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078A -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078A
KR20230009078A KR1020210089686A KR20210089686A KR20230009078A KR 20230009078 A KR20230009078 A KR 20230009078A KR 1020210089686 A KR1020210089686 A KR 1020210089686A KR 20210089686 A KR20210089686 A KR 20210089686A KR 20230009078 A KR20230009078 A KR 20230009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mpartment
passage
hole
heat exchang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진
남윤성
박정원
김성욱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078A/ko
Priority to PCT/KR2022/009790 priority patent/WO2023282635A1/en
Publication of KR2023000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고 {Storehouse}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저장고는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일례로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의 피냉각물(이하, 편의를 위해 식품이라 칭함)을 차게 하거나 저온에서 보관하여 부패,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동 사이클부품을 포함한다.
냉동 사이클부품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구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저장실과 열교환실로 구획하는 냉기 토출덕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냉기 토출덕트의 전방에 저장실이 형성되고, 후방에 열교환실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실에는 증발기와 증발팬이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고, 기계실에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팬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기계실 내의 압축기는 열교환실 내의 증발기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는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첫째,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와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냉동 사이클부품의 수리가 필요할 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에 고장을 확인하고 수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증발기가 일체로 구성되고 증발기는 용접등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냉장고의 제작이 번거롭다. 그리고, 증발기의 제상시, 저장실과 열교환 하여 고내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열교환실이 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열교환실의 크기만큼 냉장고 본체 후벽의 전후방 폭이 커지고, 그에 따라 저장실의 용적이 그만큼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열부와 방열부를 일체로 구성하는 냉각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안되었다.
공개번호 특2003-0027367 (공개일자 : 2003년 4월 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과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가 구비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가 구비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이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제1통로를 향해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 및 상기 제1,2통공을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통로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X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상기 도어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로의 흡입공에 일치 (aligned)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X축방향의 수직인 Y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과 Y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과 상기 Y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은, 상기 흡입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 사이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다.
상기 토출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은, 상기 흡입공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은 서로 만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제1통로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 및 상기 제1,2통공을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토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통로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X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도어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로의 흡입공에 일치(aligned)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X축방향의 수직인 Y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저장고는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 및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상기 도어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및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유체는 제1저장실로 용이하게 공급되며, 제1저장실 내부의 유체는 제2저장실로 용이하게 리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제2통로를 통과한 후 제1통로를 향해 유동할 수 있으므로, 유체의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 및 상기 제1,2통공을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 유체의 흐름성이 개선되고 제1저장실의 용적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6-6'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17-1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일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예는, 냉장고, 온장고 등일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예는 식품, 의료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방식의 예는, 전도에 의한 직접 열교환, 대류 혹은 복사에 의한 간접 열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일 예는, 흡열부, 냉력발생장치, 냉원 (Cold source)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냉원의 예는, 증발기, 열전모듈의 흡열부로서 열전소자의 흡열면이나 흡열면에 연결된 콜드싱크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다른 예는, 방열부, 열력발생장치, 열원 (Heat source)으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 일 수 있다. 상기 열원의 예는, 응축기, 열전모듈 방열부로서 열전소자의 발열면이나 발열면에 연결된 히트싱크일 수 있다. 상기 유체의 예는, 공기, 물, 냉매 등 액체나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2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2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여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것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다른 하나로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체의 중앙부는 상기 물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물체를 3등분할 경우에,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상기 중앙부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중앙부와 접하는 면과 그 반대편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반대편의 면을 상기 물체의 테두리 혹은 에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가 저장실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유동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3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3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예는 공기를 흐르게 하는 팬, 물을 흐르게 하는 펌프, 냉매를 흐르게 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물품과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하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3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3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1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실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3저장실과 함께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3벽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제공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냉원으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서리를 제거하는 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원는 제상 열원일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열원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발생하는 증기를 제거하는 냉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원은 제증 냉원일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3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냉기(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통로와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통로를 형성하는 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냉기(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복수의 저장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구획벽, 서랍, 선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사이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열원이나 제증 냉원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일부가 