과 내열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 ; 알루미늄박이나 스테인리스박 등의 금속박 ; 및, 내열성 섬유 (예를 들어, 내열성 수지 섬유, 금속 섬유) 로 구성된 내열성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보호재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보호재 중, 내열성 및 반발 탄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내열성 수지 필름, 내열성 복합 필름, 및 내열성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보호재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0 ∼ 300 ㎛ 정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130 ㎛ 의 범위여도 된다. 또, 보호재에는, 열 압착 후의 금속박과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에서, 편면 혹은 양면에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형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보호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등의 내열성 이형 수지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적층체 재료를 도입하고, 상기 가압롤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적층체 재료는, 상기 1 쌍의 보호재 (C1, C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과,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으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열 압착 공정과,
상기 열 압착 공정 후에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을 적어도 구비한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및 금속박은, 적층체 재료를 형성하고, 보호재를 개재하여 그 적층체 재료를 가압롤에 도입 가능한 한, 그것들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층체 재료를 구성하는 각 재료의 권출롤을 준비하고, 원하는 구성의 적층체 재료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 권출롤을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체 재료란, 원하는 복수의 금속 피복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소정의 배치로 중첩시키기 위한 재료를 말하고, 1 쌍의 보호재 (C1, C2) 사이에 전체를 끼워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도입된다.
여기에서, 적층체 재료 중의 하나인 금속 피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재료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은, 단수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또, 금속박 (M) 도, 단수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또한, 복수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적층체 재료의 각 구성 재료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의 단체, 및 금속박 (M) 의 단체여도 되고,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의 일방의 면에 금속박 (M) 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F) 여도 된다. 따라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및 금속박 (M) 으로 구성된 복수의 금속 피복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재료를 권출하기 위한 복수의 권출롤을 사용하는 경우, (i)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을 권출하기 위한 권출롤, (ii) 금속박 (M) 을 권출하기 위한 권출롤, 및/또는 (iii)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F) 를 권출하기 위한 권출롤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각 구성 재료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적층체 재료의 구성 재료로서의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F) 는, 양면 금속 피복 적층체 (M/F/M) 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적층체 재료의 각 구성 재료의 배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보호재 (C) 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이 접해 있지 않는 배치이면, 금속 피복 적층체를 형성하는 이외의 재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1 쌍의 금속박 (M, M) 과의 사이에 보호재 (C) 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어, M/C/M 의 순서의 배치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적층체 재료를 형성함에 있어서, 각 구성 재료를 권출롤에 의해서 준비하는 경우, 각 권출롤은, 예를 들어, 아래의 조건을 충족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i) 금속박 권출롤로부터 권출되는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은, 적층체 재료 중에서 각각 최외층을 형성하고, 1 쌍의 보호재 (C1, C2) 에 각각 접한다.
(ii)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권출롤로부터 권출되는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은, 적층체 재료 중에서 적어도 서로 접하는 부분을 갖는다.
적층체 재료는,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이 서로 접해 있어도 된다. 금속박끼리가 접해 있는 부분은, 열 압착 공정 후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금속 피복 적층체 (예를 들어, 3 이상의 금속 피복 적층체) 를 제조할 때에는, 적층체 재료 중에서 1 쌍의 금속박 (M, M) 이 서로 접하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 재료는, 아래의 (i) ∼ (vi) 중 어느 순서의 배치에 의해서,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도입되어도 된다.
(i) r1/C1/M1/F/F/M2/C2/r2
(ii) r1/C1/M1/F/F/M/M/F/M2/C2/r2
(iii) r1/C1/M1/F/M/M/F/F/M/M/F/M2/C2/r2
(iv) r1/C1/M1/F/F/M/M/F/F/M2/C2/r2
(v) r1/C1/M1/F/F/M/M/F/F/M/M/F/M2/C2/r2
(vi) r1/C1/M1/F/M/M/F/F/M/M/F/F/M/M/F/M2/C2/r2
적층체 재료 중에서 서로 접하는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중 적어도 일방이,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가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보다 작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어도 된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가 클수록, 그 필름과, 이것에 접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 잘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열 압착 공정 후에 분리하기가 용이해진다. 또,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가 작을수록, 그 필름과, 이것에 접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을 분리할 때의 박리 이방성이 잘 발생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결정 배향도 f 란, 고분자의 결정 영역의 배향 정도를 부여하는 지표를 말하고, 아래와 같이 산출된다. 결정 배향도 f 는, 리가쿠 전기 주식회사 제조 회전 대음극 X 선 회절 장치 Ru-200 을 사용하고, X 선 출력은, 전압 40 ㎸, 전류 100 ㎃, 타깃 CuKα (λ = 1.5405 Å) 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결정 배향의 변화는 광각 X 선 사진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먼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을 MD 방향으로 잘라내어, 샘플 홀더에 장착하고,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에 대해서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 X 선을 입사시키고,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에 대해서는 Edge 방향으로부터 X 선을 입사시켜, 이미징 플레이트에 회절 이미지를 노광한다. 그리고, 얻어진 회절 이미지에 대해서, 두께 방향 및 평면 방향 (MD 방향) 의 각각을 배향 분포 곡선으로 변환하고, 원주 방향 β 각에 대한 회절 강도의 곡선의 피크의 반가폭 H 로부터 결정 배향도 f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및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를 아래의 식 (1) 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f = (180 - H)/180 (1)
식 중, H 는 반가폭이다.
