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318A -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 Google Patents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318A
KR20220143318A KR1020210049710A KR20210049710A KR20220143318A KR 20220143318 A KR20220143318 A KR 20220143318A KR 1020210049710 A KR1020210049710 A KR 1020210049710A KR 20210049710 A KR20210049710 A KR 20210049710A KR 20220143318 A KR20220143318 A KR 20220143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penetration
perforation
grouting
basic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752B1 (ko
Inventor
김현일
김동준
이상휴
최윤호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7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08Methods for grouting offshore structures;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39Methods for placing the offshor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해저 지반의 특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자켓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관입부가 삽입되기 이전에, 설치 위치에 관입부와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선천공 시공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관입부는 천공부에 삽입되어 자켓부가 설치 위치에 거치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Pre-drilling and positioning method for installation of jacket foundation}
본 발명은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구조물은 해저에 고정되는 기초를 가지고 해상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을 말하며, 대표적으로는 해상 풍력발전 장치, 해상 석유시추 플랫폼과 같은 Oil 이나 Gas의 생산 구조물, 해양과학기지 구조물, 항만 구조물 등이 있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은 해저에 고정되는 기초구조물 위에 안착되어 고정되며, 기초구조물은 통상 해저에 고정되어 기초 구조를 형성하는 기초구조물 및 이러한 기초구조물의 상단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데크를 포함하며, 데크 상에는 상부구조물이 설치된다. 도 1은 해상풍력발전의 기초구조물의 예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구조물은 그 형상에 따라 모노파일(monopile)형, 트라이포드(tripod)형, 돌핀(dolphin)형, 자켓(jacket)형, 부유식 구조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자켓형은 기초구조물에 수평으로 작용하는 파력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지반정리가 최소로 요구되며, 소구경 Pile로도 시공이 가능하여 선호도가 높은 형식에 해당된다.
자켓형 기초구조물과 관련하여, 도 2는 자켓 기초구조물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켓형 기초구조물이 적용된 기초구조물은 강관으로 구성된 레그를 해저면에 세우고, 레그와 레그 사이에 브레이스 부재를 설치하여 입체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며, 레그를 해저에 고정하기 위해 파일이 추가로 설치되는 형태이다. 자켓형 기초구조물은, 일반적으로 4개의 레그(Leg) 및 레그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브레이스(Brace)로 구성되고, 이러한 레그는 말뚝(Pile)에 의해 지반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자켓형 기초구조물의 시공은 설치 위치의 지반 정리 단계, 바지선 등을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운송 단계, 예정 위치에 자켓 거치 단계, 파일 항타 단계, 자켓-파일 연결부 용접 및 그라우팅 단계로 진행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5-0077787, 부력탱크를 이용한 해상풍력 자켓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5-0077748, 수직 레그가 형성된 자켓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일반적인 경우, 해저 지반에 토사층이 존재하므로 자켓을 거치 후 파일을 즉시 설치하여 외력에 대한 안정성을 후속 작업이 가능한 수준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해저면에 암반이 노출되거나 충분한 두께의 토사층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제주도 연안 지역과 같은 조건)에서는 자켓 거치 후 파일의 즉시 설치가 불가하고 암반 굴착 등의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파일의 설치가 완료되기 전까지 기간이 증가되며 그만큼 자켓 기초구조물이 외력(파력, 조력, 풍하중 등)에 의하여 전도되거나 활동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파일의 설치가 완료되기 이전 자켓 기초구조물의 임시 거치 기간 동안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별도의 고정용 지그를 설치하거나, 바닥면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 등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기존의 임시 거치 방법 중 자켓 고정용 지그를 활용하는 시공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임시 거치 방법으로는 자켓 고정용 지그 설치 및 제거의 공정 추가로 인해 공기 및 공사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4는 기존의 임시 거치 방법 중 퇴적층 준설 및 버림 콘크리트 타설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공법 적용 시 파일 고정을 위해 자켓 기초구조물의 Leg can 하단부까지 버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하나,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자켓 호기별로 상이한 시공이 필요하여 시공성이 다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위치 시공 오차 최소화를 위한 시공 난이도 저감, 해저면 암반층의 경우 추가 지그 설치/제거 공정 배제, EL에 따른 시공성 제약이 해소된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 지반의 특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자켓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본체로서, 브레이스 및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상기 레그의 하부에 구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자켓부의 