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886B1 -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0886B1
KR102380886B1 KR1020190137756A KR20190137756A KR102380886B1 KR 102380886 B1 KR102380886 B1 KR 102380886B1 KR 1020190137756 A KR1020190137756 A KR 1020190137756A KR 20190137756 A KR20190137756 A KR 20190137756A KR 102380886 B1 KR102380886 B1 KR 10238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rug
holder
drug cartridg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898A (ko
Inventor
최우혁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로시스
Priority to KR1020190137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886B1/ko
Priority to US17/030,336 priority patent/US20210128838A1/en
Publication of KR2021005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22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81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comprising means for biasing the ampoule out of the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25Details specific display means, e.g. to indicate dose se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Abstract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카트리지 홀더는 내부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약물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CARTRIDGE HOLDER AND MEDICINIE INJECTION DEVICE COMPRSING THE SAME}
아래의 실시 예는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슐린 의존 환자는, 자가 혈당 측정 기기(Self measurement blood glucose)로 공복, 점심 식후, 저녁 식전, 저녁 식후, 및 취침 전 등의 각 시점마다 혈당을 측정해야 했다. 인슐린 의존 환자는, 상술한 혈당 측정 결과에서 혈당조절이 필요한 경우,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적절한 양의 인슐린을 결정하여 주입함으로써, 혈당을 관리했다.
상술한 혈당 관리를 위해서는 자가 혈당 측정 기기, 인슐린 카트리지, 인슐린 주입장치 등이 요구된다. 또한, 인슐린 의존 환자는 측정된 혈당수치와 주입한 인슐린의 양을 정확히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전문의에게 보여주어 피드백을 받아야 했다.
예를 들어, 인슐린 의존 환자는, 현재 자신의 혈당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를 뚫어서 채취된 혈액을 테스트 스트립에 떨어트려서 자가 혈당 측정 기기를 통해 현재 혈당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자가 혈당 측정 기기를 통해 혈당조절이 필요하다고 확인이 된 경우,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인슐린주입기를 준비할 수 있다.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의사가 권고한 만큼의 주입량을 인슐린주입기에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인슐린 주입기를 주사할 피부 부위에 올려놓은 후, 수동으로 주입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인슐린 의존 환자는 혈당조절기록지 등에 측정된 혈당수치와 인슐린 주입량을 직접 기록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3199호는 "카트리지 홀더 및 펜형 주사기"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약물 카트리지에 호환성을 가지는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약물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동시에 정위치로 정렬시킴으로써 용이한 체결이 가능한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카트리지 홀더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는 내부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는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단면 중심을 상기 홀더 케이스의 단면 중심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는 상기 홀더 케이스의 내주면 및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에 외력을 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홀더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홀더 케이스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홀더 케이스의 단면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홀더 케이스의 단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홀더 케이스는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더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홀더 슬롯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 케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홀더 케이스에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홀더 케이스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등간격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홀더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주면을 감싸는 카트리지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는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슬롯에는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약물 카트리지를 정렬시키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홀더 케이스는 원주 방향을 따라 외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홀더 케이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고리 형태의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홀더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압축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약물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내부 삽입공간에 약물이 저장된 약물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홀더 케이스와, 상기 삽입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에 외력을 가해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카트리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 상기 약물을 사용자 체내로 주입하기 위한 니들을 포함하는 니들부; 및 상기 카트리지 홀더와 연결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니들로 약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약물 카트리지에 압력을 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는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단면 중심이 상기 홀더 케이스의 단면 중심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약물 카트리지에 외력을 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 케이스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면서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에너지를 통해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등간격을 형성하면서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는 다양한 규격의 약물 카트리지에 호환성을 가짐으로써, 범용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는 약물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동시에 정위치로 정렬시킴으로써, 약물 카트리지의 체결을 간이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라인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VI 라인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다른 카트리지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I-XI 라인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투과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 라인에 따른 사시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U)의 신체 내 생체 물질의 정보를 센싱하고, 사용자(U) 신체에 약물을 주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U)의 신체에 침습(invasion)되는 방식, 다시 말해, 사용자(U) 피부를 관통하여 사용자(U) 체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물 주입 장치(1)가 삽입되는 사용자(U) 피부 내 삽입 부위를 '침습 부위(A)'로 표현하도록 한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침습 부위(A)로 삽입되어 사용자(U) 체내로 대상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주입 장치(1)를 통해 사용자(U) 체내로 주입되는 대상 약물은 인슐린(insulin)일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에는 약물 카트리지(C, 도 4 참조)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 주입 장치(1)에는 다양한 규격의 약물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약물 주입 장치(1)는 약물 카트리지의 규격에 관계없이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니들부(11), 본체 하우징(15), 디스플레이부(16), 조작부(17), 카트리지 홀더(10), 구동부(12), 분석부 및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11)는 침습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니들부(11)는 사용자 체내로 삽입되어 침습 부위로 약물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 체내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니들부(11)는 약물 주입뿐 아니라 사용자 체액을 흡입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약물 주입 장치(1)가 침습 부위(A)에 삽입되어 사용자 체액을 흡입함으로써 사용자(U) 체내의 생체 물질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생체 물질은 체액 내 성분, 예를 들어, 포도당(glucose)일 수 있다.