열교환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고가 냉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저장고가 온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가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첫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는 면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마주보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상 열원이나 상기 제증 냉원과 열전달이 저감되게 하기 위한 단열공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의 최상단, 최하단, 최우단, 최좌단, 최후단, 최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1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2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이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부 혹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보다 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기의 유동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짧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은 상기 유동발생기의 무게중심, 질량중심, 체적중심, 회전중심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주변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저장실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저장실 모듈설계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저장실에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통로의 내부 및 상기 제2통로의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 사이의 거리를 이격할 수 있어서, 유체의 유동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드존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된 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저장실의 용적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팬 및 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제 1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고는 냉장고 또는 온장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전벽, 후벽, 측벽, 상벽 및 하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다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저장고 본체(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본체 아우터케이스(11)와,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11)의 내측에 조립되는 본체 이너케이스(12) 및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11)와 본체 이너케이스(12)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을 위한 본체 단열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이 지지되는 선반(23)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선반(23)은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을 수납하는 드로어(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드로어(22)는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선반(23) 또는 상기 다수의 드로어(22)에 의하여 다수의 저장칸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의 후벽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제 1 저장실(15)을 정의하는 제 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 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 1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에는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 된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덕트(30)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배출하는 덕트 토출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토출공(35)은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덕트 토출공(35)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전후방향 폭(w)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덕트(30)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1 열교환기(E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저장실(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실(16)은 구획벽(B1)에 의하여 상기 제 1 저장실(15)에 대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2 열교환기(E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3 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단열벽(B2)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및 제 2 열교환기(E2)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서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상기 제 2 열교환부(E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에는 2개의 독립된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독립된 유동은 상기 제 1,2 저장실(15,16)을 순환하는 제 1 유동(f1)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의 내부 및 외부를 통과하는 제 2 유동(f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2 유동(f2)이 통과하는 커버(B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외기가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유체 유입부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체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외기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커버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며, 상기 제 3 저장실(17)로부터 상기 커버 배출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외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제 2 유동(f2)은 유동 발생기, 일례로 제2팬에 의하여 발생되며, 상기 커버(B3)의 커버 유입부, 제 3 저장실(17) 및 상기 커버(B3)의 커버 배출부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어(2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는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커버(B3)는 상기 도어(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버(B3)와 상기 도어(20)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유체가 상기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되는 유입부(P1) 및 상기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된 유체가 상기 덕트(30)로 배출되는 배출부(P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P1)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전방부 상측에, 상기 배출부(P2)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후방부 상측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f1)은 상기 유입부(P1), 제 2 저장실(16) 및 배출부(P2)를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하류측에 배치되어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 발생기는 제 1 팬(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구획벽(B1)의 내부, 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팬(F)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출구측에 배치된다면 다른 위치에도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 및 상기 배출부(P2)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유체의 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와 상기 배출부(P2)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P1)를 통하여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된 유체는 제 1 열교환기(E1)를 거친 후 상기 제 1 팬(F)을 통과하며, 상기 배출부(P2)를 통하여 상기 덕트(30)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6-6'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제 1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1 열교환부로서 제 2 저장실(16)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220)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1팬(251,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실(15)의 유체는 상기 제 1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팬(251,252)은 냉각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팬(251,252)은 2개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팬은 제1열교환기(220)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팬이 제공되는 것에 의하여, 제 1,2 저장실(15,16)을 순환하는 냉기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2 열교환부로서 압축기(121), 제2열교환기(123)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2팬(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는 상기 제 2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열교환기(123)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팬(125)은 응축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장치 수용공간(1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제1열교환기(220)가 설치되는 제2저장실(16) 및 제2열교환기(123)가 설치되는 제3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구획벽(5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벽(50)은 본체 이너케이스(1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을 단열하기 위한 벽 단열재(56,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상기 제1저장실(15)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상기 제1저장실(15)보다 작은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열교환장치(100)의 