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219A -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219A
KR20220138219A KR1020210044087A KR20210044087A KR20220138219A KR 20220138219 A KR20220138219 A KR 20220138219A KR 1020210044087 A KR1020210044087 A KR 1020210044087A KR 20210044087 A KR20210044087 A KR 20210044087A KR 20220138219 A KR20220138219 A KR 2022013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vegetables
sub
main
vegetables
noo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동식
Original Assignee
엄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동식 filed Critical 엄동식
Priority to KR102021004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219A/ko
Publication of KR2022013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Abstract

본 발명은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재료산채를 준비하는 주재료준비단계(S10); 준비된 주재료산채를 가공하는 주재료가공단계(S20); 가공된 재료와 반죽재료를 혼합하는 재료혼합단계(S30); 혼합된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단계(S40); 반죽된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S50);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기에 투입하여 면을 뽑아내는 제면단계(S6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채류가 가지는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의 함량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산채류 특유의 쓴맛과 신맛은 억제되어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깔끔하고 담백한 맛과 특유의 향, 고운 색을 가지게 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면의 제조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noodle Using wild vegetables}
본 발명은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채류에 함유된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의 감소 없이 산채류 특유의 쓴맛, 신맛을 억제하면서 식감이 찰지고, 부드러우며, 담백한 맛과 특유의 향, 고운 색을 가지는 면의 제조가 가능케 한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나 아시아지역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쌀로 만든 밥을 주식으로 하며, 주로 밀가루를 이용해 만드는 면(noodle)은 식사 대용으로 섭취하거나 간식 혹은 특별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면을 이용한 다양한 요리가 개발되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면 요리를 전문적으로 하는 외식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밀가루를 주재료로 하는 면은 다른 음식과 비교할 때 심각한 영양 불균형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는데, 특히 밀가루로만 만든 면은 식물성 단백질인 글루텐 함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글루텐(gluten)은 각종 질병이나 면역체계 질환을 발생시키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다수의 소비자에게 글루텐에 대한 과민 반응이 일어나고 있어서 밀가루를 주재료로 하는 면에 대한 기피감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보다 건강하게 면을 먹을 수 있도록 쌀을 주재료로 하여 면을 만들기도 하지만, 쌀로 만든 면은 찰기가 없고 둔탁하여 식감이 거칠 뿐만 아니라, 쌀로 만든 면이라도 건강에 유익한 성분이 특별히 많은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 수요는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한편, ‘산채’는 넓은 의미에서 산에서 나는 나물류와 버섯류를 포괄하는데, 이러한 산채류는 약재로도 사용될 정도로 다양한 효능을 구현하는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식품으로도 많이 섭취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산채류는 주로 나물로 만들어 먹는 정도이며, 그 종류도 취나물, 고사리, 고비, 도라지, 잔대, 더덕과 같이 자극적인 맛과 향이 적은 산채류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어수리나 영아자와 같이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특유의 쓴맛, 신맛이 강하여 호불호가 있는 산채류는 섭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산채류는 주로 나물로 만들어 먹기 때문에, 나물 특유의 질깃한 식감을 싫어하는 소비자가 많아 보다 다양한 종류의 산채류를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요리법이나 가공방법 등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3027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채류에 함유된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의 감소 없이 산채류 특유의 쓴맛, 신맛을 억제하면서 식감이 찰지고, 부드러우며, 담백한 맛과 특유의 향, 고운 색을 가지는 면의 제조가 가능케 한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주재료산채를 준비하는 주재료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된 주재료산채를 가공하는 주재료가공단계(S20);
상기 가공된 재료와 반죽재료를 혼합하는 재료혼합단계(S30);
상기 혼합된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단계(S40);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S50);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기에 투입하여 면을 뽑아내는 제면단계(S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재료산채는 어수리, 영아자, 곰취, 다래순, 참나물, 취나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재료가공단계(S20)는,
준비된 주재료산채를 끓는 소금물에 데치는 주재료데침단계(S201);
상기 데친 주재료산채를 건조하는 주재료건조단계(S202);
