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049A - 수면 촉진용 조성물 및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 - Google Patents

수면 촉진용 조성물 및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049A
KR20220137049A KR1020227030135A KR20227030135A KR20220137049A KR 20220137049 A KR20220137049 A KR 20220137049A KR 1020227030135 A KR1020227030135 A KR 1020227030135A KR 20227030135 A KR20227030135 A KR 20227030135A KR 20220137049 A KR20220137049 A KR 2022013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composition
promoting
promoting sleep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무라카미
타로 고
히로시 이시모토
아즈사 가미코우치
이쿠에 모리
Original Assignee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지루시 메그밀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13Adolescentes
    • A23Y2220/67
    • A23Y2300/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Dairy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전체 및 야간 초기의 수면량의 증가나 입면 잠시의 단축, 수면 에피소드 길이의 증가를 시킬 수 있고, 안정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종,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종 중 어느 쪽에 속하는 미생물 또는 그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Description

수면 촉진용 조성물 및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
본 발명은,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고, 안정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수면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동물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행동이며, 포유류뿐만 아니라, 어류, 파리, 선충 등의 비포유류에 있어서도, 수면 상태 또는 수면 유사 상태가 존재한다. 근년,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서, 생활 리듬이 흐트러지고, 불면 등의 수면 장애의 이환(罹患)율이 상승하고 있다. 후생 노동성의 조사에 의하면 5명 중 1명은 얼마간의 수면에 관한 고민을 안고 있다(비특허문헌 1). 수면 장애는 졸음 등에 의한 노동 생산성의 저하뿐만 아니라, 인지증이나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 비만이나 당뇨병 등의 생활 습관병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이 수면 부족에 의한 경제 손실은 약 3.5조엔이 된다고 시산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불면 등의 수면 장애를 갖는 사람에 대하여는, 의약품의 수면제의 사용을 생각할 수 있다. 수면제로서는, 바르비투르산계 수면제나 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 비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르비투르산계 수면제는 의존성 등의 부작용이 강하고, 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에 의한 수면은, 벤조디아제핀 속파(速波)라고 불리는 이상한 주파수 영역을 나타내는 수면을 유발하기 때문에, 생리적으로 양질의 수면을 유도하지 못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로부터, 의약품을 대신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생리적인 수면을 유발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으며, 천연 성분이나 식품 성분 등부터 다양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인 글리신에 의한 숙면 장애 개선제(특허문헌 1)나, 테아닌에 의한 수면 촉진 조성물(특허문헌 2) 등이 있다. 또한, 옛부터 발효 식품에 이용되고 있으며, 생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유산균에 있어서도, 비병원성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아시도필러스, 락토바실러스·헬베티카스, 스트렙토코커스·서모필러스의 특정한 균주에 의한 최면 활성(렘 수면 증가와 논렘 수면 감소에 의한 수면의 질 개선)(특허문헌 3)이나 락토바실러스·카제이에 의한 수면의 질 개선제(특허문헌 4) 락토바실러스·브레비스에 의한 개일 리듬 개선제(특허문헌 5) 등이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여전히 충분한 선택지가 존재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황색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이하, 초파리라고 함)는, 생물학의 여러 분야에서 모델 생물로서 사용되고 있다. 2000년에는 전게놈 서열이 결정되어, 인간의 질환에 관련되는 유전자의 약 75%가 초파리에도 존재한다고 추정되어, 근년에는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대사 증후군 등 질환 모델의 초파리가 개발되어 있고, 실제로 질환 발증 메커니즘의 해명이나, 치료약제의 스크리닝에 사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 4).
수면 연구의 분야에 있어서도 초파리를 사용한 연구는 수많이 이루어져 있고, 초파리가 인간과 유사한 수면 유사 행동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특징이나 분자 기반의 대부분이 포유류의 수면과 공통된 것이 밝혀져 있다(비특허문헌 5, 6). 구체예로서는, 나이에 의존한 수면 양식의 변화(비특허문헌 7), 수면의 항상성 기구(상실한 수면을 보상하는 수면 행동)(비특허문헌 8), 카페인에 의한 각성 작용(비특허문헌 9), 글리신에 의한 수면 촉진 작용(비특허문헌 10),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GABA 등의 신경 전달 물질, 그리고 EGF의 수면 각성 제어 작용(비특허문헌 11, 12, 13)이, 초파리와 포유류에 있어서 공통된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포유류의 시상하부와 발생학적 및 기능적으로 유사한, 초파리의 뇌간부(pars intercerebralis)가 수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나, 각성 촉진 신경 회로와 수면 촉진 신경 회로가, 초파리에 있어서도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서로 연락되어 있는 것 등, 신경계의 구조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면에 관계되는 신경 회로가 진화 상에서 보존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5, 6).