또, 반가폭 H 는, 광각 X 선 회절 측정에 의한 회절각 2θ = 15°∼ 30°(예를 들어, 약 20°부근 ((110) 면)) 를 원환 적분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의 피크의 반가폭이어도 된다.
적층체 재료 중에서 서로 접하는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중 적어도 일방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은,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가 0.4 ∼ 0.8 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5 ∼ 0.7 이어도 된다. 또,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는 0.7 ∼ 0.9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7 ∼ 0.8 이어도 된다.
적층체 재료 중에서 서로 접하는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예를 들어, 이것들의 융점의 차가, 0 ∼ 70 ℃ 의 범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 ∼ 60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 ∼ 50 ℃ 의 범위여도 된다.
적층체 재료 중의 복수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이 상이한 경우, 서로 접하는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의 융점은, 모두가 적층체 재료 중의 다른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 갖는 가장 낮은 융점 (TmL) 을 초과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낮은 융점 (TmL) 이란, 적층체 재료에 포함되는 모든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 각각 갖는 융점 (Tm) 중 가장 낮은 융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재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 인접하지 않는 배치이기 때문에, 열 압착 공정에 앞서, 적층체 재료 중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을 가열에 의해서 연화시키는 가열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얻어지는 금속 피복 적층체의 외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재의 수분량을 저감시켜 금속 피복 적층체에 있어서 수분에서 유래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열 압착 공정에 앞서,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가열하는 보호재 가열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재 가열 공정에서는,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가열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히터 등의 외부 가열 수단에 의해서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가열해도 되고, 가압롤 (r1, r2) 과는 별도로 형성되는 가열 롤에 의해서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가열해도 된다. 또는,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외접시킴으로써,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가열해도 된다.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가압롤 (r1, r2) 에 외접시키는 경우, 보호재와 가압롤이 외접하는 시간은, 보호재의 종류, 보호재의 상태, 가압롤의 가열 온도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보호재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1.0 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0 ∼ 200 초여도 되고, 3.0 ∼ 125 초여도 된다.
보호재 가열 공정은, 열 압착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해도 되고, 예를 들어, 열 압착 온도를 T ℃ 로 하는 경우, 보호재 가열 공정의 온도는, 예를 들어, T - 30 ∼ T + 30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T - 15 ∼ T + 15 ℃ 여도 된다.
보호재 가열 공정에서는, 가열 수단에 따라서 가열 시간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보호재의 수분 함량이 소정의 범위 (예를 들어, 1100 ppm 이하, 900 ppm 이하, 700 ppm 이하, 또는 400 ppm 이하) 가 되는 범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복수의 금속 피복 적층체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상류측에,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권출하는 보호재 권출롤 (11, 11),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을 권출하는 금속박 권출롤 (12, 12), 및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을 권출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권출롤 (13, 13) 을 준비한다.
여기에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보호재 (C1, C2),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및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이, 1 쌍의 가압롤 (r1, r2) 사이에서, r1/C1/M1/F/F/M2/C2/r2 의 순서가 되도록, 각 권출롤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상류측에,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권출하는 보호재 권출롤 (11, 11) 이 각각 최외층이 되도록 배치되고, 그 내측에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을 권출하는 금속박 권출롤 (12, 12) 이 배치되며, 또한, 그 내측에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을 권출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권출롤 (13, 13) 이 배치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대해서, 각 권출롤을 배치한 후, 각 권출롤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및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권출되고,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대해서, 화살표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MD 방향 (또는 라미네이트 방향) 으로 도입된다.