하방으로 구성되는 관입부; 및 상기 관입부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관입부와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선천공 시공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부는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가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해저 지반은 암반층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인 제1그라우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가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임시 거치된 이후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인 제1그라우팅부; 상기 관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천공부의 바닥면에 타설되는 핀파일; 및 상기 핀파일 내부 공간에 시공되는 그라우트,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해저 지반 사이 공간에 시공되는 그라우트 또는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관입부 내측 사이의 공간에 시공되는 그라우트를 포함하는 제2그라우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가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임시 거치된 이후에 시공되며, 상기 제1그라우팅부가 시공된 이후에 상기 핀파일이 시공되고, 상기 핀파일이 시공된 이후에 상기 제2그라우팅부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입부 외측에 상기 관입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나선형 띠철근과 기둥주근으로 구성된 철근 보강 또는 철근 선타설 보강으로 구성되는 보강재; 및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인 제1그라우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가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임시 거치된 이후에 시공되며, 상기 관입부, 상기 보강재 및 상기 천공부를 일체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치 위치 중 상기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가장 높은 위치에 시공된 상기 천공부에 가장 먼저 상기 관입부가 일부 삽입되고, 상기 자켓부가 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의 위치가 연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조정된 뒤,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입부의 외측, 내측 또는 하단에 상기 관입부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측은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으로 체결되고, 하측은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입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승하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모듈의 연장 또는 수축에 의해 상기 천공부의 상기 하부 지반에 대한 상기 관입부의 상하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승하강 모듈은 상기 관입부의 내부 공간이 종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부는 상기 관입부의 길이보다 깊은 깊이로 과천공 시공되고,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에 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되는 세부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부조정부 시공을 통하여 상기 관입부의 레벨링 또는 수직도 조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저 지반의 특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자켓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본체로서, 브레이스 및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구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자켓부의 하방으로 구성되는 관입부;및 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부는, 상기 관입부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관입부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선천공 시공된 천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가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저 지반의 특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본체로서, 브레이스 및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구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자켓부의 하방으로 구성되는 관입부;를 포함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관입부와 대응되도록 복수개 선천공 시공하여 천공부를 생성하는 선천공 단계; 및 상기 관입부를 상기 천공부에 삽입하여 상기 자켓부를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하는 임시 거치 단계;를 포함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해저 지반은 암반층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제1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1그라우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제1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1그라우팅 단계; 핀파일을 상기 관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천공부의 바닥면에 타설하는 파일 시공 단계; 및 상기 핀파일 내부 공간,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해저 지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관입부 내측 사이의 공간에 제2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2그라우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전에, 나선형 띠철근과 기둥주근으로 구성된 철근 보강 또는 철근 선타설 보강으로 구성되는 보강재를 상기 관입부 외측에 상기 관입부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보강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제1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1그라우팅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 상기 보강재 및 상기 천공부를 일체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임시 