이러한 점에서, 초파리는 수면 연구의 모델 생물로서 적합하며, 수면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탐색에도 유용하다고 생각되고 있다(비특허문헌 5, 6).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219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WO01/074352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27922호 공보 일본 특허 제6279714호 공보 일본 특허 제5943342호 공보
2017년도 국민 건강·영양 조사, 후생 노동성 <https://www.mhlw.go.jp/content/000451755.pdf> 우치야마 마코토, 일본 정신과 병원협회 잡지 31(11), 1163-1169, 2012-11, 2012 Pandey, U. B. & Nichols, C. D. Human Disease Models in Drosophila melanogaster and the Role of the Fly in Therapeutic Drug Discovery. Drug Deliv. 63, 411-436(2011) Ugur, B., Chen, K. & Bellen, H. J. Drosophila tools and assays for the study of human diseases. Dis. Model. Mech. 9, 235-244(2016). Zimmerman, J. E., Naidoo, N., Raizen, D. M. & Pack, A. I. Conservation of sleep: insights from non-mammalian model systems. Trends Neurosci. 31, 371-376(2008). Ly, S., Pack, A. I. & Naidoo, N. The neurobiological basis of sleep: Insights from Drosophila. Neurosci. Biobehav. Rev. 87, 67-86(2018). Koh, K., Evans, J. M., Hendricks, J. C. & Sehgal, A. A Drosophila model for age-associated changes in sleep: wake cycles. Proc. Natl. Acad. Sci. U. S. A. 103(37), 13843-13847(2006) Huber, R. et al. Sleep homeostasis in Drosophila melanogaster. Sleep 27, 628-639(2004) Wu, M. N. et al. The effects of caffeine on sleep in Drosophila require PKA activity, but not the adenosine receptor. J Neurosci 29(35), 11029-11037(2009) 쿠메 가즈히코, 초파리를 사용한 신규의 수면 제어 기구의 탐색, 우에하라 기념 생명 과학 재단 연구 보고집, 30(2016) Ueno, T. et al. Identification of a dopamine pathway that regulates sleep and arousal in Drosophila. Nat. Neurosci. 15, 1516-1523(2012) Sehgal, A. & Mignot, E. Genetics of sleep and sleep disorders. Cell. 146, 194-207(2011). Foltenyi, K et al. Neurohormonal and neuromodulatory control of sleep in Drosophila. Cold Spring Harb Symp Quant Biol. 72, 565-571(2007)
본 발명은,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고, 안정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진행시킨 바, 복수의 미생물이 수면을 촉진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1)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종,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종 중 어느 것에 속하는 1개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2)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수면량 증가용 조성물, 수면 도입 촉진용 조성물, 수면의 질 향상용 조성물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
(3)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수면량 증가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
(4)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수면 도입 촉진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
(5)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수면의 질 향상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
(6) 상기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종이,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SBT0430 또는 SBT2786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
(7) 상기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종이,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BT2227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
(8)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식품, 수면 촉진용 의약품 또는 수면 촉진용 사료.
(9) 수탁 번호가 NITE BP-03103인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 수탁 번호가 NITE BP-03102인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 수탁 번호가 NITE BP-03104인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
본 발명은,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원에서 말하는 「수면을 촉진시키는(수면 촉진)」이란, 수면량의 증가(야간 수면량의 증가), 수면 도입의 촉진(야간 초기의 수면량의 증가나 입면 잠시(潛時)의 단축), 수면의 질 향상(최장 수면 에피소드의 증가에 나타나는 깊은 잠의 증가)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일 양태에 있어서, 수면량 증가용 조성물, 수면 도입 촉진 조성물, 및/또는 수면의 질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야간 전체의 수면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야간 최초 3시간의 수면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입면 잠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수면 에피소드의 최장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야간 전체의 수면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야간 최초 3시간의 수면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입면 잠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수면 에피소드의 최장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야간 전체의 수면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야간 최초 3시간의 수면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입면 잠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섭취한 초파리의 수면 에피소드의 최장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수면 촉진용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종,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종에 속하는 미생물이며, 수면 유지의 향상 또는 수면 도입의 촉진 효과를 갖는 것이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종,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종이면 그 균주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예로서는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종에서는 SBT0430 및 SBT2786주를,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종에서는 SBT2227주를 들 수 있다.
