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198A -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 Google Patents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198A
KR20220139198A KR1020210045562A KR20210045562A KR20220139198A KR 20220139198 A KR20220139198 A KR 20220139198A KR 1020210045562 A KR1020210045562 A KR 1020210045562A KR 20210045562 A KR20210045562 A KR 20210045562A KR 20220139198 A KR20220139198 A KR 2022013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exposure window
gloves
fingers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윤숙
장상기
Original Assignee
문윤숙
장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윤숙, 장상기 filed Critical 문윤숙
Priority to KR102021004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9198A/ko
Publication of KR2022013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시에 바이러스로부터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손가락 부분만 끼울 수 있도록 심플하게 구성되어 갑갑하지 않고 사계절 사용할 수 있으며 노출창을 통해 통기감이 우수하고 세척이 용이하며, 노출창과 몸체의 탄력을 이용하여 손가락 끝마디의 완전 노출과 다시 착용이 간편해서 스마트폰의 잦은 터치 작업에 부담이 없는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서 바이러스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하는 손가락 장갑에 있어서, 일측 개방구를 통해 하나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탄성 재질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에 손가락이 외부 공기와 소통하도록 절개되는 노출창;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단부가 앞으로 당겨지면서 위로 휘어지도록 벗겨지서 노출창을 통해 손가락의 끝마디가 노출된 상태로 다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Touchable Finger Gloves for Prevention of Infection}
본 발명은 손가락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 바이러스로부터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손가락 부분만 끼울 수 있도록 심플하게 구성되어 갑갑하지 않고 사계절 사용할 수 있으며 노출창을 통해 통기감이 우수하고 세척이 용이하며, 노출창과 몸체의 탄력을 이용하여 손가락 끝마디의 완전 노출과 다시 착용이 간편해서 스마트폰의 잦은 터치 작업에 부담이 없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스포츠를 즐기는 동안에 평상시에는 엄지, 검지, 약지손가락 전체 또는 일부만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평상시 충분한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고, 손가락을 이용할 때에는 굳이 장갑을 벗을 필요가 없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부분만을 따로 외부로 노출하여 전화를 걸거나 운동화 끈을 묶는 등 섬세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한 스포츠용 장갑이 개발된 바 있다(공개특허 제2009-0004460호).
종래 기술로서, 장갑의 손가락 끝을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하여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부분을 밀어젖히는 간단한 동작으로 손쉽게 맨손 상태의 손가락 그대로 터치기능 및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두꺼운 터치장갑의 답답하고 둔탁한 사용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문자입력시 오타율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 손가락 끝의 미세한 터치감을 그대로 살리며 각종 터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손가락 끝이 개폐되는 기능장갑이 개발된 바 있다(공개특허 제2013-0004288호).
종래 기술로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일부가 노출되어지도록 형성되는 장갑에 의해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을 손가락에 의해 직접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이 개발된 바 있다(공개특허 제2014-0088773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손 전체를 감싸는 장갑 형태로 사계절 착용하기 어렵거나 통기가 원활하지 않거나 쉽게 늘어나지 않기 위해 손가락을 심하게 압박하거나 단단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등 방역 위생과는 거리가 먼 장갑으로 바이러스에 의해 실생활이 위협받는 현재의 긴박한 환경에 적용하기는 곤란한 각각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KR 공개특허 제2009-0004460호 (2009.05.12) KR 공개특허 제2013-0004288호 (2013.07.10) KR 공개특허 제2014-0088773호 (2014.07.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평상시에 바이러스로부터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손가락 부분만 끼울 수 있도록 심플하게 구성되어 갑갑하지 않고 사계절 사용할 수 있으며 노출창을 통해 통기감이 우수하고 세척이 용이하고, 노출창과 몸체의 탄력을 이용하여 손가락 끝마디의 완전 노출과 다시 착용이 간편해서 스마트폰의 잦은 터치 작업에 부담이 없으며, 각종 돌기들이 노출된 피부의 외부 접촉을 다소 어렵게 하거나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하거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여러 개의 손가락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손가락을 노출시킬 때 인접 손가락과 연결된 체결끈에 의해 몸체 전체가 쉽게 앞으로 벗겨지지 않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은 손가락에 끼워서 바이러스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하는 손가락 장갑에 있어서, 일측 개방구를 통해 하나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탄성 재질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에 손가락이 외부 공기와 