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086A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086A
KR20220143086A KR1020227032099A KR20227032099A KR20220143086A KR 20220143086 A KR20220143086 A KR 20220143086A KR 1020227032099 A KR1020227032099 A KR 1020227032099A KR 20227032099 A KR20227032099 A KR 20227032099A KR 20220143086 A KR20220143086 A KR 2022014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torage
storage unit
amoun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코 나카가와
도모카즈 사카시타
미유키 다케시타
히데히토 요시다
히로히사 구와노
다쿠야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4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100)는, 승강로(1)를 이동하는 카(2)와, 카(2)에 마련된 부하(5)와, 카(2)에 마련되고, 충방전 가능한 1개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부하(5)에 접속되어 있고,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 1 축전부와, 카(2)에 마련되고, 충방전 가능한 1개 또는 복수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축전부가 접속되어 있는 부하(5)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축전부와, 카(2)에 마련되고,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사이에 전력을 전송 가능한 전력 전송 회로(14)와,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을 하회한다고 판정한 경우, 전력 전송 회로(14)를 제어하여, 전력 전송 회로(14)에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본 개시는, 전력을 충방전 가능한 전지로 구성되는 축전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카(car)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전원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카에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가 마련되어 있고, 비접촉으로 공급된 전력을 전지에 충전하여 운전을 행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특허문헌 1에는, 동일한 부하에 접속된 복수의 전지를 카에 구비한 엘리베이터가 개시되어 있고, 이 엘리베이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전지의 전력을 이용하여 운전을 행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16-145008호 공보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저하하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를 다른 전지로 전환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의 전환이 행해지면 일시적으로 부하에 대한 전력이 차단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부하에 대한 전력 차단은, 승객에 대한 서비스 저하로 연결되어 버린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동일한 부하에 복수의 전지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부하에 대한 전력 차단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이동하는 카와, 카에 마련된 부하와, 카에 마련되고, 충방전 가능한 1개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부하에 접속되어 있고,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 1 축전부와, 카에 마련되고, 충방전 가능한 1개 또는 복수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축전부가 접속되어 있는 부하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축전부와, 카에 마련되고,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사이에 전력을 전송 가능한 전력 전송 회로와,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부하를 일정 기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을 하회한다고 판정한 경우, 전력 전송 회로를 제어하여, 전력 전송 회로에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저하해도,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원의 전환을 행하지 않고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에 대한 전력 차단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구비하는 회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방전시 및 충전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축전부의 축전 잔량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전력 공급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충전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충전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충전 처리에 있어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구비하는 회로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축전부의 축전 잔량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00)는, 승강로(1), 카(2), 와이어(3), 구동 장치(4), 부하(5), 송전 장치(6), 수전 장치(7), 전지(8), 전지(9), 도선(10), 스위치(11a), 스위치(11b), 충전 회로(12), 스위치(13a), 스위치(13b), 전력 전송 회로(14), 계측부(15), 전력 제어 장치(16), 제어반(17), 및 신호선(18)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로(1)는, 건물의 내부에 마련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이다. 상하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사방이 승강로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또, 도 1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앞쪽의 승강로벽을 생략하고 있다.
승강로(1) 내에는, 승객을 실어 건물의 각층에 이송하기 위한 카(2)가 승강로(1)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카(2)는, 내부가 공간으로 되어 있는 케이스이며, 일부에 문(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고, 승객이 승하차 가능해지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카(2)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카(2)는 와이어(3)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3)는, 카(2)에 접속된 일단으로부터 승강로(1)의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서 접히고, 승강로(1)의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에 카운터 웨이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3)의 중간 부분은 구동 장치(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4)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승강로(1)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와이어(3)를 감아올리고, 카(2)를 상승시켜 카운터 웨이트를 강하시키거나, 반대로 카(2)를 강하시켜 카운터 웨이트를 상승시키거나 한다. 또, 도 1에서는, 구동 장치(4)로부터 카운터 웨이트에 연장되는 와이어(3)를 도중까지 표시하고 있고, 그 이후는 생략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와이어(3)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카(2)에는, 카(2) 내의 기기를 제어하거나 승객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하기 위한 부하(5)가 마련되어 있다. 부하(5)는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으로 구동하고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카(2)의 천정 위에 마련되어 있지만, 카(2)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부하(5)는, 예를 들면, 공기조절, 조명, 문을 개폐하기 위한 문 개방 장치, 표시 패널 또는 조작 패널 등이다.
엘리베이터(100)는, 카(2)에 접속되는 전원 케이블을 없앤 것이며, 부하(5)가 필요로 하는 전력은, 비접촉으로 공급된다.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승강로(1)의 승강로벽에는 송전 장치(6)가 마련되고, 카(2)에는 수전 장치(7)가 마련되어 있다. 송전 장치(6) 및 수전 장치(7)는 각각, 코일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코일의 공진 주파수는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송전 장치(6)에는 교류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고, 공진 주파수 부근의 주파수로 조정된 교류 전력이 공급되면, 수전 장치(7)의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이 전송된다. 또, 교류 전원 및 전원에 관련하는 기기 등은, 승강로벽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승강로에 인접하는 기계실 등에 배치되고 있어도 좋다.
송전 장치(6)는, 카(2)가 정지하는 정지층 중 1개 또는 복수의 정지층에 마련되어 있고, 수전 장치(7)는, 카(2)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카(2)가, 송전 장치(6)가 마련된 정지층(이하, 급전층이라고 함)에 정지했을 때에, 송전 장치(6)의 코일과 수전 장치(7)의 코일은 대향하고, 비접촉으로 전력 전송이 가능해진다.
카(2)에는, 비접촉으로 전송된 전력을 충전 가능하고, 부하(5)에 공급하는 전력을 방전 가능한 전지(8)와 전지(9)가 마련되어 있다. 전지(8) 및 전지(9)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이지만, 납 축전지 등 충방전 가능한 전지이면 좋다. 전지(8) 및 전지(9)는, 축전되는 전력의 용량 등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지(8) 및 전지(9)는 각각, 비접촉으로 전송된 전력을 수전 장치(7)로부터 받기 위해, 도선(10) 및 충전 회로(12)를 거쳐 수전 장치(7)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전 장치(7)와 충전 회로(12)는 도선(10)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충전 회로(12)와 전지(8)도 도선(10)으로 접속되어 있다. 충전 회로(12)와 전지(8)의 사이에 도선(10)은 분기하고 있고, 분기한 도선(10)이 전지(9)에 접속되어 있다.
도선(10)에는, 충전하는 전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가 마련되어 있다.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는, 상기의 도선(10)의 분기점과 전지(8), 및 상기의 도선(10)의 분기점과 전지(9)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는, 예를 들면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충전 회로(12)는 수전 장치(7)와 전지(8) 또는 전지(9)의 전압차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승강압 초퍼 회로이다.
또, 전지(8)는,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도선(10)을 거쳐 부하(5)와 접속되어 있다. 전지(9)도 마찬가지로, 도선(10)을 거쳐 전지(8)가 접속되어 있는 부하(5)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선(10)은, 스위치(11a)와 전지(8)의 사이에 분기하고 있고, 분기한 도선(10)이 부하(5)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선(10)은, 스위치(11b)와 전지(9)의 사이에 분기하고 있고, 분기한 도선(10)이 부하(5)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한 도선(10)과 부하(5) 사이에는 각각,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는, 예를 들면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선(10)에는, 전지(8)의 전력을 전지(9)에, 또는 전지(9)의 전력을 전지(8)에 전송 가능한 회로인 전력 전송 회로(14)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전송 회로(14)는, 부하(5)를 향하는 분기점과 각 전지의 사이의 도선(10)간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력 전송 회로(14)는, 예를 들면, 양방향 컨버터이다. 전력 전송 회로(14)는, 구동되면, 한쪽의 전지의 전력을 다른 쪽의 전지에 충전 가능하도록, 전압을 승압한다.