이들 3균주는 모두 특허 생물 기탁 센터(IPOD)에 국제 기탁되어 있으며, 수령 번호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이들 미생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적절히 2종 이상의 미생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미생물의 배양은 각 미생물에 적합한 조건을 채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배지에는 유배지 또는 유성분을 포함하는 배지, 이것을 포함하지 않는 반합성 배지, 화학적으로 규정된 합성 배양지 등 각종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지로서는, 환원 탈지유나 MRS 배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원심 분리 등의 집균 수단에 의해 분리된 균체를 그대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생균체가 바람직하지만, 균체에 어떠한 처리를 가해도 되고, 농축, 건조, 동결 건조 등을 행한 균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사균체로 해도 되고, 그 처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균체로서 순수하게 분리된 것뿐만 아니라, 배양물, 현탁물, 기타 균체 함유물이나, 균체를 효소나 물리적 수단을 사용하여 처리한 세포질이나 세포벽 분획도 사용할 수 있다.
배양물 등의 형태로서는, 합성 배양지인 MRS 배지(DIFCO사제), 환원 탈지유 배지 등 일반적으로 유산균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를 사용한 배양물뿐만 아니라, 치즈, 발효유, 유제품 유산균 음료 등의 유제품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면 촉진용 조성물은, 식품, 의약품, 사료 등에 첨가할 수 있다. 그 때, 본 발명의 수면 촉진용 조성물은 그대로 사용해도 되지만, 식품, 의약품 및 사료에 통상 포함되는 다른 원재료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통상법에 따라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건강 음료 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요구르트, 우유 음료, 웨하스 등의 음식품, 및 사료에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식품, 의약품, 사료 등에 배합하는 경우, 미생물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조의 용이성이나 바람직한 하루 투여량에 맞게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투여 대상자의 증상, 연령 등을 고려하여 각각 개별로 결정되지만, 통상 성인의 경우, 미생물의 배양물 등을 10 내지 200g, 20 내지 200g, 50 내지 200g, 100 내지 200g, 150 내지 200g, 20 내지 150g, 50 내지 150g, 100 내지 150g, 또는 50 내지 100g, 혹은 그 균체 자체를 0.1 내지 5,000mg, 0.2 내지 5000mg, 0.5 내지 5,000mg, 1 내지 5,000mg, 2 내지 5,000mg, 5 내지 5,000mg, 10 내지 5,000mg, 20 내지 5,000mg, 50 내지 5,000mg, 100 내지 5,000mg, 200 내지 5,000mg, 500 내지 5,000mg, 1,000 내지 5,000mg, 2,000 내지 5,000mg, 0.2 내지 2,000mg, 0.5 내지 2,000mg, 1 내지 2,000mg, 2 내지 2,000mg, 5 내지 2,000mg, 10 내지 2,000mg, 20 내지 2,000mg, 50 내지 2,000mg, 100 내지 2,000mg, 200 내지 2,000mg, 500 내지 2,000mg, 1,000 내지 2,000mg, 0.5 내지 1,000mg, 1 내지 1,000mg, 2 내지 1,000mg, 5 내지 1,000mg, 10 내지 1,000mg, 20 내지 1,000mg, 50 내지 1,000mg, 100 내지 1,000mg, 200 내지 1,000mg, 500 내지 1,000mg, 1 내지 500mg, 2 내지 500mg, 5 내지 500mg, 10 내지 500mg, 20 내지 500mg, 50 내지 500mg, 100 내지 500mg, 200 내지 500mg, 2 내지 200mg, 5 내지 200mg, 10 내지 200mg, 20 내지 200mg, 50 내지 200mg, 100 내지 200mg, 5 내지 100mg, 10 내지 100mg, 20 내지 100mg, 50 내지 100mg, 10 내지 50mg, 또는 20 내지 50mg 섭취할 수 있도록 배합량 등을 조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섭취함으로써 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수면 촉진용 조성물의 수면 촉진 작용의 평가 방법)
본 발명의 수면 촉진용 조성물의 수면 촉진 작용은, 실시예에 기재한 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시험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시험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예시할 뿐이며,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예 1) 미생물의 수면 촉진 작용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과 SBT2786주,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에 대하여, 초파리를 사용하여 수면 촉진 작용을 평가하였다.
