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079A -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079A
KR20230009079A KR1020210089688A KR20210089688A KR20230009079A KR 20230009079 A KR20230009079 A KR 20230009079A KR 1020210089688 A KR1020210089688 A KR 1020210089688A KR 20210089688 A KR20210089688 A KR 20210089688A KR 20230009079 A KR20230009079 A KR 20230009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ase
storage
storage compartm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진
박정원
남윤성
김성욱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9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079A/ko
Priority to PCT/KR2022/009792 priority patent/WO2023282636A1/en
Publication of KR2023000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고 {Storehouse}
본 발명은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저장고는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일례로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의 피냉각물(이하, 편의를 위해 식품이라 칭함)을 차게 하거나 저온에서 보관하여 부패,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동 사이클부품을 포함한다.
냉동 사이클부품은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전면이 개구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이너 케이스의 내부를 저장실과 열교환실로 구획하는 냉기 토출덕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냉기 토출덕트의 전방에 저장실이 형성되고, 후방에 열교환실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실에는 증발기와 증발팬이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는 이너 케이스의 외부에 별도의 기계실이 형성될 수 있고, 기계실에 압축기와, 응축기 및 응축팬이 배치될 수 있으며, 기계실 내의 압축기는 열교환실 내의 증발기와 냉매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로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는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난다.
첫째, 기계실에 배치된 압축기와 이너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배치되어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냉동 사이클부품의 수리가 필요할 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에 고장을 확인하고 수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둘째,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증발기가 일체로 구성되고 증발기는 용접등에 의하여 냉장고 본체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냉장고의 제작이 번거롭다. 그리고, 증발기의 제상시, 저장실과 열교환 하여 고내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열교환실이 저장실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열교환실의 크기만큼 냉장고 본체 후벽의 전후방 폭이 커지고, 그에 따라 저장실의 용적이 그만큼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열부와 방열부를 일체로 구성하는 냉각모듈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제안되었다.
공개번호 특2003-0027367 (공개일자 : 2003년 4월 7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품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과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벽을 형성하며 제1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1팬을 설치하여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교환기 케이스에 배수 홀을 형성하여 제1열교환기 또는 제1팬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배수 홀을 통하여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홀은 제1열교환기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선상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배수 홀을 통하여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홀은 제1팬을 지나는 수직 연장선 상에, 또는 상기 수직 연장선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열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열교환기의 후측에 제1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 후방부에 형성되어,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배수 홀이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부에 형성되어,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배수 홀이 상기 제1열교환기의 중심부보다 제1팬의 중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배수 홀을 통하여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이 상기 배수 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이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1열교환기를 수용하며 상기 제2저장실의 제2벽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에는 배수 홀이 형성되어, 제1열교환기 또는 제1팬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은 제1열교환기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선상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다.
상기 배수 홀은 제1팬을 지나는 수직 연장선 상에, 또는 상기 수직 연장선에 인접하여 배치될되어, 상기 제1팬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수 홀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팬은 제1열교환기의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제1팬에 인접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다.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중심부보다 제1팬의 중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유체는 상기 배수 홀을 향하여 유동하고 상기 제1팬에서 발생되는 유체는 상기 배수 홀을 향하여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은 상기 배수 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에 존재하는 유체는 배수 홀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저장고는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면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하측에 제공되는 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집수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부는, 상기 집수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배수 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는, 상기 집수부의 일측 에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하여 상기 배수 홀에 연결되는 제 1 하면부; 및 상기 집수부의 타측 에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하여 상기 배수 홀에 연결되는 제 2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를 이등분 하는 중심선(ℓ)을 정의할 때, 상기 중심선(ℓ)은 상기 배수 홀을 지날 수 있다.
상기 하면부는, 상기 집수부의 일측 에지로부터 상기 배수 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설정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제 2 설정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 홀에 연결되는 제 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보다 상기 제2경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지지되는 저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상기 냉각 케이스의 저면부를 상기 트레이의 집수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벽은 상기 저면부의 경사진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통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부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전면 하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저면경사부 및 상기 저면경사부로부터 후방으로 편평하게 연장되는 저면하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저면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아우터케이스와, 상기 아우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단열벽을 형성하는 케이스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1홀 형성부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 1홀 형성부에 결합되는 제 2홀 형성부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증발기보다 상기 팬 어셈블리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및 상기 팬 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냉각 케이스의 저면부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저장실이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유체는 제1저장실로 용이하게 공급되며, 제1저장실 내부의 유체는 제2저장실로 용이하게 리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1팬을 설치하여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동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케이스에 배수 홀을 형성하여 제1열교환기 또는 제1팬에서 발생되는 유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 홀은 제1열교환기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선상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을 통하여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 홀은 제1팬을 지나는 수직 연장선 상에, 또는 상기 수직 연장선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을 통하여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열교환기의 후측에 제1팬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 후방부에 형성되어,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 홀이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부에 형성되어,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 홀이 상기 제1열교환기의 중심부보다 제1팬의 중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이 상기 배수 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수 홀을 통하여 유체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전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13-1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가 장치 수용공간에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가 구획벽에 접촉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및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저장고일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예는, 냉장고, 온장고 등일 수 있다.
