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97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978A
KR20220142978A KR1020220128639A KR20220128639A KR20220142978A KR 20220142978 A KR20220142978 A KR 20220142978A KR 1020220128639 A KR1020220128639 A KR 1020220128639A KR 20220128639 A KR20220128639 A KR 20220128639A KR 20220142978 A KR20220142978 A KR 20220142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oling module
chamber
compress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045B1 (ko
Inventor
백우경
김경석
박정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978A/ko
Priority to KR1020230141123A priority patent/KR2023015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된 저장실을 갖고, 냉각모듈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냉각모듈 수용공간에 수용된 냉각모듈을 포함하고, 냉각모듈은 방열부와, 흡열부와, 방열부와 흡열부를 구획하는 냉각모듈 베리어를 포함하고, 방열부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로 외기를 송풍하는 응축팬을 포함함과 아울러 냉각모듈의 좌우 중 일측에 편심되게 배치되며, 흡열부는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이기 및 저장실의 냉기를 증발기와 저장실로 순환하는 증발팬을 포함함함과 아울러 방열부의 옆에 배치되고, 압축기와 증발기의 연결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수리 등의 서비스나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실이나 냉장실 등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증발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의 피냉각물(이하, 편의를 위해 식품이라 칭함)을 차게 하거나 저온에서 보관하여 부패,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영하의 온도범위로 유지되는 냉동실과, 영상의 온도범위로 유지되는 냉장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냉동실이나 냉장실은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저장실과 열교환실로 구획하는 냉기 토출덕트 및 열교환실에 배치된 증발기와 증발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고, 기계실에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팬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기계실 내의 압축기는 열교환실 내의 증발기와 냉매튜브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증발기가 냉기 토출덕트와 이너 케이스 내벽 사이에 배치되므로, 증발기의 전후방향 두께만큼 저장실의 용적이 감소되고, 냉장고 용량이 크게 증대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와 기계실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 사이의 냉매튜브의 길이가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길고, 증발기와 압축기의 설치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의 냉장고는 냉동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실 증발기와 냉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실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2개 증발기를 각각 설치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2개 증발기 각각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냉매튜브의 길이가 길며, 2개 증발기와 압축기를 연결하는 작업이 복잡함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933635 B1(2009년12월23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0919822 B1(2009년10월01일 공고)
본 발명은 압축기와 증발기의 연결이 용이하고 수리 등의 서비스나 조립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지 않고, 냉매튜브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이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갖고, 냉각모듈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저장실을 여닫는 도어와; 냉각모듈 수용공간에 수용된 냉각모듈을 포함하고, 냉각모듈은 방열부와, 흡열부와, 방열부와 흡열부를 구획하는 냉각모듈 베리어를 포함한다. 방열부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로 외기를 송풍하는 응축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는 냉각모듈의 좌우 중 일측에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열부는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이기 및 저장실의 냉기를 증발기와 저장실로 순환하는 증발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흡열부는 방열부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는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하는 본체 베리어를 포함할 수 있고, 냉동모듈 수용공간은 본체 베리어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의 높이는 본체 베리어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압축기와 증발기와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 베리어를 전후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증발기는 본체 베리어의 후단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체 베리어의 후단과 증발기 사이의 전후방향 이격 거리는 본체 베리어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증발기는 수평하게 눕혀서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냉매튜브에 결합되고, 냉기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열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는 냉동실을 냉각하는 냉동실 증발기와,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장실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모듈은 냉동실 증발기와 냉장실 증발기를 구획하는 흡열부 베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 증발기의 좌우방향 길이는 냉장실 증발기의 좌우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냉장실 증발기는 냉동실 증발기와 방열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흡열부는 외부와 증발기를 단열하는 흡열부 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는 본체의 단열재 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응축기의 전방에 상기 응축팬이 배치될 수 있고, 응축팬의 전방에 압축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응축팬은 전후방향으로 응축기 및 압축기를 향할 수 있다.
냉각모듈은 냉각모듈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에는 외기가 상기 방열부로 흡입되는 인렛과, 상기 방열부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아웃렛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는 방열부를 둘러싸는 리어 바디와, 사이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인렛은 상기 리어 바디에 형성된 리어 인렛과, 사이드 바디에 형성된 사이드 인렛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렛은 사이드 바디 중 사이드 인렛 전방에 사이드 인렛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의 높이는 압축기의 수평방향 길이의 0.8 배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응축기의 수평방향 길이는 응축기의 상하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응축팬의 수평방향 길이는 응축기의 수평방향 길이 및 압축기의 수평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응축팬은 응축기와 압축기 사이에 좌,우 배치된 한 쌍의 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는 냉각모듈의 외관을 형성하고 냉각모듈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로어 바디 및 어퍼 바디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와; 한 쌍의 사이드 바디 후방부를 잇는 리어 바디와;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전방부를 잇는 프론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와 흡열부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팬은 하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 이외에 토출구가 형성된 원심팬일 수 있고, 원심팬의 적어도 일부는 증발기의 상측에 상기 증발기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는 냉동실을 냉각하는 냉동실 증발기와, 냉장실을 냉각하는 냉장실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팬은 냉동실 증발기의 상측에 배치된 냉동팬과,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동팬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냉장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어퍼 아웃렛덕트를 포함하고, 어퍼 아웃렛덕트는 냉장실과 냉동실 중 더 상측에 위치하는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흡열부에서 송풍된 냉기를 토출하는 복수개 어퍼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은 상면에 냉장실과 냉동실 중 더 상측에 위치하는 저장실의 냉기를 흡열부로 흡입하는 어퍼 인렛이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 중 더 하측에 위치하는 저장실 내부에 배치된 로어 인렛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는 하부에 냉기가 흡입되는 로어 인렛이 형성되며 로어 인렛으로 흡입된 냉기를 흡열부로 안내할 수 있다.
본체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 중 더 하측에 위치하는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된 로어 아웃렛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아웃렛덕트는 흡열부에서 송풍된 냉기를 토출하는 복수개 로어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은 냉동팬과 냉장팬 중 하나의 토출구와 로어 아웃렛덕트를 잇는 커넥팅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고정자와 무버를 갖는 왕복동 모터와; 내주면에 실린터측 베어링면을 갖는 실린더와; 외주면에 피스톤측 베어링면을 가지고, 무버와 함께 왕복동 운동되게 무버에 연결되며, 실린더의 내부로 냉매를 흡입 안내되는 흡입유로가 형성된 피스톤과; 피스톤에 구비되어 흡입유로를 개폐하는 흡입밸브와; 실린더에는 구비되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형성된 압축공간을 개폐하는 토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실린더에는 가스를 실린더측 베어링면과 피스톤측 베어링면사이로 가이드하는 베어링 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는 피스톤의 운동방향인 제1방향의 길이가 피스톤의 운동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응축팬 및 응축기 각각은 제1방향의 길이가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의 전후방향 길이는 본체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냉각모듈에는 외기가 방열부로 흡입되는 인렛과, 방열부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아웃렛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일예의 아웃렛은 냉각모듈의 후면과 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다른예의 인렛과 아웃렛은 냉각모듈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압축기와 증발기의 연결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수리 등의 서비스나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획하는 본체 베리어의 후방에 냉각모듈이 배치되므로, 냉장고 전체 높이가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게 하면서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의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냉각모듈의 소음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냉동실과 냉장실의 높이가 상이하더라도 냉각모듈이 냉동실 및 냉장실 모두와 근접할 수 있어, 냉기순환통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으로 보다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냉동모듈 수용공간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냉동모듈에 의해 저장실의 용적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와 응축기와 증발기가 냉동모듈을 최대한 컴팩트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 베리어가 압축기나 응축팬이나 증발팬 중 적어도 하나의 소음이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흡열부 베리어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 냉동실 증발기와 냉장실 증발기 사이의 냉기 혼합을 막을 수 있어, 온도 차를 갖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의 온도를 최적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좌우방향 길이가 짧은 냉장실 증발기가 좌우방향 길이가 긴 냉동실 증발기와 방열부 사이에 위치되어, 냉동실 증발기의 일부와 냉장실 증발기 각각을 최대한 냉장고 중심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고, 냉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 전체에 고르게 공급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음이 발생되는 압축기 및 응축팬 각각을 냉장고의 전면 및 냉장고의 배면 각각과 최대한 이격시킬 수 있어, 소음이 냉장고의 전면 또는 냉장고의 배면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이점이 있다.