거치 단계는, 상기 설치 위치 중 상기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가장 높은 위치에 시공된 상기 천공부에 가장 먼저 상기 관입부를 일부 삽입하고, 상기 자켓부를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의 위치가 연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조정한 뒤,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자켓부를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은 상기 관입부의 외측, 내측 또는 하단에 상기 관입부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측은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으로 체결되고, 하측은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입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승하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승하강 모듈은 상기 관입부의 내부 공간이 종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승하강 모듈의 연장 또는 수축을 수행하여 상기 천공부의 상기 하부 지반에 대한 상기 관입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수직도를 미세조정하는 수직도 미세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상기 천공부는 상기 관입부의 길이보다 깊은 깊이로 과천공 시공되고,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에 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되는 세부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천공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에 상기 세부조정부 시공을 통하여 상기 관입부의 레벨링 또는 수직도 조절을 수행하는 세부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의 관입부를 천공부 내 관입 이후에 위치를 조정하게 되므로, 설치 위치 시공 오차 최소화를 위한 시공 난이도가 저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저면 암반층에 자켓 기초를 시공하는 경우 추가 지그 설치/제거 공정이 배제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에 따른 시공성 제약이 해소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해저면 암반층에 기존 공법 적용 시, 파일 고정을 위해 버림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하나, 해저 지반의 EL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다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천공부의 그라우트가 파일을 고정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고정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이에 따라 해저 지반의 EL에 따른 시공성 제약이 해소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해저 암반층 선천공 후 자켓 임시 거치 시, 자켓 기초구조물의 시공 중 전도 및 활동에 대한 안정성 확보할 수 있으며, 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거치도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의 레그 외부가 주변 암반과 선(先)그라우팅 시공되어 있으므로, 파일 주변의 그라우팅 유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5는 기존의 일반 공법에 따라 레그 하단과 암반 사이의 밀폐 작업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와 같이, 기존의 일반 공법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의 레그 하단과 암반 사이에서 그라우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Rubber Pad(도 5의 a), 반구 Rubber(도 5의 b), Rubber packing(도 5의 c), 그라우트 유출 최소화 작업(도 5의 d) 등을 이용한 밀폐 시공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며, 이는 추가적인 밀폐 작업으로서 공기 증가 및 시공성 저하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일 시공 이전 단계에서도 자켓 기초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최소한의 암반층 천공을 통해 자켓 기초구조물을 정확한 위치에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천공 작업을 자켓 기초구조물 제작 혹은 운송 단계에 수행하여 공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해상풍력발전의 기초구조물의 예시를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자켓 기초구조물을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기존의 임시 거치 방법 중 자켓 고정용 지그를 활용하는 시공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기존의 임시 거치 방법 중 퇴적층 준설 및 버림 콘크리트 타설 방법을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기존의 일반 공법에 따라 레그 하단과 암반 사이의 밀폐 작업을 도시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천공 단계(S10)를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천공 단계(S10)의 세부조정부(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 시공을 도시한 모식도,
도 9,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거치 단계(S20)를도시한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라 외측 플랜지와 승하강 모듈이 구성된 모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라 하측 또는 내측 플랜지와 승하강 모듈이 구성된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부 그라우팅 단계(S30)를 도시한 모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단계(S40)를 도시한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그라우팅 단계(S50)를 도시한 것,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은, 선천공 단계(S10), 임시 거치 단계(S20), 자켓 관입부 그라우팅 단계(S30), 파일 시공 단계(S40), 파일 그라우팅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천공 단계(S10)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설치 위치를 선천공하여 천공부(1)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천공 단계(S10)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각 관입부(13)의 설치 위치에 관입부(13)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선천공 시공하여 