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787A -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787A
KR20110076787A KR1020100133912A KR20100133912A KR20110076787A KR 20110076787 A KR20110076787 A KR 20110076787A KR 1020100133912 A KR1020100133912 A KR 1020100133912A KR 20100133912 A KR20100133912 A KR 20100133912A KR 20110076787 A KR20110076787 A KR 20110076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reflecting
pcb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814B1 (ko
Inventor
황혁주
박광렬
Original Assignee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184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7678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1007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윤곽을 갖는 외장 백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은 후방 하우징 유니트; 하나 이상의 PCB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원; 적어도 하나의 반사 유니트; 및 렌즈부를 포함하는 전방 하우징 유니트를 포함한다.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제 1 종단과 제 1 종단의 다른 쪽의 제 2 종단 사이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주요 부분, 전방 하우징 유니트, 반사 유니트 그리고 PCB 각각은 외장 백미러 조립체의 외부 윤곽의 부분을 주행 방향으로 뒤따른다. 발광원을 갖는 PCB는 반사 유니트에 대하여 배치되어 반사 유니트의 광 반사에 의하여 광을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를 통하여 길이 방향 연장부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 방향(30)과 측방향으로 간접적으로 발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외장 백미러 조립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Turn-indicator light module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and a vehicle mirror assembly comprising turn-indicator light module}
본 발명은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에 관한 것이며, 차량 미러 조립체는 외부 윤곽을 갖는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되, 방향 지시등 모듈은 하우징 유니트; 하나 이상의 PCB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원; 적어도 하나의 반사 유니트; 및 렌즈부를 포함하는 전방 하우징 유니트를 포함하며,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제 1 종단과 제 1 종단의 다른 쪽의 제 2 종단 사이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주요 부분, 전방 하우징 유니트, 반사 유니트 그리고 PCB 각각은 외장 백미러 조립체의 외부 윤곽의 부분을 주행 방향으로 뒤따르며, 발광원을 갖는 PCB는 반사 유니트에 대하여 배치되어 반사 유니트의 광 반사에 의하여 광을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를 통하여 길이 방향 연장부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 방향과 측방향으로 간접적으로 발산하고, 발광원을 갖는 PCB는 반사 유니트에 대하여 배치되어 반사 유니트의 광 반사에 의하여 광을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를 통하여 길이 방향 연장부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 방향과 측방향으로 간접적으로 발산하며, 보행자 및 가로질러 있는 차량에게 방향 전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광원이 측방향으로 광을 직접적으로 발산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현대 차량들은 인접한 운전자에게 방향 전환 조작 신호를 보내기 위한 다른 종류의 방향 지시등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따라서 차량의 소극적인 안전 및 주변 교통 여건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는 방향 지시등 및 개별적인 측 방향을 향하는 방향 지시등은 따라오는 차량, 다가오는 차량 그리고 보행자에게 차량의 의도된 방향 전환 조작 신호를 보내며, 따라서 그들에게 차량의 갑작스런 주행 방향 변화를 대비하게 한다. 공지된 방향 지시등 모듈은 하우징 내의 하나 또는 다수의 깜박 광원을 포함하며, 이 광원은 주변 차량에게 외부를 향하는 광을 직접적으로 발산한다. 직접적으로 발산된 광은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블렌딩 효과(blending effect)를 야기하며 비균일 광 분산으로 고통받게 하여 방향 지시 신호는 균일한 세기 및 밝기를 갖고 모든 방향에서 볼 수 없다. 예를 들어, 인접한 차량의 운전자의 위치와 다른 높이에 설치된 방향 지시등은 운전자가 충분하게 명확하게 볼 수 없다. 예를 들어, 차대가 낮은 스포츠 카에 인접한 트럭의 방향 전환등은 스포츠 카의 운전자에 의하여 빈번하게 간과될 수 있다.
광 모듈을 둘러싸는 다양한 외장 사이드 백미러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특허문헌 1에는 광 안내부가 광 안내부의 일 측부에 있는 광원으로부터 광 안내부의 다른 측부로 광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허문헌 2에서, 차량의 백미러에 일체화된 방향 지시등 모듈이 제안되며, 이 모듈은 다가오는 차량에게 알리기 위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방향 전환 의도 신호를 보내기 위한 또한 보행자 또는 가로질러 있는 차량에게 방향 전환 의도를 알리기 위하여 차량의 측방향을 향하여 방향 전환 의도 신호를 보내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원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3은 차량의 외부 미러 내에 일체화된 방향 지시등 모듈을 설명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향하여 반사 표면을 통하여 신호 광을 직접적으로 발산한다. 발광원은 외부에서 볼 수 없다.
