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765B1 - 도어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765B1
KR101839765B1 KR1020160048804A KR20160048804A KR101839765B1 KR 101839765 B1 KR101839765 B1 KR 101839765B1 KR 1020160048804 A KR1020160048804 A KR 1020160048804A KR 20160048804 A KR20160048804 A KR 20160048804A KR 101839765 B1 KR101839765 B1 KR 101839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hinge
hinge housing
lin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1742A (ko
Inventor
양상열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ublication of KR2017010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 힌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힌지 하우징과, 도어와 결합하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힌지 하우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부재와, 힌지 하우징의 내부 수용 공간에 마련되며 캠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축결합하여 힌지 하우징 내부를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링크바와, 힌지 하우징의 타단에 마련되며 링크바를 관통 지지함과 동시에 힌지 하우징에 안착 결합하는 하우징캡과, 링크바와 하우징캡 사이에 개재되어 링크바를 탄성 동작시키는 한편 하우징캡을 힌지 하우징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힌지 장치{Door Hinge Device}
본 발명은 도어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도어의 개폐 동작이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세탁수,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통상 세탁기는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과, 개구된 하우징에 힌지 고정되는 도어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조를 구비한다. 세탁기에 설치되는 도어는 세탁조에 세탁물을 넣고 꺼낼 때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의 개구된 상부를 상하로 개폐하는 상향식 여닫이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9-0113975호(2009. 11. 03.) 상기 문헌은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마련되는 토션스프링의 비틀림력을 이용하여 도어가 급격하게 폐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도어의 힌지축에 힌지 장치가 나란하게 마련되어 도어와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는 내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도어의 개폐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힌지 하우징과, 도어와 결합하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힌지 하우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부재와, 힌지 하우징의 내부 수용 공간에 마련되며 캠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축결합하여 힌지 하우징 내부를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링크바와, 힌지 하우징의 타단에 마련되며 링크바를 관통 지지함과 동시에 힌지 하우징에 안착 결합하는 하우징캡과, 링크바와 하우징캡 사이에 개재되어 링크바를 탄성 동작시키는 한편 하우징캡을 힌지 하우징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하우징은 링크바를 슬라이딩 이동 방향의 정면에서 지지하기 위해 중공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캡은 원형의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돌출 마련되어 상기 중공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의 중심에는 센터홀이 마련되어 상기 링크바가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힌지 하우징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지지편을 각각 내측으로 직각 밴딩하여 상기 링크바 슬라이딩 이동 방향의 정면에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의 밴딩된 외측 모서리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리는 힘을 견디기 위해 변형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이스의 아우터면에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1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이너면에 원 형태로 마련되어 외주에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제3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하우징캡을 위치 고정하기 위한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이스의 아우터면에 상기 안착면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2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하우징은 댐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내부에 오일 또는 에어가 채워져 있으며 입출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댐핑 챔버와, 상기 댐핑 챔버를 힌지 하우징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댐핑 브라켓과, 댐핑 챔버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링크바에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 브라켓의 일단은 걸림돌기를 마련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힌지 하우징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는 도어와 결합하여 회동하는 캠부재와 캠부재의 회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바와 링크바가 탄성적으로 동작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도어의 동작을 탄성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부드럽고 유연하게 개폐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는 내부 구조를 최소한으로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조 비용 및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는 힌지 하우징과 링크바 사이에 댐핑부를 마련하여 도어의 개폐 동작 시 자중에 의한 급격한 도어 닫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의 하우징캡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가 도어가 열림 상태일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가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의 결합 및 분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가 설치된 일례로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는 세탁조가 수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하부에 장착된 모터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타입의 세탁기 상부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도어 힌지 장치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2)과, 도어 프레임(2)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와, 도어의 개폐 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2)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 장치(100)를 포함한다. 도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 장치(100)의 의해 도어(3)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동하여 개구부를 개방하고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동하여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러한 도어(3)의 개폐 동작은 도어 힌지 장치(100)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유연하게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100)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어 힌지 장치의 조립 부품인 하우징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도어 힌지 장치(100)는 힌지 하우징(110)과, 힌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부재(120)와, 캠부재(120)에 의해 힌지 하우징(110) 내부에서 슬라이딩 직선 이동하는 링크바(130)와, 링크바(1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0)와, 힌지 하우징(110)에 링크바(130)와 탄성부재(140)를 지지하기 위해 결합되는 하우징캡(150)을 포함한다.