상기 건조된 주재료산채를 분말이 되게 분쇄하는 주재료분쇄단계(S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혼합단계(S30)는, 반죽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밀가루 40 내지 50 중량%, 주재료 15 내지 25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반죽단계(S40)는 재료혼합단계(S30)에서 혼합된 혼합물과, 반죽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25 내지 35%, 식염 2 내지 5 중량%를 반죽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숙성단계(S50)는 반죽물을 100 내지 500g 단위로 소분한 후 채반에 담아 면포로 덮고, 2 내지 5℃에서 12 내지 24시간 저온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분쇄된 주재료는 -5 내지 -20℃에서 냉동 보관하는 주재료냉동보관단계(S2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상기 반죽재료와 혼합하기 위하여 부재료산채를 가공하는 부재료가공단계(S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산채는 어수리뿌리, 더덕, 도라지, 잔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부재료산채를 준비하는 부재료준비단계(S701);
준비된 부재료산채를 끓는 식초물에 데치는 부재료데침단계(S702);
상기 데친 부재료산채를 건조하는 부재료건조단계(S703);
상기 건조된 부재료산채를 분말이 되게 분쇄하는 부재료분쇄단계(S7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혼합단계(S30)는, 반죽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밀가루 40 내지 50 중량%, 주재료 10 내지 15 중량%, 부재료 5 내지 10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건조된 부재료를 100 내지 200℃에서 5 내지 30분 동안 볶아내는 부재료볶음단계(S7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분쇄된 부재료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부재료추출물을 제조하는 부재료추출단계(S706);
상기 추출된 부재료추출물을 농축하는 추출물농축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추출단계(S706)는 5 내지 2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채류가 가지는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의 함량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산채류 특유의 쓴맛과 신맛은 억제되어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깔끔하고 담백한 맛과 특유의 향, 고운 색을 가지게 되어 상품성이 우수한 면의 제조가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면은 식감이 찰지면서, 맛이 담백하고, 산채류 특유의 향과 고운 색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면 요리에 사용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산채류를 사용하여 면 제조가 가능하도록 주재료준비단계(S10), 주재료가공단계(S20), 재료혼합단계(S30), 반죽단계(S40), 숙성단계(S50), 제면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주재료준비단계(S10)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3~5월에 산에서 채집 또는 수확되는 산채류를 주재료산채로 준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주재료산채는 어수리, 영아자, 곰취, 다래순, 참나물, 취나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잎만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수리는 줄기가 곧게 위로 하나씩 뻗어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 하여 어수리라 불렀으며 바람이 없을 때는 홀로 움직인다 하여 독요초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어린잎의 밑동을 뜯는다.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듯하다.
풍한습(風寒濕)으로 인한 근육통, 관절염, 요통, 무릎과 하지 동통에 사용하고 조습작용이 있어 피부가려움증, 외감성 발열, 두통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은 진정, 최면, 진통, 항염증, 혈압강하, 항경련, 항궤양, 햇빛 알레르기 등에 효과가 보고 되었다.
영아자는 뿌리잎은 잎자루가 무척 길고,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심장 모양이고, 잎자루가 뿌리잎보다 짧으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는데, 부드러운 잎과 어린 순을 선택한다.
향긋하고 단맛이 나며, 사포닌, 비타민 A, B, U, 칼슘, 인 철, 단백질,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은 몸을 보하고, 열을 내리며, 기침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보고 되었으며 한방에서는 몸에 열이 나고 오한이 들 때, 천식이 심할 때 약으로 처방한다.
곰취는 서늘한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산나물로 재배가 가능하나 파종하여 수확하기까지 2~3년이 걸리는 작물이다.
잎이 넓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데, 크기가 크며 부드럽고 연한 녹색을 띠는 것을 선택한다.
톡 쏘는 맛이 아닌 부드럽게 쌉싸름한 맛과 은은하게 풍기는 상큼한 향이 특징이다.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통 효과를 좋게 하고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베타카로틴, 비타민 C, A, 단백질, 니아신, 탄수화물, 회분, 칼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은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혈액순환 개선과 기침, 천식에 대한 치료에도 좋으며, 요통이나 관절통 완화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래순은 열매가 달아서 다래라 하는 다래나무의 연한 순 중에서 잎이 깨끗하고 여리고 선명한 색을 띠는 것을 선택한다.
비타민과 식이섬유소가 풍부하여 변비 예방 및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
참나물은 짙은 초록색을 띠는 부드러운 잎을 뜯는다.
특유의 맛과 향이 진하며, 베타카로틴, 비타민 A, C가 풍부하며, 열량이 매우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안구건조증 예방 효과가 있다.
취나물은 부드럽고 연한 녹색을 띠는 것을 딴다.
알싸한 맛과 특유의 향이 있으며, 비타민 A, 칼륨이 풍부하며, 열량이 매우 낮아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며, 체내의 염분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상기 주재료가공단계(S20)는 준비된 주재료산채를 가공하기 위하여 주재료데침단계(S201), 주재료건조단계(S202), 주재료분쇄단계(S203)를 포함한다.
