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488A -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488A
KR20190054488A KR1020170150816A KR20170150816A KR20190054488A KR 20190054488 A KR20190054488 A KR 20190054488A KR 1020170150816 A KR1020170150816 A KR 1020170150816A KR 20170150816 A KR20170150816 A KR 20170150816A KR 20190054488 A KR20190054488 A KR 20190054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air
housing
fric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488A/ko
Priority to PCT/KR2018/013508 priority patent/WO2019093775A1/ko
Publication of KR2019005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ricti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7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with clos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4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hand-operated, e.g. removable; operated by centrifugal action or by high closing spe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소프트 클로즈와 소프트 오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일단은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링크와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링크와 마찰하여 상기 링크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한 쌍의 마찰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Door hinge for household appliances}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트 클로즈와 소프트 오픈이 가능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힌지는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대해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이다. 이러한 도어 힌지는 도어가 일측을 기준으로 좌우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 여닫이 방식과 도어가 상단 또는 하단을 기준으로 상하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하 여닫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 오븐, 가스 오븐, 전자 렌지와 같은 조리기기, 식기 세척기, 전자동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는 도어가 상하로 개폐되는 상하 여닫이 방식의 도어 힌지가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어가 가전기기의 앞으로 돌출되어 나오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가 가전기기의 전면의 도어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 힌지는 한국 공개특허 No. 10-2014-011691(발명의 명칭: 도어 힌지, 출원일: 2013.7.3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 힌지는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충돌하면, 가전기기의 내부에 마련된 전자회로 등에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수명이 줄어 들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충돌하면, 사용자가 도어의 충격과 소음에 의해 불편한 감정을 느낀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 힌지는 많은 부품을 사용하여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도어를 개폐할 때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소프트 오픈 및 소프트 클로즈가 가능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와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도어의 소프트 오픈 및 소프트 클로즈가 가능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일단은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링크와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링크와 마찰하여 상기 링크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한 쌍의 마찰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는 각각 마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의 상기 마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링크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 각각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 각각의 일면에는 상기 링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수용부, 제1경사부, 마찰부, 제2경사부, 및 제2수용부가 순차로 마련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마찰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며,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마찰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부에는 원호 형상의 적어도 한 개의 오일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의 일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의 반대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 각각의 반대면에는 걸림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각각에는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는 2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축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 축; 상기 링크의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걸림 홈; 및 상기 링크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걸림 홈의 입구의 위쪽을 덮도록 형성되는 빠짐방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축의 양단에는 도어 프레임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의 상기 걸림 홈은, 상기 걸림 홈의 깊이 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의 중심과 상기 걸림 홈의 하단에 접촉한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링크가 일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와 상기 링크가 반대쪽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에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분리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링크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의 끝단과 마찰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링크의 걸림 홈에 삽입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감김부; 상기 한 쌍의 감김부 각각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평행부; 상기 한 쌍의 평행부 각각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에 형성된 지지 구멍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는,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응하는 도어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링크; 일단은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링크와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링크와 마찰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한 쌍의 마찰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이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링크의 걸림 홈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마찰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마찰 패드의 후면 사시도;
도 10은 마찰 패드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는 링크가 한 쌍의 마찰 패드의 마찰부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11b는 링크가 한 쌍의 마찰 패드의 마찰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토션 스프링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도어가 닫힌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도어가 열리는 도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링크가 마찰 패드의 마찰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도어가 완전히 열린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이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어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1)는 하우징(10), 링크(20), 한 쌍의 마찰 패드(30,40), 및 토션 스프링(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도어(100)에 설치되어 도어(100)와 함께 일정 각도 선회하는 것으로서, 평판을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한 쌍의 측벽(11,12)과 바닥면(13)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 즉 제1측벽(11)과 제2측벽(12)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바닥면(13)은 제1측벽(11)과 제2측벽(12)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마찰 패드(30,40)가 설치되는 한 쌍의 측벽(11,12)의 부분에 대응하는 바닥면(13)의 부분은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13)이 없는 하우징(10)의 제1측벽(11)과 제2측벽(12)은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마찰 패드(3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제1측벽(11)의 일단 부분에는 축 구멍(14)과 2개의 고정 구멍(15)이 마련된다. 축 구멍(14)에는 후술하는 링크(20)의 회전 축(21)이 삽입된다. 2개의 고정 구멍(15)은 상기 축 구멍(14)의 좌우에 형성되며, 마찰 패드(30)를 제1측벽(11)에 고정하는 체결부재(6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측벽(11)의 축 구멍(14)과 고정 구멍(15)의 상측으로는 마찰 패드(30)를 지지하는 안착부(16)가 마련된다.