힌지 하우징(110)은 금속 플레이트에 형상을 프레싱하고 단면이 'U'자 형태를 갖도록 절곡 가공한 박스 형태로 마련되며, 캠부재(120)가 수용되는 캠 하우징부(111)와 링크바(130)가 수용되는 링크 하우징부(115)를 포함한다.
캠 하우징부(111)는 소정 구간을 회동하는 캠부재(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며 회동하는 동작의 중심측에 캠홀(113)을 구비한다. 캠홀(113)에는 캠부재(120)의 일측이 내측에서 결합되며, 외측에는 세탁기의 도어(3)가 결합될 수 있다. 캠홀(113)과 인접한 캠 하우징부(111)의 끝단에는 캠부재(12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핀(112)이 설치되는 핀홀(114)이 마련된다.
링크 하우징부(115)는 링크바(130)가 내부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링크 하우징부(115)의 일측은 캠 하우징부(111)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슬라이딩 동작하는 링크바(130)를 정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16)를 포함한다.
지지부(11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하우징부(115)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끝단을 밴딩하여 벽면을 형성함으로써 링크 하우징부(115)의 내부 공간이 장방형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지지부(1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하우징부(115)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지지편(117)을 각각 내측으로 직각 밴딩하여 측벽을 형성하고, 이 측벽을 통해 링크바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 정면에서 링크바(130)를 지지한다.
지지편(117)의 밴딩된 외측 모서리에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리는 힘을 견디기 위해 변형방지부(117a)가 마련된다. 변형방지부(117a)는 탭핑 등의 가공을 통해 모서리에 찍힘 가공되어 지지편의 밴딩이 풀어지지 못하도록 반력을 제공한다. 지지편(117)은 바닥면의 중심에 원형 바 형태로 돌출 마련되어 하우징 캡을 지지하는 안착면(118)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편(117) 사이에는 개구 형태의 중공(116a)이 형성된다.
링크 하우징부(115)의 상부에는 도어 프레임(2)에 도어 힌지 장치(100)를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볼팅공(119a, 119b)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캠부재(120)는 캠 하우징부(111)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링크바(130)보다 짧은 바 형태로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120)의 일단에는 캠 하우징부(111)의 캠홀(113)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축(122)이 마련되며, 타단에는 링크바(130)의 일단이 축결합하는 링크축(124)이 마련된다.
캠축(122)은 내부에 중공 형태의 도어결합홈(123)을 구비하며, 이 도어결합홈(123)은 결합되는 도어(3)가 독자적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키홈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캠부재(120)의 스토퍼핀(112)에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사이드편(125)이 마련되어 캠부재(120)의 회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한다.
링크바(130)는 링크 하우징부(115)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링크바(130)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재(120)의 링크축(124)에 링크핀(131)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하우징캡(150)을 개재하여 링크 하우징부(115)의 지지부(116)에 슬라이딩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크바(130)도 힌지 하우징(110)과 마찬가지로 금속 판재를 성형하고 'U'자 형태로 프레싱하여 마련된다. 링크바(130)의 길이 방향 측면에는 보강돌기(132)가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강도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는 중간에 걸림돌기(134, 136)가 마련되어 탄성부재(140)의 일측을 지지한다.
탄성부재(140)는 캠부재(120)에 의해 직선 슬라이딩 진퇴하는 링크바(130)가 탄성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링크 하우징부(115) 내부에 마련되며 일례로 코일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하우징캡(15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0)가 삽입 개재된 링크바(130)의 끝단을 링크 하우징부(115)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베이스(151)와, 베이스 전후로 돌출 마련되는 다수의 결합구(152,154,156)를 포함한다.
