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085B1 -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085B1
KR102403085B1 KR1020190169186A KR20190169186A KR102403085B1 KR 102403085 B1 KR102403085 B1 KR 102403085B1 KR 1020190169186 A KR1020190169186 A KR 1020190169186A KR 20190169186 A KR20190169186 A KR 20190169186A KR 102403085 B1 KR102403085 B1 KR 10240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edle
patch
injecti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490A (ko
Inventor
한용준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KR102019016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085B1/ko
Priority to PCT/KR2020/018122 priority patent/WO2021118282A2/ko
Priority to US17/757,184 priority patent/US20230011504A1/en
Priority to EP20899359.2A priority patent/EP4056211A4/en
Publication of KR2021007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와, 패치부가 장착되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스탬핑부가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니들과,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며, 센서부와 주입부가 단일의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 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Medical liquid infu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장치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액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인체에 주입할 필요가 있다. 일정한 기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 형태의 약액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약액 주입을 통한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을 환자의 몸에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이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소형의 약액 주입 장치를 통하여 소량의 약액을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와 사용자의 체내에 인슐린 등의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센서와 주입 장치를 각각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배치해야 하는 등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부와 주입부가 단일의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 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탬핑부를 푸싱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인하여, 스탬핑부가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며 센서부에 연결되는 제1니들과,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순간적으로 삽입되었다가 이탈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 및 상기 패치부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탬핑부가 상기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니들과,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본체; 및 상기 제2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패치부가 안착되는 패치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주입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주입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주입커버; 상기 주입커버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인 주입하우징; 상기 주입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인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에 삽입가능한 상기 제2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입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니들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하우징과 상기 제2니들홀더부는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 및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 상에서 이동가능한 샤프트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샤프트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패치홀더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한 제1니들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홀더부는, 상기 제1니들이 위치 고정되는 제1니들홀더본체;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를 상기 패치홀더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제1니들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니들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에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가능한 센서장착홈이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탬핑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센서장착홈이 형성되는 상기 패치부를 마주보는 일면에 센서부가 돌출 배치되는 센서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니들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니들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센서모듈을 커버하는 센서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사용자가 스탬핑부를 푸싱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인하여, 스탬핑부가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니들과,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순간적으로 삽입되었다가 이탈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이 동력전달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의 직선 운동이 동력전달샤프트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주입커버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동력전달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주입커버가 함께 회전되며, 제2니들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가 주입하우징 내에서 이동하고,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니들홀더본체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제1니들홀더본체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샤프트홀더본체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패치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가 스탬핑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주입부가 사용자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에서 제2니들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패치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가 스탬핑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주입부가 사용자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에서 제2니들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는, 패치부(100), 센서부(200), 스탬핑부(300), 제1니들홀더부(400), 센서장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6a, 도 6b, 도 6c,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는 사용자의 피부(S)를 통해 