상기 주재료데침단계(S201)는 준비된 주재료산채를 끓는 소금물에 1 내지 5분 간 데침으로써 녹색을 띠는 주재료산채의 색이 더욱 선명해지게 된다.
상기 주재료건조단계(S202)는 데친 주재료산채를 제습건조기에 투입하여 온도 1 내지 15℃, 습도 10 내지 25%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건조한다.
상기 주재료분쇄단계(S203)는 건조된 주재료산채를 미분분쇄기에 투입하여 250 내지 300 메쉬로 분쇄함으로써 주재료산채는 녹색의 고운 주재료분말이 된다.
상기 재료혼합단계(S30)는 가공된 재료와 반죽재료를 혼합한다.
즉, 반죽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밀가루 40 내지 50 중량%, 주재료 15 내지 25 중량%를 혼합한다.
밀가루는 중력분을 사용하되, 밀가루와 주재료를 동일한 체로 걸러 사용함으로써 밀가루와 주재료가 골고루 혼합되어 색상이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한다.
한편, 제조하고자 하는 면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밀가루를 대신하여 전분가루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반죽단계(S40)는 혼합된 재료를 반죽한다.
즉, 재료혼합단계(S30)에서 혼합된 혼합물과, 반죽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25 내지 35%, 식염 2 내지 5 중량%를 반죽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반죽한다.
식염은 천일염을 물에 녹여 3% 식염수를 만들어 정치시킨 후 부유물과 침전되는 불순물을 3회 이상 여과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단계(S50)는 반죽단계(S40)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100 내지 500g 단위로 소분한 후 채반에 담아 면포로 덮고, 2 내지 5℃에서 12 내지 24시간 저온 숙성시킴으로써 글루텐을 활성화시키고 수분이 골고루 침투하게 한다.
상기 제면단계(S60)는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기에 투입함으로써 반죽물이 제면기 내에서 소정 두께로 납작하게 성형된 후 다수의 선절로울러에 의해 1 내지 3㎜ 굵기의 면으로 절단된다.
제면단계(S60)에서 제조된 연녹색을 띠는 면은 생면으로써 바로 물에 삶아 사용하거나,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포장할 수 있게 되는데 생면의 절단 및 포장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면단계(S60)에서 제조된 생면은 1.5 내지 2.5m 길이로 절단한 후, 건조봉에 걸어서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상온의 건조실 내에서 수분 함량이 10% 이하가 되게 서서히 건조시킴으로써 연녹색을 띠는 건면으로 제조 가능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산채류에 함유된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의 감소 없이 산채류 특유의 쓴맛, 신맛을 억제하면서 식감이 찰지고, 부드러우며, 담백한 맛과 특유의 향, 고운 색을 가지는 면의 제조가 가능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에 제조된 면은 식감이 찰지면서, 맛이 담백하고, 산채류 특유의 향과 고운 색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면 요리에 사용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주재료냉동보관단계(S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냉동보관단계(S204)는 분쇄된 주재료를 -5 내지 -20℃에서 냉동 보관함으로써 가공된 주재료의 장기 보관이 가능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상기 반죽재료와 혼합하기 위하여 부재료산채를 가공하는 부재료가공단계(S7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부재료산채를 가공하기 위하여 부재료준비단계(S701), 부재료데침단계(S702), 부재료건조단계(S703), 부재료분쇄단계(S704)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료준비단계(S701)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3~5월에 산에서 채집 또는 수확되는 산채류를 부재료산채로 준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산채는 뿌리류 산채인 어수리뿌리, 더덕, 도라지, 잔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세척 후 껍질을 벗겨 준비한다.
어수리뿌리는 쓰고 매운 맛과 독특한 향이 특징이다.