1 쌍의 가압롤 (r1, r2) 에는, 적층체 재료 M1/F/F/M2 가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즉, C1/M1/F/F/M2/C2 의 순서로 중첩하여 도입되고, 소정의 가열 온도에 있어서, 이 적층체 재료에 대해서 압력을 가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재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이 접촉하지 않는 배치이기 때문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열팽창 계수나 탄성률이 상이한 보호재의 부분적인 접촉이 초래하는 금속 피복 적층체의 외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압롤과 금속박 사이에 보호재를 개입시킴으로써, 열 압착시에 가압롤로부터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층체 재료에 가해지는 압력의 불균일성에 의한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 재료를 사이에 끼우도록 보호재를 최외층에 배치함으로써, 적층체 재료의 내층으로의 필요 이상의 열전도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끼리가 열 압착으로 접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얻어지는 금속 피복 적층체의 외관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금속 피복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가압롤로는 공지된 가열 가압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롤, 고무 롤, 수지 피복 금속롤 등을 들 수 있다. 1 쌍의 가압롤 (r1, r2) 은, 서로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압롤 (r1) 은 가열의 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금속롤이어도 되고, 또, 가압롤 (r2) 은, 가압롤 (r1) 과 동일하게 금속롤이어도 되고, 고무 롤 또는 수지 피복 금속롤이어도 된다.
또,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각 가열 온도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층체 재료의 양태나 구성 재료가 비대칭인 경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등을 고려하여, 일방의 가압롤의 가열 온도가 다른 일방의 가압롤의 가열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가압롤 (r2) 쪽이 가압롤 (r1) 보다 가열 온도가 높을 경우, 예를 들어, 가압롤 (r2) 의 가열 온도와 가압롤 (r1) 의 가열 온도의 온도차는 5 ∼ 80 ℃ 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0 ∼ 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 여도 된다.
또, 열 압착 온도나 가압롤의 압력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금속박 사이의 접착성의 향상, 및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 에 대해서, 열 압착 온도는 (Tm - 120) ℃ ∼ (Tm) ℃ 의 범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Tm - 100) ℃ ∼ (Tm) ℃ 여도 된다. 적층체 재료 중의 복수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이 상이한 경우, 열 압착 온도는, 적층체 재료 중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중 가장 낮은 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L) 에 대해서, (TmL - 120) ℃ ∼ (TmL) ℃ 의 범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TmL - 100) ℃ ∼ (TmL) ℃ 여도 된다. 또한, 열 압착 온도는, 가압롤 (r1, r2) 의 가열 온도여도 되고,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가열 온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가열 온도 중 어느 높은 가열 온도가 열 압착 온도여도 된다.
가압 압력은 1.0 t/m (9.8 kN/m) ∼ 15 t/m (147 kN/m) 의 범위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5 t/m (14.7 kN/m) ∼ 12 t/m (117.6 kN/m) 의 범위여도 된다. 또한, 가압 압력은, 가압롤에 부여한 힘 (압착 하중) 을 워크폭으로 나눈 값이다.
또, 보호재 및 적층체 재료를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통과시키는 속도는, 열 압착 온도나 가압롤의 압력 조건, 가압롤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0.5 ∼ 5.0 m/min 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0 ∼ 4.0 m/min 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열 압착 공정 후에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을 구비하고 있고, 예를 들어,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통과 후, 즉시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해도 되고, 가압롤과는 별도로 배치 형성되는 적어도 1 개의 분리롤에 의해서,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층체 재료를 사이에 끼우도록 보호재를 최외층에 배치하고 있는 때문에,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끼리가 열 압착으로 접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사이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압착 후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의 박리 강도는 0.3 kN/m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2 k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kN/m 이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박리 강도는, JIS C 6471 : 1995 (90°방향 필) 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박리 강도 (필 강도) 이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어도 일방의 서로 접하는 보호재와 최외층 금속박을 분리하는 보호재 분리 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보호재 분리 공정 및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은, 어느 분리 공정을 먼저 행하고, 이어서 다른 일방의 분리 공정을 행하도록 단계적으로 행해도 되며, 보호재 분리 공정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을 동시에 행해도 된다. 