체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것으로, 주입부(110), 부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센서장착부(500)에 장착되는 센서부(200)가 탈착가능하도록 센서장착홈(102)이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200)로 인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는 별도의 구동부(도면부호 미설정)가 설치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부(도면부호 미설정)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 설치되는 구동부는 펌프 방식으로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의 약액을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수용부에서 약액을 전달받을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의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는 뒤에 설명할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패치홀더부(350)와 탈착이 가능하며, 스탬핑부(300)에 패치부(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눌러 패치부(100)를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부(S)로부터 이격시키면 패치부(100),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부착부(12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하게 되고, 부착부(120)에 부착되는 접착물질(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패치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으로 수용부에 수용되는 약액을 미리 설정되는 시간에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 전달받아 사용자의 체내에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 튜브부(115), 제2니들홀더부(116), 탄성부재(119e), 실링부재(119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커버(111)는 뒤에 설명할 동력전달부(370)와 연결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커버(111)에는 삽입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부(112)는 동력전달샤프트(371)를 마주보는 주입커버(111)의 일면(도 5 기준 상면) 상에 동력전달샤프트(371)의 하단부(도 2 기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79)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홈부(112)가 주입커버(111)에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동력전달부(370)의 일면에 삽입홈부(112)에 대응되도록 돌출부(37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주입커버(111)에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동력전달부(370)의 일면(도 2 기준 하면)에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부(112)(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돌출부(379)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하우징(113)은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뒤에 설명할 제2니들홀더부(116)가 미리 설정된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입하우징(113)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니들홀더부(116)가 상하 방향(도 5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하우징(113)은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며, 주입커버(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는 단턱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제2니들홀더부(116)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17) 와 마주보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스토퍼(117)가 걸쳐지도록 단턱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4)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토퍼(117)가 걸림으로 인하여 제2니들홀더부(116)의 이동이 제한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주입하우징(113)의 중심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턱부(114)는 주입하우징(113)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내주면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입커버(111) 및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는 주입하우징(113)이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도 회전되며, 단턱부(114)가 회전됨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단턱부(114)에서 이격되며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니들(118)이 사용자의 피부(S) 표면에서 이격될 수 있고, 제2니들(118)의 외측에 배치되는 튜브부(115)가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수용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제2니들(118), 제2니들(118)과 연통되는 튜브부(115)를 통해 약액이 사용자의 피부(S)를 통과하여 체내에 주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115)는 주입하우징(113)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부(115)는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튜브홀더(115h)에 결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115)의 내측에는 제2니들(118)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니들(118)이 사용자의 피부(S)를 뚫고 체내로 진입할 때, 튜브부(115)도 함께 사용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제2니들홀더부(116) 및 제2니들홀더부(116)에 설치되는 제2니들(118)이 사용자로부터 이격되면, 튜브부(115)는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채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115)는 튜브홀더(115h)를 통과하며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며, 본 발명에서는 튜브홀더(115h)와 튜브부(115)가 별물로서 독립적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되며 주입하우징(113)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홀더부(116)는 튜브부(115)에 삽입가능한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것으로, 주입하우징(113)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홀더부(116)는 주입커버(111) 및 주입하우징(113)과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대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니들홀더부(116)의 외주면에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 측 방향, 즉,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 측 방향으로 스토퍼(1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에 걸쳐질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는 걸림 해제될 수 있으며,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119e)가 제2니들홀더부(116)를 주입하우징(113)의 저면(도 5 기준)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9b 기준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입하우징(113)에 설치되는 튜브부(115)가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채로, 제2니들(118)은 사용자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수용부와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제2니들(118), 제2니들(118)이 삽입되는 튜브부(115)를 통해 약액이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위치 고정되고, 주입하우징(113) 및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주입커버(11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간 걸림이 해제되면서,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주입하우징(113) 및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주입커버(111)가 위치 고정되고,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간 걸림이 해제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사이에는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119e)가 배치될 수 있고, 탄성부재(119e)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에서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9b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118)은 제2니들홀더부(116)에 설치되는 것으로, 튜브부(115)에 삽입 가능하다. 