약리작용은 진통·진정 작용과 혈관 확장작용, 호흡중추를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목 주위의 근육이나 허리·척추·무릎의 관절에 통증이 있거나, 하반신에 마비를 일으키는 증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두통이 심하여 머리가 조이는 듯이 아프고 어지러우며, 혀에는 백태가 끼는 감기 증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덕은 쌉쌀한 맛이 특징이며, 흰색 속살을 가지고 있고, 섬유질이 풍부하여 갈랐을 때 결대로 찢어지는 특성이 있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칼륨, 철분, 칼슘, 인 등의 무기질과 다량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혈관질환과 암 예방에 도움이 되며, 피로 회복에 좋고, 가슴 통증을 동반한 기침이나 가래, 천식, 고혈압, 콜레스테롤 제거, 염증 치료와 피부 해독, 자양강장기능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주된 성분 중 하나인 이눌린은 혈당 조절을 돕는 천연 인슐린으로 불리며, 페놀류,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 방지 및 암 예방, 항비만, 간 기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라지는 쌉싸름한 맛이 특징이며, 흰색 속살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칼슘과 철분, 칼륨,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을 비롯해 유익한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풍부한 사포닌 성분은 기침, 가래에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호흡기를 보하는 약재로 많이 쓰여 왔다.
또한, 혈당 조절과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이 있으며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골다공증 예방과 성장기 어린이들의 뼈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잔대는 쓰고 아린 맛이 강하며, 칼륨 성분이 풍부하다.
약리작용은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며, 천식에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의 나트륨 배출을 원활하게 도와주며, 부종을 막고 혈액이 몸속에 잘 돌게 해 고혈압, 동맥경화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특히 뛰어난 해독력을 가져 중금속 독, 화학약품, 농약 독 등 온갖 독을 푸는 데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흡연에 의한 니코틴의 독을 풀어주는 것은 물론 음주로 인한 술독, 인스턴트 음식에 첨가된 화학조미료의 독성도 해독해준다.
또한, 여성들의 고질병인 생리불순, 자궁출혈, 자궁염 등에도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상기 부재료데침단계(S702)는 준비된 부재료산채를 끓는 식초물에 5 내지 10분 간 데침으로써 뿌리류 산채 특유의 떫고 쓴 맛이 제거된다.
상기 부재료건조단계(S703)는 데친 부재료산채를 채반에 널어 바람이 잘 통하는 상온의 그늘진 곳에서 2 내지 5일 간 자연 건조한다.
상기 부재료분쇄단계(S704)는 건조된 부재료산채를 미분분쇄기에 투입하여 250 내지 300 메쉬로 분쇄함으로써 미색의 고운 부재료분말이 된다.
상기 재료혼합단계(S30)는 가공된 주재료, 가공된 부재료, 반죽재료를 혼합한다.
즉, 반죽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밀가루 40 내지 50 중량%, 주재료 10 내지 15 중량%, 부재료 5 내지 10 중량%를 하되, 밀가루, 주재료, 부재료가 골고루 혼합되어 색상이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반죽단계(S40)는 혼합된 재료를 반죽한다.
즉, 재료혼합단계(S30)에서 혼합된 혼합물과, 반죽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물 25 내지 35%, 식염 2 내지 5 중량%를 반죽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반죽한다.
식염은 천일염을 물에 녹여 3% 식염수를 만들어 정치시킨 후 부유물과 침전되는 불순물을 3회 이상 여과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단계(S50)는 반죽단계(S40)에서 반죽된 반죽물을 100 내지 500g 단위로 소분한 후 채반에 담아 면포로 덮고, 2 내지 5℃에서 12 내지 24시간 저온 숙성시킴으로써 글루텐을 활성화시키고 수분이 골고루 침투하게 한다.
상기 제면단계(S60)는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기에 투입함으로써 반죽물이 제면기 내에서 소정 두께로 납작하게 성형된 후 다수의 선절로울러에 의해 1 내지 3㎜ 굵기의 면으로 절단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은, 산채류의 잎과 뿌리에 함유된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의 감소 없이 산채류 특유의 쓴맛, 신맛을 억제하면서 식감이 찰지고, 부드러우며, 담백한 맛과 특유의 향, 고운 색을 가지는 면의 제조가 가능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부재료볶음단계(S7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볶음단계(S705)는 건조된 부재료를 볶음기에 투입하여 100 내지 200℃에서 5 내지 30분 동안 타지 않게 볶아냄으로써 뿌리류 산채의 강한 쓴맛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일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부재료추출단계(S706), 추출물농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료추출단계(S706)는 분쇄된 부재료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부재료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한다.
추출용매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150에 미달되면, 추출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며, 에탄올이 250 중량부를 초과하면, 뿌리류 산채를 사용하는 부재료의 쓴맛과 신맛의 제거 효과가 저하된다.