이들 분리 공정을 단계적으로 행하는 경우,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에 앞서, 보호재 분리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호재와 최외층 금속박의 분리, 이어서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사이의 분리를 단계적으로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최외층에 보호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보호재를 매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가 곤란한 경우에 일어나기 쉬운 주름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어, 고품질의 금속 피복 적층체를 양호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분리 공정은, 공지 또는 관용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리 공정에서는,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분리롤로서 사용하여 분리를 행해도 되고, 가압롤과는 별도로 배치 형성되는 적어도 1 개의 분리롤을 사용하여 분리를 행해도 된다. 적어도 1 개의 분리롤은, 1 쌍의 분리롤이어도 되고, 단독으로 배치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롤이어도 되며, 이것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 분리롤의 순서는,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모두가 상류측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보호재 분리 공정을 행하지 않고, 열 압착 공정 후에 얻어진 금속 피복 적층체를 보호재와 함께 금속 피복 적층체와 보호재가 중첩된 상태에서 권취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열 압착 공정 후에, 적층체를 냉각시키는 냉각 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서, 냉각 롤을 가압롤의 하류측에 형성해도 된다. 냉각 롤은, 가압롤과 제 1 분리롤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롤은 1 쌍의 롤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1 개의 단독 롤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열 압착 공정에 의해서 얻어진 적층체 C1/M1/F/F/M2/C2 는,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통과 후, 즉시 C1/M1 사이, M2/C2 사이 및 F/F 사이에서 동시에 분리가 행해진다. C1/M1 사이 및 M2/C2 사이에서 분리된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각각, 보호재 권취롤 (31, 31) 에 의해서 권취된다. 분리된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필요에 따라서 재이용할 수 있다. 또, 동시에 F/F 사이에서 분리됨으로써, 2 개의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1F, M2F) 가 제조된다. 또, 얻어진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는, 각각, 가이드롤 (21, 21) 을 거쳐, 금속 피복 적층체 권취롤 (32, 32) 에 의해서 권취된다. 또한, 가압롤로부터 각 권취롤에 의해서 권취될 때까지 1 또는 복수의 가이드롤 등을 배치 형성하고, 유도나 장력의 조정, 확폭 등을 위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 도 2 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 1 과 동일한 역할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금속박 (M), 및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1 쌍의 가압롤 (r1, r2) 사이에서, r1/C1/M1/F/F/M/M/F/M2/C2/r2 의 순서가 되도록,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상류측에 각 권출롤이 배치된다.
1 쌍의 가압롤 (r1, r2) 에는, 적층체 재료 M1/F/F/M/M/F/M2 가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즉, C1/M1/F/F/M/M/F/M2/C2 의 순서로 중첩하여 도입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적층체 재료는,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이 서로 접해 있어도 되고, 적층체 재료 중에서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체 재료의 열 압착을 행하는 경우, 열 압착 공정 후에 서로 접하는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사이를 분리하는, 금속박 분리 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금속박끼리가 접해 있는 부분은, 열 압착 공정 후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 압착 후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금속박 (M) 과 금속박 (M) 의 박리 강도는 0.3 kN/m 이하여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2 k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kN/m 이하여도 된다.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 금속박 분리 공정 및 보호재 분리 공정의 각 분리 공정은, 공지 또는 관용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리 공정에서는, 적어도 1 개의 분리롤에 의해서, (i) 1 쌍의 보호재 (C1, C2) 와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의 분리, (ii)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의 분리, (iii) 1 쌍의 금속박 (M, M) 사이의 분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리가 행해져도 된다. 상기 (i), (ii) 및 (iii) 의 순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것들 중의 복수를 동시에 행해도 되고, 단계적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분리롤로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1 쌍의 분리롤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i), (ii) 및 (iii) 을 단번에 행해도 된다.
또는, 1 쌍의 분리롤 사이를 통과시켜, (i), (ii) 및 (iii) 중 어느 2 개를 단번에 행해도 되고, 나머지의 분리를 단독의 분리롤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행해도 되며, 단독의 분리롤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분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1 쌍의 분리롤 사이를 통과시켜 나머지의 분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계적으로 분리를 행하는 경우, 보호재와 최외층 금속박 사이, 즉, C1/M1 사이, M2/C2 사이의 분리를 최초의 분리 공정으로서 행하고, 그 후, 계속해서 또는 동시에, 금속박 사이 M/M, 및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사이 F/F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공정을 행해도 된다.