제2저장실(16)로 제1저장실(15)의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2저장실(16)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에는 흡입 커넥터(26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유입부(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상측에서 제1저장실(15)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를 도입하는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커버 본체(151)와, 유체를 상기 제3저장실(17)로 유입시키는 커버 유입부(152) 및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3저장실(17)을 통과한 유체를 배출하는 커버 배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 및 상기 커버 배출부(153)는 상기 커버 본체(15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2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부(153)는 상기 압축기(12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23) 및 상기 압축기(121)를 거치면서 열교환 하고 상기 커버 배출부(153)를 통하여 저장고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123)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123)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팬(125)은 상기 압축기(121)와 상기 제 2 열교환기(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125)은 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1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후방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제 1 열교환기(220) 및 제1팬(251,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는 제1열교환기(220)를 수용하는 공간(205, 케이스수용부)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제2열교환부와 분리되며, 단열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수용부(205)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제2열교환부의 후방에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2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210)는 상단부가 개방된 다면체, 일례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유체는 팬 어셈블리(251,252)를 통하여 저장고 본체(10)의 덕트(30)로 유동하며,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 1 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베이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1,2 열교환부가 함께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2 열교환부는 각각 분리된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 없이 제 1 열교환부 또는 제 2 열교환부가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트레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면 및 상기 집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응축수의 흘러넘침을 방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트레이(13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 홀(218)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 홀(218)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에 형성되며,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218)을 통하여 트레이(130)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220)의 하측에는 제상 히터(23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235)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 저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235)의 구동에 의하여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218)을 통하여 상기 트레이(130)로 배수될 수 있다.
다만, 제상 히터(235)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제상 히터(235)는 생략되고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 열에 의하여 제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16)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16)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제 1 저장실(15)의 유체를 제 2 저장실(16)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제 2 통로의 유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2 저장실(16)과 연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5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에는 흡입 커넥터(26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유입부(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제 2 통로의 유입 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220)의 상측에서 제1저장실(15)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유입부(51)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261)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커넥터 유로(26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커넥터 본체(261)의 상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커넥터 플랜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플랜지(263)는 구획벽(5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저장실(15)과 연통하는 흡입 포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유체는 상기 흡입 포트를 통하여 상기 흡입 커넥터(26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의 하단부는 제 1 열교환기(220)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유체의 유입측을 형성하는 제 1 열교환기(220)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제 1 열교환기(2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22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누워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220)의 전후방향(X축 방향) 폭은 상하방향(Y축 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25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220)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250)는 축류팬으로 구성된 제1팬(251,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251,252)은 가로 방향으로 누워져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팬(251,252)의 축 방향은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팬(251,252)의 중심 축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후방공간, 즉 제 2 공간(205b)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220)를 지난 유체는 상기 제 2 공간(205b)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1팬(251,252)의 축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251,252)은 복수 개의 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팬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가 수용되는 제 2 저장실(16)은 제 1 공간(205a) 및 제 2 공간(20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205a)은 상기 제 1 열교환기(220)가 위치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205b)은 상기 제 1 열교환기(220)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제1팬(251,252)으로 향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제 1 열교환기(220)에서 상기 제1팬(251,252) 사이의 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는 제2통로를 통과한 후 제1통로를 향해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16)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 및 상기 제1,2통공을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통로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벽(50)에는,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58)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는 상기 제1팬(251,252)이 위치하는 팬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 수용부는 상기 구획 벽(50)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유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의 출구측에는 토출 커넥터(27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배출부(58)와 제 1 통로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통로는 제 1 저장실(15)에 배치되는 덕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에는 상기 토출 커넥터(270)를 지난 유체가 유입되는 덕트 유입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 유입부(33)는 상기 토출 커넥터(270)의 커넥터 토출공(276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유입부(33)는 상기 덕트(30)의 흡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배출부(58)와 상기 덕트 유입부(33)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2개의 커넥터측벽(271) 및 커넥터후벽(2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측벽(271)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부(58)를 지난 유체가 토출 커넥터(270)로 유입되는 커넥터유입공(27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후벽(274)에는 유체를 덕트 유입부(33)로 배출하기 위한 커넥터토출공(27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입공(276a)은 상기 배출부(58)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 1 통공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통공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은 상기 덕트 