특허문헌 4는 차량의 외부 미러를 위한 발광 모듈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모듈은 방향 지시등 요소와 개별 인접 영역 조명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방향 지시등 요소는 반사기와 반사기를 통한 반사에 의하여 차량의 측방향으로 직접적으로 광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5에는 도어 영역 조명 모듈이 설명되어 있다. 이 조명 모듈은 차량의 외부 미러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직접적으로 발산된 광원의 광 및 그리고 간접적으로 반사된 반사 조립체의 광에 의하여 차량 도어의 하부 주변 영역을 조명한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공개 제2005-0243568호 특허문헌 2 : 미국특허 제 7,225,464호 특허문헌 3 : 독일 제 DE 102 39 839 호 특허문헌 4 : 독일 제 DE 200 11 341 U1 호 특허문헌 5 : 일본특허공개 제JP 2006 205785 A 호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렌딩 효과를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광 분산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밝기와 질을 갖고 다른 방향에서 인식될 수 있는, 차량의 외장 백미러 조립체를 위한 개선되고 콤팩트한 방향 지시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블렌딩적이고 균일하게 광을 분사시키는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한 차량 미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청구항의 특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청구항 및 상세한 설명 그리고 도면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르면, 외장 백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을 제안한다. 백미러 조립체는 외부 윤곽을 가지며, 방향 지시등 모듈은 후방 하우징 유니트;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원; 적어도 하나의 반사 유니트; 및 렌즈부를 포함하는 전방 하우징 유니트를 포함한다.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제 1 종단과 제 1 종단의 다른 쪽의 제 2 종단 사이의 길이 방향 연장부의 적어도 주요 부분, 전방 하우징 유니트, 반사 유니트 그리고 PCB 각각은 백미러 조립체의 외부 윤곽의 부분을 주행 방향으로 뒤따른다. 발광원을 갖는 PCB는 반사 유니트에 대하여 배치되어 반사 유니트의 광 반사에 의하여 광을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를 통하여 길이 방향 연장부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 방향과 측방향으로 간접적으로 발산한다. 방향 지시등 모듈은 보행자 및 가로질러 있는 차량에게 방향 전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측방향으로 광을 직접적으로 발산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광원을 포함한다.
그로 인하여, 방향 지시등 모듈은 주행 방향으로 미러 조립체의 윤곽에 뒤이은 렌즈부의 가시적인 외부 윤곽을 가지며, 그로 인하여 외장 백미러의 하우징 내에 끊어짐이 없이 일체화된다. 모듈의 모든 요소가 기본적으로 길이 방향 연장부 내에서 뒤따르기 때문에 모듈의 주행 방향으로의 미러의 외부 윤곽은 콤팩트한 소형화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미러 하우징 내에 미러 구동 모터 및 메커니즘과 같은 요소와 관련된 미러, 미러 가열 장치, 미러 세정 장치, 셀프 디밍(self dimming) 장치 등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남겨둔다. 따라서, 모듈의 길이 방향 형상을 향하는 미러 윤곽은 작고 콤팩트한 외장 미러 하우징을 제공한다. 방향 전환 의도를 지시하는 깜박이 광(blinking light)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광원은 PCB 상에 배치된다. PCB는 레지스터, 다수의 발광원,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와이어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전자 요소를 갖출 수 있다.
측방향으로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하나의 개별적인 발광원이 제공된다. 만일, 차량의 측방향으로의 광선의 직접적인 조사를 위한 개별적인 발광원의 제공은 보행자에게 그리고 가로질러 있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방향 전환 의도를 나타내는 것을 보장하며, 그로 인하여 넓은 영역의 조명 및 보다 높은 수준의 밝기가 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측방향으로의 신호 전달 효과가 증가될 수 있고 차량과 보행자 모두를 위한 운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발광원의 광 경로를 렌즈부를 향하여 다시 보내는 반사 유니트의 도움으로 발광원의 광은 모듈의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조사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광 벌브,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발광원으로부터의 광선은 반사 유니트에 의하여 반사되고 전방(주행 방향), 측방향으로 조사되며, 또한 차량의 아래 부분 또는 측부로 조사될 수 있다. 발광원 자체는 외부에서 볼 수 없게 제조될 수 있으며, 단지 간접적으로 반사된 광만이 모듈에 의하여 조사된다. 그 결과, 다른 사람의 블렌딩(blending)의 위험 없이 주행 방향을 향하는 그리고 차량의 측방향을 향하는 균일한 광 분산이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모듈의 내부의 우아한 외관(impression)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단지 반사 표면이 보일 뿐이며, 램프, 렌즈, 광 유도 요소 등과 같은 일반적인 기술적 장치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간접 광 조사는 관찰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하며 모듈을 차량의 장식 요소로서 나타내게 한다. 렌즈부는 투명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듈의 내부, 특히 반사 유니트는 명확하게 보여질 수 있다. 렌즈부의 외부 표면은 또한 돌기가 많은 표면을 갖도록 처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발광원이 꺼질 때, 렌즈부의 표면은 흐린 색상으로 빛날 수 있으며, 어떠한 불규칙함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로 인하여 반사 유니트의 반사 표면만이 렌즈부를 통하여 가시 상태로 남는다.