또, 단계적으로 분리를 행하는 경우, 계속해서 또는 동시에, 금속박 사이 M/M, 및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사이 F/F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공정을 행하고, 그 후, 필요에 따라서 보호재 분리 공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열 압착 공정에 의해서 얻어진 적층체 C1/M1/F/F/M/M/F/M2/C2 는, 제 1 분리롤 (41, 41) 을 통과함으로써, C1/M1 사이 및 M2/C2 사이에서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분리된다. 분리된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각각, 보호재 권취롤 (31, 31) 에 의해서 권취된다. 분리된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필요에 따라서 재이용할 수 있다. 그 후,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분리된 적층체 M1/F/F/M/M/F/M2 는, 제 2 분리롤 (42, 42) 을 통과함으로써, M/M 사이에서 분리되고, 그 후, 제 3 분리롤 (43) 을 통과함으로써, F/F 사이에서 분리되어, 2 개의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1F, MF) 및 1 개의 양면 금속 피복 적층체 (M2FM) 가 제조된다. 또, 얻어진 금속 피복 적층체는, 각각, 금속 피복 적층체 권취롤 (32, 32, 32) 에 의해서 권취된다. 2 개의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1F, MF) 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도 3 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모식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금속박 (M), 및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1 쌍의 가압롤 (r1, r2) 사이에서, r1/C1/M1/F/F/M/M/F/F/M2/C2/r2 의 순서가 되도록,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상류측에 각 권출롤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도 1 및 2 와 동일한 역할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1 쌍의 가압롤 (r1, r2) 에는, 적층체 재료 M1/F/F/M/M/F/F/M2 가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즉, C1/M1/F/F/M/M/F/F/M2/C2 의 순서로 중첩하여 도입된다.
여기에서, 보호재 권출롤 (11, 11) 로부터 권출된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1 쌍의 가압롤에 있어서 적층체 재료와 접촉하여 도입되기 전에, 각각, 가열된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대해서, 소정의 시간, 외접하는 보호재 가열 공정이 행해진다.
보호재 가열 공정에서는,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외주와 접촉함으로써, 1 쌍의 보호재 (C1, C2) 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과 접촉하기 전에, 1 쌍의 보호재 (C1, C2) 의 수분 함량을 저감시킴으로써, 적층체 표면에 기포나 적층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재 가열 공정에 있어서, 가압롤의 외주와 접촉하는 기점은, 가압롤의 크기 및 가압롤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소정의 기점으로부터,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가압롤을 따르도록 보호재 가열 공정이 행해져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외접이란, 보호재가 소정의 기점부터 가압롤의 외주를 따르도록 접촉하여 반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보호재 권출롤의 위치는,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1 쌍의 가압롤 (r1, r2) 과 접촉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호재 권출롤로부터 권출된 보호재는, 직접 가압롤에 외접되어도 되고, 보호재 권출롤로부터 권출된 보호재는, 일단, 1 또는 복수의 가이드롤을 거치고 나서 가압롤에 외접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대해서 외접시키기 위한 1 쌍의 가이드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보호재 권출롤 (11, 11) 로부터 권출된 후, 직접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도입되는 것이 아니라,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근방에 배치된 가이드롤 (21, 21) 을 통과하고, 이어서, 가이드롤 (21, 21) 로부터 1 쌍의 가압롤 (r1, r2) 과 외접되어도 된다. 가이드롤 (21, 21) 에 의해서, 1 쌍의 가압롤 (r1, r2) 의 원하는 장소에 대해서,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외접시킬 수 있다.
가이드롤의 설치 지점은,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대해서 외접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3 에서는, 가이드롤은 가압롤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가압롤과 접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 에서는, 열 압착 전에, 보호재 (C1) 를 가압롤 (r1) 에, 보호재 (C2) 를 가압롤 (r2) 에 외접시킨다. 이와 같이, 보호재를 가압롤에 외접시킴 (또는 안게 함) 으로써, 보호재에 포함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사전에 보호재를 열 압착 온도 부근까지 예열할 수 있다. 보호재가 가압롤에 외접하는 거리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압롤의 1/8 둘레 이상이어도 되고, 1/4 둘레 이상이어도 되며, 1/2 둘레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제 3 실시형태에서는,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보호재 가열 공정 후, 적층체 재료 M1/F/F/M/M/F/F/M2 를, 그 최외층으로서 사이에 끼우면서, 전체가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도입된다.
