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842B1 -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842B1
KR102014842B1 KR1020180075999A KR20180075999A KR102014842B1 KR 102014842 B1 KR102014842 B1 KR 102014842B1 KR 1020180075999 A KR1020180075999 A KR 1020180075999A KR 20180075999 A KR20180075999 A KR 20180075999A KR 102014842 B1 KR102014842 B1 KR 102014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corice
nasturtium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민규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주)셀아이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아이콘랩 filed Critical (주)셀아이콘랩
Priority to KR1020180075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을 높임으로써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백효과를 갖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색 결정 요인 중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피부 중 멜라닌의 분포상태 및 양이다. 멜라닌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자외선에 의하여 일어나는 멜라닌 생산의 증가 및 이에 따른 색소 침착이 화장품 분야에서 아주 중요하다.
색소 침착 예방목적으로 미백화장품에 배합되는 약제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1) 티로시나제(tyrosinase) 작용 억제, 2) 티로시나제 생성 억제 3) 멜라닌 생성 조절제의 억제, 4) 기존 멜라닌의 환원 및 광산화 억제, 5) 멜라닌 배설의 촉진, 6) 자외선 차단 등이다.
이중 멜라닌 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효소로 알려져 있는데, 이 효 소는 조직 중에 존재하는 티로신(tyrosine)에 작용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을 생성시키며 이 도파퀴논으로부 터 여러 단계의 자동산화과정을 거쳐 멜라닌을 생성케 한다. 따라서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키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종래 화장품 분야에서 미백성분으로써 히드로퀴논, 트레티노인, 코 지산,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글루타치온 등을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물질로 이용하는 방법이 일부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성분들을 사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 제조 과정 중에 또는 제품의 보관 중에 착색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착색을 줄이기 위하여 다량의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유효성분을 소량으로 첨가하여야 하는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첨가제 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부에 대한 안전 성에 문제가 있고, 유효성분을 소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만큼의 충분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기존의 미백제보다 소량을 사용하면서도 탁월한 미백효과가 있고, 피부에 자극 등의 부 작용이 없는 미백제의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98947호(2009년 05월 24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를 높임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상지 추출물 : 상기 감초 추출물 : 상기 한련초 추출물이 각각 1.5 ~ 2.5 : 0.5 ~ 1.5 : 0.5 ~ 1.5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항산화 펩타이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Arg-Gly-Leu-His-Pro-Val-Pro-Gln]
상기 상지 추출물, 상기 감초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및 상기 항산화 펩타이드는 상기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15 ~ 0.25, 0.05 ~ 0.15, 0.05 ~ 0.15 및 0.05 ~ 0.1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을 높임으로써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안전한 상지, 감초, 한련초의 천연물질로부터 추출한 천연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의 혼합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더라도 피부에 도포 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이 일정 비율에 따라 혼합된 혼합 추출물의 피부 독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및 한련초 추출물이 일정 비율에 따라 혼합된 혼합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항산화 펩타이드의 합성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항산화 펩타이드의 일정 함량에 따른 피부 독성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항산화 펩타이드의 일정 함량에 따른 항산화능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며의 일 실시예에 다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최적 비율에 따라 혼합된 혼합 추출물에 일정량의 항산화 펩타이드가 포함된 혼합물의 멜라닌 함량, 항산화능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 이라 함)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지, 감초, 한련초 각각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우선,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지는(Ramulus Mori)는 뽕나무속 식물의 여린 가지를 말린 것으로, 모양 은 긴 원주형으로 드물게 분지가 있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직경은 0.5 내지 1.5 cm이다. 표면은 회황색 혹은 황갈색 으로 다수의 황갈색 점상 피공과 미세한 종문이 있으며, 회백색을 띤 반원형 잎 흔적과 황갈색의 액아가 있다. 절편의 두께 는 0.2 내지 0.5 cm로 외피 부위는 비교적 얇고, 목질 부위는 황백색이며, 사선은 방사상이고, 수부는 백색 또는 황백색이 다. 상지의 채취 시기는 늦은 봄과 초여름 사이이며, 잎을 제거한 후, 신선할 때 30 내지 60cm 크기로 잘라 햇볕에 말린다. 상지는 약간 쓴 맛이 나며, 소염, 이뇨, 강장, 발한 및 풍을 제거하는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쓰이고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 동북부 및 아시아 각지에서 자라는 약용 식물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감초 추출물은 감초의 다양한 기관, 조직 (예: 뿌리,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 등 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감초의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다. 상기 감초의 뿌리는 적 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 m 정도 곧게 자란다. 또한 흰 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 면서 점이 흩어져 있다. 뿌리는 단맛이 나서 한약재로 많이 사용된다. 감초는 글리시리진, 플라보노이드, 사포 닌, 쿠마린, 탄닌 및 효소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자외선에 의해 만들어진 유해 산소를 제거하고, 멜라닌의 광산화를 방지하여 주며 피부를 하얗고 투명하게 가꿔 주는 역할을 한다.
