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168A -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168A
KR20220145168A KR1020210051905A KR20210051905A KR20220145168A KR 20220145168 A KR20220145168 A KR 20220145168A KR 1020210051905 A KR1020210051905 A KR 1020210051905A KR 20210051905 A KR20210051905 A KR 20210051905A KR 20220145168 A KR20220145168 A KR 2022014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optical fiber
bezel
lam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룡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168A/ko
Priority to US17/718,544 priority patent/US11879609B2/en
Priority to DE202022102102.3U priority patent/DE202022102102U1/de
Priority to CN202220927601.7U priority patent/CN217154051U/zh
Publication of KR2022014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7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eral surface of the fib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와, 일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를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 및,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부재에 조립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LAMP FOR VEHICLE AND,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광섬유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램프의 기능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 램프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고, 광섬유를 이용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램프가 개발되고 있다.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광섬유는 단부에서 발광하는 끝면 발광(End emitting)형과 측면에서 발광하는 측면 발광(Side emitting)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끝면 발광형 광섬유는 끝단면만 노출되고 중간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고정이 용이한 반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는 양 단부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발광하므로 광섬유의 대부분의 영역이 노출되기 때문에 끝면 발광형 광섬유를 고정하는 일반적인 고정구조로 고정하기 어렵다.
종래 끝면 발광형 광섬유의 고정 구조로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고정하는 경우 광섬유의 물성으로 인해, 차량의 조립 시나 진동 시에 광섬유가 늘어지거나 이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용 램프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설치 시에 조립부를 이용하여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와, 일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를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 및,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부재에 조립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용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로서, 상기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와, 일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를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와,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부재에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은 조립부재에 제1 단부가 고정된 광섬유를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광섬유의 제2 단부를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하고, 상기 광섬유의 제1 단부를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관통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광섬유가 권취되도록 상기 조립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광섬유에 텐션을 가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상기 베젤부에 고정된 브라켓부재에 상기 조립부재를 체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설치 시에, 서로 조립되게 구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부재와 브라켓부재를 포함하는 조립부에 의해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용 램프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상면도로, 도 1에서 램프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로, 도 2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9이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그루브와 스크류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상면도로, 도 1에서 램프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로, 도 2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램프(10)는 램프하우징(100)과, 광원부(200)와, 베젤부(300)와, 광섬유(400) 및, 조립부(600)를 포함한다.
램프하우징(100)은 자동차용 램프(10)의 바디를 이루는 것으로, 램프를 구성하는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램프하우징(100)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200)는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은 일례로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레이저일 수 있고,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광원부(200)는 램프하우징(100)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300)는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젤부(300)는 램프하우징(100)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램프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베젤부(300)는 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광섬유(400)를 장착 및 보호하고, 광원부(200) 및 광섬유(4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광섬유(400)는 일단부(400a)가 베젤부(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400b)가 베젤부(300)의 타측에 조립되고, 광원부(200)에 연결되어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광섬유(400)는 일단부(400a)가 광원부(200)에 연결되어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200)로부터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광섬유(400)의 측면으로 출사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섬유(400)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광을 출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광원으로부터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로 입사되는 광은,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향하여 진행할 수 있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광의 일부가 광섬유(400)의 측면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섬유(400)는 광원부(200)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는 광섬유(400) 우측으로 갈수록 상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광원부(200)에서 출사된 광이 광섬유(400)에 입사한 후 광섬유(400) 내부를 전반사하되 일부 광은 광섬유(400)를 투과할 수 있고, 광섬유(400)를 투과한 광은 도 3의 좌측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한편, 광섬유(400)의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광섬유(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일 예와 같이 광섬유(400)는 하나의 광원부(200)에 복수 개(예를 들어 2개)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광원부(200)에 연결되는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섬유(400)는 베젤부(3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는 베젤부(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는 베젤부(300)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광섬유(400)는 길이방향의 양 단부가 베젤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400)는, 광섬유(400)의 측면을 통해 광이 출사되도록 구비되므로, 광섬유(400)의 대부분의 영역이 다른 구성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섬유(400)의 장력이 유지되지 못하고 광섬유(400)가 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용 램프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조립부(600)를 구비하여 광섬유(400)의 늘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조립부(600)는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베젤부(300)의 타측에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부(600)는 브라켓부재(610)와 조립부재(650)를 포함한다. 