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715A -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715A
KR20210012715A KR1020190090897A KR20190090897A KR20210012715A KR 20210012715 A KR20210012715 A KR 20210012715A KR 1020190090897 A KR1020190090897 A KR 1020190090897A KR 20190090897 A KR20190090897 A KR 20190090897A KR 20210012715 A KR20210012715 A KR 20210012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member
injection device
drug
hollow
dru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585B1 (ko
Inventor
최우혁
김정식
이승원
박영민
이원주
황보현
우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로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로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로시스
Priority to KR102019009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8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 A61B5/1486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enzyme electrodes, e.g. with immobilised oxidas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shaft
    • A61M5/3291Shafts with additional lateral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7Needles arranged coax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3Using a bio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Abstract

약물 주입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공극이 표면에 형성되는 검출부재; 및 상기 검출부재와 연결되고, 대상 생체 물질의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INJECTION MODULE AND INJECT MEDICINE DEVICE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슐린 의존 환자는, 자가 혈당 측정 기기(Self measurement blood glucose)로 공복, 점심 식후, 저녁 식전, 저녁 식후, 및 취침 전 등의 각 시점마다 혈당을 측정해야 했다. 인슐린 의존 환자는, 상술한 혈당 측정 결과에서 혈당조절이 필요한 경우,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적절한 양의 인슐린을 결정하여 주입함으로써, 혈당을 관리했다.
상술한 혈당 관리를 위해서는 자가 혈당 측정 기기, 인슐린 카트리지, 인슐린 주입장치 등이 요구된다. 또한, 인슐린 의존 환자는 측정된 혈당수치와 주입한 인슐린의 양을 정확히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전문의에게 보여주어 피드백을 받아야 했다.
예를 들어, 인슐린 의존 환자는, 현재 자신의 혈당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란셋을 통해 피부를 뚫어서 채취된 혈액을 테스트 스트립에 떨어트려서 자가 혈당 측정 기기를 통해 현재 혈당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자가 혈당 측정 기기를 통해 혈당조절이 필요하다고 확인이 된 경우,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인슐린주입기를 준비할 수 있다.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의사가 권고한 만큼의 주입량을 인슐린주입기에 수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또한, 인슐린 의존 환자는 인슐린 주입기를 주사할 피부 부위에 올려놓은 후, 수동으로 주입해야 한다. 더 나아가, 인슐린 의존 환자는 혈당조절기록지 등에 측정된 혈당수치와 인슐린 주입량을 직접 기록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혈당 측정 및 인슐린 주입을 한번의 침습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사용을 위한 침습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피부 내 침습 부위로 삽입되기 위한 니들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 헤드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제1니들부재; 및 상기 제1니들부재와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제2니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니들부재는 상기 중공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부재의 단부는 첨단(cutting edge)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니들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니들부재는 외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구로 대상 생체 물질을 일방향 투과시키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니들부재에 도포되고, 대상 생체 물질과 반응하는 효소를 포함하는 반응층; 및 상기 효소의 반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전극을 포함하는 바이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니들부재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니들부재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피부 내 침습부위로 침습되기 위한 제1니들부재와, 상기 제1니들부재와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는 제2니들부재를 포함하는, 니들 헤드; 상기 니들 헤드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니들 헤드와 연결되고, 사용자 체내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약물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니들부재는 상기 제1니들부재의 중공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약물 공급부의 약물은 상기 제1니들부재의 중공을 통해 상기 침습 부위로 주입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2니들부재는 상기 침습 부위 내 사용자 체액 샘플을 흡입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니들 헤드는 상기 침습 부위 내 체액으로부터 생체 물질 정보를 센싱하는 바이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니들 헤드는 상기 제1니들부재 및 제2니들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니들 헤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니들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상기 제1니들부재의 중공 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사용자 체액 샘플을 흡입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니들부재를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사용자 체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니들부재를 상기 침습 부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한번의 침습을 통해 혈당량 측정 및 인슐린 주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생체 물질 측정 시점과 약물 주입 시점의 간극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VI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X-IX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U)의 신체 내 생체 물질의 정보를 센싱하고, 사용자 신체(U)에 약물을 주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U) 신체에 침습(invasion)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U)의 피부를 관통하여 체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약물 주입 장치(1)가 침습되는 사용자(U)의 신체 부위를 '침습 부위(A)'라고 표현하도록 한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U) 체내의 생체 물질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사용자(U) 체액과 접촉하여, 체액 내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 예를 들어, 생체 물질의 체액 내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주입 장치(1)는 체액 내 혈당량(blood glucose rate)을 센싱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는 침습 부위를 통해 사용자(U) 체내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약물 주입 장치(1)가 주입하는 약물은 대상 생체 물질과 연관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생체 물질 정보가 혈당량인 경우, 약물 주입 장치(1)를 통해 사용자(U) 체내로 주입되는 약물은 혈당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인슐린(insulin)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약물 