또, 전지(8) 및 전지(9)에는, 각 전지의 축전 잔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전류값을 계측하는 계측부(15)가 접속되어 있다. 계측부(15)는, 전류 검출 회로 및 데이터 수집 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전류 검출 회로는 각 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및 각 전지에 입력되는 전류를 검출한다. 또, 데이터 수집 장치는 전류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보존하고, 전력 제어 장치(16)에 송신한다. 또, 도 2에서는,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계측부(15)가 전지(8) 및 전지(9)와 신호선(18)으로 접속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계측부(15)를 구성하는 전류 검출 회로는 각 전지와 전력 전송 회로(14)가 접속된 위치 사이의 도선(10) 상에 마련되어 있고, 이러한 회로가 계측부(15)의 데이터 수집 장치에 신호선(18)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 전송 회로(14) 및 계측부(15)는, 전력 제어 장치(16)에 신호선(18)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는 카(2) 내의 조작반과도 신호선(18)으로 접속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전력 제어 장치(16)는, 계측부(15)가 계측한 전지(8) 및 전지(9) 각각의 전류값을 일정 간격, 예를 들면 1ms 간격으로 취득하여 적산하고, 전지(8) 및 전지(9) 각각의 축전 잔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는, 산출한 축전 잔량을 이용하여, 전지(8) 또는 전지(9)의 축전 잔량이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지(8) 또는 전지(9)의 축전 잔량이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값을 하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전력 전송 회로(14)를 제어하여, 전력 전송 회로(14)에 한쪽의 전지로부터 다른 쪽의 전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 외에, 전력 제어 장치(16)는, 부하(5)의 예측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의 ON-OFF를 제어하여, 급전층에서 충전을 행하는 전지를 전환하는 기능을 갖고,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의 ON-OFF를 제어하여,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상기의 전력 전송 회로(14), 계측부(15) 및 전력 제어 장치(16)는, 카(2)에 마련되어 있다.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어반(17)과 신호선(18)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반(17)은, 구동 장치(4), 송전 장치(6) 및 각층의 조작반(도시하지 않음)과도 신호선(18)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반(17)은, 카(2)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각층의 조작반이 조작된 경우에 조작된 층에 카(2)를 이동시키거나, 카(2) 내의 조작반이 조작된 경우에 지시받은 층에 카(2)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장치(4)를 제어하여 카(2)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 제어반(17)은, 카(2)를 이동시키기 전에 이동 목적지의 층(이하, 행선지층이라고 함)을 전력 제어 장치(16)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반(17)은, 전력 제어 장치(16)로부터의 급전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카(2)를 급전층에 이동시킨 후에 송전 장치(6)를 구동하여 전지(8) 또는 전지(9)를 충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전력 제어 장치(16)는 주로 카(2) 내의 기기의 제어를 행하고 있고, 제어반(17)은, 카(2) 외의 기기의 제어를 행하고 있고, 양쪽에서 신호를 서로 보내는 것으로, 엘리베이터(100)를 기능시키고 있다. 이 전력 제어 장치(16)와 제어반(17)을 총칭하여 제어부라고 부른다.
여기서, 제어부를 구성하는 전력 제어 장치(16)와 제어반(17)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력 제어 장치(16) 및 제어반(17)은 각각, 프로세서(161) 및 프로세서(171)와, 메모리(162) 및 메모리(172)와, 인터페이스(163) 및 인터페이스(173)와, 전송로(164) 및 전송로(17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력 제어 장치(16)의 메모리(162)는, 축전 잔량을 산출하는 프로그램, 전지(8) 또는 전지(9)의 축전 잔량이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 전력 전송 회로(14)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예측 소비 전력을 산출하는 프로그램, 스위치(11a), 스위치(11b),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카(2) 내의 조작반이 조작되었을 때에 행선지층을 설정하는 프로그램 등이 보존되어 있다. 또, 제 1 임계값을 포함한 임계값이 보존되어 있다.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메모리(162)로부터 판독 실행한다. 또, 계측부(15)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반(17)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및 전력 전송 회로(14) 및 각 스위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은 인터페이스(163)에 의해 행해진다. 프로세서(161), 메모리(162) 및 인터페이스(163)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내부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로(164)에 접속되어 있고, 정보를 교환한다.
제어반(17)의 메모리(172)는, 각층의 조작반이 조작된 경우에 행선지층을 설정하는 프로그램, 구동 장치(4)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및 송전 장치(6)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등이 보존되어 있다.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메모리(172)로부터 판독하고 실행한다. 또, 각층의 조작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및 전력 제어 장치(16)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및 송전 장치(6)로의 신호의 송신은 인터페이스(173)에 의해 행해진다. 프로세서(171), 메모리(172) 및 인터페이스(173)는, 제어반(17)의 내부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로(174)에 접속되어 있고, 정보를 교환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장치(4)와 제어반(17), 송전 장치(6)와 제어반(17), 전력 전송 회로(14)와 전력 제어 장치(16), 계측부(15)와 전력 제어 장치(16), 및 전력 제어 장치(16)와 제어반(17)은 각각, 신호선(18)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신호선(18)은, 각각의 기기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규격에 맞춘 공지의 것을 이용하면 좋다. 또, 각 기기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는, 신호선(18)으로 접속하지 않고, 각 기기에 무선 통신 장치를 설치하여 신호를 송수신해도 좋다.
이상, 엘리베이터(1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다음에, 엘리베이터(100)의 동작에 대해 도 4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엘리베이터(100)가 운전하고 있을 때에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카(2) 내의 조작반이 조작되었을 때에 개시된다. 또, 카(2) 내의 조작반이 조작되어 있지 않아도 마지막에 문을 폐쇄한 시간부터 일정 기간, 예를 들면 5초 경과했을 때에 개시된다. 처리를 개시하는 이러한 조건을 개시 조건이라고 한다.
우선, 전력 제어 장치(16)는, 카(2) 내에 승객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001).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 내에 행선지층의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지 검색하여, 카(2) 내의 조작반으로부터 송신된 행선지층의 정보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 카(2) 내에 승객이 있다고 판정한다. 또, 카(2) 내의 조작반이 조작되었을 때에 조작반은 행선지층 신호를 전력 제어 장치(16)에 송신하고, 메모리(162)가 행선지층 신호가 나타내는 행선지층의 정보를 보존하고 있다. 카(2)가 행선지층에 도착하면, 제어반(17)이 도착 신호를 전력 제어 장치(16)에 송신하고,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행선지층의 정보를 현재의 정지층의 정보로서 갱신한다.
그리고, 카(2) 내에 승객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0001에서 YES인 경우), 전력 제어 장치(16)는, 현재의 정지층에서 행선지층까지 이동하고 문이 개방될 때까지의 사이에 부하(5)가 필요로 하는 소비 전력량의 예측값인 예측 소비 전력량을 산출한다(단계 S0002). 또, 승객이 복수 있어 행선지층이 복수 있는 경우, 행선지층은, 마지막에 도착하는 행선지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메모리(162)에는, 현재의 정지층, 행선지층, 및 이동하는 층수마다 이동에 필요한 이동 시간(이동 개시부터 문 열림이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이 보존되어 있고,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현재의 정지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를 메모리(162)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현재의 정지층의 층수와 행선지층의 층수를 감산하고, 그 절대값과 일치하는 층수에 대응된 이동 시간을 메모리(162)로부터 판독한다. 이 시간이, 카(2)를 행선지층까지 이동시키고 문을 열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또, 프로세서(161)는, 행선지층의 정보로부터, 마지막에 도착하는 행선지층까지 다른 행선지층에서 카(2)가 정지한다고 판정한 경우, 다른 행선지층에서 카(2)를 감속하거나 문을 열거나 하는 시간을 메모리(162)로부터 판독하고, 상기의 카(2)를 행선지층까지 이동시키고 문을 열기 위해 필요한 시간에 추가하여 보정한다.
