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093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093B1
KR101968093B1 KR1020170122526A KR20170122526A KR101968093B1 KR 101968093 B1 KR101968093 B1 KR 101968093B1 KR 1020170122526 A KR1020170122526 A KR 1020170122526A KR 20170122526 A KR20170122526 A KR 20170122526A KR 101968093 B1 KR101968093 B1 KR 10196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unit
incident
len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852A (ko
Inventor
신진섭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0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빔 패턴이 형성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빔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영역을 통해 출사시키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렌즈로 입사되도록 형성된 중공의 테두리에 상기 렌즈의 입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 등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이 야간에 헤드 램프를 켜고 주행할 때 주행 방향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를 형성하여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빔 패턴이 형성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빔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영역을 통해 출사시키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렌즈로 입사되도록 형성된 중공의 테두리에 상기 렌즈의 입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암영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사고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부품 수 및 조립 시간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장착되는 히트 싱크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 어레이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광원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가 도시된 배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이 도시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이 도시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이 도시된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렌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 렌즈 홀더가 도시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및 렌즈 홀더가 도시된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홀더 및 커버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렌즈부가 도시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 및 광 투과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차량의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며,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조사되는 광의 광량을 감소시켜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암영대(Shadow area)를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소등되고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와 함께 점등될 수 있다.
광원부(10)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는 기판(11) 및 광원 어레이(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은 광원 어레이(12)가 설치되는 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광원 어레이(12)로부터 발생된 광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 어레이(12)가 설치되는 면이 전방을 향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향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기판(11)은 광원 어레이(12)뿐만 아니라 광원 어레이(12)의 전원 공급이나 제어 등을 위하여 외부 전원이나 컨트롤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13)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넥터(13)는 광원 어레이(12)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광원 어레이(12)와의 구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외부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13)의 위치는 기판(11)의 크기나 광원 어레이(12)가 설치되는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기판(11)은 도 5와 같이 광원 어레이(12)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신속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히트 싱크(30)의 일면에 장착되어 고온의 열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광원 어레이(12)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히트 싱크(30)에는 기판(11)의 장착 위치가 정렬될 수 있도록 기판(11)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홀(11a)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에는 후술할 제1 렌즈부(100)가 히트 싱크(30)에 장착될 때 기판(1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홀(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홀(11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 어레이(12)로부터 광이 발생되는 경우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트 싱크(30)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방열 성능에 따라 히트 싱크(30)뿐만 아니라 방열 팬 등과 같은 방열 장치가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광원 어레이(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1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12a)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광원(12a)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배열 방향이나 개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2a)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H) 내의 복수의 패턴 영역(PA)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 6의 빔 패턴(H)은 하이 빔 패턴으로서, V-V선, 즉 차량의 전방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영역(A1)이 차량 전방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는 영역(A2)에 비하여 형성되는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 거리가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V-V선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영역(A1)을 제1 영역이라 칭하고, V-V선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는 영역(A2)을 제2 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6의 빔 패턴(H)은 차량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차량용 램프(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H)의 일 예로서,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은 도 6의 V-V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광원(12a) 중 전방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소등되거나 광량이 감소되도록 하여 암영대를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빔 패턴(H)은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복수의 광원(12a) 