천공부(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부(1)의 직경(w)은 관입부(13) 직경의 1.1배 내지 2배로 구성될 수 있고, 천공부(1)의 깊이(h)는 관입부(13) 길이보다 깊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천공부(1)의 깊이(h)는 시공 환경이나 시공 상황에 따라 관입부(13) 길이보다 얕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부(1)의 선천공 시공에 의해 자켓 거치 시의 안정성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특히, 구조물 높이 대비 특정 수준 이하의 깊이를 가지는 shallow한 천공부(1)의 선천공 시공만으로도 자켓 거치 시의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천공부(1)의 직경(w)이 과다하게 넓은 경우에는 자켓 레그와 그라우트 간 접합력이 저하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천공부(1)의 깊이(h)가 지나치게 깊은 경우에는 암반 굴착에 대한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천공부(1)의 깊이(h)와 관련하여, 천공부(1)의 선천공 시공 시 관입부(13) 길이보다 깊게 시공(과천공)한 후 하부 지반에 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 등을 포함하는 세부조정부를 시공하여 레벨링(레벨 세부조정) 혹은 자켓 구조물 수직도 세부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천공 단계(S10)의 세부조정부(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 시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부(1)의 선천공 시공 시 관입부(13) 길이보다 깊게 시공(과천공, H1, H2, EL(-)d)한 후 하부 지반에 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 등을 포함하는 세부조정부(100)를 시공하여 계획고(h1, h2, EL(-)c)까지 레벨링(레벨 세부조정) 혹은 자켓 구조물 수직도 세부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선천공 후 저렴한 비용으로 천공부(1)의 깊이를 세부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굴착만으로 천공부(1)의 깊이(h)를 정교하게 시공하는 방법에 비해 비용, 공기, 시공 난이도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이득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공부(1) 중 EL이 가장 높은 설치 위치에 시공되는 천공부(1)의 깊이(h)가 가장 깊게 구성될 수 있다. 각 관입부(13)에 대응되는 설치 위치에서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EL (-)a, EL (-)b로 상이하더라도 천공부(1)의 바닥면 수심(EL (-)c)이 동일하도록 각 천공부(1)의 깊이(h1,h2)는 달리 시공될 수 있다. 천공부(1)의 시공 위치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설치 위치에서 특정 수준 이상의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GPS 등의 장비를 활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일반 공법으로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을 해저면에 거치할 때 설치 위치 위에 정확하게 거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시공 상의 난이도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천공 단계(S10)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 자체를 설치 위치 위에 정확하게 거치하는 기존의 시공 방법보다 더 낮은 시공 난이도로 설치 위치에 선천공 시공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임시 거치 단계(S20)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각 관입부(13)를 천공부(1)에 삽입하여 임시거치하는 단계이다. 도 9,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거치 단계(S20)를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거치 단계(S20)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각 관입부(13)를 천공부(1)에 삽입하여 임시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레그에서 연장되는 형태의 관입부가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자켓 기초구조물의 레그의 측부에 Pile Sleeve의 형태로 관입부가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다양한 관입부 형태를 가지는 자켓 기초구조물에 대한 시공 방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레그(12) 단부에서 관입부(13)가 연장되는 형태를 기초로 기술하였다. 기존의 일반 공법으로는 자켓 기초구조물을 해저면에 거치할 때 설치 위치 위에 정확하게 거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시공 상의 난이도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거치 단계(S20)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의 관입부(13)가 상대적으로 너비가 넓은 천공부(1)에 삽입되기만 하면 됨으로써 시공 난이도가 크게 저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자켓 기초구조물(10)의 임시 거치는 크레인 바지선과 같은 Setting Barge가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 거치 단계(S20)는,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가장 높은 설치 위치의 천공부(1)에 가장 먼저 자켓 기초구조물(10)의 특정 관입부(13)를 일부 삽입하고, 삽입된 특정 관입부(13)를 축으로 자켓 기초구조물(10)을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각 천공부(1)에 각 관입부(13)의 위치가 연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조정한 뒤, 각 천공부(1)에 각 관입부(13)를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10)을 해저면에 거치할 때 정확한 설치 위치에 거치하기 위한 난이도가 크게 저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자켓 기초구조물(10)의 임시 거치 시 수직도 미세 조정을 위한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하여,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라 외측 플랜지와 승하강 모듈이 구성된 모식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라 하측 또는 내측 플랜지와 승하강 모듈이 구성된 모식도이다.