유리하게는, 방향 지시등 모듈은 발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일 수 있다. LED 기반 발광원은 매우 작은 규격을 가지며, 콤팩트한 방법으로 PCB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매우 저렴하며, 매우 적은 전력 소모량 및 매우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나아가, LED는 매우 다양한 색상 및 다른 광 강도 범위 면에서 유용하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PCB는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발광원은 모듈의 하부 및 상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부가적이지만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고 횡방향으로 만곡진, 상부/하부 방향에서 주행 및 측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도록 조정된 반사 유니트의 반사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PCB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발광원을 배치하는 것은 PCB를 따라서 다수의 발광원, 특히 LED를 배치하는 것을 제공하며, 이는 반사 유니트를 따라 균일한 광 분산을 형성한다. 더 나아가, 발광원이 아래 방향 및 위 방향으로 광을 조사함으로써 모듈의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PCB를 배치하는 것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의 발광의 바람직한 방향을 한정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따라서 예를 들어 방향 지시등이 전방, 후방 및 아래 방향으로 비추는 트럭의 미러가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발광원의 하부를 향한 조사는 개방된 도어의 경우 반사 유니트의 이탈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차량 도어의 인접 영역 조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발광원의 광은 렌즈를 통하여 또는 모듈과 미러 하우징의 하부 표면의 개구를 통하여 도로 상으로 비추어진다. 그로 인하여, 도어 개방 센서와 결합된 반사 유니트의 이탈을 위하여 소형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외장 백미러에 인접한 도어가 개방될 때 발광원은 턴-온되고 반사 유니트는 이탈된다. 유리하게는 반사 유니트는 기본적으로 미러의 외곽 윤곽에 뒤이은 굴곡된 길이 방향 형상을 가지며, 반사된 강선의 각도 및 방향을 한정하는 만곡된 횡단면을 갖는다. 횡단면 형상을 변화시키거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반사 요소를 회전시킴으로써 렌즈부를 통하여 비추어진 조사된 방향 전환 광의 각도와 방향은 유리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향 전환 광 신호를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의 발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에서 7개의 발광원이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간격을 갖고 특히 PCB 상에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매트릭스 형태의 배치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다수의 발광원의 배치는 각 발광원을 위한 낮은 전력 소비, 보다 긴 수명 및 보다 균일하고 균질한 광 분산을 제공한다. 평행하고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원 열을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매트릭스 형태의 광원 배치는 광원의 콤팩트한 위치를 제공하며, 또한 다른 색상 및 강도의 발광원의 배치는 다른 밀도, 예를 들어 보행자 및 가로질러 있는 차량에 경고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차량의 측방향을 향하여 보다 높은 밀도로 발광원을 집중시킬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으로 광을 간접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발광원이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하나 또는 다수의 개별적인 발광원이 개별 PCB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와이어 하네스에 의하여 PCB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차량의 측방향으로 광선을 직접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개별적인 발광원을 제공하는 것은 보행자에게 그리고 가로질러 있는 차량에게 방향 전환 의도를 나타내는 것을 보장하며, 그로 인하여 보다 넓은 영역의 조명 및 보다 높은 수준의 밝기가 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측방향으로의 신호 효과가 증가되고 차량 및 보행자를 위한 주행 안전이 향상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개별적인 발광원은 와이어 또는 와이어 하네스를 통하여 메인 PCB에 연결된 개별 PCB 상에 고정되어 개별 PCB는 측방향으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주행 방향으로의 블렌딩 효과를 야기하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개별적인 발광원이 개별 PCB 상에 고정 또는 장착될 수 있으며 와이어 또는 와이어 하네스에 의하여 메인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개별 PCB는 측방향으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으며 주행 방향으로의 블렌딩 효과를 야기하지 않는다.
반사 유니트의 적어도 하나의 반사 표면을 이용하여 발광원의 광은 간접적으로 조사된다. 유리하게는, 반사 유니트는 균질의 반사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 표면은 주행 및 측방향으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미러 효과(mirror-like effect)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반사된 강의 광학적 확산을 위하여 반사 유니트는 그루브가 형성된 반사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어느 것이든, 반사 유니트의 반사 표면으로서 알루미늄 도금된 표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반사 유니트의 표면은 광택이 나거나 주름이 없게 제조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반사된 광의 광학적 확산을 위하여 그루브가 형성된 표면을 갖고 설계될 수 있다. 특히, 그루브가 형성된 표면은 특정 조사 방향 또는 조사 각도로의 광선의 정확한 진행을 위하여 광 확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루미늄 도금된 표면은 높은 확산 효과를 갖는 눈부심이 없는 반사 표면을 제공하며 방향 지시등 모듈의 장식적인 인상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는 PCB와 반사 유니트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어 발광원은 렌즈부 내로 광을 직접적으로 조사한다. 따라서, 발광원을 갖는 PCB와 반사 유니트 사이의 공간은 렌즈의 렌즈부의 재료로 채워지되, 이 재료는 렌즈의 두께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렌즈 내에서의 광을 안내하고 광 전송을 위한 재료 인터페이스(material interface)의 수를 줄인다.
만일 렌즈부의 투명한 재료가 PCB와 반사 유니트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면,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의 내부 표면 상에 반사 유니트의 반사 표면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유니트는 렌즈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개별적인 반사 유니트를 위한 필요성이 요구가 제거되어 제조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된다. 더 나아가, 렌즈부의 내부 표면의 형상은 반사 유니트의 반사 표면을 제공하며, 이는 방향 지시등 모듈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고 반사 표면의 오염 또는 손상에 기인한 문제를 줄인다.
