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779A -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779A
KR20220146779A KR1020210053469A KR20210053469A KR20220146779A KR 20220146779 A KR20220146779 A KR 20220146779A KR 1020210053469 A KR1020210053469 A KR 1020210053469A KR 20210053469 A KR20210053469 A KR 20210053469A KR 20220146779 A KR20220146779 A KR 20220146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essing
delay
sp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105B1 (ko
Inventor
김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to KR102021005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10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05B53/001Foot-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3/00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 E05F13/04Mechanisms operated by the movement or weight of a person or vehicle by platform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사용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의 하부 전방에 상면이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바닥면에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구비되는 고정축;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된 후방부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는 스프링걸림부가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에 힌지 연결된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압페달부; 상기 고정축의 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되 전단이 상기 스프링걸림부에 걸림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에 걸림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 상기 고정축의 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제2탄성스프링; 상기 제2탄성스프링의 전단에 중앙부 후측이 대향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가압페달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단으로부터 걸림가압돌기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개방지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걸림부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축에 관통 삽입된 후방부에 상기 제2탄성스프링의 후단이 걸림 결합되고, 하면에 상기 걸림가압돌기의 전단이 선택적으로 회전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면이 상기 도어의 후면에 대향 배치되는 지연가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door opener apparatus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안전성이 개선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는 여닫이 형태의 도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이를 잡아당겨 도어를 열거나 도어를 밀면 고무자석이 밀착되어 문이 닫히는 원리로 구비된다.
여기서, 양손으로 물건을 파지한 사용자가 냉장고 내에 물건을 넣는 경우, 냉장고의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아당길 수 없어 바닥에 물건을 내려놓고 냉장고 도어를 개방한 후 냉장고 내부에 넣고자 하는 물건을 집어 넣게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물건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을 사용하여 냉장고 도어의 턱에 지지된 족답판을 가압함으로서 족답판의 회전에 의해 냉장고 문이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도어 오픈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양손에서 물건을 내려 놓지 않은 상태에서도 냉장고에 물건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는 사용자가 족답판를 가압하는 즉시 냉장고가 개방되므로 개방되는 냉장고 도어에 사용자의 신체가 충돌하여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478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안전성이 개선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의 하부 전방에 상면이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바닥면에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구비되는 고정축;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된 후방부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는 스프링걸림부가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에 힌지 연결된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압페달부; 상기 고정축의 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되 전단이 상기 스프링걸림부에 걸림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에 걸림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 상기 고정축의 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제2탄성스프링; 상기 제2탄성스프링의 전단에 중앙부 후측이 대향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가압페달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단으로부터 걸림가압돌기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개방지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걸림부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축에 관통 삽입된 후방부에 상기 제2탄성스프링의 후단이 걸림 결합되고, 하면에 상기 걸림가압돌기의 전단이 선택적으로 회전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면이 상기 도어의 후면에 대향 배치되는 지연가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가압되는 가압페달부에 힌지 연결된 개방지연부가 연동 후퇴되며 회전됨에 따라 지연가압부의 걸림홈에 걸림 결합된 후 가압페달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제1탄성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지연가압부가 연동 전진되어 도어를 지연 개방하므로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개방지연부의 하단으로부터 후향 연장된 회전돌기가 하우징부의 하부 바닥면에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경사면에 안내됨에 따라 회전 복원되어 개방지연부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면 제2탄성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지연가압부가 자동 후퇴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셋째, 개방지연부의 전후방향 이동변위가 걸림홈과 걸림홈의 전방측에 대응되는 지연가압부의 하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걸림가압돌기의 전단이 걸림홈에 안정적으로 회전되며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넷째, 가압페달부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힌지축이 삽입되는 한쌍의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개방지연부의 상부가 힌지축에 힌지 연결되므로 가압페달부의 후퇴시 개방지연부가 연동 후퇴되며 안정적으로 회전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하우징부에 형성된 슬라이드결합홈부에 지연가압부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축을 따라 안정적으로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되며, 슬라이드결합홈부의 후측에 지연가압부의 후단부가 걸림되도록 스토퍼돌기가 연장 돌설되어 지연가압부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에서 하우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에서 가압페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 및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에서 하우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에서 가압페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 