1. 시험 방법
(1) 공여균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과 SBT2786주와,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공여균으로 하였다.
(2) 공여 균체의 조제
상기 (1)의 각 공여균을 동 표 2에 나타낸 조건에서 배양을 한 후(OD600=0.7 이상), 원심 분리(7,000×g, 4℃, 20min)에 의해 균체를 분리하였다. 균체는 생리 식염수로 2회 세정한 후, 배양량의 1/10양으로 12.5% 트레할로오스 용액에 현탁시켰다. 또한 이 현탁액을 2% 아가, 10% 수크로오스 용액과 등량 혼합하여 공여 균체를 함유하는 사료를 제작하였다.
(3) 시험 수순
야생형의 초파리 CS2202u 계통을, 온도 25℃에서 12시간마다의 명암 주기 하에서 사육한, 우화 후 5일의 미교미의 암컷 개체를 평가에 사용하였다. 초파리를, 상기 (2)의 사료(시험군) 또는 유산균을 포함하지 않는 1% 아가, 5% 수크로오스로 구성되는 사료(컨트롤군)와 함께 직경 5mm의 유리 튜브에 넣고, 초파리의 행동을 측정하는 드로소필라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Drosophila activity monitoring system)(Trikinetics사제)으로 3일간 행동을 측정하였다. 초파리에서는, 부동 기간(움직이지 않는 기간)이 5분 이상인 경우를 "수면"으로 정의되어 있다. 그래서, 야간 전체(조명이 소등되어 있는 기간)와, 야간의 최초 3시간의 수면량, 야간 개시 시부터 최초의 수면 에피소드가 관찰될 때까지의 시간, 야간에서 가장 긴 수면 에피소드의 길이에 대하여 중앙값을 산출하고, 시험군과 컨트롤군을 비교하였다. 수면량이란, 관찰 기간(일중 또는 야간)에 관찰된 총 수면 시간(Amount of total sleep time)이다. 즉, 야간 전체에 있어서 수면량이 증가하는 것은, 야간의 수면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수면을 촉진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야간의 최초 3시간의 수면량이 증가하는 것은, 수면 도입을 촉진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야간 개시 시부터 최초의 수면 에피소드가 관찰될 때까지의 시간(Latency to the first sleep bout)은, 입면 잠시라고 불리는 것이며, 이것이 단축되는 것도 수면 도입을 촉진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야간에서 가장 긴 수면 에피소드의 길이(Longest sleep bout)가 증가하는 것은, 수면이 깊은 것, 즉 수면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나타낸다. 각 군, 약 96마리의 초파리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윌콕슨의 순위합 검정에 의해 유의차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p<0.05에서 유의차 있음, p<0.1에서 유의 경향 있음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pct00002
2. 시험 결과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를 평가한 결과를 도 1 내지 4에 나타낸다.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를 섭취한 군은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야간 수면량의 유의미한 증가(도 1), 야간 최초 3시간의 수면량의 유의미한 증가(도 2), 입면 잠시의 유의미한 단축(도 3), 가장 긴 수면 에피소드 길이의 유의미한 증가 경향(도 4)이 확인되었다.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를 평가한 결과를 도 5 내지 8에 나타낸다.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를 섭취한 군은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야간 수면량의 유의미한 증가(도 5), 야간 최초 3시간의 수면량의 유의미한 증가(도 6), 입면 잠시의 유의미한 단축(도 7), 가장 긴 수면 에피소드 길이의 유의미한 증가(도 8)가 확인되었다.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평가한 결과를 도 9 내지 12에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섭취한 군은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야간 수면량의 유의미한 증가(도 9), 야간 최초 3시간의 수면량의 유의미한 증가(도 10), 입면 잠시의 유의미한 단축(도 11), 가장 긴 수면 에피소드 길이의 유의미한 증가(도 12)가 확인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와 SBT2786주,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는, 수면량을 증가하는 작용, 수면 도입을 촉진시키는 작용,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 나타내졌다.