튜브부(115)에 삽입되는 제2니들(118)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은 패치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용부(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며, 수용부로부터 약액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니들(118)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용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이 제2니들(118)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튜브부(115)의 내부로 유동되고, 튜브부(115)를 통해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될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19e)는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2니들홀더부(116)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19e)는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119e)가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도 5 기준) 사이에 배치되며,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에서 상측 방향(도 5 기준)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에서 걸림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119e)의 복원력에 의해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부재(119e)가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커버(111)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19e)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제2니들홀더부(116)를 탄성 지지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판스프링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19s)는 주입커버(111)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것으로, 주입커버(111)와 패치부(100)의 패치하우징(101)의 연결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입커버(111)와 주입하우징(113)의 결합 구조체인 주입부(110)가 패치하우징(101)에 밀착되도록 하고, 주입부(11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19s)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19s)가 주입커버(111)와 패치하우징(101)에 모두 밀착되도록 하여 주입부(110)와 패치하우징(101)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120)는 패치부(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패치하우징(10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패치부(100)의 전, 후, 좌, 우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패치하우징(101)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사용자의 피부(S) 상에 배치하고, 스탬핑부(300)를 푸싱(pushing)하여, 스탬핑부(3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되고, 스탬핑부(300)가 피부(S)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부착부(120)가 패치하우징(10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부착부(120)에는 접착물질(도면 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부착부(120)가 패치하우징(101)으로부터 펼쳐져서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 시 접착될 수 있고,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4, 도 6a 내지 도 6c,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0)는 패치부(100)에 장착가능한 것으로, 센서모듈(210), 센서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210)은 뒤에 설명할 제1니들(301)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니들(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210)은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 CGM) 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니들(211)이 사용자의 피부(S)를 통과하여 박힘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센서니들(211)을 포함하며, CGM 센서로 형성되는 센서모듈(210)에 관한 일반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커버(230)는 센서모듈(210)과 결합되는 것으로, 센서모듈(210)을 커버할 수 있다. 센서커버(230)는 패치부(100), 구체적으로 센서장착홈(102)에 탈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센서모듈(210)이 패치부(100)에 장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센서커버(230)는 센서모듈(210)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210)이 결합되는 센서커버(230)는 뒤에 설명할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에 형성되는 홈(도면부호 미설정)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 상에 연결시키고,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를 향해 푸싱하면,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와 센서커버(230)의 결합이 해제되고, 센서커버(230)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 간의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센서부(200)가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에서 이격되며 패치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6a, 도 7a, 도 8a,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300)는 패치부(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센서부(200)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3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300)는 제1본체(310), 제2본체(330), 패치홀더부(350), 동력전달부(370), 샤프트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310)는 스탬핑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330)는 제1본체(310)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푸싱하게 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한 상태인 제2본체(330) 상에서 제1본체(310)가 하측(도 6b 기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홀더부(350)는 제2본체(330)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1본체(310)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패치부(100)가 안착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6a,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홀더부(350)에는 뒤에 설명할 샤프트홀더부(373), 구체적으로 샤프트홀더본체(374)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 제1니들홀더부(400)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샤프트홀더부(373), 