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18282A2 - 약액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18282A2
WO2021118282A2 PCT/KR2020/018122 KR2020018122W WO2021118282A2 WO 2021118282 A2 WO2021118282 A2 WO 2021118282A2 KR 2020018122 W KR2020018122 W KR 2020018122W WO 2021118282 A2 WO2021118282 A2 WO 202111828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injection
needle
patc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1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1118282A3 (ko
Inventor
전호민
한용준
Original Assignee
이오플로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6501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928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691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03085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오플로우(주) filed Critical 이오플로우(주)
Priority to EP20899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56211A4/en
Priority to US17/757,184 priority patent/US20230011504A1/en
Publication of WO202111828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8282A2/ko
Publication of WO202111828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1828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3Using a biosensor

Definitions

  • the sensor unit a sensor module including a sensor needle disposed inside the first needle; and a sensor cover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and covering the sensor module.
  •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A to 7C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unit and an injection unit are in contact with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A and 8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rot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A and 9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needle moves in the inj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ug solution passes through the user's skin (S), the effect that can be injected into the body there is
  • the tube part 115 is installed in the injection housing 113 and may have a hollow interior.
  • the tube portion 115 may be coupled to the tube holder 115h coupled to the injection housing 113 and fixed in position.
  • the second needle holder part 1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needle 118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tube part 115 is installed, the injection housing It may be movably disposed on the inside of (113).
  • the sensor module 210 may include a sensor needle 211 disposed inside the first needle 301 to be described later.
  • the protrusion 379 may be protru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jection unit 110 , specifically the insertion groove 112 formed in the injection cover 111 , and the patch unit 100 .
  •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371 is the patch part 100, specifically the injection part 110. can be connected to
  • the elastic member 37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shaft holder body 374 and the patch holder part 350, and the shaft holder body 374 is attached to the patch holder. It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part 350 (upward direction based on FIG. 7A ).
  •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371 in which the rotation guide groove 372 is relatively formed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 the sensor moun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stamping unit 300, and the sensor mounting groove 102 is
  • the sensor unit 200 may be protruded from one surface facing the patch unit 100 to be formed.
  • the 'driving state' refers to the state of the driving unit 11b for the injection unit 10 to operate normally, and whether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11b to the needle unit 11a, the driving unit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11b).
  • the danger signal generating unit 13b relates to the voltage of the battery unit 17 from the driving sensor 13a that sens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unit 17 that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for drug injection.
  • a third danger signal related to the voltage of the battery unit 17 may be generated.
  • the band unit 2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alarm housing, and the alarm body 21 , specifically the stimulus transmitting unit 21a, is in contact with the user H.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 the alarm unit 20 can communicate with the injection unit 10 , and receives information for detecting an abnormal symptom of the driving state of the injection unit 10 to the user H Stimulation can be applied while in contact.
  • the electrode unit 21a1 receives the first to fourth stimulation signals from the stimulation signal generating unit 21a3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uscles of the user H through the skin of the user H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unit 21a1. stimuli can be transmit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bet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와, 패치부가 장착되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스탬핑부가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니들과,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며, 센서부와 주입부가 단일의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 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
본 발명은 약액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주입장치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몸 안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에 의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환자 자신 또는 보호자와 같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과 같은 약액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인체에 주입할 필요가 있다. 일정한 기간 동안 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패치 형태의 약액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약액 주입 장치는 환자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약액 주입을 통한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약액 주입 장치는 약액을 환자의 몸에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이 제어될 필요가 있는데, 소형의 약액 주입 장치를 통하여 소량의 약액을 정밀하게 주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와 사용자의 체내에 인슐린 등의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고, 사용자가 센서와 주입 장치를 각각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배치해야 하는 등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액 주입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면, 약액이 정상적으로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되지 않게 되고, 사용자가 약액 주입 장치를 직접 확인 하지 않는 이상 이러한 비상상황에 대하여 긴급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부와 주입부가 단일의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 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탬핑부를 푸싱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인하여, 스탬핑부가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며 센서부에 연결되는 제1니들과,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순간적으로 삽입되었다가 이탈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주입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 및 상기 패치부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탬핑부가 상기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니들과,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본체; 및 상기 제2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패치부가 안착되는 패치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주입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주입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주입커버; 상기 주입커버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인 주입하우징; 상기 주입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인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에 삽입가능한 상기 제2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입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니들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하우징과 상기 제2니들홀더부는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 및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 상에서 이동가능한 샤프트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샤프트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패치홀더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한 제1니들홀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홀더부는, 상기 제1니들이 위치 고정되는 제1니들홀더본체;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를 상기 패치홀더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제1니들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니들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에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가능한 센서장착홈이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탬핑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센서장착홈이 형성되는 상기 패치부를 마주보는 일면에 센서부가 돌출 배치되는 센서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니들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니들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센서모듈을 커버하는 센서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내에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본체; 상기 주입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입본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구동검출부; 상기 구동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상기 주입본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상기 주입본체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알람본체; 및 상기 