한련초(Eclipta prostrate)는 높이 10~70 cm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이다. 우리 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콩밭에 많이 발생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혈류량 촉진, 진통, 면역, 피부염, 모 발 성장 촉진 및 피부가 갈라지는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상지, 감초, 한련초로부터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은 상지, 감초, 한련초 각각의 시료를 분쇄하여 추출 용매에 침적시켜 열수 추출한 후 동결 건조하여 파우더 성상으로 제공된다. 참고로, 시료는 그늘에서 건조한 상지, 감초, 한련초의 뿌리를 의미한다.
우선,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뿌리를 물로 깨끗하게 세척하고 그늘에서 일정 시간 건조한다.
그 다음,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건조물을 추출용기에 넣고 일정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추출한다.
이때, 추출하는 용매에 따라 상지, 감초, 한련초 각각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저도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핵산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 용매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사용된다. 사용되는 에탄올 수용액의 양은 상지, 감초, 한련초 각각의 시료에 대해 5 내지 15의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배로 제공된다.
한편, 추출 용매에 대한 침적 온도는 40 내지 77℃, 바람직하게는 55℃로 유지하는데, 이는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추출 용매에 대한 침적 시간은 2 ~ 7 시간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열수 추출, 상온 추출 등의 추출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열수 추출 방법을 이용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은 침적에 의한 수득물 즉,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은 1 내지 3일 동안 방치하는데, 2일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 다음, 2일 동안 방치된 수득물을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이때,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종이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2일 동안 방치된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을 100 ㎛ 이하의 투과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시킨다. 참고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과정을 추가로 거칠 수도 있다.
그 다음, 분순물이 여과된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을 60℃ 이하에서 감압하여 농축하고 건조한다. 그러면,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이 파우더 성상(형태)가 된다.
이때,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은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감압건조, 동결건조 등을 이용하여 건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은 동결 건조기에 의해 동결 건조된다. 참고로, 필요에 따라 최종 건조된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은 분쇄하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우선,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화장품을 제조하기 전에, 상지, 감초, 한련초의 각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독성 평가(Cell Viability)를 실시하였다. 참고로, 독성 평가에서 80% 이상의 수치가 나오면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CON(무처리균)으로만 사용한 경우에 100% 독성 평가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의 경우에도 101%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참고로,α-MSH는 상지, 감초, 한련초 추출물의 합성을 위한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이다. 또한, 무처리균의 경우에는 증류수로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의미한다.
이와 비교하여, 상지, 감초, 한련초 각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추출물에서 중량 비율을 각각 달리 하여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예컨대, 상지 추출물 : 감초 추출물 : 한련초 추출물을 각각 1 : 1 : 1 또는 2 : 1 : 1 또는 1 : 2 : 1 또는 1 : 1 : 2 의 중량비율로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지 추출물 : 감초 추출물 : 한련초 추출물을 각각 50μg/ml : 50μg/ml : 50μg/ml의 중량비율, 100μg/ml : 50μg/ml : 50μg/ml, 50μg/ml : 100μg/ml : 50μg/ml, 50μg/ml : 50μg/ml : 100μg/ml로 혼합하였다. 여기서, 각각의 혼합 추출물에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하여 독성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상지 추출물 : 감초 추출물 : 한련초 추출물의 모든 실험의 조합에서 각각 93%, 101%, 97%, 103%의 수치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중량비율을 이용하여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혼한된 혼합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을 테스트하였다.
도 2을 참조하면, CON(무처리균; 증류수)만 사용한 경우에는 54%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만 사용한 경우에는 100%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고,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1 : 1 : 1, 즉 50μg/ml : 50μg/ml : 50μg/ml로 사용하고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한 경우에는 67%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2 : 1 : 1, 즉 100μg/ml : 50μg/ml : 50μg/ml로 사용하고 α-MSH( 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한 경우에는 55%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1 : 2 : 1, 즉 50μg/ml : 100μg/ml : 50μg/ml로 사용하고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한 경우에는 68%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1 : 1 : 2 50μg/ml : 50μg/ml : 100μg/ml로 사용하고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한 경우에는 63%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즉, 상술한 멜라닌 함량 테스트에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혼합된 혼합 추출물은 2 : 1 : 1 로 혼합하였을 경우에 가장 낮은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혼합된 혼합 추출물의 경우 피부에 멜라닌 합성을 저하시켜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지, 감초, 한련초 각각의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에 항산화 펩타이드의 성분을 포함한다.