그리고, 열 압착 공정에 의해서 얻어진 적층체 C1/M1/F/F/M/M/F/F/M2/C2 는, 제 1 분리롤 (41, 41) 을 통과함으로써, C1/M1 사이 및 M2/C2 사이에서 보호재 (C1, C2) 가 분리된다. 분리된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각각, 보호재 권취롤 (31, 31) 에 의해서 권취된다. 분리된 1 쌍의 보호재 (C1, C2) 는, 필요에 따라서 재이용할 수 있다. 그 후, 1 쌍의 보호재 (C1, C2) 가 분리된 적층체 M1/F/F/M/M/F/F/M2 는, 제 2 분리롤 (42, 42) 을 통과함으로써, M/M 사이 및 F/F 사이에서 분리되어, 4 개의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1F, MF, MF, M2F) 가 제조된다. 또, 얻어진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는, 각각, 금속 피복 적층체 권취롤 (32, 32, 32, 32) 에 의해서 권취된다. 4 개의 편면 금속 피복 적층체 (M1F, MF, MF, M2F) 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각종 물성을 측정하였다.
[융점]
시차 주사 열량계 (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으로부터 소정의 크기를 샘플링하여 시료 용기에 넣고, 실온으로부터 400 ℃ 까지 10 ℃/min 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에 나타나는 흡열 피크의 위치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 으로 하였다.
[막두께]
막두께는, 디지털 두께계 (주식회사 미츠토요 제조) 를 사용하여, 얻어진 필름을 TD 방향으로 1 ㎝ 간격으로 측정하고, 중심부 및 단부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10 점의 평균치를 막두께로 하였다.
[결정 배향도]
리가쿠 전기 주식회사 제조 회전 대음극 X 선 회절 장치 Ru-200 을 사용하고, X 선 출력은, 전압 40 ㎸, 전류 100 ㎃, 타깃 CuKα (λ = 1.5405 Å) 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을 MD 방향으로 잘라내어, 샘플 홀더에 장착하고,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에 대해서는 Through 방향으로부터 X 선을 입사시키고,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에 대해서는 Edge 방향으로부터 X 선을 입사시켜, 이미징 플레이트에 회절 이미지를 노광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회절 이미지에 대해서, 두께 방향 및 평면 방향 (MD 방향) 의 각각을 배향 분포 곡선으로 변환하고, 원주 방향 β 각에 대한 회절 강도의 곡선에 있어서, 약 20°부근 ((110) 면) 을 원환 적분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의 피크의 반가폭 H 로부터 결정 배향도 f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및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를 아래의 식 (1) 로부터 산출하였다.
f = (180 - H)/180 (1)
[외관 평가]
얻어진 금속 피복 적층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길이 20 m 이상에 있어서, 주름, 줄무늬, 변형, 팽창, 미착 (未着) 부분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A, 관찰된 것을 B 로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벡스타」(등록 상표), 융점 310 ℃ 두께 25 ㎛), 금속박으로서 전해 동박 (후쿠다 금속 박분 공업 주식회사 제조,「CF-H9A-DS-HD2」, 두께 12 ㎛), 및 보호재로서 폴리이미드 필름 (주식회사 카네카 제조,「아피칼 NPI」, 두께 75 ㎛) 을 각각 권출롤로서 준비하였다. 또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는 0.65 이고,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는 0.80 이었다. 이들 권출롤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1 쌍의 전해 동박 (M1, M2), 및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이, 1 쌍의 가압롤 (r1, r2) 사이에서, r1/C1/M1/F/F/M2/C2/r2 의 순서가 되도록 각 권출롤을 배치하였다.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적층체 재료 M1/F/F/M2 를,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을 개재하여 도입하였다. 1 쌍의 가압롤 (r1, r2) 로서 각각 직경이 300 ㎜ 인 금속롤을 사용하여, 금속롤의 표면 온도를 230 ℃, 가압 압력을 8 t/m 으로 설정하고,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사이에 끼운 적층체 재료 M1/F/F/M2 를, 속도 3.0 m/min 으로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통과시켜 열 압착시켰다.