및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200)는 하우징부(110), 고정축(120), 가압페달부(130), 제1탄성스프링(140), 제2탄성스프링(150), 개방지연부(160) 및 지연가압부(17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200)는 냉장고 본체(1)의 하부 전방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1)에 연결된 도어(2)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하부 전방에 상면이 체결나사 등에 의해 결합되고 기설정된 폭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상기 고정축(120),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후방부, 상기 제1탄성스프링(140),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 상기 개방지연부(160) 및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후방부가 수용되어 컴팩트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페달부(130) 및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각 전방부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부 폭방향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개구부(110a)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간이 상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하부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기 개구부(110a)의 양측 상면 테두리가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하부에 체결나사 등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부(110)는 전방부가 개구되어 상기 삽입공간이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는 개구된 전방부 하측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커버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커버부(117)가 상기 하우징부(110)는 개구된 전방부 하측을 커버하되,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부 상측은 상기 지연가압부(170)가 관통 삽입 배치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개구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커버부(117)는 폭방향 양측이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 양측 테두리에 대향 정렬된 후 체결나사 등을 통해 상호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커버부(117)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축(120)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전단 및 후단이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벽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축(120)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측 내벽면에는 상기 고정축(120)의 후단이 걸림 결합되도록 제1고정축고정홈부(116)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부(117)의 후면에는 상기 고정축(120)의 전단이 걸림 결합되도록 제2고정축고정홈부(117a)가 전방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축(120)의 후단이 상기 제1고정축고정홈부(116)에 걸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축(120)의 전단이 상기 제2고정축고정홈부에 걸림 결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축(120)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축(120)은 상기 가압페달부(130), 상기 제1탄성스프링(140),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 및 상기 지연가압부(170)을 전후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페달부(13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후방부에 상기 고정축(120)이 관통 삽입되는 스프링걸림부(1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페달부(130)에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배치되는 후방부에 상기 하우징부(110)의 폭 미만을 갖는 평판부(130a)가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걸림부(132)는 상기 평판부(130a)의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상향 연장 돌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걸림부(132)에는 상기 고정축(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1안내관통홀(132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페달부(130)가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제1안내관통홀(132a)의 내경이 상기 고정축(120)의 외경을 미세하게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축(120)에 상기 제1안내관통홀(132a)이 관통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탄성스프링(130)은 상기 고정축(120)의 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되 전단이 상기 스프링걸림부(132)에 걸림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측 내벽면에 걸림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탄성스프링(130)의 후단이 상기 제1고정축고정홈부(116)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탄성스프링(130)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시 상기 가압페달부(130)에 전방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평판부(130a)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상부에 힌지 연결되도록 상향 연장되는 한쌍의 힌지결합부(136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힌지결합부(136a)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힌지축(162)이 삽입되도록 힌지삽입홀(136)이 각각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결합부(136a)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172) 및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는 각 상기 힌지결합부(136a)의 전방부 내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평판부(130a)로부터 돌출부(135)가 일체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35)에는 상기 고정축(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2안내관통홀(135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페달부(130)가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제2안내관통홀(135a)의 내경이 상기 고정축(120)의 외경을 미세하게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축(120)에 상기 제1안내관통홀(132a) 및 상기 제2안내관통홀(135a)이 각각 관통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페달부(130)에 형성된 상기 제1안내관통홀(132a) 및 상기 제2안내관통홀(135a)이 상기 고정축(120)에 각각 관통 삽입되어 상기 가압페달부(130)가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폭방향 양측에는 안내돌기(138)가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돌설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더불어, 각 상기 안내돌기(138)에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양측 내벽면에는 안내홈부(118)가 폭방향 양측으로 각각 함몰 형성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내홈부(118)의 후측에는 각 상기 안내돌기(138)의 후단이 걸림되도록 안내스토퍼부(118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기 안내돌기(138)가 각 상기 안내홈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상기 가압페달부(130)가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내관통홀(132a) 및 상기 제2안내관통홀(135a)이 상기 고정축(120)에 각각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후방측 하부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측 하부 바닥면(111)과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방측 