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3822A - 풀 다운 도어용 힌지 - Google Patents

풀 다운 도어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822A
KR20220063822A KR1020200149018A KR20200149018A KR20220063822A KR 20220063822 A KR20220063822 A KR 20220063822A KR 1020200149018 A KR1020200149018 A KR 1020200149018A KR 20200149018 A KR20200149018 A KR 20200149018A KR 20220063822 A KR20220063822 A KR 2022006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ey
housing
link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김경록
Original Assignee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3822A/ko
Priority to PCT/KR2020/018023 priority patent/WO2022102853A1/ko
Publication of KR2022006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 다운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아래로 당겨서 오픈시키는 풀 다운 도어용 기구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키 도어에 의해 동력 없이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가 마련된 기구의 본체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도어에 설치되고, 일측이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하우징; 본체 프레임과 리벳으로 연결되고, 도어의 회동 시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링크와, 링크와 연결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링크 로드를 포함하는 링크부; 하우징 내부에서 링크 로드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하우징 내부에서 일측이 링크 로드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부면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홈과, 타측에서 상부와 양쪽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로드; 및 하우징의 타측과 리벳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중심부와, 중심부에서 일측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메인 로드의 홈을 따라 회동되는 키와, 중심부에서 키의 일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메인 로드의 돌출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직선 걸이부, 및 중심부에서 아치 형태로 직선 걸이부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돌출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곡선 걸이부,를 포함하는 키 도어;를 포함하고, 도어 닫힘 시, 키 도어의 키의 일측은 본체에 구비되는 래치에 걸려서 도어의 잠금 상태가 되고, 도어 오픈 시, 메인 로드의 직선 이동으로 돌출부가 직선 이동되어, 키 도어의 직선 걸이부와 곡선 걸이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풀 다운 도어용 힌지{HINGE FOR PULL DOWN DOOR}
본 발명은 풀 다운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아래로 당겨서 오픈시키는 풀 다운 도어용 기구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키 도어에 의해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가구 등과 같은 기구들은 본체에 힌지가 연결되어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며, 도어를 회동시킴에 따라 본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기구의 상단을 기점으로 도어를 상, 하로 개폐할 수 있는 기구들로서, 가스오븐렌지나 전자 렌지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 힌지가 등록특허공보 제10-11047640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힌지는 그 형태로 인해, 재료비가 많이 들고, 조립 등의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어 힌지의 크기가 커서, 공간적인 제한이 많은 기구에 적용 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함께 도어의 개폐 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힌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도어의 닫힘 시, 견고하게 닫힘이 유지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640호(등록일자: 2012.01.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키 도어에 의해 동력 없이도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힌지의 동작 이외에도 키 도어에 의해서도 도어의 닫힘이 유지되어 이중으로 도어의 닫힘이 유지될 수 있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더욱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힌지는, 도어를 아래로 당겨서 오픈시키는 풀 다운 도어용 기구에 사용되는 힌지로서, 상기 도어가 마련된 기구의 본체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 프레임과 리벳(revet)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회동 시 상기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링크(link)와,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링크 로드를 포함하는 링크부(link ass'y);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링크 로드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링크 로드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부면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홈과, 타측에서 상부와 양쪽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로드;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과 리벳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일측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로드의 홈을 따라 회동되는 키와,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키의 일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드의 돌출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직선 걸이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아치 형태로 상기 직선 걸이부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곡선 걸이부,를 포함하는 키 도어(key door);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닫힘 시, 상기 키 도어의 키의 일측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래치(latch)에 걸려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도어 오픈 시, 상기 메인 로드의 직선 이동으로 상기 돌출부가 직선 이동되어, 상기 키 도어의 직선 걸이부와 곡선 걸이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오픈 시, 상기 하우징의 회동으로 상기 링크부와 메인 로드가 직선 이동되고, 상기 메인 로드의 직선 이동으로 상기 키 도어가 회동되어, 상기 키가 상기 하우징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선 걸이부와 곡선 걸이부는 각각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직선 걸이부 사이와 상기 각 곡선 걸이부 사이에 상기 메인 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 걸이부와 곡선 걸이부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에 의해 닫힘이 유지되고, 키 도어에 의해서도 동력 없이 닫힘 상태가 유지되어, 이중으로 도어의 닫힘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키 도어에 의해 도어의 닫힘 시, 도어의 잠금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가 설치된 기구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가 설치된 기구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의 메인 로드와 키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어 중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이고, 설명 상에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시점에 따라 변경 가능함을 주지하는 바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가 설치된 기구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가 설치된 기구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는 풀 다운 도어(75), 예컨대 기구 상단을 기점으로 도어(75)를 상, 하로 개폐할 수 있는 기구들로서, 오븐이나 전자 렌지 등의 도어(75)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다.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는 기구의 도어(75)에 설치되되,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의 본체 프레임(10)은 본체(7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1b는 도어(75)가 닫힘 상태에서 도어(75)를 생략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어(75)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75)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a와 도 1b에서 도어(75)가 닫힘 상태일 때,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의 키 도어(key door)에 의해 잠금이 유지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와 도 1b와 같이 도어(75)가 닫힘 상태일 때의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2a와 도 2b와 같이 도어(75)가 열림 상태일 때의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는 본체 프레임(10), 하우징(housing; 20), 링크부(link ass'y; 30), 탄성부재(40), 메인 로드(50), 및 키 도어(60)를 포함한다.