위에서 언급한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내부 표면 상으로 반사 표면을 형성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내부 표면 상에 반사 유니트의 반사 표면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개별 반사 유니트는 생략될 수 있으며, 반사 유니트의 반사 표면은 조립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내부 표면에 의하여 제공된다.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가 PCB와 반사 유니트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반사 표면이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내부 표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 전방 하우징 유니트의 렌즈부의 내부 표면과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내부 반사 표면이 유리하게는 양 표면 사이에 균일한 간격(gap)을 형성할 수 있으며, 렌즈부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를 포함하되, 이 캐비티 내에서 발광원과 렌즈부와의 광학적 결합을 위하여 발광원이 연장된다. 따라서, 발광원의 광은 캐비티를 통하여 렌즈부의 재료 내에 직접적으로 진입하고 후방 하우징 유니트의 내부 표면에 의하여 반사된다. 균일한 간격은 렌즈부와 반사 표면 사이의 한정된 광학 인터페이스를 보장하며 먼지와 오염 물질로부터 반사 표면을 보호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렌즈부는 외부에서 내부로 투명한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렌즈부는 반투명 외부 표면,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광 투과율을 갖는 크롬 또는 알루미늄 도금으로 코팅된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반투명 렌즈부는 반사 유니트에 의하여 반사된 발광원으로부터의 간접적으로 조사된 광의 광 투과를 가능하게 하며, 그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반사 요소의 반사 표면만을 알아볼 수 있다. 투명 표면은 반사 표면 상으로의 직접적인 관측을 제공하며, 크롬 또는 알루미늄 도금으로 코팅된 반투명 표면은 차량의 장식적인 또는 마감 요소로서 우아한 외관을 제공한다. 15 내지 50%의 광 투과율은 방향 전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충분하나, 방향 지시등 모듈의 기술적인 내부 구성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다. .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하우징 유니트, PCB, 반사 유니트 및 전방 하우징 유니트는 그루브와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냅-인 컨넥터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스냅-인 컨넥터는 공구가 필요 없는 방향 지시등 모듈의 하우징의 조립을 제공하며, 특히, 뜻하지 않은 차량 접촉에 의하여 빈번하게 손상을 입는 차량 외장 미러의 경우, 빠르고 용이하게 방향 지시등 모듈의 유지 및 보수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외장 백미러의 미러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한 어떠한 특징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안된다. 따라서, 미러 조립체는 미러 조립체의 외부 윤곽 내에 매끄럽게 일체화된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며, 방향 지시등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반사 유니트와 렌즈부를 통하여 균일하고 눈부심이 없는 방법으로 주행 방향 및 측방향으로 주변 차량에 광을 간접적으로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발광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외장 백미러는 위에서 언급한 장점 및 이점을 갖는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도록 제안된다.
유리하게는, 방향 지시등 모듈은 스냅-인 컨넥터를 통하여 미러 조립체의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특히 뜻하지 않은 차량 접촉에 의하여 빈번하게 손상되는 외부 미러의 경우, 스냅-인 컨넥터는 외장 백미러의 하우징 내에서의 방향 지시등 모듈의 공기가 필요 없는 조립을 제공하며 미러의 신속하고 용이한 유지 보수 및 수리를 허용하며, 이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블렌딩 효과를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광 분산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밝기와 질을 갖고 다른 방향에서 인식될 수 있는, 차량의 외장 백미러 조립체를 위한 개선되고 콤팩트한 방향 지시등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을 갖는 바람직한 미러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및 길이 방향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바람직한 미러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의 제 2 사시도 및 횡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1 예시예의 조립 순서의 다른 방향에서 본 다른 분해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 횡단면도 및 길이 방향 단면도.
도 5는 반사 유니트의 주름지지 않은 표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광 조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반사 유니트의 그루브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광 조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1 실시예를 포함하는 외부 백미러 조립체의 광 조사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 및 평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미러 조립체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미러 조립체의 길이 방향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바람직한 미러 조립체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제 2 사시도 및 횡단면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다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조립 순서의 다른 방향에서 본 다른 분해도.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에 다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 횡단면도 및 길이 방향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광 조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위에서 설명한 이점 및 다른 이점과 함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한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하여 언급된다. 도면은 단지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의 특정 변수를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의도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10)을 갖는 미러 조립체(70)의 제 1 실시예의 구조적인 세부 사항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 1a와 도 1b를 도 2a와 도 2b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방향 지시등 모듈(10)을 포함한 외부 백미러 조립체(70)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백미러 조립체(70)는 미러 하우징(74) 내에 미러(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하여 일 측에 형성된 개구를 가지며, 미러 반대쪽에 외부 윤곽부(72; contour)를 갖는다. 도 2a와 도 2b는 제 1 실시예의 제 2 사시도 및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미러 조립체(70)의 횡단면도이다.