결합구는 외측 예컨대, 베이스(151)의 아우터면에 링크 하우징부(115)의 지지부 중공(116a)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원 형태의 제1돌기(152)와, 제1돌기(152)의 주위에 마련되는 실린더 형태의 제2돌기(154)를 포함한다. 제1돌기(152)는 한 쌍의 지지편(117)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부(116)의 중공(116a)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센터홀(155)을 구비한다. 제2돌기(154)는 지지부(116)의 안착면(118)에 결합되어 하우징캡(15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결합구의 내측 예컨대, 베이스(151)의 이너면에는 원 형태의 제3돌기(156)가 마련된다. 제3돌기(156)와 제1돌기(152)을 관통하는 센터홀(155)을 통해 링크바(130)는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3돌기의 외주에는 탄성부재(140)의 일단이 밀착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 힌지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될 수 있다.
먼저, 도어 힌지 장치(100)는 캠부재(120)의 링크축(124)과 링크바(130)를 링크핀(131)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이를 힌지 하우징(110)을 벌려 삽입한다. 힌지 하우징(110)의 캠홀(113)에 캠부재(120)의 캠축(122)이 위치하면, 링크바(130)에 탄성부재(140) 및 하우징캡(150)을 끼우고 탄성부재(140)를 가압한 상태로 하우징캡(150)을 링크 하우징부(115)의 지지부(116)에 내측으로부터 삽입한다. 하우징캡(150)의 제2돌기(154)가 지지부(116)의 안착면(118)에 안착되면, 캠 하우징부(111)에 스토퍼핀(112)을 설치하여 힌지 하우징(110)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도어 힌지 장치(100)의 조립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 힌지 장치(100)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도 용이하므로 생산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 힌지 장치(100)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어가 열림 상태일 때의 도어 힌지 장치(10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캠부재(120)는 도어결합홈(123)에 결합된 도어(3)에 의해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때 캠부재(120)와 축결합되어 있는 링크바(130)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캠부재(120)를 힌지 하우징(110) 내부에서 캠 하우징부(111)의 좌측에 위치한 스토퍼핀(112)에 접촉하도록 가압한다.
도 6은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의 도어 힌지 장치(10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캠부재(120)는 도어결합홈(123)에 결합된 도어(3)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때 링크바(130)는 캠부재(120)에 의해 링크 하우징부(115) 내부에서 하우징캡(150)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밀리면서 탄성부재(140)를 압축한다.
즉, 본 실시 예의 도어 힌지 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가 회동하여 개폐 동작하면 캠부재(120)가 회전하고, 이를 캠부재(120)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링크바(130)를 밀게 되며, 이때 링크바(130)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은 하우징캡(150)의 센터홀(155)에 의해 가이드됨과 동시에 탄성부재(1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도어(3)의 개폐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를 결합 및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는 상기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상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2)과, 도어 프레임(2)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와, 도어의 개폐 동작을 보조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2)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 장치(100,200)를 포함한다.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 힌지 장치(100)의 의해 도어(3)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동하여 개구부를 개방하고 수직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동하여 개구부를 폐쇄하며, 또 다른 도어 힌지 장치(200)에 의해 도어(3)는 개폐 동작 시 좌우 균형을 조절하는 한편 소정의 댐핑 구간을 갖는다. 도어 힌지 장치(200)는 도어의 양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어의 일측에 도어 힌지 장치(100) 없이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200)는 일 실시 예의 도어 힌지 장치(100)에 댐핑부(210)를 추가로 마련한 것이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어 힌지 장치(200)는 도어 힌지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힌지 하우징(110)과, 힌지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부재(120)와, 캠부재(120)에 의해 힌지 하우징(110) 내부에서 슬라이딩 직선 이동하는 링크바(130)와, 링크바(13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0)와, 힌지 하우징(110)에 링크바(130)와 탄성부재(140)를 지지하기 위해 결합되는 하우징캡(150)을 포함한다.
댐핑부(201)는 도어의 닫힘 동작 시 도어(3)가 일정 구간 후 자중에 의해 닫힘 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저감시킨다.
이를 위해 댐핑부(201)는 내부에 오일 또는 에어가 채워져 있으며 입출하는 로드(211)를 포함하는 댐핑 챔버(212)와, 댐핑 챔버(212)를 힌지 하우징(110)에 설치하기 위한 댐핑 브라켓(220)과, 댐핑 챔버(212)를 가압하기 위한 푸셔(230)를 포함한다.