(실시예 1) 수면 촉진제(과립)의 제조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식용 가능한 합성 배양지(0.5% 효모 엑기스, 0.1% 트립티케이스 펩톤 첨가)에 5중량% 접종하고, 38℃에서 15시간 배양 후, 원심 분리로서 균체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균체를 동결 건조시켜, 전기 균체의 동결 건조 분말을 얻었다. 이 동결 건조 분말 1g을 유당 5g과 혼합하여,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본 발명의 수면 촉진제를 얻었다.
(실시예 2) 수면 촉진제(산제)의 제조
제13 개정 일본 약전 해설서 제제 총칙 「산제」의 규정에 준거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의 동결 건조 분말 10g에 유당(일본 약전) 400g, 감자 전분(일본 약전) 600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의 수면 촉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면 촉진용 영양 조성물의 제조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식용 가능한 합성 배양지(0.5% 효모 엑기스, 0.1% 트립티케이스 펩톤 첨가)에 5중량% 접종하고, 38℃에서 15시간 배양 후, 원심 분리로서 균체를 회수하고, 회수한 균체를 동결 건조시켰다. 비타민 C 40g 또는 비타민 C와 시트르산의 등량 혼합물 40g, 그라뉴당 100g, 옥수수 전분과 유당의 등량 혼합물 60g에, 이 동결 건조 분말의 동결 건조 분말 40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주머니에 채우고, 본 발명의 수면 촉진용 영양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수면 촉진용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 1g을 699g의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40℃까지 가열 후, 울트라디스퍼서(ULTRA-TURRAX T-25; IKA 재팬사제)로 9,500rpm에서 20분간 교반 혼합하였다. 말티톨 100g, 산미료 2g, 환원 물엿 20g, 향료 2g, 탈이온수 176g을 첨가한 후, 100ml의 유리병에 충전하고, 95℃, 15초간 살균 후, 마개를 막고, 본 발명의 음료 10개(100ml 넣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수면 촉진용 사료의 제조
대두박 12kg, 탈지분유 14kg, 대두유 4kg, 콘유 2kg, 팜유 23.2kg, 옥수수 전분 14kg, 소맥분 9kg, 기울 2kg, 비타민 혼합물 5kg, 셀룰로오스 2.8kg, 미네랄 혼합물 2kg을 배합하여, 120℃, 4분간 살균하고, 실시예 3에서 얻어진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 10kg을 배합하여, 본 발명의 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발효유의 제조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를 식용 가능한 합성 배양지(0.5% 효모 엑기스, 0.1% 트립티케이스 펩톤 첨가)에 5중량% 접종하고, 37℃에서 17시간 배양 후, 원심 분리로서 균체를 회수하여, 동결 건조시켰다. 이 동결 건조 균체 5g, 탈지분유 1700g, 글루코오스 300g, 탈이온수 7695g을 혼합하고, 95℃에서 2시간 유지함으로써 가열 살균하였다. 이것을 37℃까지 냉각시키고, 유산균 스타터(Lb. casei)를 300g 식균하고, 교반 혼합 후, 37℃로 유지한 인큐베이터 내에서 pH 4.0까지 발효시켰다. pH 4.0 도달 후, 10℃ 이하까지 냉각시켜, 본 발명의 발효유 10kg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새로운 수면을 촉진시키는 조성물로서,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종,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종에 속하는 미생물, 해당 미생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해당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및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등을 섭취함으로써 수면을 촉진시킬 수 있다.
수탁 번호
[기탁 생물 재료에 대한 언급]
(1)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수령 번호: NITE ABP-03102, 수령일: 2021년 1월 13일), 기탁처: 우편 292-0818 일본 지바현 기사라즈시 가즈사 가마타리 2-5-8, 독립 행정 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NPMD).
(2)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수령 번호: NITE ABP-03103, 수령일: 2021년 1월 13일), 기탁처: 우편 292-0818 일본 지바현 기사라즈시 가즈사 가마타리 2-5-8, 독립 행정 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NPMD).
(3)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수령 번호: NITE ABP-03104, 수령일: 2021년 1월 13일), 기탁처: 우편 292-0818 일본 지바현 기사라즈시 가즈사 가마타리 2-5-8, 독립 행정 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NPMD).

Claims (9)

  1.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종,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종 중 어느 것에 속하는 1개 이상의 미생물을 포함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수면량 증가용 조성물, 수면 도입 촉진용 조성물, 수면의 질 향상용 조성물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수면량 증가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수면 도입 촉진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촉진용 조성물이 상기 수면의 질 향상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종이,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SBT0430주 또는 SBT2786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종이,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SBT2227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면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촉진용 식품, 수면 촉진용 의약품 또는 수면 촉진용 사료.