상기 물품의 예는 식품, 의료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공간의 유체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방식의 예는, 전도에 의한 직접 열교환, 대류 혹은 복사에 의한 간접 열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일 예는, 흡열부, 냉력발생장치, 냉원 (Cold source)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냉원의 예는, 제1열교환기, 열전모듈의 흡열부로서 열전소자의 흡열면이나 흡열면에 연결된 콜드싱크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다른 예는, 방열부, 열력발생장치, 열원 (Heat source)으로서 제공되는 열교환기 일 수 있다. 상기 열원의 예는, 응축기, 열전모듈 방열부로서 열전소자의 발열면이나 발열면에 연결된 히트싱크일 수 있다. 상기 유체의 예는, 공기, 물, 냉매 등 액체나 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을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과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벽은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은 상기 제3저장실을 상기 제1저장실 및 상기 제2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와 구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2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2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2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을 상기 제3저장실과 구분하도록 제공되는 벽은, 상기 제1벽과 상기 제3벽의 공용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여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벽은 복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벽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1공간과 제2공간이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것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2공간 중 다른 하나로 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물체의 중앙부는 상기 물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물체를 3등분할 경우에,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3등분된 부분 중 상기 중앙부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물체의 주변부는 상기 중앙부와 접하는 면과 그 반대편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반대편의 면을 상기 물체의 테두리 혹은 에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가 저장실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유동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3저장실에 위치하는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 중에 배치되는 제3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예는 공기를 흐르게 하는 팬, 물을 흐르게 하는 펌프, 냉매를 흐르게 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1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물품과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의 하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2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2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2저장실의 상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3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3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의 예는, 벽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 벽의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또는 벽의 외부에 제공되는 덕트 등 일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의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에서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입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로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유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하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베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출통로는,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에 배치된 통공이나 덕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1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의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2저장실 및 상기 제3저장실 중 어느 하나와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저장실 내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외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저장실 외부공간의 유체는 상기 제3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3저장실의 내부공간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3저장실과 함께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3벽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제공된 이후에, 상기 제1저장실의 외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어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전벽, 후벽, 측벽, 상벽, 후벽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2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3벽이 연장되는 부분은 상기 제3저장실의 하벽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냉원으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서리를 제거하는 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원는 제상 열원일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 내부에는 열원로서의 제1열교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의 인근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에 발생하는 증기를 제거하는 냉원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원은 제증 냉원일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3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냉기(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2저장실이 상기 제1통로와 유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벽은 상기 제1통로를 형성하는 벽보다 단열도가 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상 열원의 열(Heat) 혹은 상기 제증 냉원의 냉기(cold)가 상기 제2저장실의 외부공간이나 상기 제1저장실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복수의 저장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은 구획벽, 서랍, 선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저장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사이에는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상 열원이나 제증 냉원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일부가 열교환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이를 통해, 상기 저장고가 저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냉각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저장고가 온장고로서 제공될 경우에는 가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첫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는 면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마주보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제상 열원이나 상기 제증 냉원과 열전달이 저감되게 하기 위한 단열공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로 유체가 유입되는 통공과 상기 제2저장실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통공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2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의 통공은, 상기 제1벽의 내부 혹은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2저장실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저장실의 최상단, 최하단, 최우단, 최좌단, 최후단, 최전단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1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제2저장칸의 내부의 유체는, 상기 복수의 저장칸 중 다른 하나를 경유하여 상기 제2저장실로 유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이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저장실은 가로방향인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세로방향인 Y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3저장실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을 구획하는 벽은 상기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되는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상부 혹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지면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공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열교환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공보다 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유동발생기의 유동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열교환기는 길이가 긴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길이가 짧은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길이가 상기 Y축방향으로 길이보다 짧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X축방향으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2저장실을 위한 유동 발생기 (fluid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은 상기 유동발생기의 무게중심, 질량중심, 체적중심, 회전중심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상선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주변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저장실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향해 연장한 가상선이, 상기 제1열교환기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2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저장실 모듈설계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저장실에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제1통로의 내부 및 상기 제2통로의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유동발생기 사이의 거리를 이격할 수 있어서, 유체의 유동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드존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가 배치된 통로는, 상기 제1저장실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저장실의 용적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발생기는 상기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유동발생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발생기는 팬 및 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1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팬하우징이 상기 제2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제 1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고는 저장고 또는 온장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은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전벽, 후벽, 측벽, 상벽 및 하벽 중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벽은 다수의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저장고 본체(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장고 본체(10)는 본체 아우터케이스((11)와,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11)의 내측에 조립되는 본체 이너케이스 및 상기 본체 아우터케이스(11)와 본체 이너케이스(12)의 사이에 제공되는 단열을 위한 본체 단열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이 지지되는 선반(23)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선반(23)은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에는 식품을 수납하는 드로어(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인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드로어(22)는 제 1 저장실(15)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선반(23) 또는 상기 다수의 드로어(22)에 의하여 다수의 저장칸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15)의 후벽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3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제 1 저장실(15)을 정의하는 제 1벽의 내부 혹은 상기 제 1벽의 인근에 유체가 이동하는 제 1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에는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 된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덕트(30)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로 유체를 배출하는 덕트 토출공(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토출공(35)은 다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 개의 덕트 토출공(35)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전후방향 폭(w)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정한 폭을 가지는 덕트(30)에 의하여, 상기 다수 개의 드로어(22)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1 열교환기(E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저장실(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저장실(16)은 