주입본체, 상기 구동검출부 및 상기 알람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주입본체, 상기 구동검출부 및 상기 알람본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본체는, 사용자의 체내에 침투가능한 니들부; 및 상기 니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검출부는,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상태를 센싱하는 구동센서; 및 상기 구동센서로부터 센싱된 상기 구동부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신호를 생성하는 위험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액 주입 장치는, 상기 주입본체, 상기 구동검출부를 포함하는 주입부와; 상기 알람본체를 포함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본체, 상기 구동검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주입부에 구비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알람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알람부에 위치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와 상기 알람부는 서로 통신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람본체는, 상기 제2제어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자극을 가하는 자극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는, 사용자가 스탬핑부를 푸싱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인하여, 스탬핑부가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니들과,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함께 사용자의 피부에 순간적으로 삽입되었다가 이탈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이 동력전달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의 직선 운동이 동력전달샤프트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주입커버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동력전달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주입커버가 함께 회전되며, 제2니들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가 주입하우징 내에서 이동하고,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니들홀더본체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제1니들홀더본체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샤프트홀더본체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가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입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여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본체가 주입본체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주입본체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본체가 사용자의 손목 등 피부에 접촉한 상태로 알람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알람부를 착용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용자를 제외한 제3자는 사용자가 주입부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전달받는 자극을 인지할 수 없으며, 사용자만이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패치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가 스탬핑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주입부가 사용자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에서 제2니들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본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검출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본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전달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약액 주입 장치의 알람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패치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가 스탬핑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 주입부가 사용자에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에서 제2니들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는, 패치부(100), 센서부(200), 스탬핑부(300), 제1니들홀더부(400), 센서장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6a, 도 6b, 도 6c,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는 사용자의 피부(S)를 통해 체내에 약물을 주입하는 것으로, 주입부(110), 부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는 뒤에 설명할 센서장착부(500)에 장착되는 센서부(200)가 탈착가능하도록 센서장착홈(102)이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200)로 인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는 별도의 구동부(도면부호 미설정)가 설치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약액이 수용되는 수용부(도면부호 미설정)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 설치되는 구동부는 펌프 방식으로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의 약액을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수용부에서 약액을 전달받을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의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는 뒤에 설명할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패치홀더부(350)와 탈착이 가능하며, 스탬핑부(300)에 패치부(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눌러 패치부(100)를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부(S)로부터 이격시키면 패치부(100),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부착부(12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하게 되고, 부착부(120)에 부착되는 접착물질(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패치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으로 수용부에 수용되는 약액을 미리 설정되는 시간에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 전달받아 사용자의 체내에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 튜브부(115), 제2니들홀더부(116), 탄성부재(119e), 실링부재(119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커버(111)는 뒤에 설명할 동력전달부(370)와 연결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커버(111)에는 삽입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부(112)는 동력전달샤프트(371)를 마주보는 주입커버(111)의 일면(도 5 기준 상면) 상에 동력전달샤프트(371)의 하단부(도 2 기준)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379)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홈부(112)가 주입커버(111)에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동력전달부(370)의 일면에 삽입홈부(112)에 대응되도록 돌출부(379)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주입커버(111)에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이와 마주보는 동력전달부(370)의 일면(도 2 기준 하면)에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부(112)(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돌출부(379)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하우징(113)은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뒤에 설명할 제2니들홀더부(116)가 미리 설정된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입하우징(113)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니들홀더부(116)가 상하 방향(도 5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하우징(113)은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며, 주입커버(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는 단턱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뒤에 설명할 제2니들홀더부(116)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17) 와 마주보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스토퍼(117)가 걸쳐지도록 단턱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14)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토퍼(117)가 걸림으로 인하여 제2니들홀더부(116)의 이동이 제한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주입하우징(113)의 중심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턱부(114)는 주입하우징(113)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내주면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입커버(111) 및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는 주입하우징(113)이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도 회전되며, 단턱부(114)가 회전됨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단턱부(114)에서 이격되며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니들(118)이 사용자의 피부(S) 표면에서 이격될 수 있고, 제2니들(118)의 외측에 배치되는 튜브부(115)가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수용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제2니들(118), 제2니들(118)과 연통되는 튜브부(115)를 통해 약액이 사용자의 피부(S)를 통과하여 체내에 주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115)는 주입하우징(113)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부(115)는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튜브홀더(115h)에 결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115)의 내측에는 제2니들(118)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니들(118)이 사용자의 피부(S)를 뚫고 체내로 진입할 때, 튜브부(115)도 함께 사용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제2니들홀더부(116) 및 제2니들홀더부(116)에 설치되는 제2니들(118)이 사용자로부터 이격되면, 튜브부(115)는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채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부(115)는 튜브홀더(115h)를 통과하며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며, 본 발명에서는 튜브홀더(115h)와 튜브부(115)가 별물로서 독립적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되며 주입하우징(113)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홀더부(116)는 튜브부(115)에 삽입가능한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것으로, 주입하우징(113)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홀더부(116)는 주입커버(111) 및 주입하우징(113)과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대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니들홀더부(116)의 외주면에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 측 방향, 즉,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 측 방향으로 스토퍼(1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에 걸쳐질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는 걸림 해제될 수 있으며,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119e)가 제2니들홀더부(116)를 주입하우징(113)의 저면(도 5 기준)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9b 기준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입하우징(113)에 설치되는 튜브부(115)가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채로, 제2니들(118)은 사용자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수용부와 연결되며 내부가 중공인 제2니들(118), 제2니들(118)이 삽입되는 튜브부(115)를 통해 약액이 사용자의 체내로 주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위치 고정되고, 주입하우징(113) 및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주입커버(11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간 걸림이 해제되면서,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주입하우징(113) 및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주입커버(111)가 위치 고정되고,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간 걸림이 해제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사이에는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119e)가 배치될 수 있고, 탄성부재(119e)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에서 미리 설정되는 방향(도 9b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니들(118)은 제2니들홀더부(116)에 설치되는 것으로, 튜브부(115)에 삽입 가능하다. 