이때, 항산화 펩타이드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현된다.
[화학식 1]
[Arg-Gly-Leu-His-Pro-Val-Pro-Gln]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항산화 펩타이드에서 아르기닌(Arg), 글라이신(Gly), 류신(Leu), 히스티딘(His), 프롤린(Pro), 발린(Val), 글루타민(Gln)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펩타이드는 초유 성분에서 최적화되었다.
우선, 초유는 분만후 72시간 동안 분비되는 것으로서 영양분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갓 태어난 새끼에게 보존에 필요한 유용한 물질인 성장 촉진과 향균 기능을 가진 생리활성성분 및 면역단백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초유 성분 중 하나인 lactorferrin이 염증반응에 깊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성분은 초유뿐만 아니라 피부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되어 분비되는 물질 중의 하나로서 IL-1과 TNF-α 등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버팔로 초유로부터 분리한 유청에서 acidic glycoprotein이 vifidobacteria 성장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었으며, 젖소 초유의 생리활성물질의 향균활성 등에 관한 연구들이 발표될 정도로 초유는 많은 biological effect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초유를 이용한 화장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화장품들은 초유에 존재하는 특정한 기능성 성분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초유의 전성분을 이용한 것으로, 일정한 효과를 보이는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초유가 가지는 특정한 효능을 보기에는 함량이 적어서 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2016년 발표된 Masoud HT의 연구 결과에서, carmel colostrum에 존재하는 단백질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서열이 노화 방지를 보이는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되었다(Masoud et al., 2016). 위의 연구 논문에 명시되어 있는 초유 단백질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를 통해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펩타이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Masoud HT의 연구를 토대로 초유에 조재하는 치부 노화 방지 및 면역력을 강화해주는 기능을 가지는 3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LEEQQQTEDEQQ DQLYLEELHRLNAGYRGLHPVPQ)를 기반으로 optimization를 실시하였다.
그런데, 초유 단백질에서 유래한 3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는 고체상 합성법을 이용하여 합성을 진행할 경우에는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상용화하기에는 가격 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피부 노화 방지 및 면역력을 강화해주는 활성 sequence 탐색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펩타이드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여기서,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Solid phases peptied synthesis; SPPS)은 총 6단계의 Fmoc-chemistry 합성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진에 아미노산의 로딩-> 아미노산의 보호기 제거-> 아미노산의 커플링 반응-> 반응 여부 확인(kaiser test), 반응 용액 제거 및 레진 세척-> 레진 및 보호기의 합성 과정을 거친다.
특히, 35개의 아미노산을 효과적으로 optinization을 진행하기 위해서 펩타이드를 최적화하는데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인 일정한 개수의 펩타이드를 중복시켜 Screening하는 펩타이드 디자인 방법 중에 하나인 Overlapping Library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펩타이드 서열 최적화를 진행하는 과정은 Overlapping Libarary 방법뿐만 아니라 펩타이드의 구조활성관계(SAR: Strcuture Activity Relationship)도 고려하여 펩타이드 서열의 최적화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서 결정된 서열은 아래 [표 1]을 참고한다.
펩타이드 명칭 아미노산 개수 펩타이드 서열
CIL-801 16 LEEQQQTEDEQQDQLY
CIL-802 12 YLEELHRLNAGY
CIL-803 12 NAGYRGLHPVPQ
그러나, 3가지 펩타이드 모두 대량합성을 실시할 경우에 경제성의 문제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지출이 되기 때문에, Alanine scanning을 통해 최적화를 실시하였으며, CIL-803의 명칭을 CIL-506으로 변경하여 최적화였다. CIL-506의 펩타이드 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펩타이드
명칭(변경전)
펩타이드
명칭(변경후)
아미노산 개수 펩타이드 서열
CIL-803 CIL-506 8 RGLHPVPQ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전에,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 항산화 펩타이드의 독성을 테스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독성 평가에서 독성 수치가 80% 이상이면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CON(무처리균; 증류수)으로만 사용한 경우에 100% 의 수치를 나타났다. 일종의 비타민 C인 Ascribic acid을 100μM을 사용한 경우에는 105% 수치를 나타났다. 항산화 펩타이드를 각각 50μM , 100μM , 200μM 사용하였더니 각각 102%, 98.7%, 100.2%로 나타났다. 즉, 항산화 펩타이드을 이용하여 인체에 독성이 낮으므로 화장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항산화 펩타이드는 항산화능을 함유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한다. 이에 항산화 펩타이드의 항산화능을 테스트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N(무처리균; 증류수)의 경우에는 항산화능의 수치가 0% 인것으로 나타났고, 일종의 비타민 C인 Ascribic acid을 100μM을 사용한 경우에는 항산화능 수치가 97.7%로 나타났다. 여기서, 항산화 펩타이드를 각각 50μM , 100μM , 200μM 로 사용한 경우 16.10%, 32.50%, 66.30% 의 수치를 나타났다. 즉, 항산화 펩타이드의 양이 늘어날수록 항산화능의 수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항산화 펩타이드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저해능을 갖는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추출물에 항산화 펩타이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에,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를 포함한 혼합물의 멜라닌 함유랑, 항산화능 수치를 테스트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N(무처리균; 증류수)만 사용한 경우에는 54%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만 사용한 경우에는 100%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때,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에는 항산화 펩타이드가 함유되지 않는다.
