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773A -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773A
KR20140088773A KR1020130000703A KR20130000703A KR20140088773A KR 20140088773 A KR20140088773 A KR 20140088773A KR 1020130000703 A KR1020130000703 A KR 1020130000703A KR 20130000703 A KR20130000703 A KR 20130000703A KR 20140088773 A KR20140088773 A KR 2014008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martphone
glove
touch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호
박화영
Original Assignee
차승호
박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호, 박화영 filed Critical 차승호
Priority to KR102013000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773A/ko
Publication of KR2014008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Gloves with undivided covering for all four fingers, i.e. mitte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일부가 노출되어지도록 형성되는 장갑에 의해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을 손가락에 의해 직접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은,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각각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끼움부;
상기 손가락 끼움부의 손가락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 형성되며,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노출되는 손가락 단부에 의해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며, 닫힘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손가락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gloove for smartphone touch}
본 발명은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일부가 노출되어지도록 형성되는 장갑에 의해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을 손가락에 의해 직접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터치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이는 터치화면 센서를 구성하는 기판의 양면에 특수 전도성 금속물질을 코팅하여 투명전극층을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할 경우, 사용자의 몸에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터치패널의 수신부가 변형된 파형을 감지하고, 감지된 파형의 위치가 제어부에 의하여 계산되는 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사용방식은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는 정전기를 이용함으로 인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화면을 터치할 경우, 정전기가 통하지 않아 스마트폰이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추운 날씨에 스마트폰을 조작할 때마다 일반 장갑(목 장갑, 털실 장갑 또는 가죽 장갑 등을 말함)을 벗어서 사용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1에서와 같이, 국내 특허출원 10-2011-0112684호에 스마트폰용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0112684호는, 손바닥 및 손등과 손가락에 각각 착용되는 장갑에 있어서,
손가락 단부의 전면을 제외한 장갑의 모든 부위는 합성섬유사(1)로 제직하고, 손가락 단부의 전면은 울,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인 제1바탕사(11)와 구리, 알루미늄, 탄소,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인 도전체(13)가 8 ~ 9.5 : 0.5 ~ 2 비율로 이루어지는 도전사(10)와,
울,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인 제2바탕사(20)가 연사되어 제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특허출원 제0112684호는, 장갑의 손가락 단부에 형성되는 도전사(10)의 도전층(13)에 의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반면에 일반 장갑 직조시 도전사(10)를 직조하는 작업공정 추가로 인해 원가비용이 상승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용 장갑을 구입시 경제적인 부담이 뒤따르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스마트폰용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스마트폰용 장갑의 손가락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도전사(10)의 도전층(13)에 의한 전류가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에 전달되지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고가의 스마트폰용 장갑에 대한 사용자들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을 직접적으로 터치하여 정확하게 조작하게 되므로 신뢰성을 갖게 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 장갑을 직조시 손가락 부위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사를 추가로 직조하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의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은,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각각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끼움부;
상기 손가락 끼움부의 손가락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를 개폐시키도록 손가락 끼움부에 형성되며,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노출되는 손가락 단부에 의해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며, 닫힘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손가락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덮개부를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대응되게 상기 손가락 끼움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덮개부의 단부에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은,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1손가락 끼움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검지 손가락 내지 소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2손가락 끼움부;
상기 제1손가락 끼움부 또는 제2손가락 끼움부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노출되는 손가락 단부에 의해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며, 닫힘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손가락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스마트폰 등의 터치스크린을 직접 터치하여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 발생되는 전류가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에 정확하게 전달되어 조작되므로 신뢰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일반 장갑을 직조할 경우에 손가락 부위에 도전층을 갖는 도전사를 직조하는 작업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의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원가비용이 절감되므로 사용자들은 저가의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을 구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을 보호하는 장갑 고유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제1사용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있어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2사용상태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a,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은,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50);
상기 몸체부(50)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51);
상기 몸체부(50)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각각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끼움부(52);
상기 손가락 끼움부(52)의 손가락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손가락 끝마디가 빠져나갈수 있는 절개부(57)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57)를 개폐시키도록 손가락 끼움부(52)에 형성되며,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노출되는 손가락 단부에 의해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53)을 터치하며, 닫힘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손가락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부(54)(일 예로서 덮개부(54)가 엄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끼움부(52)에 형성됨이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54)를 손가락 끼움부(52)에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덮개부(5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55)와,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55)와 대응되게 손가락 끼움부(52)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56)로 이뤄진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덮개부(54)의 단부에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밴드부(일 예로서 띠 형상의 고무밴드 또는 링 타입의 밴드 등을 말함)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장갑(일 예로서 목 장갑, 면 장갑, 털실 장갑 또는 가죽 장갑 등을 말함)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지않는 경우로서, 상기 덮개부(54)가 고정수단(일 예로서 벨크로테이프가 사용됨)에 의해 손가락 끼움부(52)에 고정되므로, 덮개부(54)에 의해 절개부(57)가 덮혀지게 된다. 즉 각각의 손가락이 손가락 끼움부(52)에 각각 끼워지므로 손(손등, 손바닥, 손가락, 손목을 말함)을 보호하는 장갑 고유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b)에서와 같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손가락에 의해 터치하는 경우로서, 상기 덮개부(54)를 고정수단의 고정 해제에 의해 절개부(57)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손가락 끼움부(52)의 제2벨크로테이프(56)로부터 이와 대응되게 형성된 덮개부(54)의 제1벨크로테이프(55)를 분리시킨다. 따라서 개방되는 절개부(57)를 통해 손가락 끼움부(52)로부터 빠져나오는 손가락에 의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53)을 직접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가락이 각각 끼워지는 손가락 끼움부(52) 단부에 절개부(57)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된 덮개부(54)를 개방시킴에 따라, 절개부(57)를 통해 노출되어지는 손가락에 의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53)을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소위 "벙어리 장갑"을 말함)은,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60);
상기 몸체부(60)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61);
상기 몸체부(60)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1손가락 끼움부(62);
상기 몸체부(60)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검지 손가락 내지 소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2손가락 끼움부(63);
상기 제1손가락 끼움부(62) 또는 제2손가락 끼움부(63)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노출되는 손가락 단부에 의해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53)을 터치하며, 닫힘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손가락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부(6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손가락 끼움부(62) 또는 제2손가락 끼움부(63)에 덮개부(64)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일 예로서, 덮개부(64)가 엄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1손가락 끼움부(62)에 형성됨이 도시됨)은
상기 덮개부(64)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65)와,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65)와 대응되게 제1손가락 끼움부(62) 또는 제2손가락끼움부(63)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66)로 이뤄진다.
이때, 상기 제1손가락 끼움부(62) 또는 제2손가락 끼움부(63) 일측에 덮개부(64)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50,60; 몸체부
51,61; 손목부
52; 손가락 끼움부
53; 터치스크린
54; 덮개부
55,65; 제1벨크로테이프
56,66; 제2벨크로테이프
62; 제1손가락 끼움부
63; 제2손가락 끼움부
64; 덮개부