본체 프레임(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75)가 마련된 기구의 본체(71)에 고정 설치된다. 본체 프레임(10)은 도어(75)가 오픈되더라도 움직이지 않는다.
하우징(20)은 도어(75)에 설치되고, 일측이 본체 프레임(10)과 연결되어 회동된다. 하우징(20)은 도어(75) 오픈 시, 도어(75)와 함께 회동된다. 하우징(20) 내부에는 링크부(30), 탄성부재(40), 메인 로드(50) 등이 구비된다.
링크부(30)는 본체 프레임(10)과 리벳(revet; 81)으로 연결된다. 링크부(30)는 도어(75)의 회동 시, 리벳(8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링크부(30)는 링크(link; 31)와 링크 로드(link rod; 33)를 포함한다. 링크(31)는 본체 프레임(10)과 연결된다. 링크(31)는 도어(75)의 회동 시, 하우징(20) 내부에서 직선 이동된다. 링크 로드(33)는 링크(31)와 리벳(83)을 통해 연결된다. 링크 로드(33) 역시 도어(75) 회동 시, 하우징(20) 내부에서 직선 이동된다.
탄성부재(40)는 하우징(20) 내부에 구비된다. 탄성부재(40)는 링크 로드(33)에 끼워지고, 링크(31)와 메인 로드(5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부재(40)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1)와 메인 로드(50) 사이, 예컨대 링크(31)와 하우징(20)을 연결하는 리벳(85)과 메인 로드(50)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부재(40)는 도 3a와 같이 도어(75)의 닫힘 상태에서는 인장되어 있는 상태이고, 도 3b와 같이 도어(75)의 열림 상태에서는 수축된다.
메인 로드(50)는 하우징(20) 내부에 구비된다. 메인 로드(50)는 일측이 링크 로드(33)와 연결된다. 메인 로드(50)는 홈(51)과 돌출부(53)를 포함한다. 메인 로드(50)는 도 4a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의 메인 로드와 키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홈(51)은 메인 로드(50)의 타측에서 상부면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홈(51)에는 키 도어(60)의 키(63)가 회동된다. 메인 로드(50)의 홈(51)과 대응되는 하우징(20)의 양쪽 내측 부분에는 키(63)가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볼록부(21)가 형성된다. 도어(75) 회동 시, 메인 로드(50)의 홈(51)과 하우징(20)의 볼록부(21)를 통해 키(63)가 용이하게 회동된다.
돌출부(53)는 메인 로드(50)의 타측에서 상부와 양쪽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53)는 원기둥 형상이고, 돌출부(53)는 하기되는 키 도어(60)의 직선 걸이부(65)와 곡선 걸이부(67) 사이에 구비된다. 도어(75)의 회동 시, 메인 로드(50)의 직선 이동으로 인해, 돌출부(53)가 직선 걸이부(65)와 곡선 걸이부(67)와 마찰되어 키 도어(60)를 회동시킨다.
키 도어(60)는 도 4b를 참조하면, 중심부(61), 키(key; 63), 직선 걸이부(65; 65a, 65b), 및 곡선 걸이부(67; 67a, 67b)를 포함한다.