유입부(33)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통공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통공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커넥터후벽(274)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지지벽(27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벽(275)은 상기 덕트(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의 위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선택적인 특징을 구성하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이와는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제1팬(251,252)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구획 벽(5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제1저장실(15)의 후벽에 제공되어, 상기 덕트(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X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276a)의 중심은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의 중심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상기 도어(2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276a)의 중심은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의 중심보다 상기 도어(2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은 상기 커넥터유입공(276a) 보다 상기 덕트(3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로의 흡입공에 일치 (aligned)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은 상기 덕트(30)의 덕트 유입부(33)와 일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가로방향(X축방향)의 수직인 세로방향(Y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276a)은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와 Y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과 상기 Y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276a)의 중심은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의 중심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제2저장실(16)에서 배출된 유체가 상방(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방향과, 후방(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유체가 상기 커넥터유입공(276a)에서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을 향하여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2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273)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상기 가이드 벽(273)은 상기 커넥터측벽(271), 커넥터후벽(274) 및 가이드 면을 포함하는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벽(273)은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벽(273)은 상기 제1팬(251,252)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덕트(3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방향 전환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경사진 또는 라운드진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덕트유로(2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15)의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16)의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이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1저장실(15)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이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저장실(16)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의 커넥터유입공(276a)은 제 2 저장실(16)의 관점에서 보면 “토출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의 커넥터토출공(276b)은 제 1 저장실(15)의 제 1 통로 관점에서 보면 “흡입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276a)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ℓ1)은, 상기 흡입공(276b)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ℓ2) 사이의 각도(θ1)는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팬(251,252)의 구동에 따라, 제1저장실(15)과 제2저장실(16)을 순환하는 유체의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팬(251,252)이 구동하면, 제1저장실(15) 내부공간의 유체는 배출하여 흡입 커넥터(260)로 유입되며, 제2저장실(16)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 유체는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260)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단부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흡입 커넥터(260)에서 배출된 유체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단부 상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유체는 제1열교환기(220)의 전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220)로 유입되고 열교환 된 후 제1열교환기(220)의 후단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에서 배출된 유체는 제 2 공간(205b)을 경유하여 제1팬(251,252)의 축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251,252)의 축 방향으로 배출된 유체는 토출 커넥터(270)를 통하여 덕트(30)로 유입된다. 덕트(30)내의 유체는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1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7의 12-1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a)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a)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1 열교환부로서 제 1 저장실(16)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530)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1팬(5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실(15)의 유체는 상기 제 1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교환기(530)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팬(551)은 냉각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2 열교환부로서 압축기(521), 제2열교환기(523)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2팬(525)을 포함할 수 있다. 외기는 상기 제 2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열교환기(523)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팬(525)은 응축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a)는 장치 수용공간(1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제1열교환기(530)가 설치되는 제2저장실(16) 및 제2열교환기(523)가 설치되는 제3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구획벽(5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 및 장치 수용공간(18)에 관한 설명은 이전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방열부의 전방에는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커버(15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열교환장치(100a)는 상기 저장고 본체(10a)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는 제1열교환기(530)를 수용하는 공간(505, 케이스수용부)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5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는 제2열교환부와 분리되며, 단열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케이스수용부(505)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는 상기 제2열교환부의 후방에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51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511)는 상단부가 개방된 다면체, 일례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5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30)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유체는 팬 어셈블리(550)를 통하여 저장고 본체(10)의 덕트(30)로 유동하며,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 1 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a)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베이스(5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01)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1,2 열교환부가 함께 베이스(501)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2 열교환부는 각각 분리된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 없이 제 1 열교환부 또는 제 2 열교환부가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장치(100a)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트레이(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540)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면 및 상기 집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응축수의 흘러넘침을 방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케이스(510)는 상기 트레이(54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저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 홀(518)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 홀(518)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저면에 형성되며,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518)을 통하여 트레이(540)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30)의 하측에는 제상 히터(53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535)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내부 저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제상 히터(535)의 구동에 의하여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518)을 통하여 상기 트레이(130)로 배수될 수 있다.