니들부(11)는 본체 하우징(1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니들부(11)는 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니들부(11)는 본체 하우징(15)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니들부(11)가 본체 하우징(1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도록 한다.
니들부(11)는 본체 하우징(15)에 연결되는 지지부(111)와, 지지부(11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니들(1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니들(112)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본체 하우징(1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1)는 카트리지 홀더(1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본체 하우징(15)에 체결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1)는 후술하는 분석부, 제어부(13)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니들(112)은 사용자 체내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니들(112)은 지지부(111)로부터 돌출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사용자 피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단부가 뾰족한 첨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니들(112)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을 통해 약물 카트리지(C) 내부의 약물이 사용자 체내로 주입될 수 있다.
정리하면, 니들부(11)는 약물 주입 장치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위생상 문제로 인해 니들부(11)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니들부(11)는 본체 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주입 장치는 니들부(11)의 교체 편이성을 가짐으로써, 높은 유지보수성과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6)는 본체 하우징(15)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게 약물 주입 장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는 약물 주입 장치를 통해 분석된 대상 생체 물질 관련 정보나, 약물 주입 장치 작동에 관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를 통해 사용자는 혈당량 또는 인슐린 주입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는 사용자에게 텍스트, 기호, 그래프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조작부(17)는 본체 하우징(15)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17)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control action)에 의해 작동되고, 작동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13)에 전달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0)는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0)는 내부에 삽입된 약물 카트리지(C)와 체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0)에 약물 카트리지(C)가 체결된 상태에서, 약물 카트리지(C)는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에 따라 니들부(11) 방향으로 약물을 토출할 수 있다.
구동부(12)는 약물 카트리지(C)로부터 약물이 토출되도록, 약물 카트리지(C)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동부(12)는 카트리지 홀더(10)와 연결되고, 카트리지 홀더(10)에 체결된 약물 카트리지(C)의 일측에 외력(external force)을 인가함으로써, 약물 카트리지(C) 내부의 약물을 니들부(11)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분석부는 사용자 생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니들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획득된 대상 생체 물질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내 혈당량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는 분석된 생체 물질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U)의 체내로 주입되어야 할 약물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는 측정된 사용자 혈당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슐린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분석부는 혈당량 및 인슐린의 관계에 대한 알고리즘을 통해 인슐린 주입량을 결정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U)의 의료기록에 기초하여 적합한 인슐린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분석부를 통한 사용자 체내 약물 주입량의 결정 프로세스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13)는 약물 주입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분석부를 통해 결정된 약물 주입량에 따라,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약물 카트리지(C)로부터 니들(112) 헤드로 토출되는 약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VI-VI 라인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사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VI-VI 라인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홀더(10)는 약물 카트리지(C)와 체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0)는 내부에 약물 카트리지(C)를 삽입하고, 삽입된 약물 카트리지(C)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0)에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된 상태에서, 약물 카트리지(C)는 규격에 관계없이 체결 가능한 정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홀더(10)는 다양한 규격의 약물 카트리가 사용될 수 있는 높은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10)는 홀더 케이스(101) 및, 카트리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1)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간(101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1)의 삽입공간(1011)에는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1)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고리(r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단면을 기준으로 홀더 케이스(101)의 내경은 약물 카트리지(C)의 외경 이상일 수 있다.
카트리지 지지부는 홀더 케이스(101)의 삽입공간(1011)에 삽입된 약물 카트리지(C)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약물 카트리지(C)가 약물 주입 장치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약물 카트리지(C)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중심(O)과 홀더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중심(O)이 일치할 필요가 있다.
카트리지 지지부는 홀더 케이스(101)에 연결되고, 삽입공간(1011)에 삽입된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 지지부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약물 카트리지(C)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중심(O)과 홀더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중심(O)을 일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카트리지 지지부의 지지를 통해 약물 카트리지(C)는 홀더 케이스(101)의 삽입 공간(1011) 내에서 정렬될 수 있다.
