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561A -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561A
KR20220139561A KR1020210045660A KR20210045660A KR20220139561A KR 20220139561 A KR20220139561 A KR 20220139561A KR 1020210045660 A KR1020210045660 A KR 1020210045660A KR 20210045660 A KR20210045660 A KR 20210045660A KR 20220139561 A KR20220139561 A KR 20220139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m
cosmetic composition
dioscorin
extract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610B1 (ko
Inventor
이경순
유화선
이정노
박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21004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6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45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extraction or solu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C07K1/18Ion-exchange chromatograph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탁월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Method for Extracting Stored Protein from Dioscorea Japonica Thunb.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참마에서 저장단백질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는 마속(Dioscorea species) 마과(Dioscoreaceae)에 속하는 덩굴성 여러해살이 풀로서, 한국, 중국, 일본 등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아열대성 식물이다. 주로 지하부가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며 뿌리줄길의 주피를 벗겨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을 산약(山藥)이라 하여 예로부터 자양, 강장, 지사, 건비, 거담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주요 성분으로는 전분(10~15%), 점액성 당단백질 외에도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사포닌(saponin), 알란토인(allantoin), 베타타신(batatasin), 콜린(choli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마속에서 분리한 성분들이 항암, 항염, 항진균 및 혈당 강하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참마에서 분리된 대표적인 약리적 활성물질로 디오스코린(Dioscorin)과 디오스코란(dioscoran)이 있다. 디오스코린(Dioscorin)은 마속 식물의 특징적인 점액질 저장형 단백질로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이며 보통 물 추출물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저장단백질은 곤충과 동·식물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특이한 복합체로서 주 기능은 아미노산을 단백질의 형태로 장기간 저장하고 있으면서 해당 생물체에서 필요한 시기에 공급하는 것이다. 저장단백질은 대부분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를 거치기 때문에 당단백질인 경우가 많으며, 보통 멀티머(multimer)로 구성된다. 동물에는 아미노산 저장단백질인 카제인과 오발부민이 있으며 동물의 발달에 사용된다. 식물 저장단백질에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우선, 종자 저장 단백질(seed storage proteins, SSPs)은 종자 발달의 후기 단계에서 종자에 높은 수준으로 축적되는 단백질이며, 다음으로 식물 저장단백질(vegetative storage proteins , VSPs)은 잎, 줄기 및 식물 종에 따라 괴경과 같은 식물 조직에 축적되는 단백질이다. 종자가 발아되는 동안 SSPs는 분해되어 아미노산을 생성하여 영양공급원으로 활용되며, VSPs는 식물 조직에 축적되어 이후 성장 및 발달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미노산의 일시적 저장소 역할을 한다.
참마의 저장단백질인 디오스코린은 괴경에서 발생하는 VSPs로 항산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2174593호는 마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장상피세포 이동 및 상처 회복 촉진용 조성물을, 한국등록특허 제10-1361848호는 둥근마 유래의 뮤신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한국등록특허 제10-1395004호는 단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한국 등록특허 제10-1849534호는 둥근마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한국등록특허 제10-1931547호는 단풍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에 있어서 화장품으로부터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참마로부터 저장단백질인 디오스코린을 추출하고 이를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능에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에서 분리한 저장단백질인 디오스코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능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추출물에서 분리된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참마에서 분리된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은 AQP-3 발현을 통해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오스코린은 분자량이 26,000 ~ 35,000Da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연고,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 및 두피용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참마를 분쇄하고 초음파 처리한 후 원심분리 및 동결건조를 하는 단계; (b) 상기 참마 동결건조물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불용성 단백질을 제거한 참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참마 추출물을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참마 저장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참마 저장단백질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디오스코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마로부터 디오스코린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리된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AQP-3 발현을 통해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단계별로 정제된 단백질들의 SDS-PAGE 결과이다.