튜브부(115)에 삽입되는 제2니들(118)의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은 패치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용부(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며, 수용부로부터 약액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니들(118)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며, 수용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이 제2니들(118)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튜브부(115)의 내부로 유동되고, 튜브부(115)를 통해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될 수 있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19e)는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2니들홀더부(116)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19e)는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119e)가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도 5 기준) 사이에 배치되며,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에서 상측 방향(도 5 기준)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에서 걸림 해제됨에 따라 탄성부재(119e)의 복원력에 의해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내부에서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부재(119e)가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커버(111)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도 9b 기준)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19e)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제2니들홀더부(116)를 탄성 지지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판스프링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5,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19s)는 주입커버(111)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것으로, 주입커버(111)와 패치부(100)의 패치하우징(101)의 연결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주입커버(111)와 주입하우징(113)의 결합 구조체인 주입부(110)가 패치하우징(101)에 밀착되도록 하고, 주입부(11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119s)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19s)가 주입커버(111)와 패치하우징(101)에 모두 밀착되도록 하여 주입부(110)와 패치하우징(101) 사이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부(120)는 패치부(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패치하우징(10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패치부(100)의 전, 후, 좌, 우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패치하우징(101)에 접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사용자의 피부(S) 상에 배치하고, 스탬핑부(300)를 푸싱(pushing)하여, 스탬핑부(300)의 내측에 배치되는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되고, 스탬핑부(300)가 피부(S)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부착부(120)가 패치하우징(10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부착부(120)에는 접착물질(도면 미도시)이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부착부(120)가 패치하우징(101)으로부터 펼쳐져서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 시 접착될 수 있고,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4, 도 6a 내지 도 6c,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0)는 패치부(100)에 장착가능한 것으로, 센서모듈(210), 센서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210)은 뒤에 설명할 제1니들(301)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니들(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210)은 연속혈당측정(Continuous Glucose Monitor, CGM) 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니들(211)이 사용자의 피부(S)를 통과하여 박힘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혈당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센서니들(211)을 포함하며, CGM 센서로 형성되는 센서모듈(210)에 관한 일반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커버(230)는 센서모듈(210)과 결합되는 것으로, 센서모듈(210)을 커버할 수 있다. 센서커버(230)는 패치부(100), 구체적으로 센서장착홈(102)에 탈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센서모듈(210)이 패치부(100)에 장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센서커버(230)는 센서모듈(210)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210)이 결합되는 센서커버(230)는 뒤에 설명할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에 형성되는 홈(도면부호 미설정)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 상에 연결시키고,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를 향해 푸싱하면,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와 센서커버(230)의 결합이 해제되고, 센서커버(230)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 간의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센서부(200)가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에서 이격되며 패치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3, 도 6a, 도 7a, 도 8a,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300)는 패치부(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센서부(200)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3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부(300)는 제1본체(310), 제2본체(330), 패치홀더부(350), 동력전달부(370), 샤프트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310)는 스탬핑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본체(330)는 제1본체(310)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푸싱하게 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한 상태인 제2본체(330) 상에서 제1본체(310)가 하측(도 6b 기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홀더부(350)는 제2본체(330)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1본체(310)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패치부(100)가 안착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6a,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홀더부(350)에는 뒤에 설명할 샤프트홀더부(373), 구체적으로 샤프트홀더본체(374)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 제1니들홀더부(400)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샤프트홀더부(373), 제1니들홀더부(4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3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어부(35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뒤에 설명할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각각 전, 후, 좌, 우측에서 4개가 형성되며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어부(351)에서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마주보는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의 일면과 마주보는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일면도 이동제어부(351)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이동제어부(351)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376, 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70)는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 사이를 연결하며, 주입부(1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주입부(110)에 연결되는 제2니들(118)을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370)는 동력전달샤프트(371), 샤프트홀더부(373), 탄성부재(37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371)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주입부(110)와 연결되며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371)의 주입부(110) 측 일단부에는 주입부(110) 측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37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79)는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패치부(100)가 패치홀더부(350)에 장착되면, 주입커버(111)에 형성되는 삼입홈부에 돌출부(379)가 삽입되며, 동력전달샤프트(371)가 패치부(100), 구체적으로 주입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샤프트(371)가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 및 주입커버(111)에 연결되는 주입하우징(113)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379), 삽입홈부(112)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돌출부(379), 삽입홈부(112)는 동력전달샤프트(371), 주입커버(111)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샤프트(37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동력전달샤프트(371)는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 사이에 배치되며,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만큼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가 이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 상에서 제2본체(330)가 상, 하 방향으로 제1본체(3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 도 7a 내지 도 7c,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샤프트홀더부(373)는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것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도 2, 도 3, 도 7a,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동력전달샤프트(371)에는 회전가이드홈(372)이 형성되고, 샤프트홀더부(373), 구체적으로 샤프트홀더본체(374)에는 회전가이드홈(372)을 향해 가이드본체(37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샤프트홀더본체(374)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가 회전가이드홈(372)에 안착될 수 있다. 