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27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277A
KR20100092277A KR1020090011572A KR20090011572A KR20100092277A KR 20100092277 A KR20100092277 A KR 20100092277A KR 1020090011572 A KR1020090011572 A KR 1020090011572A KR 20090011572 A KR20090011572 A KR 20090011572A KR 20100092277 A KR20100092277 A KR 20100092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chamber
freezing
compartment
gener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2277A/ko
Publication of KR2010009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장고 내부 용적을 크게 확보하고,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 발생실;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냉기 발생실과 상기 저장실이 연통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냉기 덕트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포함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계실이 냉장고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계실, 냉기 발생실, 냉동실

Description

냉장고 {A refrigera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장고 내부 용적을 크게 확보하고,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도록 저장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또한, 냉장고는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4단계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에 의하여 냉기가 발생되며,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실 내부에 수납되는 저장물이 냉동 또는 냉장 보관된다.
냉장고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와 같은 장치가 수용되는 기계실이 포함될 수 있다.
종래의 냉장고의 구성을 보면, 저장실, 즉 냉장실이나 냉동실의 후방에 냉기 발생실이 마련되며, 저장실과 냉기 발생실은 소정의 구획벽에 의하여 구획된다. 그리고, 기계실의 경우에는 저장실의 하부 후방에 마련되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 었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는 상기 저장실과 냉기발생실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본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이 본체의 하부 후면에 설치됨으로써 그 기계실의 공간만큼 저장실의 하부 공간이 줄어들수 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장고의 두께를 보다 슬림화 함으로써 냉장고의 외관을 보다 개선하는 한편, 냉장고가 실내공간에서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실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저장실 내부 공간이 보다 확대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냉기 발생실에서 생성된 냉기가 저장실의 내부로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 발생실;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냉기 발생실과 상기 저장실이 연통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냉기 덕트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냉동실의 상부에 제공되는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 상기 냉장실의 후방에 제공되는 냉장실용 냉기 발생실; 상기 냉동실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과 상기 냉동실 사이에서 냉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냉기 덕트에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로 이동되도록 하 는 흡입 유로; 및 냉기가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로부터 냉동실로 이동되도록 하는 토출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기계실이 본체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종래의 냉동실 또는 냉장실 공간에 비해 보다 넓은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저장물의 저장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기 발생실의 일부가 냉장고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냉장고의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냉장고가 실내 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기 발생실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저장실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공을 통하여 토출되므로 냉기의 순환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기의 순환을 위한 흡입 유로 및 토출 유로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냉기 덕트 내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므로, 냉기 덕트의 용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본체 내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 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냉동실(11) 및 냉장실(12)이 제공되는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11)에는, 저장물을 수납하는 다수의 선반(15) 및 수납 박스(16)가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냉장실(12)에도 상기 선반(15) 및 수납 박스(1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2)은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과 냉장실(12)에는 냉기 발생실이 각각 마련되며, 독립 냉각방식으로 저장물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중 냉동실(11)의 상부에는 상기 냉동실(11)로 유입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동실용 냉기발생실(100)이 구비되며, 상기 냉장실(12)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12)로 유입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장실용 냉기발생실(200)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용 냉기발생실(100)의 옆에는 압축기(310), 응축기(320) 및 응축기 팬(330) 등이 수용되는 기계실(300)이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300)에는, 상기 압축기(310) 및 응축기(320) 등이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커버 플레이트(340)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340)에는, 외기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연통공(350)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용 냉기발생실(100)에는, 냉동실용 증발기(110)과,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10) 방향으로 상기 냉동실(11) 내부의 공기를 끌어온 후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1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냉동실(11)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냉동실 팬(115) 및 상기 냉동실 팬(115)이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팬 장착부(175)가 포함된다.
상기 냉동실용 냉기발생실(100)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10)를 통과하여 냉각된 냉기가 상기 냉동실(1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냉기 토출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10)의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10)를 거치면서 열교환 된 냉기가 상기 냉기 토출부(120)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70)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70)는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의 내측벽으로부터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10)의 하면 타측에는, 상기 냉동실(11)에서 순환하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유입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동실(11) 측으로 이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기 덕트(150)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 덕트(150)는 상기 냉동실(11)의 상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냉기 덕트(150)에는,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에서 생성된 냉기가 상기 냉동실(11)의 내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냉기 토출공(155) 및 상기 냉동실(11)에서 순환하는 냉기가 흡입되는 냉기 흡입공(151)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 토출공(155)은 상기 냉동실(11)의 상측 및 후측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흡입공(155)은 상기 냉동실(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흡입공(151)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기 덕트(150)를 거쳐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로 유입되며,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10)에서 냉각된 후 상기 냉기 토출공(155)을 통하여 상기 냉동실(11)로 재유입된다. 이러한 냉기의 순환 과정은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 덕트(150)의 내부에는, 상기 냉기 덕트(15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160)이 제공된다. 상기 구획판(160)은 상기 냉기 유입부(12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냉기 덕트(150)에는, 상기 구획판(160)에 의하여 흡입 유로(152) 및 토출 유로(154)가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판(160)의 일측에는 흡입 유로(15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토출 유로(154)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흡입공(151)을 통하여 상기 냉기 덕트(150)로 이동되는 냉기는 상기 흡입 유로(152)를 거쳐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에서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기 토출부(120)에서 토출되며, 상기 토출 유로(154)를 거쳐 상기 냉기 토출공(155)을 통하여 냉동실(11)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 유로(154)는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본체(10)의 후측까지 절곡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유로(152) 및 토출 유로(154)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상기 냉기 덕트(150) 내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므로, 냉기 덕트(150)의 용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본체 내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에서의 냉기 순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11)로 유입되어 냉동실(11) 내부를 순환한 후, 다시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 팬(115)이 작동되면 상기 냉동실(11)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기 흡입공(151)을 통하여 상기 냉기 덕트(150)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기는 상기 흡입 유로(152)를 거친 후 상기 냉기 유입부(123)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의 일측 방향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110)를 거치면서 소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고, 상기 냉기 발생실(1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냉기는 상기 가이드 부재(170)를 따라 하방으로 가이드 되고, 상기 냉기 토출부(120)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100)의 외부로 토출된다.
토출된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150), 즉 상기 토출 유로(154)를 통하여 이동되며, 상기 냉기 토출공(155)을 통하여 상기 냉동실(11)로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된 냉기가 상기 냉동실(11)의 내부로 토출됨으로써 상기 냉동실(11) 내부의 온도는 소정값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에서의 냉기 순환을 보여주는 도면이 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12)의 후방에는, 상기 냉장실(12) 내부로 공급될 냉기를 생성하는 냉장실용 냉기 발생실(200)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용 냉기 발생실(200)에는 냉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냉장실 증발기(210)와, 상기 냉장실 증발기(210)의 일측에 제공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냉장실 팬(220) 및 상기 냉장실 팬(220)이 수용되도록 하는 팬 케이스(23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벽에는, 상기 냉장실(12)의 냉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250)가 제공된다. 상기 냉기 덕트(250)에는, 상기 냉장실(12)의 냉기가 상기 냉기 덕트(250)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냉기 흡입공(251) 및 냉기가 상기 냉장실(12)로 토출되도록 하는 냉기 토출공(255)이 형성된다.
상기 냉기 흡입공(251)은 상기 냉기 덕트(25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기 토출공(255)은 상기 냉기 흡입공(251)의 상측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기 흡입공(251) 및 냉기 토출공(255)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장실용 냉기 발생실(200)의 작용을 살펴본다.
상기 냉장실 팬(220)이 작동하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기 흡입공(251)을 통하여 상기 냉기 덕트(250)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장실 증발기(210)를 거치면서 냉각된 후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냉기 토출공(255)을 통하여 상기 냉장실(12)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기의 발생 및 순환에 의하여, 상기 냉장실(12)의 온도는 소정 값 이하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실에서의 냉기 순환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실에서의 냉기 순환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0)

