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163A -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163A
KR20220145163A KR1020210051898A KR20210051898A KR20220145163A KR 20220145163 A KR20220145163 A KR 20220145163A KR 1020210051898 A KR1020210051898 A KR 1020210051898A KR 20210051898 A KR20210051898 A KR 20210051898A KR 20220145163 A KR20220145163 A KR 2022014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ezel
fixing
fit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룡
김석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163A/ko
Priority to US17/718,505 priority patent/US11858415B2/en
Priority to DE202022102103.1U priority patent/DE202022102103U1/de
Priority to CN202220915955.XU priority patent/CN217154050U/zh
Publication of KR2022014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7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7Light guides with a single light source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51Light guides the light guides being used to transmit light from remot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28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mounting fibres to supporting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와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와, 상기 베젤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 내부에 설치되는 광섬유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램프의 기능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 램프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고, 광섬유를 이용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램프가 개발되고 있다.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광섬유는 단부에서 발광하는 끝면 발광(End emitting)형과 측면에서 발광하는 측면 발광(Side emitting)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끝면 발광형 광섬유는 끝단면만 노출되고 중간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고정이 용이한 반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는 양 단부뿐만 아니라 측면에서도 발광하므로 광섬유의 대부분의 영역이 노출되기 때문에 끝면 발광형 광섬유를 고정하는 일반적인 고정구조로 고정하기 어렵다.
종래 끝면 발광형 광섬유의 고정 구조로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고정하는 경우 광섬유의 물성으로 인해, 차량의 조립 시나 진동 시에 광섬유가 늘어지거나 이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용 램프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설치 시에 텐션부를 이용하여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와, 상기 베젤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섬유는 상기 베젤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는 상기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는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는 일단부가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광이 입사되게 구비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섬유의 측면으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베젤부는 타측에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가 관통하게 구비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베젤과,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상부베젤에 구비되고 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를 상기 하부베젤을 향하는 방향인 하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상기 상부베젤에 고정되는 고정파트와, 상기 고정파트에서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파트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베젤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베젤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광섬유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하부베젤의 일측에 고정하게 구비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를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고정하게 구비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광섬유가 고정되는 위치와 상기 베젤부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하부베젤에 고정되고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를 고정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과의 사이에 상기 광섬유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하부베젤에 고정되는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상부베젤을 향하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끼움부재가 삽입되는 끼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후크결합되는 끼움브라켓과, 상기 끼움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결합 시에 상기 끼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제1 끼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블록은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끼움부재가 삽입되는 끼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상기 끼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광섬유를 탄성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제2 끼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블록은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용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로서, 상기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와, 상기 베젤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이용하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설치 시에 텐션부를 이용하여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용 램프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상면도로, 도 1에서 램프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로, 도 2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로서, 상부베젤과 하부베젤이 조립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부베젤과 하부베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로서, 제2 고정부가 조립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 고정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상면도로, 도 1에서 램프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로, 도 2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로서, 상부베젤과 하부베젤이 조립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부베젤과 하부베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로서, 제2 고정부가 조립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 고정부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고정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램프(10)는 램프하우징(100)과, 광원부(200)와, 베젤부(300)와, 광섬유(400) 및, 텐션부(500)를 포함한다.
램프하우징(100)은 자동차용 램프(10)의 바디를 이루는 것으로, 램프를 구성하는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램프하우징(100)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200)는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은 일례로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레이저일 수 있고,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광원부(200)는 램프하우징(100)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300)는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젤부(300)는 램프하우징(100)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램프의 전체적인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한 베젤부(300)는 램프하우징(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광섬유(400)를 장착 및 보호하고, 광원부(200) 및 광섬유(4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광섬유(400)는 베젤부(300)에 고정되고 광원부(200)에 연결되며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광섬유(400)는 일단부(400a)가 광원부(200)에 연결되어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200)로부터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광섬유(400)의 측면으로 출사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섬유(400)는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광을 출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광원으로부터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로 입사되는 광은,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향하여 진행할 수 있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광의 일부가 광섬유(400)의 측면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섬유(400)는 광원부(200)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는 광섬유(400) 우측으로 갈수록 상부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부(200)에서 출사된 광이 광섬유(400)에 입사한 후 광섬유(400) 내부를 전반사하되 일부 광은 광섬유(400)를 투과할 수 있고, 광섬유(400)를 투과한 광은 도 3의 좌측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한편, 