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595B1 -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 Google Patents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595B1
KR102038595B1 KR1020180087387A KR20180087387A KR102038595B1 KR 102038595 B1 KR102038595 B1 KR 102038595B1 KR 1020180087387 A KR1020180087387 A KR 1020180087387A KR 20180087387 A KR20180087387 A KR 20180087387A KR 102038595 B1 KR102038595 B1 KR 10203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rubber gloves
length
user
cover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김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일 filed Critical 김동일
Priority to KR102018008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다섯 손가락부을 구비한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의 선단으로부터 손가락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마디의 관절 위치에 이르는 길이까지 이중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손가락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손가락이 긴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착용하더라도 사용자 손가락 길이만큼 연장되어 고무장갑 본래의 긴밀한 착용감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finger length-adjustable rubber gloves}
본 발명은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에 관한 것으로, 사람들의 다양한 손가락 길이에 맞추어 고무장갑의 손가락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은 집안에서 설거지나 청소를 하거나 작업장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해 손을 보호할 목적으로 착용하는 도구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고무장갑의 경우 사용자의 손 크기게 맞는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나, 일반 가정집의 경우 주부의 손 크기에 맞는 제품만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 중 상대적으로 손가락의 길이가 긴 사람이 고무장갑을 착용하게 되면 손가락을 편안하게 움직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고무장갑이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가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6-0004401(2016.12.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들의 다양한 손가락 길이에 맞추어 고무장갑의 손가락 길이가 탄력적으로 가변되는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은, 다섯 손가락부을 구비한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의 선단으로부터 손가락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마디의 관절 위치에 이르는 길이까지 이중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 피복부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1차적으로 접촉하는 내피복부, 상기 내피복부를 감싸는 외피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피복부의 선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손가락이 관통하는 구조로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용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피복부의 관통용 절개부측 내부에는 상기 관통용 절개부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클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복부는 내피복부 보다 신축작용인 유리하도록 피복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복부의 손가락부 끝단 내면에는 손톱에 의해 찢어어지거나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부의 길이방향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이중 피복부를 구성함으로써, 손가락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손가락이 긴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착용하더라도 사용자 손가락 길이만큼 연장되어 고무장갑 본래의 긴밀한 착용감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중 피복부는 완만한 굴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무장갑을 설거지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이중피복구에 끼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손가락부의 구성 및 사용자의 손이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손가락부가 인장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손가락부의 내부 끝단에 보강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100)은, 다섯개의 손가락부(200)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상기 손가락부(200)의 선단으로부터 손가락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마디의 관절 위치에 이르는 길이까지 이중 피복부(300)가 형성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장갑(100)은 탄력적인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라텍스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이중 피복부(300)는 사용자의 손가락(10)과 1차적으로 접촉하는 내피복부(310)와 상기 내피복부(310)를 감싸는 외피복부(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중 피복부(300)는 2개의 내,외피복부(310,320)가 겹층되어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외피복부(320)의 경우 충분이 인장될 수 있도록 압축된 두께층(D)을 형성하며, 두께층(D)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외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되는 굴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피복부(320)는 내피복부(310) 보다 신축작용인 유리하도록 피복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피복부(320)는 내피복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고 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피복부(300)는 완만한 굴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무장갑을 설거지 용도로 사용할 경우, 음식물 찌꺼기가 이중 피복부(300)에 끼거나 물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중 피복부(300)는 손가락(10)의 첫 번째 마디의 관절 또는 두 번째 마디의 관절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피복부(310)의 선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10) 길이에 따라 손가락이 관통하는 구조로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통용 절개부(3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내피복부(310)에 관통용 절개부(311)를 형성한 이유는 상기 손가락부(20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손가락(10)이 긴 사용자가 고무장갑을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10)이 내피복부(310)의 관통용 절개부(311)를 뚫고 나와 외피복부(320)의 내면 선단을 가압하여 인장시킴으로써 사용자 손가락 길이만큼 늘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중 피복부(300)를 가지는 하나의 고무장갑(100)을 통해 손가락 길이가 다양한 사용자 모두에 대하여 고무장갑 본래의 긴밀한 착용감을 불편함 없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피복부(310)의 관통용 절개부(311)측 내부에는 상기 관통용 절개부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클립(312)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고무장갑(100)의 손가락부(200)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내피복부(310)에 형성된 관통용 절개부(311)는 개방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2 참조).
아울러, 상기 외피복부(320)의 손가락부(200) 끝단 내면에는 손톱에 의해 찢어어지거나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보강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321)는 별도의 패드를 추가적으로 부착하는 구조로 형성하거나 고무장갑(100) 성형시 상기 외피복부(320)의 끝단 내면 두께층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장갑(100)은 손목부분으로부터 팔꿈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팔보호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고무장갑 200 : 손가락부
300 : 이중 피복부 310 : 내피복부
311 : 관통용 절개부 320 : 외피복부
321 : 보강부 400 : 팔보호부