  1.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 발생실;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냉기 발생실과 상기 저장실이 연통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냉기 덕트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에는,
    상기 저장실의 냉기가 상기 냉기 발생실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유로; 및
    상기 냉기 발생실의 냉기가 상기 저장실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유로가 포함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발생실에는,
    상기 토출 유로와 연통되는 냉기 토출부; 및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는 냉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발생실에는,
    냉기가 상기 토출 유로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로는 상기 냉기 발생실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측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포함되며,
    상기 냉기 발생실은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발생실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냉동실용 증발기; 및
    상기 냉동실용 증발기 측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냉동실 팬이 포함되는 냉장고.
  8. 냉동실 및 냉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냉동실의 상부에 제공되는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
    상기 냉장실의 후방에 제공되는 냉장실용 냉기 발생실;
    상기 냉동실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과 상기 냉동실 사이에서 냉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 및
    상기 냉기 덕트에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로부터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 유로; 및
    냉기가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로부터 냉동실로 이동되도록 하는 토출 유로가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에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가 제공되며,
    상기 흡입 유로 및 토출 유로는 상기 구획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용 냉기 발생실에는,
    냉기가 상기 토출 유로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되는 냉장고.
KR1020090011572A 2009-02-12 2009-02-12 냉장고 KR20100092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72A KR20100092277A (ko) 2009-02-12 2009-02-1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72A KR20100092277A (ko) 2009-02-12 2009-02-1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77A true KR20100092277A (ko) 2010-08-20

Family

ID=4275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72A KR20100092277A (ko) 2009-02-12 2009-02-1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22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878A (ko) * 2015-03-20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0251118A1 (ko) * 2019-06-11 2020-12-17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WO2021086124A1 (en) * 2019-11-01 2021-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878A (ko) * 2015-03-20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0251118A1 (ko) * 2019-06-11 2020-12-17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냉장고
WO2021086124A1 (en) * 2019-11-01 2021-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719484B2 (en) 2019-11-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377B2 (en) Refrigerator
US6735976B2 (en) Refrigerator
US8468848B2 (en) Refrigerator
KR20080079109A (ko) 냉장고
KR20100088231A (ko) 냉장고
KR102619556B1 (ko) 냉장고
KR101565387B1 (ko) 냉장고
KR20200076418A (ko) 냉장고
KR20060115582A (ko) 냉장고
KR101339409B1 (ko) 냉장고
KR20200084634A (ko) 냉장고
KR20100092277A (ko) 냉장고
JP6389075B2 (ja) 冷蔵庫
RU2745561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20100050350A (ko) 냉장고
KR20190121437A (ko) 냉장고
JP2014052131A (ja) 冷蔵庫
KR100506603B1 (ko) 냉장고
US20100180625A1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JP6416519B2 (ja) 冷蔵庫
WO2022135464A1 (zh) 冰箱
KR101507832B1 (ko) 냉장고
US20220221213A1 (en) Refrigerator
KR20070075835A (ko) 냉장고.
JP200514035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