하부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113)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측 하부 바닥면(111)과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113)과의 높이 차는 후술되는 가이드경사면(112)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돌출부(135)의 후방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평판부(130a)에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배치되기 위한 개구홀(13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출부(135)는 상기 개구홀(133)의 전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구홀(133)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 내측에 배치된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하부에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방부에는 상기 돌출부(135) 및 상기 힌지결합부(136a)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평판부(130a)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에 한쌍의 슬릿돌기(137)가 일체로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커버부(117)에는 각 상기 슬릿돌기(137)가 관통 삽입되도록 각 상기 슬릿돌기(137)에 대응되는 위치의 폭방향 양측 하부에 슬릿안내홈(117b)이 상향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슬릿돌기(137)가 각 상기 슬릿안내홈(117b)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 및 전방 외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방부에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1)에 힌지 연결된 도어(2)의 하부 일측에 대향 배치되는 페달(13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페달(131)은 평판형으로 구비되어 전면이 상기 고정축(120)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페달(130)의 전면이 상기 도어(2)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은 상기 고정축(120)의 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되 전단이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후측에 배치되는 스프링결합부(165)의 후면에 걸림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후방부에 형성된 스프링대향부(171)의 전면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은 상기 지연가압부(170)에 전방 및 후방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방지연부(160)는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의 전단에 중앙부 후측이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후측에는 상기 고정축(120)에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된 상기 스프링결합부(16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결합부(165)는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의 전단이 후면에 걸림 결합되되 전면이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중앙부 후측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결합부(165)는 상기 개방지연부(160)와 개별로 구비되어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힌지 회전시 연동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의 전단에 걸림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부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지연부(160)는 전면이 상기 가압페달부(13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35)의 후면에 대향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중앙부에는 확장관통홀(16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장관통홀(161)이 상기 고정축(120)에 관통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회전시 상기 고정축(120)에 걸림되지 않기 위한 여유 간격이 확보되도록 상기 확장관통홀(161)의 내경이 상기 고정축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확장관통홀(161)의 내주 및 상기 고정축(120)의 외주가 상호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페달부(130)가 상기 고정축(120)을 따라 가압 후퇴시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연동 후퇴되며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상부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 내측에 배치된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상부 일측에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축(162)을 통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상부가 상기 가압페달부(130)에 형성된 상기 힌지결합부(136a)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상부에는 힌지관통홀(162a)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관통홀(162a)은 상기 힌지결합부(136a)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힌지삽입홀(136)에 정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지연부(160)는 상기 힌지관통홀(162a) 및 상기 힌지삽입홀(136)에 관통 삽입되는 힌지축(162)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상기 힌지축(162)을 통해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상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지연부(160)에는 상단으로부터 걸림가압돌기(161)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진시 상기 걸림가압돌기(161)의 상면이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하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후퇴시 상기 걸림가압돌기(161)의 전단이 후술되는 걸림홈(172)에 회전되며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지연부(160)는 하부가 상기 개구홀(133)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개방지연부(160)에는 상기 개구홀(133)의 하측으로 배치된 하단으로부터 회전돌기(164)가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부(110)의 하부 바닥면에는 가이드경사면(112)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경사면(112)은 상기 회전돌기(164)의 하측에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하부 바닥면에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경사면(112)의 전단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113)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경사면(112)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측 하부 바닥면(111)과 연속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전방측 하면 및 상기 가이드경사면(112) 전방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113) 사이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연가압부(17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측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폭방향 양측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한쌍의 슬라이드결합홈부(114)가 폭방향 양측으로 함몰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면번호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 상기 슬라이드결합홈부(114)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폭방향 양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슬라이드결합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연가압부(170)가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측 내부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결합홈부(114)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후방향 