또한, 외기가 리어 인렛과 사이드 인렛을 통해 신속하게 방열부로 신속하게 흡입된 후 응축기와 열교환될 수 있고, 응축기와 압축기를 방열시킨 외기가 사이드 아웃렛을 통해 냉장고의 옆 방향으로 토출되므로 냉장고을 벽면에 보다 가깝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의 높이는 압축기의 수평방향 길이의 0.8배 이하이고, 응축기의 수평방향 폭이 응축기의 상하방향 폭 보다 크기 때문에, 방열부의 최대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방열부에 의해 냉각모듈 전체 높이가 상승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응축팬이 좌,우 배치된 한 쌍의 팬유닛을 포함하므로, 응축팬이 하나의 대형 팬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 보다 응축팬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외기가 최대한 응축기와 압축기 각각을 방열시킬 수 있어 방열부의 방열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증발팬이 증발기 상측에 증발기와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수평하게 눕힌 원심팬으로 구성되어, 흡열부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이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각모듈이 본체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D" 부가 확대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C-C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 증발기 및 냉동실이 도시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냉동실 증발기 및 냉동실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각모듈이 본체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본체(1)와, 도어(2)와, 냉각모듈(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에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의 저장실은 그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본체(1)는 본체 베리어(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에는 본체 베리어(11)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저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에는 냉동실(F)과 냉장실(R)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베리어(11)는 냉동실(F)과 냉장실(R)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냉동실(F)과 냉장실(R)을 서로 독립된 냉각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체 베리어(11)의 일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베리어(11)는 냉동실(R)과 냉장실(R)을 상,하 구획할 수 있고,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어느 하나는 본체 베리어(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다른 하나는 본체 베리어(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 베리어(11)의 다른 예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 베리어(11)는 냉동실(F)과 냉장실(R)을 좌,우 구획할 수 있고,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어느 하나는 본체 베리어(11)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다른 하나는 본체 베리어(11)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본체 베리어(11)는 본체(1)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냉동실(F)과 냉장실(R)을 상,하 구획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체(1)는 본체(1)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12)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본체(1)는 내부에 냉동실(F)이 형성된 냉동실 이너케이스(13)와, 내부에 냉동실(R)이 형성된 냉장실 이너 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 이너 케이스(13)과 냉장실 이너 케이스(14) 각각은 전면이 개방될 수 있고, 그 각각은 상판과 하판과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을 갖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냉동실(F)이 냉장실(R)의 아래에 위치할 경우, 냉동실(F)의 상판과, 냉장실(R)의 하판과, 냉동실(F)의 상판과 냉장실(R)의 하판 사이의 단열재(19, 도 8 내지 10 참조)는 본체 베리어(11)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체(1)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모듈(3)이 수용되는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본체(1)의 전면과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지 않고, 본체(1)의 상단(1A)과 하단(1B) 사이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그 상면과 하면과 전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배면에 전방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본체(1)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적어도 일면과 배면에 개방될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그 배면과 양측면 각각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냉각모듈 수용공간(S1)에 수용되었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모듈(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일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본체(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1)가 본체(1)의 전후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분될 때,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후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체(1)는 냉각모듈(3)의 상측에 위치하고 냉각모듈(3)의 상면을 마주보는 상측 대향면(1C)과, 냉각모듈(3)의 하측에 위치하고 냉각모듈(3)의 하면을 마주보는 하측 대향면(1D)과, 냉각모듈(3)의 전방에 위치하고 냉각모듈(3)의 전면을 마주보는 전방측 대향면(1E)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의 전후방향(Y) 길이는 본체(1)의 전후방향(Y)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의 좌우방향(X) 길이는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의 상하방향(Z) 길이 및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의 전후방향(Y)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의 전후방향(Y) 길이는 냉각모듈 수용공간(S1)의 상하방향(Z)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냉동모듈 수용공간(S1)은 본체 베리어(11)의 후방에 좌우방향(X)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2)은 저장실을 여닫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2)는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본체(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어(2)은 다수개의 도어(21)(22)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개의 도어(21)(22)는 냉동실(F)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21)와, 냉장실(R)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냉매를 이용하여 저장실에서 유동된 공기의 열을 흡열한 후 열을 외기로 방열할 수 있고, 냉동 사이클장치일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저장실 공기의 열을 흡열하는 흡열부(A, 도 7 참조)와, 외기로 열을 방열하는 방열하는 방열부(B,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본체(1)의 냉각모듈 수용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냉각모듈(3)는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저장실과 연통될 수 있고, 저장실 공기의 열을 흡열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이러한 열을 냉각모듈(3)의 외부에서 흡입된 외기로 방열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본체 베리어(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의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냉장고 전체 높이가 과도하게 높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모듈(3)의 소음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이 본체 베리어(11)의 후방에 배치될 경우, 냉각모듈(3)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 베리어(11)를 수평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전후방향(Y)으로 본체 베리어(1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적어도 일부는 전후방향(Y)으로 본체 베리어(11)의 배면을 향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베리어(11)의 배면은 본체 베리어(11) 중 냉각모듈(3)의 전방에 위치하여 냉각모듈(3)의 전면을 마주보는 전방측 대향면(1E)일 수 있다.
한편, 본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아웃렛덕트(15)와, 로어 인렛덕트(16)와, 어퍼 아웃렛덕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아웃렛덕트(15)는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더 하측에 위치하는 저장실(이하, 하부 저장실이라 칭함)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아웃렛덕트(15)에는 흡열부(A, 도 7 참조)에서 송풍된 냉기를 하부 저장실로 토출하는 복수개 로어 토출공(15A)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아웃렛덕트(15)는 하부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후판과 하부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 중 후판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16)는 냉동실(F) 냉장실(R) 중 더 하측에 위치하는 저장실(즉, 하부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16)는 하부에 냉기가 흡입되는 로어 인렛(16A)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16A)는 로어 인렛(16A)으로 흡입된 냉기를 흡열부(A)로 안내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16)는 하부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좌측판과 우측판 중 어느 하나의 측판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16)는 하부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좌측판과 우측판 중 흡열부(A)와 더 가까운 측판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아웃렛덕트(17)는 냉동실(F) 냉장실(R) 중 더 상측에 위치하는 저장실(이하, 상부 저장실이라 칭함)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아웃렛덕트(17)는 냉각모듈(3)의 흡열부(A, 도 7 참조)에서 송풍된 냉기를 상부 저장실로 토출하는 복수개 어퍼 토출공(17A)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아웃렛덕트(17)는 상부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후판과 상부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 중 후판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16)는 하부 저장실의 냉기를 흡입하여 흡열부(A)로 안내할 수 있고, 흡열부(A)에서 냉각된 후 송풍된 공기는 로어 아웃렛덕트(16)를 통해 하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흡열부(A)에서 송풍된 공기는 어퍼 아웃렛덕트(17)을 통해 상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이 상기와 같이, 본체 베리어(11)의 후방에 위치하면, 냉각모듈(3)은 하부 저장실과 상부 저장실 모두와 최대한 근접할 수 있고, 하부 저장실과 상부 저장실 각각과 근접한 위치에서, 하부 저장실과 상부 저장실 각각을 신속하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각모듈(3)은 가스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가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D" 부가 확대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31)는 피스톤(142)이 실린더(141)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일 수 있고, 피스톤(142)과 실런더(141)의 사이로 유입된 가스가 오일 등의 윤활제를 대신할 수 있는 압축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141)의 내주면에는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이 형성될 수 있고, 피스톤(142)의 외주면에는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린더(141)에는 가스를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베어링 홀(14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로 안내된 가스는 오일과 같이, 윤활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31)는 피스톤(142)과 실린더(141)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압축기(31) 내부에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 없다. 압축기(31)는 오일 공급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구조가 간단할 수 있고, 압축기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일 공급장치가 필요 없는 압축기(31)는 방열부(B) 특히, 압축기(31)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을 수 있고, 냉각모듈(3)은 컴팩트화될 수 있다.