샤프트홀더본체(374)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는 미리 설정되는 직선 경로 상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76)는 샤프트홀더본체(374)와 패치홀더부(350) 사이에 배치되고, 샤프트홀더본체(374)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7a 기준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76)는, 샤프트홀더본체(374)와 제2본체(330) 사이에 배치되는 패치홀더부(350), 구체적으로 이동제어부(351)가 제1본체(310) 내에서 제2본체(330)가 상대 이동함에 따라 제2본체(330)와 이격되면 샤프트홀더본체(374)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도 7c 기준 상측 방향)으로 밀게 되며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샤프트홀더본체(37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샤프트홀더본체(37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가 미리 설정된 직선 경로 상에서만 상, 하측 방향(도 8b 기준)으로 이동되며, 동력전달샤프트(37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홈(372)은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가이드홈(372)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이상의 직선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2이상의 직선 경로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은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본체(375)가 회전가이드홈(372)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본체(375)는 회전가이드홈(372)의 서로 다른 직선 경로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본체(375)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회전가이드홈(372)이 형성되는 동력전달샤프트(371)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동력전달샤프트(37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패치부(100),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주입부(110), 구체적으로 주입커버(111) 및 주입커버(111)가 결합되는 주입하우징(113)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커버(390)는 제1본체(3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6a, 도 6b,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니들홀더부(400)는 제1니들(301)이 설치되는 것으로, 패치홀더부(350)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니들홀더부(400)는, 제1니들홀더본체(410), 탄성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는 제1니들(301)이 위치 고정되는 것이고, 탄성부재(430)는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패치홀더부(350)를 접촉 지지하고, 제1니들홀더본체(410)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는 패치홀더부(350)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와 면접촉되고, 이동제어부(351)와 면접촉되는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이동제어부(351)의 일면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시 경사지게 형성되는 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에 형성되는 제1니들(301)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센서모듈(210), 구체적으로 센서니들(2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내부에 센서니들(211)이 내부에 배치되는 제1니들(301)이 사용자의 피부(S)를 통과하며 박히고, 사용자가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를 푸싱함에 따라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측(도 7b 기준)으로 이동하면서 제1니들(301)이 함께 이동하고, 센서니들(211)은 여전히 사용자의 피부(S)에 박혀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 도 4,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500)는 스탬핑부(300)와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센서장착홈(102)이 형성되는 패치부(100)를 마주보는 일면에 센서부(200)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200)가, 패치부(100)를 마주보는 센서장착부(500)의 일면에 돌출 배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탬핑부(300)와 센서장착부(500) 간 결합 시 센서장착부(500)에 배치되는 센서부(200)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에 장착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 도 4,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500)는 아웃케이스(510), 이너케이스(5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케이스(510)는 일측(도 1 기준 상측)이 개구되는 것으로, 스탬핑부(300)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케이스(530)는 아웃케이스(5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센서부(200)가 안착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케이스(510)의 내주면에는 외측 방향, 구체적으로 아웃케이스(5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걸림턱(51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케이스(530)의 외주면에는,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에 삽입됨에 따라 아웃케이스(5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513)에 걸쳐지도록 걸림부(5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케이스(510)에는 이너케이스(530)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부(511)가 길이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리브부(511)를 마주보는 이너케이스(530)의 내부면에는 리브부(511)가 안착되도록 홈이 길이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가이드(5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아웃케이스(510)에 형성되는 리브부(511)가 이너케이스(530)에 형성되는 리브가이드(531),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며,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에 대하여 길이 방향(도 1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는, 패치부(100), 센서부(200), 스탬핑부(300), 제1니들홀더부(400), 센서장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센서장착부(500)는 아웃케이스(510), 이너케이스(530)를 포함하고, 이너케이스(530)의 일면(도 1 기준 상면)에는 센서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0)는 패치부(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장착부(500)에 장착된 상태로 보관을 하게 되며, 사용자가 패치부(100)를 피부(S)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센서장착부(500)로부터 스탬핑부(300)에 장착되는 패치부(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200)의 멸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를 파지하여 제1본체(3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본체(330)가 센서장착부(500), 구체적으로 이너케이스(53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본체(3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과 아웃케이스(5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이 서로 면접촉되도록 스탬핑부(300)를 센서장착부(50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탬핑부(300)가 센서장착부(50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본체(310)를 하측 방향(도 6b 기준)으로 푸싱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푸싱하면, 제1본체(310), 동력전달샤프트(371)로 제1본체(310)와 연결되는 패치홀더부(350)가 제2본체(330) 상에서 하측 방향(도 6b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와 함께 제2본체(330)의 하단부는 이너케이스(530)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고, 여기서 사용자가 다시 제1본체(310)를 푸싱하면, 이너케이스(530)가 아웃케이스(510)의 내측에서 하측 방향(도 6b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과 아웃케이스(5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일면이 서로 면접촉되며, 이너케이스(530)의 일면에 장착되는 센서부(200)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장착부(500)에 장착된 센서부(200)가 패치부(100)에 형성되는 센서장착홈(102)에 장착된 후에 사용자는 스탬핑부(300)를 파지하여 센서장착부(5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도 6c, 도 7a를 참조하면,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패치홀더부(350)에 장착되는 패치부(100)에는 센서부(200)가 장착되고, 스탬핑부(300)에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인 제1니들(301)은 센서니들(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부(100)에는 센서부(200)가 장착된 상태이며, 스탬핑부(300)에 설치되는 제1니들(301)의 내측에는 센서니들(21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10)는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 튜브부(115), 제2니들홀더부(116), 탄성부재(119e), 실링부재(119s)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도 9a를 참조하면,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116)에 형성되는 스토퍼(117)는,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형성되는 단턱부(114)에 걸쳐지게 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스토퍼(117)가 단턱부(114)에 걸쳐짐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는, 상측(도 9a 기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튜브부(115)의 내부에 제2니들(118)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도 9a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도 9a 기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19e)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고, 탄성부재(119e)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9a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으나, 스토퍼(117)가 단턱부(114)에 걸쳐진 상태이므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탬핑부(300), 구체적으로 제1본체(310)를 파지한 상태로 제2본체(330)를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제1본체(310)를 사용자의 피부(S) 측 방향(도 7b 기준 하측 방향)으로 푸싱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본체(310)를 푸싱함에 따라, 제2본체(33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본체(310) 및 제1본체(3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패치홀더부(350)가 제2본체(330)를 따라 하측(도 7b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본체(310)와 패치홀더부(350)는 동력전달부(370), 구체적으로 동력전달샤프트(371)로 연결되며, 이로 인하여 제1본체(310)가 제2본체(330)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패치부(100)가 장착되는 패치홀더부(350)도 사용자의 피부(S) 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센서니들(211)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니들(301)은 제1니들홀더부(400), 구체적으로 제1니들홀더본체(410)에 결합되고,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패치홀더부(350) 사이에는 탄성부재(430)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니들홀더본체(410)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에는 패치홀더부(350)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본체(310), 패치홀더부(350)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제어부(351)와 제2본체(330)의 내벽이 이격되고, 제2본체(330)의 내벽에서 이동제어부(351)가 이격됨에 따라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제어부(351)가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제1니들(301)과 센서니들(211)이 박힌 상태에서,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니들(301)이 결합되는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며, 상측 방향(도 7c 기준)으로 이동되고, 사용자의 피부(S)에는 센서니들(211)이 박힌 상태를 유지하며, 제1니들(301)은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에 결합되는 제2니들(118)은 주입하우징(113)에 결합되는 튜브부(11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2니들홀더부(116)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에 걸쳐지고, 제2니들홀더부(116)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 사이에는 탄성부재(119e)가 압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샤프트홀더본체(37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가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372)에 안착되고, 샤프트홀더본체(374)와 제2본체(330)의 내벽 사이에는 패치홀더부(350)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1본체(310), 패치홀더부(350)가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제어부(351)와 제2본체(330)의 내벽이 이격되고, 제2본체(330)의 내벽에서 이동제어부(351)가 이격됨에 따라 탄성부재(3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제어부(351)가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도 7c,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제2니들(118)과 튜브부(115)가 박힌 상태에서, 탄성부재(3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샤프트홀더본체(374)가 상측 방향(도 8b 기준)으로 이동된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외측에 배치되는 샤프트홀더본체(374)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375)의 위치는 고정되며, 샤프트홀더본체(374)가 탄성부재(376)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회전가이드홈(372)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 시 동력전달샤프트(371)가 시계 방향(도 8b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홈(372)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직선 운동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7c, 도 8b, 도 9b를 참조하면, 동력전달샤프트(371)가 회전됨에 따라 동력전달샤프트(371)와 연결되는 주입커버(111)가 회전될 수 있다. 주입커버(111)가 회전됨에 따라 주입커버(111)와 결합되는 주입하우징(113)이 회전될 수 있다.