광섬유(400)의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광섬유(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일 예와 같이 광섬유(400)는 하나의 광원부(200)에 복수 개(예를 들어 2개)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광원부(200)에 연결되는 개수는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섬유(400)는 베젤부(3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는 베젤부(300)의 일측에 고정되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는 베젤부(300)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광섬유(400)는 길이방향의 양 단부가 베젤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400)는, 광섬유(400)의 측면을 통해 광이 출사되도록 구비되므로, 광섬유(400)의 대부분의 영역이 다른 구성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섬유(400)가 늘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량용 램프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텐션부(500)를 구비하여 광섬유(400)의 늘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텐션부(500)는 베젤부(300)에 구비되고 광섬유(400)가 베젤부(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섬유(400)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텐션부(500)는 베젤부(3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400)가 베젤부(300)에 고정될 때, 광섬유(400)의 일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되어 광섬유(400)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텐션부(500)가 광섬유(400)에 가하는 텐션은 텐션부(500)의 형상과 크기 및 장착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션부(500)는 탄성 재질로 구비되어 광섬유(400)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단, 텐션부(50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10)는, 텐션부(500)를 구비함으로써 광섬유(400)가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면 발광형 광섬유(400)의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400)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용 램프(10)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베젤부(300)는 하부베젤(310)과 상부베젤(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베젤(310)은 타측에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관통하게 구비되는 제1 관통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베젤(330)은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제1 관통홀(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33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젤부(300)는 광섬유(400)를 보호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광섬유(4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하부베젤(310) 중, 광섬유(40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400a)에 대응되는 측을 일측이라 하고, 광섬유(40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400b)에 대응되는 측을 타측이라 한다.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와 타단부(400b)는 각각 하부베젤(310)의 일측과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베젤(310)은 복수의 광섬유(400)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수평부(311) 및 수직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312)에는 제1 관통홀(315)이 형성될 수 있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는 제1 관통홀(315)을 관통한 상태에서 수직부(3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베젤(330)은 하부베젤(310)의 수직부(312)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베젤(330)에는 제1 관통홀(315)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관통홀(333)이 형성될 수 있다. 광섬유(400)는 상부베젤(330)과 하부베젤(3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관통홀(315) 및 제2 관통홀(333)을 관통할 수 있다.
상부베젤(330)과 하부베젤(310)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베젤(310)은 상부베젤(3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베젤(330)은 삽입돌기(313)가 삽입되게 만입된 삽입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313)가 삽입홈(331)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된 후 상부베젤(330)과 하부베젤(310)이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텐션부(500)는 상부베젤(330)에 구비되고 고무 재질을 포함하고, 제1 관통홀(315)과 제2 관통홀(333)을 통과한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하부베젤(310)을 향하는 방향인 하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광섬유(400)에서 상부베젤(330)을 향하는 방향을 상방향으로, 광섬유(400)에서 하부베젤(310)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향로 기재한다. 다만, 자동차용 램프(10)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방향과 하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부(500)는 상부베젤(330)에 고정되어, 상부베젤(330)과 하부베젤(310)의 결합 시에 광섬유(400)를 하방향으로 눌러주도록 구비됨으로써, 광섬유(400)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션부(5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상부베젤(3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텐션부(500)는 고무 재질 등 탄성을 가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텐션부(500)는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 II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무재질은 내열성이 강하므로 차량의 고온 환경에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만 텐션부(500)의 재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광섬유(400)의 고정 시에, 텐션부(500)가 광섬유(40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텐션을 부여함으로써, 텐션부(500)의 탄성 복원력과 광섬유(400)의 변형정도에 따라 텐션부(500)의 가압 정도가 변경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광섬유(400)의 텐션이 유지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텐션부(500)는 고정파트(510)와 가압파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파트(510)는 상부베젤(3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파트(530)는 고정파트(51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광섬유(400)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파트(530)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상부베젤(330)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파트(530)는 고정파트(510)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텐션부(500)에 의해 광섬유(400)가 가압되는 정도는, 고정파트(510)와 가압파트(530)가 이루는 각도(θ)와 가압파트(530)가 고정파트(51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에 따라 램프(10)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파트(510)와 가압파트(530)가 이루는 각도(θ)는 90도 내지 160도 정도일 수 있고, 가압파트(530)가 고정파트(51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L)는 1mm 내지 20mm일 수 있다. 그러나, 고정파트(510)와 가압파트(53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과 설치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광섬유(400)는 베젤부(300)의 일측과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고정부(610)와 제2 고정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10)는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결합되고,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를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고정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610)는 복수의 광섬유(400)가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10)는 하부베젤(310)의 일측에 후크결합, 볼트결합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광섬유(400)의 일단부(400a)는 제1 고정부(610)와 하부베젤(31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제1 고정부(610)의 형상과 종류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부(620)는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구비되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하부베젤(310)의 타측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텐션부(500)는 제2 고정부(620)에 의해 광섬유(400)가 고정되는 위치와 베젤부(300)의 사이의 위치에서 광섬유(400)를 가압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제2 고정부(62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11에는 제2 고정부(62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620)는 고정브라켓(630)과, 끼움부재(6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630)은 하부베젤(310)에 고정되고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가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재(640)는 고정브라켓(630)에 결합되어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를 고정할 수 있다. 끼움부재(640)는 고정브라켓(630)과의 사이에 광섬유(400)가 끼워진 상태로 고정브라켓(630)과 결합하여 광섬유(400)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620)의 고정브라켓(630)은 하부베젤(310)의 수직부(3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312)의 양 면 중, 베젤부(300)의 일측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면을 고정면이라 할 때, 고정브라켓(630)은 수직부(312)의 고정면에 고정될 수 있다.