길이 미만으로 설정되고,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슬라이드결합홈부(114)의 후측에는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후단부가 걸림되도록 스토퍼돌기(115)가 폭방향 내측으로 각각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돌기(115)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후방향 중앙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연가압부(170)에는 상기 스프링걸림부(132)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축(120)에 관통 삽입된 후방부에 상기 스프링대향부(17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대향부(171)는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축(120)이 관통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축(1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제3안내관통홀(171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안내관통홀(171a)의 내경이 상기 고정축(120)의 외경을 미세하게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축(120)에 상기 제3안내관통홀(171a)이 관통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대향부(171)의 전면에는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의 후단이 걸림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연가압부(170)는 하면에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선택적으로 회전 삽입되도록 걸림홈(172)이 상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홈(172)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되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전방측 하면과 상기 스프링 대향부(17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삽입되되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전방측 하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진시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상면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후퇴시에는 상기 걸림홈(172)에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전단이 회전되며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후방으로 이동된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상기 걸림홈(172)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전후방향 이동변위는 상기 걸림홈(172)의 전단과 상기 걸림홈(172)의 전방측에 대응되는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하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전방부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되 전면이 상기 도어(2)의 후면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전방부는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연가압부(170)에는 전방부에 폭방향으로 회전축(173)이 관통 삽입되되, 하단이 상기 회전축(173)에 힌지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면부(17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면부(174)의 후면이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하부 전면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가압면부(174)의 전면이 상기 도어(2)의 하부 후면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 본체(1)의 하부 전면과 상기 도어(2)의 하부 후면이 상기 사압면부(174)의 전후방향 두께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2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가압페달부(130)를 미가압한 상태인 초기상태에서,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상면이 상기 하우징부(110)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지연가압부(170)의 전방측 하면에 대향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개방지연부(160)의 하면이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113)에 대향 접촉되고, 상기 회전돌기(164)의 상면이 상기 개구홀(133)의 후측 테두리 하면(134)에 면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페달(131)을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탄성스프링(140)이 압축되며, 상기 가압페달부(130) 전체가 슬라이드 후퇴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페달부(130)에 힌지 연결된 상기 개방지연부(160) 및 상기 스프링결합부(165)가 연동 후퇴된다. 이때, 상기 개방지연부(160)는 상기 스토퍼돌기(115)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스프링결합부(165)에 의해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이 압축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62)에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회전되기 위한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토션스프링이 더 구비되지 않고, 회전돌기(164)의 전후방향 연장길이 및 중량이 걸림가압돌기(163)의 전후방향 연장길이 및 중량보다 크게 설정되어 중력에 의해 개방지연부(160)가 자동 회전되거나, 힌지축(162)의 위치가 무게중심으로부터 이탈된 위치로 설정되어 중력에 의해 개방지연부(160)가 자동 회전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페달(131)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후퇴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172)의 하측에 대향 배치되는 순간,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172)에 걸림 삽입된다. 이때,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상기 걸림홈(172)에 걸림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돌기(164)의 후단이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개구홀(133)의 후측 테두리 하면(134)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부(110)의 후방측 하부 바닥면(111)에 접촉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가압페달부(130)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에 상기 지연가압부(170)에 의한 전방으로의 가압력이 미작용하므로 상기 도어(2)가 개방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가압페달부(130)의 가압을 해제하면, 압축된 상기 제1탄성스프링(1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페달부(130) 및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전방으로 가압 복원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상기 걸림홈(172)에 걸림 삽입되어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에 의해 상기 지연가압부(170)가 동시에 전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연가압부(170)가 상기 도어(2)를 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도어(2)가 개방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계속해서 전방으로 가압 복원되면, 상기 회전돌기(164)의 하면이 상기 가이드경사면(112)과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113)에 순차적으로 면접촉 안내됨에 따라 상기 개방지연부(160)가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회전 가압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걸림홈(172)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회전돌기(164)의 상면이 상기 개구홀(133)의 후측 테두리 하면(134)에 면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며 상기 걸림홈(172)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지연가압부(170)가 압축된 상태의 상기 제2탄성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되고, 상기 초기상태로 자동 복원된다.