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관입부(13)의 구성에 따르면, 각 관입부(13)의 하단에 플랜지부(130)와 승하강 모듈(131)이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30)는 관입부(13)의 외측, 내측 또는 하단에 관입부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구성되어 승하강 모듈(131)의 상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하강 모듈(131)은 상측이 플랜지부(130)를 통해 관입부(13)를 지지하도록 플랜지부(130)에 수직으로 체결되고, 하측이 천공부(1)의 하부지반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관입부(13)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되어 천공부(1)의 하부 지반에 대한 관입부(13)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130)와 승하강 모듈(131)은, 관입부(13) 상측으로 핀파일(30)이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기 위해 관입부(13)의 내부 공간이 종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승하강 모듈(131)은 유압식 잭, 공압식 잭, 기계식 잭, 볼트 등의 승하강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플랜지부(130) 및 승하강 모듈(131)에 따르면, 좀더 미세한 수직도 조절 등이 필요한 경우, 혹은 되메움 등으로 수직도 조절이 어려움 지형인 경우, 자켓 기초구조물(10)의 임시 거치 이후 정교한 수직도 조절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에 따르면, 천공부(1)의 선천공 시공 시 깊이(h)에 대한 공정 정교도가 요구되지 않게 되므로, 공정 난이도가 저감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천공부 그라우팅 단계(S30)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임시 고정을 위하여 천공부(1) 내측과 관입부(13)의 사이를 그라우팅하여 제1그라우팅부(20)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부 그라우팅 단계(S30)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부 그라우팅 단계(S30)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10)의 임시 고정을 위하여 천공부(1)와 관입부(13)의 사이를 그라우팅하여 제1그라우팅부(20)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 외부가 주변 암반과 선(先)그라우팅 시공되어 있으므로, 파일 그라우팅 단계(S50)에서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도 파일 주변의 그라우트 유출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파일 시공 단계(S40)는 핀파일(30)의 근입부를 굴착하고,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 또는 레그(12)를 통해 핀파일(30)을 삽입하며, 해머 등을 이용한 핀파일(30) 항타를 통해 천공부(1)의 바닥면에 핀파일(30)을 타설하는 단계이다.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가 Pile Sleeve 형태로 레그(12) 측부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관입부(13)를 통해 핀파일(30)을 삽입하며,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가 레그(12)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레그(12) 및 관입부(13)를 통해 핀파일(30)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단계(S40)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단계(S40)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 임시 거치 후 지그 설치와 같은 별다른 추가 공정 없이 곧바로 핀파일(30)을 타설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파일 그라우팅 단계(S50)는 파일 시공 단계(S40)에서 시공된 핀파일(30) 내부, 핀파일(30)과 해저 지반(주로 암반) 사이의 공간, 핀파일(30)과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 사이의 공간을 그라우팅하여 제2그라우팅부(21)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일 그라우팅 단계(S5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그라우팅 단계(S50)는 핀파일(30) 내부, 핀파일(30)과 해저 지반(주로 암반) 사이의 공간, 핀파일(30)과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 사이의 공간을 그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방법은, 자켓 기초구조물(10) 제작 시에 보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단계는 선조립 철근 등의 보강재(40)를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 외측에 보강하는 단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 단계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와 천공부(1)의 사이 공간에 선조립 철근 등의 보강재(40)가 구성되게 되므로, 천공부 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그라우트 시 인발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재(40)는 나선형 띠철근과 기둥주근으로 구성된 철근 보강 또는 철근/선타설 보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10)은, 천공부(1), 자켓부, 관입부(13), 핀파일(30), 제1그라우팅부(20), 제2그라우팅부(21)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켓 기초구조물에 포함되는 트랜지션 피스(Transition Piece), 워크 플랫폼(Work Platform), 보트랜딩(Boat Landing) 등의 구성은 설명을 생략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천공부(1)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각 관입부(13)의 설치 위치에 관입부(13)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선천공 시공하여 구성되는 굴착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천공부(1)의 직경(w)은 관입부(13) 직경의 1.1배 내지 2배로 구성될 수 있고, 천공부(1)의 깊이(h)는 관입부(13) 길이보다 깊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천공부(1)의 깊이(h)는 시공 환경이나 시공 상황에 따라 관입부(13) 길이보다 얕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천공부(1)의 깊이(h)와 관련하여, 천공부(1)의 선천공 시공 시 관입부(13) 길이보다 깊게 시공(과천공, H1, H2, EL(-)d)한 후 하부 지반에 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 등을 포함하는 세부조정부(100)를 시공하여 계획고(h1, h2, EL(-)c)까지 레벨링(레벨 세부조정) 혹은 자켓 구조물 수직도 세부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천공부(1) 중 EL이 가장 높은 설치 위치에 시공되는 천공부(1)의 깊이(h)가 가장 깊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관입부(13)에 대응되는 설치 위치에서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EL (-)a, EL (-)b로 상이하더라도 천공부(1)의 바닥면 수심(EL (-)c)이 동일하도록 각 천공부(1)의 깊이(h1,h2)는 달리 시공될 수 있다.