Claims (4)

  1.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각각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 끼움부;
    상기 손가락 끼움부의 손가락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개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 형성되며,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노출되는 손가락 단부에 의해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며, 닫힘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손가락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를 상기 손가락 끼움부에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벨크로테이프와,
    상기 제1벨크로테이프와 대응되게 상기 손가락 끼움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벨크로테이프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덮개부의 단부에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4.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에 있어서:
    손등 및 손바닥을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손목을 감싸는 손목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엄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1손가락 끼움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연장형성되어 검지 손가락 내지 소지 손가락이 끼워지는 제2손가락 끼움부;
    상기 제1손가락 끼움부 또는 제2손가락 끼움부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경우 노출되는 손가락 단부에 의해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며, 닫힘상태로 복귀시킬 경우 상기 손가락 단부를 감싸 보호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KR1020130000703A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KR20140088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03A KR20140088773A (ko)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03A KR20140088773A (ko)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73A true KR20140088773A (ko) 2014-07-11

Family

ID=5173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703A KR20140088773A (ko) 2013-01-03 2013-01-03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7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749B1 (ko) * 2019-07-29 2021-02-03 지인태 시각장애인용 장갑
CN114376292A (zh) * 2021-12-13 2022-04-22 淮安新坤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仿生触屏操控结构的浸渍胶乳劳保手套
KR20220139198A (ko) 2021-04-07 2022-10-14 문윤숙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749B1 (ko) * 2019-07-29 2021-02-03 지인태 시각장애인용 장갑
KR20220139198A (ko) 2021-04-07 2022-10-14 문윤숙 방역 위생 손가락 터치 장갑
CN114376292A (zh) * 2021-12-13 2022-04-22 淮安新坤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仿生触屏操控结构的浸渍胶乳劳保手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90966A1 (en) Capacitive Sensor Gloves
US20210219641A1 (en) Glove
US20140165262A1 (en) Capacitive sheaths for hand coverings
US8400256B2 (en) Glove with a particularized electro-conductivity feature
US20140151417A1 (en) Case for electronic tablet device
US20130152272A1 (en) Protective Glove with Conductive Stitching
KR20120068886A (ko) 전도성 손끝 부분이 구비된 장갑
KR20140088773A (ko) 스마트폰 터치용 장갑
JP3168219U (ja) 手袋
KR20130002847A (ko) 장갑
WO2013048343A2 (en) Mitten / glove combination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ve portions
KR20120044676A (ko)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조작용 장갑
US10268269B2 (en) Glove for use with touch interface devices
JP3202627U (ja) 指紋認証用手袋
JP2021191909A (ja) 感染リスク軽減用手袋
JP3168221U (ja) 手袋
KR101181973B1 (ko) 정전식 감응기구 조작이 가능한 장갑
KR20110087606A (ko) 맨손 사용이 용이한 벙어리장갑
JP3170436U (ja) 手袋
US10838494B2 (en) Thumb glove for touchscreen devices
JP3167817U (ja) 手袋
KR20190003083U (ko) 작업용 장갑
JP3172060U (ja) 入力補助具
JP3190537U (ja) 手袋
KR200227527Y1 (ko) 손가락의 일부 노출 기능을 구비한 장갑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