이처럼, 도어(2)가 지연 개방되도록 가압페달부(130)가 가압되면 가압페달부(130)에 힌지 연결된 개방지연부(160)가 연동 후퇴되며 회전됨에 따라 지연가압부(170)의 걸림홈(172)에 걸림 결합되고, 가압페달부(130)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제1탄성스프링(14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개방지연부(160)에 걸림 결합된 지연가압부(170)가 연동 전진되어 도어(2)를 지연 가압 개방하므로 충돌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개방지연부(160)에 걸림 결합된 지연가압부(170)가 연동 전진되어 도어(2)를 지연 가압 개방된 후 개방지연부(16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된 회전돌기(164)가 회전돌기(164)의 하측에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하부 바닥면에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경사면(112)에 안내됨에 따라 개방지연부(160)가 회전 복원되어 걸림홈(172)으로부터 이탈되면 제2탄성스프링(150)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지연가압부(170)가 자동 후퇴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개방지연부(160)의 전후방향 이동변위가 걸림홈(172)과 걸림홈(172)의 전방측에 대응되는 지연가압부(170)의 하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걸림가압돌기(163)의 전단이 걸림홈(172)에 안정적으로 회전되며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페달부(130)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힌지축(162)이 삽입되는 한쌍의 힌지결합부(136a)가 형성되어 개방지연부(160)의 상부가 힌지축(162)에 힌지 연결되므로 가압페달부(130)의 후퇴시 개방지연부(160)가 연동 후퇴되며 안정적으로 회전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가압페달부(130)의 전진시 걸림가압돌기(163)의 상면이 지연가압부(170)의 하면에 대향 배치되되, 개방지연부(160)의 상하방향 높이가 지연가압부(170)의 전방측 하면 및 가이드경사면(112) 전방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하우징부(110)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113) 사이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되어 개방지연부(160)의 걸림가압돌기(163)가 걸림홈(172)에 걸림 결합되기 전에 임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가압페달부(130)에 개방지연부(160)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개구홀(13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회전돌기(164)의 상면이 개구홀(133)의 후측 테두리 하면(134)에 면접촉 지지되며 스토퍼 기능을 제공하므로 개방지연부(160)의 회전각도가 제한 안내되어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단이 개방지연부(160)의 후측에 배치되되 고정축(120)에 관통 삽입된 스프링결합부(165)에 제2탄성스프링(150)의 전단이 걸림 결합되므로 개방지연부(160)의 회전시 스프링결합부(165)가 제2탄성스프링(150)과 평행하게 정렬되기 위해 개방지연부(160)와 독립적으로 개별 이동되므로 지연가압부(170)의 복원을 위한 안정적인 탄발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110)에 형성된 슬라이드결합홈부(114) 및 안내홈부(118)에 지연가압부(170) 및 가압페달부(130)가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축(120)을 따라 안정적으로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슬라이드결합홈부(114)의 후측에는 지연가압부(170)의 후단부가 걸림되도록 스토퍼돌기(115)가 폭방향 내측으로 각각 연장 돌설되어 지연가압부(170)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냉장고 본체 2: 도어
110: 장착하우징부 120: 고정축
130: 가압페달부 140: 제1탄성스프링
150: 제2탄성스프링 160: 개방지연부
170: 지연가압부 200: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Claims (6)

  1. 냉장고 본체의 하부 전방에 상면이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바닥면에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구비되는 고정축;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된 후방부에 상기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는 스프링걸림부가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에 힌지 연결된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압페달부;
    상기 고정축의 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되 전단이 상기 스프링걸림부에 걸림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에 걸림 결합되는 제1탄성스프링;
    상기 고정축의 전방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제2탄성스프링;