도 2는 정제된 디오스코린의 아미노산 개수와 pI값에 대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1 참마추출물의 AQP-3 발현 결과이다.
도 4은 실시예 3 디오스코린의 AQP-3 발현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 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 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 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 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을 분리하는 방법, 및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참마추출물은, 일례로, 참마의 잎, 줄기, 뿌리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참마의 뿌리에서 얻어진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마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특별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 용매를 각각 단독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한 혼합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참마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을 덧붙여 추출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 방법을 덧붙여 추출 또는 분리/정제한 추출물도 포함하는 것이다.
참마를 초음파 추출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온도 4~45℃에서 1~24시간 처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도 20~35℃에서 3~5시간 처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초음파 추출 및 용해시 사용되는 정제수의 pH는 4~8으로 낮춰 처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초음파 처리한 참마추출물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여과시킨 여과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동결건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렇게 수득한 추출물, 감압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액상으로 제형화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참마 추출물은, 총 중량 대비 0.001~30중량% 첨가되는 것이 좋다.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확인한 여러 피부 기능성의 발휘 효과가 미미하고,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료 투입량 대비 효율성이 떨어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중량%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참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오스코린의 우수한 AQP-3 발현(보습)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참마로부터 디오스코린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참마를 분쇄하고 초음파 처리한 후 원심분리 및 동결건조를 하는 단계;
(b) 상기 참마 동결건조물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불용성 단백질을 제거한 참마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상기 참마추출물을 정제하여 저장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단백질을 정제하여 디오스코린을 분리하는 단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1: 참마추출물의 제조
참마를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고, 상기 참마의 분쇄 조각의 10배 가량의 정제수(pH 5 ~ 7)를 넣고 3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10,000 rpm,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뒤 3일간 동결 건조하여 참마 동결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참마 농축물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원심분리한 뒤 불용성 단백질을 제거하고 상등액만 취하여 참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CEC를 이용한 참마 저장단백질의 분리
상기 참마추출물에서 저장단백질을 분리하게 위해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CEC) 정제를 진행하였다. 단백질 정제를 위한 시스템은 바이오라드사(USA)의 단백질 정제 시스템인 NGC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사용하였고 레진은 Cytiva의 CM sepharose, 컬럼은 밀리포아사(독일)의 20 X 250 mm를 사용한다. 레진의 결착력(binding capacity)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 컬럼에 패킹(packing)하고, 레진 부피가 20 ml이 되도록 충진한다. 증류수를 레진 부피의 10배인 200 ml로 충분히 씻어준 후 세척 버퍼(wash buffer, 50 mM Tris-HCl, pH 7.4)를 레진 부피의 10배 정도를 흘려 레진을 평형화시킨다. 여기에 4.0 ml/min의 유속으로 시료를 로딩한 후 flow through로 통과한 시료를 분획하여 회수한 뒤 크로마토그래피 펌프 A에 세척 버퍼를 연결하고 펌프 B에 용출 버퍼(elution buffer, 50 mM Tris-HCl, pH 7.4, 1 M NaCl)를 각각 연결하여 100 : 0 비율로 레진 부피의 40배로 세척한다. 이후 컬럼에 결합된 단백질을 용출하기 위하여 용출 버퍼가 연결된 펌프 B의 비율을 0 - 100%로 작동시켜 0 - 1 M NaCl 농도구배를 주어 저장단백질 분획을 회수한다.