이하, 압축기(3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기(31)은 케이싱(110)과, 왕복동 모터(130), 실린더(141) 및 피스톤(14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압축기(3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내부공간을 갖을 수 있다.
케이싱(110)에는 냉매를 케이싱(110) 내부로 안내하는 흡입관(112)가 배치될 수 있다. 흡입관(112)은 일단이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게 케이싱(110)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10)에는 압축된 냉매를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관(113)이 배치될 수 있다. 토출관(113)은 일단이 케이싱(110) 내부에 위치되게 케이싱(110)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왕복동 모터(130) 및 실린더(41)를 지지하는 프레임(120)이 배치될 수 있다.
왕복동 모터(130)는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왕복동모터(130)는 고정자(131)와 무버(132)를 갖을 수 있다. 고정자(131)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에 결합된 코일을 포함할 수 있고, 무버(132)는 고정자(131)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가 고정된 마그네트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41)은 내부에 피스톤(142)이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41)의 내주면에는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42)는 무버(132)와 함께 왕복동 운동되게 무버(132)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142)에는 실린더(141)의 내부로 냉매를 흡입 안내되는 흡입유로(E)가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42)과 실린더(141)의 사이에는 흡입유로(E)를 통과한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42)는 실린더(141)와 함께 압축공간(S2)을 형성하는 일단을 포함할 수 있고, 일단에는 흡입유로(E)의 냉매를 압축공간(S2)으로 안내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로(E)는 피스톤(142) 내부에 피스톤(142)의 왕복 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로(E)는 피스톤(14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42)의 외주면에는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를 향하는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고, 그 사이로 가스가 유입되면,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은 가스 베어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압축기(31)는 압축공간(S2)에서 압축된 가스 냉매가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 사이로 유입되게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141)에는 압축공간(S2)에서 압축된 가스 냉매를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의 사이로 가이드하는 베어링 홀(141b)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31)는 피스톤(142)에 구비되어 흡입유로(E)를 개폐하는 흡입밸브(143)와, 실린더(141)에 구비되어 실린더(141)와 피스톤(142) 사이에 형성된 압축공간(S2)을 개폐하는 토출밸브(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31)는 토출밸브(144)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토출커버(146)와, 토출커버(146) 내부에 배치되어 토출밸브(144)를 피스톤(142)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관(113)은 토출커버(146)에 연결될 수 있고, 토출밸브(144)의 개방시 토출커버(146)로 유입된 가스 냉매는 토출관(113)을 통해 압축기(31)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31)은 피스톤(142)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및 그로 인한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피스톤(142)의 공진운동을 유도하는 공진스프링(151)(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일공급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압축기(31)의 일 예는 압축공간(S2)의 가스가 베어링 홀(141b)로 직접 유입되어 베어링 홀(141b)을 통과한 후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베어링 홀(141b)는 일단이 압축공간(S2)을 향하고 타단이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오일공급장치가 필요하지 않는 압축기(31)의 다른 예는 압축공간(S2)에서 압축된 후 토출관(113)을 흐르는 가스 또는 토출커버(146)의 가스가 가스 안내유닛(200)과 프레임(120)에 형성된 가스채널(120a)을 순차적으로 통과 한 후 베어링 홀(141b)로 안내될 수 있고, 베어링 홀(141b)로 안내된 가스는 베어링 홀(141b)를 통과한 후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 안내유닛(200)은 토출관(113) 또는 토출커버(146)의 가스를 가스채널(120a)로 안내하는 가스관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관은 일단이 토출관(113)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가스채널(120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 홀(141b)은 일단이 가스채널(120a)를 향하고, 타단이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31)는 왕복동모터(1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무버(132)가 고정자(131)에 대해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무버(132)에 결합된 피스톤(142)은 실린더(141)의 내부에서 직선으로 왕복 운동을 하고, 흡입관(112)의 가스냉매는 흡입유로(E)를 통해 압축공간(S2)으로 흡입되어 압축공간(S2)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가스냉매는 토출관(113)을 통해 토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31)의 작동시, 압축공간(S2)에서 압축된 가스 냉매 중 일부는 베어링 홀(141b)을 통과한 후 실린더측 베어링면(141a)과 피스톤측 베어링면(142a)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고, 피스톤(142)과 실린더(141)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며, 도 10는 도 1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다.
냉각모듈(3)은 냉매가 순환하는 압축기(31)와, 응축기(32)와, 팽창기구(미도시) 및 증발기(3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는 증발기(34)에서 유동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응축기(32)는 압축기(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응축할 수 있다.
팽창기구는 응축기(32)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시키는 것으로서, LEV나 EEV 등의 전자팽창밸브로 구성되거나 캐필러리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외기를 응축기(32)로 송풍하는 응축팬(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는 응축기(32)와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응축팬(35)은 응축기(32) 및 압축기(31)로 외기를 송풍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외기는 냉장고가 설치된 실내에서 방열부(B)로 흡입되는 냉장고 외부의 공기이다.
증발기(34)는 팽창기구에 의해 감압된 냉매를 저장실에서 유동된 냉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 증발기(34)는 냉각모듈(3)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저장실의 냉기를 증발기(34)과 저장실로 순환하는 증발팬(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와, 응축기(32) 및 응축팬(35)은 외기로 열을 방열하는 방열부(B)를 구성할 수 있다.