끼움부재(640)는 고정브라켓(630)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광섬유(400)의 타단부(400b)는 베젤부(300)를 통과한 후 끼움부재(640)와 고정브라켓(6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끼움부재(640)와 고정브라켓(630)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2 고정부(6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630)은 지지몸체(631)와, 제1 고정돌기(632)와, 제2 고정돌기(6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몸체(631)는 하부베젤(3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몸체(631)는 수직부(312)의 고정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돌기(632)는 지지몸체(631)로부터 상부베젤(330)을 향하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광섬유(400)가 관통되는 제1 고정홈(6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돌기(634)는 지지몸체(631)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고정돌기(632)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광섬유(400)가 관통되는 제2 고정홈(63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630)은 제1 고정돌기(632)와 제2 고정돌기(634) 사이에 끼움부재(640)가 삽입되는 끼움공간(63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돌기(632)와 제2 고정돌기(634) 및 지지몸체(631)가 이루는 공간을 끼움공간(636)이라 하고, 광섬유(400)는 끼움공간(636)에서 끼움부재(640)에 의해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광섬유(400)는, 하부베젤(310)의 수직부(312)와 제1 고정돌기(632) 사이의 공간에서, 텐션부(5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즉 광섬유(400)는 제1 관통홀(315)과 제1 고정홈(633)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가압파트(530)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텐션이 가해질 수 있다.
끼움부재(640)는 끼움브라켓(641)과 제1 끼움블록(642)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브라켓(641)은 고정브라켓(630)에 후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끼움브라켓(641)은 고정브라켓(630)의 지지몸체(631)에 후크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641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이웃하는 끼움브라켓(641)이 서로 연결된 일 예가 도시되나, 서로 분리되어 각각 구비된 형상도 가능하다.
제1 끼움블록(642)은 끼움브라켓(641)에 결합되고, 끼움브라켓(641)과 고정브라켓(630)의 결합 시에 끼움공간(636)에 위치하는 광섬유(400)를 가압하여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 끼움블록(642)은 끼움공간(636)에 삽입되고 지지몸체(631)에 접하도록 끼움브라켓(64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브라켓(630)과의 결합 시에 광섬유(400)를 지지몸체(631)를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광섬유(40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끼움블록(642)은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끼움블록(642)은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 II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무재질은 내열성이 강하므로 차량의 고온 환경에도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만 제1 끼움블록(642)의 재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제2 고정부(620)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끼움부재(640)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2 고정부(620)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고정부(620)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끼움부재(640)는 제2 끼움블록(6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끼움블록(643)은 제1 고정돌기(632)와 제2 고정돌기(634)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끼움공간(636)에 위치하는 광섬유(400)를 탄성 가압하여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끼움블록(643)은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끼움블록(643)은 상기한 제1 끼움블록(642)과 마찬가지로 제1 끼움블록(642)은 부틸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 II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끼움블록(643)의 재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2 끼움블록(643)의 제1 고정돌기(632)에서 제2 고정돌기(634)를 향하는 방향의 크기는, 제1 고정돌기(632)와 제2 고정돌기(634)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끼움블록(643)은 탄성을 가진 고무 재질로 마련되므로 끼움공간(636)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고정돌기(632)와 제2 고정돌기(63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끼움블록(643)은 제1 고정돌기(632)와 제2 고정돌기(634) 사이에 삽입되어 억지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2 끼움블록(643)이 끼움공간(636)에 억지끼움결합될 때 광섬유(400)를 지지몸체(631)를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광섬유(40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자동차용 램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용 램프(10)는 램프하우징(100)과,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200)와, 램프하우징(100)에 결합되는 베젤부(300)와, 베젤부(300)에 고정되고 광원부(200)에 연결되며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400)와, 베젤부(300)에 구비되고 광섬유(400)가 베젤부(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섬유(400)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램프(10)는 리어램프(rear lam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헤드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 다양한 램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를 이용하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설치 시에 텐션부를 이용하여 광섬유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발광형 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조립이나 진동에 의해 광섬유가 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용 램프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자동차용 램프 100: 램프하우징
200: 광원부 300: 베젤부
310: 하부베젤 311: 수평부
312: 수직부 313: 삽입돌기
315: 제1 관통홀 330: 상부베젤
331: 삽입홈 333: 제2 관통홀
400: 광섬유 400a: 일단부
400b: 타단부 500: 텐션부
510: 고정파트 530: 가압파트
610: 제1 고정부 620: 제2 고정부
630: 고정브라켓 631: 지지몸체
632: 제1 고정돌기 633: 제1 고정홈
634: 제2 고정돌기 635: 제2 고정홈
636: 끼움공간 640: 끼움부재
641: 끼움브라켓 641a: 후크
642: 제1 끼움블록 643: 제2 끼움블록

Claims (15)

  1.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에 장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 및