중 일부가 다른 일부와 서로 다른 개수의 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2a)은 도 7과 같이 제1 영역(A1)을 형성하는 제1 그룹(G11) 및 제2 영역(A2)을 형성하는 제2 그룹(G12)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제1 그룹(G11)은 제2 그룹(G12)에 비하여 차량 외측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복수의 광원(12a)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프로젝션 렌즈를 통과하는 경우 광이 조사되는 영역은 역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제1 그룹(G11) 및 제2 그룹(G12)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로 광원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그룹(G11) 및 제2 그룹(G12)에서 광원이 배치되는 열의 개수를 서로 다르게 하여 빔 패턴(H)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광원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로 배치된다는 것은 차량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로 배치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광원이 복수의 열로 배치된다는 것은 차량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열이 수직 방향, 즉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12a) 중 제1 그룹(G11)에 포함되는 광원은 2열로 배치되고, 제2 그룹(G12)에 포함되는 광원은 1열로 배치되어 제1 영역(A1)의 형성 높이가 제2 영역(A2)의 형성 높이보다 높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형성 높이에 따라 제1 그룹(G11) 및 제2 그룹(G12)에 포함되는 광원이 배치되는 열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그룹(G11)에 포함되는 광원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배치 간격(d11)은 제2 그룹(G12)에 포함되는 광원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배치 간격(d12)보다 작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제1 그룹(G11)은 차량 전방의 시야 거리가 향상되도록 광을 집중시켜 고조도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제2 그룹(G12)은 차량 전방의 넓은 시야 범위가 확보되도록 빔 패턴(H)의 스프레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역(A2)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빔 패턴(H)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광원(12a)의 열의 개수와 배치 간격 등을 조정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적합한 형상의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광원부(10)는 광원 어레이(12)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도 8과 같이 소정의 컷 오프 라인(C)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L)이 함께 형성되는 경우 로우 빔 패턴(L)의 컷 오프 라인(C) 하측의 소정 영역(L1)에 조사되어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시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은 로우 빔 패턴(L)이 형성되어 광원 어레이(12)가 소등된 경우라도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점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도록 점등되어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은 제1 그룹(G11) 및 제2 그룹(G12)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프로젝션 렌즈를 통과하는 경우 광이 조사되는 영역은 역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이 제1 그룹(G11) 및 제2 그룹(G12)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조사되는 영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광원(14)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광 투과부(20)는 광원부(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투과시켜 차량 전방에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 투과부(20)는 제1 렌즈부(100) 및 제2 렌즈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렌즈부(100)는 광원부(10)로부터 발생된 광을 제2 렌즈부(200)로 안내하고, 제2 렌즈부(200)는 제1 렌즈부(100)에 의해 안내된 광이 차량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100)는 광 가이드부(110), 제1 브라켓(120) 및 제2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110)는 도 16과 같이 광원 어레이(12)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입사되도록 광원 어레이(12)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어레이(111)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어레이(111)로 입사된 광은 출사부(112)로 출사되어 후술할 제2 렌즈부(200)에 입사될 수 있다.
가이드 어레이(111)는 복수의 가이드(1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111a)는 복수의 광원(12a)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입사면(111b)이 복수의 광원(12a)의 발광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111a)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광원(12a) 각각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가이드(111a)의 입사면(111b)은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복수의 광원(12a)의 발광면의 형상이 사각 형상을 가지기 때문이며, 복수의 광원(12a)의 발광면의 형상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111a)의 입사면(111b)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111a)의 입사면(111b)은 복수의 광원(12a)의 발광면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광원(12a)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가능한 한 복수의 가이드(111a)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하여 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가이드(111a)는 전술한 복수의 광원(12a)과 마찬가지로 제1 그룹(G21) 및 제2 그룹(G22)으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제1 그룹(G21) 및 제2 그룹(G22)에 각각 포함되는 가이드는 전술한 광원부(10)의 제1 그룹(G11) 및 제2 그룹(G12)에 각각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12a)이 배치되는 열의 개수 및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열의 개수 및 배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이드(111a) 중 제1 그룹(G21)에 포함되는 가이드는 2열로 배치되고, 제2 그룹(G22)에 포함되는 가이드는 1열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이드(111a) 중 제1 그룹(G21)에 포함되는 가이드가 전술한 도 6의 빔 패턴(H) 중 제1 영역(A1)을 형성하고, 제2 그룹(G22)에 포함되는 가이드가 전술한 도 6의 빔 패턴(H) 중 제2 영역(A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영역(A1)의 형성 높이가 제2 영역(A2)의 형성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제1 그룹(G21)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열의 개수가 제2 그룹(G22)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열의 개수보다 많고, 빔 패턴(H)의 스프레드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영역(A2)을 형성하는 제2 그룹(G22)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배치 간격(d22)이 제1 영역(A1)을 형성하는 제1 그룹(G21)에 포함되는 가이드의 배치 간격(d21)보다 크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광 가이드부(110)의 출사부(1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출사면(11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111a)에 의해 안내된 광은 출사면(112a)을 통해 전방으로 출사될 수 있다.