자켓부는, 브레이스(11, Brace)와 레그(12, Leg)로 구성되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본체를 의미한다. 자켓부에는 트랜지션 피스(Transition Piece), 워크 플랫폼(Work Platform), 보트랜딩(Boat Landing) 등이 구성될 수 있고, 자켓부의 상부에는 해상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관입부(13)는, 자켓 기초구조물(10)의 레그 하부에 구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자켓부의 하방으로 구성되어 천공부(1)에 관입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핀파일(30)은,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를 통해 타설되는 파일을 의미한다. 핀파일(30)의 근입부를 굴착하고, 자켓 기초구조물(10)의 레그 또는 관입부(13)를 통해 핀파일(30)을 삽입하며, 핀파일(30) 항타를 통해 천공부(1)의 바닥면에 핀파일(30)을 타설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가 Pile Sleeve 형태로 레그(12) 측부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관입부(13)를 통해 핀파일(30)을 삽입하며,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가 레그(12)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레그(12) 및 관입부(13)를 통해 핀파일(30)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그라우팅부(20)는, 천공부(1) 내측과 관입부(13)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를 의미할 수 있다. 제1그라우팅부(20)에 의하면 관입부(13) 및 천공부(1)가 일체화될 수 있고, 나아가 보강재(40)도 함께 일체화될 수 있다.
제2그라우팅부(21)는, 핀파일(30) 내부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 핀파일(30) 외측과 해저 지반(암반) 사이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 및 핀파일(30) 외측과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 내측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10)은, 관입부(13) 외측에 보강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재(40)는 나선형 띠철근과 기둥주근으로 구성된 철근 보강 또는 철근/선타설 보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켓 기초구조물(10)의 관입부(13)와 천공부(1)의 사이 공간에 선조립 철근 등의 보강재(40)가 구성되게 되므로, 천공부 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그라우트 시 인발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하여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천공부
10: 자켓 기초구조물
11: 브레이스
12: 레그
13: 관입부
20: 제1그라우팅부
21: 제2그라우팅부
30: 핀파일
40: 보강재
100: 세부조정부
130: 플랜지부
131: 승하강 모듈

Claims (17)

  1. 해저 지반의 특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자켓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본체로서, 브레이스 및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상기 레그의 하부에 구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자켓부의 하방으로 구성되는 관입부; 및
    상기 관입부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관입부와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선천공 시공되는 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부는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가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 지반은 암반층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인 제1그라우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가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임시 거치된 이후에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인 제1그라우팅부;
    상기 관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천공부의 바닥면에 타설되는 핀파일; 및
    상기 핀파일 내부 공간에 시공되는 그라우트,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해저 지반 사이 공간에 시공되는 그라우트 또는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관입부 내측 사이의 공간에 시공되는 그라우트를 포함하는 제2그라우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가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임시 거치된 이후에 시공되며,
    상기 제1그라우팅부가 시공된 이후에 상기 핀파일이 시공되고, 상기 핀파일이 시공된 이후에 상기 제2그라우팅부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입부 외측에 상기 관입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나선형 띠철근과 기둥주근으로 구성된 철근 보강 또는 철근 선타설 보강으로 구성되는 보강재; 및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시공된 그라우트인 제1그라우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가 상기 천공부에 삽입되어 임시 거치된 이후에 시공되며, 상기 관입부, 상기 보강재 및 상기 천공부를 일체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위치 중 상기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가장 높은 위치에 시공된 상기 천공부에 가장 먼저 상기 관입부가 일부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관입부를 축으로 상기 자켓부가 