마찰 패드(3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제1측벽(11)의 일단 부분의 반대쪽인 하우징(10)의 제1측벽(11)의 타단 부분에는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이 삽입되는 지지 구멍(17)이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지지 구멍(17)의 상측에는 스프링 분리방지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 분리방지부(18)와 지지 구멍(17)은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을 지지 구멍(17)에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스프링 분리방지부(18)는 하우징(10)의 제1측벽(11)의 타단의 일부를 절곡하여 지지 구멍(17)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스프링 분리방지부(18)는 제1측벽(11)의 지지 구멍(17)에 삽입된 토션 스프링(50)의 타단이 지지 구멍(17)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0)의 제2측벽(12)에도 제1측벽(11)과 동일하게 축 구멍(14), 2개의 고정 구멍(15), 안착부(16), 지지 구멍(17), 및 스프링 분리방지부(18)가 마련된다. 하우징(10)의 제2측벽(12)에 마련된 축 구멍(14), 2개의 고정 구멍(15), 안착부(16), 지지 구멍(17), 및 스프링 분리방지부(18)는 제1측벽(11)에 마련된 축 구멍(14), 2개의 고정 구멍(15), 안착부(16), 지지 구멍(17), 및 스프링 분리방지부(18)와 면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제1측벽(11)과 제2측벽(12) 각각에 마련된 스프링 분리방지부(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자 형상을 이룬다.
하우징(10)은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철판으로는 SPCC (steel plate cold commercial)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링크(20)는 하우징(10)의 내부, 즉,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링크(20)는 하우징(10)의 제1측벽(11)에 설치된 제1마찰 패드(30)와 제2측벽(12)에 설치된 제2마찰 패드(40) 사이에 제1마찰 패드(30)와 제2마찰 패드(4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링크(20)는 회전 축(21)과 걸림 홈(23)을 포함한다. 회전 축(21)은 링크(20)의 일단에 마련되며, 하우징(10)의 축 구멍(14)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축(21)의 양단이 하우징(10)의 제1측벽(11)과 제2측벽(12)에 형성된 축 구멍(14)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링크(20)는 회전 축(21)을 중심으로 하우징(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링크(20)가 고정된 경우에는, 하우징(10)이 축 구멍(14)을 중심으로 링크(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축(21)의 양단에는 고정 홈(22)이 마련된다. 고정 홈(22)은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된 고정 부재(101)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고정 홈(22)은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 부재(101)의 선단도 고정 홈(22)에 대응하는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101)의 일단을 고정 홈(22)에 삽입하면, 링크(2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링크(20)의 회전방향으로 마찰 패드(30,40)의 경사부(32,34)와 접촉하는 양 측면의 모서리(25)는 모따기 가공이 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20)가 회전할 때 모따기 가공된 모서리(25)가 마찰 패드(30,40))의 경사부(32,34)에 의해 안내되므로 링크(20)가 원활하게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로 이동할 수 있다.