제1니들홀더부(4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3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어부(35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뒤에 설명할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각각 전, 후, 좌, 우측에서 4개가 형성되며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어부(351)에서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마주보는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의 일면과 마주보는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일면도 이동제어부(351)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이동제어부(351)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376, 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70)는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 사이를 연결하며, 주입부(1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주입부(110)에 연결되는 제2니들(118)을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70)는 동력전달샤프트(371), 샤프트홀더부(373), 탄성부재(37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371)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주입부(110)와 연결되며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371)의 주입부(110) 측 일단부에는 주입부(110) 측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37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79)는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패치부(100)가 패치홀더부(350)에 장착되면, 주입커버(111)에 형성되는 삼입홈부에 돌출부(379)가 삽입되며, 동력전달샤프트(371)가 패치부(100), 구체적으로 주입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샤프트(371)가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 및 주입커버(111)에 연결되는 주입하우징(113)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79), 삽입홈부(112)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돌출부(379), 삽입홈부(112)는 동력전달샤프트(371), 주입커버(111)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37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동력전달샤프트(371)는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 사이에 배치되며,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만큼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가 이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 상에서 제2본체(330)가 상, 하 방향으로 제1본체(3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샤프트홀더부(373)는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것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도 2, 도 3, 도 7a,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동력전달샤프트(371)에는 회전가이드홈(372)이 형성되고, 샤프트홀더부(373), 구체적으로 샤프트홀더본체(374)에는 회전가이드홈(372)을 향해 가이드본체(37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샤프트홀더본체(374)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가 회전가이드홈(372)에 안착될 수 있다. 샤프트홀더본체(374)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는 미리 설정되는 직선 경로 상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76)는 샤프트홀더본체(374)와 패치홀더부(350) 사이에 배치되고, 샤프트홀더본체(374)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7a 기준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76)는, 샤프트홀더본체(374)와 제2본체(330) 사이에 배치되는 패치홀더부(350), 구체적으로 이동제어부(351)가 제1본체(310) 내에서 제2본체(330)가 상대 이동함에 따라 제2본체(330)와 이격되면 샤프트홀더본체(374)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7c 기준 상측 방향)으로 밀게 되며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샤프트홀더본체(37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샤프트홀더본체(37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가 미리 설정된 직선 경로 상에서만 상, 하측 방향(도 8b 기준)으로 이동되며, 동력전달샤프트(37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홈(372)은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가이드홈(372)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이상의 직선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2이상의 직선 경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본체(375)가 회전가이드홈(372)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본체(375)는 회전가이드홈(372)의 서로 다른 직선 경로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본체(375)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가이드홈(372)이 형성되는 동력전달샤프트(371)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동력전달샤프트(37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패치부(100),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 및 주입커버(111)가 결합되는 주입하우징(113)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커버(390)는 제1본체(3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6a, 도 6b,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니들홀더부(400)는 제1니들(301)이 설치되는 것으로, 패치홀더부(350)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니들홀더부(400)는, 제1니들홀더본체(410), 탄성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는 제1니들(301)이 위치 고정되는 것이고, 탄성부재(430)는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패치홀더부(350)를 접촉 지지하고, 제1니들홀더본체(410)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는 패치홀더부(350)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와 면접촉되고, 이동제어부(351)와 면접촉되는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이동제어부(351)의 일면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에 형성되는 제1니들(301)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센서모듈(210), 구체적으로 센서니들(2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내부에 센서니들(211)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1니들(301)이 사용자의 피부(S)를 통과하며 박히고, 사용자가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를 푸싱함에 따라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측(도 7b 기준)으로 이동하면서 제1니들(301)이 함께 이동하고, 센서니들(211)은 여전히 사용자의 피부(S)에 박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4,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500)는 스탬핑부(300)와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센서장착홈(102)이 형성되는 패치부(100)를 마주보는 일면에 센서부(200)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200)가, 패치부(100)를 마주보는 센서장착부(500)의 일면에 돌출 배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탬핑부(300)와 센서장착부(500) 간 결합 시 센서장착부(500)에 배치되는 센서부(200)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에 