출사면(112a)은 빔 패턴(H)의 제1 영역(A1)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 영역(112b) 및 빔 패턴(H)의 제2 영역(A2)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 영역(112c)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A1)의 형성 높이가 제2 영역(A2)에 비하여 높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1 출사 영역(112b)의 형성 높이가 제2 출사 영역(112c)에 비하여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출사 영역(112b)의 형성 높이가 제2 출사 영역(112c)보다 높다는 것은 제1 출사 영역(112b)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간격이 제2 출사 영역(112c)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사면(112a)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사면(112a)을 포함한 출사부(112)는 균일한 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가이드(111a)에 의해 안내된 광이 하나의 출사면(112a)을 통해 출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111a)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사면(112a)은 복수의 가이드(111a) 각각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복수의 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브라켓(120)은 복수의 가이드(111a)의 입사면(111b)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통과 홀(121)이 형성되며, 복수의 가이드(111a)는 복수의 통과 홀(121)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입사면(111b)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브라켓(120)은 도 17과 같이 제2 브라켓(130)을 향하는 면에 복수의 통과 홀(121) 둘레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격벽부(122) 및 복수의 통과 홀(1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격벽부(12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격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부(122) 및 제2 격벽부(123)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은 광 가이드부(110)의 테두리로부터 제1 브라켓(120)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13)가 제1 격벽부(122) 및 제2 격벽부(123)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하도록 삽입 홈(124)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광 가이드(111a)의 입사면(111b)이 복수의 통과 홀(121)을 통과하는 경우 돌출부(113)가 삽입 홈(124)에 삽입되어 광 가이드부(1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격벽부(122)는 적어도 일부 영역(122a)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격벽부(122)의 개방 영역(122a)은 광 가이드부(110)가 전술한 추가 광원(14)을 위하여 추가 가이드(114)를 포함하는 경우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켜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정상적으로 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광 가이드부(110)가 추가 가이드(114)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격벽부(122) 및 제2 격벽부(123)는 추가 가이드(114)을 위하여 크기가 증가하게 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부(122)에 개방 영역(122a)을 형성함으로써 제1 격벽부(122) 및 제2 격벽부(123)의 크기가 증가되지 않고도 추가 가이드(114)가 위치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제1 격벽부(122)로 인하여 광이 출사되는 방향이 제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개방 영역(122a)이 상측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추가 광원(14)이 복수의 광원(12a)의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이며, 추가 광원(14)의 위치나 개수 등에 따라 개방 영역(122a)이 형성되는 위치나 개수 등도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광 가이드부(110)가 추가 가이드(114)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브라켓(120)에는 추가 가이드(114)의 입사면(114a)이 통과되는 추가 통과 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30)은 광 가이드부(110)의 출사부(112)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투과되는 투과 홀(131)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H)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불필요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브라켓(130)의 투과 홀(131)은 빔 패턴(H)의 제1 영역(A1)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투과되는 제1 투과 영역(131a) 및 빔 패턴(H)의 제2 영역(A2)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투과되는 제2 투과 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A1)의 형성 높이가 제2 영역(A2)에 비하여 높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1 투과 영역(131a)의 형성 높이가 제2 투과 영역(131b)에 비하여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투과 영역(131a)의 형성 높이가 제2 투과 영역(131b)에 비하여 높다는 것은 제1 투과 영역(131a)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간격이 제2 투과 영역(131b)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브라켓(130)의 투과 홀(131)은 전술한 광 가이드부(110)의 출사면(112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빔 패턴(H)의 형상에 따라 일부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브라켓(120) 및 제2 브라켓(130)은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플렌지부(125, 1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플렌지부(125, 132)에는 히트 싱크(30)에 형성된 체결 홈(32)에 체결되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 부재(32a)가 통과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125a, 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 부재(32a)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홀(125a, 132a)과 더불어 기판(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홀(11b)을 통과하여 전술한 도 2와 같이 히트 싱크(30)에 형성된 체결 홈(32)에 체결되기 때문에 제1 렌즈부(100)와 함께 기판(11)이 히트 싱크(30)에 장착될 수 있어 광원부(10) 및 제1 렌즈부(100)를 히트 싱크(30)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도 광원부(10) 및 제1 렌즈부(100)를 용이하게 히트 싱크(30)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20) 및 제2 브라켓(130)에 각각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렌지부(125, 132)는 히트 싱크(3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31)가 삽입되는 삽입 홀(125b, 132b)가 형성되어 체결 부재(32a)를 통해 광원(10) 및 제1 렌즈부(100)를 장착하기 이전에 광원(10) 및 제1 렌즈부(10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한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H)은 전술한 도 6과 같이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의 형성 높이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에 이질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에 경사 라인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130)은 빔 패턴(H)의 제2 영역(A2)을 형성하는 제2 투과 영역(131b)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복수의 형성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투과 영역(131b)의 하단 중 일부와 상단 사이의 간격이 제2 투과 영역(131b)의 하단 중 다른 일부와 상단 사이의 간격과 다르도록 제2 투과 영역(131b)의 