걸림 홈(23)은 링크(20)의 타단에 마련되며,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 홈(23)은 도어(100)를 개폐할 때,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 마련된 걸림부(51)가 걸림 홈(23)에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링크(20)가 동작 영역의 양단에 위치할 때, 걸림 홈(23)의 깊이 방향의 중심선(CL)이 기준선(RL)에 대해 동일한 각도(θ)를 이루도록 걸림 홈(23)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걸림 홈(2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링크의 걸림 홈의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링크(20)가 좌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위치에 있을 때, 걸림 홈(23)의 중심선(CL)과 토션 스프링(50)의 양단을 잇는 기준선(RL) 사이의 제1각도(θ1)와 링크(20)가 우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위치에 있을 때, 걸림 홈(23)의 중심선(CL)과 토션 스프링(50)의 양단을 잇는 기준선(RL) 사이의 제2각도(θ2)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링크(20)의 걸림 홈(23)은, 걸림 홈(23)의 깊이 방향의 중심선(CL)이 하우징(10)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50)의 양단을 연결하는 기준선(RL)과 이루는 각도(θ)가 링크(20)가 좌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와 링크(20)가 우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에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20)가 좌측으로 최대한 선회하였을 때, 걸림 홈(23)의 제1각도(θ1)가 54도인 경우에 링크(20)가 우측으로 최대한 선회하였을 때, 걸림 홈(23)의 제2각도(θ2)도 54도가 되도록 링크(20)의 걸림 홈(23)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 홈(23)의 중심선(CL)은 걸림 홈(23)의 깊이 방향으로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을 말한다. 또한, 토션 스프링(50)의 양단을 잇는 기준선(RL)은 걸림 홈(23)에 삽입되어 걸림 홈(23)의 바닥에 접촉한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 마련된 걸림부(51)의 중심과 토션 스프링(50)의 타단에 마련되며 하우징(10)의 지지 구멍(17)에 삽입된 고정 돌기(55)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을 말한다. 한편, 링크(20)가 좌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는 링크(20)가 마찰 패드(30)의 제1스토퍼(36a)와 접촉한 경우이며, 링크(20)가 우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는 링크(20)가 마찰 패드(30)의 제2스토퍼(36b)와 접촉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0)는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이 걸림 홈(2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방지 돌기(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빠짐방지 돌기(27)는 걸림 홈(23)의 일측으로 링크(20)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걸림 홈(23)의 입구의 위쪽을 덮도록 형성된다. 걸림 홈(23)의 입구와 빠짐방지 돌기(27)의 내면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 마련된 걸림부(51)를 링크(20)의 걸림 홈(23)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홈(23)의 상부에 빠짐방지 돌기(27)를 형성하면, 링크(20)의 회전 중에 토션 스프링(50)의 연장부(52)가 걸림 홈(23)과 일직선이 되었을 때, 토션 스프링(50)이 걸림 홈(2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마찰 패드(30,4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링크(20)와 마찰하여 링크(20)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기능을 한다. 링크(20)가 고정되고, 하우징(10)이 링크(2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는 링크(20)와 마찰하여 하우징(10)의 회전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마찰 패드(30,40), 즉 제1마찰 패드(30)와 제2마찰 패드(40)는 하우징(10)의 제1측벽(11)의 내면 및 제2측벽(12)의 내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마찰 패드(30)는 링크(20)와 하우징(10)의 제1측벽(11) 사이에 위치하며, 제2마찰 패드(40)는 링크(20)와 하우징(10)의 제2측벽(12)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마찰 패드(30)와 제2마찰 패드(40)는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마찰 패드(30,40)는 각각 마찰부(33)를 포함하며, 한 쌍의 마찰 패드(30,40) 각각에 마련된 마찰부(33) 사이의 간격(g)이 링크(20)의 두께(t)보다 좁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33)는 마찰 패드(30,40)의 중간 부분에 마찰 패드(30,40)의 일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찰 패드(30,4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1마찰 패드(30)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마찰 패드(30)를 마찰 패드로 칭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마찰 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마찰 패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마찰 패드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찰 패드(30)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찰 패드(30)의 중심에는 링크(20)의 회전 축(21)이 삽입되는 관통공(30a)이 마련된다. 관통공(30a)의 좌우로는 마찰 패드(30)를 하우징(10)의 측벽(11)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결 구멍(30b)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찰 패드(30)를 하우징(10)의 측벽(11)에 고정하면, 마찰 패드(30)의 관통공(30a)과 2개의 체결 구멍(30b)은 하우징 측벽(11)의 축 구멍(14)과 2개의 고정 구멍(15)과 일치하게 된다.