Claims (6)

  1. 다섯 손가락부을 구비한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의 선단으로부터 손가락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마디의 관절 위치에 이르는 길이까지 이중 피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이중 피복부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1차적으로 접촉하는 내피복부, 상기 내피복부를 감싸는 외피복부로 구성되며,
    상기 내피복부의 선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따라 손가락이 관통하는 구조로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용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복부의 관통용 절개부측 내부에는 상기 관통용 절개부가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클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복부는 내피복부 보다 신축작용인 유리하도록 피복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6.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복부의 손가락부 끝단 내면에는 손톱에 의해 찢어어지거나 구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KR1020180087387A 2018-07-26 2018-07-26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KR10203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87A KR102038595B1 (ko) 2018-07-26 2018-07-26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87A KR102038595B1 (ko) 2018-07-26 2018-07-26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595B1 true KR102038595B1 (ko) 2019-10-31

Family

ID=6842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87A KR102038595B1 (ko) 2018-07-26 2018-07-26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59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830U (ko) * 1994-08-17 1996-03-13 한기봉 개량 장갑
JPH11158713A (ja) * 1997-11-28 1999-06-15 Watabe Kogyo Kk 高圧ゴム手袋用保護手袋
JP2001336009A (ja) * 2000-05-26 2001-12-07 Rutaka Kobayashi 折返し構造の指先開口の手袋
KR100535317B1 (ko) * 2004-02-26 2005-12-0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신축성 장갑
KR200406059Y1 (ko) * 2005-10-12 2006-01-20 이재윤 고무장갑
EP1961319A1 (en) * 2007-02-23 2008-08-27 Tien-Fu Chen Multi-layer polymer glove
JP3170436U (ja) * 2011-07-05 2011-09-15 ヨークス株式会社 手袋
JP2013127128A (ja) * 2011-12-16 2013-06-27 Midori Anzen Co Ltd 手袋
JP3199965U (ja) * 2015-07-09 2015-09-17 賢仁 茂木 指紋認証用手袋
KR20160128827A (ko) * 2015-04-29 2016-11-08 김성욱 고무장갑 손가락 끝 부분의 보호캡
KR20160004401U (ko) 2015-06-14 2016-12-22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돌기형 고무장갑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830U (ko) * 1994-08-17 1996-03-13 한기봉 개량 장갑
JPH11158713A (ja) * 1997-11-28 1999-06-15 Watabe Kogyo Kk 高圧ゴム手袋用保護手袋
JP2001336009A (ja) * 2000-05-26 2001-12-07 Rutaka Kobayashi 折返し構造の指先開口の手袋
KR100535317B1 (ko) * 2004-02-26 2005-12-0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신축성 장갑
KR200406059Y1 (ko) * 2005-10-12 2006-01-20 이재윤 고무장갑
EP1961319A1 (en) * 2007-02-23 2008-08-27 Tien-Fu Chen Multi-layer polymer glove
JP3170436U (ja) * 2011-07-05 2011-09-15 ヨークス株式会社 手袋
JP2013127128A (ja) * 2011-12-16 2013-06-27 Midori Anzen Co Ltd 手袋
KR20160128827A (ko) * 2015-04-29 2016-11-08 김성욱 고무장갑 손가락 끝 부분의 보호캡
KR20160004401U (ko) 2015-06-14 2016-12-22 대덕대학산학협력단 돌기형 고무장갑
JP3199965U (ja) * 2015-07-09 2015-09-17 賢仁 茂木 指紋認証用手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7807A (en) Work glove finger structure
US10111477B1 (en) Batting glove
US2266716A (en) Rubber glove
US20140343469A1 (en) Orthopedic Cast Cover
US1916921A (en) Thumb protector
JP2021165459A (ja) 手袋
US922237A (en) Cotton-picking glove.
KR102038595B1 (ko) 손가락 길이조절 고무장갑
US2477126A (en) Thumb-sucking preventer
US9642405B2 (en) Glove with closure member
US20190335970A1 (en) Dishwashing glove
US20210392964A1 (en) Retractable Finger Barrier
JP2021185286A (ja) 手袋
JP5819462B2 (ja) 手腕分離型カバー
KR102119883B1 (ko) 골프 장갑
KR20160128827A (ko) 고무장갑 손가락 끝 부분의 보호캡
KR102440413B1 (ko) 일회용 장갑이 탈부착되는 기능성 장갑
KR20190003083U (ko) 작업용 장갑
US2512872A (en) Elastic ventilated tubular envelope
KR20220139198A (ko)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JP3228931U (ja) ミトン
JP3104396U (ja) ハンドウオーマー
JP3204754U (ja) ネールアート保護用三つ指手袋
KR20130000225A (ko) 개구부의 둘레 길이 조절이 가능한 양면 고무장갑
KR20240001877A (ko) 고무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