주입 장치(1)가 센싱하는 대상 생체 물질 및, 주입 약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니들 헤드(10) 및 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 헤드(10)는 사용자 체내 침습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니들 헤드(10)는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 센싱을 위해 침습 부위의 체액에 접촉하거나, 침습 부위를 통해 사용자 체내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니들 헤드(10)는 본체(11)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11)는 하우징(111), 디스플레이(112), 조작부(113), 약물 공급부(114), 구동부(115), 분석부(117), 제어부(116) 및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본체(1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내부에 약물 공급 장치의 부품들을 수용하고, 수용된 부품들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각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펜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하우징(111)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하우징(111)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12)는 하우징(11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는 약물 공급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2)는 약물 공급 장치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나, 약물 공급 장치의 작동에 관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는 표시되는 정보를 텍스트, 기호, 그래프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시각적 표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표시되는 시각 표시 이외에, 보조 표시,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한 청각적 표시나, 진동을 통한 촉각적 표시가 약물 주입 장치(1)에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하우징(111)의 외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사용자의 조작 행위(control action)에 의해 입력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조작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부(116)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6)에 전달된 조작 정보에 의해 약물 주입 장치(1)가 작동될 수 있다.
약물 공급부(114)는 내부에 약물을 수용할 수 있다. 약물 공급부(114)는 다양한 방식으로 약물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공급부(114)에는 약물이 저장된 약물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 카트리지는 저장된 약물이 소진되면 약물 공급부(114)에서 교체될 수 있다. 반면, 이와 달리 약물 공급부(114)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약물을 수용하는 수용 챔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약물 공급부(114)는 니들 헤드(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1)에는 약물 공급부(114) 및 니들 헤드(10)를 연결하는 약물 전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공급부(114)의 약물은 약물 주입 장치(1)의 작동에 따라 니들 헤드(10)로 이동하여 침습 부위로 주입될 수 있다.
구동부(115)는 약물 공급부(114)에 수용된 약물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부(115)는 약물 공급부(114)로부터 니들 헤드(10)로 약물이 배출되도록 약물 저장부의 외력(external force)를 가할 수 있다. 구동부(115)의 작동 여부에 따라, 약물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약물의 배출이 조절될 수 있다.
분석부(117)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17)는 니들 헤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니들 헤드(10)를 통해 획득한 생체 물질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17)는 후술하는 바이오 센서(104)가 센싱한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17)는 바이오 센서(104)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analog to digital converting)함으로써, 대상 생체 물질의 양에 대응하는 디지털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동시에, 분석부(117)는 획득한 디지털 수치를 보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용자 생체 정보와 관련한 목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17)는 바이오 센서(104)를 통해 사용자의 체내 혈당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분석부(117)는 분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주입되어야 할 약물의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17)는 측정된 혈당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슐린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분석부(117)는 분석된 혈당량 대비 인슐린에 대한 알고리즘을 통해 인슐린 공급량을 결정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료기록에 기초한 의사의 평가 데이터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슐린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인슐린 투입량은 사용자의 체중, 복용약물, 건강상태에 따라 개별적으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분석부(117)는 사용자의 신체 데이터의 저장 정보를 통해 개인별 맞춤 약물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분석부(117)를 통한 약물 공급량의 결정 방식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16)는 약물 공급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6)는 예를 들어, 분석부(117)를 통해 결정된 약물 공급량에 따라, 구동부(11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약물 공급부(114)로부터 니들 헤드(10)로 배출되는 약물의 양, 즉, 사용자 체내로 주입되는 약물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서버 및 모바일 단말과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립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을 경유하여 외부 서버(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부는 모바일 단말을 경유하여 외부 서버로 생체 측정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주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는, 분리 가능한 니들 헤드(10) 및 본체(11)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 헤드(10) 및 본체(11)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에는 제1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니들 헤드(10)에는 제1체결부와 체결 가능한 제2체결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는 서로 체결 가능한 구조, 예를 들어, 나사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이와 달리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는 자석 결합을 통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니들 헤드(10) 및 본체(11)를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니들 헤드(10) 및 본체(11)는 물리적인 연결과 동시에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본체(11) 및 니들 헤드(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1181) 및 제2커넥터(118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넥터(1181) 및 제2커넥터(1182)는 본체(11) 및 니들 헤드(1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니들 헤드(10)의 정보를 본체(11)로 전달하거나 본체(11)의 신호를 니들 헤드(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헤드(10)에서 센싱된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가 본체(11)로 전달되거나, 본체(11)의 작동 신호에 따라 니들 헤드(10)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전력이 본체(11)로부터 니들 헤드(10)로 공급될 수도 있다.