마찰 패드(30)의 상면에는 관통공(30a)을 중심으로 링크(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수용부(31), 제1경사부(32), 마찰부(33), 제2경사부(34), 및 제2수용부(35)가 순차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수용부(31)와 제2수용부(35)는 마찰부(33)의 양측에 위치하며 마찰 패드(30)의 상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수용부(31)와 제2수용부(35)는 동일 높이로 형성된다.
마찰부(33)는 마찰 패드(30)의 상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마찰부(33)는 대략 부채꼴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링크(20)의 회전 범위의 중간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마찰부(33)를 이등분하는 중심선(L)이 링크(20)의 회전 범위에 중간에위치하도록 마찰부(33)를 설치할 수 있다. 마찰부(33)는 제1수용부(31) 및 제2수용부(32)보다 높게 형성된다.
마찰부(33)의 크기(β3)는 감속시켜야 할 도어(10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부(33)의 크기(β3)는 링크(20)의 회전 범위(β)의 50~60%로 정할 수 있다. 이때, 제1수용부(31)와 제2수용부(35)의 크기(β1,β5)는 링크(20)의 회전 범위(β)의 10~20%로 하고, 나머지는 제1경사부(31)와 제2경사부(35)로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링크(20)의 회전 범위(β)가 0~100도 인 경우에, 마찰부(33)의 크기(β3)는 60도, 제1수용부(31)의 크기(β1)와 제2수용부(35)의 크기(β5)는 각각 15도, 제1경사부(32)의 크기(β2)와 제2경사부(34)의 크기(β4)는 각각 5도로 할 수 있다.
제1경사부(32)는 제1수용부(31)와 마찰부(33) 사이에 마련되며, 링크(20)가 제1수용부(31)에서 마찰부(33)로 올라갈 수 있도록 제1수용부(31)와 마찰부(33)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1경사부(32)는 제1수용부(31)에 대해 일정 각도(α1)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경사부(32)는 30도 내지 50도의 경사각(α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경사부(32)는 약 45도의 경사각(α1)으로 형성된다.
제2경사부(34)는 제2수용부(35)와 마찰부(33) 사이에 마련되며, 링크(20)가 제2수용부(35)에서 마찰부(33)로 올라갈 수 있도록 제2수용부(35)와 마찰부(33)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2경사부(34)는 제2수용부(35)에 대해 일정 각도(α2)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경사부(34)는 30도 내지 50도의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경사부(34)는 약 45도의 경사각(α2)으로 형성된다. 제2경사부(34)의 경사각(α2)은 제1경사부(32)의 경사각(α1)과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경사부(32)의 경사각(α1)과 제2경사부(34)의 경사각(α2)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마찰부(33)의 상면에는 적어도 한 개의 오일 홈(38)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오일 홈(38)은 링크(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개의 오일 홈(38)은 마찰부(33)의 상면 전체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마찰 패드(30)의 경우에는 마찰부(33)의 상면에 2개의 오일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오일 홈(38)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 홈(38)은 마찰부(33)의 크기에 따라 한 개 또는 3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찰부(33)에 오일 홈(38)을 형성하면, 마찰부(33)와 마찰하는 링크(20)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링크(20) 또는 하우징(10)의 회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찰 패드(30)는 링크(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6a,36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 패드(30)의 상면에 제1수용부(31)의 일측에는 링크(20)의 일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36a)가 마련되며, 제2수용부(35)의 일측에는 링크(20)의 반대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36b)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스토퍼(36a,36b)에 의해 도어 힌지(1)의 가동 범위가 한정된다.
예를 들어, 링크(20)의 회전 범위가 약 100도일 때, 링크(20)가 0도 위치에 있을 때,제1스토퍼(36a)와 접촉하고, 링크(20)가 100도 위치에 있을 때, 제2스토퍼(36b)와 접촉하도록 제1 및 제2스토퍼(36a,36b)를 설치할 수 있다.