방열부(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모듈(3)의 좌우 중 일측에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34)와, 증발팬(36)은 저장실 공기의 열을 흡열하는 흡열부(A)를 구성할 수 있다. 흡열부(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B)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방열부(B)와 흡열부(A)는 좌,우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B)와 흡열부(A)는 좌우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31), 응축기(32), 팽창기구, 증발기(34)가 모두 냉각모듈(3)을 구성할 수 있고,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튜브는 냉각모듈(3) 내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축기(31)와 응축기(32)를 연결하는 냉매튜브와, 응축기(32)와 팽창기구를 연결하는 냉매튜브와, 팽창기구와 증발기(34)를 연결하는 냉매튜브와, 증발기(34)와 압축기(31)를 연결하는 냉매튜브 모두는 냉각모듈(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매튜브들이 냉각모듈(3)에만 배치될 경우, 냉매튜브는 본체(1) 특히, 저장실 내부에 배치될 필요 없고, 본체(1)에는 냉매튜브가 통과하기 위한 냉매튜브 관통홀이나 냉매튜브 가이드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만약, 증발기가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냉매튜브가 이너 케이스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본체(1)의 제작 공정은 복잡하고, 냉매튜브 연결작업이 복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저장실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증발기(34)가 위치될 경우, 본체(1)에는 냉매튜브 관통홀이나 냉매튜브 가이드가 구비될 필요가 없고, 본체(1)의 제작 및 증발기(34)의 설치 작업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압축기(31), 응축기(32), 증발기(34)가 하나의 냉각모듈(3)을 구성하면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면,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튜브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고, 냉장고의 제조원가는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냉장고는 방열부(B)가 흡열부(A)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방열부(B)의 일부인 압축기(31)는 냉장고의 전면과 가까워질 수 있고, 압축기(31)는 가급적 냉장고의 전면에서 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B)가 흡열부(A)의 옆에 위치될 경우, 방열부(B)를 구성하는 압축기(31)는 냉장고의 전면에서 최대한 멀게 위치될 수 있고, 압축기(31)에서 발생된 소음이 본체(1)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방열부(B)는 본체(1)의 전면과 본체(1)의 배면 중 본체(1)의 배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냉각모듈(3)의 크기 특히, 냉각모듈(3)의 전후방향(Y) 길이 및 냉각모듈(3)의 상하방향(Z) 길이 각각을 최소화하기 위해, 흡열부(A)는 방열부(B)의 옆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흡열부(A)가 방열부(B)의 옆에 위치될 경우, 압축기(31)와 증발기(34)와 응축기(32)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 베리어(11)를 전후방향(Y)으로 향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베리어(11)의 후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상 연장면은 압축기(31)와 증발기(34)와 응축기(32) 각각과 만날 수 있고, 압축기(31)와 증발기(34)와 응축기(32) 각각은 수평방향으로 본체 베리어(11)와 오버랩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저장실에서 유동된 냉기가 흡열부(A)로 유동되고, 외기가 방열부(B)로 유동되게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방열부(B)와 흡열부(A)를 구획하는 냉각모듈 베리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는 냉각모듈(3)의 내부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B)가 수용되는 공간(S3)와, 흡열부(A)가 수용되는 공간(S4)으로 구획할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의 일 예는 방열부(B)와 흡열부(A) 사이에 배치된 구획판으로 구성되어, 방열부(B)와 흡열부(A)를 좌,우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냉각모듈 베리어(40)는 냉각모듈(3)의 내부에 전후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의 다른 예는 흡열부(A)의 외부에 배치되어 흡열부(A)를 둘러싸는 증발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증발기 하우징 내부의 방열부(B)와, 증발기 하우징 외부의 흡열부(A)를 구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냉각모듈 베리어(40)의 내부에는 흡열부(A)가 수용되는 흡열부 수용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B)가 수용되는 방열부 수용공간(S3)은 냉각모듈 베리어(4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흡열부 수용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는 좌우방향(X)으로 긴 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냉각모듈 베리어(40)의 좌우방향(X) 길이는 냉각모듈 베리어(40)의 전후방향(Y) 길이 및 냉각모듈 베리어(40)의 상하방향(Z)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냉각모듈 베리어(40)는 상면이 개방된 베리어 하우징(40A)와, 베리어 하우징(40A)의 상면을 덮는 베리어 탑 커버(40B)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증발기(34)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최대한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증발기(34)의 좌우방향(X) 전체 길이는 본체(1) 좌우방향(X) 길이의 1/2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증발기(34)의 좌우방향(X) 전체 길이는, 증발기(34)가 냉동실 증발기(34C)와 냉장실 증발기(34D)를 포함하고, 냉동실 증발기(34C)와 냉장실 증발기(34D)가 좌우방향(X)으로 이격될 경우, 냉동실 증발기(34C)의 좌우방향 길이(L3)와, 냉동실 증발기(34C)와 냉장실 증발기(34D) 사이의 이격 거리(L10)와, 냉장실 증발기(34D)의 좌우방향 길이(L4)의 합일 수 있고, 이러한 증발기(34)의 좌우방향(X) 전체 길이(L3+L10+L4)는 방열부(B)가 차지하는 공간(S3)의 좌우방향(X)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 최대한 좌우방향(X)으로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모듈(3)의 높이(H1)는 본체 베리어(11)의 높이(H2) 보다 높을 수 있다.
본체(1)의 저면에서 냉각모듈(3)의 하면까지의 높이는 본체(1)의 저면에서 본체 베리어(11)의 하면까지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그리고, 본체(1)의 하면에서 냉각모듈(3)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본체(1)의 하면에서 본체 베리어(11)의 상면까지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냉각모듈(3)은 그 상단과 하단이 본체 베리어(11)의 배면과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고, 냉각모듈(3)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일부가 본체 베리어(11)의 배면과 수평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냉각모듈 바디(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는 냉각모듈(3)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냉각모듈 수용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는 흡열부(A) 및 방열부(B)와 함께 냉각모듈 수용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냉각모듈 바디(41)에 흡열부(A) 및 방열부(B)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모듈 수용공간(S1)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냉각모듈(41)은 냉각모듈 바디(41)이 냉각모듈 수용공간(S1)에 장착된 상태에서, 흡열부(A) 및 방열부(B)가 냉각모듈 바디(41)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흡열부(A)와 방열부(B)와 냉각모듈 바디(41)의 조립체는 본체(1)와 별도로 제작된 후, 본체(1)에 장착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로어 바디(45) 및 어퍼 바디(46)와;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사이드 바디(47)(48)와, 한 쌍의 사이드 바디(47)(48) 후방부를 잇는 리어 바디(49)와, 한 쌍의 사이드 바디(47)(48) 전방부를 잇는 프론트 바디(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B)와 흡열부(A)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47)(48) 사이에 좌,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의 전체 높이(H1)는 냉각모듈 바디(41)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는 그 외면 일부가 저장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냉동실 이너 케이스(13)과 냉장실 이너 케이스(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고, 냉각모듈 바디(41)는 개구부를 막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모듈 바디(41)의 외면과,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내면은 함께 냉동실(F)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모듈 바디(41)의 외면과, 냉장실 이너 케이스(14)의 내면은 함께 냉장실(R)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은 그 상부 일부나 그 하부 일부 중 어느 하나가 냉장실(R)로 삽입되어 냉장실(R) 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상부 일부나 그 하부 일부 중 다른 하나가 냉동실(F)로 삽입되어 냉동실(F) 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체(1)는 냉각모듈 바디(41) 중 냉장실(R)을 향해 돌출된 부분이나 냉각모듈 바디(41) 중 냉동실(F)을 향해 돌출된 부분을 덮는 별도의 냉각모듈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냉각모듈 커버는 냉동실 이너 케이스(13)의 내면과 함께 냉동실(F)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냉장실 이너 케이스(14)의 내면과 함께 냉장실(R)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흡열부(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증발기(3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베리어(11)의 후단(1E)과 전후방향(Y)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체 베리어(11)의 후단(1E)는 도 3에 도시된 전방측 대향면(1E)일 수 있다.
본체 베리어(11)의 후단(1E)과 증발기(34) 사이의 전후방향 이격 거리(L1)는 본체 베리어(11)의 전후방향 길이(L2) 보다 짧을 수 있다.
증발기(34)는 수평하게 눕혀서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34)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34A)와, 냉매튜브(34A)에 결합되고, 냉기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열 핀(34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열 핀(34B)는 냉매튜브(34A)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열 핀(34B)는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공기를 수평방향(즉,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전열 핀(34B)이 냉기를 전후방향(Y)으로 안내할 경우, 전열핀(34B)는 냉기를 전후방향(Y)으로 안내하는 좌측 안내면과 우측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열핀(34B)이 냉기를 좌우방향(X)으로 안내할 경우, 전열핀(34B)는 냉기를 좌우방향(X)으로 안내하는 프론트 안내면과 리어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34)는 냉동실(F)을 냉각하는 냉동실 증발기(34C)와, 냉장실(R)을 냉각하는 냉장실 증발기(3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동실 증발기(34C)와 냉장실 증발기(34D) 각각은 냉매튜브(34A)와 냉매튜브(34A)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전열 핀(34B)을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 증발기(34C)의 좌우방향(X) 길이(L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증발기(34D)의 좌우방향(X) 길이(L4) 보다 길 수 있다.
냉장실 증발기(34D)는 냉동실 증발기(34C)와 방열부(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냉동실 증발기(34C)와 냉장실 증발기(34D)를 구획하는 흡열부 베리어(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는 전후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증발기(34C)가 수용된 제1증발기실(S5)과, 냉장실 증발기(34D)가 수용된 제2증발기실(S6)를 구획할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는 흡열부 수용공간(S4)를 제1증발기실(S5)과 제2증발기실(S6)로 구획할 수 있다.
냉동실 증발기(34C)는 흡열부 베리어(37)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한 면을 수평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냉장실 증발기(34D)는 흡열부 베리어(37)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다른 한 면을 수평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어느 한 면은 제1증발기실(S5)의 냉기를 안내하는 제1 냉기안내면일 수 있고, 흡열부 베리어(37)의 좌측면과 우측면 중 다른 한 면은 제2증발기실(S6)의 냉기를 안내하는 제2 냉기안내면일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는 냉각모듈 베리어(40)와 함께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는 냉각모듈 베리어(4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냉각모듈 베리어(40)의 내부를 제1 증발기실(S5)와 제2 증발기실(S6)로 좌,우 구획할 수 있다. .