    상기 베젤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상기 베젤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는 상기 베젤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광섬유의 타단부는 상기 베젤부의 타측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일단부가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어 광이 입사되게 구비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섬유의 측면으로 출사되게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타측에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가 관통하게 구비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베젤; 및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상부베젤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상부베젤에 구비되고 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를 상기 하부베젤을 향하는 방향인 하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자동차용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상부베젤에 고정되는 고정파트; 및
    상기 고정파트에서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파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파트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베젤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자동차용 램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젤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광섬유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하부베젤의 일측에 고정하게 구비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를 상기 하부베젤의 타측에 고정하게 구비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상기 광섬유가 고정되는 위치와 상기 베젤부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게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하부베젤에 고정되고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광섬유의 상기 타단부를 고정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과의 사이에 상기 광섬유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하여 상기 광섬유를 고정하게 마련되는 자동차용 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하부베젤에 고정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상부베젤을 향하는 방향인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 및
    상기 지지몸체로부터 상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가 관통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끼움부재가 삽입되는 끼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후크결합되는 끼움브라켓; 및
    상기 끼움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결합 시에 상기 끼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광섬유를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제1 끼움블록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끼움블록은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 사이에 상기 끼움부재가 삽입되는 끼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2 고정돌기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고, 상기 끼움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광섬유를 탄성 가압하여 고정되게 하는 제2 끼움블록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끼움블록은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램프.
  15. 자동차용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로서,
    상기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고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베젤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되고 상기 광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광섬유; 및
    상기 베젤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가 상기 베젤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광섬유에 텐션을 가하도록 구비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210051898A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20145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898A KR20220145163A (ko)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7/718,505 US11858415B2 (en) 2021-04-21 2022-04-12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DE202022102103.1U DE202022102103U1 (de) 2021-04-21 2022-04-20 Leuchte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Leuchte
CN202220915955.XU CN217154050U (zh) 2021-04-21 2022-04-20 用于车辆的灯和包括其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898A KR20220145163A (ko)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163A true KR20220145163A (ko) 2022-10-28

Family

ID=8261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898A KR20220145163A (ko) 2021-04-21 2021-04-21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58415B2 (ko)
KR (1) KR20220145163A (ko)
CN (1) CN217154050U (ko)
DE (1) DE202022102103U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4850B1 (en) * 2019-07-26 2020-12-1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Light pipe assemblies for interior panels of a vehicle
KR102380886B1 (ko) 2019-10-31 2022-04-01 주식회사 필로시스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CN114321765B (zh) * 2020-10-12 2023-11-24 丰田纺织株式会社 包括照明装置和运输工具内部部件的安装组件
KR20220151444A (ko) * 2021-05-06 2022-1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2102103U1 (de) 2022-07-11
US20220340077A1 (en) 2022-10-27
CN217154050U (zh) 2022-08-09
US11858415B2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814B1 (ko)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US5700080A (en) Vehicular lamp
JP2012089602A (ja) 発光装置
KR20140054251A (ko) 차량용 조명 장치
JP2013232305A (ja) 車両用灯具
US7527386B1 (en) Spring-mounted light guide
WO2019177050A1 (ja) 車両用前照灯
KR100715896B1 (ko) 아웃사이드 미러의 턴 시그널 램프
KR20220145163A (ko)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13958919A (zh) 光纤照明设备
CN110274210B (zh) 车辆用前照灯
CN217503538U (zh) 用于车辆的灯和包括其的车辆
US20240052990A1 (en) Exterior Luminaire for a Motor Vehicle
CN209744276U (zh) 车辆用前照灯
CN115398144A (zh) 光模块、前照灯、机动车以及用于制造光模块的方法
JP6652720B2 (ja) ランプユニット、及び車両用ドア
KR102557248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도어
JP7420634B2 (ja) 車両用灯具
CN219246327U (zh) 照明标志组件
CN219571725U (zh) 一种光纤格栅
KR20220145168A (ko) 자동차용 램프, 자동차 및 자동차용 램프의 제조방법
CN218032963U (zh) 一种光学组件、照明装置及车辆
JP7407668B2 (ja) 灯具ユニット
JP7044981B2 (ja) ランプユニット
US20240142076A1 (en) Motor vehicle light module comprising a low wall for positioning and/or attaching an optic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