중심부(61)는 하우징(20)의 타측과 리벳(83)으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중심부(61)를 중심으로 키 도어(60)가 회전된다.
키(63)는 중심부(61)에서 일측은 하우징(20)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메인 로드(50)의 홈(51)을 따라 회동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키(63)의 일측 돌출 부분은 타측 돌출 부분보다 더 돌출된다. 즉, 키(63)는 일측이 하우징(20)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어(75)의 닫힘 시, 래치(70) 내부에 걸려서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래치(70)는 기구의 본체(71)에 구비되고, 도어(75) 스위치로서, 도어(75)가 닫힐 시, 스위치 동작을 하여 도어(75)의 닫힘 상태를 인식하게 된다. 키(63)가 래치(70)에 걸려 도어(75)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키(63)의 타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볼록부(21)와 메인 로드(50)의 홈(51)을 따라 회동된다.
직선 걸이부(65)는 중심부(61)에서 키(63)의 일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메인 로드(50)의 돌출부(53)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직선 걸이부(65)는 제1 직선 걸이부(65a)와 제2 직선 걸이부(65b)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직선 걸이부(65a, 65b) 사이에 메인 로드(50)가 구비된다.
곡선 걸이부(67)는 중심부(61)에서 아치 형태로 굴곡져서 직선 걸이부(65)와 나란하게 구비되고, 메인 로드(50)의 돌출부(53)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곡선 걸이부(67)는 제1 곡선 걸이부(67a)와 제2 곡선 걸이부(67b)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곡선 걸이부(67a, 67b) 사이에 메인 로드(50)가 구비된다.
즉, 도 4c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직선 걸이부(65)와 각 곡선 걸이부(67) 사이에는 메인 로드(50)가 구비되고, 직선 걸이부(65)와 곡선 걸이부(67) 사이에는 메인 로드(50)의 돌출부(53)가 구비된다. 도 4c는 도어(75)의 닫힘 상태이고, 도 4d는 도어(75)의 열림 상태이다. 도 4c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75)의 회동 시, 메인 로드(50)의 직선 이동으로 인해, 돌출부(53)가 직선 걸이부(65)와 곡선 걸이부(67)와 마찰되어 도 4d와 같이 키 도어(60)를 회동시킨다.
도어(75)의 닫힘 상태에서 키 도어(60)의 키(63)는 메인 로드(50)와 직각 상태를 유지하며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키(63)는 래치(70)에 걸려 도어(75)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75)의 열림 상태에서 키 도어(60)의 키(63)는 키 도어(60)의 회동으로 인해 하우징(20) 쪽으로 이동된다. 즉, 키(63)가 회동되어메인 로드(50)와 나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 도어(60)가 외관상 돌출되지 않으므로, 키 도어(60)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풀 다운 도어용 힌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어(75)의 닫힘 시, 풀 다운 도어용 힌지(100)는 도 5와 같이 세로로 세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 때, 탄성부재(40)는 인장되어 있는 상태이고, 키 도어(60)는 돌출되어 래치에 걸려 잠금을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도어를 회동시키면, 탄성부재(40)는 점점 수축되고, 키 도어(60)도 하우징 쪽으로 점점 회동된다. 이 때, 링크부(30)가 본체 프레임(10) 쪽으로 직선 이동되고, 링크부(30)와 연결된 메인 로드(50)가 직선 이동된다. 따라서, 탄성부재(40)가 점섬 수축되고, 키 도어(60)도 점점 회동된다.