열 압착 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통과 후, 당해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사용하여,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을 분리함과 함께,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하여, 2 개의 편면 구리 피복 적층체 (M1F, M2F) 를 얻고, 권취롤로 각각 권취하였다. 얻어진 구리 피복 적층체에 대해서, 외관 평가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벡스타」(등록 상표), 융점 310 ℃ 두께 100 ㎛), 금속박으로서 전해 동박 (후쿠다 금속 박분 공업 주식회사 제조,「CF-H9A-DS-HD2」, 두께 12 ㎛), 및 보호재로서 폴리이미드 필름 (주식회사 카네카 제조,「아피칼 NPI」, 두께 75 ㎛) 을 각각 권출롤로서 준비하였다. 또한,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는 0.60 이고,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는 0.70 이었다. 이들 권출롤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1 쌍의 전해 동박 (M1, M2), 및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이, 1 쌍의 가압롤 (r1, r2) 사이에서, r1/C1/M1/F/F/M2/C2/r2 의 순서가 되도록 각 권출롤을 배치하였다.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적층체 재료 M1/F/F/M2 를,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을 개재하여 도입하였다. 1 쌍의 가압롤 (r1, r2) 로서 각각 직경이 300 ㎜ 인 금속롤을 사용하여, 금속롤의 표면 온도를 255 ℃ 가압 압력을 12 t/m 으로 설정하고,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사이에 끼운 적층체 재료 M1/F/F/M2 를, 속도 3.0 m/min 으로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통과시켜 열 압착시켰다.
열 압착 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통과 후, 당해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사용하여,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을 분리함과 함께,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하여, 2 개의 편면 구리 피복 적층체 (M1F, M2F) 를 얻고, 권취롤로 각각 권취하였다. 얻어진 구리 피복 적층체에 대해서, 외관 평가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벡스타」(등록 상표), 융점 310 ℃ 두께 100 ㎛), 전해 동박,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각 권출롤을, r1/M/F/C/F/M/r2 의 순서가 되도록 배치하고, 가압롤을 통과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열 압착을 행하고, 열 압착 후, 분리롤로 적층체로부터 폴리이미드 필름 (C) 을 분리하여, 2 개의 편면 구리 피복 적층체 F/M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구리 피복 적층체에 대해서, 외관 평가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주식회사 쿠라레 제조,「벡스타」(등록 상표), 융점 310 ℃ 두께 100 ㎛), 전해 동박, 및 폴리이미드 필름의 각 권출롤을, r1/C1/F/M/M/F/C2/r2 의 순서가 되도록 배치하고, 가압롤을 통과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열 압착을 행하고,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통과 후, 당해 1 쌍의 가압롤 (r1, r2) 을 사용하여, 1 쌍의 폴리이미드 필름 (C1, C2) 을 분리함과 함께, 1 쌍의 전해 동박 (M, M) 사이를 분리하여, 2 개의 편면 구리 피복 적층체 (MF, MF) 를 얻고, 권취롤로 각각 권취하였다. 얻어진 구리 피복 적층체에 대해서, 외관 평가 결과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 에서는, 적층체 재료를 사이에 끼우도록 최외층에 보호재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배치함과 함께, 그 보호재들에는 동박과 접하도록 배치하여 1 쌍의 가압롤에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구리 피복 적층체에는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은 보여지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 및 2 에서는, 보호재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과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가압롤에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구리 피복 적층체에는 주름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금속 피복 적층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얻어진 금속 피복 적층체는, 전기·전자 분야나, 사무 기기·정밀 기기 분야, 파워 반도체 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부품, 예를 들어, 회로 기판 (특히 밀리파 레이더용 기판) 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건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청구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11 : 보호재 권출롤
12 : 금속박 권출롤
13 :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권출롤
21 : 가이드롤
31 : 보호재 권취롤
32 : 금속 피복 적층체 권취롤
41, 42, 43 : 분리롤
r1, r2 : 가압롤
C1, C2 : 보호재
M1, M2 : 최외층 금속박
F :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M : 금속박
M1F, M2F, MF, M2FM : 금속 피복 적층체

Claims (8)

  1. 복수의 금속 피복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적층체 재료를 도입하고, 상기 가압롤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적층체 재료는, 상기 1 쌍의 보호재 (C1, C2) 에 각각 접하는 1 쌍의 최외층 금속박 (M1, M2) 과,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으로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체 재료를 열 압착하는, 열 압착 공정과,
    상기 열 압착 공정 후에 상기 적어도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사이를 분리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분리 공정을 적어도 구비하는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압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적층체 재료의 열 압착을 행하고,
    상기 열 압착 공정 후에 서로 접하는 상기 적어도 1 쌍의 금속박 (M, M) 사이를 분리하는, 금속박 분리 공정을 구비하는,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가압롤 (r1, r2) 에 상기 1 쌍의 보호재 (C1, C2) 를 개재하여 도입되는 적층체 재료가, 아래의 (i) ∼ (vi) 중 어느 순서의 배치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i) r1/C1/M1/F/F/M2/C2/r2
    (ii) r1/C1/M1/F/F/M/M/F/M2/C2/r2