브라켓부재(610)는 베젤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는 조립부재(650)에 고정되고 조립부재(650)는 브라켓부재(610)에 조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부재(650)는 브라켓부재(610)에 조립될 때 회전 조작되는 등의 방식으로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고,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조립부재(650)가 브라켓부재(610)에 조립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섬유(400)는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베젤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립부재(650)는 조립에 의해 브라켓부재(6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추후에 광섬유(400)에 추가 텐션이 필요할 때, 조립부재(650)를 브라켓부재(610)에서 분리한 후, 광섬유(400)에 추가 텐션을 부여하고 다시 조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600)는, 광섬유(400)가 고정된 조립부재(650)와 베젤부(300)의 타측에 고정된 브라켓부재(610)가 서로 조립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의 조립 시에 조립부재(650)를 조작하여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10)를 이용하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400)의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400)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용 램프(10)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베젤부(300)는 하부베젤(310)과 상부베젤(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베젤(310)의 타측에는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관통하게 구비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베젤(330)은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젤부(300)는 광섬유(400)를 보호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광섬유(4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하부베젤(310) 중 광섬유(40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400a)에 대응되는 측을 일측이라 하고, 광섬유(40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400b)에 대응되는 측을 타측이라 한다. 이때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와 타단부(400b)는 각각 하부베젤(310)의 일측과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베젤(310)은 복수의 광섬유(400)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수평부(311) 및 수직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313)에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는 제1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수직부(3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베젤(330)은 하부베젤(310)의 수직부(3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베젤(330)에는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광섬유(400)는 상부베젤(330)과 하부베젤(3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부베젤(330)과 하부베젤(31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베젤(310)은 상부베젤(3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3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베젤(330)은 삽입돌기(314)가 삽입되게 만입된 삽입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314)가 삽입된 상태로 조립된 후 상부베젤(330)과 하부베젤(310)이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는 고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를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500)는 복수의 광섬유(400)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후크결합, 볼트결합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는 고정부(500)와 하부베젤(31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500)의 형상과 종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조립부(600)는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부재(610)는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수직부(313)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부재(610)는 하부베젤(310)에 볼트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통과한 광섬유(400)를 하부베젤(310)에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광섬유(400)에서 상부베젤(330)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으로, 광섬유(400)에서 하부베젤(310)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향로 정의한다. 다만, 자동차용 램프(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방향과 하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조립부재(650)가 조립부재(65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브라켓부재(610)에 결합됨으로써, 조립부재(650)에 고정된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조립부재(650)의 외면에 감긴 상태로 구비되어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가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고정되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조립부재(6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부재(650)가 브라켓부재(6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4의 R 방향 참조). 조립부재(650)의 회전 시에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조립부재(650)의 둘레면에 감기면서 광섬유(400)에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조립부재(6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광섬유(400)의 텐션이 조정될 수 있다.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조립되면, 광섬유(400)는 텐션을 유지하며 베젤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이 조립공정 또는 차량의 주행 중 진동에 의해 광섬유(400)가 늘어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브라켓부재(610)는 결합판(620)과 조립판(63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판(620)은 하부베젤(3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판(630)은 조립부재(650)가 조립되고, 조립부재(650)가 관통되는 조립홀(6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판(620)은 수직부(313)에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조립판(630)은 결합판(620)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부재(610)는 결합판(620)과 조립판(630)이 L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판(620)과 조립판(630)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판(620)은 하부베젤(310)의 수직부(313)와 마주보게 구비되어 수직부(313)와 직,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판(620)은 수직부(313)에 볼트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결합판(620)과 수직판의 결합 시에, 조립판(630)은 수직부(313)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고, 조립판(630)에는 조립부재(650)가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와, 조립부재(650)에 고정된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하부 베젤(310)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조립부재(650)는 조립헤드(660)와, 조립바디(670) 및, 고정블록(68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헤드(660)와 조립바디(67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조립바디(670)는 조립헤드(660)에서 연장되고 조립판(630)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광섬유(400)의 단부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67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헤드(660)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된 부분이고, 조립바디(670)는 조립헤드(660)에서 연장되어 조립판(630)의 조립홀(63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고정홀(671)은 조립바디(670)의 조립헤드(660)에 인접한 영역을 관통할 수 있고, 조립바디(670)가 연장되는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다.