다음으로, 도어를 완전히 오픈시키면, 탄성부재(40)는 링크부(30)와 메인 로드(50) 사이에서 수축되고, 키 도어(60)는 하우징 쪽으로 회동되어 메인 로드(50)와 나란하게 된다. 링크부(30)와 메인 로드(50)가 본체 프레임(10) 쪽으로 직선 이동되어, 탄성부재(40)가 수축되며, 키 도어(60)가 회동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풀 다운 도어용 힌지
10; 본체 프레임
20; 하우징
30: 링크부
31; 링크
33; 링크 로드
40; 탄성부재
50; 메인 로드
51; 홈
53; 돌출부
60; 키 도어
61; 중심부
63; 키
65; 직선 걸이부
67; 곡선 걸이부
70; 래치
71; 본체
75; 도어
81, 83, 85; 리벳

Claims (3)

  1. 도어를 아래로 당겨서 오픈시키는 풀 다운 도어용 기구에 사용되는 힌지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마련된 기구의 본체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본체 프레임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하우징;
    상기 본체 프레임과 리벳(revet)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회동 시 상기 리벳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링크(link)와, 상기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는 링크 로드를 포함하는 링크부(link ass'y);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링크 로드에 끼워지는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일측이 상기 링크 로드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부면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홈과, 타측에서 상부와 양쪽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메인 로드;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과 리벳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서 일측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메인 로드의 홈을 따라 회동되는 키와, 상기 중심부에서 상기 키의 일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 로드의 돌출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직선 걸이부, 및 상기 중심부에서 아치 형태로 상기 직선 걸이부와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곡선 걸이부,를 포함하는 키 도어(key door);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닫힘 시, 상기 키 도어의 키의 일측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래치(latch)에 걸려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가 되고,
    상기 도어 오픈 시, 상기 메인 로드의 직선 이동으로 상기 돌출부가 직선 이동되어, 상기 키 도어의 직선 걸이부와 곡선 걸이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오픈 시,
    상기 하우징의 회동으로 상기 링크부와 메인 로드가 직선 이동되고,
    상기 메인 로드의 직선 이동으로 상기 키 도어가 회동되어, 상기 키가 상기 하우징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걸이부와 곡선 걸이부는 각각 두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직선 걸이부 사이와 상기 각 곡선 걸이부 사이에 상기 메인 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직선 걸이부와 곡선 걸이부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다운 도어용 힌지.
KR1020200149018A 2020-11-10 2020-11-10 풀 다운 도어용 힌지 KR20220063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18A KR20220063822A (ko) 2020-11-10 2020-11-10 풀 다운 도어용 힌지
PCT/KR2020/018023 WO2022102853A1 (ko) 2020-11-10 2020-12-10 풀 다운 도어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18A KR20220063822A (ko) 2020-11-10 2020-11-10 풀 다운 도어용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822A true KR20220063822A (ko) 2022-05-18

Family

ID=8160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018A KR20220063822A (ko) 2020-11-10 2020-11-10 풀 다운 도어용 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63822A (ko)
WO (1) WO202210285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40B1 (ko) 2008-11-17 2012-01-1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050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미네르바 가구용 댐핑 힌지
KR101839765B1 (ko) * 2016-02-26 2018-03-21 주식회사 다이아벨 도어 힌지 장치
KR102605675B1 (ko) * 2016-12-08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JP6563613B2 (ja) * 2017-05-24 2019-08-21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扉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40B1 (ko) 2008-11-17 2012-01-1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2853A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2479B1 (en) Opening/closing device of a door member
CN112412226B (zh) 多连杆门铰链
KR101712087B1 (ko)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KR102241346B1 (ko) 도어 힌지
KR20220063822A (ko) 풀 다운 도어용 힌지
KR20110131882A (ko) 전자파 차폐룸용 도어
US11015816B2 (en) Door handle
JP5019510B2 (ja) プッシュプル錠用のドアハンドル構造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JP4865568B2 (ja) スプリングを有する家具用ヒンジ
JP7423784B2 (ja) 建具用ハンドル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建具
KR101862511B1 (ko) 잠금 기능을 갖춘 창호용 레버
KR200323394Y1 (ko) 여닫이 도어의 안전스크린
KR101870903B1 (ko) 가스· 전자기기용 도어 잠금장치
KR20090071506A (ko) 미닫이문의 잠금부 록킹 해제기능을 갖는 손잡이
KR102600595B1 (ko) 도어 힌지
CN215803933U (zh) 用于洗碗机的门锁装置和具有其的洗碗机
US2402812A (en) Lock
KR200489277Y1 (ko) 미닫이문용 잠금장치
CN110938972B (zh) 辅助开关门装置
KR101235919B1 (ko) 글로브박스의 체결장치
KR100410828B1 (ko) 디지털 도어록 키실린더의 플랩도어
KR20120117301A (ko) 창호용 턴첵
JP364059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0305312Y1 (ko) 도어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