흡열부 베리어(37)는 냉동실 증발기(34C)와 냉장실 증발기(34D) 각각과 좌우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는 제1 증발기실(S5)의 크기가 제2 증발기실(S6)의 크기 보다 크게 배치될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은 냉각모듈 베리어(40) 내부에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열부 베리어(37)은 냉각모듈 베리어(40) 내부에 방열부(B)의 방향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은 한 쌍의 사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중 어느 하나와 흡열부 베리어(37) 사이의 거리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중 다른 하나와 흡열부 베리어(37) 사이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냉동실 증발기(34C)는 제1 증발기실(S5)와 제2 증발기실(S6) 중 크기가 더 큰 증발기실에 수용될 수 있고, 냉장실 증발기(34D)는 제1 증발기실(S5)와 제2 증발기실(S6) 중 크기가 더 작은 증발기실에 수용될 수 있다.
흡열부(A)는 냉동실 증발기(34C)의 아래에 배치되어 냉동실 증발기(34C)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냉동 드레인팬(34E, 도 1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냉장실 증발기(34D)의 아래에 배치되어 냉장실 증발기(34D)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냉장 드레인팬(34F, 도 9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팬(36)은 하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 이외에 토출구가 형성된 원심팬일 수 있다. 이러한 원심팬의 적어도 일부는 증발기의 상측에 증발기와 상하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팬(36)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 증발기(34C)의 상측에 배치된 냉동팬(36C)과,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증발기(34D)의 상측에 배치되고 냉동팬(36C)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냉장팬(36D)을 포함할 수 있다.
냉동팬(36C)은 제1 증발기실(S5)에 냉동실 증발기(34C)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냉동팬(36C)은 냉동실 증발기(34C)의 하측에 냉동 드레인팬(34E)가 배치되므로, 냉동실 증발기(34C)를 기준으로 냉동 드레인팬(34E)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냉동실 증발기(34C)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동팬(36C)는 전후방향(Y)으로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와 프론트 바디(50) 중 어느 하나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동팬(36C)는 로어 아웃렛덕트(15)나 어퍼 아웃렛덕트(17)의 전후방향(Y) 위치를 고려하여,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동팬(36C)은 회전축이 수직중심축일 수 있고, 그 아래에 위치하는 냉동실 증발기(34C)의 냉기를 상측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로어 인렛덕트(16)는 일단이 제1 증발기실(S5)과 연통될 수 있고, 제1증발기실(S5)에 배치된 냉동팬(35C)는 로어 아웃렛덕트(15)와 직접 연통되거나 별도의 커넥팅 덕트(38)를 통해 로어 아웃렛덕트(15)와 연통될 수 있으며, 하부 저장실의 냉기는 로어 인렛덕트(16)와, 제1 증발기실(S5)와, 로어 아웃렛 덕트(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다시 하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냉장팬(36D)는 제2 증발기실(S6)에 냉장실 증발기(34D)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냉장팬(36D)은 냉장실 증발기(34D)의 하측에 냉장 드레인팬(34F)가 배치되므로, 냉장실 증발기(34D)를 기준으로 냉장 드레인팬(34F)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냉장실 증발기(34D)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장팬(36D)은 회전축이 수직중심축일 수 있고, 그 아래에 위치하는 냉장실 증발기(34D)의 냉기를 상측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냉장팬(36D)는 전후방향(Y)으로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와 프론트 바디(50) 중 어느 하나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장팬(36D)는 로어 아웃렛덕트(15)나 어퍼 아웃렛덕트(17)의 전후방향(Y) 위치를 고려하여,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상면에 어퍼 인렛(46A)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인렛(46A)는 냉동실(F)과 냉장실(R) 중 더 상측에 위치하는 저장실(즉, 상부 저장실)의 냉기를 흡열부(A)로 흡입할 수 있다. 어퍼 인렛(46A)은 제2 증발기실(S6)과 연통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은 어퍼 인렛(46A)과 직접 연통될 수 있고, 상부 저장실의 냉기는 어퍼 인렛(46A)를 통해 흡열부(A)로 흡입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은 어퍼 인렛과 별도의 어퍼 인렛덕트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상부 저장실의 냉기는 어퍼 인렛덕트와 어퍼 인렛(45A)를 통해 흡열부(A)로 흡입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어퍼 아웃렛덕트(17)의 일단은 제2증발기실(S6)에 배치된 냉장팬(36D)와 연통될 수 있고, 상부 저장실의 냉기는 냉각모듈(3)의 어퍼 인렛(4A)과, 제2 증발기실(S6)와, 어퍼 아웃렛 덕트(17)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냉각모듈(3)은 냉동팬(36C)과 냉장팬(34D) 중 하나의 토출구와 로어 아웃렛덕트(15)를 잇는 커넥팅 덕트(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덕트(38)는 로어 아웃렛덕트(15)과, 하부 저장실로 냉기를 송풍하는 증발팬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증발기(34)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커넥텅 덕트(48)와 로어 아웃렛덕트(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하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다.
냉장실(R)이 냉동실(F)의 상측에 위치할 경우, 커넥팅 덕트(38)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팬(36C)의 토출구와, 로어 아웃렛덕트(15)를 연통시키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커넥팅 덕트(38)는 냉동실 증발기(34C)의 후방에 상하방향(Z)으로 길게 배치되어, 냉동팬(36C)의 토출구로 토출된 냉기를 로어 아웃렛덕트(15)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에는 로어 아웃렛덕트(15)의 일부 또는 커넥팅 덕트(38)의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모듈 베리어(40)에는 로어 아웃렛덕트(15)의 일부 또는 커넥팅 덕트(38)의 일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흡열부(A)는 외부와 증발기(34)를 단열하는 흡열부 단열재(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냉각모듈 바디(41)의 내면에 시공될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냉각모듈 베리어(40)에 시공될 수 있다. 냉각모듈 베리어(40)가 육면체 형상일 경우, 흡열부 단열재(39)는 냉각모듈 베리어(40)의 외면과 내면 중 적어도 일면에 시공될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흡열부 베리어(37)에 시공될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흡열부 베리어(37) 중 냉동실 증발기(34C)를 향하는 일면과, 흡열부 베리어(37) 중 냉장실 증발기(34D)를 향하는 타면 각각에 시공될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본체(1)의 단열재(19) 보다 단열성능이 높은 단열재일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본체(1)의 단열재(19) 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진공단열재(Vacumm Insulation Panel, VIP)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1)의 단열재(19)는 폴리우레탄 등의 통상적인 단열재일 수 있다.
흡열부 단열재(39)는 진공단열재(Vacumm Insulation Panel, VIP)일 경우, 흡열부 수용공간(S4)을 최대화할 수 있어 증발기(34)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으면서, 냉각모듈(3)을 최대한 컴팩트화할 수 있다.
이하, 방열부(B)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방열부(B)는 그 상하방향(Y) 길이, 즉, 높이가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31)는 방열부(B)의 전체 높이가 높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기(31)는 피스톤(142, 도 4 참조)의 운동방향인 제1방향의 길이가 피스톤(142)의 운동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압축기(31)는 옆으로 눕혀져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31)는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되거나 전후방향(Y)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31)는 좌우방향(X)이나 전후방향(Y)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방향(X) 및 전후방향(Y) 각각과 경사진 경사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압축기(31)가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경우, 피스톤(142)은 좌우방향(X)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압축기(31)가 전후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경우, 피스톤(142)은 전후방향(Y)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압축기(31)가 경사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경우, 피스톤(142)는 경사방향으로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압축기(31)가 옆으로 눕혀져서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 압축기(31)의 높이(H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1)의 수평방향 길이(L5) 보다 짧을 수 있다.