구획벽(B1)에 의하여 상기 제 1 저장실(15)에 대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은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제 2 열교환기(E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3 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단열벽(B2)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및 제 2 열교환기(E2)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제 2 열교환기(E2)는 서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벽(B2)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와 상기 제 2 열교환부(E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에는 2개의 독립된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독립된 유동은 상기 제 1,2 저장실(15,16)을 순환하는 제 1 유동(f1)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의 내부 및 외부를 통과하는 제 2 유동(f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2 유동(f2)이 통과하는 커버(B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상기 제 3 저장실(17)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는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가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커버 유입부 및 상기 제 3 저장실(17)에서 열교환 된 유체가 배출되는 커버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외기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커버 유입부를 통하여 상기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되며, 상기 제 3 저장실(17)로부터 상기 커버 배출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외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제 2 유동(f2)은 유동 발생기, 일례로 제2팬에 의하여 발생되며, 상기 커버(B3)의 커버 유입부, 제 3 저장실(17) 및 상기 커버(B3)의 커버 배출부를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도어(2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는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커버(B3)는 상기 도어(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B3)의 상단부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 또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버(B3)와 상기 도어(20)의 상대적인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획벽(B1)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유체가 상기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되는 유입부(P1) 및 상기 제 2 저장실(16)에서 열교환된 유체가 상기 덕트(30)로 배출되는 배출부(P2)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입부(P1)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전방부 상측에, 상기 배출부(P2)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후방부 상측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동(f1)은 상기 유입부(P1), 제 2 저장실(16) 및 배출부(P2)를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열교환기(E1)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열교환기(E2)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제 1 열교환기(E1) 하류측에 배치되어 유동을 발생시키는 유동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동 발생기는 제 1 팬(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2 저장실(16)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구획벽(B1)의 내부, 또는 상기 제 1 저장실(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팬(F)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제 1 열교환기(E1)의 출구측에 배치된다면 다른 위치에도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 및 상기 배출부(P2)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유체의 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팬(F)은 상기 유입부(P1)와 상기 배출부(P2)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P1)를 통하여 제 2 저장실(16)로 유입된 유체는 제 1 열교환기(E1)를 거친 후 상기 제 1 팬(F)을 통과하며, 상기 배출부(P2)를 통하여 상기 덕트(30)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 본체와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제 1 저장실(15)을 형성하는 저장고 본체(10) 및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에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 핸들(28) 및 저장고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냉동사이클 부품을 포함하는 열교환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1 열교환부로서 제 2 저장실(16)에 설치되는 제1열교환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저장실(15)의 유체는 유동발생기로서 제1팬(310)에 의하여 상기 제 1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냉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부품은 제 2 열교환부로서 압축기(121), 제2열교환기(123) 및 유동발생기로서 제2팬(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는 상기 제 2 열교환부가 설치된 공간을 순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열교환기(123)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장치 수용공간(1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제1열교환기(220)가 설치되는 제2저장실(16) 및 제2열교환기(123)가 설치되는 제3저장실(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구획벽(5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제1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을 상하 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획벽(50)은 본체 이너케이스(1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은 상기 저장실(15)과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을 단열하기 위한 벽 단열재(56, 도 1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상기 제1저장실(15)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은 상기 제1저장실(15)보다 작은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열교환장치(100)의 제2저장실(16)로 제1저장실(15)의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2저장실(16)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저장실(17) 외부의 유체를 도입하는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커버 본체(151)와, 유체를 상기 제3저장실(17)로 유입시키는 커버 유입부(152) 및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3저장실(17)을 통과한 유체를 배출하는 커버 배출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 및 상기 커버 배출부(153)는 상기 커버 본체(15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2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출부(153)는 상기 압축기(12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입부(152)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3 저장실(17)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123) 및 상기 압축기(121)를 거치면서 열교환 하고 상기 커버 배출부(153)를 통하여 저장고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2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전방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부는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123)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 2 열교환기(123)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팬(125)은 상기 압축기(121)와 상기 제 2 열교환기(1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125)은 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제 1 열교환부는 상기 열교환장치(100)의 후방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부는 제 1 열교환기(220) 및 제1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는 제1열교환기(220)를 수용하는 공간(205, 케이스수용부)을 형성하는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제2열교환부와 분리되며, 단열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수용부(205)는 상기 제 2 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제2열교환부의 후방에 제공되는 케이스 본체(2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210)는 상단부가 개방된 다면체, 일례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저장실(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단열을 위하여 케이스단열재(213,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유체는 저장고 본체(10)의 덕트(30)로 유동하며, 덕트 토출공(35)을 통하여 제 1 저장실(1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과의 사이 공간에 실링을 수행하기 위한 실링부재(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24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제공되며, 상기 구획벽(50)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40)는 가스켓, 오링(O-ring) 또는 사각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상면부(210c)에는 상기 실링부재(240)가 설치되는 실링 홈(210e, 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홈(210e)은 상기 케이스상면부(210c)에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 홈(210e)은 상기 실링부재(240)의 형상에 대응하여, 4각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실링부재(24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제1저장실(15)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실링부재(240)는 구획벽(50)에 의하여 눌려져 실링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240)의 돌출된 높이는 줄어들거나 없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베이스(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공용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제 1,2 열교환부가 함께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와는 달리 상기 제 1,2 열교환부는 각각 분리된 베이스에 설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 없이 제 1 열교환부 또는 제 2 열교환부가 지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110)가 제 1,2 열교환기의 공용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은 상기 제 1,2 열교환기의 설치면을 제공하며, 상기 설치면의 전방부에는 상기 제 2 열교환기(123)가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의 후방부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면의 전방부에는 압축기(121), 제2팬(125) 및 제2열교환기(123)가 제공된다. 상기 제2팬(125)은 상기 압축기(121)와 상기 제2열교환기(123)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압축기(121)를 지지하는 압축기지지부(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지지부(121a)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121)의 레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제1열교환기(2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후방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서 배출되는 유체, 일례로 물이나 수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트레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가 증발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유체는 응축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유체를 포집하는 집수면 및 상기 집수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유체의 흘러넘침을 방지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포집되는 물이나 수증기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저장되게 하는 벽(저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트레이(13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핫라인 배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벽면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123)에서 응축된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며,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면으로 연장하여 이슬맺힘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는, 상기 벽면에 매립된 핫라인 배관(260)이 인출되는 제 1 관통공(216a,21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공(216a,216b)을 통하여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된 핫라인 배관(260)은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공(216a,216b)을 "핫라인 관통공"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후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의 일부분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덕트(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제1팬(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은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팬(310)이 설치되며, 유로를 형성하는 쉬라우드(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쉬라우드(320)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거친 유체가 유입되는 쉬라우드 유입부(323) 및 상기 제1팬(310)을 거친 유체가 배출되는 쉬라우드 배출부(326)를 포함한다.