참고로, 상술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의 멜라닌 함량 테스트에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은 1.5 ~ 2.5 : 0.5 ~ 1.5 : 0.5 ~ 1.5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지만,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2 : 1: 1 중량비율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2 : 1 : 1, 즉 10μg/ml : 5μg/ml : 5μg/ml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 50μM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한 경우에는 91%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고,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2 : 1 : 1, 즉 20μg/ml : 10μg/ml : 10μg/ml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 50μM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한 경우에는 84%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2 : 1 : 1, 즉 40μg/ml : 20μg/ml : 20μg/ml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에 항산화 펩타이드 50μM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을 50μM 을 추가한 경우에는 71%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었다.
물론, 도 6을 참조하면,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경우에 전술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혼합된 혼합물 보다 높은 수치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은 모두 2 : 1 : 1의 비율로 혼합되었으나,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만으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에 비하여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함량을 낮게 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즉,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멜라닌 함량이 낮아지는 것으로 볼 때, 전술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만으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과 동일한 함량인 100μg/ml : 50μg/ml : 50μg/ml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멜라닌 함량을 테스트 하게 되면 더 낮은 멜라닌 함량 수치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은 각각 2 : 1 : 1 의 최적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50 μM의 항산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경우 각각 23%, 45%, 77%의 항산화능 수치를 나타내었다.
즉, 전술한 바에 의하면 50μM 의 항산화 펩타이드 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16.10%의 항산화능 수치를 나타났지만, 50μM의 황산화 펩타이드와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2 : 1 : 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경우 23%의 항산화능 수치를 나타냈으며,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45%, 77%의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하지 않은 CON(무처리균; 증류수)과 α-MSH(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의 항산화능 수치는 0% 으로 수렴된다.
따라서, 항산화능 수치를 높이기 위하여 항산화 펩타이드의 함량을 늘린전술한 바와 달리, 항산화 펩타이드의 양을 늘리지 않고도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을 2 : 1 : 1의 비율로 혼합하되,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양을 늘리는 것만으로도 항산화능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항산화 펩타이드 만을 사용하는 것 보다 항산화 펩타이드와 일정 비율의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에 더 우수한 노화방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2 : 1 : 1의 비율로 혼합되는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에 항산화 펩타이드의 함량을 50 μM 에서 늘리면 도 6에 나타난 항산화능의 수치보다 더 높은 항산화능 수치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의 실험방법 및 실험결과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 설명된 실험방법 및 실험결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가 일정한 중량%로 혼합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지 추출불,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의 혼합물의 각 구성 중량%는 하기 [표 3]과 같다.