또, 계측부(15)는, 일정 간격, 예를 들면 1ms마다 전지(8) 및 전지(9)의 전류값을 계측하여, 전력 제어 장치(16)에 송신한다. 전력 제어 장치(16)의 메모리(162)는, 계측부(15)가 송신해오는 전류값을 수신 시각 및 전지가 전지(8)인지 전지(9)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보존하고 있고,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각 전지에 대해, 보존된 전류값 중, 전지를 전회 만충전으로 한 시각 이후의 전류값을 판독하여 적산하고, 만충전시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으로 전지(8)와 전지(9) 각각의 현재의 축전 잔량을 산출한다. 또, 만충전시의 축전 잔량은, 엘리베이터(100)를 설치 또는 유지보수할 때에, 메모리(162)에 보존된 것이며, 후술하는 제 3 임계값과 동일하다. 전지를 전회 만충전으로 한 시각은, 전회 전지를 만충전까지 충전했을 때(후술하는 제 3 임계값을 상회할 때까지 충전했을 때)에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가 메모리(162)에 보존한 시각이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각 전지에 대해, 전지를 전회 만충전으로 한 시각 이후이고, 또한, 만충전으로 한 시각과 현재 시각의 사이의 중간의 시각까지 전류값을 판독하여 적산하고, 만충전시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으로 전지(8)와 전지(9) 각각의 과거의 시각에 있어서의 축전 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전지(8)와 전지(9)의 과거의 축전 잔량의 합계값과, 전지(8)와 전지(9)의 현재의 축전 잔량의 합계값을 감산하는 것으로, 축전 잔량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 변화량을, 중간 시각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으로 제산하는 것으로, 단위 시간당의 축전 잔량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이 단위 시간당의 축전 잔량의 변화량은, 과거의 부하(5)의 단위 시간당 소비 전력량과 동일하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산출한 단위 시간당 소비 전력량과 이동에 필요한 시간을 승산하여, 예측 소비 전력량을 산출한다. 또, 프로세서(161)는, 산출한 예측 소비 전력량과 행선지층까지의 이동 시간을 메모리(162)에 보존한다.
다음에, 전력 제어 장치(16)는, 현재,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전지의 현재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예측 소비 전력량을 감산하여, 행선지층에 이동하여 문을 열었을 때에 당해 전지에 잔존하고 있는 축전 잔량의 예측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축전 잔량의 예측값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판정한다(단계 S0003). 제 1 임계값을 하회하는 경우,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제 1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는 경우, 전력 공급은 필요없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단계 S0003에서 행해지고 있는 처리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후의 설명에서는, 현재,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전지를 제 1 축전부라고 부르고,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전지를 제 2 축전부라고 부른다. 전지(8)가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 전지(8)가 제 1 축전부를 구성하고 전지(9)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게 되지만,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도 2)의 ON-OFF의 전환이 행해진 경우는, 전지(9)가 제 1 축전부를 구성하고 전지(8)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게 된다.
도 5는,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는, 현재의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제 1 축전부의 축전 잔량은 α0,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은 β0이다. 그리고, T1은 제 1 임계값이다.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단계 S0002에서 산출한 제 1 축전부에 있어서의 현재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예측 소비 전력량을 감산한다. 도 5(b)에서 설명하면, 제 1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α0이었지만, 예측 소비 전력량을 감산하면 도면과 같이 축전 잔량이 감소하고, 이동 후에 예측되는 축전 잔량은 α1이 된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이동 후에 예측되는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 α1이 메모리(162)로부터 판독한 제 1 임계값 T1을 하회하는지 판정하고, 전력 공급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제 1 임계값 T1은,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값이며, 일정 기간이란, 예를 들면, 정전 등의 긴급시에 승객을 근처의 정지층(1개 위 또는 아래의 층)에 이동시켜 내리기까지 필요한 시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0003에서 YES인 경우), 전력 공급 처리를 행한다(단계 S0004). 이 처리는,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을 증가시켜,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를 전환하지 않고 계속해서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처리이며,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 1 축전부의 전력이 지나치게 저하하여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를 전환해야 하게 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 전력 공급 처리는 도 6에 기재되어 있고,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 전력 공급 처리가 완료하면, 도 4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하고,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재개한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가, 전력 공급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0003에서 NO인 경우)도, 도 4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하고,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재개한다.
다음에, 도 4의 단계 S0001에서 카(2) 내에 승객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0001에서 NO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승객이 없는 경우,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전이 필요한지 판정한다(단계 S0005).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각 전지에 대해, 보존된 전류값 중, 전지를 전회 만충전으로 한 시각 이후의 전류값을 판독하여 적산하고, 만충전시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으로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각각의 현재의 축전 잔량을 산출한다. 이 현재의 축전 잔량을 산출하는 처리는 단계 S0002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로부터 제 2 임계값을 판독하고, 축전 잔량 중 어느 하나가 제 2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축전 잔량이 제 2 임계값을 하회하는 경우, 제 1 축전부 또는 제 2 축전부의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반대로, 모든 축전 잔량이 제 2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는 경우, 충전이 필요없다고 판정한다. 이 제 2 임계값은, 축전부에 충전이 필요한지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이며, 제 1 임계값보다 크다. 도 5에서는, 제 2 임계값은 T2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0005에서 YES인 경우), 제어반(17)은, 카(2)의 급전층으로의 이동을 개시시킨다(단계 S0006).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급전 요구 신호를 제어반(17)에 송신한다. 급전 요구 신호를 수신한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구동 장치(4)를 제어하여 카(2)의 급전층까지의 이동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16) 및 제어반(17)은 충전 처리를 행한다(단계 S0007). 이 처리는, 충전이 필요한 전지에 대해서, 급전층에서,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을 행하는 것이다. 이 처리는, 도 7 내지 도 9에 기재되어 있고,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 충전 처리가 완료하면, 도 4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하고,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재개한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가, 충전이 필요없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0005에서 NO인 경우)도, 도 4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하고,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재개한다.
다음에, 도 4의 흐름도에 포함되는 전력 공급 처리(단계 S0004)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이 카(2) 내에 있는 경우의 처리이며,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축전부에 제 2 축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스위치의 전환에 의한 부하에 대한 전력 차단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에 제 2 축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행선지층으로의 이동 후에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각각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는지 판정한다(단계 S0401).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함께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는 경우, 어느 축전부도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할 수 있으므로, 행선지층에 이동 후도 용장 구성(redundant configuration)을 유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축전 잔량에 부족은 없다고 판정한다. 반대로, 제 1 축전부 또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한쪽의 축전부가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할 수 없게 되므로, 행선지층에 이동 후에 용장 구성을 유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축전 잔량이 부족하다고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로부터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각각의 현재의 축전 잔량을 판독하고, 이러한 축전 잔량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이 평균값은 산술 평균값이다. 또, 여기서 판독된 현재의 축전 잔량은, 도 4의 단계 S0002에서 산출된 것이다. 그리고, 프로세서(161)는, 축전 잔량의 평균값으로부터, 단계 S0002에서 산출한 예측 소비 전력량을 전지의 수로 제산한 것을 감산하고, 행선지층에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또한, 메모리(162)로부터 제 1 임계값을 판독하고,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는지 판정한다. 여기서 산출한 행선지층에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은 메모리(162)에 보존된다.
또, 각 전지의 축전 잔량의 합계값과, 제 1 임계값에 전지의 수를 승산한 것을 비교해도 좋지만, 이러한 계산은 상기의 평균값을 이용한 계산과 등가이며, 결과적으로,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는지 판정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다.
행선지층으로의 이동 후에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는 경우(단계 S0401에서 YES인 경우),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여, 전력 전송 회로(14)에,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켜, 제 1 축전부를 충전한다(단계 S0402).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는 신호를 전력 전송 회로(14)에 송신하고, 전력 전송 회로(14)가 전압을 조정하여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전송한다. 전력 전송 회로(14)가 제 1 축전부에 전송하는 단위 시간당 전력량은, 현재의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과 이동 후의 평균값, 및 행선지층까지의 이동 시간에 근거하여 산출한다.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로부터 현재의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 이동 후의 평균값 및 행선지층까지의 이동 시간을 판독하고, 현재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이동 후의 평균값을 감산한 것을 이동 시간으로 제산하여, 단위 시간당 전송해야 할 전력량을 산출하고, 이 단위 시간당 전력량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력 전송 회로(14)를 제어한다. 전력 공급 처리에서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이동 후의 평균값이 될 때까지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후술하는 단계 S0404), 상기와 같이 하는 것으로, 카(2)가 행선지층에 도달하기까지 제 1 축전부의 충전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어반(17)은, 구동 장치(4)를 구동하여 카(2)의 행선지층에 이동을 개시시킨다(단계 S0403).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에 보존되어 있는 행선지층의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를 행선지층 신호로서 제어반(17)에 송신한다. 행선지층 신호를 수신한 제어반(17)은, 구동 장치(4)를 제어하여 카(2)를 행선지층까지 이동시킨다.