장착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4,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500)는 아웃케이스(510), 이너케이스(5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케이스(510)는 일측(도 1 기준 상측)이 개구되는 것으로, 스탬핑부(300)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케이스(530)는 아웃케이스(5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센서부(200)가 안착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케이스(510)의 내주면에는 외측 방향, 구체적으로 아웃케이스(5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걸림턱(51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케이스(530)의 외주면에는,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에 삽입됨에 따라 아웃케이스(5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513)에 걸쳐지도록 걸림부(5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케이스(510)에는 이너케이스(530)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부(511)가 길이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리브부(511)를 마주보는 이너케이스(530)의 내부면에는 리브부(511)가 안착되도록 홈이 길이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가이드(5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아웃케이스(510)에 형성되는 리브부(511)가 이너케이스(530)에 형성되는 리브가이드(531),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며,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에 대하여 길이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는, 패치부(100), 센서부(200), 스탬핑부(300), 제1니들홀더부(400), 센서장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센서장착부(500)는 아웃케이스(510), 이너케이스(530)를 포함하고, 이너케이스(530)의 일면(도 1 기준 상면)에는 센서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0)는 패치부(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장착부(500)에 장착된 상태로 보관을 하게 되며, 사용자가 패치부(100)를 피부(S)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센서장착부(500)로부터 스탬핑부(300)에 장착되는 패치부(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200)의 멸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를 파지하여 제1본체(3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본체(330)가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본체(3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과 아웃케이스(5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이 서로 면접촉되도록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탬핑부(300)가 센서장착부(50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본체(310)를 하측 방향(도 6b 기준)으로 푸싱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푸싱하면, 제1본체(310), 동력전달샤프트(371)로 제1본체(310)와 연결되는 패치홀더부(350)가 제2본체(330) 상에서 하측 방향(도 6b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와 함께 제2본체(330)의 하단부는 이너케이스(53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고, 여기서 사용자가 다시 제1본체(310)를 푸싱하면,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의 내측에서 하측 방향(도 6b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과 아웃케이스(5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이 서로 면접촉되며, 이너케이스(530)의 일면에 장착되는 센서부(200)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500)에 장착된 센서부(200)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에 장착된 후에 사용자는 스탬핑부(300)를 파지하여 센서장착부(5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도 6c, 도 7a를 참조하면,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패치홀더부(350)에 장착되는 패치부(100)에는 센서부(200)가 장착되고, 스탬핑부(300)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인 제1니들(301)은 센서니들(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는 센서부(200)가 장착된 상태이며, 스탬핑부(300)에 설치되는 제1니들(301)의 내측에는 센서니들(21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 튜브부(115), 제2니들홀더부(116), 탄성부재(119e), 실링부재(119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도 9a를 참조하면,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단턱부(114)에 걸쳐지게 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스토퍼(117)가 단턱부(114)에 걸쳐짐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는, 상측(도 9a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튜브부(115)의 내부에 제2니들(118)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도 9a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도 9a 기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19e)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고, 탄성부재(119e)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9a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나, 스토퍼(117)가 단턱부(114)에 걸쳐진 상태이므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를 파지한 상태로 제2본체(330)를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제1본체(310)를 사용자의 피부(S) 측 방향(도 7b 기준 하측 방향)으로 푸싱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본체(310)를 푸싱함에 따라, 제2본체(33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본체(310) 및 제1본체(3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패치홀더부(350)가 제2본체(330)를 따라 하측(도 7b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는 동력전달부(370),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로 연결되며, 이로 인하여 제1본체(310)가 제2본체(330)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패치부(100)가 장착되는 패치홀더부(350)도 사용자의 피부(S) 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센서니들(2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니들(301)은 제1니들홀더부(400), 구체적으로 제1니들홀더본체(410)에 결합되고,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패치홀더부(350) 사이에는 탄성부재(430)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에는 패치홀더부(350)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본체(310), 패치홀더부(350)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제어부(351)와 제2본체(330)의 내벽이 이격되고, 제2본체(330)의 내벽에서 이동제어부(351)가 이격됨에 따라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제어부(351)가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제1니들(301)과 센서니들(211)이 박힌 상태에서,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니들(301)이 결합되는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며, 상측 방향(도 7c 기준)으로 이동되고, 사용자의 피부(S)에는 센서니들(211)이 박힌 상태를 유지하며, 제1니들(301)은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에 결합되는 