    (iii) r1/C1/M1/F/M/M/F/F/M/M/F/M2/C2/r2
    (iv) r1/C1/M1/F/F/M/M/F/F/M2/C2/r2
    (v) r1/C1/M1/F/F/M/M/F/F/M/M/F/M2/C2/r2
    (vi) r1/C1/M1/F/M/M/F/F/M/M/F/F/M/M/F/M2/C2/r2
    (여기에서, r1, r2 : 가압롤, C1, C2 : 보호재, M1, M2 : 최외층 금속박, F :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M : 금속박을 나타낸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F) 중 적어도 일방이, 평면 방향의 결정 배향도 fp 가 두께 방향의 결정 배향도 fv 보다 작은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압착 온도가, 상기 적층체 재료 중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중 가장 낮은 융점을 갖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 (TmL) 에 대해서, (TmL - 120) ℃ ∼ (TmL) ℃ 의 범위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압착 후의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과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 (F) 의 박리 강도가 0.3 kN/m 이하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재료 중에서 서로 접하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 필름의 융점의 차가 0 ∼ 70 ℃ 의 범위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재 (C1) 및/또는 보호재 (C2) 가, 내열성 수지 필름, 내열성 복합 필름, 및 내열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보호재인,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27033022A 2020-03-24 2021-03-15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220156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53322 2020-03-24
JPJP-P-2020-053322 2020-03-24
PCT/JP2021/010347 WO2021193194A1 (ja) 2020-03-24 2021-03-15 金属張積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004A true KR20220156004A (ko) 2022-11-24

Family

ID=7789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022A KR20220156004A (ko) 2020-03-24 2021-03-15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82030B2 (ko)
KR (1) KR20220156004A (ko)
CN (1) CN115279586A (ko)
TW (1) TW202200390A (ko)
WO (1) WO20211931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1051B2 (ja) 2010-01-29 2015-01-28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片面金属張積層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64C (zh) * 1998-04-09 2003-07-30 可乐丽股份有限公司 使用聚合物薄膜的涂层方法和由此得到的涂层体
JP2004358677A (ja) * 2003-06-02 2004-12-24 Nippon Steel Chem Co Ltd 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20094966A (ko) * 2003-12-26 2012-08-27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연성 적층판의 제조 방법
CN103069933B (zh) * 2010-08-12 2014-06-04 新日铁住金化学株式会社 覆金属层叠板
JP6031352B2 (ja) * 2012-12-28 2016-11-24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両面金属張積層体の製造方法
JP6499584B2 (ja) * 2013-10-03 2019-04-10 株式会社クラレ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回路基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TWI564145B (zh) * 2015-06-17 2017-01-01 長興材料工業股份有限公司 金屬被覆積層板及其製造方法
JP6480289B2 (ja) * 2015-08-21 2019-03-06 株式会社クラレ 金属蒸着層付き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該製造方法を用いた金属蒸着層付き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及び金属張積層板
KR102403839B1 (ko) * 2016-03-08 2022-05-31 주식회사 쿠라레 금속 피복 적층판의 제조 방법 및 금속 피복 적층판
JP7178634B2 (ja) * 2016-05-20 2022-1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金属張積層板の製造方法、電子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7303105B2 (ja) * 2017-03-28 2023-07-04 デンカ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の製造装置および積層体
JP7138623B2 (ja) * 2017-04-07 2022-09-16 株式会社クラレ 金属張積層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1051B2 (ja) 2010-01-29 2015-01-28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片面金属張積層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3194A1 (ja) 2021-09-30
JPWO2021193194A1 (ko) 2021-09-30
TW202200390A (zh) 2022-01-01
JP7182030B2 (ja) 2022-12-01
CN115279586A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072B2 (ja)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積層体および回路基板
JP6632541B2 (ja) 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61051B2 (ja) 片面金属張積層体の製造方法
JP4162321B2 (ja) 金属箔積層板の製造方法
JP7024142B2 (ja)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成形体、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6107507A (ja) 金属張積層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43324B1 (ja)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構造体の製造方法
TWI821409B (zh) 覆金屬積層體之製造方法
KR20220156004A (ko)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220154701A (ko) 금속 피복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7024141B2 (ja)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成形体、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7201371B2 (ja)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多層構造体の製造方法
CN114007832B (zh) 覆金属层叠体的制造方法
TW202102087A (zh) 熱塑性液晶聚合物薄膜、積層體、及成形體、以及彼等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