상기 쉬라우드 유입부(323)는 상기 쉬라우드(32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팬(310)은 상기 쉬라우드 유입부(323)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 배출부(326)는 상기 쉬라우드(3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 유입부(323)를 통하여 상기 제1팬(31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팬(310)을 거친 후 상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쉬라우드 배출부(326)를 통하여 상기 쉬라우드(3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1)는 상기 저장고(1)의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롤러(19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19a)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후방부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방부에는, 저장고 본체(10)의 높이(편평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장치(19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의 일부 구성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7-7'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130)는 집수면을 형성하는 트레이 본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트레이 본체(131)는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트레이 본체(131)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저장벽(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벽(132)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130)에 집수된 유체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는 상기 트레이 본체(131)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지지벽(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벽(133)은 상기 트레이 본체(1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133)은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트레이(130)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133)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벽(133)에 의하여 지지되는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통로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배출통로는 배수 홀(20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수 홀(208)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는 상기 배수 홀(208)을 통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을 통하여 배출된 응축수는 상기 트레이(130)에 집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의 다수의 저장벽(132)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전후면 및 좌우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의 다수의 저장벽(132) 중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부에는 트레이함몰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함몰부(136)에는, 상기 제2열교환부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의 적어도 일부분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단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케이스전면부(210a), 상기 케이스전면부(210a)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케이스측면부(210b),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상면부(210c) 및 상기 케이스전면부(210a)와 마주보는 케이스후면부(210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케이스상면부(210c)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하는 케이스연장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연장부(215)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저장고 본체(10), 즉 제 1 저장실(15)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후벽 하단부에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는 핫라인 배관(260)이 인출되는 제 1 관통공(216a,21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공(216a,216b)은 상기 핫라인 배관(260) 중 제2열교환기(123)의 출구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인출관이 통과하는 일 관통공(216a) 및 상기 핫라인 배관(260) 중 중 저장고 본체(10)의 전면측으로 연장되는 인출관이 통과하는 타 관통공(21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관통공(216a)은 상기 제2열교환기(123)의 출구측 배관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 관통공(216a)은 상기 케이스측면부(210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 관통공(216b)은 도어측 배관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측 배관은 도어에 인접한 부위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의 내부 또는 제1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냉매관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타 관통공(216b)은 상기 케이스전면부(21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는 SLHX열교환기(270, SLHX, Suction Line heat exchanger)가 인출되는 제 2 관통공(217a,217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LHX열교환기는 제1냉매관(276) 및 제2냉매관(27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냉매관(276)에는 저압의 가스냉매가 유동하고 상기 제2내매관(275)에는 응축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냉매관(276) 및 제2냉매관(275)은 서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냉매관(276) 및 제2냉매관(275)은 서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매관(276) 및 제2냉매관(275)은 용접(soldering)하여 접촉할 수 있으나, 접촉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제 2 관통공(217a,217b)은 상기 SLHX열교환기(270) 중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인출관이 통과하는 일 관통공(217a) 및 상기 열교환기(270) 중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측면에서 인출되는 인출관이 통과하는 타 관통공(21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관통공(217a)은 압축기(121)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일 관통공(217a)은 상기 케이스전면부(21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 관통공(217b)은 제1열교환기(2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 관통공(217b)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제 3 관통공(2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공(218)은,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단열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열 폼(foam)을 투입하는 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공(218)은 일례로, 케이스측면부(210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제1팬(310)이 설치되는 쉬라우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20)는 상기 제1팬(310)이 안착되는 팬 안착부(325)를 형성하는 제 1 파트(3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0a)는 상기 쉬라우드(320)의 후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파트(320a)의 전면에 상기 팬 안착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0a)는 팬 어셈블리(300)에서 생성되는 유체를 팬 어셈블리(300)의 하부로 가이드 하기 위한 배수 가이드(3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 가이드(327)는 상기 제 1 파트(320a)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팬(310)의 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20)는 상기 제 1 파트(320a)에 결합되는 제 2 파트(320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파트(320b)는 상기 쉬라우드(320)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0b)는 상기 제1팬(310)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유입하는 쉬라우드 유입부(32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2 파트(320a,320b)에 의하여, 상기 쉬라우드(3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팬(310)의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20)는 상면을 형성하는 벽 결합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 결합부(324)는 상기 제 2 파트(320b)의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획벽(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벽 결합부(324)는 상기 쉬라우드 배출부(325)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한 후 상기 제1팬(31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1팬(310)을 거쳐 반경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한 후 상기 제1팬(310)의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에서 배출된 유체는 덕트(30)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와 상기 팬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케이스 수용부(20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수용부(205)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가 설치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제 1 수용공간(205a) 및 상기 팬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제 2 수용공간(20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공간(205a)은 상기 케이스 수용부(205)의 전방부에, 상기 제 2 수용공간(205b)은 상기 케이스 수용부(205)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교환기(220)가 제1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열교환기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221) 및 상기 냉매관(221)에 결합되는 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관(221)은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매관(221)의 양측은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핀(222)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다수 