하단이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투과 영역(131b)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형성 높이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투과 영역(131b)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투과 영역(131b)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형성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수평 방향으로 제1 투과 영역(131a)에 가까워질수록 제2 투과 영역(131b)의 형성 높이가 점차적으로 커질 수 있도록 제2 투과 영역(131b)의 하단이 단차를 가지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 경우 도 20과 같이 빔 패턴(H)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에 경사 라인(S)이 형성되어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의 이질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투과 영역(131b) 하단의 단차 사이는 수평한 형상일 수도 있고,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20과 같은 빔 패턴(H)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제2 투과 영역(131b)의 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투과 영역(131a)을 향하는 일측이 타측에 비하여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빔 패턴(H)의 형상에 따라 단차 사이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8 및 도 19에서는 제2 투과 영역(131b)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다른 형성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빔 패턴(H)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에 경사 라인(S)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사면(112a) 중 제2 출사 영역(112c)이 전술한 제2 투과 영역(131b)과 유사하게 제1 출사 영역(112b)으로 갈수록 서로 다른 형성 높이를 가지도록 제2 출사 영역(112c)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수평 방향으로 가면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빔 패턴(H)의 경사 라인(S)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렌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렌즈부(200)는 제1 렌즈부(100)에 의해 안내된 광을 투과시켜 전술한 도 6의 빔 패턴(H)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렌즈부(100)는 빔 패턴의 형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렌즈부(200)는 빔 패턴(H)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광이 조사되도록 제1 렌즈부(100)에 의해 안내된 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굴절시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H)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렌즈부(200)는 렌즈(210), 렌즈 홀더(220), 커버부(230) 및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210)는 렌즈 홀더(220)의 전방에 결합되며, 렌즈 홀더(220)는 제1 렌즈부(100)에 의해 안내된 광이 렌즈(210)로 입사될 수 있도록 중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210)는 제1 렌즈부(100)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211)가 형성되며, 렌즈(210)는 테두리부(211)가 렌즈 홀더(220)의 중공(221) 테두리에 안착되어 렌즈 홀더(22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20)는 중공(221) 테두리에 렌즈(210)가 안착되는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리브(222) 및 중공(221) 테두리에 안착되는 렌즈(210)의 테두리부(211)가 지지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렬 리브(222)는 도 24와 같이 렌즈(210)의 테두리부(211) 측면에 맞닿도록 위치하여 렌즈(210)가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렌즈(210)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223)는 도 25와 같이 렌즈 홀더(220)의 중공(221) 테두리에 안착되는 렌즈(210)의 테두리부(211)가 지지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223)는 렌즈(210)의 테두리부(211)와 중공(221)의 테두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렌즈(210) 및 렌즈 홀더(220)가 서로 접촉되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공(221)의 테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정렬 리브(222)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223)가 서로 교대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정렬 리브(222)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223)가 형성되는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버부(230)는 렌즈 홀더(2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광원부(10)로부터 발생된 광이 렌즈(210)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광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누광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부(230)는 내부에 렌즈 홀더(220)가 위치하며, 렌즈 홀더(220)의 중공(221)을 통해 진행하는 광이 렌즈(210)로 입사되도록 하는 개구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30)는 렌즈 홀더(220)의 전방으로부터 렌즈 홀더(220)가 개구부(231)를 통해 커버부(230) 내부에 위치되도록 렌즈 홀더(2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렌즈 홀더(220)의 외측면에는 커버부(230)가 결합되는 경우 커버부(230)의 결합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224)는 커버부(230)가 렌즈 홀더(220)의 전방으로부터 결합되는 경우 커버부(230) 내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32)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버부(230)가 렌즈 홀더(220)에 결합되는 경우 도 26과 같이 커버부(230)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32)가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224)에 접촉되어 커버부(230)가 렌즈 홀더(220) 측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고정부(240)는 렌즈 홀더(220)의 중공(221)에 결합되는 렌즈(210)가 노출되도록 노출 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40)는 렌즈 홀더(220)를 향하는 노출 홀(241)의 테두리로부터 렌즈 홀더(220)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에는 렌즈 홀더(2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225)가 삽입되는 결합 홀(242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에 결합 홀(242a)이 형성되고, 렌즈 홀더(22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225)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렌즈 홀더(22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는 렌즈 홀더(220) 및 커버부(2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225)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노출 홀(241)의 테두리가 커버부(230)의 개구부(231) 테두리에 맞닿게 위치하여 커버부(23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는 렌즈 홀더(220) 및 커버부(2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삽입되기 때문에 커버부(23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의 들뜸 현상이 방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의 결합 홀(242a)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225)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커버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32)가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224)와 맞닿게 위치하여 커버부(230)가 렌즈 