카(2)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공급에 의한 제 1 축전부에 대한 충전을 종료시킬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404). 충전이 종료했는지 여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단계 S0401에서 산출한 행선지층에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과 동일해졌는지 여부로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제 2 축전부에 대해, 보존된 전류값 중, 전지를 전회 만충전으로 한 시각 이후의 전류값을 판독하여 적산하고, 만충전시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으로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현재의 축전 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에 보존되어 있는 행선지층에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을 판독하고,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평균값과 동일한지 판정한다.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평균값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이 처리를 반복하고, 평균값과 동일해진 경우에, 충전을 종료시킨다고 판정한다. 또, 축전 잔량과 평균값이 동일해진 경우란, 완전하게 축전 잔량과 평균값이 일치할 필요는 없이, 조금 차이가 있어도 좋고, 단계 S0404의 판정의 주기 중에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는 정도의 차이이면 문제 없다.
이러한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은 도 5(c)와 같이 된다. 제 2 축전부는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축전 잔량 β0에서 β1까지 감소하지만, β1은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과 동일하고, 이 평균값은 제 1 임계값 T1보다 크기 때문에,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 T1보다 저하하는 일은 없다. 또, 제 1 축전부는, 전력 공급을 행하지 않으면,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 T1을 하회하게 되지만, 제 2 축전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부하(5)에 전력을 공급했다고 해도 제 1 임계값 T1을 상회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공급에 의한 제 1 축전부에 대한 충전을 종료시킨다고 판정하면(단계 S0404에서 YES인 경우),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시키고(단계 S0405), 전력 공급 처리를 종료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하는 신호를 전력 전송 회로(14)에 송신하고,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행선지층으로의 이동 후에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지 않는 경우(단계 S0401에서 YES인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임계값을 상회하지 않는 경우란, 이동 후에 적어도 한쪽의 전지가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할 수 없게 되는 경우이므로, 용장 구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우선, 전력 제어 장치(16)는, 카(2) 내의 조작반의 조작을 받아들이지 않게 하고, 또, 제어반(17)은 각층의 조작반의 조작을 받아들이지 않게 하고, 조작의 접수를 금지한다(단계 S0406).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카(2) 내의 조작반에 접수 금지 신호를 송신하고, 조작반은 조작의 접수를 정지한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접수 금지 신호를 제어반(17)에도 송신하고,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접수 금지 신호를 각층의 조작반에 송신하고, 조작반은 조작의 접수를 정지한다. 또, 엘리베이터(100)가, 카(2) 내 또는 각 층에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전력 제어 장치(16) 또는 제어반(17)은, 표시 장치를 제어하여 운전 휴지의 표시를 행해도 좋다.
다음에, 전력 제어 장치(16) 또는 제어반(17)은, 단계 S0402′로부터 단계 S0405′의 처리를 행한다. 단계 S0402′부터 단계 S0405′의 처리는, 단계 S0402부터 단계 S0405와 대체로 같기 때문에, 각각의 단계에서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0403에서, 카(2)는 행선지층에 이동을 개시하고 있었지만, 단계 S0403′에서는, 근처의 정지층(현재의 정지층의 1개 위 또는 아래의 층)에 이동을 개시한다. 이것은, 축전 잔량이 부족하여, 안전한 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승객을 신속하게 퇴피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에 보존되어 있는 현재의 정지층의 정보를 판독하고, 현재의 정지층의 1개 위 또는 아래의 층을 행선지층으로 하는 행선지층 신호를 제어반(17)에 송신한다. 행선지층 신호를 수신한 제어반(17)은, 구동 장치(4)를 제어하여 카(2)를 행선지층까지 이동시킨다.
단계 S0404에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 기준으로서 충전의 종료를 판정하고 있었지만, 단계 S0404′에서는,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가 만충전인지 여부의 판단 기준을 이용하여 처리를 행한다.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평균값과 동일해지는지 여부와 같은 판단 기준은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축전부는, 축전 잔량이 평균값, 및 제 1 임계값을 하회하여도 전력을 계속 공급한다. 즉,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한 후의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에 관계없이, 전력의 공급이 행해지고, 제 1 축전부에 전력이 집약된다. 그 결과,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은 제 1 임계값을 상회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에 대해, 보존된 전류값 중, 전지를 전회 만충전으로 한 시각 이후의 전류값을 판독하여 적산하고, 만충전시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으로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각각의 현재의 축전 잔량을 산출한다. 또, 메모리(162)로부터 제 3 임계값을 판독하고, 현재의 축전 잔량이 제 3 임계값을 상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회한 경우에 충전이 종료했다고 판정한다. 상회하지 않은 경우, 충전이 종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이 처리를 반복한다. 또,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만충전이 된 경우(제 3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 충전을 종료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 3 임계값이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를 최대한 충전한 경우의 축전 잔량의 80% 등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제 3 임계값을 상회해도 더 충전을 계속해도 좋다.
전력 제어 장치(16)가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시킨 후(단계 S0405′), 제어반(17)은, 구동 장치(4)를 구동하여 카(2)의 급전층으로의 이동을 개시시킨다(단계 S0006′). 이 처리는, 단계 S0006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16) 및 제어반(17)은 충전 처리를 행한다(단계 S0007′). 이 처리는, 충전이 필요한 전지에 대해서, 급전층에서,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을 행하는 것이며, 단계 S0007와 마찬가지이다. 이 처리는, 도 7 내지 도 9에 기재되어 있고,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충전 처리가 끝난 후, 전력 제어 장치(16)는, 카(2) 내의 조작반의 조작의 접수 금지를 해제하고, 또, 제어반(17)은 각층의 조작반의 조작의 접수 금지를 해제한다(단계 S0407).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카(2) 내의 조작반에 접수 금지 해제 신호를 송신하고, 조작반은 조작의 접수를 재개한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접수 금지 해제 신호를 제어반(17)에도 송신하고,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접수 금지 해제 신호를 각층의 조작반에 송신하고, 조작반은 조작의 접수를 재개한다. 또, 엘리베이터(100)가, 카(2) 내 또는 각층에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전력 제어 장치(16) 또는 제어반(17)은, 표시 장치를 제어하여 운전 휴지의 표시를 행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이 경우, 전력 제어 장치(16) 또는 제어반(17)은, 표시 장치를 제어하여 운전 휴지의 표시를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6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도 4 및 도 6의 흐름도에 포함되는 충전 처리(단계 S0007 및 단계 S0007´)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급전층에서 전지(8) 또는 전지(9)를 충전하는 처리이다.
이 충전 처리는, 단계 S0007 및 단계 S0007´의 전의 처리인 단계 S0006 및 단계 S0006´에서, 카(2)가 급전층에 이동하기 시작한 상태로 개시된다.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함께 충전할 필요가 있는지 판정한다(단계 S0701).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각각의 현재의 축전 잔량을 메모리(162)로부터 판독한다. 이러한 축전 잔량은, 도 4의 단계 S0002 또는 단계 S0005에서 산출된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로부터 제 2 임계값을 판독하고, 각각의 축전 잔량이 제 2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각각의 축전 잔량이 제 2 임계값을 하회하는 경우,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양쪽 모두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정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축전 잔량이 제 2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는 경우,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양쪽 모두 충전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한다. 또, 이 판정과 함께, 프로세서(161)는, 제 2 임계값을 하회한 축전부, 즉, 충전이 필요한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정보를 메모리(162)에 보존한다.
다음에, 단계 S0701에서 충전하는 전지가 2개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0701에서 YES인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을 비교하여, 축전 잔량이 작은 쪽의 전지에 의해 구성되는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 및 축전 잔량이 작은 쪽의 전지에 의해 구성되는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N로 하고, 축전 잔량이 큰 쪽의 전지에 의해 구성되는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 및 축전 잔량이 큰 쪽의 전지에 의해 구성되는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FF로 한다(단계 S0702). 또, 이 때,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는,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도 변경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로부터 판독한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의 대소를 비교하고, 어느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작은지 판정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1 축전부를 전지(8)가 구성하고 있고,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8)의 축전 잔량 쪽이 작았던 경우, 프로세서(161)는, 제 1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11a)와,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13a)에, 스위치를 ON하기 위한 ON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치(11a)와 스위치(13a)를 ON 상태로 한다. 또한, 제 2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11b)와, 제 2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13b)에, 스위치를 OFF하기 위한 OFF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치(11b)와 스위치(13b)를 OFF 상태로 한다. 이 경우,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8)와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에 변경은 없다.