개의 핀(222)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핀(22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핀(222)의 열교환면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좌우 내측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냉매관(221) 및 핀(222)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수용부(205)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2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 또는 제1팬(310)에서 생성되는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홀(2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케이스 수용부(205)의 하면(207)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제 2 수용공간(205b)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제 2 수용공간(205b)과 상하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수용부(205)의 하면(207)은 상기 배수 홀(208)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기(220) 또는 상기 제1팬(310)에서 생성된 유체는 낙하하여 상기 배수 홀(208)을 향하여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 홀(208)에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좌측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배수 홀(208)에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우측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좌측부와 우측부는 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중심을 지나는 전후 방향의 중심선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중심을 지나는 전후 방향의 중심선은 상기 배수 홀(208)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벽면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이하, 냉매 튜브)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는 핫라인 배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에는, 상기 제2열교환기(123)에서 열교환 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은 제 1 관통공(216a,216b)을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관통공(216a,216b) 중 일 관통공(216a)을 통과하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열교환기(123)의 출구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 1 관통공(216a,216b) 중 타 관통공(216b)을 통과하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핫라인 배관(26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전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60)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구비되는 케이스단열재(213)에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핫라인 배관(260)에서 방출되는 열량이 상기 케이스 수용부(205)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는 SLHX열교환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LHX열교환기(270)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한 냉매가 유동하는 제1냉매관과 상기 제2열교환기(123)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유동하는 제2냉매관이 서로 열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냉매관은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캐필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냉매관과 상기 캐필러리는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냉매관과 상기 캐필러리는 용접될 수 있다.
상기 SLHX열교환기(270)는 길게 형성되며, 제한된 용적의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 회 절곡하여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SLHX열교환기(270)는 상하 방향 기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열교환부(270a)와, 상기 제 1 열교환부(270a)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 2 열교환부(270b) 및 상기 제 2 열교환부(270b)와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 열교환부(270c)를 포함한다.
상기 SLHX열교환기(270)는 상기 케이스단열재(213)에 매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LHX열교환기(270)에서 방출되는 열량이 상기 케이스 수용부(205)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제3저장실(17)의 제3벽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는 도어(20)가 개방되었을 때, 저장고(1)의 하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0)의 양측부에는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측벽에 결합되는 결합브라켓(154)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154)은 상기 커버본체(151)의 양측단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결합브라켓(154)은 상기 커버본체(151)의 측단부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브라켓(154)은 체결공을 형성하며,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고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측벽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0)의 상단부 높이는 상기 구획벽(50)의 저면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0)에 의하여,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의 개방된 전단부가 차폐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전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11-11'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13-13'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단부가 개방된 박스의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 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 본체(210)는 상단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제1열교환기(220) 및 팬 어셈블리(300)가 설치될 수 있는 케이스수용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수용부(205)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면은 상기 제1열교환기(220) 또는 팬 어셈블리(3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면부(207)를 형성한다. 상기 하면부(207)는 상기 케이스수용부(205)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07)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와 팬 어셈블리(30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가 모여지거나 흐르는 집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07)는 유체를 트레이(130)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홀(20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07)에 집수된 유체는 상기 배수 홀(208)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다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면부는 케이스전면부(210a), 케이스측면부(210b), 케이스상면부(210c), 케이스후면부(210d) 및 케이스하면부(210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면부에는 다수의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 홀은 상기 핫라인 배관(260)이 통과하는 제 1 관통홀(216a,2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6a,216b)은 상기 핫라인 배관(260)의 일측부가 통과하는 일 관통공(216a) 및 타측부가 통과하는 타 관통공(21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관통공(216a) 및 타 관통공(216b)은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관통공(216a)은 케이스측면부(210b)에, 상기 타 관통공(216b)은 케이스전면부(210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 홀은 상기 SLHX열교환기(270)가 통과하는 제 2 관통홀(217a,2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217a,217b)은 상기 열교환기(270)의 일측부가 통과하는 일 관통공(217a) 및 타측부가 통과하는 타 관통공(21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관통공(217a)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외면에, 상기 타 관통공(217b)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 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관통 홀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단열 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열 폼을 투입하는 제 3 관통공(2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공(218)은 케이스측면부(210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상면부(210c)에는 구획 벽(50)과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서로 실링하기 위한 실링부재(2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40)는 상기 케이스상면부(210c)의 테두리를 따라 함몰되는 실링 홈(210e)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저면부(210f)는 지지벽(133)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저면부(210f)는 배수 홀(208)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저면부(210f)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벽(133)은 상기 배수 홀(208)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133)은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저면부(210f)는 상기 케이스전면부(210a)의 하단부(210a1, 전면하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후면부(210d)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저면부(210f)는 상기 전면 하단부(210a1)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저면경사부(210f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저면부(210f)는 상기 저면경사부(210f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후면부(210d)에 연결되는 저면하단부(210f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하단부(210f1)는 편평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저면하단부(210f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하단부(210f1)는 상기 전면 