다만, 제상 히터(535)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제상 히터(535)는 생략되고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 열에 의하여 제상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저장고(1a)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a)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16)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16)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제 1 저장실(15)의 유체를 제 2 저장실(16)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제 2 통로의 유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a)의 제 2 저장실(16)과 연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5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에는 흡입 커넥터(56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흡입 커넥터(560)는 상기 유입부(5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는 상기 제 2 통로의 유입 통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30)의 상측에서 제1저장실(15)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는 상기 유입부(51)에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5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561)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하는 커넥터 유로(56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는 상기 커넥터 본체(561)의 상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커넥터 플랜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플랜지(563)는 구획벽(5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저장실(15)과 연통하는 흡입 포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유체는 상기 흡입 포트를 통하여 상기 흡입 커넥터(56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의 하단부는 제 1 열교환기(220)의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는 유체의 유입측을 형성하는 제 1 열교환기(530)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유체를 제 1 열교환기(53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에 형성되는 제2저장실(16)은 수용공간(505)을 정의한다. 상기 수용공간(505)은 상기 제1열교환기(53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505a) 및 상기 제1열교환기(530)의 출구측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530)를 통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공간(50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3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누워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30)의 전후방향 폭은 상하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55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550)는 상기 제 2 공간(505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550)는 원심팬으로 구성된 제1팬(5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551)은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팬(551)의 축 방향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팬(551)의 중심 축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530)를 전후 방향으로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30)를 지난 유체는 상기 제 2 공간(505b)에서 상기 제1팬(551)의 축방향(X축방향)으로 흡입되며, 반경방향(Y축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550)는 상기 제1팬(551)이 설치되는 쉬라우드(5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551)은 상기 쉬라우드(55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내면에는 팬 어셈블리(550)가 안착되는 팬 안착부(51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안착부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내부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553)에는, 제1팬(551)에서 생성된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상수 홀(5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상수 홀(558)은 상기 쉬라우드(553)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는 제2통로를 통과한 후 제1통로를 향해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16)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 및 상기 제1,2통공을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통로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벽(50)에는,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58)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는 상기 구획 벽(50)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유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에는 내부 유로(572)를 형성하는 토출 커넥터(57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상기 배출부(58)와 제 1 통로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통로는 제 1 저장실(15)에 배치되는 덕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에는 상기 토출 커넥터(570)를 지난 유체가 유입되는 덕트 유입부(33)가 형성되며, 상기 덕트 유입부(33)는 상기 토출 커넥터(570)의 커넥터 토출공(576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유입부(33)는 상기 덕트(30)의 흡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270)는 상기 배출부(58)와 상기 덕트 유입부(33)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상기 구획 벽(50)을 관통하여 상기 구획 벽(50)의 상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상기 제1저장실(15)의 후벽에서, 상기 덕트(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상기 팬 어셈블리(550)에 결합되는 팬 결합부(571)를 포함한다. 상기 팬 결합부(571)는 상기 제1팬(551)을 통과한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 결합부(571)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결합부(571)는 상기 배출부(5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상기 팬 결합부(571)의 상단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커넥터 플랜지(5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플랜지(573)는 구획벽(5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플랜지(573)는 상기 팬 결합부(571)와 일체로 구성되는 제 1플랜지(573a) 및 연장부(575)에 일체로 구성되는 제2플랜지(57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결합부(571)가 상기 배출부(58)에 삽입될 때, 상기 제1플랜지(573a)는 상기 구획벽(50)에 지지되고, 상기 연장부(575)가 상기 팬 결합부(571)에 결합될 때, 상기 제2플랜지(573b)는 상기 제1플랜지(573a)에 접할 수 있다.