실시예 3: AEC를 이용한 디오스코린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저장단백질에서 디오스코린을 고순도로 분리하기 위해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EC) 정제를 진행하였다. 백질 정제를 위한 시스템은 바이오라드사(미국)의 단백질 정제 시스템인 NGC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사용하고 레진은 Cytiva의 Q sepharose, 컬럼은 밀리포아사(독일)의 20 X 250 mm를 사용한다. 레진의 결착력를 높이기 위하여 새로 컬럼에 패킹(packing) 하고, 레진 부피가 20 ml이 되도록 충진한다. 증류수를 레진 부피의 10배인 200 ml로 충분히 씻어준 후 세척 버퍼(50 mM Tris-HCl, pH 7.4)를 레진 부피의 10배 정도를 흘려 레진을 평형화시킨다. 여기에 4.0 ml/min의 유속으로 CM sepharose으로 1차 정제된 시료를 로딩한 후 컬럼에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이나 약하게 결합된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해 크로마토그래피 펌프 A에 wash buffer를 연결하고 펌프 B에 용출 버퍼(50 mM Tris-HCl, pH 7.4, 1 M NaCl)를 각각 연결하여 100 : 0 비율로 레진 부피의 40배로 충분히 세척한다. 이후 컬럼에 결합된 디오스코린 단백질을 용출하기 위하여 용출 버퍼가 연결된 펌프 B의 비율을 0 - 100%로 작동시켜 0 - 1 M NaCl 농도구배를 주어 단백질 분획을 회수한다. 각각의 분획은 17% 전기영동을 통하여 분석하고 깨끗한 용출(elution) 부분만을 모은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참마추출물, 저장단백질 및 디오스코린을 각각 SDS-PAGE로 분석한 결과 26 ~ 35kDa 사이에 디오스코린 단백질만 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2는 실시예 3에서 정제 및 분리된 디오스코린을 단백질 특성으로 아미노산 개수와 pI값에 대한 결과값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 참마추출물, 참마 저장단백질 및 디오스코린의 AQP-3 발현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참마추출물, 참마 저장단백질 및 이로부터 분리된 디오스코린의 AQP-3 발현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HaCaT 세포를 2x105 cells/ml로 6 웰(well)에 2 ml씩 분주하고 시간동안 안정화시킨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6시간 반응시킨다.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얻은 다음 세포 용해 버퍼를 이용해 얼음상에서 30 분간 반응시켜 세포막을 파괴하고 1,2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 한다. 상층액만 따로 옮기고 BCA assay법을 이용해 단백질을 정량한다. 일정량의 단백질을 SDS-gel loading buffer와 혼합하여 100℃에서 3분간 가열하여 불활성화시키고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한다.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60 mM에서 90 분간 PVDF 멤브레인으로 이동시키고 5% skim milk에서 1 시간 블러킹(blocking)한다. 블러킹을 마친 PVDF 멤브레인에 1차 항체(Aquaporin-3)를 4℃에서 24 시간동안 반응시키고 1X TTBS용액을 10 분 간격으로 3 번 교환하여 30 분간 세척한다. 5% skim milk에서 primary-specific secondary antibody를 2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다시 1X TTBS 용액으로 10 분 간격으로 30 분간 세척한다. PVDF 멤브레인을 ECL 용액으로 반응시키고 Chemi DocTM XRS+ machine을 이용해 밴드를 분석한다. 그 결과를 도 3 내지 4에 나타냈다.