하단부(210a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저면부(210f)가 상기 지지벽(133)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구획벽(50)에 결합될 때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지지벽(133)에 의하여 트레이(130)의 집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트레이(130)에 집수된 응축수에 잠겨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좌우로 이등분 하는 중심선(ℓo)을 정의할 때, 상기 중심선(ℓo)은 상기 배수 홀(208)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중심선(ℓo)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좌우 대칭일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이너 케이스(212)에 구비되는 제1홀형성부(208a)와 아우터 케이스(211)에 구비되는 제2홀형성부(208b)가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하면부(207)는 에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07)의 중심부에 상기 배수 홀(20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기준으로(냉각 케이스의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면부(207)는 좌측단 에지로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제 1 설정각도(θ1)만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하면부(207a) 및 우측단 에지로부터 상기 중심부를 향하여 제 2 설정각도(θ2)만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하면부(20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정각도(θ1)와 상기 제 2 설정각도(θ2)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설정각도(θ1,θ2)는 7~1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정각도(θ1)와 상기 제 2 설정각도(θ2)가 동일한 값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2 하면부(207a,20b)는 상기 배수 홀(208)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며, 상기 배수 홀(208)을 중심으로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하부 단열벽 두께가 균형있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설정각도(θ1)와 상기 제 2 설정각도(θ2)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경우라도, 상기 제 1,2 설정각도(θ1,θ2)는 7~1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면부(207)가 상기 배수 홀(208)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면부(207)에 모여지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 홀(208)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3을 기준으로(냉각 케이스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면부(207)는 전단 에지로부터 상기 배수 홀(208)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후방으로) 제 3 설정각도(θ3)만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부(207c) 및 상기 제 1 경사부(207c)로부터 상기 배수 홀(208)을 향하여 제 4 설정각도(θ4)만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경사부(207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207c)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207d)는 상기 제 1 경사부(207c)보다 팬 어셈블리(30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은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중심부보다 팬 어셈블리(300)의 중심부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 4 설정각도(θ4)는 상기 제 3 설정각도(θ3)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4 설정각도(θ4)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2 경사부(207d)의 상측에 형성되는 케이스수용부(205)의 공간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 설정각도(θ4)는 상기 제 3 설정각도(θ3)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제1열교환기(22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제 1 경사부(207c) 및 제 2 경사부(207d)를 거치는 과정에서 유속이 감소하지 않고 상기 배수 홀(208)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4 설정각도(θ4)는 상기 제 3 설정각도(θ보다 더 크게 형성되더라도, 제 3,4 설정각도(θ3,θ4)는 7~1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기준으로(냉각 케이스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하면부(207)는 후단 에지로부터 상기 배수 홀(208)을 향하여 제 5 설정각도(θ5)만큼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경사부(207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경사부(207e)의 최상단은 상기 제 1 경사부(207c)의 최상단 또는 상기 제 2 경사부(207d)의 최상단보다 낮게 위치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5 설정각도(θ5)는 상기 제 3 설정각도(θ3)와 동일한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 설정각도(θ5)는 상기 제 4 설정각도(θ4)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 설정각도(θ5)는 7~1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5 설정각도는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단열재(213)의 두께, 배수 홀(208)의 깊이 및 제1열교환기(220)와 팬 어셈블리(300)의 배치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SLHX열교환기(270) 및 상기 핫라인 배관(260)은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외면을 형성하는 아우터케이스(211)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는 상단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12)는 상단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는 상기 이너케이스(21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이너케이스(2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에는 상기 핫라인 배관(260)이 관통하는 제 1 관통공(216a,21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에는 상기 SLHX열교환기(270)가 관통하는 제 2 관통공(217a,217b) 중 일 관통공(21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공(217a,217b) 중 타 관통공(217b)은 상기 이너케이스(2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에는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12)와 조립되는 제 1 조립홀(211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조립홀(211a)에 삽입되며,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제 2 조립홀(212c)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조립홀(211a)은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조립홀(212c)은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는 상기 이너케이스(211)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2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브라켓(214)은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14)은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와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사이에 케이스단열재(213)가 형성될 때,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와 상기 이너케이스(212)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아우터케이스(211) 및 상기 이너케이스(21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14)은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214)는 상기 제1조립홀(211a)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2조립홀(211a,212c)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21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하면은 유체가 트레이(13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홀형성부(20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홀형성부(208b)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홀 형성부(208b)는 이너케이스(212)의 제1홀형성부(208a)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1홀형성부(208a)는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2홀형성부(208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홀형성부(208a,208b)는 배수 홀(20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 및 팬 어셈블리(300)가 위치되는 케이스수용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12)는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12a) 및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상면부(210c)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며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212b)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상면부(210c)는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상면부(210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상면부(210c)에는 실링부재(240)가 설치되는 실링 홈(210e)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 홈(210e)은 상기 상면부(210c)에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 홈(210e)은 상기 실링부재(240)의 형상에 대응하여, 4각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212b)는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조립홀(212c)은 상기 테두리부(21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벽면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튜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아우터케이스(211)와 상기 이너케이스(212)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냉매튜브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는 핫라인 배관(260) 및 열교환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아우터케이스(211) 또는 이너케이스(212)에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설치공간에 배치된 후, 제 3 관통공(218)을 통하여 액상의 단열 폼이 인젝션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열 폼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 폼이 응고되면, 케이스단열재(21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단열재(213)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수용부(205)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외부간에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장치가 장치 수용공간에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가 구획벽에 접촉된 모습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수용부(205)에 제1열교환기(22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상기 케이스수용부(205)의 전방부, 즉 제 1 수용공간(205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가 설치된 열교환기 케이스(200) 및 방열부품을 베이스(110) 상에 설치한다. 