상기 팬 결합부(571)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팬(551)을 지난 유체가 토출 커넥터(270)로 유입되는 커넥터유입공(57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의 후단부에는 유체를 덕트 유입부(33)로 배출하기 위한 커넥터토출공(57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유입공(576a)은 상기 제 2 통로의 제 1 통공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 1 통공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은 상기 덕트 유입부(33)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 2 통공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통공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X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576a)의 중심은 상기 커넥터토출공(276b)의 중심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상기 도어(2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576a)의 중심은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의 중심보다 상기 도어(2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은 상기 커넥터유입공(576a) 보다 상기 덕트(3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로의 흡입공에 일치 (aligned)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은 상기 덕트(30)의 덕트 유입부(33)와 일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가로방향(X축방향)의 수직인 세로방향(Y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576a)은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와 Y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과 상기 Y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넥터유입공(576a)의 중심은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의 중심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제2저장실(16)에서 배출된 유체가 상방(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방향과, 후방(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유체가 상기 커넥터유입공(576a)에서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을 향하여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벽(5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575)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벽(575)은 상기 제1팬(551)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덕트(3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방향 전환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경사진 또는 라운드진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벽(575)은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토출공(576b)은 상기 가이드 벽(575)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상기 가이드 벽(575)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증가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 결합부(5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결합부(577)는 상기 덕트(3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15)의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16)의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 커넥터(570)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내부공간 및 상기 제 2 저장실(16)의 내부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이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1저장실(15)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이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저장실(16)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의 커넥터유입공(576a)은 제 2 저장실(16)의 관점에서 보면 “토출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커넥터(570)의 커넥터토출공(576b)은 제 1 저장실(15)의 제 1 통로 관점에서 보면 “흡입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토출공(576a)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ℓ3)은, 상기 흡입공(576b)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ℓ4) 사이의 각도(θ2)는 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팬(551)의 구동에 따라, 제1저장실(15)과 제2저장실(16)을 순환하는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팬(551)이 구동하면, 제1저장실(15) 내부공간의 유체는 배출하여 흡입 커넥터(560)로 유입되며, 제2저장실(16)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 유체는 열교환기 케이스(5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커넥터(560)는 상기 제1열교환기(530)의 전단부 상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흡입 커넥터(560)에서 배출된 유체는 상기 제1열교환기(530)의 전단부 상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유체는 제1열교환기(530)의 전단부를 통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530)로 유입되고 열교환 된 후 제1열교환기(530)의 후단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530)에서 배출된 유체는 제 2 공간(205b)에서 제1팬(551)의 축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551)의 축 방향으로 배출된 유체는 토출 커넥터(570)를 통하여 덕트(30)로 유입된다. 덕트(30)의 유체는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1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17-1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b)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b)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b)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1 열교환부로서 제 1 저장실(16)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730)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1팬(7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실(15)의 유체는 상기 제 1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교환기(730)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팬(751)은 냉각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2 열교환부로서 압축기(721), 제2열교환기(723)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2팬(725)을 포함할 수 있다. 외기는 상기 제 2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열교환기(723)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팬(725)은 응축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b)는 장치 수용공간(1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제1열교환기(730)가 설치되는 제2저장실(16) 및 제2열교환기(723)가 설치되는 제3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구획벽(5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 및 장치 수용공간(18)에 관한 설명은 이전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방열부의 전방에는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커버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커버(15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열교환장치(100b)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는 제1열교환기(730)를 수용하는 공간(705, 케이스수용부)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7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는 제2열교환부와 분리되며, 단열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케이스수용부(505)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는 상기 제2열교환부의 후방에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711)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711)는 상단부가 개방된 다면체, 