소통하도록 절개되는 노출창;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단부가 앞으로 당겨지면서 위로 휘어지도록 벗겨지서 노출창을 통해 손가락의 끝마디가 노출된 상태로 다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출창의 테두리 중앙에 대칭으로 이격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출창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출창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앞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위로 라운드지도록 돌출되는 미끄럼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에서 노출창의 반대쪽에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보강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개방구 테두리에는 체결 고리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 고리에 결합되어 인접 손가락끼리 연결하는 결합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개방구 테두리에는인접 손가락이 끼워지는 몸체의 개방구 테두리와 연결되는 결합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출창은 몸체의 측면 중앙 높이까지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은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1) 평상시에 바이러스로부터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손가락 부분만 끼울 수 있도록 심플하게 구성되어 갑갑하지 않고 사계절 사용할 수 있으며 노출창을 통해 통기감이 우수하고 세척이 용이하다.
2) 노출창과 몸체의 탄력을 이용하여 손가락 끝마디의 완전 노출과 다시 착용이 간편해서 스마트폰의 잦은 터치 작업에 부담이 없다.
3) 각종 돌기들이 노출된 피부의 외부 접촉을 다소 어렵게 하거나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하거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여러 개의 손가락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손가락을 노출시킬 때 인접 손가락과 연결된 체결끈에 의해 몸체 전체가 쉽게 앞으로 벗겨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4,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7,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에 끼워서 바이러스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하는 손가락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100) 및 노출창(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손가락 형상이며 실리콘이나 라텍스 등 유연하고 얇은 탄성 재질로 일측 개방구(110)를 통해 하나의 손가락이 끼워진다.
노출창(120)은 상기 몸체(100)의 전방 하부에 손가락이 외부 공기와 소통하도록 절개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사용시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가 앞으로 당겨지면서 위로 휘어지도록 벗겨지서 노출창(120)을 통해 손가락의 끝마디가 노출된 상태로 다시 축소된다.
그리고, 상기 노출창(120)의 테두리 중앙에 대칭으로 이격 돌기(130)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돌기(130)는 노출창(120)을 통해 노출된 안쪽 손가락 피부가 외부와 쉽게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긴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돌기(130)는 노출창(120)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전부에 걸쳐서 또는 일부에만 돌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창(120)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앞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손가락 형상을 따라 위로 라운드지도록 돌출되는 미끄럼 돌기(140)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돌기(140)는 전후 방향으로 마찰이 가해졌을 때에 부드럽게 미끄러져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여러 개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바깥쪽 추가 미끄럼 돌기들은 가운데 쪽 미끄럼 돌기(140)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돌기(140)는 이격 돌기(130)가 구비된 상태에서 그 전방에 추가적으로 돌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잦은 탈착에도 내구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몸체(100)에서 노출창의 반대쪽에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보강 돌기(150)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돌기(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하나 또는 여러 개를 앞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돌출시킬 수 있고, 추가적으로 아래를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지면서 라운드지도록 돌출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개방구(110) 테두리에는 체결 고리(160)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 고리(160)에 결합되어 인접 손가락이 끼워진 몸체(100)끼리 연결하는 결합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몸체(100)를 손가락에 끼웠을 때를 나타내는 것으로, 노출창이 향하는 방향이 손바닥 방향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손톱이 보일 정도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개방구(110) 테두리에는 체결 고리를 생략하고 인접 손가락이 끼워지는 몸체의 개방구 테두리와 연결되는 결합끈을 일체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창(120)은 손가락의 노출 부위 면적을 넓히고 벗겨지기 쉽도록 몸체(100)의 측면 중앙 높이까지 절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 바이러스로부터 손가락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손가락 부
분만 끼울 수 있도록 심플하게 구성되어 갑갑하지 않고 사계절 사용할 수 있으며 노출창을 통해 통기감이 우수하고 세척이 용이하다.