제1마찰 패드(30)의 스토퍼(36a,36b)와 제2마찰 패드(40)의 스토퍼(36a,36b)는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마찰 패드(30)와 제2마찰 패드(40)를 하우징(10)의 제1측벽(11)과 제2측벽(12)에 설치하였을 때, 제1측벽(11)에 설치된 제1마찰 패드(30)의 제1 및 제2스토퍼(36a,36b)와 제2측벽(12)에 설치된 제2마찰 패드(40)의 제1 및 제2스토퍼(36a,36b)가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제1마찰 패드(30)의 제1 및 제2스토퍼(36a,36b)의 상면에는 각각 결합돌기(37)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마찰 패드(30)의 제1 및 제2스토퍼(36a,36b)와 접촉하는 제2마찰 패드(40)의 제1 및 제2스토퍼(36a,36b)의 상면에는 각각 결합돌기(37)가 삽입되는 결합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마찰 패드(30)의 하면, 즉 마찰부(33)가 형성된 마찰 패드(30)의 일면의 반대쪽 면에는 걸림 돌기(39)가 마련된다. 걸림 돌기(39)는 하우징(10)의 측벽(11)에 마련된 안착부(1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걸림 돌기(39)는 마찰 패드(30)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찰 패드(30)를 하우징(10)의 측벽(11)에 설치하면, 마찰 패드(30)의 걸림 돌기(39)가 하우징(10)의 안착부(16)에 안착되므로 마찰 패드(30)가 하우징(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술한 한 쌍의 마찰 패드(30,40)는 2개의 체결부재(60)에 의해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의 제1측벽(11)에 제1마찰 패드(30)를 설치하고, 제2측벽(12)에 제2마찰 패드(40)를 설치하면, 제1마찰 패드(30)의 스토퍼(36a,36b)와 제2마찰 패드(40)의 스토퍼(36a,36b)가 서로 접촉한다. 이때, 하우징(10)의 제1측벽(11)의 2개의 고정 구멍(15), 제1마찰 패드(30)의 2개의 체결 구멍(30b), 제2마찰 패드(40)의 2개의 체결 구멍(30b), 및 제2측벽(12)의 2개의 고정 구멍(15)이 일치한다. 따라서, 제1측벽(11)의 2개의 고정 구멍(15), 제1마찰 패드(30)의 2개의 체결 구멍(30b), 제2마찰 패드(40)의 2개의 체결 구멍(30b), 및 제2측벽(12)의 2개의 고정 구멍(15)에 2개의 체결부재(60)를 삽입하면, 2개의 마찰 패드(30,40)를 하우징(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60)로는 리벳(rivet)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가 링크(2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작용에 대해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링크가 한 쌍의 마찰 패드의 마찰부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이고, 도 11b는 링크가 한 쌍의 마찰 패드의 마찰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링크(20)는 하우징(10)의 제1측벽(11)에 설치된 제1마찰 패드(30)의 제1수용부(31)와 제2측벽(12)에 설치된 제2마찰 패드(40)의 제1수용부(3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제1마찰 패드(30)의 제1수용부(31)와 제2마찰 패드(40)의 제1수용부(31) 사이의 간격(G)은 링크(20)의 두께(t)보다 크기 때문에, 링크(20)의 회전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링크(20)의 회전 속도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에 의해 감속되지 않는다.
링크(20)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0)는 제1마찰 패드(30)의 마찰부(33)와 제2마찰 패드(40)의 마찰부(3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마찰 패드(30)의 마찰부(33)와 제2마찰 패드(40)의 마찰부(33) 사이의 간격(g)은 링크(20)의 두께(t)보다 작기 때문에, 링크(20)의 회전은 마찰부(33)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링크(20)의 회전 속도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에 의해 감속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의 간격(g)이 링크(20)의 두께(t)보다 작은 경우에도, 링크(20)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는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마찰재료로 형성되며, 마찰 패드(30,4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측벽(11,12) 부분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므로, 링크(20)는 회전 속도가 감속되면서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 패드는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하우징(10)이 고정되고 링크(20)가 회전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하우징(10)이 회전하고 링크(20)가 고정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하우징(10)의 회전 속도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와 링크(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감속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토션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에서 하우징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토션 스프링(50)은 일단은 링크(20)에 연결되며, 타단은 하우징(10)에 설치되어 하우징(10)에 대해 링크(20)를 탄성 지지한다. 토션 스프링(50)은 하우징(10)이 링크(20)에 대해 회전할 때, 토션 스프링(50)이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의 상단과 마찰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토션 스프링(50)은 금속선을 벤딩하여 형성하며, 걸림부(51), 한 쌍의 연장부(52), 한 쌍의 감김부(53), 한 쌍의 평행부(54), 및 한 쌍의 고정돌기(55)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51)는 토션 스프링(50)의 일단에 마련되며, 링크(20)의 걸림 홈(2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연장부(52)는 걸림부(51)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연장부(52)는 서로 마주보며,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감김부(53)는 한 쌍의 연장부(52) 각각에 형성된다. 감김부(53)는 토션 스프링(50)을 형성하는 금속선을 헬리컬 형상으로 2회 이상 감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평행부(54)는 한 쌍의 감김부(53) 각각에서 연장되며,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 쌍의 평행부(54) 각각의 일단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55)가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고정돌기(55)는 한 쌍의 평행부(54) 각각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에 형성된 지지 구멍(17)에 삽입된다.