카트리지 지지부는 홀더 케이스(101)의 내주면 및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02)는 홀더 케이스(101)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삽입 공간(1011) 내에서 약물 카트리지(C)의 위치를 정렬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 공간(1011)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02)는 홀더 케이스(101)의 내주면으로부터 홀더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중심(O)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재(102)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에 접촉한 상태로 홀더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중심(O)으로부터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중심(O)으로부터 지지부재(102) 사이의 거리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경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지지부재(102)는 약물 카트리지(C)의 규격에 관계없이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을 지지하면서 외력을 가해, 약물 카트리지(C)를 정렬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약물 카트리지(C)가 정렬된 상태에서, 약물 카트리지(C)의 단면 중심(O) 및 홀더 케이스(101)의 단면 중심(O)은 도 7과 같이 일치할 수 있다. 단면 중심(O)으로부터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까지의 거리(r)는 단면 중심(O)으로부터 홀더 케이스(101)의 내주면까지의 거리(R)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02)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약물 카트리지(C)가 홀더 케이스(101)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1)는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더 슬롯(10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 슬롯(103)은 홀더 케이스(101)의 외면 및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슬롯(103)은 홀더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102)는 홀더 슬롯(103) 내에 위치한 상태로, 단부가 홀더 케이스(10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02)와 홀더 케이스(101)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부재(102)는 홀더 케이스(101)의 내측으로 돌출된 일 수 있다.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 공간(1011)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부재(102)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을 지지하면서 홀더 케이스(101)의 원주 방향으로 외력을 받을 수 있다. 지지부재(102)는 원주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 에너지를 통해 약물 카트리지(C)를 홀더 케이스(101)의 단면 중심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101)에는 복수의 지지부재(102)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재(102)는 홀더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등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삽입 공간(1011)에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복수의 지지부재(102)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의 서로 다른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재(102)가 지지하는 부위는 약물 카트리지(C)의 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02)는 도 6과 같이 4개가 구비되고 4개의 지지부재(102)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을 90° 간격으로 등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부재(102)가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을 동시에 가압하기 때문에, 약물 카트리지(C)의 단면 중심이 홀더 케이스(101)의 단면 중심에 위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부재(102)의 가압력의 합력이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카트리지(C)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정면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다른 카트리지 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XI-XI 라인에 다른 약물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20)는 홀더 케이스(201) 및 카트리지 지지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201)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에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201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케이스(20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홀더 케이스(201)의 외면에 형성되는 삽입홈(2041)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041)은 홀더 케이스(20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041)에는 복수의 관통홀(204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2042)은 삽입홈(2041)의 내측에 형성되고, 등 간격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2042)은 도 10과 같이 4개가 형성되고, 4개의 관통홀(2042)은 홀더 케이스(201)의 단면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지지부(202)는 고리 형태의 링부재(2021)와, 링부재(202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돌기(2022)를 포함할 수 있다. 링부재(2021)는 홀더 케이스(201)의 둘레를 감싸도록 삽입홈(2041)에 끼워질 수 있다. 링부재(2021)는 삽입홈(2041)의 깊이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링부재(2021)가 삽입홈(2041)에 끼워진 상태에서, 링부재(2021)의 외주면과 홀더 케이스(201)의 외주면은 단차지지 않을 수 있다. 링부재(2021)가 삽입홈(2041)에 끼워진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돌기(2022) 각각은 복수의 관통홀(2042)에 삽입될 수 있다. 관통홀(2042)에 삽입된 지지돌기(2022)는 홀더 케이스(201)의 수용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2042)이 4개가 형성되고 4개의 관통홀(2042)은 홀더 케이스(201)의 단면을 기준으로 90°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 링부재(2021) 역시 4개의 지지돌기(2022)를 가져, 각 관통홀(2042) 마다 지지돌기(2022)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돌기(2022)는 압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2022)는 삽입 공간에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된 상태에서,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지지돌기(2022)는 약물 카트리지(C)에 의해 홀더 케이스(201)의 원주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돌기(2022)는 약물 카트리지(C) 및 홀더 케이스(201) 사이의 간격을 메꾸는 동시에, 약물 카트리지(C)를 홀더 케이스(201)의 단면 중심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카트리지 가이드는 홀더 케이스(201)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약물 카트리지(C)의 규격에 관계없이,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을 지지하면서 약물 카트리지(C)를 정렬시킬 수 있다. 