  9. 수탁 번호가 NITE BP-03103인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0430주, 수탁 번호가 NITE BP-03102인 비피도박테리움·아돌레센티스 SBT2786주, 수탁 번호가 NITE BP-03104인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SBT2227주.
KR1020227030135A 2020-02-05 2021-01-26 수면 촉진용 조성물 및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 KR20220137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8148A JP6873291B1 (ja) 2020-02-05 2020-02-05 睡眠促進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JPJP-P-2020-018148 2020-02-05
PCT/JP2021/002647 WO2021157434A1 (ja) 2020-02-05 2021-01-26 睡眠促進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049A true KR20220137049A (ko) 2022-10-11

Family

ID=7589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135A KR20220137049A (ko) 2020-02-05 2021-01-26 수면 촉진용 조성물 및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85298A1 (ko)
EP (1) EP4101315A4 (ko)
JP (2) JP6873291B1 (ko)
KR (1) KR20220137049A (ko)
CN (1) CN115551365A (ko)
AU (1) AU2021217265A1 (ko)
CA (1) CA3170317A1 (ko)
WO (1) WO2021157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6997A (zh) * 2023-06-15 2023-09-05 均瑶润盈生物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改善睡眠质量的青春双歧杆菌制剂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342B2 (ja) 1981-04-04 1984-10-22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負圧式倍力装置
WO2001074352A1 (fr) 2000-04-05 2001-10-11 Taiyo Kagaku Co., Ltd. Compositions somniferes
JP4527922B2 (ja) 1999-12-20 2010-08-18 コンパニ・ジェルベ・ダノン 非病原性乳酸菌の催眠活性
JP2013121961A (ja) 2004-01-14 2013-06-20 Ajinomoto Co Inc グリシンを含有する熟眠障害改善剤
JP6279714B2 (ja) 2014-03-25 2018-02-14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睡眠の質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4532B2 (ja) * 2004-08-25 2012-02-15 株式会社琉球バイオリソース開発 睡眠改善剤
MY160376A (en) * 2008-11-03 2017-03-15 Nestec Sa A nutri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probiotics and improving sleep patterns
JP5943342B2 (ja) 2012-03-02 2016-07-0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概日リズム改善剤
CA3085855A1 (en) * 2017-12-19 2019-06-27 Probiotical S.P.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and/or improvement of sleep and mood disorders
CA3085977A1 (en) * 2017-12-19 2019-06-27 Probiotical S.P.A.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and/or improvement of sleep and mood disorders
CN111902155A (zh) * 2018-01-29 2020-11-06 精密生物集团有限公司 长双歧杆菌ncimb 41676
EP3777869A4 (en) * 2018-03-28 2021-12-08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SLEEP-PROMOTING COMPOSITION, AND MEDICINAL COMPOSITION AND FOOD AND BEVERAGE COMPOSITION USING THE SAID SLEEP-PROMOTING COMPOSITION
CN108823125A (zh) * 2018-06-13 2018-11-16 山东巴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睡眠障碍益生菌制剂的生产方法及应用
CN108671135B (zh) * 2018-08-01 2021-06-08 山东神农医院管理有限公司 一种调理失眠和抑郁的中药益生菌复合物
CN109200065A (zh) * 2018-11-22 2019-01-15 北京格特基因科技有限公司 能改善孤独症谱系障碍患者症状的益生菌
CN109965170A (zh) * 2019-05-07 2019-07-05 江苏华桑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具有促进睡眠功能的饮料的方法
CN110106122B (zh) * 2019-05-30 2020-08-04 江南大学 一种能够改善睡眠的植物乳杆菌及其用途
CN110537704A (zh) * 2019-09-09 2019-12-06 天津创源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改善睡眠的益生菌发酵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3342B2 (ja) 1981-04-04 1984-10-22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負圧式倍力装置
JP4527922B2 (ja) 1999-12-20 2010-08-18 コンパニ・ジェルベ・ダノン 非病原性乳酸菌の催眠活性
WO2001074352A1 (fr) 2000-04-05 2001-10-11 Taiyo Kagaku Co., Ltd. Compositions somniferes
JP2013121961A (ja) 2004-01-14 2013-06-20 Ajinomoto Co Inc グリシンを含有する熟眠障害改善剤
JP6279714B2 (ja) 2014-03-25 2018-02-14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睡眠の質改善剤

Non-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7년도 국민 건강·영양 조사, 후생 노동성 <https://www.mhlw.go.jp/content/000451755.pdf>
Foltenyi, K et al. Neurohormonal and neuromodulatory control of sleep in Drosophila. Cold Spring Harb Symp Quant Biol. 72, 565-571(2007)
Huber, R. et al. Sleep homeostasis in Drosophila melanogaster. Sleep 27, 628-639(2004)
Koh, K., Evans, J. M., Hendricks, J. C. & Sehgal, A. A Drosophila model for age-associated changes in sleep: wake cycles. Proc. Natl. Acad. Sci. U. S. A. 103(37), 13843-13847(2006)
Ly, S., Pack, A. I. & Naidoo, N. The neurobiological basis of sleep: Insights from Drosophila. Neurosci. Biobehav. Rev. 87, 67-86(2018).