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의 위치가 연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조정된 뒤,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가 상기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입부의 외측, 내측 또는 하단에 상기 관입부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측은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으로 체결되고, 하측은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입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승하강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모듈의 연장 또는 수축에 의해 상기 천공부의 상기 하부 지반에 대한 상기 관입부의 상하 위치가 조정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승하강 모듈은 상기 관입부의 내부 공간이 종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는 상기 관입부의 길이보다 깊은 깊이로 과천공 시공되고,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에 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되는 세부조정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부조정부 시공을 통하여 상기 관입부의 레벨링 또는 수직도 조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9. 해저 지반의 특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자켓 기초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본체로서, 브레이스 및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구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자켓부의 하방으로 구성되는 관입부;및
    를 포함하고,
    상기 관입부는, 상기 관입부가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관입부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선천공 시공된 천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자켓부가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공 거치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10. 해저 지반의 특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본체로서, 브레이스 및 레그를 포함하는 자켓부; 및 상기 레그의 하부에 구성되고, 길이방향이 상기 자켓부의 하방으로 구성되는 관입부;를 포함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위치에 상기 관입부와 대응되도록 복수개 선천공 시공하여 천공부를 생성하는 선천공 단계; 및
    상기 관입부를 상기 천공부에 삽입하여 상기 자켓부를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하는 임시 거치 단계;
    를 포함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 지반은 암반층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제1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1그라우팅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제1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1그라우팅 단계;
    핀파일을 상기 관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천공부의 바닥면에 타설하는 파일 시공 단계; 및
    상기 핀파일 내부 공간,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해저 지반 사이 공간 또는 상기 핀파일 외측과 상기 관입부 내측 사이의 공간에 제2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2그라우팅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전에,
    나선형 띠철근과 기둥주근으로 구성된 철근 보강 또는 철근 선타설 보강으로 구성되는 보강재를 상기 관입부 외측에 상기 관입부를 감싸도록 구성하는 보강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 내측과 상기 관입부 사이의 공간에 제1그라우팅부를 시공하는 제1그라우팅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그라우팅부는, 상기 관입부, 상기 보강재 및 상기 천공부를 일체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거치 단계는,
    상기 설치 위치 중 상기 해저 지반의 EL(Elevation Level)이 가장 높은 위치에 시공된 상기 천공부에 가장 먼저 상기 관입부를 일부 삽입하고, 삽입된 상기 관입부를 축으로 상기 자켓부를 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의 위치가 연직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조정한 뒤, 상기 천공부에 상기 관입부를 삽입하여 상기 자켓부를 상기 설치 위치에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은 상기 관입부의 외측, 내측 또는 하단에 상기 관입부의 수직방향으로 돌출 구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측은 상기 플랜지부에 수직으로 체결되고, 하측은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입부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되는 승하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승하강 모듈은 상기 관입부의 내부 공간이 종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임시 거치 단계 이후에,
    상기 승하강 모듈의 연장 또는 수축을 수행하여 상기 천공부의 상기 하부 지반에 대한 상기 관입부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수직도를 미세조정하는 수직도 미세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 기초구조물의 상기 천공부는 상기 관입부의 길이보다 깊은 깊이로 과천공 시공되고,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에 되메움 시공 또는 버림 콘크리트 타설 시공되는 세부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천공 단계 이후에,