도면 부호 30은 백미러 조립체(70)가 장착된 차량의 주행 방향(즉, 주행 차량의 전방)을 언급하며, 도면 부호 32는 백미러 조립체(70)의 측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32는 방향 지시등 모듈에 의하여 발생한 광의 출구에 부여된다. 도면 부호 34는 후방 방향을 지시한다.
도면 부호 36은 윗방향을 언급하며, 도면부호 38은 아래 방향을 언급한다.
방향 지시등 모듈(10)은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와 전방 하우징 유니트(14)로 이루어진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전방 하우징 유니트와 후방 하우징 유니트는 인쇄 회로 기판(16; PCB, 도 2b 참조) 상에 장착된 다수의 발광원(16),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와 반사 유니트(20)를 둘러싼다. 도면에서는 단지 하나의 발광원(18)만이 도시된다.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와 전방 하우징 유니트(14)는 서로 연결되어 하우징(11)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 유니트는 개별 PCB(40)에 장착된 부가적인 발광원(42)을 위하여 제공된 부분(20)을 갖는다. 부가적인 발광원(42)은 와이어 하네스(46; wire harness)에 의하여 PCB(1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전방 하우징 유니트(14)는 렌즈 또는 광 페인부(22; light pane portion; 이하에서는 "렌즈"로 지칭)를 포함하며, 미러 하우징(74)의 윤곽(72)과 평면을 이루거나, 적어도 미러 하우징(74)의 윤곽(72)이 뒤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74)의 윤곽(72)은 전방 하우징(14), 후방 하우징(12), 반사 유니트(20) 및 PCB(16)의 뒤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PCB(16)는 하우징(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여기서 발광원(18)은 아래 방향(38)으로 광을 발산한다. 반사 유니트(20)는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고 횡단면적으로 절곡된 반사 표면(44)을 가지며, 이 표면은 아래 방향(38)에서 주행 방향(30)과 측방향(32)으로 광을 반사시키기 적합하다.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단면도에서, 예를 들어 반사 표면(44)의 형상은 포물선, 타원형 등의 형상이다.
대안적으로, PCB(16)는 또한 하우징(11)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도시되지 않음), 여기서 발광원(18)은 윗방향(36)으로 광을 발산한다. 반사 유니트(20)는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고 횡단면적으로 만곡진 반사 표면(44)을 가지며, 이 경우, 반사 표면은 윗방향(36)에서 주행 방향(30)과 측방향(32)으로 광을 반사시키기 적합하다.
발광원(18)에 인접한 반사 유니트(20)의 부분에서, 웹(20a; web)은 발광 요소(18)를 향하며 발광원(18)으로부터 반사 유니트(20)로 광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각 발광원(18)을 위한 개구(21)를 갖는 반사 유니트(20)에서 배치된다.
하우징(11)의 용이한 장착을 위하여 미러 하우징(74) 내에 하우징(11)의 후방 하우징 유니트(12)를 수용하기 위한 스냅-인 컨넥터(76)가 설치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 내의 다양한 분해도 내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의 길이 방향 연장부(24)의 주요 부분, 전방 하우징 유니트(14), 반사 유니트(20) 및 PCB(16)는 어느 정도 절곡되어 미러 하우징(74)의 전체 윤곽(72)과 나란하다. 도 3a는 나란히 배치된 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3b 및 도 3c는 후방 하우징 유니트측으로부터 본 조립체의 전개 사시도(도 3b) 및 전방 하우징 유니트측으로부터 본 전개 사시도(도 3c)이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c는 PCB(16)가 반사 유니트(20)에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 유니트(14)는 렌즈부(22)를 포함하며, 제 1 종단(26b)에서 제 2 종단(28b)으로 연장된다. 전방 하우징(14) 뒤에 있는 다음 요소는 반사 유니트(20)이며, 이 반사 유니트는 웹(20a)과 함께 제 1 종단(26b)에서 제 2 종단(28b)으로 연장된다. 웹은 하우징(11)의 조립된 상태에서 발광 요소(18)의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21)를 포함한다. 다음 요소는 제 1 종단(26b)에서 제 2 종단(28b)으로 연장된, 발광원(18)이 장착된 PCB(16)이다. PCB(16)는 전방 하우징 유니트(14)의 높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장착된다. 마지막 요소는 제 1 종단(26b)에서 제 2 종단(28b)으로 연장된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이다. 후방 하우징 유니트(12)는 스냅-인 컨넥터(58)를 제공하며 이 스냅-인 컨넥터는 미러 하우징(도 1a의 74) 내부의 스냅-인 컨넥터(76)와 결합한다.
위의 요소(14, 20, 16 및 12)는 외장 백미러 조립체(70)의 주행 방향(30)으로 외부 윤곽(72)의 부분 뒤에 있다. 여기서, 발광원(18)을 갖는 PCB(16)는 반사 유니트(20)에 대하여 배치되어 반사 유니트(20)의 광 반사에 의하여 광을 전방 하우징 유니트(14)의 렌즈부(22)를 통하여 길이 방향 연장부(24)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 방향(30)과 측방향(32)으로 간접적으로 발산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렌즈부(22)를 포함하는 전방 하우징 유니트(12)에서 본 하우징(11)의 전방 사시도(도 4a), 횡단면도 (도 4b) 및 길이 방향 단면도(도 4c)이다.