고정홀(671)에는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홀(671)에 삽입된 광섬유(400)를 조립바디(670)에 고정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고정홀(671)에 삽입한 상태에서 관통된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 끝단을 꺾어서 조립바디(670)와 결속할 수 있다. 또는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는 고정홀(671)에 삽입된 후 조립부재(650)에 히트 스테이킹(Heat Staking)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조립바디(670)에 고정하는 방식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고정홀(671)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바디(670)에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블록(680)은 조립헤드(660) 또는 조립바디(670)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블록(680)은 조립바디(67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크기(예를 들어, 직경)가 조립홀(63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부분으로, 조립부재(65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조립부재(650)가 브라켓부재(610)에 조립될 때 고정블록(680)이 조립판(630)에 가조립되어 조립부재(650)의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고,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체결됨으로써 조립부재(65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섬유(40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고정블록(680)과 조립판(630)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고정블록(680)은 조립헤드(660)와 일체로 형성(도 6 참고)되거나, 조립바디(67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고정블록(680)은 조립판(630)을 향하는 면에, 조립바디(67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톱니(68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판(630)은 제1 톱니(681)와 맞물리는 제2 톱니(63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톱니(633)는 조립판(630)의 고정블록(680)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조립홀(631)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톱니(681)에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바디(670)가 조립홀(631)을 관통한 후 고정블록(680)이 조립판(630) 상에 안착되면, 제1 톱니(681)와 제2 톱니(633)가 맞물리면서 조립판(630)에 대한 조립부재(650)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가조립될 수 있다.
다만 제1 톱니(681)와 제2 톱니(633)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블록(680)과 브라켓부재(610)의 서로 접하는 면에 형성되어 조립부재(65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는 후크결합에 의해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조립부재(650)는 조립판(630)의 하면에 걸리도록 조립바디(670)의 외면에 돌출되는 한 쌍의 후크(6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후크(672)는 조립바디(67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조립판(630)의 하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립부재(650)가 조립홀(631)을 관통하면서 고정블록(680)이 조립판(630)에 안착될 수 있고, 이때 제1 톱니(681)와 제2 톱니(633)가 맞물리면서 조립부재(650)가 조립판(630)에 1차로 조립될 수 있다. 조립부재(650)가 조립방향으로 더욱 삽입되면서 후크(672)가 조립판(630)에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가 조립판(630)에 2차로 조립되면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조립부재(650)는 슬릿(6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릿(673)은 한 쌍의 후크(672) 각각의 양 측에서 조립바디(670)를 관통하고, 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673)에 의해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의 후크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바디(670)가 조립홀(631)에 삽입될 때, 슬릿(673)에 의해 후크(672)가 형성된 한 쌍의 조립바디(670) 부분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오므라들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바디(670)가 조립홀(631)에 삽입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후 후크(672)가 조립판(630)의 하면 위치에 도달하면 조립바디(670)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후크(672)가 조립판(630)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슬릿(673)에 의해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의 탈부착이 용이해져서 추가 텐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의 후크결합 후에 추가텐션이 필요할 때, 슬릿(673)에 의해 한 쌍의 후크(672)가 형성된 조립바디(670) 부분이 서로 가까워지게 하기 용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바디(670)와 조립판(630)의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조립판(630)은 조립홀(631)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압입홈(6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부(600)는 오링부재(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링부재(690)는 조립바디(670)의 외면에 끼워지고, 조립부재(650)와 조립판(630)의 결합 시에, 조립바디(670)와 압입홈(632)의 사이에 압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링부재(690)는 조립부재(650)를 브라켓부재(61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바디(670)에 끼워질 수 있다. 오링부재(690)는 고무 소재 등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립부재(650)가 조립홀(631)에 삽입될 때, 오링부재(690)는 압입홈(632)에 삽입될 수 있다. 오링부재(690)는 조립바디(670)와 압입홈(632)의 사이에 압입됨으로써,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 사이의 유격과 공차를 보상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견고한 결합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램프(10)가 도시되고,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램프(10)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9이 조립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비해 고정블록(680)과 조립판(630)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는 고정블록(680)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블록(680)은 조립바디(67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블록(680)은 조립헤드(66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도 6 내지 도 8 참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블록(680)은 조립헤드(660)와 별개로 조립바디(670)에 형성될 수 있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하에서는 고정블록(680)의 위치를 제외한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의 공통된 구성을 함께 설명한다.