즉, 지지돌기(2022)는 압축 가능하므로, 약물 카트리지(C)의 외경이 커지는 경우에도 지지돌기(2022)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의 투과 사시도이고,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가이드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XIV-XIV 라인에 따른 사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 홀더(30)는 홀더 케이스(301), 카트리지 가이드(303) 및, 카트리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3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링 형상일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30)의 내경은 약물 카트리지(C)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카트리지 가이드(303)는 홀더 케이스(301)의 삽입 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약물 카트리지(C)를 수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 가이드(303)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링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카트리지 가이드(303)는 홀더 케이스(301)의 내주면 및 약물 카트리지(C)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 가이드(303)의 외경은 홀더 케이스(301)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카트리지 가이드(303)는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슬롯(30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슬롯(3031)은 단면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지지부는 복수의 가이드 슬롯(3031) 내에 각각 배치되도록 카트리지 가이드(303)에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부재(30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재(3032)는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을 지지한 상태로 카트리지 지지부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재(3032)는 탄성력을 통해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카트리지 가이드(303) 내에서의 약물 카트리지(C)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지지부재(3032)는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홀더 케이스(301)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면서 탄성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탄성 에너지를 통해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약물 카트리지(C)의 직경이 홀더 케이스(301)의 직경에 비해 작은 경우, 즉, 약물 카트리지(C)의 크기에 비해 홀더 케이스(301)의 삽입 공간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카트리지 가이드(303)는 약물 카트리지(C)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 가이드(303)는 약물 카트리지(C) 및 홀더 케이스(301) 사이의 공간을 메꿈으로써, 약물 카트리지(C)가 삽입 공간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가이드(303)에 연결된 카트리지 지지부를 통해 약물 카트리지(C)의 외면을 지지함으로써, 약물 카트리지(C)를 정렬된 위치, 즉, 약물 카트리지(C) 및 홀더 케이스(301)의 단면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약물 주입 장치
10: 약물 카트리지
11: 니들부
C: 약물 카트리지

Claims (14)

  1. 약물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카트리지 홀더에 있어서,
    내부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약물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카트리지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케이스는,
    원주 방향을 따라 외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홀더 케이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는,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고리 형태의 링부재와, 상기 링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홀더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지지부는,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단면 중심을 상기 홀더 케이스의 단면 중심과 일치시켜 상기 약물 카트리지를 정렬시키는, 카트리지 홀더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약물 카트리지가 체결되는 카트리지 홀더에 있어서,
    내부에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홀더 케이스;
    상기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고,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주면을 감싸는 카트리지 가이드; 및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약물 카트리지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약물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가이드는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슬롯에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약물 카트리지를 정렬시키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홀더.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압축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약물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약물 카트리지에 탄성력을 가하는, 카트리지 홀더.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137756A 2019-10-31 2019-10-31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38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56A KR102380886B1 (ko) 2019-10-31 2019-10-31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US17/030,336 US20210128838A1 (en) 2019-10-31 2020-09-23 Cartridge holder and medicine injection device compr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56A KR102380886B1 (ko) 2019-10-31 2019-10-31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98A KR20210051898A (ko) 2021-05-10
KR102380886B1 true KR102380886B1 (ko) 2022-04-01

Family

ID=7568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756A KR102380886B1 (ko) 2019-10-31 2019-10-31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28838A1 (ko)
KR (1) KR102380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163A (ko) 2021-04-21 2022-10-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567711B1 (ko) * 2021-08-17 2023-08-17 주식회사 덴티스 핸드피스용 앰플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746A (ja) * 2009-07-31 2013-01-10 エス・ホー・エル・グループ・アクチボラゲット 薬剤容器ホルダ構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88510T3 (es) * 2012-04-11 2016-11-03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Soporte de cartucho e inyector tipo pluma
US10518033B2 (en) * 2014-09-30 2019-12-31 Phc Corporation Pharmaceutical cartridge holding unit, and pharmaceutical injection device provided therewith
EP3597237A1 (en) * 2018-07-18 2020-01-22 Sanofi Cartridge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746A (ja) * 2009-07-31 2013-01-10 エス・ホー・エル・グループ・アクチボラゲット 薬剤容器ホルダ構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898A (ko) 2021-05-10
US20210128838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886B1 (ko) 카트리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CN203694220U (zh) 输注套具、插入器和输注套具组件
EP1536854B1 (en) A needle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US7762994B2 (en) Needle mount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WO2020131159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te sensor insertion
JP2018161505A (ja) 注入セット組立体
CN110064098B (zh) 用于将传感器经皮引入患者体内的注射器
US20220233781A1 (en) Injection device with dosage monitoring
KR20210048662A (ko) 주사기
US8469985B2 (en) Puncture instrument
US10299826B2 (en) Needle for invasive medical use and needle assembly
KR102406997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403085B1 (ko) 약액 주입 장치
KR102302990B1 (ko) 약물 주입 장치
KR20230108851A (ko) 약물 주입 시스템
KR20210059951A (ko) 주사기 및 주사기용 안전 장치
CN110063729B (zh) 用于通过经皮传感器对患者进行分析的系统
KR102267358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303485B1 (ko) 약물 주입 장치
KR20210012715A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20230114520A (ko) 약물 주입 시스템
KR102424553B1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20200032308A (ko) 휴대형 자동 주사 장치의 카트리지 고정 가이드 구조
KR20200000025A (ko) 디지털 당뇨 주사장치
KR20220131693A (ko)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