    상기 천공부의 하부 지반에 상기 세부조정부 시공을 통하여 상기 관입부의 레벨링 또는 수직도 조절을 수행하는 세부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켓 기초구조물의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KR1020210049710A 2021-04-16 2021-04-16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KR10255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710A KR102557752B1 (ko) 2021-04-16 2021-04-16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710A KR102557752B1 (ko) 2021-04-16 2021-04-16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318A true KR20220143318A (ko) 2022-10-25
KR102557752B1 KR102557752B1 (ko) 2023-07-21

Family

ID=8380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710A KR102557752B1 (ko) 2021-04-16 2021-04-16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7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615A (ja) * 1974-08-14 1976-07-12 Shoichi Sasaki Kinzokuseirenyokaijozosaizai
JPH08311868A (ja) * 1995-05-17 1996-11-26 Taisei Corp 水上構造物の脚部設置方法
JP2000017647A (ja) * 1998-07-01 2000-01-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水中構造物の据付方法
KR20110124277A (ko) * 2009-02-12 2011-11-16 마린 커런트 터빈스 리미티드 잠수식 지지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77748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직 레그가 형성된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50077787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부력 탱크를 이용한 해상풍력 자켓 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9615A (ja) * 1974-08-14 1976-07-12 Shoichi Sasaki Kinzokuseirenyokaijozosaizai
JPH08311868A (ja) * 1995-05-17 1996-11-26 Taisei Corp 水上構造物の脚部設置方法
JP2000017647A (ja) * 1998-07-01 2000-01-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水中構造物の据付方法
KR20110124277A (ko) * 2009-02-12 2011-11-16 마린 커런트 터빈스 리미티드 잠수식 지지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77748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수직 레그가 형성된 자켓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50077787A (ko)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부력 탱크를 이용한 해상풍력 자켓 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752B1 (ko)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86340B (zh) 沉井施工结构及其施工方法
US20150071711A1 (en) Partially floating marine platform for offshore wind-power, bridges and marine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US20220098817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JP5278828B2 (ja) ジャケットの据え付け方法
CN105714833A (zh) 一种钢板桩沉井支护的施工方法
DK2700750T3 (en) Pile FOR OFFSHORE STRUCTURE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pile FOR OFFSHORE STRUCTURES
JP4946695B2 (ja) 二重管式杭頭構造の構築方法
EP2558648A2 (en) Offshore foundation structure, offshore foundation and method of establishing the same
KR20220143318A (ko) 자켓 기초구조물 선천공 거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켓 기초구조물
JP2020128672A (ja) 洋上風力発電用のモノパイル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洋上風力発電用のモノパイル基礎
AU2012313196B2 (en) Partially floating marine platform for offshore wind-power, bridges and marine buildings,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549196B1 (ko) 해상풍력타워의 설치방법
JP2006070513A (ja) 構造物の高さ調節方法
KR102392135B1 (ko) 해상 자켓 기초 구조물의 프리파일링 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JP2000008623A (ja) 構造物の復旧工法
JP2011236705A (ja) 構造物の基礎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606727B2 (ja) 基礎杭
JP4876991B2 (ja) 既設岸壁の改修補強方法および改修補強構造
JP2007107276A (ja) 既設岸壁の改修補強方法およびその改修補強構造。
JP6586213B2 (ja) ジャケット構造体の構築方法
JP6792239B2 (ja) 鋼管杭の自沈防止装置及び自沈防止工法
JP4911242B2 (ja) 既設重力式岸壁の改修補強構造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622212B1 (ko) 가이드 프레임을 이용한 해상풍력 선 천공방법 및 선천공장비
JP6800365B1 (ja) 既設ケーソン基礎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