토션 스프링(50)은 한 쌍의 고정돌기(55)에서 연장된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에 평행한 한 쌍의 평행부(54)를 포함하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50)의 한 쌍의 고정돌기(55)를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에 마련된 지지 구멍(17)에 삽입하고, 걸림부(51)를 링크(20)의 걸림 홈(23)에 삽입하였을 때, 토션 스프링(50)의 한 쌍의 평행부(54)가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의 내면에 선접촉하고, 한 쌍의 측벽(11,12)의 상단(11a,12a)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우징(10)이 링크(20)에 대해 회전할 때, 토션 스프링(50)과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의 상단이 마찰하지 않으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토션 스프링(50)의 고정돌기(55)의 일측에는 하우징(10)에서 연장된 스프링 분리방지부(18)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의 한 쌍의 측벽(11,12)의 지지 구멍(17)에 삽입된 토션 스프링(50)의 고정돌기(55)가 지지 구멍(17)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동작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은 도어가 닫힌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도어가 열리는 도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의 링크가 마찰 패드의 마찰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도어가 완전히 열린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1)가 전자동 세탁기(200)의 상면(201)에 마련된 도어(210)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동 세탁기(200)의 도어(210)는 닫힌 경우에는, 도어(201)의 하면이 전자동 세탁기(200)의 상면(201)에 마련된 세탁물 투입구(미도시)를 덮을 수 있도록 상면과 대략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도어(210)가 열린 경우에는, 도어(210)가 세탁기(200)의 상면(201)에 대해 대략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어 세탁물 투입구를 개방하게 된다.
도어(210)가 닫혀 있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1)의 상태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어 힌지(1)는 도어(210)의 한쪽 끝부분에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220)에 설치된 고정부재(230)에 의해 고정된다. 도어 프레임(220)은 전자동 세탁기(200)의 상면(201)의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210)가 닫힌 경우에, 하우징(10)의 바닥면(13)은 대략 세탁기의 상면(201)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 위치하며, 링크(20)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제1수용부(31)에 위치하며, 제1스토퍼(36a)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10)를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열면, 도어(210)에 고정된 하우징(10)이 링크(20)의 회전 축(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링크(20)의 회전 축(21)은 도어 프레임(220)에 설치된 고정부재(23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도어(210)가 열리는 경우에도 링크(20)는 회전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도어(210)가 도어 힌지(1)의 고정 부재(23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하우징(10)도 링크(20)의 회전 축(2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20)가 하우징(10)에 설치된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제1경사부(31)를 따라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로 진입한다. 이때, 제1경사부(31)를 마주하는 링크(20)의 측면에는 모따기(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크(20)가 제1경사부(31)를 따라 쉽게 마찰부(33)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에 위치한 상태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하우징(10)이 회전하여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와 링크(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하우징(1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된다. 하우징(1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면, 하우징(10)이 고정된 도어(210)의 회전 속도도 감속된다. 따라서,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에 의해 도어(210)의 열림 속도가 감속되어 도어(210)가 천천히 열리게 된다.