제2니들(118)은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튜브부(11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에 걸쳐지고,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 사이에는 탄성부재(119e)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샤프트홀더본체(37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가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372)에 안착되고, 샤프트홀더본체(374)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에는 패치홀더부(350)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본체(310), 패치홀더부(350)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제어부(351)와 제2본체(330)의 내벽이 이격되고, 제2본체(330)의 내벽에서 이동제어부(351)가 이격됨에 따라 탄성부재(3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제어부(351)가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도 7c,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제2니들(118)과 튜브부(115)가 박힌 상태에서, 탄성부재(3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샤프트홀더본체(374)가 상측 방향(도 8b 기준)으로 이동된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외측에 배치되는 샤프트홀더본체(37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의 위치는 고정되며, 샤프트홀더본체(374)가 탄성부재(376)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회전가이드홈(372)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 시 동력전달샤프트(371)가 시계 방향(도 8b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홈(372)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직선 운동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7c, 도 8b, 도 9b를 참조하면, 동력전달샤프트(371)가 회전됨에 따라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주입커버(111)가 회전될 수 있다. 주입커버(111)가 회전됨에 따라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는 주입하우징(113)이 회전될 수 있다.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이 위치 고정되는 제2니들홀더부(116)에 대하여 상대 회전됨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토퍼(117)가 단턱부(114)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는 탄성부재(119e)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측(도 9b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제2니들(118)과 튜브부(115)가 박힌 상태에서, 탄성부재(119e)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니들(118)이 결합되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에서 이격되며, 상측 방향(도 7c 기준)으로 이동되고, 사용자의 피부(S)에는 튜브부(115)가 박힌 상태를 유지하며, 제2니들(118)은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제2니들(118)은 여전히 튜브부(115)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며, 패치부(100)에 설치되는 수용부로부터 약액을 전달받아 제2니들(118), 튜브부(1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내에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 주기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치부(100)의 패치하우징(101)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는 부착부(120)가 접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되며, 패치부(100)는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되도록 들어올림에 따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고, 패치부(100)가 패치홀더부(350)로부터 결합 해제되면서 부착부(120)가 펼쳐지며, 접착물질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센서니들(211), 튜브부(115)가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상태를 유지하며, 패치부(10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는, 센서부(200)와 주입부(110)가 단일의 장치인 패치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 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푸싱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인하여, 스탬핑부(300)가 패치부(100)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니들(301)과, 주입부(110)에 연결되는 제2니들(118)이 함께 사용자의 피부(S)에 순간적으로 삽입되었다가 이탈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372)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직선 운동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돌출부(379)가 주입커버(111)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12)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동력전달샤프트(371)가 회전됨에 따라 주입커버(111)가 함께 회전되며,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 내에서 이동하고, 제2니들(118)이 사용자의 피부(S)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350)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350)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350)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가 탄성부재(3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350)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링부재(119s)로 인하여 주입부(110)와 패치하우징(101) 사이에서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약액 주입 장치 S: 피부
100: 패치부 101: 패치하우징
102: 센서장착홈 110: 주입부
111: 주입커버 112: 삽입홈부
113: 주입하우징 114: 단턱부
115: 튜브부 115h: 튜브홀더
116: 제2니들홀더부 117: 스토퍼
118: 제2니들 119e, 376, 430: 탄성부재
119s: 실링부재 120: 부착부
200: 센서부 210: 센서모듈
211: 센서니들 230: 센서커버
300: 스탬핑부 301: 제1니들
310: 제1본체 330: 제2본체
350: 패치홀더부 351: 이동제어부
370: 동력전달부 371: 동력전달샤프트
372: 회전가이드홈 373: 샤프트홀더부
374: 샤프트홀더본체 375: 가이드본체
379: 돌출부 390: 샤프트커버
400: 제1니들홀더부 410: 제1니들홀더본체
500: 센서장착부 510: 아웃케이스
511: 리브부 513: 걸림턱
530: 이너케이스 531: 리브가이드
533: 걸림부

Claims (15)

  1.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 및
    상기 패치부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탬핑부가 상기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니들과,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고,
    상기 스탬핑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본체; 및
    상기 제2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패치부가 안착되는 패치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주입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주입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 및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 상에서 이동가능한 샤프트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2.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 및
    상기 패치부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탬핑부가 상기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니들과,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고,
    상기 스탬핑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본체; 및