도 3을 보면, 참마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AQP-3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마추출물 100㎍/㎖ 농도에서 최대 70%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도 4를 보면, 디오스코린은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인 100㎍/㎖에서 양성대조군인 덱사메타손 1μM 와 거의 유사한 효능을 발휘할 뿐 아니라 참마추출물보다 높은 100% 이상의 AQP-3 발현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참마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디오스코린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참마추출물, 참마 저장단백질 및 디오스코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참마추출물, 참마 저장단백질 및 디오스코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고,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이라 하였다. 한편, 효능의 확인하기 위해 참마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조예 1)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성분 제조예 1
(중량%)
제조예 2
(중량%)
제조예 3
(중량%)
비교제조예 1
(중량%)
A 실시예 1 3.0 - - -
실시예 2 - 3.0 - -
실시예 3 - - 1.0 -
EDTA-2Na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B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0.7 0.7 0.7
스쿠알란 5.0 5.0 5.0 5.0
유동파라핀 3.0 3.0 3.0 3.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5.0
폴리솔베이트 1.2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3.0
BHT 0.05 0.05 0.05 0.05
C 향,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2 : 참마추출물, 참마 저장단백질 및 디오스코린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40대 40명을 대상으로 1조 당 20명씩 4개조로 나누고, 각 조별로 상기 제조예 1 내지 3과 비교제조예 1의 화장료를 얼굴 및 전박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수분측정기(con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1주 후 2주 후 4주 후
제조예 1 51 56 61
제조예 2 55 57 63
제조예 3 61 65 67
비교제조예 1 25 32 38
실험결과, 본 발명의 참마추출물, 참마추출물에서 분리된 저장단백질 및 디오스코린을 함유하는 화장료인 제조예 1 내지 3은 비교제조예 1의 참마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에 비하여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는 참마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저장단백질 및 디오스코린을 함유하는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수분 함량을 높게 유지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발휘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Claims (5)

  1.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추출물에서 분리된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오스코린의 분자량은 26,000Da 내지 35,000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마 저장단백질 또는 디오스코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연고,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 및 두피용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a) 참마를 분쇄하고 초음파 처리한 후 원심분리 및 동결건조를 하는 단계;
    (b) 상기 참마 동결건조물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불용성 단백질을 제거한 참마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상기 참마추출물을 정제하여 참마 저장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상기 참마 저장단백질을 정제하여 디오스코린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참마로부터 디오스코린을 분리하는 방법.
KR1020210045660A 2021-04-08 2021-04-08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60A KR102543610B1 (ko) 2021-04-08 2021-04-08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60A KR102543610B1 (ko) 2021-04-08 2021-04-08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61A true KR20220139561A (ko) 2022-10-17
KR102543610B1 KR102543610B1 (ko) 2023-06-20

Family

ID=8380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60A KR102543610B1 (ko) 2021-04-08 2021-04-08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3273A (zh) * 2024-03-19 2024-04-19 广东现代汉方科技有限公司 山药蛋白dp1及其分离纯化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71A (ko) * 1995-07-25 1997-02-19 신태율 마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7421A (ko) * 2015-09-02 2017-03-10 (주)아로마뉴텍 복합 한약재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23811A (ja) * 2016-01-14 2017-07-20 学校法人東京農業大学 ヤマノイモ属植物からのディオスコリンの製造方法
KR101834795B1 (ko) * 2017-06-30 2018-04-13 (주)더마랩 초음파 병행 저온 압착법으로 추출된 흰목이버섯과 참마 혼합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71A (ko) * 1995-07-25 1997-02-19 신태율 마과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7421A (ko) * 2015-09-02 2017-03-10 (주)아로마뉴텍 복합 한약재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23811A (ja) * 2016-01-14 2017-07-20 学校法人東京農業大学 ヤマノイモ属植物からのディオスコリンの製造方法
KR101834795B1 (ko) * 2017-06-30 2018-04-13 (주)더마랩 초음파 병행 저온 압착법으로 추출된 흰목이버섯과 참마 혼합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오웅영, 2016, 산약추출물의 피부생리 활성에 관한 연구*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3273A (zh) * 2024-03-19 2024-04-19 广东现代汉方科技有限公司 山药蛋白dp1及其分离纯化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610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00123456A (ko) 피지생성 억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지루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3610B1 (ko)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21875B1 (ko)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JP4460420B2 (ja) コラーゲン生成促進剤
KR101978850B1 (ko)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0529014B1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를 억제하는 모공수축 화장료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5721A (ko) 구기자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6B1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84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11991306A (zh) 一种抗衰修护精粹液、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629711B1 (ko) 참마에서 분리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2460B1 (ko) 타라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0085B1 (ko)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2261115B1 (ko) 함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324349B2 (ja) 血管内皮細胞増殖因子産生促進剤
KR102533237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769843A (ja) 育毛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