조립판(630)에는 고정블록(68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돌기(634)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돌기(6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634)는 고정블록(68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고정블록(680)에 접하는 면(635)이 고정블록(680)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블록(680)은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돌기(634)는 고정블록(680)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가 조립홀(631)에 삽입될 때, 고정블록(680)과 고정돌기(634)가 접하게 되면, 고정돌기(634)에 고정블록(680)이 걸리면서 조립부재(65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1차로 조립될 수 있다.
다만 고정블록(680)과 고정돌기(634)의 형상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돌기(634)에 의해 고정블록(68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블록(680)은 도시된 바와 같은 육각 기둥 외에도 사각 기둥이나 오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의 다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도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크결합에 의해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후크(672)는 조립바디(670)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조립판(630)의 하면에 걸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립부재(650)가 조립홀(631)에 관통되면서 고정블록(680)이 조립판(630)에 안착될 수 있고, 이때 고정블록(680)의 측면이 고정돌기(634)에 접하면서 회전이 제한되고 1차로 조립될 수 있다. 조립부재(650)가 조립방향으로 더욱 삽입되면서 후크(672)가 조립판(630)에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가 2차로 조립되면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램프(10)가 도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부를 도시한 것으로, 그루브와 스크류홀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1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의 체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후크결합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체결스크류(640)를 통해 스크류 결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바디(670)는 외면 둘레에 만입된 형상의 그루브(675)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판(630)은, 조립홀(631)에 연통되되 조립홀(63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크류홀(63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홀(637)의 연장방향은 조립홀(631)의 연장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부(600)는 체결스크류(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스크류(640)는 스크류홀(637)에 체결 시에 그루브(675)에 삽입되어 브라켓부재(610)와 조립부재(650)를 체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판(630) 내에는, 스크류홀(637)이 형성된 영역과 조립홀(631)이 형성된 영역이 서로 공통되는 교차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교차영역을 통해 스크류홀(637)은 조립홀(63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교차영역의 위치는, 조립부재(650)가 브라켓부재(610)에 조립된 상태에서의 그루브(675)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부재(650)가 브라켓부재(610)에 삽입된 후, 체결스크류(640)는 스크류홀(637)에 삽입되면서 교차영역에서 조립바디(670)의 그루브(675)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루브(675)는 수직 단면 상에서 반원 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스크류(640)가 스크류홀(637)에 삽입될 때, 체결스크류(640)가 그루브(675)에 삽입되면서 조립부재(650)를 조립방향(조립부재(650)의 삽입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다만 그루브(675)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체결스크류(640)가 스크류홀에 체결되면, 조립바디(670)가 조립홀(631)에 압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부재(650)가 브라켓부재(6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추가로 광섬유(400)의 텐션을 조정할 때, 체결스크류(640)를 브라켓부재(610)로부터 분리한 후, 조립부재(650)를 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광섬유(4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 및 체결스크류(64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용 램프(10)는 램프하우징(100)과, 램프하우징(100)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200)와,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되는 베젤부(300)와, 일단부가 베젤부(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베젤부(300)의 타측에 조립되고, 광원부(200)에 연결되어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400)와, 광섬유(400)의 타단부를 베젤부(300)의 타측에 조립하는 조립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부(600)는 베젤부(300)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610)과, 광섬유(40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브라켓부재(610)에 결합되는 조립부재(6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램프(10)는 리어램프(Rear Lam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헤드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 다양한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자동차용 램프(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은 제1 단계와, 제2 단계와, 제3 단계 및,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조립부재(650)에 제1 단부(400b)가 고정된 광섬유(40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제1 단계에서, 광섬유(400)의 제1 단부는 조립부재(650)에 형성된 고정홀(67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단계는 광섬유(400)의 제2 단부(400a)를 베젤부(300)의 일측에 고정하고, 