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767B1 -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767B1
KR100744767B1 KR1020050052746A KR20050052746A KR100744767B1 KR 100744767 B1 KR100744767 B1 KR 100744767B1 KR 1020050052746 A KR1020050052746 A KR 1020050052746A KR 20050052746 A KR20050052746 A KR 20050052746A KR 100744767 B1 KR100744767 B1 KR 10074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casing
hinge hous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2411A (ko
Inventor
김성광
황윤익
홍석원
조풍연
김철진
하유즙
이길영
박성수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7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3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케이싱과, 도어와, 케이싱과 도어를 힌지결합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힌지 어셈블리는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며 캠형상이 형성된 브라켓과, 도어측에 형성되며 브라켓과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는 힌지 하우징과, 힌지 하우징의 내부에서 브라켓과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일단부가 힌지하우징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도어가 급속히 개방되지 않아 소음 및 진동이 감소하고, 많이 개방될수록 부드럽고 천천히 개방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3)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의 도어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의 도어가 대략 절반정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의 도어가 전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케이싱 2 : 도어개폐장치
3 : 힌지 어셈블리 31 : 힌지 하우징
32 : 스프링 33 : 슬라이드 부재
34 : 결합부재 35 : 브라켓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개폐장치에 캠과 롤러를 구비하여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도록 한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는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과, 이에 결합되는 힌지부재와, 힌지부재에 삽입되는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개폐시 도어가 좀 더 부드럽게 열리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드롭다운식 도어를 채용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종래의 도어는 도어가 개방되면 빠른 속도로 도어가 하방으로 개방되어 철컥하는 소음 및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지 못하고 빠른 속도로 열려서 사용자들에게 감성적으로 만족감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열릴 때 부드럽게 열리며, 개방될수록 천천히 개방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 폐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덮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를 힌지결합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며 캠형상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도어측에 형성되며 브라켓과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는 힌지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과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하우징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캠형상은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의 캠형상을 타고 회동할 수 있는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힌지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수단은 스프링으로 마련되며, 힌지 하우징은 그 단면이 "ㄷ" 자 형상이며, 상기 단면의 내부에 수평 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어는 하방이 케이싱에 힌지결합되는 드롭다운 방식의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 치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가전제품은 도 1과 같이 주로 상자형 케이싱(1)을 구비하며, 그 개구부에 도어(2)가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싱(1)에 부착된 도어(2)는 반복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어셈블리(3)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3)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힌지 하우징(31)은 대략 "ㄷ"자 형상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힌지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스프링(32)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고정부(31a)가 수평 바(bar)형태로 형성되며, 이런 형태가 아니여도 스프링만 고정할 수 잇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힌지 하우징(31)의 하부에는 전면에 상하로 긴 통공(31c)이 형성되어 브라켓(35)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힌지 하우징(31)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 부재(33) 및 브라켓(35)을 힌지하우징(31)에 결합하는 제1결합공(31b)이 형성된다.
스프링(32)은 인장스프링으로서 상단부(32a)는 힌지 하우징(31)의 제1고정부(31a)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하단부(32b)는 슬라이드 부재(33)의 제2고정부(33a)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슬라이드 부재(33)는 힌지 하우징(31) 내에 설치되는 역시 대략 "ㄷ"자 형상의 부재로서, 상측에는 스프링의 하단부(32b)를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부(33a)가 수평의 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런 형태가 아니여도 스프링만 고정할 수 잇는 형태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슬라이드 부재(33)의 양 측면에는 상기 브라켓(35)과 상기 힌지하우징을 결합하는 결합부재(34)가 통과하는 장공(33c)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부재(33)가 힌지 하우징(1) 내에서 상기 브라켓(35) 및 상기 결합부재(34)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부재(33)의 하측에는 회전가능한 롤러(33b)가 설치된다.
브라켓(35)은 케이싱(1)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판상의 부재이다. 브라켓(35)은 도어(2)가 닫히는 경우 힌지 하우징(31)의 내부에도 일부가 수용되는데, 힌지 하우징(31)의 통공(31c) 내부에 수용된다. 브라켓(35)의 상단부는 지지부재(35c)가 결합되어 브라켓(35)의 강도를 보강해주고 있다. 브라켓(35)의 전방에는 요홈(35a)이 형성되어 브라켓(35)이 통공(31c) 내부에 수용되었을 때 슬라이드 부재(33)의 제2고정부(33a)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요홈(35a)의 하방에는 제2결합공(35b)이 형성되어 힌지 하우징(31)의 제1결합공(31b)과 결합된다. 브라켓(35)의 하측에는 캠곡면(35d)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캠곡면(35d)의 형상은 케이싱(1)의 설계치수 및 힌지 하우징(31)의 치수, 롤러(33b)의 지름, 도어(2) 무게 등 여러 가지 설계값을 참조하여 적절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힌지 하우징(31)의 제1결합공(31b)과, 슬라이드 부재(33)의 장공(33c)들은 결합부재(34)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결합부재(34)는 힌지 하우징(31)의 두께에 상응하거나 이보다 길도록 형성되어 힌지 하우징(31)을 관통하며, 핀 등의 부재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결합부재(34) 중 하부에 있는 결합부재(34b)는 브라켓(35)의 제2결합공(35b)과도 결합되어 힌지 하우징(31)과 슬라이드 부재(33)와 브라켓(35)을 연결시켜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의 도어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어가 대략 절반정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어가 전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4, 5를 참조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의 힌지 어셈블리(3)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힌지 하우징(31)은 도어(2)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도어(2)와 함께 동작하게 된다. 도어(2)가 닫힌 경우에는 힌지 어셈블리(3)는 직립하여 있게 되고 스프링(32)도 늘어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브라켓(35)은 힌지 하우징(31) 전면에 형성된 통공(31c)에 일부가 수용된다. 브라켓의 요홈(35a)은 슬라이드 부재(33)의 고정부(미도시)에 끼워지듯이 수용되어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33)의 장공(33c)은 결합부재(34)와 장공(33c)의 하방에서 결합되며, 롤러(33b)는 캠곡면(35d)의 시작점에 머무르게 된다.