압축기(31)의 높이(H3)는 압축기(31)의 수평방향 길이(L5)의 0.8 배 이하일 수 있다.
응축기(32)는 압축기(31)의 장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32)의 장방향과 압축기(31)의 장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응축기(32)의 수평방향 길이(L7)는 응축기(32)의 상하방향 길이(L8) 보다 길 수 있다.
응축기(32)은 제1방향의 길이가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압축기(31)의 피스톤(142)이 좌우방향(X)으로 왕복 운동할 경우, 응축기(32)의 좌우방향(X) 길이는 응축기(32)의 상하방향(Z) 길이 및 응축기(32)의 전후방향(Y)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압축기(31)의 피스톤(142)이 전후방향(Y)으로 왕복 운동할 경우, 응축기(32)의 전후방향(Y) 길이는 응축기(32)의 상하방향(Z) 길이 및 응축기(32)의 좌우방향(X)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응축팬(35)은 응축기(32)와 압축기(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팬(35)은 응축기(3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압축기(31)는 응축팬(35)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팬(35)은 전후방향(Y)으로 응축기(32) 및 압축기(31)를 향할 수 있다.
응축팬(35)은 압축기(31)의 장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팬(35)의 장방향과 압축기(31)의 장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응축팬(35)은 제1방향의 길이가 제2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압축기(31)의 피스톤(142)이 좌우방향(X)으로 왕복 운동할 경우, 응축팬(35)의 좌우방향(X) 길이는 응축팬(35)이 상하방향(Z) 길이 및 응축팬(35)의 전후방향(Y)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압축기(31)의 피스톤(142)이 전후방향(Y)으로 왕복 운동할 경우, 응축팬(35)의 전후방향(Y) 길이는 응축팬(35)의 상하방향(Z) 길이 및 응축기(32)의 좌우방향(X)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한편, 냉각모듈(3)에는 외기가 방열부(B)로 흡입되는 인렛(42)(43)과, 방열부(B)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아웃렛(44)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42)(43)과 아웃렛(44)은 냉각모듈 바디(41)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에는 외기가 방열부(B)로 흡입되는 인렛(42)(43)과, 방열부(B)를 통과한 공기가 냉각모듈(3)의 외부로 토출되는 아웃렛(44)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와, 사이드 바디(47)는 방열부(B)를 둘러쌀 수 있다.
응축기(32)는 방열부(B)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압축기(31)의 이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기(32)는 인렛(42)(43)과 아웃렛(44)중 인렛(42)(43)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축기(31)는 인렛(42)(43)과 아웃렛(44) 중 아웃렛(44)에 더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렛(42)(43)은 리어 바디(49)에 형성된 리어 인렛(42)과, 사이드 바디(47)에 형성된 사이드 인렛(4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렛(44)은 사이드 바디(47) 중 사이드 인렛(43) 전방에 사이드 인렛(43)과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B)는 냉각모듈(3)의 좌,우 중 일측에 편심되게 위치되고, 사이드 인렛(43)과 아웃렛(44)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중 응축기(32), 응축팬(35) 및 압축기(31)와 더 근접한 하나의 사이드 바디(47)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인렛(42)은 리어 바디(49) 중 응축기(32)를 전후방향(Y)으로 향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응축팬(35)의 수평방향 길이(L9)는 응축기(32)의 수평방향 길이(L7) 및 압축기(31)의 수평방향 길이(L5) 보다 길 수 있다. 응축팬(35)는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응축팬(35)의 좌우방향(X) 길이는 응축기(32)의 좌우방향 길이 및 압축기(31)의 좌우방향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응축팬(35)은 제1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한 쌍의 팬유닛(35A)(35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팬유닛(35A)(35B)은 압축기(31)의 장방향으로 순차 배치될 수 있다.
응축팬(35)은 응축기(32)와 압축기(31) 사이에 좌,우 배치된 한 쌍의 팬유닛(35A)(35B)을 포함할 수 있다.
팬유닛(35A)(35B)은 외기를 안내하는 쉬라우드와, 쉬라우드에 설치된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팬유닛(35A)(35B)의 팬은 프로펠러 팬일 수 있다.
한 쌍의 팬유닛(35A)(35B) 각각의 좌우방향(X) 길이는 응축기(32)의 좌우방향 길이 및 압축기(31)의 좌우방향 길이 각각 보다 짧을 수 있다. 그러나, 한 쌍의 팬유닛(35A)(35B) 중 어느 하나의 좌우방향 길이와, 한 쌍의 팬유닛(35A)(35B) 중 다른 하나의 좌우방향 길이의 합은 응축기(32)의 좌우방향 길이 및 압축기(31)의 좌우방향 길이 각각 보다 길 수 있다.
한 쌍의 팬유닛(35A)(35B)은 응축기(32)의 서로 상이한 영역을 향할 수 있고, 외기는 응축기(32)와 열교환된 후, 한 쌍의 팬유닛(35A)(35B)으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고, 한 쌍의 팬유닛(35A)(35B)에서 송풍된 공기는 열교환기(31)로 송풍될 수 있다.
응축팬(35)이 하나의 대형 팬유닛으로 구성될 경우, 그 전체 높이가 높은 반면에,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팬유닛(35A)(35B)으로 구성될 경우, 응축팬(35)의 상하방향 길이 즉, 응축팬(35)의 높이가 낮을 수 있고, 냉각모듈(3)은 하나의 대형 팬유닛이 응축팬(35)으로 사용되는 경우 보다 높이가 낮을 수 있고,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팬유닛(35A)(35B)을 포함하는 응축팬(35)은 맥놀이 현상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팬유닛(35A)(35B)은 그 회전수가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팬유닛(35A)(35B)은 그 각각의 풍량을 조절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팬유닛(35A)(35B) 각각의 회전수를 감지한 후, 그 회전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팬유닛(35A)(35B) 각각의 회전수를 감지한 결과, 제 1 팬유닛의 회전수와, 제2팬유닛의 회전수가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설정값 이내이면, 제1팬유닛과 제2팬유닛 각각의 회전수가 유지되게 제1팬유닛과 제2팬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제1팬유닛의 회전수와, 제2팬유닛의 회전수의 차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제1팬유닛의 회전수와, 제2팬유닛의 회전수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각각의 회전수가 동일하거나 그 차가 설정값 이내가 되도록 제 1 팬유닛와, 제2팬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편의를 위해 냉동실(F)이 본체 베리어(11)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저장실이고, 냉장실(R)이 본체 베리어(11)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저장실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냉각모듈(3)은 본체(1)의 후방 또는 옆에서 냉각모듈 수용공간(S1)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냉각모듈(3)은 본체(1)에 장착되었을 때, 로어 아웃렛덕트(15), 로어 인렛덕트(16)와 및 어퍼 아웃렛덕트(17) 각각과 연결될 수 있고, 로어 아웃렛덕트(15), 로어 인렛덕트(16)와 및 어퍼 아웃렛덕트(17) 각각과 연결된 상태에서 운전될 수 있다.
압축기(31)의 구동시, 압축기(3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고, 압축기(31)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32), 팽창기구 및 증발기(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31)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31)의 구동시, 냉매를 본체(1)로 유동되지 않고, 냉각모듈(3)의 내부에서만 유동될 수 있다.
냉동팬(36C)의 구동시, 냉동실(F)의 냉기는 로어 인렛덕트(16)으로 흡인되어 로어 인렛덕트(16)를 통과할 수 있고, 로어 인렛덕트(16)에서 제1증발기실(S5)로 흡입될 수 있다.
제1증발기실(S5)로 흡입된 냉기는 냉동실 증발기(34C)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냉동실 증발기(34C)를 통과하는 냉매로 열을 빼앗길 수 있고, 냉동팬(36C)으로 흡입되어 송풍될 수 있다.
냉동팬(36C)에서 송풍된 냉기는 커넥팅 덕트(38)를 통과하여 로어 아웃렛덕트(15)로 유동될 수 있고, 로어 아웃렛덕트(15)의 복수개 로어 토출공(15A)을 통해 냉동실(F)로 토출될 수 있다.