반대로, 제 2 축전부를 전지(9)가 구성하고 있고,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9)의 축전 잔량 쪽이 작은 경우는, 프로세서(161)는, 스위치(11b)와 스위치(13b)에 ON 신호를 송신하여, 스위치(11b)와 스위치(13b)를 ON 상태로 하고, 스위치(11a)와 스위치(13a)에 OFF 신호를 송신하여, 스위치(11a)와 스위치(13a)를 OFF 상태로 한다. 이 경우,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가 전지(8)로부터 전지(9)로 변경되기 때문에,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가 전환된다.
이상을 정리하면, 단계 S0702의 처리에 의해, 축전 잔량이 작은 축전부가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 1 축전부가 되고, 축전 잔량이 큰 축전부가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제 2 축전부가 된다.
또, ON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이미 ON 상태인 스위치, 및 OFF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이미 OFF 상태인 스위치에 대해서는,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16) 및 제어반(17)은, 카(2)가 급전층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03).
구체적으로는,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구동 장치(4)의 회전수로부터 카(2)가 급전층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동 장치(4)의 회전수가 급전층에 이동하는데 필요한 회전수에 이르지 않은 경우, 카(2)가 급전층에 도착했는지 여부의 판정을 반복한다. 또, 프로세서(171)는, 카(2)가 급전층에 도착했을 때에 도착 신호를 전력 제어 장치(16)에 송신하므로,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이 도착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하고 있으면 급전층에 도착했다고 판정한다.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 도착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의 판정을 반복한다.
카(2)가 급전층에 도착하면, 제어반(17)은, 송전 장치(6)를 구동하여, 송전 장치(6)로부터 수전 장치(7)에 전송되는 전력을 제 1 축전부에 충전한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여, 제 1 축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을 제 2 축전부에 충전한다(단계 S0704).
구체적으로는,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송전 장치(6)를 구동, 제어하는 신호를 송전 장치(6)에 송신하여, 송전 장치(6)를 구동시키고 제어한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71)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는 신호를 전력 전송 회로(14)에 송신하고, 전력 전송 회로(14)가 전압을 조정하여 제 1 축전부로부터 제 2 축전부에 전력을 전송한다.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의 충전을 개시하고 나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어느 한쪽의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05).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는, 제 1 축전부 또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3 임계값을 상회했는지 여부로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각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에 대해, 보존된 전류값 중, 전지를 전회 만충전으로 한 시각 이후의 전류값을 판독하여 적산하고, 만충전시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으로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각각의 현재의 축전 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에 보존되어 있는 제 3 임계값을 판독하고, 제 1 축전부 또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3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지 판정한다. 제 1 축전부 또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모두 제 3 임계값을 상회하지 않은 경우, 이 처리를 반복하고, 어느 한쪽이 제 3 임계값을 상회한 경우에, 어느 한쪽의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다고 판정한다. 또, 제 3 임계값은,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보다 큰 값이며, 도 5에서는 T3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 3 임계값은, 전지를 최대한 충전한 경우의 축전 잔량으로 해도 좋고, 전지의 열화 억제를 고려하여, 최대한 충전한 경우의 축전 잔량의 몇할, 예를 들면 80% 정도라고 해도 좋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06).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단계 S0705에서 산출한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3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고 있었을 경우(단계 S706에서 YES),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전송 회로(14)의 출력을 증가시켜, 제 2 축전부에 대한 충전량을 증가시킨다(단계 S707). 환언하면, 제 2 축전부를 급속 충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전력 전송 회로(14)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전력 전송 회로(14)에 송신하고, 전력 전송 회로(14)가 전압을 증가시켜 제 1 축전부로부터 제 2 축전부에 전송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또, 이 때에,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제 1 축전부가 만충전이기 때문에, 송전 장치(6)의 출력을 감소시켜, 제 2 축전부와 부하(5)의 소비 전력을 조달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하면 좋다.
제 2 축전부를 충전하고 있는 동안,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2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708).
단계 S708의 처리는, 단계 S705의 처리와 마찬가지지만, 이미 제 1 축전부의 충전은 완료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 2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면, 모든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기 때문에,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시키고, 제어반(17)은, 송전 장치(6)를 정지시켜, 충전을 종료한다(단계 S0709).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하는 신호를 전력 전송 회로(14)에 송신하고,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시킨다. 또, 충전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반(17)에 송신한다. 충전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제어반(17)의 프로세서(171)는, 송전 장치(6)를 정지하는 신호를 송전 장치(6)에 송신하고, 송전 장치(6)를 정지시킨다.
그 후,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를 OFF로 하고,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와 부하(5) 사이의 스위치(13a)와 스위치(13b)의 어느 한쪽을 ON, 다른 쪽을 OFF로 한다(단계 S0710). 스위치(13a)와 스위치(13b) 중 ON로 하는 스위치는, 충전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았던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에 OFF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를 OFF 상태로 한다. 또,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로부터 충전 처리를 행하기 전에 ON 신호를 송신한 스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판독하고,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 중, ON 상태로 되어 있던 스위치에 OFF 신호를 송신하고, 또 한쪽의 스위치에 ON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치(13a)와 스위치(13b) 중 한쪽을 ON 상태로 하고, 다른 쪽을 OFF 상태로 한다. 또, ON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이미 ON 상태인 스위치, 및 OFF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이미 OFF 상태인 스위치에 대해서는, 상태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이번 충전 처리를 행하기 이전에,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의 어느 하나에 ON 신호를 송신한 경우에, ON 신호를 송신한 스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 1 축전부의 정보를 메모리(162)에 보존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7 및 도 8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도 8의 단계 S706에서 부하(5)에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고 있지 않았던 경우(단계 S706에서 NO)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제 2 축전부는 충전이 완료하고 있다.
우선,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시켜, 제 2 축전부의 충전을 종료한다(단계 S711). 이 처리는, 단계 S709의 처리 중, 전력 제어 장치(16)가 전력 전송 회로(14)를 정지시키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12). 이 처리는, 판정 대상이 되는 축전부가 제 1 축전부인 것을 제외하고, 단계 S708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면, 모든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기 때문에, 제어반(17)은, 송전 장치(6)를 정지시키고, 충전을 종료한다(단계 S713). 이 처리는, 단계 S709의 처리 중, 제어반(17)이 송전 장치(6)를 정지시키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그 후, 전력 제어 장치(16)는, 스위치의 전환 처리를 행하고(단계 S710), 도 7 및 도 8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충전 처리 중, 도 7의 흐름도의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701에서 충전하는 축전부가 2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0701에서 NO인 경우)의 처리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력 제어 장치(16)는, 충전이 필요한 축전부가 제 1 축전부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13).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충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축전부의 정보(단계 S701 참조) 및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 1 축전부의 정보를 판독하고, 이러한 정보가 나타내는 축전부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하는 경우, 충전이 필요한 축전부는 제 1 축전부라고 판정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 1 축전부가 아니라고 판정한다.
충전이 필요한 축전부가 제 1 축전부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0713에서 YES인 경우), 전력 제어 장치(16) 및 제어반(17)은, 카(2)가 급전층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03´). 이 처리는 단계 S703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제어반(17)은, 송전 장치(6)를 구동하여, 제 1 축전부를 충전한다(단계 S0714). 이 처리는, 단계 S0704의 처리 중, 제어반(17)이 행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또, 이 때, 제 2 축전부는 충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하지 않는다.
다음에,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12´). 이 처리는, 단계 S712와 마찬가지이다.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면, 제어반(17)은, 송전 장치(6)를 정지시켜, 충전을 종료한다(단계 S0713´). 이 처리는 단계 S0713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11a) 및 스위치(11b)를 OFF로 하고,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와 부하(5) 사이의 스위치(13a)와 스위치(13b)의 어느 한쪽을 ON, 다른 쪽을 OFF로 한다(단계 S710´). 이 처리는 단계 S0710와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7 및 도 9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충전이 필요한 축전부가 제 1 축전부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단계 S0713에서 NO인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FF로 하고, 제 2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N로 한다. 또, 제 2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N로 한다(단계 S0715). 즉,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가 바뀐다.