    상기 제2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패치부가 안착되는 패치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주입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주입커버;
    상기 주입커버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인 주입하우징;
    상기 주입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인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에 삽입가능한 상기 제2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입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니들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하우징과 상기 제2니들홀더부는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3.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 및
    상기 패치부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탬핑부가 상기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니들과,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고,
    상기 스탬핑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본체; 및
    상기 제2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패치부가 안착되는 패치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주입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주입커버;
    상기 주입커버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인 주입하우징;
    상기 주입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인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에 삽입가능한 상기 제2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입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니들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샤프트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패치홀더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한 제1니들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홀더부는,
    상기 제1니들이 위치 고정되는 제1니들홀더본체;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를 상기 패치홀더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제1니들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니들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에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가능한 센서장착홈이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탬핑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센서장착홈이 형성되는 상기 패치부를 마주보는 일면에 센서부가 돌출 배치되는 센서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니들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니들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센서모듈을 커버하는 센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KR1020190169186A 2019-12-11 2019-12-17 약액 주입 장치 KR10240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186A KR102403085B1 (ko) 2019-12-17 2019-12-17 약액 주입 장치
PCT/KR2020/018122 WO2021118282A2 (ko) 2019-12-11 2020-12-11 약액 주입 장치
US17/757,184 US20230011504A1 (en) 2019-12-11 2020-12-11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EP20899359.2A EP4056211A4 (en) 2019-12-11 2020-12-11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186A KR102403085B1 (ko) 2019-12-17 2019-12-17 약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490A KR20210077490A (ko) 2021-06-25
KR102403085B1 true KR102403085B1 (ko) 2022-05-30

Family

ID=7662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186A KR102403085B1 (ko) 2019-12-11 2019-12-17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310A1 (ko) * 2021-12-17 2023-06-22 이오플로우㈜ 약액 주입 장치
WO2024049118A1 (ko) * 2022-08-28 2024-03-07 이오플로우㈜ 약액 주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8123A (ja) * 2006-10-31 2010-03-18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注入装置および方法
JP2013509269A (ja) 2009-10-30 2013-03-14 セブンス セン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皮膚に適用される比較的小型のデバイス、モジュラ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922B1 (ko) * 1997-04-30 1999-12-15 최수봉 포도당 센서를 가지는 주사액 자동주입기
EP2650032A1 (en) * 2012-04-11 2013-10-16 PharmaSens AG Subcutaneous needle insertion mechanism
KR101918221B1 (ko) * 2016-11-17 2018-11-14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8123A (ja) * 2006-10-31 2010-03-18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注入装置および方法
JP2013509269A (ja) 2009-10-30 2013-03-14 セブンス セン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皮膚に適用される比較的小型のデバイス、モジュラ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490A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0207B (zh) 包括皮肤可安装设备及其包装件的组件
EP2459057B1 (en) Reservoir plunger head system
KR102403085B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10120111A2 (ko) 니들유닛 및 이를 이용한 피부용 액체침투장치
TWI565496B (zh) 藥物輸送幫浦用之與藥物容器連接的無菌液體通道連接件
RU2443436C2 (ru) Канюльное и доста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9719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nfusion of therapeutic fluids and sensing of bodily analytes
EP2493538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a cannula associated with a portable therapeutic device
CN105327418A (zh) 用于维持输送治疗流体的系统和装置
KR20100017619A (ko) 캐뉼라와 약물공급장치
JP2013516239A (ja) 接続整合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838310A1 (en) Needle assembly and drug injection device including same
JP2010525868A (ja) リザーバ充填/気泡管理/注入媒体送給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を用いる方法
JP2006525046A (ja) 取り外し可能な針挿入作動部を有する皮膚に取り付け可能な注入装置
US20210128838A1 (en) Cartridge holder and medicine injection device comprsing the same
KR20190101062A (ko) 무통 마취 주사장치
US10751472B2 (en) Drug injecting implement equipped with sliding attachment unit
US11980737B2 (en) Wearable drug delivery device
US20230381408A1 (en) Wearable drug delivery device
US20230011504A1 (en)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US20210393873A1 (en) Wearable drug delivery device
KR20200108123A (ko) 의료용 클립장치
WO2022202280A1 (ja) 薬液投与装置
RU2818640C2 (ru) Инфузионная система
WO2023243201A1 (ja) 穿刺装置及び穿刺装置を備えた薬液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