니들 헤드(10)는 사용자 체액에 접촉하는 특성상, 오염 또는 손상에 따라 주기적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니들 헤드(10)가 본체(11)에 체결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된 니들 헤드(10)를 본체(11)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약물 주입 장치(1)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니들 헤드(10)는 지지부(103), 검출부재(101) 및 바이오 센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3)는 검출부재(101)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03)는 본체(11)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03)에는 본체(11)에 구비된 제1체결부와 체결가능한 제2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커넥터(1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커넥터(1182)가 배치될 수 있다.
검출부재(101)는 사용자의 체액 샘플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검출부재(101)는 사용자의 피부 내 침습 부위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출부재(101)는 사용자의 피부를 관통하여 체내로 침습될 수 있다. 검출부재(101)는 지지부(103)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검출부재(101)의 단부는 피부를 관통하여 침습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재(101)의 단부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사선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이오 센서(104)는 검출부재(101)를 통해 추출된 체액 샘플로부터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 예를 들어, 대상 생체 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대상 생체 물질이 체액 내 글루코스인 경우, 바이오 센서(104)는 사용자의 혈당량을 센싱할 수 있다. 바이오 센서(104)는 지지부(104)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바이오 센서(104)는 검출부재(101)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바이오 센서(104)는 체액 내 대상 생체물질과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 센서(104)는 대상 생체 물질과 반응하여 사용자 체내 생체물질의 농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트랜스듀서(transducer)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바이오 센서(104)가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를 센싱하는 방식은 알려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1)의 니들 헤드(10)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약물 주입 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기재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a의 VI-VI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a의 VI-VI 라인에 따른 다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니들 헤드(10)를 통해 사용자 체내의 침습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니들 헤드(10)는 검출부재(101)와, 검출부재(101)를 지지하는 지지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재(101)는 지지부(103)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검출부재(10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1011)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1011)은 검출부재(101)가 삽입된 침습 부위 내 체액 샘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재(101)는 모세관 현상(Capillary action)을 통해 침습 부위의 체액으로부터 체액 샘플을 흡입할 수 있다. 반면, 이와 달리 검출부재(101)의 중공(1011)에는 음압이 가해짐으로써, 침습 부위 내 체액 샘플을 흡입할 수도 있다.