주입커버(111), 주입하우징(113)이 위치 고정되는 제2니들홀더부(116)에 대하여 상대 회전됨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에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17)가 주입하우징(11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부(114)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토퍼(117)가 단턱부(114)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제2니들홀더부(116)는 탄성부재(119e)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측(도 9b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피부(S)에 제2니들(118)과 튜브부(115)가 박힌 상태에서, 탄성부재(119e)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니들(118)이 결합되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의 저면에서 이격되며, 상측 방향(도 7c 기준)으로 이동되고, 사용자의 피부(S)에는 튜브부(115)가 박힌 상태를 유지하며, 제2니들(118)은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제2니들(118)은 여전히 튜브부(115)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며, 패치부(100)에 설치되는 수용부로부터 약액을 전달받아 제2니들(118), 튜브부(1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체내에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 주기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치부(100)의 패치하우징(101)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되는 부착부(120)가 접힘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패치부(100)가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되며, 패치부(100)는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사용자의 피부(S)로부터 이격되도록 들어올림에 따라 패치홀더부(350)에서 이격되고, 패치부(100)가 패치홀더부(350)로부터 결합 해제되면서 부착부(120)가 펼쳐지며, 접착물질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센서니들(211), 튜브부(115)가 사용자의 피부(S)에 박힌 상태를 유지하며, 패치부(10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피부(S)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는, 센서부(200)와 주입부(110)가 단일의 장치인 패치부(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피부(S)에 부착 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스탬핑부(300)를 푸싱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인하여, 스탬핑부(300)가 패치부(100)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니들(301)과, 주입부(110)에 연결되는 제2니들(118)이 함께 사용자의 피부(S)에 순간적으로 삽입되었다가 이탈되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372)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에서 동력전달샤프트(371)의 길이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직선 운동이 동력전달샤프트(37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력전달샤프트(371)에 형성되는 돌출부(379)가 주입커버(111)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12)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동력전달샤프트(371)가 회전됨에 따라 주입커버(111)가 함께 회전되며, 제2니들(118)이 설치되는 제2니들홀더부(116)가 주입하우징(113) 내에서 이동하고, 제2니들(118)이 사용자의 피부(S)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니들홀더본체(410)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350)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제1니들홀더본체(410)가 탄성부재(4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350)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샤프트홀더본체(374)의 외주면과 패치홀더부(350)에 형성되는 이동제어부(351)가 경사지게 면접촉됨으로 인하여, 샤프트홀더본체(374)가 탄성부재(37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패치홀더부(350)로부터 안정적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링부재(119s)로 인하여 주입부(110)와 패치하우징(101) 사이에서의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본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검출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본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전달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약액 주입 장치의 알람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1)은, 주입부(10), 알람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0)는, 주입본체(11), 구동검출부(13), 제1제어부(15), 배터리부(17), 제1통신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본체(11)는 환자인 사용자(H)의 체내에 약액을 주입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약액은 당뇨 환자, 특히 소아 당뇨 환자인 사용자(H)의 체내에 주입되는 인슐린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본체(11)는 니들부(11a), 구동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11a)는 사용자(H)의 피부를 관통하여, 주입부(10)에 수용되는 약액을 사용의 체내로 유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니들부(11a)의 외측에는 내부가 중공인 튜브가 배치될 수 있고,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관통할 때 니들부(11a)의 외측에 배치되는 튜브가 함께 사용자(H)의 피부를 관통하며, 중공으로 형성되는 튜브를 통하여 약액을 사용자(H)의 체내에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b)는 니들부(1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배터리부(1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니들부(11a)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b)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 펌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11b)의 구동에 의해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통과하며 침투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11b)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기어를 통해 니들부(11a)에 전달되고,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체내를 향해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11b)가 기어 방식으로 니들부(11a)를 이동시키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니들부(11a)가 구동부(11b)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관통하여 사용자(H)의 체내로 약액을 주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b)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펌프의 구동에 의하여 인슐린 등의 약액을 튜브에 공급할 수 있으며, 튜브 내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외부, 즉 사용자(H)의 체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11b)는 뒤에 설명할 구동검출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검출부(13)는 주입본체(11), 구체적으로 구동부(11b)와 연결되어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니들부(11a)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함으로 인하여 주입본체(11), 구체적으로 구동부(11b)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 구동부(11b)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니들부(11a)가 제대로 이동하는지 여부 등에 관하여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검출부(13)는 주입본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주입본체(11)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검출부(13)는 구동센서(13a), 위험신호 생성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센서(13a)는 구동부(1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동 상태'라 함은, 주입부(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구동부(11b)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동부(11b)로부터 니들부(11a)로 동력이 전달되는지 여부, 구동부(11b)로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센서(13a)는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기어의 회전을 센싱할 수 있고, 기어가 미리 설정된 회전 반경만큼 이동됨에 따라 기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향해 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구동센서(13a)는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의 유량을 센싱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이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 외부로 배출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센서(13a)는 약액 주입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7)의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구동센서(13a)는 배터리부(17)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미리 설정되는 전압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정보를 뒤에 설명할 위험신호 생성부(13b)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구동센서(13a)로부터 센싱된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구동센서(13a)가 센싱한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가지는 위험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기어의 회전을 센싱하는 구동센서(13a)로부터 니들부(11a)와 연결되는 기어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되는 회전 반경에 따른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되는 경우 기어의 회전에 관한 제1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센서(13a)가 기어의 회전을 센싱하는 것은, 기어의 회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니들부(11a)의 이동을 간접적으로 센싱하는 효과가 있으며, 기어의 회전 반경이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된다는 것은 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니들부(11a)가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니들부(11a)가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하지 못하는 것은,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관통하지 못하고 사용자(H)의 피부에 막힌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위험신호는 기어의 회전 반경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정보,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뚫지 못하였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의 유량을 센싱하는 구동센서(13a)로부터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의 유량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이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 외부로 배출되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펌프 내에서 튜브, 니들부(11a)를 통해 사용자(H)의 체내로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이 미리 설정되는 유량에 따른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되는 경우 약액의 유량에 관한 제2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센서(13a)가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펌프 내에서 약액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은,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의 용량을 간접적으로 센싱하는 효과가 있다.