구체적으로는, 전력 제어 장치(16)의 프로세서(161)는, 메모리(162)로부터 충전 처리를 행하기 전에 ON 상태로 되어 있던 스위치의 정보를 판독하고,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 중, ON 상태로 되어 있던 스위치에 OFF 신호를 송신하고, 또 한쪽의 스위치에 ON 신호를 송신하고, 스위치(13a)와 스위치(13b) 중 한쪽을 ON 상태로 하고, 다른 쪽을 OFF 상태로 한다. 또, 프로세서(161)는, 스위치(13a)를 ON 상태로 한 경우, 스위치(11a)에 ON 신호를 송신하고 ON 상태로 한다. 반대로, 프로세서(161)는, 스위치(13b)를 ON 상태로 한 경우, 스위치(11b)에 ON 신호를 송신하고 ON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전력 제어 장치(16) 및 제어반(17)은, 카(2)가 급전층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03˝). 이 처리는 단계 S70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어반(17)은, 송전 장치(6)를 구동하여, 새롭게 제 1 축전부가 된 축전부를 충전한다(단계 S0714´). 이 처리는 단계 S714와 마찬가지이다.
그 후,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712˝). 이 처리는, 단계 S712와 마찬가지이다.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완료하면, 제어반(17)은, 송전 장치(6)를 정지시켜, 충전을 종료한다(단계 S0713˝). 이 처리는 단계 S0713과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7 및 도 9의 흐름도의 처리는 종료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10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엘리베이터(100)는, 전지(8)와 전지(9)의 사이에 전력을 전송 가능한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축전부인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인 제 1 임계값을 하회한다고 판정된 경우, 전력 전송 회로(14)가,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전지로 구성되는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 1 축전부를 충전한다. 이와 같이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원의 전환을 행하지 않고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5)에 대한 전력 차단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00)는, 제 1 축전부인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한다고 판정하여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한다고 판정한 경우, 제 1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고, 또한,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도록 전력을 공급한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100)의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는 모두, 전력 공급 후에도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엘리베이터(100)는, 부하(5)에 대한 전력 차단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하고, 또한 용장성(redundancy)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00)는, 제 1 축전부인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한다고 판정하여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전력 공급 후의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 1 축전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도록, 제 2 축전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지 않는 경우, 어떻게 전력을 공급해도 용장 구성을 유지할 수 없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현재,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집약하는 것으로, 적어도 제 1 축전부의 축전 잔량을 제 1 임계값보다 크게 하면서,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의 전환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엘리베이터(100)는, 부하(5)에 대한 전력 차단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00)는, 카(2)를 행선지층까지 이동시키고 문을 열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부하(5)의 단위 시간당 소비 전력량을 승산하여 행선지층까지 이동해 문을 열기까지 필요한 예측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현재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으로,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을 예측한다. 그리고, 이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전력 공급을 행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을 이용하지 않고, 현재의 축전 잔량과 제 1 임계값을 비교하여 전력 공급을 행할지 판단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현재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한 시점에서 축전 잔량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제 2 축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없고, 일단 엘리베이터(100)의 서비스를 중지해야 한다. 또, 서비스를 중지한 후에, 카(2)를 급전층에 이동시키게 되지만, 이동 중,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작은 상태에서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되어, 전지의 열화가 진행되기 쉽다. 한편, 엘리베이터(100)는, 상기와 같이 이동 후의 축전 잔량을 예측하여 전력 공급을 행하기 때문에,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를 계속할 수 있다. 또, 축전 잔량이 큰 상태에서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00)는, 전력 전송 회로(14)로서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한다.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어느 전지가 제 1 축전부이더라도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또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사이에 전압의 차이가 있어도 제 1 축전부의 충전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100)는, 제 1 축전부 및 제 2 축전부를 함께 충전하는 경우, 제 1 축전부를 송전 장치(6)로부터 수전 장치(7)에 전송되는 전력으로 충전하고, 또한,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여, 제 2 축전부를 제 1 축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으로 충전한다.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는, 축전 잔량이 달라 전압차가 있기 때문에, 양쪽을 동시에 송전 장치(6)로부터 수전 장치(7)에 전송되는 전력으로 충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양쪽을 송전 장치(6)로부터 수전 장치(7)에 전송되는 전력으로 충전하려고 하면, 충전에 시간이 걸린다. 또, 양쪽을 동시에 충전하기 위해서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각각에 충전 회로를 마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경우, 회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엘리베이터(100)는, 상기와 같이, 제 2 축전부를 전력 전송 회로(14)를 이용하여 충전하므로, 충전 회로(12)가 1개여도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동시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회로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100)는, 제 1 축전부를 충전하고 제 2 축전부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하지 않고 제 2 축전부를 충전하지 않는다.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하지 않는 것에 따라, 제 1 축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축전부의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제 2 축전부에 송전 장치(6)로부터 수전 장치(7)에 전송되는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여 제 1 축전부를 충전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전력 전송 회로(14)에서 전력을 공급할 때에 전력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 1 축전부의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없지만, 상기와 같이 제 1 축전부를 직접, 송전 장치(6)로부터 수전 장치(7)에 전송되는 전력으로 충전하는 것으로, 제 1 축전부의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급전층에서 충전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승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100)의 변형예의 설명 및 보충 설명을 행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100)가 전지(8) 및 전지(9)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축전부가 전지(8)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축전부는 전지(9) 1개로 구성되고, 제 1 축전부가 전지(9)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축전부는 전지(8) 1개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엘리베이터(100)가 전지를 3개 이상의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는 1개이며, 즉,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는 1개이지만,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전지는 복수이다. 즉,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는 복수이다. 또, 엘리베이터(100)가 전지를 3개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경우, 모든 전지의 사이에는 각각 전력 전송 회로(14)를 마련하고, 각 전지끼리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100)의 제어부의 처리에 대해, 전지가 1개씩인 경우와는 다른 점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4의 단계 S0005에 있어서,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충전이 필요한지 판정할 때에, 제 2 축전부에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는, 제 2 축전부 전체가 아니라 개개의 전지에 대해 판정한다. 그 외의 처리에 있어서도, 임계값, 평균값 또는 다른 전지의 축전 잔량과의 비교는, 제 2 축전부 전체가 아니라 개개의 전지에 대해 행한다.
또, 도 6의 단계 S0401에 있어서, 프로세서(161)는, 축전 잔량의 평균값을 산출하지만, 이 평균값은,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및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모든 전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다.
도 6의 단계 S0402에 있어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여, 제 1 축전부를 충전하지만, 이 전력 전송 회로(14)는,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 각각의 사이에 마련된 모든 전력 전송 회로이다.
도 6의 단계 S0402′에 있어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 제어하여, 제 1 축전부를 충전하지만, 이 전력 전송 회로(14)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중,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하회하지 않은 1개의 전지와,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 사이에 마련된 것이며, 그 외의 전력 전송 회로는 구동, 제어하지 않는다.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 전지로부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은 제 1 임계값을 상회하기 때문에, 부하(5)에 대한 전력 차단은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제 2 축전부 외의 전지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전지 중에 축전 잔량이 제 1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 것이 있으면, 용장성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의 단계 S0701에 있어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충전하는 축전부가 2개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있었지만, 전지가 3개 이상 포함되는 경우는, 충전하는 축전부가 2개 이상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도 7의 단계 S0702에 있어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을 비교하여, 축전 잔량이 작은 쪽의 전지에 의해 구성되는 축전부를 제 1 축전부(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로 변경하도록 스위치를 ON-OFF 제어하지만, 축전 잔량의 대소 비교 시에,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1개의 전지의 축전 잔량이 가장 작았던 경우, 그 전지를 제 1 축전부로 변경하고, 나머지의 전지를 제 2 축전부로 한다.
도 7의 단계 S0705에 있어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어느 전지의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었지만, 전지가 3개 이상 있는 경우는, 어느 1개의 전지가 충전을 완료했는지 판정한다.