한편, 부재료추출단계(S706)는 저온추출, 열추출 등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식 중 어느 한 가지 추출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5 내지 20℃ 에서 수행되는 저온추출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뿌리류 산채의 강한 쓴맛과 신맛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저온추출 시 추출 압력은 공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상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수율의 증대를 위하여 저압 또는 가압 상태에서의 추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추출물농축단계는 추출된 부재료추출물을 진공 조건 10 내지 700 mmHg 및 증기 온도 10 내지 100℃ 내에서 농축함으로써 부재료추출물에 함유된 물과 에탄올의 함량이 감소하고, 부재료추출물의 주원료가 되는 뿌리류 산채에 함유된 인체에 유익한 유효성분의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일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 주재료준비단계
S20: 주재료가공단계
S201: 주재료데침단계
S202: 주재료건조단계
S203: 주재료분쇄단계
S204: 주재료냉동보관단계
S30: 재료혼합단계
S40: 반죽단계
S50: 숙성단계
S60: 제면단계
S70: 부재료가공단계
S701: 부재료준비단계
S702: 부재료데침단계
S703: 부재료건조단계
S704: 부재료분쇄단계
S705: 부재료볶음단계
S706: 부재료추출단계
S707: 부재료농축단계

Claims (5)

  1. 주재료산채를 준비하는 주재료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된 주재료산채를 가공하는 주재료가공단계(S20);
    상기 가공된 재료와 반죽재료를 혼합하는 재료혼합단계(S30);
    상기 혼합된 재료를 반죽하는 반죽단계(S40);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숙성시키는 숙성단계(S50);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면기에 투입하여 면을 뽑아내는 제면단계(S60); 를 포함하는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료가공단계(S20)는,
    준비된 주재료산채를 끓는 소금물에 데치는 주재료데침단계(S201);
    상기 데친 주재료산채를 건조하는 주재료건조단계(S202);
    상기 건조된 주재료산채를 분말이 되게 분쇄하는 주재료분쇄단계(S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재료와 혼합하기 위하여 부재료산채를 가공하는 부재료가공단계(S7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부재료산채를 준비하는 부재료준비단계(S701);
    준비된 부재료산채를 끓는 식초물에 데치는 부재료데침단계(S702);
    상기 데친 부재료산채를 건조하는 부재료건조단계(S703);
    상기 건조된 부재료산채를 분말이 되게 분쇄하는 부재료분쇄단계(S7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건조된 부재료를 100 내지 200℃에서 5 내지 30분 동안 볶아내는 부재료볶음단계(S70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가공단계(S70)는,
    분쇄된 부재료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부재료추출물을 제조하는 부재료추출단계(S706);
    상기 추출된 부재료추출물을 농축하는 추출물농축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KR1020210044087A 2021-04-05 2021-04-05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KR20220138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87A KR20220138219A (ko) 2021-04-05 2021-04-05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087A KR20220138219A (ko) 2021-04-05 2021-04-05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219A true KR20220138219A (ko) 2022-10-12

Family

ID=8359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087A KR20220138219A (ko) 2021-04-05 2021-04-05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2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27A (ko) 2004-01-07 2004-02-11 최병호 녹차와 산나물을 이용한 라면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27A (ko) 2004-01-07 2004-02-11 최병호 녹차와 산나물을 이용한 라면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606B1 (ko) 마늘 절편 정과의 제조방법
CN103535566A (zh) 一种黑皮芝麻汤圆
KR102273213B1 (ko) 약초를 이용한 삼계탕 제조방법
CN104186833A (zh) 一种甘薯叶红茶的制备方法
KR101589522B1 (ko) 참마와 소맥분을 포함하는 찜닭 소스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025060B1 (ko) 민물고기 어탕(魚湯) 및 어탕분말 가공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0330748B1 (ko) 선인장 열매(백년초) 김치 및 제조방법
KR20210059903A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172098B1 (ko) 홍삼찰떡 및 홍삼영양떡 제조방법
KR20120111114A (ko) 고기능성 양파즙 제조방법
KR101766288B1 (ko) 사과현미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220138219A (ko) 산채류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KR102135736B1 (ko) 편육의 제조방법
KR101469932B1 (ko) 황태 곤드레나물 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1902B1 (ko) 호박과 고구마로 조성된 황금색 된장의 제조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173156B1 (ko) 도토리 국수 제조 방법 및 도토리 국수
KR102590423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예방 잡곡밥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만든 당뇨예방 잡곡밥
KR20130111705A (ko) 전복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439859B1 (ko) 식물성천연물이 함유된 소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소금
KR102397024B1 (ko) 김치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KR101966120B1 (ko) 돼지감자와 새우를 이용한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1392530B1 (ko) 매실액이 함유된 명이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