냉장팬(36D)의 구동시, 냉장실(R)의 냉기는 어퍼 인렛(46C)으로 흡입되어 제2증발기실(S6)로 흡입될 수 있다.
제2증발기실(S6)로 흡입된 냉기는 냉장실 증발기(34D)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냉장실 증발기(34D)를 통과하는 냉매로 열을 빼앗길 수 있고, 냉장팬(36D)으로 흡입되어 송풍될 수 있다.
냉장팬(36D)에서 송풍된 냉기는 어퍼 아웃렛덕트(17)로 유동될 수 있고, 어퍼 아웃렛덕트(17)의 복수개 로어 토출공(17A)을 통해 냉동실(F)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본체(1)에 형성된 저장실의 냉기가 냉각모듈(3)의 제1증발기실(S5) 및 제2증발기실(S6)로 이동된 후 다시 저장실로 토출되고, 냉매가 냉각모듈(3)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저장실의 냉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응축팬(35)의 구동시, 냉장고 외부의 공기는 리어 인렛(42)와 사이드 인렛(43)을 통해 냉각모듈(3)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응축기(32)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매를 방열시키고, 이후 한 쌍의 팬유닛(35A)(35B)을 통과하여 압축기(31)로 송풍될 수 있다. 압축기(31)로 송풍된 외기는 압축기(31)를 방열시킨 후, 아웃렛(44)을 통과해 본체(1)의 옆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모듈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냉동실 증발기 및 냉동실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동팬(36C')은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와 프론트 바디(50) 중 프론트 바디(50)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각모듈(3)은 하부 저장실의 상부에서 하부 저장실로 냉기를 토출할 수 있고,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는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냉각모듈(3)이 냉기를 하부 저장실로 직접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어 아웃렛덕트(15)를 필요하지 않고, 냉각모듈(3)에서 토출된 냉기는 직접 하부 저장실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냉각모듈(3)이 냉기를 하부 저장실로 직접 토출할 경우, 냉각모듈(3)은 그 후단과 선단 중 선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냉기를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냉동팬(36C')은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와, 프론트 바디(50) 중 프론트 바디(50)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냉동팬(36C')과 하부 저장실을 연통시키는 별도의 커넥팅 덕트(3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커넥팅 덕트(38')는 냉동팬(36C')의 토출구로 토출된 냉기를 하부 저장실로 안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덕트(38')는 냉동실 증발기(34C)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고, 냉동팬(36C')에서 토출된 공기를 하부 저장실의 상부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냉동팬(36C')와 커넥팅 덕트(38')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냉동실 증발기 및 냉동실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로어 아웃렛덕트(15)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와 같이 냉각모듈 바디(41)의 리어 바디(49)와 프론트 바디(50) 중 프론트 바디(50)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 냉동팬(36C')을 포함할 수 있고, 냉동팬(36C')과 로어 아웃렛덕트(15)를 연결하는 커넥팅 덕트(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냉동팬(36C')에서 송풍된 냉기가 커넥팅 덕트(38")를 통과하여 로어 아웃렛덕트(15)로 유동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커넥팅 덕트(38")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냉동팬(36C')와 로어 아웃렛덕트(15)는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위치될 수 있고, 커넥팅 덕트(38")는 상하방향(Z)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냉동팬(36C')과 로어 아웃렛덕트(15)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일예로, 커넥팅 덕트(38")는 냉동실 증발기(34C)의 전방에 상하방향(Z)으로 길게 배치된 제1덕트(38A)와, 제1덕트(38A)와 연통되고 전후방향(Y)으로 길게 배치되어 로어 아웃렛덕트(15)에 연결되는 제2덕트(38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냉동팬(36C')와 커넥팅 덕트(38")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모듈(3)이 이격된 한 쌍의 흡열부(A)를 포함하고, 방열부(B)가 이러한 한 쌍의 흡열부(A)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냉각모듈(3)의 인렛(42)(43) 및 아웃렛(44)이 냉각모듈(3)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본체 2: 도어
3: 냉각모듈 11: 본체 베리어
15: 로어 아웃렛덕트 16: 로어 인렛덕트
17: 어퍼 아웃렛덕트 31: 압축기
32: 응축기 34: 증발기
35: 응축팬 36: 증발팬
37: 흡열부 베리어 38: 커넥팅 덕트
39: 흡열부 단열재 40: 냉각모듈 베리어
41: 냉각모듈 바디 A: 흡열부
B: 방열부 S1: 냉각모듈 수용공간

Claims (23)

  1. 제1,2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냉각모듈 수용공간; 및
    상기 냉각모듈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냉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은,
    제1증발기실 및 제2증발기실을 형성하는 벽을 가지는 증발기 하우징;
    상기 제1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증발기실에 설치되는 제1증발기;
    상기 제2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증발기실에 설치되는 제2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 하우징의 벽의 외부에 배치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의 제1토출구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증발기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제1저장실로 공급하는 제1아웃렛 덕트; 및
    상기 냉각모듈의 제2토출구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증발기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제1저장실로 공급하는 제2아웃렛 덕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제1증발기실과 상기 제2증발기실을 분리하는 흡열부 베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흡열부 베리어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 및 상기 제2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증발기실 또는 상기 제2증발기실이 납작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누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증발기의 크기가 상기 제1증발기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2증발기실의 용적은 상기 제1증발기실의 용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 및 상기 제2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 및
    상기 냉매튜브에 결합되고, 냉기가 상기 증발기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유동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전열 핀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냉기를 상기 제1저장실로부터 상기 제1증발기실로 도입하기 위한 인렛을 포함하고,
    상기 인렛은 상기 제1저장실의 일면에 결합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실은 상기 냉각모듈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저장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저장실의 냉기를 상기 인렛으로 냉기를 보내주는 회수 구멍이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을 통하여 상기 제1증발기실로 유입된 냉기가 후방을 향하여 유동하도록, 상기 인렛은 상기 제1증발기실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웃렛 덕트는 상기 제1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구는 상기 냉각모듈의 전후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인렛의 맞은 편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증발기실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발기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1저장실로 냉기를 불어주는 제1팬; 및
    상기 제2증발기실에 설치되며, 상기 제2저장실로 냉기를 불어주는 제2팬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1증발기실과 상기 제2증발기실을 분리하는 흡열부 배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 배리어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하우징의 벽의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응축팬 및 응축기는 일렬로 배치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팬은 상기 압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상기 냉각모듈 수용공간을 향하여 전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냉각모듈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응축기로 가이드 하는 인렛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되는 아웃렛을 포함하고, 상기 인렛은 상기 냉각모듈의 후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저장실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아웃렛 덕트는 상기 제2아웃렛 덕트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하는 냉장고.
  17.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냉각모듈 수용공간; 및
    상기 냉각모듈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냉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은,
    증발기실을 형성하는 벽을 가지는 증발기 하우징;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실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 하우징의 벽의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의 토출구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저장실로 공급하는 아웃렛 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모듈이 상기 냉각모듈 수용공간을 향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냉각모듈 수용공간은 상기 본체의 후면에 함몰하여 형성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은 납작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냉각모듈의 좌우방향 길이는 상기 본체의 좌우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의 높이가 작아지도록, 상기 증발기는 가로 방향으로 누워져 상기 증발기실에 배치되는 냉장고.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실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증발기실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1,2증발기실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증발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상하로 배치되는 제1,2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 덕트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제1저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제1아웃렛 덕트 및 상기 제2저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제2아웃렛 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모듈의 후면은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를 향하여 외기를 도입하는 인렛을 형성하는 냉장고.