댐핑 브라켓(220)은 힌지 하우징(110)의 중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캡(150)에 근접한 힌지 하우징(110)의 단부에 고정된다. 힌지 하우징(110)에 댐핑 브라켓(2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힌지 하우징(110)의 단부 측에는 걸림홈(221)을 마련하고 이 걸림홈(221)에 대응하는 댐핑 브라켓(220)에는 걸림돌기(222)를 마련하여 장착 시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일단이 힌지 하우징(110)과 결합된 댐핑 브라켓(220)은 힌지 하우징(110)의 중간 에서 나사 결합되는 댐핑 브라켓(220)의 타단에 의해 쉽게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댐핑 브라켓(220)은 댐핑 챔버(212)를 수용하기 위한 리테이너(224)를 포함한다. 리테이너(224)는 댐핑 챔버(212)의 길이 방향 좌우측을 지지한다. 또, 댐핑 챔버(212)의 상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리테이너(224)는 상하로 절곡하여 내부에 장방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윙부(224a,22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225는 댐핑 챔버(212)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이다. 스토퍼(225)와 리테이너베이스(226)에 의해 댐핑 챔버(212)의 길이방향 유동은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푸셔(230)는 도어 개폐 시 힌지 하우징(11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링크바(130)에 마련된다. 푸셔(230)는 댐핑 챔버(212)의 로드(211) 끝단과 도어 개방 시에는 이격되고 도어 닫힘 시에는 접촉하는 위치에서 링크바(130)에 고정 설치된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푸셔(230)는 댐핑 브라켓(220)과 마찬가지로 상부에 고정돌기(232)를 구비하여 링크바(130)의 고정홈(231)에 체결되며, 나사체결홈(234)을 더 구비하여 링크바(1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힌지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0은 도어가 열림 상태일 때의 도어 힌지 장치(20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 캠부재(120)는 도어(3)에 의해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때 캠부재(120)와 축결합되어 있는 링크바(130)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캠부재(120)를 힌지 하우징(110) 내부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가압된다. 이때, 댐핑부(210)의 푸셔(230)는 댐핑 챔버(212)의 로드(211)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213은 로드캡이다.
도 11은 도어가 닫힘 상태일 때의 도어 힌지 장치(200)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혀 있을 때 캠부재(120)는 도어(3)에 의해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때 링크바(130)는 캠부재(120)에 의해 링크 하우징부(115) 내부에서 하우징캡(150)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밀리면서 탄성부재(140)를 압축한다.
또한, 이때 댐핑부(210)의 푸셔(230)는 댐핑 챔버(212)의 로드(211)에 접촉하여 댐핑 챔버(212)가 동작하도록 한다. 그 결과, 도어(3)는 닫힘 동작 시 일정 구간이 지난 후 댐핑부(21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닫힘 속도가 증가되는 것이 저감된다.
이상, 본 실시 예의 도어 힌지 장치(2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가 회동하여 개폐 동작하면 캠부재(120)가 회전하고, 캠부재(12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링크바(130)를 밀게 된다. 링크바(130)의 직선 슬라이딩 운동은 하우징캡(150)의 센터홀(155)에 의해 가이드되는 한편 탄성부재(1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구간 직선 슬라이딩 동작 후에는 댐핑부(210)에 의해 반력 지지되면서 도어(3)의 개폐 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진다. 댐핑부(210)의 댐핑력은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클 수 없다.
아울러, 상기 실시 예에서는 도어 힌지 장치가 설치되는 전자기기의 일례로 세탁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향식 도어를 채용하고 있는 김치 냉장고, 노트북 등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채용될 수 있다.