약액의 유량이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된다는 것은 펌프 내에서 인슐린 등의 약액이 사용자(H)의 체내로 미리 설정되는 양만큼 투입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위험신호는 사용자(H)의 체내로 주입되는 약액의 유량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정보, 펌프에 수용되는 약액이 소모되어 더 이상 공급할 수 없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약액 주입용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7)의 전압을 센싱하는 구동센서(13a)로부터 배터리부(17)의 전압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미리 설정되는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되는 경우 배터리부(17)의 전압에 관한 제3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부(17)의 전압이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되는 것은 배터리부(17)를 충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위험신호는 현재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부족하여 충전이 필요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구동부(11b)에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구동센서(13a)로부터 구동부(11b) 전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구동부(11b)에 전원이 순간적으로 공급 차단이 되는 경우에 제4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0)에서 구동부(11b)는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어야 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구동부(11b)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구동센서(13a)를 이를 감지하고, 이를 위험신호 생성부(13b)로 전달하여 제4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주입본체(11), 구동검출부(13), 배터리부(17), 제1통신부(19)를 포함하는 주입부(10) 및 알람본체(21), 제2통신부(25)를 포함하는 알람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주입본체(11), 구동검출부(13), 알람본체(2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입부(10)에 위치하는 제어부를 제1제어부(15), 알람부(20)에 위치하는 제어부를 제2제어부(23)로 정의하고, 이하, 제1제어부(15)부터 설명하고, 뒤에 알람부(20)에서 제2제어부(23)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5)는 주입본체(11), 구동검출부(13), 배터리부(17), 제1통신부(19)와 연결되는 것으로, 주입부(1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5)는 배터리부(1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주입본체(1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5)는 구동검출부(13)와 연결될 수 있고, 위험신호 생성부(13b)에서 생성되는 위험신호, 구체적으로 기어의 회전 반경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정보,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뚫지 못하였음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1위험신호, 사용자(H)의 체내로 주입되는 약액의 유량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정보, 펌프에 수용되는 약액이 소모되어 더 이상 공급할 수 없음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2위험신호,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부족하여 충전이 필요함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3위험신호, 구동부(11b)에 전원이 순간적으로 공급 차단되는 경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4위험신호를 각각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제어부(15)가 위험신호 생성부(13b)로부터 제1위험신호, 제2위험신호, 제3위험신호, 제4위험신호를 전달받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구동센서(13a)로부터 제1 내지 4위험신호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센서(13a)는 배터리부(17)와 연결되어, 배터리부(17)의 전압을 직접 측정하나, 제어부로부터 배터리부(17)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배터리부(17)의 전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5)는 구동검출부(13), 구체적으로 위험신호 생성부(13b)로부터 전달받은 위험신호, 구체적으로 제1 내지 4위험신호를 제1통신부(19)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5)에는 주입부(10)에 관한 데이터와 알람부(20)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는 주입부(10)에 관한 데이터와 알람부(20)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되는 주입부(10)에서 미리 설정되는 알람부(20)에만 송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알람부(20)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뒤에 설명할 알람부(20),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23)에서는 미리 설정되는 주입부(10)로부터만 제1 내지 4위험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1제어부(15)에서 생성되는 요청신호만에 매칭되는 허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17)는 주입부(10)에 위치하는 것으로, 주입부(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17)는 내장형, 교체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17)는 제1제어부(15), 주입본체(11), 구동검출부(13)부, 제1통신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제어부(15), 주입본체(11), 구동검출부(13)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부(19)는 뒤에 설명할 알람부(20)에 위치하는 제2통신부(25)와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부(19)를 포함하는 주입부(10)는 제2통신부(25)가 설치되는 알람부(20)와 무선으로 통신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선 통신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부(19)는 제1제어부(15)로부터 허가신호, 제1 내지 4위험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함께 알람부(20), 구체적으로 제2통신부(25)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통신부(19)에서는 제1제어부(15)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요청신호 및 제1 내지 제4위험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험신호를 제2통신부(25)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부(20)는,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알람본체(21), 제2제어부(23), 제2통신부(25), 밴드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본체(21)는 사용자(H)에 접촉한 상태로, 사용자(H)에게 주입본체(11)의 구동 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H)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본체(21)는 뒤에 설명할 제2제어부(23), 제2통신부(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알람본체(21)는 별도의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으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본체(21)는 제2제어부(23), 제2통신부(25), 배터리와 함께 알람부(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알람하우징(도면부호 미설정)에 설치될 수 있다. 알람하우징은 뒤에 설명할 밴드부(29)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본체(21)는 자극전달부(21a), 표시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전달부(21a)는 제2제어부(23)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H)에게 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전극부(21a1), 자극신호 생성부(21a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21a1)는 사용자(H)에 접촉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H)의 피부에 직접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극부(21a1)는 손목 등 사용자(H)의 피부를 마주보는 알람하우징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21a1)는 자극신호 생성부(21a3)로부터 자극신호를 전달받고, 접촉하고 있는 사용자(H)의 피부를 통해 사용자(H)의 근육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적 자극은 저주파 전기 자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극부(21a1)로부터 전기적 자극이 사용자(H)에 피부에 전달될 때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되었다는 사실을 외부에 노출하지 않은 채로 사용자(H) 본인만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소리 등 청각적으로 사용자(H)에게 알려지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H)의 프라이버시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신호 생성부(21a3)는 자극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2제어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자극신호 생성부(21a3)는 전극부(21a1)와 연결되며, 전극부(21a1)로 자극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신호 생성부(21a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극신호는 사용자(H)의 근육에 전달하는 자극의 자극 주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극 주기'라 함은, 사용자(H)의 손목 등 피부를 통해 전기적 자극을 전달할 때에 자극이 0이 되는 구간의 장단을 달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극신호 생성부(21a3)는 제2제어부(23)로부터 제2통신부(25)를 통해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신호, 구체적으로 기어의 회전 반경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정보, 니들부(11a)가 사용자(H)의 피부를 뚫지 못하였음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1위험신호, 사용자(H)의 체내로 주입되는 약액의 유량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정보, 펌프에 수용되는 약액이 소모되어 더 이상 공급할 수 없음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2위험신호,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부족하여 충전이 필요함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3위험신호, 구동부(11b)에 전원이 순간적으로 공급 차단되는 경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제4위험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자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자극신호 생성부(21a3)는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기어의 회전 반경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제1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1자극신호를 생성하고, 펌프에 수용되는 약액이 소모되어 더 이상 사용자(H)의 체내로 약액을 공급할 수 없음에 관한 제2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2자극신호를 생성하며,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부족한 상태임에 관한 제3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3자극신호를 생성하고, 구동부(11b)에 순간적으로 전원 공급 차단, 즉 리셋(reset)에 관한 제4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4자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4자극신호는 제2제어부(23)로 전달될 수 있고, 제2제어부(23)는 제1 내지 4자극신호가 전극부(21a1)를 통해 사용자(H)에게 전달될 때 사용자(H)가 제1 내지 제4자극신호가 제1 내지 4위험신호 중 특정 위험신호에 대응되는 것임을 구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H)에게 전달되는 자극신호의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1b)는 제2제어부(23)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2제어부(23)로부터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표시부(21b)는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H)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H)는 별도의 조작부를 통해 표시부(21b)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H)는 자극전달부(21a), 구체적으로 전극부(21a1)로부터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에 관한 제1 내지 제4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4자극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0,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3)는 알람본체(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알람부(20)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23)는 자극전달부(21a), 표시부(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3)는 제2통신부(25)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부(23)는 제2통신부(25)로부터 요청신호 및 제1 내지 4위험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험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제어부(23)에는 제1제어부(15)와 마찬가지로 주입부(10)에 관한 데이터와 알람부(20)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2제어부(23)는 주입부(10)에 관한 데이터와 알람부(20)에 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되는 주입부(10)로부터만 위험신호 수신이 가능하도록 특정 주입부(10)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허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2제어부(23)에서는 미리 설정되는 주입부(10)로부터 제1 내지 4위험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부(25)는 주입부(10)에 위치하는 제1통신부(19)와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부(25)는 제1통신부(19)와 무선으로 통신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선 통신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부(25)는 제1통신부(19)로부터 허가신호, 제1 내지 4위험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함께 제2제어부(23)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2통신부(25)에서는 제1통신부(19)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요청신호 및 제1 내지 제4위험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험신호를 제2제어부(23)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는 제2통신부(25)로부터 전달받은 요청신호와 허가신호를 비교하고, 매칭, 즉 대응되는 경우에 제1 내지 4위험신호를 자극신호 생성부(21a3)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29)는, 알람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으로, 알람본체(21), 구체적으로 자극전달부(21a)가 사용자(H)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29)는 사용자(H)의 손목에 감겨 착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약액 주입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약액 주입 장치(1)은 주입부(10), 알람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주입부(10)는 사용자(H)의 복부 또는 허리 등의 인체에 일정한 기간 동안 패치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알람부(20)는 주입부(10)와 분리되는 것으로, 사용자(H)의 손목 등에 착용 가능하다.