참고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항산화 펩타이드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5 ~ 0.25, 0.05 ~ 0.15, 0.05 ~ 0.15 및 0.05 ~ 0.1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하기 표에서와 같이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하여 0.2, 0.1, 0.1 및 0.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
(중량%)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상지 0.2 0.5 - - -
감초 0.1 - 0.5 - -
한련초 0.1 - - 0.5 -
항산화 펩타이드 0.1 - - - 0.5
증류수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Up to 100
실험예 1: 멜라닌 저해능 (in vitro)
멜라닌 합성 저해능 실험은 B16F1 melanoma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Ba6F1 melanoma 세포를 6 well plate에 1X105 cells/well로 총 용적을 2ml가 되도록 분주한 뒤에 37℃에서 48시간 반응하였다. 48시간 반응 후에, 모든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는 harvest 한 뒤에, lysis과정을 거쳐 melanoma 세포에 포함된 전체 melanin의 양을 측정하여 펩타이드 합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조건 멜라닌 저해능(%)
2일차 4일차
실시예 20 30
비교예 1 16 21
비교예 2 13 19
비교예 3 12 18
비교예 4 1 1
실험예 2: 항산화능 효과(in victro)
DPPH는 보라색을 띄고 있는 화합물로, 항산화활성을 갖는 물질과 반응하여 노란색으로 탈색되는 독특한 광흡수를 가지고 있어 황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때, 안정한 자유 라디칼인 1, 1-dipheny1-2-picryl hydrazyl(DPPH)를 일정한 시료 용액과 반응시켜 DPPH 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간단한 황산화능 평가 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실험 방법은 실온에서 10분간 방지한 test tube 에서 증류수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517m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control의 흡광도를 저해도로 계산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64418815-pat00001
(Abssample = Abstest - Abscolor)
구분 항산화능(%)
실시예 20
비교예 1 1
비교예 2 0.5
비교예 3 1
비교예 4 17
제조예 1: 펩타이드 및 아미노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실시예의 구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를 하기 [표 6]과 같이 제조하였다. [표 6] 기재된 실시예 2는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이고, [표 6]에 기재된 비교예 5는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이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에는 항산화 펩타이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이외에도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에탄올, 소듄하이알루로네이트, 디메치콘,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향, 방부제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참고로,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과 항산화 펩타이드의 혼합물의 경우에는,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항산화 펩타이드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5 ~ 0.25, 0.05 ~ 0.15, 0.05 ~ 0.15 및 0.05 ~ 0.1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하기 표에서와 같이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하여 0.2, 0.1, 0.1 및 0.1의 중량 %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 분 실시예 2(중량 %) 비교예 5(중량 %)
펩타이드 0.100
상지 0.200
감초 0.100
한련초 0.100
글리세린 10.000 10.000
프로필렌글라이콜 10.000 10.000
에탄올 5.000 5.000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500 0.500
디메치콘 0.5 0.5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35 0.35
향,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험예 3: 미백 효과 평가 (육안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만 35 ~ 만 55세의 대한민국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각 8주간 일상적인 로션 사용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5를 얼굴의 각 면에 구분지어 사용하게 하였으며, 피검자의 미백효과를 숙련된 의사의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다.
구분 주름개선효과 유효율(%)
실시예 2 우수 약간 없음
16 2 2 80
비교예 5 2 5 13 10
상기의 [표 7]을 참조하면,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경우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 및 항산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보다 주름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상지 추출물 : 상기 감초 추출물 : 상기 한련초 추출물이 각각 1.5 ~ 2.5 : 0.5 ~ 1.5 : 0.5 ~ 1.5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상지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한련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항산화 펩타이드 성분을 더 포함하며,
    [화학식 1]
    [Arg-Gly-Leu-His-Pro-Val-Pro-Gln]
    상기 상지 추출물, 상기 감초 추출물, 상기 한련초 추출물 및 상기 항산화 펩타이드는 상기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15 ~ 0.25, 0.05 ~ 0.15, 0.05 ~ 0.15 및 0.05 ~ 0.15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75999A 2018-06-29 2018-06-29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14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999A KR102014842B1 (ko) 2018-06-29 2018-06-29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999A KR102014842B1 (ko) 2018-06-29 2018-06-29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842B1 true KR102014842B1 (ko) 2019-08-27

Family

ID=6780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999A KR102014842B1 (ko) 2018-06-29 2018-06-29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287A (ko) 2022-06-17 2023-12-27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루시놀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47B1 (ko) 2006-08-10 2009-05-25 (주)엘리애드 엘리베이터용 전단지 배포대
KR20150062912A (ko) * 2013-11-29 2015-06-08 (주)에스.앤.디 색소 침착의 예방·치료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947B1 (ko) 2006-08-10 2009-05-25 (주)엘리애드 엘리베이터용 전단지 배포대
KR20150062912A (ko) * 2013-11-29 2015-06-08 (주)에스.앤.디 색소 침착의 예방·치료용 조성물
KR20170136911A (ko) *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J FOOD DRUG ANAL. 20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287A (ko) 2022-06-17 2023-12-27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루시놀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216B1 (ko) 피토플라센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84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402211B1 (ko)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74605B1 (ko) 새우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0277A (ko) 글리코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1517B1 (ko)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32699B1 (ko) 스키산드린(Schisandrin)의 함량이 증진된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 완화 또는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5400050A (zh) 包含天山雪莲、松萝及发酵黑参提取物的抗老化用组合物
KR101822043B1 (ko) 블루 로터스 및 아이슬란드 이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1190B1 (ko) 비양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85468B1 (ko) 시체 추출물, 마발 추출물 또는 랄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119288B1 (ko) 송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