조립된 상태에 있는 발광원(18)이 도 4b에서 볼 수 있다. 발광원(18)은 반사 유니트(20)의 웹(20a) 뒤에 숨겨져 있으며, 반사 유니트는 하우징(11)의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와 전방 하우징 유니트(14)로 둘러싸여 있다. 반사 유니트(20)의 반사 표면(44)은 렌즈부(22)의 내부 표면을 향한다. 렌즈부(22)의 내부 표면(52)은 주행 방향 및 측방향(30 및 32)으로 발산된 광의 출구 평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 유니트(20)의 균일하고 매끈한 반사 표면(44)을 갖는 방향 지시등 모듈(10)을 구비한 백미러 조립체(70)의 발광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반대로, 도 6은 반사 표면 내의 그루브(50)를 갖는 반사 유니트(20)의 주름진 반사 표면(44)을 구비한 방향 지시 등 모듈(10)의 변형 예를 도시한다. 간접적으로 발산된 광선을 형성하는, 반사 표면(44)에서 반사된 광선(68)은 절곡된 화살표료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한 외장 백미러 조립체(70)의 광 발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7a는 확대된 도면이고 도 7b는 평면도이다. 간접적으로 발산된 광선(68)은 일반적으로 전방 방향인 주행 방향(30)을 향한다. 직접적으로 발산된 광선(69)과 같이, 광은 적은 부분은 일반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외장 백미러 조립체(70)를 떠날 수 있다.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부가적인 발광원(42)은 광선(66)을 측방향(32)으로 조사한다.
도 8a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방향 지시등 모듈(10)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 조립체(70)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및 백미러 조립체(70)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대부분의 구성 요소들은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불필요한 반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요소들을 위한 설명이 언급될 것이다. 특히, 후속 설명의 초점은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에 맞추어질 것이다.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 2 실시예는 사실상 렌즈부(22)의 외부 표면(52)과 반사 유니트(20)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는, 두꺼운 렌즈 또는 두꺼운 페인부(22; 이후, "렌즈부"로 칭함)를 갖는다.
도 9a 및 도 9b는 백미러 조립체(70)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도 9a) 및 백미러 조립체(70)의 횡단면도(도 9b)이다. 렌즈부(22)는 렌즈부(22)의 내부 표면(54)과 반사 유니트(20)의 내부 표면(56) 사이에 단지 좁은 공기 갭(60)을 남겨둔 상태로 렌즈부(22)의 외부 표면(52)과 반사 유니트(20)의 반사 표면(44)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운다. 반사 유니트(20)는 렌즈부(22)와 같은 중량의 재료(massive material)로 제조된다. 렌즈부(22)의 내부 표면(54)과 반사 유니트(20)의 내부 표면(56)은 반사 표면(44)으로 작용하도록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렌즈부(22)는 각 발광원(18)을 위한 요부(62)를 갖는다. 발광원(18)으로부터의 광은 렌즈부(22)로 진입되며 반사 표면(44)으로부터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된다.
반사 유니트(20)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의 전체의 일부로서 필수적인 부분일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70)의 조립 순서의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다른 분리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70)의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도 11a), 횡단면도(도 11b) 및 길이 방향 단면도(도 11c)로서, 발광원(18)의 광을 렌즈부(22) 내로 전달(coupling)하기 위한 렌즈부(22)의 요부(62)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70)의 광 발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발광원(18)에서 발산되고 반사 표면(44)에서 반사된, 간접적으로 발산된 광선(68)을 나타낸다.

Claims (14)

  1. 외부 윤곽(72)을 갖는 외장 백미러 조립체(72)용 방향 지시등 모듈(10)에 있어서,
    후방 하우징 유니트(12); 하나 이상의 PCB(16)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원(18); 적어도 하나의 반사 유니트(20); 및 렌즈부(22)를 포함하는 전방 하우징 유니트(14)를 포함하며,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의 제 1 종단(26, 26a 내지 26d)과 제 1 종단(26, 26a 내지 26d)의 다른 쪽의 제 2 종단(28, 28a 내지 28d) 사이의 길이 방향 연장부(24, 24a 내지 24d)의 적어도 주요 부분, 전방 하우징 유니트(14), 반사 유니트(20) 그리고 PCB(16) 각각은 외장 백미러 조립체(70)의 외부 윤곽(72)의 부분을 주행 방향(30)으로 뒤따르며, 발광원(18)을 갖는 PCB(16)는 반사 유니트(20)에 대하여 배치되어 반사 유니트(20)의 광 반사에 의하여 광을 전방 하우징 유니트(14)의 렌즈부(22)를 통하여 길이 방향 연장부(24)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 방향(30)과 측방향(32)으로 간접적으로 발산하고, 발광원(18)을 갖는 PCB(16)는 반사 유니트(20)에 대하여 배치되어 반사 유니트(20)의 광 반사에 의하여 광을 전방 하우징 유니트(14)의 렌즈부(22)를 통하여 길이 방향 연장부(24)의 주요 부분을 따라 주행 방향(30)과 측방향(32)으로 간접적으로 발산하며, 보행자 및 가로질러 있는 차량에게 방향 전환 의도를 나타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별적인 광원(18)이 측방향(81)으로 광을 직접적으로 발산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원(18)은 발광 다이오드(LED)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PCB(16)는 하우징(12, 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발광원(18)은 아래 방향과 윗방향으로 광을 각각 발산하고, 반사 유니트(20)는 아래 방향/위방향(36, 38)으로부터 주행 방향(30)과 측방향(32)으로 광을 반사시키기에 적합한, 길이 방향으로 절곡되고 횡방향으로 만곡진 반사 표면(4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4.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7개의 발광원(18)은 바람직하게는 PCB(16) 상에 길이 방향 연장부(24)를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균일하게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5.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 발광원(42)은 개별 PCB(40) 상에 장착되며, 와이어 하네스(46)에 의하여 PCB(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유니트(20)는 반사된 광의 광학적 확산을 위하여 균일한 반사 표면(44, 48) 또는 그루브가 형성된 반사 표면(44, 50),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증착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7. 