  23. 제1,2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냉각모듈 수용공간;
    상기 냉각모듈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흡열부 및 방열부를 포함하는 냉각모듈;
    상기 냉각모듈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냉각모듈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제1저장실로 공급하는 제1아웃렛 덕트; 및
    상기 냉각모듈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냉각모듈에서 발생된 냉기를 상기 제2저장실로 공급하는 제2아웃렛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모듈의 흡열부는 제1증발기실 및 제2증발기실을 형성하는 벽을 가지는 증발기 하우징과, 상기 제1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1증발기실에 설치되는 제1증발기와, 상기 제1증발기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1팬과, 상기 제2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증발기실에 설치되는 제2증발기 및 상기 제2증발기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2팬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모듈의 방열부는 상기 증발기 하우징의 벽의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팬을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와 상기 방열부는 일체로 상기 냉각모듈 수용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
KR1020220128639A 2017-09-22 2022-10-07 냉장고 KR10259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639A KR102594045B1 (ko) 2017-09-22 2022-10-07 냉장고
KR1020230141123A KR20230151958A (ko) 2017-09-22 2023-10-2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584A KR102454399B1 (ko) 2017-09-22 2017-09-22 냉장고
KR1020220128639A KR102594045B1 (ko) 2017-09-22 2022-10-07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84A Division KR102454399B1 (ko) 2017-09-22 2017-09-22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123A Division KR20230151958A (ko) 2017-09-22 2023-10-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978A true KR20220142978A (ko) 2022-10-24
KR102594045B1 KR102594045B1 (ko) 2023-10-25

Family

ID=6581032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84A KR102454399B1 (ko) 2017-09-22 2017-09-22 냉장고
KR1020220128639A KR102594045B1 (ko) 2017-09-22 2022-10-07 냉장고
KR1020230141123A KR20230151958A (ko) 2017-09-22 2023-10-2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84A KR102454399B1 (ko) 2017-09-22 2017-09-22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123A KR20230151958A (ko) 2017-09-22 2023-10-20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60234B2 (ko)
EP (1) EP3686527A4 (ko)
KR (3) KR102454399B1 (ko)
CN (1) CN111164362A (ko)
AU (1) AU2018335932B2 (ko)
RU (1) RU2741527C1 (ko)
WO (1) WO2019059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481A (ko) * 2019-08-02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4018138A4 (en) 2019-11-01 2023-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IDGE
WO2022165577A1 (en) * 2021-02-04 2022-08-11 Nidec Global Appliance Brasil Ltda. Refrigeration cartridge
KR20230009092A (ko) * 2021-07-08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고
KR20230009078A (ko) * 2021-07-08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70022047A (ko) * 2005-03-18 2007-02-23 캐리어 코포레이션 냉장 카세트를 위한 밀봉 시스템
KR100919822B1 (ko) 2008-04-02 200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933635B1 (ko) 2002-08-31 2009-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59441A (ko) * 2008-11-26 201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6413A (ko) * 2010-01-22 201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13076A (ko) *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05987A (ko) * 2014-07-08 201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1921B (de) * 1961-07-24 1964-01-30 Licentia Gmbh Gefrier- bzw. Tiefkuehlschrank
DE1241847B (de) 1962-02-09 1967-06-08 Borg Warner Kaelteanlage
US3116615A (en) * 1962-11-21 1964-01-07 Gen Electric Household refrigerator including removable unitary refrigerating system
US3216217A (en) * 1964-07-29 1965-11-09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ES2115433B1 (es) 1994-03-29 1999-02-16 Guillen Ramon Torres Disposicion para refrigerar productos almacenados en el armario de una maquina expendedora.
KR19980014956U (ko) * 1996-09-04 1998-06-25 김광호 냉장고
TW422331U (en) 1997-04-25 2001-02-11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US5809789A (en) * 1997-05-07 1998-09-22 Baker; Philip L. Refrigeration module
KR100286036B1 (ko) * 1997-12-29 2001-05-02 윤종용 냉장고
JP2000314580A (ja) * 1999-04-28 2000-11-14 Sanyo Electric Co Ltd 冷凍冷蔵庫
US6701739B2 (en) * 2002-06-12 2004-03-09 Tecumseh Products Company Modular refrigeration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
CN2550700Y (zh) * 2002-06-20 2003-05-14 广东三洋科龙冷柜有限公司 冰箱、冷柜的风道结构
WO2006101513A1 (en) 2005-03-18 2006-09-28 Carrier Corporation Sealing system for refrigeration cassette
DE102005021613A1 (de) * 2005-05-10 2006-11-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JP4004516B2 (ja) * 2005-08-04 2007-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07249537A (ja) * 2006-03-15 2007-09-27 Sanden Corp 自動販売機
DE102007029181A1 (de) 2007-06-25 2009-01-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RU2010152652A (ru) 2008-05-23 2012-06-27 Актиеболагет Электролюкс (Se)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ATE490444T1 (de) 2008-08-27 2010-12-15 Panasonic Corp Kühlanlage
BRPI0804334A2 (pt) * 2008-10-14 2010-07-13 Whirlpool Sa módulo de refrigeração para aparelho refrigerador de ventilação forçada e aparelho refrigerador
KR101578002B1 (ko) * 2008-12-10 2015-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0119591A1 (ja) 2009-04-17 2010-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凍冷蔵庫及び冷却庫
WO2011081498A2 (en) * 2009-12-31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635647B1 (ko) 2010-03-25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5588785B2 (ja) 2010-08-20 2014-09-10 株式会社Afrex 食品保存庫
RU2447376C1 (ru) 2010-10-13 2012-04-10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торговл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промторг Росс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и заморажива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продуктов
US10018396B2 (en) * 2011-05-16 2018-07-10 Whirlpool Corporation Universal and flexible cooling module set (CMS) configuration and architecture
US9109819B2 (en) 2011-05-31 2015-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245263B1 (ko) * 2011-06-20 2013-04-19 코리아콜드시스템(주) 냉각유닛 분리형 업소주방용 냉장고
US9417001B2 (en) * 2012-05-18 2016-08-16 Whirlpool Corporation Top cooling module for a refrigerator
SG11201509098RA (en) 2013-06-07 2015-12-30 Mitsubishi Electric Corp Heat insulating box body, refrigerator, and device including heat insulating box body
US20150272345A1 (en) * 2014-03-31 2015-10-01 Frigoglass North America Ltd. Co. Cooling Cassette For a Refrigerated Merchandiser
KR101821097B1 (ko) * 2017-08-08 2018-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933635B1 (ko) 2002-08-31 2009-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70022047A (ko) * 2005-03-18 2007-02-23 캐리어 코포레이션 냉장 카세트를 위한 밀봉 시스템
KR100919822B1 (ko) 2008-04-02 2009-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59441A (ko) * 2008-11-26 201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6413A (ko) * 2010-01-22 201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13076A (ko) *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05987A (ko) * 2014-07-08 201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35932B2 (en) 2022-02-03
RU2021100716A (ru) 2021-02-10
CN111164362A (zh) 2020-05-15
EP3686527A4 (en) 2021-08-18
KR102454399B1 (ko) 2022-10-14
US11460234B2 (en) 2022-10-04
RU2741527C1 (ru) 2021-01-26
AU2018335932A1 (en) 2020-04-16
WO2019059650A1 (ko) 2019-03-28
EP3686527A1 (en) 2020-07-29
US20200284495A1 (en) 2020-09-10
KR102594045B1 (ko) 2023-10-25
KR20190033881A (ko) 2019-04-01
KR20230151958A (ko) 2023-11-02
RU2021100716A3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399B1 (ko) 냉장고
KR102321492B1 (ko) 냉장고
KR20230004409A (ko) 냉장고
KR20100088231A (ko) 냉장고
KR101387489B1 (ko) 냉장고
KR20140006679A (ko) 냉장고
KR101565387B1 (ko) 냉장고
KR20110071167A (ko) 냉장고
KR20140113076A (ko) 냉장고
RU2773123C2 (ru) Холодильник
JP5627647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KR100526211B1 (ko) 냉장고의 분리형 냉동장치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1006026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1428420B2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JP2022178633A (ja) 冷蔵庫
CN116518477A (zh) 空调器
KR20110089573A (ko) 리턴덕트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50056318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JPH0996493A (ja) 放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