도어(210)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에 의해 열림 속도가 감속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전히 열리게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어(210)가 세탁기(200)의 상면(201)에서 약 100도를 이루는 상태가 완전히 열린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어(21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하우징(10)이 회전하여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제2수용부(35)에 위치하며 제2스토퍼(36b)에 접촉한다. 도어(210)의 회전에 의해 링크(20)가 하우징(10)의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를 벗어난 경우에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와 링크(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도어(210)의 회전 속도가 최대로 감속된 상태이므로, 제2스토퍼(36b)가 부드럽게 링크(20)에 접촉하여 하우징(10)이 정지하게 되므로, 도어(210)는 부드럽게 최대로 열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210)를 개방할 때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도어의 소프트 오픈(soft open)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6과 같이 완전히 열린 도어(210)를 닫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10)를 닫는 경우, 도어(210)에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과 중력이 작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가하는 힘과 중력을 받는 도어(210)는 도어 힌지(1)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230)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하우징(10)도 고정부재(230)에 고정된 링크(20)의 회전 축(2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20)가 하우징(10)에 설치된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제2경사부(34)를 따라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로 진입한다. 이때,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제2경사부(34)를 마주하는 링크(20)의 측면에는 모따기(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크(20)가 제2경사부(34)를 따라 쉽게 마찰부(33)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에 위치한 상태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어(21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와 링크(2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하우징(1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된다. 하우징(1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되면, 하우징(10)이 고정된 도어(210)의 회전 속도도 감속된다. 따라서,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에 의해 도어(210)의 닫힘 속도가 감속되어 도어(210)가 천천히 닫히게 된다.
도어(210)는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에 의해 닫힘 속도가 감속되어 천천히 회전하여 완전히 닫히게 된다. 도어(210)가 닫힌 상태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는 하우징(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20)가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제1수용부(31)에 위치하며 제1스토퍼(36a)에 접촉한다. 도어(210)의 회전에 의해 링크(20)가 하우징(10)의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를 벗어날 때, 한 쌍의 마찰 패드(30,40)의 마찰부(33)와 링크(2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도어(210)의 회전 속도가 최대로 감속된 상태이므로 제1스토퍼(36a)가 부드럽게 링크(20)에 접촉하여 하우징(10)이 정지하게 되므로 도어(210)는 부드럽게 도어 프레임(22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210)를 닫을 때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도어(210)의 소프트 클로즈(soft close)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1)가 전자동 세탁기(200)의 도어(210)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도어 힌지(1)가 적용되는 것은 전자동 세탁기(2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1)는 조리기기와 식기세척기의 도어의 소프트 클로즈와 소프트 오픈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가 닫힌 경우에 도어가 지면에 수직하고, 도어가 열린 경우에 도어가 수평이 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1)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도어가 하단을 중심으로 상하로 개폐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1)를 적용하면, 도어의 소프트 클로즈와 소프트 오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 힌지(1)를 사용하면, 도어의 소프트 클로즈가 가능하므로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힐 때, 가전기기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충격에 의해 가전기기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1)를 사용하면, 도어를 닫을 때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충돌하지 않고 부드럽게 닫히므로, 도어의 충돌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편한 감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1)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 힌지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구성 요소의 개수가 적으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도어 힌지 10; 하우징
11,12; 측벽 13; 바닥면
14; 축 구멍 15; 고정 구멍
16; 안착부 17; 지지 구멍
20; 링크 21; 회전 축
22; 고정 홈 23; 걸림 홈
27; 빠짐방지 돌기 30,40; 마찰 패드
31; 제1수용부 32; 제1경사부
33; 마찰부 34; 제2경사부
35; 제2수용부 36a,36b; 스토퍼
37; 결합돌기 38; 오일 홈
39; 걸림돌기 50; 토션 스프링
51; 걸림부 52; 연장부
53; 감김부 54; 평행부
55; 고정 돌기 60; 체결부재
100,210; 도어 101,230; 고정부재
110,220; 고정 프레임 200; 전자동 세탁기

Claims (20)

  1.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일단은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링크와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링크와 마찰하여 상기 링크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한 쌍의 마찰 패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는 각각 마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의 상기 마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링크의 두께보다 좁은,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 각각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 각각의 일면에는 상기 링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제1수용부, 제1경사부, 마찰부, 제2경사부, 및 제2수용부가 순차로 마련되고,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마찰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며, 상기 제2경사부는 상기 마찰부와 상기 제2수용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에는 원호 형상의 적어도 한 개의 오일 홈이 마련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의 일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의 반대 방향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마련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 각각의 반대면에는 걸림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각각에는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는 2개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에 고정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축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 축; 및