    상기 제2탄성스프링의 전단에 중앙부 후측이 대향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가압페달부에 힌지 연결되며, 상단으로부터 걸림가압돌기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는 개방지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되, 상기 스프링걸림부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축에 관통 삽입된 후방부에 상기 제2탄성스프링의 후단이 걸림 결합되고, 하면에 상기 걸림가압돌기의 전단이 선택적으로 회전 삽입되도록 걸림홈이 상향 함몰 형성되고, 전방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전면이 상기 도어의 후면에 대향 배치되는 지연가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페달부의 후퇴시 상기 개방지연부가 연동 후퇴되며 회전되도록, 상기 가압페달부에는 양측 테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토션스프링이 구비된 힌지축이 삽입되는 한쌍의 힌지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지연부의 상부가 상기 힌지축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개방지연부에는 하단으로부터 회전돌기가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경사면은 상기 회전돌기의 하측에 대향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바닥면에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후방으로 이동된 상기 걸림가압돌기의 전단이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개방지연부의 전후방향 이동변위는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의 전방측에 대응되는 상기 지연가압부의 하면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지연부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지연가압부의 전방측 하면 및 상기 가이드경사면 전방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측 하부 바닥면 사이 간격에 대응되어 설정되고,
    상기 가압페달부에는 상기 개방지연부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개구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회전돌기의 상면은 상기 개구홀의 후측 테두리 하면에 선택적으로 면접촉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가압부에는 상기 스프링걸림부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축에 관통 삽입되도록 후방부로부터 일체로 하향 연장되는 스프링대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스프링은 후단이 상기 스프링대향부의 전면에 걸림 결합되되, 전단이 상기 개방지연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축에 관통 삽입된 스프링결합부에 걸림 결합되며,
    상기 가압페달부에는 상기 개구홀의 전방에 돌출부가 상향 연장되되, 상기 지연가압부의 전면은 상기 돌출부의 후면에 대향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 폭방향 중앙부가 개구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지연가압부의 폭방향 양측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상기 지연가압부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한쌍의 슬라이드결합홈부가 폭방향 양측으로 함몰되며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 상기 슬라이드결합홈부의 후측에는 상기 지연가압부의 후단부가 걸림되도록 스토퍼돌기가 폭방향 내측으로 각각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KR1020210053469A 2021-04-26 2021-04-26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KR10246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69A KR102466105B1 (ko) 2021-04-26 2021-04-26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469A KR102466105B1 (ko) 2021-04-26 2021-04-26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779A true KR20220146779A (ko) 2022-11-02
KR102466105B1 KR102466105B1 (ko) 2022-11-11

Family

ID=8404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469A KR102466105B1 (ko) 2021-04-26 2021-04-26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1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84Y1 (ko) 1999-10-15 2000-03-15 경규철 냉장고문의 오픈용 발판
KR100626441B1 (ko) * 2004-05-0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서 제빙기 커버 개폐장치
KR100744767B1 (ko) * 2005-06-18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84Y1 (ko) 1999-10-15 2000-03-15 경규철 냉장고문의 오픈용 발판
KR100626441B1 (ko) * 2004-05-0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에서 제빙기 커버 개폐장치
KR100744767B1 (ko) * 2005-06-18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105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2175A (en) Locking devices
KR930004624Y1 (ko) 콤펙트디스크케이스의 원터치서랍식 개폐장치
KR20030094092A (ko) 사이드 록크 장치
JPH06193332A (ja) ケース用ロック装置
KR20160055251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KR20220146779A (ko)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EP0490928B1 (en) A hinge for french doors in a refrigerator
KR100423108B1 (ko) 자물쇠부착식 캡
JP4467471B2 (ja) 収納具
JP3994826B2 (ja) 収納具
JP4231223B2 (ja) 引戸用取手
KR102200070B1 (ko) 핸드백용 잠금장치
JPH049833Y2 (ko)
JP3404537B2 (ja) 引戸用安全装置
JP2957151B2 (ja) ラッチ具
JP3504987B2 (ja) 開閉体取付装置
JP3598160B2 (ja) ウィング付き収納ボックスのオートロック装置
GB2134961A (en) Door catches
JP2547034Y2 (ja) 車輌用収納装置
JPH0437529Y2 (ko)
JPH0624530Y2 (ja) 平面ハンドル装置
JP4858871B2 (ja) 開閉操作装置
JP3232439B2 (ja) 蓋の開閉装置
JPH0735077Y2 (ja) 建具用ガイド装置
JP4467228B2 (ja) 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