일례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7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30)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유체는 팬 어셈블리(750)를 통하여 저장고 본체(10)의 덕트(30)로 유동하며,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 1 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b)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베이스(7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1,2 열교환부가 함께 베이스(701)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2 열교환부는 각각 분리된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 없이 제 1 열교환부 또는 제 2 열교환부가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열교환장치(100b)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트레이(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740)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면 및 상기 집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응축수의 흘러넘침을 방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 케이스(710)는 상기 트레이(74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저면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 홀(718)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 홀(718)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저면에 형성되며,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718)을 통하여 트레이(740)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b)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b)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6)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16)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16)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제 1 저장실(15)의 유체를 제 2 저장실(16)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제 2 통로의 유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b)의 제 2 저장실(16)과 연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5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3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내부에 누워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 (730)의 전후방향 폭은 상하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30)의 전단부는 유체가 제1열교환기(730)로 유입되는 유입측을 형성하며, 후단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730)를 거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30)는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718)은 상기 제1열교환기(730)의 전단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열교환기(730)의 전단부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는 상기 제1저장실(15)의 유체를 상기 제1열교환기 (730)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케이스유입부(715)를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유입부(715)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표면에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유입부(715)는 상기 제1열교환기 케이스(710)의 상면에서 함몰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는 유체가 유동하는 내부 유로(71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로(716)는 상기 케이스유입부(715)에서 하방으로 함몰하고 상기 수용공간(705)을 향하여 꺽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로(716)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내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705)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내면에는, 상기 내부 유로(716)에 연통하는 케이스배출부(717)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유로(716)의 일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유입부(715)를 형성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스 배출부(71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유입부(715)는 상기 유입부(51)에 연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상면은 상기 구획벽(50)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유입부(51)와 상기 케이스유입부(715)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710)는 상기 수용공간(705)과 상기 내부 유로(716)를 분리하는 케이스벽(7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벽(713)은 상기 구획 벽(50)의 저면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5)의 유체는 상기 유입부(51)를 지나 상기 케이스유입부(715)를 통하여 상기 내부 유로(716)로 유입되고, 상기 케이스 배출부(717)를 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705)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16)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 및 상기 제1,2통공을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통로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벽(50)에는,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부(58)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는 상기 구획 벽(50)의 일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유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30)에서 열교환된 유체는 상기 배출부(58)를 통하여 상기 덕트(30)로 배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는 상기 제1열교환기(73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의 제1단부(58a)는 상기 제2저장실(16)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단부(58a)는 상기 배출부(58)의 하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의 제2단부(58b)는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통로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단부(58b)는 상기 배출부(58)의 상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X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의 제1단부(58a)의 중심을 지나는 선(ℓ5)은 상기 배출부(58)의 제2단부(58b)의 중심을 지나는 선(ℓ6)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상기 도어(2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의 제1단부(58a)의 중심은 상기 배출부(58)의 제2단부(58b)의 중심보다 상기 도어(2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의 제1단부(58a)는 상기 배출부(58)의 제2단부(58b)보다 상기 덕트(30)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로의 흡입공에 일치 (aligned)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의 제2단부(58b)는 상기 덕트(30)의 덕트 유입부(33)와 일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가로방향(X축방향)의 수직인 세로방향(Y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의 제1단부(58a)는 상기 배출부(58)의 제2단부(58b)와 Y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과 상기 Y축방향에 대해 수직인 X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의 제1단부(58a)의 중심은 상기 배출부(58)의 제2단부(58b)의 중심에 대하여 X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제2저장실(16)에서 배출된 유체가 상방(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방향과, 후방(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는, 유체가 상기 제1단부(58a)에서 상기 제2단부(58b)를 향하여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내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의 내주면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의 내주면은 상기 제1열교환기(730)를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덕트(30)를 향하여 