검출부재(101)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1011)과 연통되는 공극(1012)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검출부재(101)는 복수의 공극(1012)이 형성되도록 다공성(poro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재(101)는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재(101)는 복수의 공극(1012)을 통해 침습 부위의 체액을 중공(1011)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검출부재(101)는 외부로부터 중공(1011) 방향으로 체액 내 대상 생체 물질을 일 방향 투과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검출부재(101) 외부의 체액은 공극(1012)을 통해 중공(10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반면, 중공(1011) 내부의 물질은 공극(1012)을 통해 검출부재(10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액을 추출하여 센싱하는 과정에서, 검출부재(101)는 센싱과정에서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한 화합물이 공극(10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합물이 사용자 체내로 역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a에서는 검출부재(101)의 중공(1011)이 단부로 연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중공(1011)은 검출부재(101)의 단부까지 연통되지 않고,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출부재(101)의 내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b 및 도 5c와 같이 중공(1011)이 검출부재의 단부까지 관통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 체내에 삽입되는 부위가 밀폐된 경우에, 사용자의 체액은 공극(1012)을 통해서만 중공(101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극(1012)의 크기가 특정한 범위로 제한된 경우, 중공(1011) 내부에는 사용자 체액 성분 중 공극(1012)을 통과할 수 있는 성분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중공(1011) 내부의 물질 역시 공극(1012)을 통해서만 중공(10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화학 반응에 따라 분자 크기가 증가한 물질이 역으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검출부재(101')의 내부에는 바이오 센서(104)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오 센서(104)는 중공(1011)을 형성하는 검출부재(101)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바이오 센서(104)는 중공(1011) 내로 유입된 체액 중 대상 생체 물질과 반응하여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 예를 들어, 대상 생체 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대상 생체 물질이 포도당(glucose)인 경우, 바이오 센서(104)는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바이오 센서(104)는 반응층(1042) 및 센싱 전극(1041)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층(1042)은 검출부재(101')의 내면에 도포될 수 있다. 반응층(1042)은 대상 생체 물질과 반응하는 효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층(1042)의 효소는 체액 성분 중 포도당과 화학적 반응을 할 수 있다.
센싱 전극(1041)은 효소의 화학적 반응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 전극(1041)이 생성하는 전기적 신호는 체내 혈당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센싱 전극(1041)이 생성한 신호는 본체 내 분석부로 전달될 수 있다. 센싱 전극(1041)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전극은 체액 내 대상 생체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검출 전극으로 작용하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대상 생체 물질의 기준값(reference)을 측정하는 레퍼런스 전극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 센서(104)가 검출부재(101')의 내부, 다시 말해 중공(1011) 내에 배치되는 경우, 바이오 센서(104)는 검출부재(10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침습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센서(104)가 중공(1011) 내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중공(1011)으로 유입된 체액 중 대상 생체 물질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간접적인 측정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게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IX-IX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IX-IX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니들 헤드(20)는 지지부(203), 검출부재(201) 및 주입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3)는 본체에 연결되고, 검출부재(201) 및 주입부재(202)를 지지할 수 있다.
검출부재(201)는 피부 내 침습 부위에 삽입되고, 침습 부위의 체액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검출부재(201)는 지지부(203)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검출부재(201)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2011)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재(201)의 표면에는 중공(2011)과 연통되는 복수의 공극(201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극(2012)은 검출부재(201) 외부의 체액을 중공(2011)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공극(2012)은 중공(2011) 내부의 물질이 검출부재(201) 외부로 역투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검출부재(201)와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도록 지지부(203)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검출부재(201)의 내부, 다시 말해, 검출부재(201)의 중공(20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주입부재(202)는 도 9와 같이 검출부재(20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입부재(202)는 검출부재(201)와 동축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주입구(2021)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2021)를 통해 주입부재(202)는 침습 부위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검출부재(201) 및 주입부재(202)는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내로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한번의 침습을 통해 검출부재(201) 및 주입부재(202)가 사용자 체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한번의 침습만으로도 검출부재(201)를 통한 체액 샘플의 추출 기능과, 주입부재(202)를 통한 약물 주입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 체액의 추출과 약물 주입이 별도의 부재를 통해 수행되기 때문에, 약물과 체액 샘플이 혼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침습 횟수가 1회로 한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침습 과정에서 느끼는 불편함이나 고통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검출부재(201)의 중공(2011) 내부에는 바이오 센서(204)가 배치될 수 있다. 