1..세탁기 2..도어프레임
3..도어 100..도어 힌지 장치
110..힌지 하우징 120..캠부재
122..캠축 124..링크축
130..링크바 134,136..걸림돌기
140..탄성부재 150..하우징캡
151..베이스 152,154,156..결합구
155..센터홀 200..도어 힌지 장치
210..댐핑부 212..댐핑 챔버
220..댐핑 브라켓 230..푸셔

Claims (7)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힌지 하우징과, 도어와 결합하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 하우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캠부재와, 상기 힌지 하우징의 내부 수용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캠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축결합하여 힌지 하우징 내부를 직선 왕복 이동하는 링크바와, 상기 힌지 하우징의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링크바를 관통 지지함과 동시에 힌지 하우징에 안착 결합하는 하우징캡과, 상기 링크바와 하우징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링크바를 탄성 동작시키는 한편 상기 하우징캡을 힌지 하우징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 하우징은 링크바를 슬라이딩 이동 방향의 정면에서 지지하기 위해 중공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캡은 원형의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돌출 마련되어 상기 중공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의 중심에는 센터홀이 마련되어 상기 링크바가 관통하고,
    상기 지지부는 힌지 하우징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마련된 한 쌍의 지지편을 각각 내측으로 직각 밴딩하여 상기 링크바 슬라이딩 이동 방향의 정면에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편의 밴딩된 외측 모서리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리는 힘을 견디기 위해 변형방지부가 마련되는 도어 힌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이스의 아우터면에 상기 지지부의 중공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1돌기와,
    상기 베이스의 이너면에 원 형태로 마련되어 외주에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제3돌기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우징캡을 위치 고정하기 위한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구는 상기 베이스의 아우터면에 상기 안착면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2돌기를 더 포함하는 도어 힌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댐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핑부는 내부에 오일 또는 에어가 채워져 있으며 입출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댐핑 챔버와, 상기 댐핑 챔버를 힌지 하우징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댐핑 브라켓과, 댐핑 챔버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링크바에 마련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브라켓의 일단은 걸림돌기를 마련하여 상기 힌지 하우징에 마련되는 걸림홈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힌지 하우징에 나사 결합되는 도어 힌지 장치.
KR1020160048804A 2016-02-26 2016-04-21 도어 힌지 장치 KR101839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3319 2016-02-26
KR1020160023319 2016-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742A KR20170101742A (ko) 2017-09-06
KR101839765B1 true KR101839765B1 (ko) 2018-03-21

Family

ID=5992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804A KR101839765B1 (ko) 2016-02-26 2016-04-21 도어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39A1 (ko) * 2020-09-09 2022-03-17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모터타입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88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KR20220063822A (ko) * 2020-11-10 2022-05-18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풀 다운 도어용 힌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18Y1 (ko) * 2003-10-31 2004-01-16 임병택 힌지조립체
KR100805395B1 (ko) 2006-09-14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성 힌지
KR101398305B1 (ko) 2013-01-22 2014-05-27 여길봉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조립유닛
KR101451940B1 (ko) * 2013-10-31 2014-10-22 주식회사 한일정밀 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18Y1 (ko) * 2003-10-31 2004-01-16 임병택 힌지조립체
KR100805395B1 (ko) 2006-09-14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탄성 힌지
KR101398305B1 (ko) 2013-01-22 2014-05-27 여길봉 도어 프레임의 모서리 조립유닛
KR101451940B1 (ko) * 2013-10-31 2014-10-22 주식회사 한일정밀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5039A1 (ko) * 2020-09-09 2022-03-17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용 모터타입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742A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685B2 (en) Hinge apparatus and oven with the same
KR101839765B1 (ko) 도어 힌지 장치
CA2982158C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and a spring
KR101343915B1 (ko) 가전 제품 도어의 싱글 힌지 댐핑 장치
KR101255516B1 (ko) 도어 힌지
JP6644914B2 (ja) ヘッドレス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KR10171616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11373112B (zh) 门铰链
EP1764557B1 (en) Compact hinge device for a door
US10260267B2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EP2811247A2 (en) Cooling appliance having door hinge component
KR101920970B1 (ko) 도어 힌지
KR20200045751A (ko) 냉장고 도어의 조립구조
KR101672163B1 (ko) 댐핑 기능을 갖춘 수납장의 상하 개폐용 도어
KR20180119985A (ko) 냉장고
KR101064162B1 (ko) 회동식 창호 시스템의 열림 각도 조절장치
KR10156070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989206B1 (ko) 탑 로드 타입용 도어 힌지
KR20160118453A (ko) 도어 힌지 장치
KR20170122155A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0358037Y1 (ko) 파티션의 도어 패널 회동구조
KR101035517B1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작동구조
CN203239106U (zh) 拨钮开关
KR100989796B1 (ko) 도어스토퍼
KR100820152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