    상기 링크의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걸림 홈;을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걸림 홈의 입구의 위쪽을 덮도록 형성되는 빠짐방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의 양단에는 도어 프레임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홈이 마련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상기 걸림 홈은, 상기 걸림 홈의 깊이 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의 중심과 상기 걸림 홈의 하단에 접촉한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링크가 일측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와 상기 링크가 반대쪽으로 최대로 선회한 상태에서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분리방지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링크에 대해 회전할 때, 상기 토션 스프링이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의 끝단과 마찰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링크의 걸림 홈에 삽입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감김부;
    상기 한 쌍의 감김부 각각에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평행부;
    상기 한 쌍의 평행부 각각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에 형성된 지지 구멍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6.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응하는 도어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링크;
    일단은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링크와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링크와 마찰하여 상기 하우징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한 쌍의 마찰 패드;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는 각각 마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마찰 패드의 상기 마찰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링크의 두께보다 좁은,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에는 원호 형상의 적어도 한 개의 오일 홈이 마련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링크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축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 축;
    상기 링크의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는 걸림 홈; 및
    상기 링크의 타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걸림 홈의 입구의 위쪽을 덮도록 형성되는 빠짐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분리방지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KR1020170150816A 2017-11-13 2017-11-13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KR20190054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16A KR20190054488A (ko) 2017-11-13 2017-11-13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PCT/KR2018/013508 WO2019093775A1 (ko) 2017-11-13 2018-11-08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816A KR20190054488A (ko) 2017-11-13 2017-11-13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88A true KR20190054488A (ko) 2019-05-22

Family

ID=6643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816A KR20190054488A (ko) 2017-11-13 2017-11-13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54488A (ko)
WO (1) WO20190937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815A (ko) * 2021-11-15 2023-05-24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모터타입 멀티 힌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968B1 (ko) * 2006-05-25 2007-08-06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US8683653B2 (en) * 2007-05-18 2014-04-01 Faringosi Hinges S.R.L. Door hinge
KR101255516B1 (ko) * 2011-11-16 2013-04-23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KR20160118453A (ko) * 2015-04-01 2016-10-12 주식회사 다이아벨 도어 힌지 장치
KR101839765B1 (ko) * 2016-02-26 2018-03-21 주식회사 다이아벨 도어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815A (ko) * 2021-11-15 2023-05-24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모터타입 멀티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775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45515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RU253487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3370317A (en) Door hinges with torsion bar hold-open means
US6918159B2 (en) Hinge apparatus
JP2018513289A (ja) 家庭用電気器具及び家庭用電気器具のヒンジ
US7427086B2 (en) Door assembly
US10829953B2 (en) Damped closure assembly for a microwave oven
CA2185313C (en) Improved hinge mounting for a microwave oven door
KR20190054488A (ko) 가전기기용 도어 힌지
US3698781A (en) Cabinet door mounting
US1124833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4161793A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lock
AU20202005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5004699B2 (ja) スライド蝶番、それを用いたキャビネット及びスライド蝶番における規制部材の装着方法
US7842138B2 (en) Elastic opposition device for a door of a front-loading dishwashing machine, and dishwashing machine including such a device
KR102586020B1 (ko) 가전제품
KR20220018705A (ko) 냉장고
EP4265989A1 (en) Refrigerator
KR20070044654A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657671B1 (ko) 전자제품의 트레이 출입구 개폐장치
US10168055B2 (en) Household device having a door and electrical contacts in the region of a door guide
CN114941228A (zh) 滚筒组件和洗衣机
KR200246392Y1 (ko) 콘트롤 패널 도어의 개폐구조
KR200160252Y1 (ko) 가전제품의 도아 힌지장치
KR101875612B1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