상기 방열부품은 압축기(121), 제2열교환기(123) 및 제2팬(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21), 제2열교환기(123) 및 제2팬(125)은 상기 베이스(110)의 전방부에 좌우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방열부품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와 상기 방열부품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냉매 배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은 상기 제1열교환기(220), 압축기(121) 및 제2열교환기(123)등에 용접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의 용접이 이루어진 후 열교환장치(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저장고 본체(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장치 수용공간(18)의 개방된 전단부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열교환장치(10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고 본체(10)가 롤러(19a, 도 2 참조)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열교환장치(100)가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장치(100)가 상기 장치 수용공간(18)에 삽입된 상태에서, 팬 어셈블리(300)가 저장고 본체(1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고 본체(10)의 구획벽(50)에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 내부의 유체가 제1저장실(15)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는 상기 배출부에 연통하는 쉬라우드 배출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 배출부(326)는 덕트(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의 제1팬(310)은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후방 즉, 제 2 수용공간(205b)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제1저장실(16)의 유체를 열교환장치(1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쉬라우드 배출부(326)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구획벽(50)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1)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방부 또는 전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방부 또는 전단부는 증발기의 유입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는 상기 냉각장치(200)를 체결하기 위한 본체 체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케이스상면부(210c)에 구비되는 실링부재(240)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와 상기 구획벽(50)은 실링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100)가 장치 수용공간(18)에 삽입되고 팬 어셈블리(300)가 배치되면,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벽(50)에 형성된 유입부(51)의 전단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단부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단부는 열교환 될 유체가 증발기로 유입되는 유입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단부는 상기 구획 벽(50)의 저면으로보터 하방으로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설치된 실링부재(240)는 상기 구획 벽(50)의 저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팬 어셈블리(300)에 구비되는 제1팬(310)은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은 전방에서 축방향으로 유체를 유입하여 반경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의 출구부는 상기 구획벽(50)의 배출부(58) 및 덕트(30)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의 출구부는 상기 배출부(58)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배출부(5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의 축선(ℓ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열교환기(220)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310)의 축선(ℓ1)은 상기 제1열교환기(220)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상기 구획벽(50)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구획벽(50)과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실링부재(240)가 상기 구획벽(50)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을 향하여 제 1 거리(△H1)만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저면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지지벽(133)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와 구획벽(50) 사이의 갭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40)가 상기 구획벽(50)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부재(240)의 돌출된 높이는 감소하거나 없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40)에 의하여 상기 갭은 실링되어 열교환기 케이스(200) 내의 유체가 덕트(3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상기 구획벽(50)을 향하여 이동시켜 결합하는 수단은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구획벽(50)에 체결될 수 있다. 상세히,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구획벽(50)을 관통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주변에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를 상기 구획벽(50)을 향하여 들어올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 또는 저장고 본체(10)에 후크장치를 마련하여,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가 상기 저장고 본체(10)에 걸려지는 움직임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제1저장실(15)의 유체는 구획벽(50)의 유입부(51)를 통하여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한다. 유체는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저장실(15)의 유체는 구획벽(50)의 유입부(51)를 통하여 제2저장실의 내부, 일례로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할 수 있다. 유체는 제1열교환기(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220)의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 (220)를 거친 유체는 제1팬(310)을 통과하며, 상기 제1팬(310)을 거친 유체는 쉬라우드(320)의 쉬라우드 배출부(326)를 통하여 팬 어셈블리(300)로부터 배출되며, 덕트(30)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220)에는 물과 수증기와 같은 유체가 발생하거나, 제상운전 중에 착상된 얼음이 녹으면서 제상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팬 어셈블리(300)에는 유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응축수 또는 제상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fw)는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집수를 형성하는 하면부(207)로 낙하하며 경사진 하면부(207)를 따라 배수 홀(208)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208)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열교환기 케이스(200) 하측의 트레이(130)로 낙하하여 집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의 집수면에는 냉동 사이클의 부품을 연결하는 냉매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은 상기 트레이(130)의 집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거나,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관은 고온의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관(138)은 압축기(121)의 토출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냉매관은 제2열교환기(123)의 출구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130)에 냉매관이 구비됨으로써, 트레이(130)에 집수된 응축수는 용이하게 증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배수 홀(208)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캡 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370)는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370)는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37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하면에 제공되며,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수 홀(208)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캡 부재(370)를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지지시키는 캡 지지부(3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지지부(372)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는 상기 캡 부재(370)와 상기 캡 지지부(372)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3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74)은 일례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74)의 일측부는 상기 캡 부재(37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캡 지지부(37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74)은 상기 캡 부재(37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370)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유체의 무게가 상기 스프링(374)의 복원력 이상이 되면, 상기 캡 부재(370)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배수 홀(208)을 통한 유체의 배출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유체의 배출이 진행되어 상기 유체의 무게가 상기 스프링(374)의 복원력보다 작게 되면, 상기 캡 부재(370)는 스프링(37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배수 홀(208)을 닫도록 회전할 수 있다.