도 8의 단계 S0710에 있어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충전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았던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스위치를 ON로 하지만, 여기에서는, 제 2 축전부를 구성하고 있던 복수의 전지의 어느 1개가 선택되어, 선택된 전지와 부하(5)의 사이의 스위치를 ON로 한다. 이 선택은, 예를 들면, 각 전지의 충방전 회수를 카운트하여 메모리(162)에 보존해두고, 충방전 회수가 가장 적은 전지를 선택해도 좋다.
도 9의 단계 S0715에 있어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제 1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FF로 하고, 제 2 축전부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N로 한다. 또, 제 2 축전부와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N로 하지만, 이 때,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1개의 전지(충전이 필요하게 된 것)와 부하(5)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 및 충전 회로(12) 사이에 마련된 스위치를 ON로 한다. 그리고, 단계 S0712˝에서는, 당해 전지의 축전 잔량과 제 3 임계값을 비교하여 충전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단계 S0713˝에서는, 송전 장치(6)를 정지하고, 또한 전력 전송 회로(14)도 정지한다.
계측부(15)는, 전류 검출 회로로 전류값을 계측하는 것이었지만, 전지의 축전 잔량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계측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공지의 것을 이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전압값으로 축전 잔량을 산출하는 경우는, 전류 검출 회로를 대신하여 전압 검출 회로를 이용하면 좋다.
전력 제어 장치(16)는 카(2)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승강로(1)에 마련하여, 통신 기기에서 카(2)내의 기기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어반(17)은 승강로(1)에 마련되어 있었지만, 카(2)에 마련하여, 구동 장치(4) 및 송전 장치(6)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전력 제어 장치(16)와 제어반(17)을 일체화해도 좋다. 또, 제어반(17)의 일부,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173)의 일부를 송전 장치(6)의 주변에 설치해도 좋다.
전력 전송 회로(14)에는,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단방향의 컨버터를 2개 이용해도 좋고, 그 외에도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회로이면 공지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제 1 임계값은,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량을 나타내는 값이며, 일정 기간이란, 예를 들면, 정전 등의 긴급시에 승객을 근처의 정지층(1개 위 또는 아래의 층)에 이동시켜 내리기까지 필요한 시간이라고 했지만, 근처의 층이 아니어도, 몇개의 층을 이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이어도 좋다. 또, 긴급시만을 고려해 설정할 필요도 없고, 엘리베이터(100)가 설치된 상황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급전층의 수가 적고, 충전의 기회가 적을수록, 제 1 임계값을 크게 해도 좋고, 반대로 급전층의 수가 많은 경우는, 충전의 기회가 많기 때문에, 제 1 임계값을 작게 해도 좋다. 또, 시간대에 따라 제 1 임계값을 변경해도 좋다.
또, 제 1 임계값 이외의 임계값에 대해서도, 엘리베이터(100)가 설치된 상황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해도 좋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전지(8) 또는 전지(9)의 축전 잔량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전력 공급 처리 또는 충전 처리를 행하고 있었지만, SOC(State Of Charge) 등의 축전율을 이용하여 처리를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축전율이 임계값을 하회하는지 여부 등을 판정하게 되지만, 축전율이 임계값을 하회하는 경우, 결과적으로, 축전 잔량이 임계값을 하회하게 되기 때문에, 축전 잔량이 임계값을 하회한다고 하는 경우는, 축전율을 이용하여 판정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계 S0002에서, 전력 제어 장치(16)는 예측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과거의 부하(5)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있었지만, 유사한 건물 등에서 미리 과거의 부하(5)의 단위 시간당 평균 소비 전력량을 계측해두고, 이 단위 시간당 평균 소비 전력량을 메모리(162)에 보존해두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시간대별의 단위 시간당 평균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여 메모리(162)에 보존해두면, 보다 예측 소비 전력량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 과거의 부하(5)의 단위 시간당 평균 소비 전력량에 근거하지 않고, 부하(5)의 설계치 등으로부터 단위 시간당 평균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여 이용해도 좋다.
제 2 축전부는,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전지로 구성된다고 했지만, 완전하게 전력을 공급하고 있지 않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미약한 전류를 부하(5)에 공급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개시의 실시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과 마찬가지의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형태 1과 다른 부분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와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같은 용량의 2개의 전지를 이용하여, 이것들을 전환하면서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실시형태 2에서는, 한쪽의 전지(208)를 메인 전지로서 이용하고, 메인 전지(208)로부터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다른 쪽의 전지(209)를 소용량의 소형 전지로 구성하여 서브 전지로 하고, 서브 전지(209)로부터 메인 전지(208)에 전력을 공급하는 엘리베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우선,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의 구성에 대해,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100)와 달리,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는, 스위치(11a), 스위치(11b), 스위치(13a) 및 스위치(13b)를 구비하지 않았다. 또, 전지(209)는, 직접, 충전 회로(12) 및 부하(5)와 접속되지 않고, 전력 전송 회로(14)를 거쳐 충전 회로(12) 및 부하(5)와 접속되어 있다. 즉, 충전 처리 시에는, 메인 전지(208)가 충전 회로(12)를 거쳐 충전되도록 되어 있고,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할 때에는, 메인 전지(208)가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 서브 전지(209)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거쳐, 메인 전지(208)로부터 충전이 가능하다. 또, 서브 전지(209)는, 메인 전지(208)가 고장났을 때에는, 전력 전송 회로(14)를 거쳐, 부하(5)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도 용장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인 전지(208)는,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 1 축전부이며, 서브 전지(209)는, 제 2 축전부이다.
다음에, 전력 공급 처리와 충전 처리에서 이용하는 메인 전지(208) 및 서브 전지(209)의 임계값에 대해,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메인 전지(208)와 서브 전지(209)는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만충전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 3 임계값도 다른 값을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량이 큰 메인 전지(208)의 제 3 임계값 T3은, 용량이 작은 서브 전지(209)의 제 3 임계값 T3′보다 크다. 또, 충전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제 2 임계값 T2 및 T2′에 대해서도 메인 전지(208) 쪽이 서브 전지(209)보다 크다. 그러나, 전력 공급 처리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 1 임계값 T1 및 T1′에 대해서는 동일한 값을 이용하고 있다. 제 1 임계값은, 부하(5)를 일정 기간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량을 나타내고 있고, 전지의 용량의 차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값이 되기 때문이다.
또, 실시형태 2에서는, 메인 전지(208)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전지(208)가 열화하기 어려운 축전 잔량의 범위의 상한치 및 하한치를 이용하여 제 1 임계값 T1과 제 3 임계값 T3을 설정한다. 제 1 임계값 T1과 제 3 임계값 T3은, 미리 전지의 열화가 진행되기 어려운 축전 잔량의 범위를 실험, 시뮬레이션 등으로 구해두고, 그 범위의 상한치와 하한치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전지의 열화가 진행되기 어려운 범위의 하한치는 제 1 임계값 T1로서 이용된다. 또, 전지의 열화가 진행되기 어려운 범위의 상한치와 하한치의 사이의 값이 제 3 임계값 T3으로서 이용된다. 메인 전지(208)는, 제 1 임계값 T1과 제 3 임계값 T3의 사이에 충방전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메인 전지(208)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의 충전 처리에 대해, 실시형태 1(도 7 내지 도 9)과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는, 2개의 전지(208) 및 전지(209)를 충전하는 경우, 도 7의 단계 S0702의 처리인 축전 잔량이 작은 전지의 스위치를 ON로 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양쪽의 전지(208) 및 전지(209)의 충전이 완료한 후의 스위치의 전환 처리도 행하지 않는다(단계 S0710). 따라서, 부하(5)에 대한 전력 공급은, 메인 전지(208)가 고장난 경우를 제외하고, 상시 메인 전지(208)가 행한다.
또, 충전하는 전지가 1개의 경우이며(도 7의 단계 S0701에서 NO인 경우), 메인 전지(208)를 충전하는 경우(도 9의 단계 S0713에서 YES인 경우), 충전 완료 후에 스위치의 전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단계 S0710′).