홀더(22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고정부(24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232)가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224)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커버부(2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240)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2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차부(243)는 고정부(240)의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에 형성된 결합 홀(242a)에 렌즈 홀더(220)의 결합 돌기(225)가 삽입될 때 렌즈(210)의 테두리부(211)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렌즈(2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렌즈(210) 테두리부(211)는 후방이 렌즈 홀더(220)의 중공(221) 테두리에 의해 지지되며, 전방은 고정부(2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단차부(24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렌즈(2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210), 렌즈 홀더(220), 커버부(230) 및 고정부(240)가 스크류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품 수가 감소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고정부(240)는 렌즈 홀더(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226)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244)가 형성되어 고정부(240)의 이동 방향이 안내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42)와 함께 고정부(24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유동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광원부
11: 기판
12: 광원 어레이
13: 커네터
20: 광 투과부
100: 제1 렌즈부
110: 광 가이드부
111: 가이드 어레이
112: 출사부
200: 제2 렌즈부
210: 렌즈
220: 렌즈 홀더
230: 커버부
240: 고정부

Claims (10)

  1. 빔 패턴이 형성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빔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영역을 통해 출사시키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렌즈로 입사되도록 형성된 중공의 테두리에 상기 렌즈의 입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중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렌즈가 안착되는 위치가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리브; 및
    상기 중공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테두리부가 지지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 리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리브는,
    상기 중공의 테두리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빔 패턴이 형성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빔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영역을 통해 출사시키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렌즈로 입사되도록 형성된 중공의 테두리에 상기 렌즈의 입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렌즈 홀더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렌즈 홀더가 삽입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내측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렬 돌기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에 의해 상기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차량용 램프.
  6. 빔 패턴이 형성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빔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영역을 통해 출사시키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렌즈로 입사되도록 형성된 중공의 테두리에 상기 렌즈의 입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렌즈가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 홀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 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렌즈 홀더를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홀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는,
    상기 렌즈 홀더 및 상기 커버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9. 빔 패턴이 형성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빔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영역을 통해 출사시키는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상기 제1 렌즈부로부터 출사된 광이 상기 렌즈로 입사되도록 형성된 중공의 테두리에 상기 렌즈의 입사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렌즈 홀더;
    상기 렌즈 홀더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 및 상기 커버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렌즈 홀더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렌즈의 테두리부와 맞닿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 홀의 테두리가 상기 커버부와 맞닿도록 상기 렌즈 홀더와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70122526A 2017-09-22 2017-09-22 차량용 램프 KR10196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526A KR101968093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526A KR101968093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52A KR20190033852A (ko) 2019-04-01
KR101968093B1 true KR101968093B1 (ko) 2019-04-11

Family

ID=6610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26A KR101968093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4741A (zh) * 2019-09-10 2019-11-15 孝感市瑞莱特汽车照明有限公司 美标配光系统及其配光应用的远近光一体灯和分体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809B2 (en) 1998-09-18 2005-03-01 Gentex Corporation Headlamp control to prevent glare
KR101534703B1 (ko) * 2013-09-25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 램프
KR102316375B1 (ko) * 2014-12-24 2021-10-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852A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81004B (zh) 车辆用灯具
US9623792B2 (en) Vehicle headlight
US7789545B2 (en) Vehicle headlight assembly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US11953171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KR101968093B1 (ko) 차량용 램프
KR101968094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33854A (ko) 차량용 램프
KR101959804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33850A (ko) 차량용 램프
KR102441920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224433B1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US11892136B2 (en) Vehicle lamp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20150029832A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8787513U (zh) 灯具模块及包括该灯具模块的车辆用灯具
KR20180056952A (ko) 차량용 램프
KR20240082075A (ko) 차량용 포그램프
KR20220132745A (ko) 차량용 램프
KR101863787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053023A (ko) 차량용 램프
KR20240084008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65600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