광섬유(400)의 제1 단부를 베젤부(300)의 타측에 관통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광섬유(400)의 제2 단부가 고정부(500)에 의해 베젤부(300)에 구비된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400)의 제1 단부가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상부베젤(330)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을 관통하고, 조립부재(650)를 브라켓부재(6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3 단계는 광섬유(400)가 권취되도록 조립부재(650)를 회전시켜서 광섬유(400)에 텐션을 가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3 단계에서는, 조립부재(650)를 브라켓부재(6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조립부재(65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조립부재(6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조립부재(650)에 끝단이 고정된 광섬유(400)의 제1 단부가 조립부재(650)의 외면에 감기게 되고, 이에 의해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제4 단계는 제3 단계에 의해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베젤부(300)에 고정된 브라켓부재(610)에 조립부재(650)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조립부재(650)는 브라켓부재(610)에 구비된 조립판에 후크결합 또는 스크류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광섬유(400)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가 체결됨으로써, 광섬유(400)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단계는 제4 단계 이후에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를 분리한 후, 조립부재(650)를 추가로 회전하여 광섬유(400)에 추가로 텐션을 가한 상태로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는 후크 결합 또는 스크류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에 의해 광섬유(400)가 베젤부(300)에 고정된 후에도, 광섬유(400)에 추가 텐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를 분리한 후, 조립부재(650)를 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광섬유(4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조립부재(650)와 브라켓부재(610)를 체결하여 조정된 광섬유(400)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설치 시에, 서로 조립되게 구는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부재와 브라켓부재를 포함하는 조립부에 의해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용 램프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자동차용 램프 100: 램프하우징
200: 광원부 300: 베젤부
310: 하부베젤 311: 수평부
313: 수직부 314: 삽입돌기
330: 상부베젤 331: 삽입홈
400: 광섬유 400a: 일단부
400b: 타단부 500: 고정부
600: 조립부 610: 브라켓부재
620: 결합판 630: 조립판
631: 조립홀 632: 압입홈
633: 제2 톱니 634: 고정돌기
637: 스크류홀 640: 체결스크류
650: 조립부재 660: 조립헤드
670: 조립바디 671: 고정홀
672: 후크 673: 슬릿
675: 그루브 680: 고정블록
681: 제1 톱니 690: 오링부재

Claims (19)

  1.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
    일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를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 및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부재에 조립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일단부가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광이 입사되게 구비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섬유의 측면으로 출사되게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타측에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가 관통하게 구비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베젤; 및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베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젤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광섬유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하부베젤의 일측에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는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가 상기 조립부재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상기 브라켓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립부재에 고정된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가 상기 조립부재의 외면에 감긴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지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재는
    상기 하부베젤에 결합되는 결합판; 및
    상기 조립부재가 조립되고, 상기 조립부재가 관통되는 조립홀이 형성되는 조립판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젤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판은 상기 수직부에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립판은 상기 조립판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자동차용 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는
    조립헤드;
    상기 조립헤드에서 연장되고 상기 조립판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의 단부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조립바디; 및
    상기 조립헤드 또는 상기 조립바디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조립판을 향하는 면에, 상기 조립바디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판은 상기 제1 톱니와 맞물리는 제2 톱니가 형성되는 자동차용 램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조립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판에는 상기 고정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블록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접하는 면이 상기 고정블록의 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램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는