또한, 충전하는 전지가 1개인 경우이며(도 7의 단계 S0701에서 NO인 경우), 서브 전지(209)를 충전하는 경우(도 9의 단계 S0713에서 NO인 경우), 서브 전지(209)를 충전하기 위해서 스위치의 전환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단계 S0715). 그 대신에, 단계 S0714′에 있어서 송전 장치(6)를 구동하고, 또한 전력 전송 회로(14)를 구동하여, 메인 전지(208)로부터 서브 전지(209)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행하여, 서브 전지(209)를 충전한다. 이 때, 메인 전지(208)에는, 서브 전지(209)에 공급하는 전력만큼 및 부하(5)에 공급하는 전력만큼, 송전 장치(6)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그 후, 도 9의 단계 S0713˝의 처리에서는, 송전 장치(6)에 부가하여, 전력 전송 회로(14)의 정지가 행해진다. 전력 전송 회로(14)의 구동의 처리는, 단계 0704에서 전력 제어 장치가 행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이고, 전력 전송 회로(14)의 정지의 처리는, 단계 S0709에서 전력 제어 장치가 행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과 동시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는, 전지가 열화하기 어려운 축전 잔량의 범위의 상한치 및 하한치를 이용하여 설정된 제 1 임계값 및 제 3 임계값을 이용하고 있다. 메인 전지(208)는 제 1 임계값과 제 3 임계값의 사이에 충방전을 반복하기 때문에,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축전 잔량으로 메인 전지(208)를 충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전지(208)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서브 전지(209)에 관해서는, 소용량이기 때문에, 열화가 진행되어도 저비용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시 메인 전지(208)가 부하(5)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서브 전지(209)가 열화하여 수명이 다했다고 해도 승객에 대한 서비스의 저하는 생기기 어렵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서 승객을 이송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1 : 승강로 2 : 카
3 : 와이어 4 : 구동 장치
5 : 부하 6 : 송전 장치
7 : 수전 장치 8 : 전지
9 : 전지 10 : 도선
11a : 스위치 11b : 스위치
12 : 충전 회로 13a : 스위치
13b : 스위치 14 : 전력 전송 회로
15 : 계측부 16 : 전력 제어 장치
17 : 제어반 18 : 신호선
100 : 엘리베이터 161 : 프로세서
162 : 메모리 163 : 인터페이스
164 : 전송로 171 : 프로세서
172 : 메모리 173 : 인터페이스
174 : 전송로 208 : 전지
209 : 전지

Claims (9)

  1. 승강로를 이동하는 카(car)와,
    상기 카에 마련된 부하와,
    상기 카에 마련되고, 충방전 가능한 1개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하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제 1 축전부와,
    상기 카에 마련되고, 충방전 가능한 1개 또는 복수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축전부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부하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축전부와,
    상기 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축전부와 제 2 축전부 사이에 전력을 전송 가능한 전력 전송 회로와,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부하를 일정 기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을 하회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전력 전송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전력 전송 회로에 상기 제 2 축전부로부터 상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전부는, 충방전 가능한 1개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하회하고, 또한, 상기 제 1 축전부와 상기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2개의 전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하회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하도록, 상기 전력 전송 회로에 상기 제 2 축전부로부터 상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하회하고, 또한, 상기 제 1 축전부와 상기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2개의 전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한 후의 상기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하도록, 상기 전력 전송 회로에 상기 제 2 축전부로부터 상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전부는, 충방전 가능한 복수의 전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하회하고, 또한, 상기 제 1 축전부와 상기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모든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하회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하도록, 상기 전력 전송 회로에 상기 제 2 축전부로부터 상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하회하고, 또한, 상기 제 1 축전부와 상기 제 2 축전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의 축전 잔량의 평균값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전력을 공급한 후의 상기 제 2 축전부에 포함되는 1개의 전지의 축전 잔량에 관계없이,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전력량을 상회하도록, 상기 전력 전송 회로에 상기 제 2 축전부의 상기 1개의 전지로부터 상기 제 1 축전부에 전력을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를 행선지층까지 이동시키고 문을 열기 위해 필요한 시간과, 상기 부하의 단위 시간당 소비 전력량을 승산하여 예측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현재의 축전 잔량으로부터 상기 예측 소비 전력량을 감산한 값이 상기 전력량을 하회하는 경우, 상기 제 1 축전부를 구성하는 전지의 축전 잔량이 상기 부하를 일정 기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력량을 하회한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회로는, 상기 부하와 상기 제 1 축전부를 접속하는 도선과, 상기 제 2 축전부에 접속된 양방향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에 마련된 송전 장치와,
    상기 카에 마련된 수전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축전부 및 상기 제 2 축전부를 함께 충전하는 경우,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수전 장치에 전송되는 전력을 상기 제 1 축전부에 충전하고, 상기 전력 전송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축전부로부터 방전되는 전력을 상기 제 2 축전부에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에 마련된 송전 장치와,
    상기 카에 마련된 수전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축전부를 충전하고 상기 제 2 축전부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전 장치로부터 상기 수전 장치에 전송되는 전력을 상기 제 1 축전부에 충전하고, 상기 전력 전송 회로를 구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227032099A 2020-03-30 2020-03-30 엘리베이터 KR202201430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14474 WO2021199118A1 (ja) 2020-03-30 2020-03-30 エレベータ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086A true KR20220143086A (ko) 2022-10-24

Family

ID=7484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099A KR20220143086A (ko) 2020-03-30 2020-03-30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416563A1 (ko)
JP (1) JP6839377B1 (ko)
KR (1) KR20220143086A (ko)
CN (1) CN115315399A (ko)
DE (1) DE112020006996T5 (ko)
WO (1) WO2021199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7330B2 (en) * 2020-07-22 2023-10-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mon charge controller for electronic devices with multiple batteries
JP7349074B1 (ja) 2022-03-18 2023-09-2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
CN115258861B (zh) * 2022-07-28 2023-11-07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能源管理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008A (ko) 2014-04-17 2016-12-19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탄닌산 시타글립틴 복합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3388A (ja) * 2004-11-19 2006-06-0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停電運転装置
CN101146729B (zh) * 2005-04-01 2011-02-0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供电系统
JP5733917B2 (ja) * 2010-06-28 2015-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3049511A (ja) * 2011-08-30 2013-03-1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013524B2 (ja) * 2015-02-06 2016-10-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107848B2 (ja) * 2015-02-16 2017-04-05 Tdk株式会社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WO2019106949A1 (ja) * 2017-11-28 2019-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19108203A (ja) * 2017-12-18 2019-07-04 三菱日立ホームエレベーター株式会社 巻胴式エレベータ
JP6943201B2 (ja) * 2018-02-22 2021-09-29 株式会社明電舎 インバータシステムおよびインバータ制御方法
JP6629370B2 (ja) * 2018-03-09 2020-01-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008A (ko) 2014-04-17 2016-12-19 머크 샤프 앤드 돔 코포레이션 탄닌산 시타글립틴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0006996T5 (de) 2023-01-12
CN115315399A (zh) 2022-11-08
WO2021199118A1 (ja) 2021-10-07
JP6839377B1 (ja) 2021-03-10
JPWO2021199118A1 (ko) 2021-10-07
US20220416563A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3086A (ko) 엘리베이터
CN101284616B (zh) 电梯轿厢的功率控制设备
JP5146855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5733917B2 (ja) エレベータ電力供給システム
JP4244060B2 (ja) 移動体
WO2003033390A1 (fr) Organe de commande d'ascenseur
CN102556786B (zh) 电梯装置
JP6751012B2 (ja) エレベーター
KR100483633B1 (ko) 엘리베이터
JP6687173B1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40067089A (ko) 반송차 시스템 및 반송차의 충전 방법
EP3122676B1 (en) Jolt-free elevator power transition
CN113682198A (zh) 建议老化优化充电的充电策略的方法、充电设备和机动车
CN103193129A (zh) 电梯的控制装置
EP3978408A1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fer
JP7095749B2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6773257B1 (ja) エレベータ
US20230294957A1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CN103863907B (zh) 具备升降机的建筑物的电力系统
KR101715272B1 (ko) 전기 차량의 온라인 무선 전력 전송용 하이브리드 시스템 제어 방법
CN103935854A (zh) 电梯控制系统以及方法
KR102303913B1 (ko)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디바이스
US11993489B2 (en) Elevator system
CN117652076A (zh) 无线供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