Pandey, U. B. & Nichols, C. D. Human Disease Models in Drosophila melanogaster and the Role of the Fly in Therapeutic Drug Discovery. Drug Deliv. 63, 411-436(2011)
Sehgal, A. & Mignot, E. Genetics of sleep and sleep disorders. Cell. 146, 194-207(2011).
Ueno, T. et al. Identification of a dopamine pathway that regulates sleep and arousal in Drosophila. Nat. Neurosci. 15, 1516-1523(2012)
Ugur, B., Chen, K. & Bellen, H. J. Drosophila tools and assays for the study of human diseases. Dis. Model. Mech. 9, 235-244(2016).
Wu, M. N. et al. The effects of caffeine on sleep in Drosophila require PKA activity, but not the adenosine receptor. J Neurosci 29(35), 11029-11037(2009)
Zimmerman, J. E., Naidoo, N., Raizen, D. M. & Pack, A. I. Conservation of sleep: insights from non-mammalian model systems. Trends Neurosci. 31, 371-376(2008).
우치야마 마코토, 일본 정신과 병원협회 잡지 31(11), 1163-1169, 2012-11, 2012
쿠메 가즈히코, 초파리를 사용한 신규의 수면 제어 기구의 탐색, 우에하라 기념 생명 과학 재단 연구 보고집, 30(20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23563A (ja) 2021-08-30
CA3170317A1 (en) 2021-08-12
CN115551365A (zh) 2022-12-30
WO2021157434A1 (ja) 2021-08-12
US20230085298A1 (en) 2023-03-16
JP2021123600A (ja) 2021-08-30
AU2021217265A1 (en) 2022-09-01
EP4101315A4 (en) 2024-02-21
EP4101315A1 (en) 2022-12-14
JP6873291B1 (ja) 202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7196B2 (ja) 脳機能改善剤
CA2897722A1 (en) Lactobacillus paracasei for immunostimulation, and medicine, food, beverage and feed containing the lactobacillus
AU2019241546B2 (en) Sleep-promoting composition, and medicinal composition and food and beverage composition using said sleep-promoting composition
WO2021015289A1 (ja) 記憶・学習能維持および/または向上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WO2021157435A1 (ja) 睡眠促進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JP6793380B2 (ja) スクロース摂取による血糖値上昇を抑制する物質の評価方法、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製造方法
JP6531893B2 (ja) 濾胞性ヘルパーt細胞増加剤
JP7054111B2 (ja) 乳酸菌、該乳酸菌由来の血糖低下剤、糖尿病治療薬、及び飲食品
JP7090288B2 (ja) 新規乳酸菌、新規乳酸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自然免疫活性化剤、及び新規乳酸菌を含有する飲食品
KR20220137049A (ko) 수면 촉진용 조성물 및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사료
JP2017019841A (ja) Qol改善又は持続剤
JP2021123562A (ja) 睡眠促進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JP2021123561A (ja) 睡眠促進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JP6739602B1 (ja) 記憶・学習能維持および/または向上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TWI837785B (zh) 含有短雙岐桿菌之培養物之用途
JP6785141B2 (ja) 基礎代謝亢進剤
JP2021020885A (ja) 記憶・学習能維持および/または向上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JP2024026407A (ja) 記憶・学習能維持および/または向上用組成物及び組成物を含む食品、医薬品、飼料
JP2021020944A (ja) 基礎代謝亢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