도 10, 도 17을 참조하면, 알람부(20)는 주입부(10)와 통신이 가능하며,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H)에게 접촉한 상태에서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부(20)는 접촉하고 있는 사용자(H)의 피부를 통해 사용자(H)의 근육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10)는 주입본체(11), 구동검출부(13), 제1제어부(15), 배터리부(17), 제1통신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검출부(13)는 사용자(H)의 체내에 약액을 주입하는 주입본체(11)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1, 도 12을 참조하면, 주입본체(11)는 니들부(11a), 구동부(11b)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검출부(13)는 구동센서(13a), 위험신호 생성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를 센싱하는 단계(S10)에서는 구동검출부(13), 구체적으로 구동센서(13a)가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동센서(13a)에서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센싱, 검출하면 센싱된 정보를 위험신호 생성부(13b)으로 전송(S20)하게 된다.
위험신호 생성부(13b)에는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관한 임계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구동센서(13a)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에 관한 정보, 즉, 센싱값을 임계값과 비교(S30)한다.
센싱값이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구동센서(13a)가 계속해서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를 센싱(S10)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센싱값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 위험신호 생성부(13b)에서 위험신호를 생성(S40)한다.
구체적으로, 구동센서(13a)는 구동부(1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센서(13a)는 니들부(11a)를 이동시키는 기어의 회전을 센싱하여, 기어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위험신호 생성부(13b)로 전달할 수 있다.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구동센서(13a)로부터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기어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되는 회전 반경에 따른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되는 경우에 기어의 회전에 관한 제1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기어의 회전 반경이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구동센서(13a)는 위험신호 생성부(13b)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지 않고, 계속하여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기어의 회전 상태에 관하여 센싱할 수 있다.
구동센서(13a)는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의 유량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되는 시간 간격에 따라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이 미리 설정되는 용량만큼 외부로 배출되는지 여부를 센싱하여, 펌프 내에서 약액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구동센서(13a)로부터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펌프 내에서 튜브, 니들부(11a)를 통해 사용자(H)의 체내로 유출되는 약액의 유량이 미리 설정되는 유량에 따른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되는 경우에 약액의 유량 부족에 관한 제2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약액의 유량 부족에 관한 정보는 펌프 내에 수용되는 약액의 용량의 부족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센서(13a)는 구동부(11b)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7)의 전압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배터리부(17)의 전압을 센싱하여, 배터리부(17)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구동센서(13a)로부터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구동부(11b)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미리 설정되는 임계값 미만으로 센싱되는 경우 배터리부(17)의 전압에 관한 제3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배터리부(17)의 전압에 관한 정보는 현재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부족하여 충전이 필요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센서(13a)는 구동부(11b)의 전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구동부(11b)에 전원이 순간적으로 공급 차단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주입부(10)에서 구동부(11b)는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는 상태를 유지해야하며,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구동부(11b)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위험신호 생성부(13b)는 구동센서(13a)로부터 구동부(11b)에 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구동센서(13a)가 구동부(11b)에 전원에 순간적으로 전압이 0이 된다든지, 미리 설정되는 임계값 미만의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제4위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위험신호 생성부(13b)에서 위험신호를 생성(S40)한 다음에는 위험신호를 송신, 수신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신호를 송신, 수신하는 단계(S5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센서(13a)의 각 센싱 상황에 대하여 생성되는 제1 내지 4위험신호가 제1제어부(15)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에는 주입부(1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주입부(10)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요청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1제어부(15)에서는 주입본체(11)의 구동 상태, 구체적으로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에 관한 제1 내지 4위험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전달받고, 이를 요청신호와 함께 제1통신부(19)로 전달한다.
제1통신부(19)는 무선 통신으로 요청신호, 제1 내지 4위험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2통신부(25)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통신부(19)와 제2통신부(25)가 무선으로 연결되며 신호를 송수신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 위험신호를 송신, 수신하는 단계(S50)는 위험신호, 요청신호를 송신, 수신하는 단계(S51), 요청신호, 허가신호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 위험신호를 자극신호 생성부(21a3)로 전달하는 단계(S53)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신호, 요청신호를 송신, 수신하는 단계(S51)에서는, 제2통신부(25)가 제1통신부(19)로부터 요청신호, 위험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제2제어부(23)로 전달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에는 주입부(10)에 관한 정보와 알람부(20)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며, 알람부(20)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허가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제2제어부(23)로 요청신호, 위험신호가 전달되면, 제2제어부(23)는 주입부(10)로부터 생성되고, 미리 설정되는 알람부(20)로의 접근을 요청하는 요청신호와, 알람부(20)로부터 생성되고, 미리 설정되는 주입부(10)의 접근만을 허가하는 허가신호가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에서는 요청신호, 허가신호에 저장되는 주입부(10), 알람부(20)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미리 설정되는 알람부(20)에 연결 가능한 주입부(1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요청신호, 허가신호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 인하여 미리 설정되는 알람부(20)만이, 미리 설정되는 주입부(10)의 구동부(11b)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를 감지, 전달할 수 있어 알람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요청신호, 허가신호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에서 요청신호, 허가신호가 매칭되면, 제2제어부(23)는 자극신호 생성부(21a3)로 위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자극신호 생성부(21a3)에서는 제2제어부(23)로부터 전달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험신호, 전술한 제1 내지 4위험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자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자극신호 생성부(21a3)는 구동부(11b), 구체적으로 기어의 회전 반경이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함에 관한 제1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1자극신호를 생성하고, 펌프에 수용되는 약액이 소모되어 더 이상 사용자(H)의 체내로 약액을 공급할 수 없음에 관한 제2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2자극신호를 생성하며, 배터리부(17)의 전압이 부족한 상태임에 관한 제3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3자극신호를 생성하고, 구동부(11b)에 순간적으로 전원 공급 차단, 즉 리셋에 관한 제4위험신호에 대응되는 제4자극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4자극신호는 제2제어부(23)로 전달될 수 있고, 제2제어부(23)는 제1 내지 4자극신호가 전극부(21a1)를 통해 사용자(H)에게 전달될 때 사용자(H)가 제1 내지 제4자극신호가 제1 내지 4위험신호에 각각 대응될 수 있음을 구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H)에게 전달되는 자극신호의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3)에서는 제1 내지 4자극신호를 전극부(21a1)에 전달하게 되고, 전극부(21a1)를 통해 사용자(H)에게 자극이 전달(S70)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부(21a1)는 자극신호 생성부(21a3)로부터 제1 내지 4자극신호를 전달받아 전극부(21a1)와 접촉하고 있는 사용자(H)의 피부를 통해 사용자(H)의 근육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전극부(21a1)는 사용자(H)의 손목 등 피부에 접촉한 상태로 알람부(20)에 위치하며, 사용자(H)가 알람부(20)를 착용함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H)를 제외한 제3자는 사용자(H)가 주입부(10)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가 감지된 경우 전달받는 자극을 인지할 수 없으며, 사용자(H)만이 전극부(21a1)와의 접촉을 통해 전기적 자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H)는 주입본체(11)의 구동 상태에 관하여 상이한 이상징후에 대한 위험신호에 대응되도록 자극 주기를 달리 형성하는 자극신호를 전극부(21a1)를 통해 전달받음으로 인하여 촉각만으로 현재 주입본체(11)의 구동 상태의 이상징후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액 주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산업상 이용하는,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할 수 있는 약액 주입 장치 등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부가 탈착가능하고, 약액을 사용자의 체내에 주입하는 주입부가 설치되는 패치부; 및