    상기 조립판의 하면에 걸리도록 상기 조립바디의 외면에 돌출되는 한 쌍의 후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는
    한 쌍의 상기 후크 각각의 양 측에서 상기 조립바디를 관통하고,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바디는 외면 둘레에 만입된 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판은, 상기 조립홀에 연통되되 상기 조립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스크류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스크류홀에 체결 시에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부재와 상기 조립부재를 체결하도록 구비되는 체결스크류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홀의 연장방향은 상기 조립홀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판은 상기 조립홀의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압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조립바디의 외면에 끼워지고, 상기 조립부재와 상기 조립판의 결합 시에, 상기 조립바디와 압입홈의 사이에 압입되게 마련되는 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7. 자동차용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로서,
    상기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
    일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를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조립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는 브라켓부재; 및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부재에 결합되는 조립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18. 조립부재에 제1 단부가 고정된 광섬유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광섬유의 제2 단부를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하고, 상기 광섬유의 제1 단부를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관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광섬유가 권취되도록 상기 조립부재를 회전시켜서 상기 광섬유에 텐션을 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상기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상기 베젤부에 고정된 브라켓부재에 상기 조립부재를 체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 상기 조립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를 분리한 후, 상기 조립부재를 추가로 회전하여 상기 광섬유에 추가로 텐션을 가한 상태로 상기 조립부재와 상기 브라켓부재를 체결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KR1020210051905A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KR20220145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05A KR20220145168A (ko)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US17/718,544 US11879609B2 (en) 2021-04-21 2022-04-12 Lamp for vehicle,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p for vehicle
DE202022102102.3U DE202022102102U1 (de) 2021-04-21 2022-04-20 Leuchte für Fahrzeug und Fahrzeug
CN202220927601.7U CN217154051U (zh) 2021-04-21 2022-04-21 车辆用灯和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05A KR20220145168A (ko)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168A true KR20220145168A (ko) 2022-10-28

Family

ID=8266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905A KR20220145168A (ko)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79609B2 (ko)
KR (1) KR20220145168A (ko)
CN (1) CN217154051U (ko)
DE (1) DE202022102102U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594A (en) * 1992-09-22 1994-01-04 Burkett Mark E Add-on vehicle safety light monitor
US6238075B1 (en) * 1996-12-17 2001-05-29 Transmatic, Inc. Lighting system for mass-transit vehicles
DE202012012607U1 (de) * 2012-09-13 2013-07-18 Aspöck Portugal S.A. Signalleuchte für Fahrzeuge
EP3311064A1 (en) * 2015-06-19 2018-04-25 Valeo North America, Inc. Fiber optic lighting and/or signaling system for a vehicle
KR102278503B1 (ko) 2019-10-31 2021-07-16 주식회사 엠젠 분광반사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2102102U1 (de) 2022-09-05
US11879609B2 (en) 2024-01-23
US20220341558A1 (en) 2022-10-27
CN217154051U (zh)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4786B1 (en) LED Bulb
KR200458501Y1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JP3638835B2 (ja) 車両用前照灯
US5700080A (en) Vehicular lamp
KR20110076787A (ko)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JP2001118407A5 (ko)
KR20220145168A (ko)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US11442212B2 (en) Optical fiber illumination apparatus
CN1796864A (zh) 发光二极管泡体
KR20180077495A (ko) 차량용 램프
US10710499B1 (en) Light assembly with housing having cover providing for wire passage
JP4031731B2 (ja) アウターミラー
CN110131669B (zh) 机动车辆的照明和/或发光信号装置
KR101968093B1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220145163A (ko)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JP7420634B2 (ja) 車両用灯具
KR20150029832A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8112873U (zh) 摩托车
KR102322478B1 (ko) 차량용 램프
KR101968094B1 (ko) 차량용 램프
KR200388763Y1 (ko) 차량용 전조등의 가스방전램프 모듈
JP2007214094A (ja) 車両用マーカーランプ
KR200153657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마운팅
KR20240049914A (ko) 이미지 변환형 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