캡 부재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에서 설명한 스프링이 생략되고, 상기 캡 부재는 냉각 케이스의 하면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는 고무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 부재는 일측부가 냉각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하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움직일 수 있다. 유체의 무게가 설정 하중 이상이 되면, 상기 캡 부재는 변형되고 상기 캡 부재의 타측부가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배수 홀을 개방할 수 있다.
반면에, 유체의 무게가 설정 하중 미만이 되면, 상기 캡 부재는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형상으로 다시 변형되고, 상기 배수 홀(208)을 차폐할 수 있다.
10 : 저장고 본체 15,16,17 : 제1~3저장실
18 : 장치 수용공간 20 : 도어
50 : 구획벽 51 : 유입부
58 : 배출부 121 : 압축기
123 : 제2열교환기 125 : 제2팬
200 : 열교환기 케이스 210 : 케이스 본체
220 : 제1열교환기

Claims (18)

  1. 물품이 미리 정해진 온도나 온도범위 내에서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실;
    제1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저장실;
    제2열교환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3저장실;
    상기 제1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1벽;
    상기 제2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2벽;
    상기 제3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3벽; 및
    상기 제2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2저장실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과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열교환기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 홀을 포함하는 저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제1열교환기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저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면은 상기 제1열교환기의 하측에 제공되는 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집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저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집수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배수 홀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저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상기 집수부의 일측 에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하여 상기 배수 홀에 연결되는 제 1 하면부; 및
    상기 집수부의 타측 에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하여 상기 배수 홀에 연결되는 제 2 하면부를 포함하는 저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를 이등분 하는 중심선(ℓ)을 정의할 때, 상기 중심선(ℓ)은 상기 배수 홀을 지나는 저장고.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상기 집수부의 일측 에지로부터 상기 배수 홀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설정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제 2 설정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수 홀에 연결되는 제 2 경사부를 포함하는 저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보다 상기 제2경사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저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상기 트레이에 의하여 지지되는 저면부를 포함하는 저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냉각 케이스의 저면부를 상기 트레이의 집수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벽은 상기 저면부의 경사진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통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저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저면부는,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전면 하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저면경사부; 및
    상기 저면경사부로부터 후방으로 편평하게 연장되는 저면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저면하단부에 형성되는 저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는,
    아우터케이스와, 상기 아우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케이스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단열벽을 형성하는 케이스단열재를 포함하는 저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구비되는 제 1홀 형성부 및 상기 아우터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 1홀 형성부에 결합되는 제 2홀 형성부에 의하여 정의되는 저장고.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저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증발기보다 상기 팬 어셈블리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저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및 상기 팬 어셈블리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수 홀은 상기 냉각 케이스의 저면부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부에 형성되는 저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케이스에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출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저장고.
KR1020210089688A 2021-07-08 2021-07-08 저장고 KR20230009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88A KR20230009079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PCT/KR2022/009792 WO2023282636A1 (en) 2021-07-08 2022-07-06 Storeh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88A KR20230009079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079A true KR20230009079A (ko) 2023-01-17

Family

ID=8480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688A KR20230009079A (ko) 2021-07-08 2021-07-08 저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9079A (ko)
WO (1) WO202328263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9429B1 (en) * 1999-03-12 2003-10-07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Refrigerator
KR100926763B1 (ko) * 2003-01-17 2009-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4663463B2 (ja) * 2005-09-21 2011-04-06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却機器の冷気流通構造
CN107588590A (zh) * 2017-08-28 2018-01-1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制冷系统
WO2021086124A1 (en) * 2019-11-01 2021-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67A (ko)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636A1 (en)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031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impingement cooling system
US10408527B2 (en) Refrigerator
CN110411121B (zh) 冰箱
US8033130B2 (en) Refrigerator
BR112013028235B1 (pt) refrigerador
KR20160097648A (ko) 냉장고
US11402146B2 (en) Refrigerator
US10837693B2 (en) Refrigerator
KR101520704B1 (ko) 냉장고
US11519676B2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30009080A (ko) 저장고
CN110686437B (zh) 冰箱
KR102572073B1 (ko) 증발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230009079A (ko) 저장고
KR100506610B1 (ko) 냉동장치 및 그 냉동장치를 갖는 냉장고
EP3926266B1 (en) Refrigerator having blower transversely disposed besides and downstream of evaporator
KR20230009089A (ko) 저장고
KR20230009082A (ko) 저장고
KR20230009091A (ko) 저장고
JP5514037B2 (ja) 冷蔵庫
US20240175622A1 (en) Storehouse
KR20230009081A (ko) 저장고
KR20230009086A (ko) 저장고
US20240175623A1 (en) Storehouse
KR20230101192A (ko) 저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