선행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하우징 유니트(14)의 렌즈부(22)는 PCB(16)와 반사 유니트(20) 사이의 공간을 채워 발광원(18)이 렌즈부(22) 내로 광을 곧바로 조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반사 유니트(20)는 전방 하우징 유니트(14)의 렌즈부(22)의 내부 표면(54) 상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9.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 유니트(20)는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의 내부 표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10. 제7항 및 9항에 있어서, 전방 하우징 유니트(14)의 렌즈부(22)의 내부 표면(54)과 후방 하우징 유니트(12)의 내부 반사 표면(56)은 양 표면 사이에 균일한 간격(60)을 한정하며, 렌즈부(22)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62)를 포함하되, 렌즈부(22)와 발광원(18)의 광학적 결합을 위하여 발광원(18)은 캐비티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11.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부(22)는 외부 대 내부 투명 외부 표면(52)을 갖거나, 렌즈부(22)는 반투명 외부 표면(52)을 갖되, 외부 표면(52)은 바람직하게는 크롬 또는 알루미늄 도금막으로 코팅되며 5 내지 50%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광 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12.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하우징 유니트(12), PCB(16), 반사 유니트(20) 및 전방 하우징 유니트(14)는 그루브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스냅-인 컨넥터(58)를 이용하여 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지시등 모듈.
  13.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향 지시등 모듈(10)을 포함한 외부 백미러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방향 지시등 모듈(10)은 스냅-인 컨넥터(76)를 통하여 미러 조립체(70)의 하우징(74)에 고정된 미러 조립체.
KR1020100133912A 2009-12-29 2010-12-23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KR101268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016089.6 2009-12-29
EP09016089.6A EP2340967B2 (en) 2009-12-29 2009-12-29 Turn-indicator light module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and vehicle mirror assembly comprising a turn-indicator light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787A true KR20110076787A (ko) 2011-07-06
KR101268814B1 KR101268814B1 (ko) 2013-06-04

Family

ID=4171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912A KR101268814B1 (ko) 2009-12-29 2010-12-23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9563B2 (ko)
EP (1) EP2340967B2 (ko)
KR (1) KR101268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485B2 (en) 2014-05-13 2016-08-02 Hyundai Motor Company Inside mirror assembly for vehicle
KR20170062107A (ko) * 2015-11-27 2017-06-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21149993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리어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6704B2 (en) 2007-08-09 2014-07-22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wide angle element
WO2012133147A1 (ja) * 2011-03-30 2012-10-04 株式会社ミツバ ドアミラー用ターンランプ
JP2012243493A (ja) * 2011-05-18 2012-12-10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信号灯
DE102012108480B3 (de) * 2012-09-11 2014-02-20 SMR Patents S.à.r.l. Kopfteil
US10744947B2 (en) * 2012-01-24 2020-08-18 SMR Patents S.à.r.l. Head section for a rear view device
WO2013110122A1 (en) * 2012-01-24 2013-08-01 SMR Patents S.à.r.l. Chromium-based reflective coating
DE102012109492A1 (de) * 2012-10-05 2014-04-10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2109491A1 (de) * 2012-10-05 2014-04-10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ITTO20121039A1 (it) * 2012-12-03 2014-06-04 Olsa Spa Fanale laterale
JP6234157B2 (ja) * 2013-10-17 2017-11-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20150151674A1 (en) * 2013-12-04 2015-06-04 Chen-Wei Hsu Rearview mirror with light tube
KR101451861B1 (ko) * 2014-03-14 2014-10-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6293604B2 (ja) * 2014-07-28 2018-03-1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ランプ付き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CN104456362A (zh) * 2014-12-10 2015-03-25 上海康耐司信号设备有限公司 一种使用白光led的转向灯及具有该转向灯的汽车
US20160297356A1 (en) * 2015-04-13 2016-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inted led warning indicator signal
DE102015108486A1 (de) * 2015-05-29 2016-12-01 Hella Kgaa Hueck & Co. Seitenblinkleuchte für Fahrzeuge
EP3165631B1 (en) * 2015-11-09 2019-02-20 SMR Patents S.à.r.l. Coated polymeric substrates
US10440249B2 (en) * 2017-01-13 2019-10-08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vision system camera with semi-reflective and semi-transmissive element
EP3760486B1 (en) 2017-03-13 2022-05-04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Light emitting mirror bezel