바이오 센서(204)는 중공(2011) 내로 유입된 체액 샘플 중 대상 생체 물질, 예를 들어, 포도당과 반응함으로서, 대상 생체 물질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바이오 센서(204)는 대상 생체 물질과 반응하는 효소를 포함하는 반응층(2042)과, 반응층(2042)에 연결되고 효소의 반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전극(2041)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층(2042)은 주입부재(202)의 외면에 도포될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검출부재(201)의 내부, 즉, 체액 샘플이 유입되는 중공(2011)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반응층(2042)은 중공(2011)으로 유입된 체액 샘플과 반응할 수 있다. 검출부재(201)의 내면에는 외면과 연통되는 복수의 공극(2012)이 형성되기 때문에, 반응층(2042)이 주입부재(202)의 외면에 도포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도이고,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니들 헤드(20)는, 지지부(203), 검출부재(201) 및 주입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재(201) 및 주입부재(202)는 지지부(203)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검출부재(201)는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중공과 연통되는 복수의 공극이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검출부재(201)는 표면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침습 부위의 체액을 중공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검출부재(20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구를 통해 침습 부위로 약물이 주입될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함으로써, 지지부(203)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검출부재(201)의 중공 내부에서 부피를 차지하기 때문에, 주입부재(202)의 슬라이딩에 따라 중공 내부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부재(202)가 지지부(203)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경우, 검출부재(201)의 중공 내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검출부재(201)가 침습 부위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주입부재(202)의 슬라이딩에 따라 지지부(203)에 대한 주입부재(202)의 돌출 길이(d2)가 감소하는 경우, 검출부재(201)의 중공 내 압력이 감소하여 체액이 중공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주입부재(202)는 도 12와 같이 침습 부위 방향으로 슬라이딩 함으로써, 지지부(203)에 대한 검출부재(201)의 길이(d1)보다 더 긴 돌출 길이(d3)를 가질 수도 있다.
침습 과정에서, 체액 샘플을 추출하기 위한 침습 깊이와,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침습 깊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목적하는 기능에 따라 사용자 신체에 대한 침습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신체에 대한 침습 깊이가 깊어질수록, 침습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저항 반응 및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이 증가할 수 있다. 주입부재(202)는 목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길이가 증가하도록 슬라이딩 함으로서, 적합한 깊이만큼 침습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부재(202)는 검출부재(201)를 통한 체액 샘플 추출 과정 동안에는 도 11과 같이 길이가 감소하고,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는 도 12와 같이 길이가 증가하도록 슬라이딩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주입부재(202)는 슬라이딩 작동을 통한 길이 조절을 통해 침습 부위에 대한 침습 깊이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의 체내 면역반응 및 침습에 따른 사용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니들 헤드(30)는, 지지부(303), 검출부재(301) 및 주입부재(30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03)는 검출부재(301) 및 주입부재(302)를 지지할 수 있다.
검출부재(301)는 지지부(303)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 방향을 가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을 통해 검출부재(301)는 침습 부위의 체액 샘플을 추출할 수 있다. 검출부재(301)는 중공과 연통되도록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극을 포함할 수 있다. 공극을 통해 검출부재(301) 외부의 체액이 중공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검출부재(301)는 침습 부위 내 체액 샘플을 추출하거나, 침습 부위로 약물을 주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검출부재(301)는 중공을 통해 체액 샘플 흡입 및 약물 주입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액을 흡입하는 경우에는 검출부재(301)의 중공에 음압이 가해지고,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중공에 양압이 가해질 수 있다.
주입부재(302)는 검출부재(301)의 중공 내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주입부재(302)는 검출부재(30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지지부(303)에 연결될 수 있다. 주입부재(302)는 검출부재(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입부재(302)의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검출부재(301)의 중공 내부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입부재(302)는 체액 샘플을 추출하는 과정에서는 지지부(303)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중공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작동하고, 약물을 침습 부위로 공급하는 과정에서는 침습 부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검출부재(301)의 중공 내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주입부재(302)는 중공으로 유입된 사용자의 체액 중 대상 생체 물질, 예를 들어, 포도당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검출부재(301)가 주입부재(302)의 외부를 감싸기 때문에, 검출부재(301)는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침습 과정에서 주입부재(302)의 센서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약물 주입 장치
10: 니들 헤드
11: 본체
101: 검출부재

Claims (16)

  1.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공극이 표면에 형성되는 검출부재; 및