노출창과 몸체의 탄력을 이용하여 손가락 끝마디의 완전 노출과 다시 착용이 간편해서 스마트폰의 잦은 터치 작업에 부담이 없다.
각종 돌기들이 노출된 피부의 외부 접촉을 다소 어렵게 하거나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하거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러 개의 손가락에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손가락을 노출시킬 때 인접 손가락과 연결된 체결끈에 의해 몸체 전체가 쉽게 앞으로 벗겨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몸체 110...개방구
120...노출창 130...이격 돌기
140...미끄럼 돌기 150...보강 돌기
160...체결 돌기 170...결합끈

Claims (8)

  1. 손가락에 끼워서 바이러스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하는 손가락 장갑에 있어서,
    일측 개방구를 통해 하나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탄성 재질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방 하부에 손가락이 외부 공기와 소통하도록 절개되는 노출창;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전단부가 앞으로 당겨지면서 위로 휘어지도록 벗겨지서 노출창을 통해 손가락의 끝마디가 노출된 상태로 다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창의 테두리 중앙에 대칭으로 이격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창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창의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앞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위로 라운드지도록 돌출되는 미끄럼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서 노출창의 반대쪽에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보강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방구 테두리에는 체결 고리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 고리에 결합되어 인접 손가락끼리 연결하는 결합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방구 테두리에는인접 손가락이 끼워지는 몸체의 개방구 테두리와 연결되는 결합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창은 몸체의 측면 중앙 높이까지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KR1020210045562A 2021-04-07 2021-04-07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KR20220139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62A KR20220139198A (ko) 2021-04-07 2021-04-07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62A KR20220139198A (ko) 2021-04-07 2021-04-07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98A true KR20220139198A (ko) 2022-10-14

Family

ID=83599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62A KR20220139198A (ko) 2021-04-07 2021-04-07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919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460A (ko) 2007-06-28 2009-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30004288A (ko) 2010-02-23 2013-01-09 잉카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절첩식 다용도 트레일러
KR20140088773A (ko) 2013-01-03 2014-07-11 차승호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460A (ko) 2007-06-28 2009-01-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30004288A (ko) 2010-02-23 2013-01-09 잉카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절첩식 다용도 트레일러
KR20140088773A (ko) 2013-01-03 2014-07-11 차승호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65459A (ja) 手袋
KR20220139198A (ko)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GB2183990A (en) Finger protector
JP2009299246A (ja) 携帯電話用手袋
KR200449599Y1 (ko) 의료 시술용 고무장갑
JPWO2006022070A1 (ja) ラテックスグローブ
JP2021191909A (ja) 感染リスク軽減用手袋
JP2022133503A (ja) 手袋抜け落ち防止具
JP2001115319A (ja) キー操作用手袋
JP2002013012A (ja) ゴム手袋
KR20220021342A (ko) 엄지가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젓가락
KR102038595B1 (ko)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KR101728613B1 (ko) 의수
US20220339025A1 (en) Thumb suctioning prevention brace
JP3228931U (ja) ミトン
KR102551255B1 (ko) 전염 방지 골무
KR101884812B1 (ko) 수술용 장갑
JP3153716U (ja) 手袋
CN210960560U (zh) 一种高触感医用手套
KR101039693B1 (ko) 오지 작업용 장갑
KR102026803B1 (ko) 손 토시
KR200321660Y1 (ko) 손가락부 개폐 장갑
JP2022038801A (ja) 感染防止具
JP2009035830A (ja) 手袋
JP3209976U (ja) まつ毛エクステンション施術用手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