후방으로 방향 전환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경사진 또는 라운드진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제2저장실(16)을 구획하는 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출부(58)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배출부(58)의 주변에는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30)의 하류측에는 팬 어셈블리(7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750)는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 어셈블리(750)는 상기 구획벽(50)의 상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750)는 덕트(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제1저장실(15)의 후벽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의 내부 공간은 상기 배출부(58)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에는 제1저장실(15)로 유체를 배출하는 덕트 토출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 어셈블리(750)는 상기 덕트 유입부(3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 어셈블리(750)는 상기 덕트(3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750)는 원심팬으로 구성된 제1팬(7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751)은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팬(751)의 축 방향은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751)의 중심 축선은 상기 제1저장실(15)을 전후 방향으로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750)는 상기 제1팬(751)이 설치되는 쉬라우드(75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751)은 상기 쉬라우드(75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753)는 상기 덕트(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58)에서 배출된 유체는 상기 덕트(30)로 유입되고 전방으로 꺽여져 상기 제1팬(751)의 축방향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751)의 구동에 따라, 저장실(15)과 열교환장치(100b)를 순환하는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팬(751)이 구동하면, 제1저장실(15)의 유체는 구획벽(50)의 유입부(51)를 통하여 열교환기 케이스(710)의 케이스유입부(715)로 유입되고, 내부 유로(716) 및 케이스 배출부(717)를 거쳐 제1열교환기(730)로 유입된다. 유체는 제1열교환기(7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730)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730)를 거친 유체는 열교환기 케이스(710)에서 배출되고 구획벽(50)의 배출부(58)를 통하여 덕트(30)로 유입된다. 유체는 상기 제1팬(751)의 축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방향으로 배출되며, 덕트(30)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의 유체는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1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10 : 저장고 본체 15,16,17 : 제1~3저장실
18 : 장치 수용공간 20 : 도어
50 : 구획벽 51 : 유입부
58 : 배출부 121 : 압축기
123 : 제2열교환기 125 : 제2팬
200 : 열교환기 케이스 210 : 케이스 본체
220 : 제1열교환기

Claims (21)

  1.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제1통로를 향해 유동하는 저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 및 상기 제1,2통공을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저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토출공을 포함하는 저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2통로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통로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공을 포함하는 저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은 X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게 제공되는 저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도어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로의 흡입공에 일치(aligned) 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은 상기 X축방향의 수직인 Y축방향으로 상기 제2통공과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과 상기 X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저장고.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의 내부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은, 상기 Y축방향과 상기 X축방향의 사이 각도인 경사방향으로 유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저장고.
  13.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 및;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에 접하는 제1통공, 상기 제1통로에 접하는 제2통공을 포함하는 저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공은 상기 제2통공보다 상기 도어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공은 상기 제1통공보다 상기 제1통로에 더 인접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17.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및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되는 저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배치된 후, 상기 제2벽의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되는 저장고.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저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통로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저장고.
KR1020210089686A 2021-07-08 2021-07-08 저장고 KR20230009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86A KR20230009078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PCT/KR2022/009790 WO2023282635A1 (en) 2021-07-08 2022-07-06 Store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86A KR20230009078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078A true KR20230009078A (ko) 2023-01-17

Family

ID=8480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686A KR20230009078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9078A (ko)
WO (1) WO20232826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0498B2 (ja) * 1997-04-16 2005-04-20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パススルー型冷蔵庫
JP4663463B2 (ja) * 2005-09-21 2011-04-06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却機器の冷気流通構造
CN107588590A (zh) * 2017-08-28 2018-01-1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制冷系统
KR102454399B1 (ko) * 2017-09-22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719484B2 (en) * 2019-11-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635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264B1 (en) Refrigerator having centrifugal fan with volute
CN110285629B (zh) 冷却室位于冷冻内胆内侧下部的冰箱
KR101829222B1 (ko) 냉장고
US6422031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impingement cooling system
CN110411121B (zh) 冰箱
KR20100066663A (ko) 냉장고
KR20180119033A (ko) 냉장고
KR20180106767A (ko) 냉장고
EP3926263B1 (en) Refrigerator having return air inlets formed in two side walls of refrigerator body
CN110686437B (zh) 冰箱
KR20230009078A (ko) 저장고
KR100820812B1 (ko) 냉장고
KR20230009080A (ko) 저장고
US20240175622A1 (en) Storehouse
KR20230101192A (ko) 저장고
KR20230009082A (ko) 저장고
KR20230101193A (ko) 저장고
KR20100092277A (ko) 냉장고
JP5514037B2 (ja) 冷蔵庫
US20240191938A1 (en) Storehouse
KR20230009093A (ko) 냉장고
KR20230009088A (ko) 저장고
KR20230009089A (ko) 저장고
KR20230009079A (ko) 저장고
KR20230009086A (ko) 저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