    상기 패치부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부에 연결가능한 제1니들을 포함하는 스탬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탬핑부가 상기 패치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니들과,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이 사용자의 피부에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부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내측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제2본체; 및
    상기 제2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본체와 미리 설정되는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패치부가 안착되는 패치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핑부는, 상기 제1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주입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입부에 연결되는 제2니들을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주입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주입커버;
    상기 주입커버와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인 주입하우징;
    상기 주입하우징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인 튜브부; 및
    상기 튜브부에 삽입가능한 상기 제2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주입하우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니들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하우징과 상기 제2니들홀더부는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커버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전달샤프트; 및
    상기 동력전달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샤프트 상에서 이동가능한 샤프트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샤프트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이 설치되고, 상기 패치홀더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한 제1니들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홀더부는,
    상기 제1니들이 위치 고정되는 제1니들홀더본체;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와 상기 패치홀더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니들홀더본체를 상기 패치홀더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홀더부에는 상기 제1니들홀더부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니들홀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부에는 상기 센서부가 장착가능한 센서장착홈이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탬핑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센서장착홈이 형성되는 상기 패치부를 마주보는 일면에 센서부가 돌출 배치되는 센서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니들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니들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과 결합되고, 상기 센서모듈을 커버하는 센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주입 장치.
PCT/KR2020/018122 2019-12-11 2020-12-11 약액 주입 장치 WO2021118282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99359.2A EP4056211A4 (en) 2019-12-11 2020-12-11 LIQUID MEDICATION INJECTION DEVICE
US17/757,184 US20230011504A1 (en) 2019-12-11 2020-12-11 Liquid medicine inj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13A KR102359280B1 (ko) 2019-12-11 2019-12-11 약액 주입 장치
KR10-2019-0165013 2019-12-11
KR10-2019-0169186 2019-12-17
KR1020190169186A KR102403085B1 (ko) 2019-12-17 2019-12-17 약액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282A2 true WO2021118282A2 (ko) 2021-06-17
WO2021118282A3 WO2021118282A3 (ko) 2021-08-05

Family

ID=7633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122 WO2021118282A2 (ko) 2019-12-11 2020-12-11 약액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11504A1 (ko)
EP (1) EP4056211A4 (ko)
WO (1) WO202111828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2049A (zh) * 2022-01-25 2022-04-26 深圳市阿瑞医疗电子有限公司 一种一体平衡敷贴式药液输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922B1 (ko) * 1997-04-30 1999-12-15 최수봉 포도당 센서를 가지는 주사액 자동주입기
US20060253085A1 (en) * 2005-05-06 2006-11-09 Medtronic Minimed, Inc. Dual insertion set
US20100268043A1 (en) * 2007-11-07 2010-10-21 Ofer Yodfat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iabetic Complications
AU2010280713A1 (en) * 2009-08-07 2012-02-02 Unomedical A/S Delivery device with sensor and one or more cannulas
JP5784031B2 (ja) * 2009-10-30 2015-09-24 セブンス セン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皮膚に適用される比較的小型のデバイス、モジュラ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2650032A1 (en) * 2012-04-11 2013-10-16 PharmaSens AG Subcutaneous needle insertion mechanism
WO2017091584A1 (en) * 2015-11-25 2017-06-01 Insulet Corporation Wearable medication delivery device
KR101918221B1 (ko) * 2016-11-17 2018-11-14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2049A (zh) * 2022-01-25 2022-04-26 深圳市阿瑞医疗电子有限公司 一种一体平衡敷贴式药液输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282A3 (ko) 2021-08-05
EP4056211A2 (en) 2022-09-14
EP4056211A4 (en) 2023-01-11
US20230011504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1216A1 (ko) 얼굴 미용기기 및 이에 이용되는 마스크 시트
WO2020153826A1 (ko) 전기 주전자
WO2016093612A1 (en) Band type sensor and wearable device having the same
WO2021177582A1 (ko) 피부 접촉을 센싱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15030409A1 (ko) 의료용 삽입 장치
WO2021118282A2 (ko) 약액 주입 장치
WO2014025120A1 (en)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WO2011142632A2 (ko) 레이저 조사기
WO2021177577A1 (ko) 씰링 부재가 구비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1177580A1 (ko)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와 결합되고 구동 장치가 내장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1177581A1 (ko) 냉각부가 구비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0159022A1 (ko) 내시경 결합 장치
EP4262460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4043561A1 (ko) 초음파 핸드피스
WO2023090769A1 (ko)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WO2023013870A1 (ko) 경피성 센서용 어플리케이터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WO2022075662A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21177576A1 (ko) 복수의 초음파 발생 모드를 구비하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1177579A1 (ko) 수직형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18016890A1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WO2023085627A1 (ko) 약액 토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WO2024049118A1 (ko) 약액 주입 장치
WO2024049121A1 (ko) 약물 주입 장치
WO2018044095A1 (ko)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WO2021177527A1 (ko) 임플란트 보관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93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993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61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