    상기 검출부재와 연결되고, 대상 생체 물질의 농도를 센싱하기 위한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는 상기 공극을 통해 대상 생체 물질을 상기 중공 내로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약물 주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생체 물질은 포도당(glucose)인, 약물 주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는, 외부로부터 상기 중공 방향으로 상기 대상 생체 물질을 일 방향 투과시키는, 약물 주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는 복수의 상기 공극이 형성되는 다공성 재질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는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약물 주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중공내에 도포되고, 대상 생체 물질과 반응하는 효소를 포함하는 반응층; 및
    상기 반응층과 연결되고, 상기 효소의 반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전극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9. 피부 내 침습 부위에 삽입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표면에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공극이 형성되는 검출부재;
    상기 검출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부재와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주입부재; 및
    상기 공극을 통해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된 체액으로부터 대상 생체 물질의 농도를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주입부재 및 검출부재는 동축을 가지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약물 주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는 상기 공극을 통해 상기 대상 생체 물질만을 상기 검출부재 및 주입부재 사이 공간으로 투과시키는, 약물 주입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센서는,
    상기 검출부재 내부로 유입된 대상 생체 물질과 반응하는 효소를 포함하는 반응층; 및
    상기 반응층과 연결되고, 상기 효소의 반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전극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층은 상기 주입부재의 외면에 도포되는, 약물 주입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재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상기 검출부재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약물 주입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관통하는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침습 부위로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0190090897A 2019-07-26 2019-07-26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31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97A KR102313585B1 (ko) 2019-07-26 2019-07-26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897A KR102313585B1 (ko) 2019-07-26 2019-07-26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715A true KR20210012715A (ko) 2021-02-03
KR102313585B1 KR102313585B1 (ko) 2021-10-19

Family

ID=7457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897A KR102313585B1 (ko) 2019-07-26 2019-07-26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65A1 (ko) * 2022-07-05 2024-01-1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혈당 측정 및 인슐린 투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0648A (ja) * 2002-03-22 2005-07-14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外傷を伴わない皮下挿入式デバイスの挿入
JP2008545460A (ja) * 2005-05-17 2008-12-18 アイセンス コーポレーション 一体的な薬剤送達及び被分析物センサ器具
JP2013066531A (ja) * 2011-09-21 2013-04-18 Tohoku Univ 針状デバイス、生体成分回収用デバイスおよび生体成分測定システム
KR20140082987A (ko) * 2012-11-30 2014-07-03 국립암센터 생체 조직 채취 장치
KR20180118368A (ko) * 2017-04-21 2018-10-31 최규동 혈당 센서 부착 주사 바늘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동시 혈당측정 주사 장치
KR20190059135A (ko) * 2017-11-22 2019-05-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 및 약물 전달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0648A (ja) * 2002-03-22 2005-07-14 ノボ・ノルデイスク・エー/エス 外傷を伴わない皮下挿入式デバイスの挿入
JP2008545460A (ja) * 2005-05-17 2008-12-18 アイセンス コーポレーション 一体的な薬剤送達及び被分析物センサ器具
JP2013066531A (ja) * 2011-09-21 2013-04-18 Tohoku Univ 針状デバイス、生体成分回収用デバイスおよび生体成分測定システム
KR20140082987A (ko) * 2012-11-30 2014-07-03 국립암센터 생체 조직 채취 장치
KR20180118368A (ko) * 2017-04-21 2018-10-31 최규동 혈당 센서 부착 주사 바늘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동시 혈당측정 주사 장치
KR20190059135A (ko) * 2017-11-22 2019-05-3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 및 약물 전달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265A1 (ko) * 2022-07-05 2024-01-1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혈당 측정 및 인슐린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585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8409B2 (en) Fluid delivery with in vivo electrochemical analyte sensing
CN102711898B (zh) 分析物监控和流体分配系统
US9636450B2 (en) Pump system modular components for delivering medication and analyte sensing at seperate insertion sites
KR100945901B1 (ko) 어날라이트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최소한의 침투 시스템과방법
US80294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medication infusion and analyte monitoring system
JP2011507556A5 (ko)
WO2009049823A1 (en) Catheter and methods of operat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EP0940151A1 (en) A monitor for diffusable chemical substances
KR20200092087A (ko) 약물 주입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02527177A (ja) 低侵襲性センサーシステム
KR102313585B1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302990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303485B1 (ko) 약물 주입 장치
CN110944584B (zh) 抽吸施加装置、用于对体液进行采样的设备以及用于检测体液中的组分的方法
KR102267358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302991B1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424553B1 (ko)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