도 4와 같이 도어(2)가 어느 정도 개방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33)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 롤러(33b)는 브라켓(35)의 캠곡면(35d)을 타고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부재(33)는 고정된 결합부재(34)를 타고 좌측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은 힌지 하우징(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부재(33)의 제2고정부(33a)에 고정되어 있던 스프링(32)도 늘어나게 된다. 도어(2)는 롤러(33b)가 캠곡면(35d)을 회전하고 스프링(32)가 탄성력을 가지며 늘어나게 되므로 부드럽게 하방으로 열리게 된다.
도 5와 같이 도어(2)가 완전히 개방되면 롤러(33b)는 좌측으로 캠곡면(35d)의 끝까지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부재(33)도 롤러(33b)의 이동에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결합부재(34)와는 장공(33c)의 가장 우측에서 결합되게 된다. 스프링(32)는 슬라이드 부재(33)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늘어나게 된다. 도어(2)는 롤러(33b)가 캠곡면(35d)을 타고 부드럽게 이동할 뿐 아니라 스프링(32)이 롤러(33b)와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33)의 이동과 함께 늘어나므로 부드럽게 개폐된다. 또한, 캠곡면(35d)의 곡률이 일정하지 않고 도어(2)가 개방될 수록 곡선이 완만하여 롤러(33b)가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형성되므로 도어(2)가 개방됨에 따라 더욱 천천히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도어(2)가 급속히 열려 케이싱(1)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는 도어가 급속히 개방되지 않아 소음 및 진동이 감소하고, 많이 개방될수록 부드럽고 천천히 개방되어 사용자의 감성을 만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구부를 덮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를 힌지결합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며 캠형상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도어측에 형성되며 브라켓과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는 힌지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브라켓과 상대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힌지하우징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고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형상은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브라켓의 캠형상을 타고 회동할 수 있는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힌지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슬라이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상기 힌지 하우징은 그 단면이 "ㄷ" 자 형상이며, 상기 단면의 내부에 수평 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하방이 케이싱에 힌지결합되는 드롭다운 방식의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KR1020050052746A 2005-06-18 2005-06-18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KR10074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46A KR100744767B1 (ko) 2005-06-18 2005-06-18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746A KR100744767B1 (ko) 2005-06-18 2005-06-18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11A KR20060132411A (ko) 2006-12-21
KR100744767B1 true KR100744767B1 (ko) 2007-08-01

Family

ID=3781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746A KR100744767B1 (ko) 2005-06-18 2005-06-18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779A (ko) *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스타리온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244B1 (ko) * 2018-01-12 2019-07-19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오븐용 도어 힌지
WO2023101645A1 (en) * 2021-11-30 2023-06-08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A cook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148A (ja) * 2000-08-15 2002-02-22 Sumitomo Heavy Ind Ltd イオンプレーティングによる成膜方法
KR20040061454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도어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148A (ja) * 2000-08-15 2002-02-22 Sumitomo Heavy Ind Ltd イオンプレーティングによる成膜方法
KR20040061454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도어개폐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61454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5714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779A (ko) * 2021-04-26 2022-11-02 주식회사 스타리온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KR102466105B1 (ko) 2021-04-26 2022-11-11 주식회사 스타리온 냉장고 도어 오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411A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7824B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hinge units
AU2011345515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KR101085901B1 (ko) 가열조리기
KR10171616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RU200911353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100744767B1 (ko) 가전제품의 도어개폐장치
CA2444320A1 (en) Dishwasher door balancing system
KR10046569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156070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US20190301220A1 (en) Door hinge
JP5380642B2 (ja) シャッタ
KR20030002535A (ko) 도어 장치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KR101145970B1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20100039469A (ko) 탑 로드 타입용 도어 힌지
KR20120073078A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KR200340543Y1 (ko) 도어프레임과 도어간 간극커버장치
KR100879100B1 (ko) 차량용 도어체커
KR20044787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RU2435920C2 (ru) Сбалансированное шарн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77655B1 (ko) 플랫도어용 힌지 프레임
KR10045235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101775524B1 (ko)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200343026Y1 (ko) 가스오븐렌지의 도어 개폐장치
KR100989796B1 (ko) 도어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