US10967799B2 (en) * 2017-04-20 2021-04-06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Combined approach lamp and logo lamp
US11325536B2 (en) * 2017-06-13 2022-05-1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system with light module
US11739928B2 (en) 2017-08-10 2023-08-29 Archangel Device Llc Safety light
AU2018313245B2 (en) * 2017-08-10 2023-02-02 Archangel Device Llc Safety light
EP3956925A1 (en) * 2019-04-18 2022-02-23 Lumileds Holding B.V. Lighting device
WO2021116922A1 (en) * 2019-12-10 2021-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wered room air purifier with air-quality visual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1192B1 (en) * 1999-12-17 2003-01-28 Britax Vision Systems (North America) Inc. Side view mirror with integral lighting
DE10025810B4 (de) 2000-05-24 2014-01-23 SMR Patents S.à.r.l. Leuchteneinheit, insbesondere für Außenrückblickspiegel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DE20011341U1 (de) * 2000-06-28 2000-09-21 Fer Fahrzeugelektrik Gmbh Leuchtenbaugruppe
ES2168071B1 (es) 2000-07-12 2003-07-16 Barros Alejandro Rodriguez Retrovisor modular con señales multiples intercambiables para vehiculos de 2, 3, 4 o mas ruedas.
DE10058659B4 (de) * 2000-11-25 2007-06-14 Volkswagen Ag Kraftfahrzeug-Leuchte, insbesondere Signalleuchte
DE20114989U1 (de) * 2001-09-11 2001-11-29 Fer Fahrzeugelektrik Gmbh Fahrzeugleuchte
US7225464B2 (en) 2002-04-03 2007-05-29 Yodlee.Com, Inc. Method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a user for session authentication purposes during Web navigation
US6769798B2 (en) 2002-04-11 2004-08-03 E'sam Co.,. Ltd. Side mirror cover and cover lamp to be used therefor
DE10239839A1 (de) * 2002-08-29 2004-03-11 Volkswagen Ag Aussenrückspiegel für Fahrzeuge mit einer Signalleuchte
JP4110989B2 (ja) 2003-02-03 2008-07-02 市光工業株式会社 ランプ付き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433789B2 (ja) 2003-12-24 2010-03-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5190716A (ja) 2003-12-24 2005-07-14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4286674B2 (ja) 2004-01-14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体制御装置
JP4471285B2 (ja) * 2005-01-25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DE102005012104A1 (de) 2005-03-10 2006-09-14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Gehäuse, insbesondere Spiegelgehäuse
KR100742616B1 (ko) * 2006-04-28 2007-07-24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방향지시등을 겸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JP4930787B2 (ja) 2007-07-27 2012-05-1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及び、車両用灯具に用いられる導光レンズ
JP5152577B2 (ja) * 2008-06-09 2013-02-2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リング状発光体を用いた照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485B2 (en) 2014-05-13 2016-08-02 Hyundai Motor Company Inside mirror assembly for vehicle
KR20170062107A (ko) * 2015-11-27 2017-06-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WO2021149993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리어뷰 어셈블리
US11865969B2 (en) 2020-01-23 2024-01-09 Lg Innotek Co. Ltd. Optical assembly and rear-view mirror assembly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40967B1 (en) 2013-08-28
US20110157907A1 (en) 2011-06-30
EP2340967A1 (en) 2011-07-06
US8469563B2 (en) 2013-06-25
EP2340967B2 (en) 2016-09-14
KR101268814B1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814B1 (ko)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EP2157363B1 (en) Optical element for vehicle lamp
KR101232391B1 (ko) 외부 리어뷰미러 어셈블리
US20200158309A1 (en) Lamp and vehicle having same
JP2006236588A (ja) 光照明装置及び車両用灯具
CN210069733U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尾灯
US20060285348A1 (en) Vehicular light assembly
CN105556199A (zh) 具有连续变化的光均匀性的用于机动车辆的照明模块
CN210069734U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尾灯
KR20180043038A (ko) 매트릭스 sbl 광학계를 갖는 헤드램프
EP2390136A1 (en) Assembly having a housing comprising a circuit board support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JP2022127302A (ja) 車両用灯体装置
JP4461899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21153002A (ja) 車両用灯具
KR100865007B1 (ko) 사이드미러용 방향지시등
KR20180073069A (ko) 차량용 램프
KR101987295B1 (ko) 차량용 램프
CN113272178A (zh) 车辆用镜装置以及能够照射光的镜显示设备
JP2019199217A (ja)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自走式の車両
JP7176961B2 (ja)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WO2023238595A1 (ja) 車輌用灯具
WO2020246333A1 (ja) 二輪車用灯具
WO2024034558A1 (ja) 車両用灯具
JP4611935B2 (ja) 車両用灯体
JP4770731B2 (ja) 車室用間接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